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255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255A
KR20110095255A KR1020117010563A KR20117010563A KR20110095255A KR 20110095255 A KR20110095255 A KR 20110095255A KR 1020117010563 A KR1020117010563 A KR 1020117010563A KR 20117010563 A KR20117010563 A KR 20117010563A KR 20110095255 A KR20110095255 A KR 20110095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fixed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407B1 (ko
Inventor
요헤이 하라다
히로아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1009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플로팅 가능하고, 더욱이 플로팅 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경감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구비하여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납땜 접속부와, 납땜 접속부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하우징측에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는 탄성부와, 일단이 탄성부의 하방으로 뻗은 선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하우징의 저면 근방에 고정된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접점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회로 기판에 고정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나 전자기기의 케이스 등과 같은 피감합 부재와의 감합에 있어서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피감합 부재와의 사이에 조금이라도 위치 어긋남이나 오차가 있으면 감합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피감합 부재와의 사이에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나 오차(단 플로팅 기구에 있어서의 허용 가동 범위 내의 위치 어긋남이나 오차)가 있어도 그 위치 어긋남이나 오차가 플로팅 기구에 의해 흡수되어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피감합 부재를 용이하게 감합할 수 있다.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2개의 하우징 각각에 고정된 2개의 고정부와, 그들 2개의 고정부간에 형성된 탄성부를 갖는 콘택트를 구비한 배터리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
또한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단일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다수의 콘택트가 배열되어 장착되고, 하우징의 양단 측에 기판의 표면에 고정하는 커넥터 취부구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취부구가 콘택트의 배열 방향으로 횡 진동이 가능하도록 굴곡된 굴곡부를 구비한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
또한 납땜 각부 및 콘택트간에 고정부를 설치한 암단자를 구비한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1274152호 명세서 특개평 6-231840호 공보 특개평 3-11998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제안된 배터리 커넥터에 의하면, 2개의 고정부간에 형성된 탄성부가 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플로팅이 가능하다. 그러나 좌우 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는 플로팅 할 수 없다. 또한 이 배터리 커넥터는 2개의 하우징을 이용하여 플로팅 기구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곤란하다. 또한 2개의 고정부간에 형성된 탄성부는 구조상 용수철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이 배터리 커넥터를 플로팅 시키기 위해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제안된 커넥터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이용하여 플로팅 기구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하우징을 이용하여 플로팅 기구를 실현하는 것보다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 커넥터는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따라 플로팅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 커넥터는 배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플로팅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제안된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플로팅 기능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플로팅 가능하고, 나아가 플로팅 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경감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납땜 접속부와;
상기 납땜 접속부에서 상방으로 뻗어 상기 하우징 측으로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는 탄성부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하방으로 뻗은 선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근방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서 상방으로 뻗는 접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의 탄성부가 상기 납땜 접속부에서 상방으로 뻗어 상기 하우징 측에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성부의 길이 즉“용수철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용수철길이”가 충분히 확보된 탄성부의 휨이나 뒤틀림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플로팅이 가능하고, 나아가 전기 커넥터를 플로팅 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하 이 힘을 플로팅력이라고 칭한다)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콘택트의 접점부가 하우징의 저면 근방에 고정된 고정부의 타단에서 상방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에 있어서의 용수철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변위량이 큰 접점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탄성부가 수평 방향으로 만곡하는 만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탄성부의 용수철길이가 한층 더 길어져 플로팅력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일단이 회로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변위를 규제하는 납땜 펙을 구비한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러한 납땜 펙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의 변위를 소망 범위내에서의 변위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납땜 펙을 구비함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강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플로팅이 가능하고, 나아가 플로팅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경감시킨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일실시 형태인 배터리 커넥터를 전면 경사 상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도 1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를 배면 경사 상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5]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것은 저면도이다.
[도 7]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8]도 3에 나타내는 8-8 단면도이다.
[도 9]도 1~도 8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를 배면 경사 상으로부터 본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회로 기판에 고정한 배터리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1]도 10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2]도 10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우측면측으로부터 부하를 걸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도 11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우측면측으로부터 부하를 걸은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4]도 10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좌측면측으로부터 부하를 걸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5]도 11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좌측면측으로부터 부하를 걸은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6]회로 기판에 고정한 배터리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7]도 16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정면측으로부터 부하를 걸은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8]도 16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의 배면측으로부터 부하를 걸은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9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1)는 배터리 팩(미도시)을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미도시)에 착탈 자재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다. 이 배터리 커넥터(1)는 도 1~도 9에 나타내듯이 단일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고정된 3개의 콘택트(20)와 하우징(10)의 변위를 규제하는 두개의 납땜 펙(30)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20) 및 납땜 펙(30)은 금속판으로부터 형태에 따른 띠모양의 금속편을 타발하고, 그 금속편을 휨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콘택트(20)각각은 납땜 접속부(21)와 탄성부(22)와 고정부(23)와 접점부(24)를 갖는다.
그리고 이 배터리 커넥터(1)의 전자기기(미도시)에 대한 편입은 전자기기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40)(도 10 참조)에 고정한 후에 하우징(10)을 전자기기의 케이스(미도시)와 감합함으로써 전자기기(미도시)에 고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의 외형 치수는 높이가 9.0mm, 좌우 방향의 폭이 13.8mm 전후 방향의 두께가 5.7mm(최박부 3.2mm)로 되어 있다.
콘택트(20)의 납땜 접속부(21)는 회로 기판(40)(도 10 참조)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또한 납땜 접속부(21)와 회로 기판(40)과의 납땜 접속 방법은 회로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납땜 접속부(21)를 삽입하여 납땜 접속하는 방법이어도 좋고 혹은 회로 기판의 표면 상에 납땜 접속부(21)를 배치하여 납땜 접속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콘택트(20)의 탄성부(22)는 납땜 접속부(21)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하우징(10)측에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는 부분이다. 또한 이 탄성부(22)는 납땜 접속부(21)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개소에 있어 수평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2211)와 하우징(10)측에 되돌아오고나서 하방으로 뻗는 개소에 있어 수평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2 만곡부(2212)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의 만곡부 (2211, 2212)는 서로 역방향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콘택트(20)의 고정부(23)는 후방의 일단(231)이 탄성부(22)의 하방으로 뻗은 선단(222)(도 8 참조)에 접속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하우징(10)의 저면 근방에 고정된 부분이다. 즉, 이 고정부(23)는 하우징(10)에 대해 고정된 부분이다.
콘택트(20)의 접점부(24)는 고정부(23)의 후방의 일단(231)에 대향하는 전방의 타단(232)부터 만곡하면서 상방으로 뻗는 부분이다.
납땜 펙(30)은 일단(31)이 납땜에 의해 회로 기판(40)(도 10 참조)에 고정되어 일단(31)으로부터 상방으로 뻗고, 후방으로 대략 역U자형으로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어 재차 후방에 U자형으로 되돌아와 상방으로 뻗어 있다. 상방으로부터 한층 더 하방으로 뻗은 선단(32)이 하우징(10)의 측면 블록부(14)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납땜 펙(30)은 일단(31)으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개소에 있어 하우징(10)의 정면 측에 되돌아와 이루어지는 손톱부(33)를 갖는다.
하우징(10)은 납땜 펙(30)의 손톱부(33)가 배치되는 부분에 하우징(10)이 고정된 회로 기판(40)(도 10 참조)에 대한 하우징(10)의 상방향의 변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하우징(10)의 전도를 방지하는 스토퍼(11)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11)와 손톱부(33)와의 사이의 간극(d1)(도 3 참조)는 0.1mm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납땜 펙(30)의 대략 역U자형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하우징(10)이 고정된 회로 기판(40)(도 10 참조)에 대한 하우징(10)의 전후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기(12)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12)와 납땜 펙(30)과의 사이의 간극(d2)(도 7 참조)는 0.35mm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돌기(12)가 형성된 면(13)과 납땜 펙(30)과의 사이에는 간극 (d3)(도 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간극(d3)이 0.45 mm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커넥터(1)는 콘택트(20)의 탄성부(22)가 납땜 접속부(21)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하우징(10)측에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도록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납땜 접속부(21)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개소에 있어 수평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2211)와 하우징(10)측에 되돌아오고나서 하방으로 뻗는 개소에 있어 수평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2 만곡부(2212)를 갖기 때문에, 그 탄성부(22)의 길이 즉 용수철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커넥터(1)에 의하면 플로팅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커넥터(1)에 의하면, 콘택트(20)의 접점부(24)가 하우징(10)의 저면 근방에 고정된 고정부(23)의 타단(232)부터 만곡하면서 상방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24)에 있어서의 용수철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변위량이 큰 접점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도 18을 참조하여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1)의 플로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무부하 상태의 배터리 커넥터(1)의 우측면측으로부터 부하(본 실시 형태에서는 4.1N)를 걸은 상태이다.
이 때 도 12에 나타내듯이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좌측의 면(13)에 좌측의 납땜 펙(30)이 부딪침으로써, 좌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면(13)과 납땜 펙(30)과의 사이의 간극(d3)은 0.45mm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좌방향으로의 허용 가동 범위는 0.45mm이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듯이 콘택트(20)의 접점부(24)는 변위하지 않고, 콘택트(20)의 탄성부(22) 특히 탄성부(22)의 하우징(10)측에 되돌아오고나서 하방으로 뻗는 개소가 크게 변위하고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무부하 상태의 배터리 커넥터(1)의 좌측면측으로부터 부하(본 실시 형태에서는 4.1N)를 걸은 상태이다.
이 때 도 14에 나타내듯이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우측의 면(13)에 우측의 납땜 펙(30)이 부딪침으로써, 우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면(13)과 납땜 펙(30)과의 사이의 간극(d3)은 0.45mm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우방향으로의 허용 가동 범위는 0.45mm이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듯이 콘택트(20)의 접점부(24)는 변위하지 않고, 콘택트(20)의 탄성부(22) 특히 탄성부(22)의 하우징(10)측에 되돌아오고나서 하방으로 뻗는 개소가 크게 변위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는 도 16에 나타내는 무부하 상태의 배터리 커넥터(1)의 정면측으로부터 부하(본 실시 형태에서는 3.1N)를 걸은 상태이다. 이 때 도 17에 나타내듯이,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돌기(12)의 후측면에 납땜 펙(30)이 당접함으로써 후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돌기(12)와 납땜 펙(30)과의 사이의 간극(d2)은 0.35mm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후방향으로의 허용 가동 범위는 0.35mm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는 도 16에 나타내는 무부하 상태의 배터리 커넥터(1)의 배면측으로부터 부하(본 실시 형태에서는 3.1N)를 걸은 상태이다. 이 때 도 18에 나타내듯이,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돌기(12)의 전측면에 납땜 펙(30)이 당접함으로써 전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돌기(12)와 납땜 펙(30)과의 사이의 간극(d2)은 0.35mm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전방향으로의 허용 가동 범위는 0.35mm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커넥터(1)에 의하면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에 고정된 콘택트(20)를 용수철길이가 충분히 확보된 탄성부(22)의 휨이나 뒤틀림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플로팅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커넥터(1)에 의하면, 도 10~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배터리 커넥터(1)의 플로팅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회전시키는 플로팅도 가능(본 실시 형태에서 허용 가동 범위는±1°)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회로 기판(40)에 고정한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과 피감합 부재인 전자기기의 케이스(미도시)와의 사이에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나 오차가 있어도 그 위치 어긋남이나 오차가 배터리 커넥터(1)의 플로팅에 의해 흡수되어 배터리 커넥터(1)의 하우징(10)과 전자기기의 케이스(미도시)를 용이하게 감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가 배터리 팩을 디지탈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착탈 자재로 접속하기 위한 배터리 커넥터인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이면 전기 커넥터의 종류는 관계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배터리 커넥터(1)의 외형 치수의 수치나 플로팅 허용 가동 범위의 수치는 일례이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배터리 커넥터
10 하우징
11 스토퍼
12 돌기
13 면
14 블록부
20 콘택트
21 납땜 접속부
22 탄성부
2211 제1 만곡부
2212 제2 만곡부
222 첨단
23 고정부
231 일단
232 타단
24 접점부
30 납땜 펙
31 일단
32 선단
33 손톱부
40 회로 기판

Claims (3)

  1.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납땜 접속부와;
    상기 납땜 접속부에서 상방으로 뻗어 상기 하우징 측으로 되돌아와 하방으로 뻗는 탄성부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하방으로 뻗은 선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근방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서 상방으로 뻗는 접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수평 방향으로 만곡하는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일단이 회로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변위를 규제하는 납땜 펙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17010563A 2008-11-14 2009-10-21 전기 커넥터 KR101609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2501A JP5073637B2 (ja) 2008-11-14 2008-11-14 電気コネクタ
JPJP-P-2008-292501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255A true KR20110095255A (ko) 2011-08-24
KR101609407B1 KR101609407B1 (ko) 2016-04-05

Family

ID=4216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563A KR101609407B1 (ko) 2008-11-14 2009-10-2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73637B2 (ko)
KR (1) KR101609407B1 (ko)
CN (1) CN102217145B (ko)
TW (1) TWM379211U (ko)
WO (1) WO2010055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9755B2 (en) 2016-01-21 2018-02-20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786B2 (ja) 2012-03-02 2016-03-30 株式会社ヨコオ 電気コネクタ
JP6806580B2 (ja) 2017-01-30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モジュール
JP7060153B1 (ja) 2021-09-07 2022-04-26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8745B2 (ja) * 1993-01-29 2002-02-18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付具
JPH0732878U (ja) * 1993-11-29 1995-06-1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遊動型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H10321290A (ja) * 1997-05-15 1998-12-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面実装コネクタ
CN100499274C (zh) * 2004-10-14 2009-06-10 安普泰科电子有限公司 扁平缆线接头和电连接器组件
JP4722552B2 (ja) * 2004-10-14 2011-07-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結合体
CN200941463Y (zh) * 2006-06-12 2007-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池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9755B2 (en) 2016-01-21 2018-02-20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407B1 (ko) 2016-04-05
CN102217145A (zh) 2011-10-12
JP2010118314A (ja) 2010-05-27
TWM379211U (en) 2010-04-21
JP5073637B2 (ja) 2012-11-14
WO2010055752A1 (ja) 2010-05-20
CN102217145B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4889118B2 (ja) 電気コネクタ
JP4675200B2 (ja) 電気コネクタ
US8821174B2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US8734172B2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and holder device
US933141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05965B1 (ko)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JP2018206624A (ja) 多接点コネクタ
JP5074179B2 (ja) コンタクト部材及び電気コネクタ
KR20110095255A (ko) 전기 커넥터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JP2019040799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4781403B2 (ja) 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4116503B2 (ja)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
JP4061117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543253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2199106A (ja) コネクタ
JP4950817B2 (ja) 電子機器の圧接型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5232939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WO2023243443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22113827A1 (ja) コネクタ
JP4506712B2 (ja) コネクタ
KR20230130066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2005108765A (ja) コネクタ
JP2018014241A (ja) 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