KR20110095809A -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809A
KR20110095809A KR1020110003127A KR20110003127A KR20110095809A KR 20110095809 A KR20110095809 A KR 20110095809A KR 1020110003127 A KR1020110003127 A KR 1020110003127A KR 20110003127 A KR20110003127 A KR 20110003127A KR 20110095809 A KR20110095809 A KR 2011009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foreign matter
image forming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리토시 타카마츠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6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3Removing electrostatic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6Flexible surface
    • B65H2404/561Bristles,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 B65H2405/1142Projections or the like in sur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Abstract

용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용지로부터 충분히 제거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화상형성부(42)에 대해, 반송기구(51)를 이용하여 용지(P)를 1장씩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46)에 있어서, 급지 카세트 본체(53)와, 폭 맞춤 가이드부재(54)와, 이물질 제거 롤러(57)를 구비한다.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급지 카세트 본체(53) 내의 용지(P)에 접촉하도록, 용지(P)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용지(P)의 위치를 규제하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에 설치된다.

Description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 및 상기 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팩시밀리,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등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화상형성부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급지부는, 급지 카세트 및 픽업(pick-up)기구를 가진다. 급지 카세트(paper cassette) 내에 수납된 용지는, 픽업 기구에 의해 반송경로로 송출된다. 송출된 용지는, 이후 화상형성부로 반송(搬送)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용지에 부착된 종이가루(paper dust) 등의 이물질이, 화상불량이나 반송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용지에 부착된 종이가루가 화상형성부의 감광체 드럼(photosensitive drum)에 부착되면, 감광체 드럼 상의 적정한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의 형성이 방해를 받으므로, 흑선(黑線) 등의 화상불량이 생긴다.
화상불량의 원인이 되는 종이가루는, 화상형성장치 내에 있어서의 반송시 뿐만 아니라, 용지의 재단시에도 발생한다. 그리고, 용지의 재단시에 발생한 종이가루는, 용지의 양단부분, 특히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폭방향'이라 함)의 양단부분에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용지의 폭방향의 양단부분에 부착된 종이가루를, 반송경로에 설치된 종이가루 제거 롤러(roller)에 접촉시킴으로써 종이가루 제거 롤러로 이동시키고, 종이가루 제거 롤러 상의 종이가루를 블레이드(blade)에 의해 긁어내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232422호). 또한, 용지의 양단부분으로부터 레지스트 롤러(registration roller)로 이동시킨 종이가루를, 종이가루 제거 단부 블레이드에 의해 긁어내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352404호 참조).
선행기술에서는, 종이가루가 부착된 용지의 표면에 롤러를 접촉시켜서 종이가루를 용지로부터 제거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의 재단시에 발생하는 종이가루는, 재단면을 포함한 용지의 폭방향 양단부분에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용지의 표면에 롤러를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는, 용지의 폭방향 양단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용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용지로부터 충분히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aspect)에 따른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에 대해, 반송기구를 이용하여 용지를 1장씩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로서, 급지 카세트 본체와, 가이드 부재(guide member)와, 이물질 제거 롤러를 구비한다. 급지 카세트 본체는, 용지를 수용한다. 가이드 부재는, 용지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용지 위치를 규제한다. 이물질 제거 롤러는, 급지 카세트 본체 내의 용지에 접촉하도록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이물질 제거 롤러가, 급지 카세트 본체 내에 있어서 용지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용지의 폭방향'이라 함)의 용지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끝단부분이 이물질 제거 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반송기구에 의해 화상형성부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 제거 롤러를 용지에 접촉시킴으로써, 급지 카세트 본체 내에 있어서, 용지의 폭방향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지로부터 제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의 재단시에 발생하는 종이가루는 재단면을 포함하는 용지의 폭방향 양단부분에 많이 발생하므로, 용지의 폭방향 양단부에 이물질 제거 롤러를 접촉시킴에 따른 이물질 제거 효과는 높다. 또한, 용지가 화상형성장치의 반송경로로 이송되어 들어가기 전에, 용지의 재단시에 용지에 부착된 종이가루를 제거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에 이물질이 침입하기 어렵다.
이물질 제거 롤러는, 도전성 롤러로서, 소정의 전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는, 이물질 제거 롤러는 소정의 전위로 설정되는 도전성 롤러이다. 따라서, 용지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물질 제거 롤러는, 용지로부터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용지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도전성 롤러는, 화상형성장치의 프레임 그라운드(frame ground) 전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전성 롤러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급지장치는, 블레이드 부재와 이물질 수용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블레이드 부재는, 일단이 이물질 제거 롤러의 롤러면에 접촉하도록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다. 이물질 수용부재는,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 롤러 표면으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한다. 여기서는, 일단이 이물질 제거 롤러의 롤러면에 접촉하는 블레이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롤러의 롤러면으로부터, 롤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낸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롤러의 롤러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다시 급지 카세트 내의 용지에 부착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이물질 수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 긁어내어진 이물질을 확실하게 회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한 급지장치와, 급지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대해 화상형성을 행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에서는, 급지 카세트 본체의 가이드 부재에 이물질 제거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용지의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급지 카세트 내에서 용지로부터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용지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급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물질 제거 기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V-V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이물질 제거 롤러를 프레임 그라운드(flame ground)에 접속하는 배선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물질 제거 기구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 급지장치의 단면도이다.
(1)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로서의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케이스(41)를 구비하는 동시에,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된 화상형성부(42), 정착부(43), 용지반송부(44), 배지부(排紙部; 45) 및 급지장치(46)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1)에 있어서의 각 방향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급지장치(46)에서의 용지(P)의 반송방향을 장치의 좌우방향이라 하고, 좌우방향과 직교하며 장치의 전후를 나타내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한다.
화상형성부(42)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image data)에 근거하여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부(42)는, 감광체 드럼(421), 대전기(charger; 422), 노광 헤드(exposure head; 423), 현상기(developing unit; 424), 전사롤러(transfer roller; 425) 및 클리닝부(cleaner; 426)를 가진다.
감광체 드럼(421)은,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장치이다. 감광체 드럼(421)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감광체 드럼(421)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도 1의 지면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 1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기(422), 노광 헤드(423), 현상기(424), 전사롤러(425) 및 클리닝부(426)는, 감광체 드럼(421)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상기한 순서대로 설치된다.
대전기(422)는, 감광체 드럼(42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대전기(422)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식의 장치이다. 노광 헤드(423)는, 대전된 감광체 드럼(421)의 표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정전잠상을 그린다. 노광 헤드(423)는, 광원으로서,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한다.
현상기(424)는, 감광체 드럼(421) 상의 정전잠상에 토너(tonner)를 공급하여, 화상을 현상한다. 전사롤러(425)는, 감광체 드럼(421)에 대향 배치되어, 감광체 드럼(421) 상의 토너 상(像)을, 용지(P) 상에 전사한다. 클리닝부(426)는,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421) 상에 남는 토너를 제거한다.
정착부(fusing unit; 43)는, 가열 롤러(heat roller) 및 압력 롤러(pressure roller)를 구비한다. 정착부(43)는, 전사 후의 용지(P)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너 상(像)을 용지(P) 상에 정착시킨다.
용지반송부(44)는, 반송로 및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다. 용지반송부(44)는, 롤러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용지(P)를 반송함으로써, 후술하는 급지장치(46)의 급지 카세트(52)로부터, 화상형성부(42) 및 정착부(43)를 지나 배지부(45)까지, 용지(P)를 반송한다. 배지부(45)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배지부(45)는, 케이스(41)의 상부에 있다.
(2) 급지장치
급지장치(46)는, 그 내부에, 화상형성 전의 용지(P) 다발을 수용하고, 용지(P)를 1장씩 화상형성부(42)에 공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급지장치(46)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용지(P)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급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급지장치(46)는, 반송기구(51) 및 급지 카세트(52)를 구비한다. 반송기구(51)는, 급지 카세트(52) 내에 적재된 용지(P)를, 급지 카세트(52)로부터 1장씩 순차로 용지반송부(44)에 반송한다. 반송기구(51)는, 픽업 롤러(511), 구동축(512) 및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를 가진다. 반송기구(51)는, 구동부에 의한 픽업 롤러(511)의 구동에 의해, 급지 카세트(52) 상의 최상위의 용지(P)를 용지반송부(44)로 송출한다.
급지 카세트(52)는, 화상형성 전의 용지(P) 다발을 수용한다. 급지 카세트(52)는, 각종 사이즈(size)의 용지(P)를 수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41)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급지 카세트(52)는, 급지 카세트 본체(53)와, 폭 맞춤 가이드 부재(paper side guide; 54)와, 밀어올림판(flapper; 55)을 가진다.
급지 카세트 본체(53)는, 용지(P) 다발을 수용하는 구조로서, 바닥벽과, 측벽을 가지고 있다. 폭 맞춤 가이드부재(54)는, 용지(P)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용지의 폭방향'이라 함)에 있어서의 용지(P)의 위치를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로서, 폭방향에 있어서 한 쌍을 이루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 및 폭 맞춤 가이드부재(54b)가, 급지 카세트 본체(53) 내에 배치된다. 폭 맞춤 가이드부재(54)는, 용지(P)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급지 카세트 본체(53) 내에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밀어올림판(55)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 본체(53) 내에 있어서, 피봇 핀(pivot pin; 531)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밀어올림판(55)은, 압축스프링(532)에 의해 상방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복수 장의 용지(P)를 싣고 있는 상태에서, 그 최상위의 용지(P)를 픽업 롤러(511)에 접촉시킬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급지 카세트 본체(53) 내부에는, 용지(P)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용지(P)의 후방 위치를 규제하는 후방 가이드 부재(rear paper guide; 533)가 설치되어 있다.
(3) 이물질 제거 기구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폭 맞춤 가이드부재(54)에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 기구(56)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이물질 제거 기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V-V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 및 폭 맞춤 가이드부재(54b)의 각각에 대해, 이물질 제거 기구(56)가 하나씩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측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 기구(56)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폭 맞춤 가이드부재(54b)측에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 기구(56)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물질'이란, 용지의 재단시에 발생하는 종이가루, 급지 카세트 본체(53) 내의 먼지를 말한다.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에는, 이물질 제거 기구(56)가 배치되는 수납부(541)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541)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의 반송기구(51) 부근이며 상반(上半)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541)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이물질 제거 기구(56)는, 급지 카세트(52)에 수용된 용지(P)의 폭방향의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물질 제거 기구(56)는, 수납부(541)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물질 수용부재(59), 이물질 제거 롤러(57) 및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를 구비한다.
이물질 수용부재(59)는,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에 의해 이물질 제거 롤러(57)로부터 긁어내어진 이물질이 수용되는 부재이며, 수납부(541)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부착된다. 이물질 수용부재(59)는, 수납부(541)로부터 전방으로 분리가능하다. 이물질 수용부재(59)는 또한, 이물질 제거 롤러(5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물질 수용부재(59)는, 정면부(59a), 우측면부(59b), 좌측면부(59c), 바닥면부(59d) 및 정면부(59a)와 대향하는 배면부(도시 생략)가 연속하여 형성된 용기형상을 가지고 있다. 정면부(59a), 좌측면부(59c), 바닥면부(59d) 및 후술하는 베어링부(592)로 둘러싸인 공간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실(591)을 구성하고 있다.
수용실(591)은,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에 의해 이물질 제거 롤러(57)로부터 긁어내어져,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로부터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된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수용실(591)은, 좌측면부(59c)의 우측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수용실(59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물질 수용부재(59)는 또한, 베어링부(592)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부(592)는,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축방향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부(592)는, 우측면부(59b) 및 좌측면부(59c) 사이에, 정면부(59a)로부터 후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베어링부(592)는, 이물질 제거 롤러(57)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베어링(592a) 및 하부 베어링(592b)을 가진다. 상부 베어링(592a) 및 하부 베어링(592b)의 후측 선단에는, 후측 및 좌우 양측에 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전측만이 개방된 지지부(592c)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용지(P)의 폭방향의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면부(59b) 및 좌측면부(59c) 사이이며, 또한 상부 베어링(592a) 및 하부 베어링(59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심축(芯軸, shaft; 57a) 및 심축(57a)의 외주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롤러(57b)로 구성된다. 롤러(57b)는, 심축(57a)에 고정되어 있으며, 롤러(57b) 및 심축(57a)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도전성(conductive property)을 가지는 롤러로서, 롤러(57b)가 도전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심축(57a)이 금속제로 이루어진다. 롤러(57b) 및 심축(57a)을, 도전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해도 된다. 심축(57a)의 축방향 양단부는, 베어링부(592)의 상부 베어링(592a) 및 하부 베어링(592b)의 지지부(59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는,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접촉되어 있으며,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낸다.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는,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축방향 전체에 접촉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는,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우레탄(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시트형상(sheet form)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는, 제 1 단이 좌측면부(59c)의 선단에 지지되고, 제 2 단이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접촉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는, 이물질 제거 롤러(57)와 좌측면부(59c)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단은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좌측에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가 전술한 수용실(59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에 의해 긁어내어진 이물질은 수용실(591)에 확실하게 수용된다.
이물질 제거 기구(56)는 또한, 가압 스프링(pressure spring; 593)을 가지고 있다. 가압 스프링(593)은, 이물질 제거 롤러(57)를 회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부재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593)은, 한 쌍의 부재이며, 상부 베어링(592a)의 하부 및 하부 베어링(592b)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593)은, 제 1 단이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심축(57a)에 접촉되고, 제 2 단이 이물질 수용부재(59)의 정면부(59a)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심축(57a)은, 상부 베어링(592a) 및 하부 베어링(592b)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592c)에 접촉된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수용부재(59)가 수납부(541)에 장착되었을 때,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의 일부가,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의 후측 표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 표면의 돌출량은, 급지 카세트(52) 내의 용지(P)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가압 스프링(593) 및 배선(7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의 케이스(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전위는, 프레임 그라운드 전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물질 제거 롤러(57)를 프레임 그라운드에 접속하는 배선경로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이물질 제거 롤러를 프레임 그라운드에 접속하는 배선의 개략도이다.
배선(wire; 70)은, 가압 스프링(593)에 접속되며, 정면부(59a)에 설치된 배선구멍(594)을 관통한다. 배선(70)의 타단은, 급지 카세트 본체(53)의 바닥면에 배치된 통전판(71)에 접속되어 있다. 통전판(71)은, 통전 스프링(도시 생략) 등을 통해 케이스(4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전위가 프레임 그라운드의 전위로 설정되어 있다.
(4) 이물질 제거 동작
다음은, 용지(P)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급지장치(46)에서는, 급지시에는, 픽업 롤러(511)을 회전시켜, 픽업 롤러(511)의 마찰공급력에 의해, 급지 카세트(52)에 수용된 최상위의 용지(P)가 1장씩 분리되어 급지 카세트(52) 내로부터 용지반송부(44)로 송출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의 폭방향 단부(P1)는, 이물질 제거 기구(56)의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에 접촉된 상태로 우측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용지(P)의 폭의 양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으로 옮길 수 있다. 용지(P)로부터의 마찰 저항에 의해,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도 4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에 의해 긁어내어진다. 그리고, 긁어내어진 종이가루는, 자중에 의해 이물질 수용부재(59)의 수용실(591) 내부로 낙하하여 축적된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프레임 그라운드의 전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52) 내의 이물질이 대전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물질 제거 롤러(57)와 이물질 사이에 전위차가 있기 때문에, 용지(P)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 롤러(57)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5) 특징
(5-1) 이물질 제거 롤러(57)가, 급지 카세트(52) 내에 있는 용지(P)에 접촉하도록, 급지 카세트(52) 내의 용지(P)의 폭을 규제하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시에는, 용지(P)의 폭방향의 끝단부분을 이물질 제거 롤러(57)에 접촉시킬 수 있어, 용지(P)의 폭방향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지(P)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즉, 용지(P)의 재단시에 용지(P)에 부착된 이물질을, 급지 카세트(52) 내에서 용지(P)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용지(P)의 재단시에 발생하는 종이가루는 재단면을 포함하는 용지(P)의 폭방향의 양단부분에 많이 발생하므로, 용지(P)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이물질 제거 롤러(57)를 접촉시킴에 따른 이물질 제거 효과는 높다. 또한, 용지(P)가 화상형성장치(1)의 용지반송부(44)로 보내지기 전에, 용지(P)의 재단시에 용지(P)에 부착된 종이가루를 제거하므로, 화상형성부(42)에 이물질이 침입하기 어렵다. 그 결과, 종이가루 감소에 따른 화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지반송부(44)의 롤러에 이물질 제거용 블레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레이드 부재 등에 대한 부담이 감소되어 부재의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이물질 제거 롤러(57)가 설치되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는, 급지 카세트(52) 내에서 용지(P)의 폭에 맞추어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용지(P)의 폭에 관계없이, 용지(P)의 폭방향의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급지 카세트(52) 내에서 용지(P)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5-2)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프레임 그라운드의 전위로 유지되어 있다. 그 결과, 급지 카세트(52) 내의 이물질이 대전되어 있을 경우, 정전기에 의해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 롤러(57)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52) 내에서, 용지(P)의 폭방향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5-3)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면으로부터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롤러(57)의 롤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다시 급지 카세트(52) 내의 용지(P)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실(591)을 구비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58)에 의해 긁어내어진 이물질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5-4) 이물질 수용부재(59)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의 수납부(541)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수용실(591) 내에 이물질이 쌓였을 경우, 사용자(user)는 이물질 수용부재(59)를 수납부(54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물질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2.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로서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판독장치와 프린터의 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팩시밀리 기능이나 통신 기능 등을 가지는 복합기로서의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한 쌍의 폭 맞춤 가이드 부재의 각각에, 복수의 이물질 제거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폭 맞춤 가이드 부재 중 한쪽에만,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제거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3) 이물질 제거 롤러는, 용지의 폭방향의 끝단부분에 접촉하는 회전체이면 되며, 도전성을 가지는 롤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심축 주변에 벨트(belt)를 감은 것이어도 된다.
(4) 용지반송시에 이물질 제거 롤러에 대해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것은 제일 위의 용지뿐이므로, 이물질 제거 롤러의 상하방향 길이를 더욱 짧게 하여 상방의 용지에만 대응하도록 해도 된다. 이물질 제거 롤러를 짧게 하면 할수록, 용지로부터의 저항이 적어지므로 이물질 제거 롤러는 회전하기 쉬워진다. 단, 용지로부터의 저항이 충분히 적으면, 반대로 이물질 제거 롤러를 길게 해도 되며, 예컨대, 폭 맞춤 가이드 부재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친 길이로 해도 된다.
(5) 이물질 제거 기구는, 폭 맞춤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픽업 롤러보다 용지의 반송방향의 하류측이며, 픽업 롤러로부터 송출된 용지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물질 제거 기구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 급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폭 맞춤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이물질 제거 기구의 배치 이외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기구(56)는, 폭 맞춤 가이드부재(54a)에 있어서, 픽업 롤러(511)의 구동축(512)보다 용지(P)의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스프링(pressure spring; 532)에 의해 상방을 향해 가압된 밀어올림판(55) 상으로부터 픽업 롤러(511)에 의해 송출된 용지(P)에 접촉하는 위치에, 이물질 제거 기구(56)가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이물질 제거 기구(56)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픽업 롤러(511)에 의해 1장씩 송출된 용지(P)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P)로부터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 롤러(57)는 회전이 용이해져, 용지(P)의 폭방향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용지(P)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6)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물질 제거 롤러(57)가 이물질 수용부재(59)에 설치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이물질 제거 롤러가 폭 맞춤 가이드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물질 제거 롤러(57)가, 프레임 그라운드의 전위로 설정되는 예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물질 제거 롤러는, 가압 스프링 및 배선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전원회로(power supply circuit)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그 전원회로로부터, 이물질 제거 롤러에 대해 종이가루의 대전 전위와 반대인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이 인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 제거 롤러를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설정함으로써, 용지의 폭방향의 끝단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 제거 롤러로 이동시킬 수 있다.
(8)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에 의하지 않는 이물질 제거 롤러(57)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물질 제거 롤러는, 급지 카세트 내에 배치되는 모터(motor)에 의해 구동되어도 된다. 또한, 모터에 의해 이물질 제거 롤러를 정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지로부터 제거해도 된다. 예컨대, 급지 카세트 내에 용지를 보충할 때, 이물질 제거 롤러를 회전시켜도 된다. 또한, 반송기구가 소정 매수의 용지를 용지반송부로 송출하는 타이밍에, 이물질 제거 롤러를 회전시켜도 된다.

Claims (6)

  1.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에 대해, 반송기구를 이용하여 용지를 1장씩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로서,
    용지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 본체와,
    상기 급지 카세트 본체 내에 설치되어, 용지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용지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급지 카세트 본체에 수용된 용지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 롤러를 구비한, 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롤러는, 도전성 롤러이며,
    상기 도전성 롤러는 소정의 전위로 설정되어 있는, 급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롤러는, 프레임 그라운드에 의해 접지되는, 급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 롤러의 롤러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롤러면으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급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롤러를 용지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구비한, 급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지장치와,
    상기 급지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대해 화상형성을 행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110003127A 2010-02-19 2011-01-12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KR20110095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4267 2010-02-19
JP2010034267A JP5549266B2 (ja) 2010-02-19 2010-02-19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809A true KR20110095809A (ko) 2011-08-25

Family

ID=4406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127A KR20110095809A (ko) 2010-02-19 2011-01-12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56763B2 (ko)
EP (1) EP2361862B1 (ko)
JP (1) JP5549266B2 (ko)
KR (1) KR20110095809A (ko)
CN (1) CN1021901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1926B2 (ja) * 2010-09-14 2014-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記録方法
CN105812611B (zh) * 2016-05-10 2018-06-08 上海富士施乐有限公司 用于图像处理设备的纸盒结构及图像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1940A (ja) * 1984-02-17 1985-09-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シ−ト給送部
JPH0627776U (ja) 1992-09-07 1994-04-12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用紙端面規制装置
JPH10316267A (ja) * 1997-05-20 1998-12-02 Nippon Petrochem Co Ltd シート供給装置
JP3401520B2 (ja) * 1999-08-11 2003-04-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に用いる転写方法
JP2004091126A (ja) * 2002-08-30 2004-03-25 Brother Ind Ltd 給紙カセ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352404A (ja) * 2003-05-28 2004-12-16 Ricoh Co Ltd 紙粉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464986C (zh) * 2004-09-03 2009-03-04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具有除尘功能的走纸器
JP2006124060A (ja) * 2004-10-27 2006-05-18 Ricoh Co Ltd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82952B2 (ja) * 2005-02-22 2008-1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92586B2 (ja) * 2006-05-30 2010-06-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607657B2 (en) * 2006-09-29 2009-10-2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58962A (ja) 2008-09-06 2010-03-18 Ricoh Co Ltd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68373A (ja) 2011-09-01
US20110204559A1 (en) 2011-08-25
US8256763B2 (en) 2012-09-04
EP2361862A3 (en) 2013-07-31
EP2361862A2 (en) 2011-08-31
EP2361862B1 (en) 2015-09-02
JP5549266B2 (ja) 2014-07-16
CN102190168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550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紙送り装置
US7149456B2 (en) Image forming device
US200601824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87800B2 (en) Belt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9032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hotosensitve drum and a static eliminator in a fixed position in the apparatus facing the photosensitive drum
JP5051284B2 (ja) 画像形成装置
JP545201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095809A (ko) 급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2008152029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086628A (ja) 画像形成装置
JP5858939B2 (ja) 現像剤収容体、現像形成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22534A (ja) 清掃装置、像保持体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858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58454A (ja) 画像形成装置
JP5619317B2 (ja) 画像形成装置
CN110967954B (zh) 转印带单元和图像形成设备
JP6112793B2 (ja) 画像形成装置
JP5619316B2 (ja) 画像形成装置
JP4585831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14647168B (zh) 调色剂输送装置、清洁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4900424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92821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US201803646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4647168A (zh) 调色剂输送装置、清洁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2011095356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