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271A -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271A
KR20110092271A KR1020117010064A KR20117010064A KR20110092271A KR 20110092271 A KR20110092271 A KR 20110092271A KR 1020117010064 A KR1020117010064 A KR 1020117010064A KR 20117010064 A KR20117010064 A KR 20117010064A KR 20110092271 A KR20110092271 A KR 2011009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ypass valve
bypass
temperature contro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헬드베르그
Original Assignee
아이티더블유 오토모티브 프로덕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더블유 오토모티브 프로덕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이티더블유 오토모티브 프로덕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9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7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by adjusting the pre-set temperature according to engine parameters, e.g. engine load, 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0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G05D23/02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non-metallic solid, e.g. elastomer, paste
    • G05D23/02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non-metallic solid, e.g. elastomer, paste the sensing element being placed within a regulating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4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 F01P2070/10Detail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으로서,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에 구성되고 밸브 요소에 결합되는 열 팽창 가능 구동 요소와, 밸브 시트에 대해 밸브 요소를 편향시키는 스프링과, 밸브 시트의 각 면 상에 하나의 냉각제 훅업(hookup)과, 하나의 우회 훅업을 밸브 하우징 및 다른 훅업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우회 밸브 시트의 방향으로 우회 밸브 스프링에 의해 사전 응력을 받는 우회 밸브 요소를 포함하고, 전자석은 밸브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우회 밸브 시트까지 연장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우회 밸브 요소는 상기 코어에 대해 놓이거나 우회 밸브가 우회 밸브 시트에 대해 놓일 때 그 근처에 있는 자기 유효 전기자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A THERMOSTAT VALVE ARRANGEMENT AND A COOLING SYSTEM FOR COMBUSTION ENGINE DRIVEN VEHICLES}
본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자동차 냉각 시스템을 위한 온도 조절(thermostatic) 밸브에 관한 것이다.
내연 엔진 동력 차량의 냉각 시스템을 위한 종래의 온도 조절 밸브 집단은, 밸브 하우징에 장착되고 일반적으로 소위 열 팽창 가능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온도 조절 밸브를 포함한다. 열 팽창 가능 요소는 가열될 때 부피(bulk)에서 증가하는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지고, 그 결과, 푸쉬-바(push-bar) 등은 열 팽창 가능 요소의 하우징으로부터 대응하는 거리에 변위된다. 이러한 변위는 이러한 밸브 시트로부터 온도 조절 밸브의 요소를 적절하게 이동시킨다 - 다른 경우 밸브 스프링에 의해 밸브 시트로 편향된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밸브 요소와 동작이 연결되고 우회 밸브 시트에 대해 스프링-편향되는 우회 밸브 요소가 설치된 우회 밸브로서 그러한 온도 조절 밸브를 동시에 설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우회 밸브 요소의 편향 방향은 온도 조절 밸브 요소의 방향과 반대이다. 저온에서 온도 조절 밸브는 차단된 위치에 있는 반면, 압력차 때문에 우회 밸브 요소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서, 냉각 매질이 우회로로 흐르도록 한다.
내연 엔진을 동작 온도로 급속 가열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연료 소모 및 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엔진을 통과하는 물 순환은 냉각 시작 단계 동안 억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냉각-시작 회로는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열 팽창 가능 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해 냉각제 온도를 즉시 이용하지 않는 결점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냉각-시작 단계 동안, 냉각제가 엔진을 통해 순환하지 않으므로, 순간 온도 정보, 예를 들어 실린더 선형 온도가 적절한 시간에 냉각 시작 단계를 종료시키기 위해 열 팽창 가능 요소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시작에 후속하여 냉각제 흐름 억제를 적절한 방식으로 종료하는 내연 엔진의 냉각 시스템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집합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얻어진다.
전자석은 본 발명의 온도 조절 밸브 하우징에 구성되고, 우회 밸브 시트로 가까이 연장하는 코어를 포함한다. 우회 밸브 요소에는, 코어에 대해 놓이거나 우회 밸브가 우회 밸브 시트에 대해 놓일 때 코어에 가까이 있는 자기 유효 전기자 요소가 설치된다.
전력을 전자석에 인가하는 것은 내연 엔진의 냉각 시스템의 압력차에 노출될 때에도 우회 밸브 요소를 차단된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한다. 다른 한 편으로 전자석이 더 이상 전력 공급되지 않으면, 우회 밸브 요소는 상기 압력차로 인해 개방될 수 있고, 냉각제가 모터 및 우회로를 통해 흐르도록 한다.
내연 엔진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이 자동차 내의 에너지 소스에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되어, 그러한 연결을 각각 선택적으로 중단시킨다. 전자석으로의 전력의 종료를 각각 중단시키는 것은 엔진 시동 이후에 후속하여 시간의 함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력의 각 종료의 그러한 중단은 또한 온도-종속에 의해, 즉 엔진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우회 밸브 요소 및 전자석의 유지력(retention force)을 적합하게 설계함으로써, 밸브는 심지어 주어진 수압이 초과될 때에도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밸브는 또한 압력 경감 밸브(pressure relief valve)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코일은 밸브 하우징 외부에 부착되고, 그 코어 세그먼트는 밀봉 방식으로 이러한 밸브 하우징 내에 애퍼처를 통해 삽입된다. 코어는 바람직하게 U-형태이고, 코어의 레그는 밸브 시트만큼 이어져 있다.
그러나, 생각건대, 우회 밸브 요소는 자기 효과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우회 밸브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하나의 전기자 부분 - 예시적으로 적절한 전기자 금속으로 만들어진 -은 우회 밸브 요소에 장착된다. 그러한 설계는 예시적으로 전기자 물질을 우회 밸브 요소의 물질에 통합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모드에서, 우회 밸브 요소는 밸브 요소에 따라 축 방향으로 안내되고, 우회 밸브 시트쪽으로 - 온도 조절 밸브 요소에 마주보는 밸브 요소에 놓인 우회 밸브 스프링에 의해 - 사전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우회 밸브 요소는 온도 조절 밸브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차단/개방된다. 통상적인 온도 조절 제어 동안, 본 발명의 온도 조절 밸브는 종래의 온도 조절 우회 밸브와 같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모드에서, 제 1 우회 밸브 스프링은 일단부에서 밸브 요소 상에 놓이고, 타단부에 의해, 우회 밸브 요소의 원통형 원형 갭 내에 안내된 고리 또는 지지 와셔 상에 놓인다. 더욱이 상기 갭은 상기 고리 또는 와셔의 대향측과 맞물리는 제 2 우회 밸브 스프링을 수용하고, 제 1 우회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제 2 우회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더 크다. 우회 밸브 요소가 개방될 때, 실질적으로 제 2 우회 밸브만이 변형될 것이다. 우회 밸브 요소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차단은, 온도 조절 밸브 요소에 의해 생성되고 제 2 우회 밸브 스프링에 인가된 제 1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 1 밸브 우회 스프링은 밸브 상에 편향을 생성시키기 위해 주로 힘을 더 적게 전달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모드에 관해 아래에 설명된다.
본 발명은 우회 밸브 요소 및 전자석의 유지력(retention force)을 적합하게 설계함으로써, 밸브는 심지어 주어진 수압이 초과될 때에도 개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밸브는 또한 압력 경감 밸브(pressure relief valve)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도 조절 밸브 집합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밸브 집합이지만, 이 경우에 개방된 우회 밸브를 갖는 밸브 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에 도 1의 온도 조절 밸브 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라인 4-4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10)로 표시된 온도 조절 밸브 집합을 도시한다. 온도 조절 밸브 집합은 상부 하우징 세그먼트(12) 및 하부 하우징 세그먼트(14)가 설치된 밸브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 세그먼트(12, 14)는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 서로 탈착될 수 있다. 밀봉부(seal)(16)는 상기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한다. 상부 하우징 세그먼트(12)는 제 1 냉각제 훅업(hookup)(18)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 세그먼트(14)는 제 2 냉각제 훅업(20)을 포함한다. 더욱이, 하부 하우징 세그먼트(14)는 우회 도관을 위한 제 3 냉각제 훅업(20)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세그먼트(12)에는 밀봉 링(26)이 주변에 설치된 원반 모양의 온도 조절 밸브 요소(24)와 협력하는 내부 밸브 시트(22)가 설치된다. 열 팽창 가능 요소(28)는 밸브 디스크(24)에 삽입되고, 상부 하우징 세그먼트(12)의 커버에 대해 놓이는 바깥쪽으로 지향하는 푸쉬-핀(30)을 갖는다. 원뿔형 나팔꽃 형태의(conically flaring) 나선형 밸브 스프링(32)은 밸브 디스크(24)를 밸브 시트(22)쪽으로 편향시킨다.
우회 밸브 요소(34)는 우회 밸브 시트(38)와 협력하는 밸브 디스크(36)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디스크(36)의 차단된 위치에서 훅업(20 및 21) 사이에는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생략된 내연 엔진의 냉각 시스템(추가로 설명되지 않음)의 우회로에는 냉각제가 흐를 수 없다.
우회 밸브 요소(34)에는 밸브 시트(38)에 마주보는 면 상에 원통형의 원형 안내 갭(40)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 갭은 타단부에 의해 밸브 디스크(24) 상에 놓이는 제 1 우회 밸브 스프링(42)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원통형의 원형 안내 갭 내에, 제 1 스프링(42)은 와셔(44) 상에 놓인다. 제 2 우회 밸브 스프링(46)은 와셔(44)의 대향 면에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제 1 우회 스프링(42)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다. 스프링(42, 46)은, 우회 밸브 요소 및 원반 모양의 밸브 요소(36)가 훅업(20, 21) 사이에 상당한 압력차가 있을 때 밸브 시트(38)에 대해 놓일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압력차가 주어진 크기에 도달할 때, 우회 밸브 요소(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냉각제가 우회로 및 내연 엔진의 모터 블록을 통해 흐르도록 한다.
서브-하우징(50)은 하부 하우징 세그먼트(14)의 밑면 상으로 나사선 형성(screwed)되고, 전자기 코일(52)을 포함한다. 자기 반응 코일(52)은 단지 인용된 연결부(connection)(54) 및 생략된 스위치에 의해 생략된 내연 엔진을 포함하는 자동차에서의 에너지 소스(또한 생략됨)에 연결된다. 자기 반응 코일(52)은 U-형태의 코어(58)의 크로스바(crossbar)(56)를 수용하고, 상기 코어의 레그는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38) 근처까지 하우징 세그먼트(14)에서 애퍼처(60)를 통해 밀봉 방식으로 이어진다. 강철 시트 금속 요소(62)는 밸브 디스크(36)에 내장되고, 코어(58)의 레그 단부는 상기 시트 금속에 대해 놓이거나, 그 근처에 놓인다. 코어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다. 코어는 본질적으로 상기 U-형태로 구부러진 자기 유효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명백하게, 코어는 또한 페라이트일 수 있다.
우회 밸브 요소(34)의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차단된 위치에서, 우회 밸브 요소(34)는 전력이 전자석(52)에 인가되는 한 상기 차단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우회 밸브 요소(34)에 인가된 압력차는 우회 밸브 요소(34)를 개방시키는데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그러한 인가된 전력은 도 1의 구성에 대해 냉각제가 우회로를 통해 내연 엔진으로 흐르지 못하게 한다. 온도 조절 밸브는 또한 차단되고, 내연 엔진의 온도는 가능한 짧아진 시간에 상승될 수 있다. 그 상태에 도달했을 때, 자석(52)으로의 전력은 차단되고, 압력차로 인해, 우회 밸브 요소(34)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 있어서, 냉각제가 우회로를 따라 흐르도록 한다. 더욱이, 우회 밸브(34)는 그 단면과 스프링에 대해, 압력차가 초과되어야 할 때 전력이 코일(52)에 인가될 때조차 우회 밸브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우회 밸브는 경감 밸브로서 작용한다.
일반적인 동작 동안, 우회 밸브(34)는 종래 방식으로 동작하고, 즉 온도 조절 밸브가 밸브 디스크(24)와 함께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점차 차단될 것이다. 이러한 단계는 온도 조절 밸브가 완전히 개방될 때 도 3에 도시되고; 우회 밸브는 차단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디스크(24)에는 우회 밸브 요소(34)의 가이드(40)의 외부 벽 내에서 안내하는 축 방향 관형 스터브(66)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관형 스터브(66)는, 축 방향으로 이어지고 우회 밸브 요소(34)의 빅(beak)(70)에 안내하는 상호 대항하는 슬롯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빅(70)은 밸브 디스크(24)로부터 멀어지는 우회 밸브 요소(34)의 변위를 한정한다. 이들 빅은 이러한 유닛이 밸브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에 밸브 디스크(24) 및 우회 밸브 요소(34)의 사전-장착을 허용한다.

Claims (8)

  1.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으로서,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에 구성되고 밸브 요소에 결합되는 열 팽창 가능 구동 요소와, 밸브 시트에 대해 밸브 요소를 편향시키는 스프링과, 밸브 시트의 각 면 상에 하나의 냉각제 훅업(hookup)과, 하나의 우회 훅업을 밸브 하우징 및 다른 훅업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우회 밸브 시트의 방향으로 우회 밸브 스프링에 의해 사전 응력을 받는 우회 밸브 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에 있어서,
    전자석(52)은 밸브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우회 밸브 시트(38)까지 연장하는 코어(56, 58)를 포함하고, 우회 밸브 요소(34)는 우회 밸브(34)가 우회 밸브 시트(38)에 대해 놓일 때 상기 코어에 대해 놓이거나 상기 코어에 거의 도달하는 자기 유효 전기자 요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2. 제 1항에 있어서, 코일(52)은 밸브 하우징 외부 면 상에 장착되고, 코어 부분(58)은 밀봉 방식으로 밸브 하우징 애퍼처(60)를 통해 이러한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U-형태이고, 코어의 레그(58)는 대략 우회 밸브 시트(38) 근처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회 밸브 요소(34)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시트-금속-형 전기자 요소(62)와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5. 제 4항에 있어서, 전기자 부분(62)은 우회 밸브(34)의 물질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회 밸브 요소(34)는 온도 조절 밸브 요소(24)를 따라 축 방향으로 안내되고, 온도 조절 밸브 요소(24)로부터 우회 밸브 시트(38)쪽의 방향으로 - 온도 조절 밸브 요소(24)에 대해 놓이는 상기 우회 밸브 스프링에 의해 - 사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7. 제 6항에 있어서, 우회 밸브 스프링(42)은 일단부에서 온도 조절 밸브(24)에 대해 놓이고, 타단부에 의해, 우회 밸브 요소(34)의 원통형의 원형 갭(40) 내에 안내된 지지 와셔에 대해 놓이고, 제 2 우회 밸브 스프링(46)은 대항 면으로부터 지지 와셔(44) 상에서 작용하고, 제 1 우회 밸브 스프링(42)의 스프링 상수는 제 2 우회 밸브 스프링(46)의 스프링 상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용 온도 조절 밸브 집단.
  8. 내연 엔진의 냉각 도관 내에, 온도 조절 밸브 및 우회 밸브가 설치된 온도 조절 밸브 집합과, 스프링-장전된 우회 밸브가 개방될 때 우회 도관을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과, 내연 엔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밸브는, 온도 조절 밸브가 점차 개방될 때, 우회 밸브가 차단되는 방식으로 온도 조절 밸브와 협력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으로서,
    전자석은 밸브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차단된 위치에 있을 때 자기 유효 우회 밸브 요소와 협력하고, 전자석을 에너지 소스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는 또한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 시스템.
KR1020117010064A 2008-11-06 2009-10-21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 KR201100922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6247.5 2008-11-06
DE102008056247A DE102008056247B4 (de) 2008-11-06 2008-11-06 Thermostatventilanordnung und Kühl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271A true KR20110092271A (ko) 2011-08-17

Family

ID=4145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064A KR20110092271A (ko) 2008-11-06 2009-10-21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1107B2 (ko)
EP (1) EP2352913B1 (ko)
KR (1) KR20110092271A (ko)
DE (1) DE102008056247B4 (ko)
WO (1) WO2010052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05377B1 (pt) * 2010-12-23 2021-08-03 Kirpart Otomotiv Parçalari Sanayi Ve Ticaret A.S. Montagem de termostato para motores de combustão interna
JP5578373B2 (ja) 2011-11-04 2014-08-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冷却液制御弁
CN102705060A (zh) * 2012-06-25 2012-10-03 曲阜天博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伺服式调温器
CN103742706B (zh) * 2014-01-09 2016-06-08 昆明理工大学 一种电热型流量智能调节阀及其控制方法
TR201714314A2 (tr) * 2017-09-26 2019-04-22 Kirpart Otomotiv Parcalari Sanayi Ve Ticaret A S Tamamen kapali termostat pozi̇syonunda isi duyarli wax dolu gövdeni̇n doğrudan ve dolayli soğumasinin engellendi̇ği̇ bi̇r termostat terti̇bati
CN108571375A (zh) * 2018-03-15 2018-09-25 江苏大学 一种电磁式节温装置
US11421790B2 (en) * 2019-09-06 2022-08-23 Illinois Tool Works Inc. Ballstat flow divert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9357A (en) * 1934-09-13 1936-02-04 Gen Motors Corp Fluid flow control device
US2396138A (en) * 1943-04-07 1946-03-05 Vernay Patents Company Thermostat
US2815035A (en) * 1954-10-21 1957-12-03 Dole Valve Co Gas temperature shut off valve
DE2109326C3 (de) * 1971-02-26 1974-05-02 Behr-Thomson Dehnstoffregler Gmbh, 7014 Kornwestheim Ventilsitzring eines thermostatischen Ventils, mit durchbruchloser Befestigung des unteren Widerlagers
JPS5743068A (en) * 1980-08-29 1982-03-10 Aisin Seiki Co Ltd Temperature sensing valve
JPS58211080A (ja) * 1982-05-31 1983-12-08 Noritsu Co Ltd ガス比例制御弁
JPH0330584Y2 (ko) * 1985-03-04 1991-06-27
DE4022731A1 (de) 1990-07-17 1992-01-23 Eberspaecher J Mit einem heizgeraet versehener kuehlmittelkreislauf eines fahrzeugmotors
DE4330215A1 (de) * 1993-09-07 1995-03-09 Behr Thomson Dehnstoffregler Kühlanlage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Ventil
JPH07139350A (ja) * 1993-11-12 1995-05-30 Giichi Kuze 内燃機関の冷却システム
EP0699859B1 (de) * 1994-08-30 1998-04-08 Pierburg Aktiengesellschaft Elektromagnetisches Schaltventil
JP3570055B2 (ja) * 1996-01-23 2004-09-2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エンジンの冷却装置
DE19725222A1 (de) 1997-06-15 1998-12-17 Behr Thermot Tronik Gmbh & Co Thermostatventil
JP3978395B2 (ja) * 2002-01-23 2007-09-19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BR8201940U (pt) * 2002-06-21 2004-05-11 Wahler Metalurgica Ltda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válvula termostática integrada à carcaça
JP3864874B2 (ja) * 2002-08-26 2007-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弁制御装置
DE10354230A1 (de) * 2003-11-20 2005-06-2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 ansteuerbares Mehrwegeventil
DE102004058869B4 (de) 2004-12-06 2021-09-30 Att Automotivethermo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ißkühlung von Verbrennungskraftmaschinen
FR2896319B1 (fr) * 2006-01-17 2010-09-03 Vernet Thermostat de regulation d'un flu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thermostat
US20080223316A1 (en) * 2007-03-16 2008-09-18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ngine thermostat having bypass pressure-dampening fluid pas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2913B1 (en) 2017-01-25
US9341107B2 (en) 2016-05-17
US20110204151A1 (en) 2011-08-25
WO2010052601A1 (en) 2010-05-14
DE102008056247B4 (de) 2010-09-09
EP2352913A1 (en) 2011-08-10
DE102008056247A1 (de)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2271A (ko) 내연 엔진 구동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 밸브 장치 및 냉각 시스템
RU2151309C1 (ru) Термостат для системы охлажд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101913982B1 (ko) 내연기관의 컴프레서를 위한 오버런 에어 재순환 밸브
US6864771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CN106605051B (zh) 用于内燃机的电磁阀
JP2015535063A (ja) 封止の改善されたオーバーモールド成形電動弁
WO2012060188A1 (ja) 流体制御弁
US20180230890A1 (en) Fluid control valve
CN103498721A (zh) 具有套管的电子控制的粘性风扇驱动器
CN100385107C (zh) 用于内燃机的燃料喷射装置的燃料配量单元
US9394824B2 (en) Cooling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US20010019081A1 (en) Thermostatic device with two levels of regulation operated selectively
JP2013535631A (ja) 安全バルブ及び燃料蒸気バルブアセンブリ
US6863221B2 (en) Linear proportional valve
JP4916233B2 (ja) エンジン冷却システム
JP3829704B2 (ja) 燃料噴射弁
CA2625692C (en) Fuel valve for supplying fuel to an auxiliary heating device in a motor vehicle
JP2019056380A (ja) 流体制御弁
US10119620B2 (en) Thermal management valve
JP5574180B2 (ja) 流体制御弁
JP5614585B2 (ja) 流体制御弁
JP2014190469A (ja) 電磁弁
CN212775714U (zh) 一种车用防漏电磁阀
JP2017141932A (ja) 流量制御弁
EP3636911A1 (en)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valve and fuel 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