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426A - 비드 코어 홀더 - Google Patents

비드 코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426A
KR20110091426A KR1020100115512A KR20100115512A KR20110091426A KR 20110091426 A KR20110091426 A KR 20110091426A KR 1020100115512 A KR1020100115512 A KR 1020100115512A KR 20100115512 A KR20100115512 A KR 20100115512A KR 20110091426 A KR20110091426 A KR 2011009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core
bead
apex rubber
attached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시게 아다치
요시히로 도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2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8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30/2607Devices for transferring annular tyre components during the building-up stage, e.g.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building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드 코어를 셋팅할 때의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을 억제하여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유지하는 유지링을 구비한다. 유지링은, 비드 코어의 내주면을 착좌(着座)시키는 착좌면과, 비드 코어의 외측면을 받는 하측면과, 이 하측면에, 경사면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하측면과 평행한 상측면을 구비한다. 착좌면으로부터의 하측면 외단(外端)까지의 높이(H1)는, 비드 코어의 높이(H)의 20%∼70%, 경사면의 각도(θ)는 30°∼60°, 또한 하측면과 상측면 사이의 축심 방향의 거리(L)를 3.0 ㎜ 이상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비드 코어 홀더{BEAD CORE HOLDER}
본 발명은, 카카스 플라이가 외주면에 감겨지는 원통 형상의 드럼의 측면에, 상기 감겨진 카카스 플라이를 개재해서 비드 코어를 셋팅하는 비드 코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생타이어(green tire) 형성 공정에서 이용되는 비드 코어 홀더(a)로서,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비드 코어 홀더(a)는, 도 6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 에이펙스 고무(b)가 부착된 비드 코어(c)의 측면을 받는 측면(a1s)을 갖는 원반 형상의 측벽부(a1)의 내주 가장자리부에, 비드 코어(c)의 내주면을 착좌(着座)시키는 착좌면(a2s)을 갖는 코어 지지부(a2)를 축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시킨 단면 L자 형상의 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비드 코어 홀더(a)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축소가 가능한 원통 형상의 드럼(d)의 양측에, 턴업 블래더(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드럼 서브부(e)를 배치한 성형 포머를 이용한 생타이어 형성 공정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드럼(d)의 외주면 상에서, 시트 형상의 카카스 플라이(f1)를, 그 양측 부분을 상기 드럼(d)의 양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오게 해서 감아, 원통 형상의 카카스통(f)을 형성하고, 이 카카스통(f)의 비어져 나온 부분(fe)을, 개폐 가능한 핑거(g)를 이용하여 소직경으로 압축한다. 그런 후, 상기 비드 코어 홀더(a)에 유지시킨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h)를, 상기 드럼(d)의 측면에, 상기 압축한 카카스 플라이(f1)를 개재해서 셋팅하고, 상기 턴업 블래더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비어져 나온 부분(fe)을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h)의 둘레에서 되접어 꺾고 있다.
그리고, 상기 턴업 블래더에 의해 되접어 꺾을 때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셋팅한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h)에서의 비드 에이펙스 고무(i)의 상단 부분을, 드럼(d)의 외주면을 따르게 해서 옆으로 쓰러뜨리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h)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 에이펙스 고무(i)의 내주면이, 비드 코어(h)의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드 에이펙스 고무(i)와 비드 코어(h)의 접착 면적이 불충분하여, 상기 비드 에이펙스 고무(i)를 옆으로 쓰러뜨릴 때, 비드 에이펙스 고무(i)가 비드 코어(h)로부터 박리(j)를 일으켜, 생타이어의 형성 불량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비드 코어의 형성 재료나 형성 방법의 개량에 의해, 비드 코어(h)의 폭 협소화(경량화)가 촉진되고 있는데, 이 폭 협소화는 접착 면적의 감소를 초래하기 때문에, 상기 박리는 보다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래서,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 에이펙스 고무(i)에, 비드 코어(h)의 측면의 일부와 접착하는 돌출부(i1)를 마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i1)를 마련한 비드 에이펙스 고무(i)를 종래의 비드 코어 홀더(a)에 유지시킨 경우, 상기 돌출부(i1)가 비드 코어 홀더(a)의 측면(a1s)에 접촉해 버리기 때문에, 비드 에이펙스 고무(i)의 착좌가 불안정해져, 이송 도중에서의 비드 코어의 낙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셋팅 시의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을 일으켜, 비드 코어 사이의 카카스 코드 패스를 변형시켜 타이어의 r균일성(uniformity)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37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41211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비드 에이펙스 고무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비드 코어와의 접착 면적을 높인 경우에도,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이송 도중의 비드 코어의 낙하 뿐만 아니라, 셋팅 시의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균일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비드 코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청구항 1의 발명은,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유지된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시트 형상의 카카스 플라이가 외주면에 감겨지는 원통 형상의 드럼의 측면에, 상기 감겨진 카카스 플라이를 개재해서 셋팅하는 비드 코어 홀더로서,
상기 드럼의 측면을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에 부착되어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유지하는 유지링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링은,
상기 비드 코어의 반경 방향 내주면을 착좌(着座)시키는 착좌면과,
상기 비드 코어의 축심 방향 외측면을 받는 반경 방향 내측의 하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반경 방향 외단(外端)에,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축심 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하측면과 평행한 반경 방향 외측의 상측면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착좌면으로부터 상기 하측면의 반경 방향 외단까지의 반경 방향 높이(H1)는, 상기 비드 코어의 반경 방향 높이(H)의 20%∼70%, 상기 경사면의 축심 방향선에 대한 각도(θ)는 30°∼60°, 또한 상기 하측면과 상측면 사이의 축심 방향의 거리(L)를 3.0 ㎜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유지링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링편(片)을 포함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링편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K)는, 상기 착좌면의 위치에 있어서 65 ㎜∼75 ㎜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링의 측면을, 하측면과 경사면과 상측면을 갖는 단차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하측면의 높이, 경사면의 각도, 하측면과 상측면과의 축심 방향의 거리를 특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드 에이펙스 고무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비드 코어와의 접착 면적을 높인 경우에도, 유지링과 비드 에이펙스 고무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드 코어를, 유지링의 하측면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송 도중에서의 비드 코어의 낙하 뿐만 아니라, 셋팅 시의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 나아가서는 타이어의 균일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드 코어 홀더를 이용한 생타이어 성형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비드 코어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비드 코어 홀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의 (B)는 돌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비드 에이펙스 고무의 접합부를 과장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의 (A), (B)는 종래의 비드 코어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생타이어 형성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생타이어 형성 공정에서의 비드 에이펙스 고무의 옆으로 쓰러뜨림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의 (A), (B)는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드 코어 홀더(1)를 이용한 생타이어 성형 장치(2)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생타이어 성형 장치(2)는, 직경 축소가 가능한 원통 형상의 드럼(3)의 양측에, 턴업 블래더를 갖는 드럼 서브부(4)를 배치한 성형 포머(5)와, 상기 드럼(3)의 측면에 비드 에이펙스 고무(6)가 부착된 비드 코어(7)를 셋팅하는 비드 코어 홀더(1)를 갖는 비드 코어 세터(setter; 8)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 포머(5)로서는, 종래의 주지 구조의 성형 포머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 코어 세터(8)는, 상기 성형 포머(5)의 한 쪽측, 다른 쪽측에 배치되는 비드 코어 세터(8R, 8L)를 포함하고, 한 쪽측의 비드 코어 세터(8R)는, 상기 성형 포머(5)의 지지축부(9)에 지지된다. 이 한 쪽측의 비드 코어 세터(8R)는, 본 예에서는, 상기 지지축부(9)에 외부에서 삽입되는 지지통(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예컨대 통 형상의 지지체(11)를 구비하고, 이 지지체(11)의 축심 방향 내단부에, 상기 비드 코어 홀더(1)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다른 쪽측의 비드 코어 세터(8L)는, 예컨대 바닥면 등에 부설되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대(13)에 부착되는, 예컨대 통 형상의 지지체(14)를 구비하고, 이 지지체(14)의 축심 방향 내단부에 상기 비드 코어 홀더(1)를 부착하고 있다. 이 지지체(14)에는, 지지통(15)이 동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통(15)에는, 주지의 핑거(16)가 상기 지지체(14)에 대하여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 한 쪽측의 비드 코어 세터(8R)에도, 상기 지지통(10)에 상기 핑거(16)가 상기 지지체(11)에 대하여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상기 핑거(16)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점(支點; P)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대략 기립 상태와 대략 수평의 쓰러짐 상태 사이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드럼(3)의 외주면 상에서 감겨지는 카카스 플라이에 있어서의, 드럼(3)의 양단으로부터의 비어져 나온 부분을, 소직경으로 압축한다.
다음으로, 상기 비드 코어 홀더(1)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1, 14)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드럼(3)의 측면을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20)와, 이 지지 부재(20)에 부착되어 상기 비드 에이펙스 고무(6)가 부착된 비드 코어(7)를 유지하는 유지링(21)을 구비한다.
또 상기 비드 코어(7)는, 비드 와이어를 원주 방향으로 다단, 다열로 거듭 감은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드 에이펙스 고무(6)는, 본 예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 코어(7)의 외주면(SU)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기립하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인 기부(6a)와, 상기 비드 코어(7)의 축심 방향 외측면(So)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외측면(So)의 상측 부분에 접착되는 돌출부(6b)를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이 비드 에이펙스 고무(6)는, 도 4의 (b)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비드 코어(7)의 폭보다도 폭이 넓은 저변(底邊)을 갖는 단면 삼각형 형상의 고무 부재(G)를 이용하여, 상기 비드 코어(7)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Ga)을 아래쪽으로 감아내림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6b)에 의한 외측면(So)에의 접착 높이(Ta)는, 비드 코어(7)의 반경 방향 높이(H)의 30% 이하로 작고, 또한 돌출부(6b)의 외측면(So)으로부터의 돌출량(Tb)은 상기 접착 높이(Ta)보다 작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 부재(20)는, 본 예에서는, 상기 드럼(3)과 동심의 원환(圓環) 형상의 판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링(21)은, 본 예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링편(21A)으로 형성된다. 각 링편(21A)은, 그 단면을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비드 코어(7)의 내주면(SL)을 착좌시키는 착좌면(22S)을 갖는 코어 지지부(22)와, 이 코어 지지부(2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기립하는 측벽부(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23)에는, 상기 비드 코어(7)의 축심 방향 외측면(So)을 받는 반경 방향 내측의 하측면(23S1)과, 상기 하측면(23S1)의 반경 방향 외단(外端)에,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축심 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3S2)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하측면(23S1)과 평행한 반경 방향 외측의 상측면(23S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편(21A)에서는, 상기 착좌면(22S)으로부터 상기 하측면(23S1)의 반경 방향 외단까지의 반경 방향 높이(H1)를, 상기 비드 코어(7)의 반경 방향 높이(H)의 20%∼70%로 하고, 또한 상기 경사면(23S2)의 축심 방향선에 대한 각도(θ)를 30°∼60°로 하며, 또한 상기 하측면(23S1)과 상측면(23S3)과의 축심 방향의 거리(L)를 3.0 ㎜ 이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편(21A)의 측면을, 하측면(23S1)과 경사면(23S2)과 상측면(23S3)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비드 에이펙스 고무(6)가 돌출부(6b)를 갖는 경우에도, 유지링(21)과 비드 에이펙스 고무(6)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비드 코어(7)를, 유지링(21)의 하측면(23S1)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도중에서의 비드 코어의 낙하 뿐만 아니라, 셋팅 시의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 및 그것에 기인하는 타이어의 균일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H1)가 비드 코어(7)의 높이(H)의 70%를 상회하거나, 상기 거리(L)가 3.0 ㎜를 하회하거나, 상기 각도(θ)가 60°를 상회하면, 유지링(21)과 돌출부(6b)와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하여, 비드 코어(7)를 상기 하측면(23S1)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상기 높이(H1)가 비드 코어(7)의 높이(H)의 20%를 하회하면, 비드 코어(7)와 하측면(23S1)과의 접촉이 불충분해져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θ)가 30°를 하회하면, 비드 코어(7)가 상기 경사면(23S2)에 걸려 유지되는 등, 오장착의 위험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높이(H1)의 상한은, 높이(H)의 60% 이하, 하한은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도(θ)의 상한은, 50°이하, 하한은 4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L)가 지나치게 커도 균일성 등에 악영향이 있고, 따라서 거리(L)의 상한은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비드 에이펙스 고무(6)는, 고무 압출기로부터 압출 성형되는 고무 부재(G)의 길이 방향 양단면(Ge)을 맞대어 압접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때 도 5에 과장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J)에서는, 고무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 두꺼운 부분(Ja)이, 상기 경사면(23S2)이나 상측면(23S3)에 접촉하여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을 초래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상기 유지링(2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링편(21A)에 의해 형성하고, 이 간극부(D)에서, 상기 두꺼운 부분(Ja)을 들어가게 함으로써 상기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링편(21A, 21A)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K)를, 상기 착좌면(22S)의 위치에서 65 ㎜∼75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 ㎜ 미만이면, 상기 두꺼운 부분(Ja)을 확실하게 들어가게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거리(K)가 75 ㎜를 초과하면, 비드 코어(7)가 다각형화해 버려, 균일성을 손상시키는 경향을 초래한다.
또 상기 비드 코어 홀더(1)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20)도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편으로 형성하고, 각 지지 부재편에 부착되는 링편(21A)을, 상기 지지 부재편과 일체로 반경 방향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유지링(21)을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하는 비드 코어 홀더를 채용한 생타이어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승용차용 타이어(타이어 사이즈 225/55R17)를 형성하고, 비드 코어를 셋팅할 때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에 기인하는 타이어의 균일성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비드 코어 홀더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이다.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표에서는 코어 조립체라고 기재)로서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A타입과 도 9의 (B)에 도시하는 B타입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비드 코어의 사이즈는, 폭(9.0 ㎜)×높이(H)(6.0 ㎜)로 동일하다. 비드 에이펙스 고무는, 돌출부의 유무만 다르며, 돌출부가 있는 경우, 접착 높이(Ta)는 5.0 ㎜, 돌출량(Tb)은 3.0 ㎜이다.
(1) 불량률:
생타이어 형성 시, 비드 에이펙스 고무의 상단 부분을 드럼 외주면을 따르게 해서 옆으로 쓰러뜨릴 때에 발생하는 비드 에이펙스 고무의 비드 코어로부터의 박리의 발생률을, 생산수 10000개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2) 균일성:
타이어 균일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JASO C607:2000의 「자동차용 타이어의 균일성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RFV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종래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고 있다. 지수가 작을수록 균일성이 우수하다. 또 측정 조건은, 림(17 인치), 타이어 회전 속도(60 rpm), 공기압(200 ㎪), 및 종하중(5.04 kN)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또 표 중의 하측면의 높이(H1)(*1)는, 비드 코어의 높이(H)에 대한 비(H1/H)로 나타내고 있다.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셋팅 시의 비드 코어의 위치 어긋남이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어, 카카스 코드 패스가 둘레 방향에서 균일화됨으로써 타이어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비드 코어 홀더 3: 드럼
6: 비드 에이펙스 고무 7: 비드 코어
17: 카카스 플라이 20: 지지 부재
21: 유지링 21A: 링편
22S: 착좌면 23S1: 하측면
23S2: 경사면 23S3: 상측면
SL: 내주면 So: 외측면

Claims (2)

  1.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유지된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시트 형상의 카카스 플라이가 외주면에 감겨지는 원통 형상의 드럼의 측면에, 상기 감겨진 카카스 플라이를 개재해서 셋팅하는 비드 코어 홀더로서,
    상기 드럼의 측면을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에 부착되어 비드 에이펙스 고무가 부착된 비드 코어를 유지하는 유지링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링은,
    상기 비드 코어의 반경 방향 내주면을 착좌(着座)시키는 착좌면과,
    상기 비드 코어의 축심 방향 외측면을 받는 반경 방향 내측의 하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반경 방향 외단(外端)에,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축심 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하측면과 평행한 반경 방향 외측의 상측면
    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착좌면으로부터 상기 하측면의 반경 방향 외단까지의 반경 방향 높이(H1)는 상기 비드 코어의 반경 방향 높이(H)의 20%∼70%, 상기 경사면의 축심 방향선에 대한 각도(θ)는 30°∼60°, 또한 상기 하측면과 상측면 사이의 축심 방향의 거리(L)는 3.0 ㎜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 코어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링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링편(片)을 포함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링편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K)는, 상기 착좌면의 위치에 있어서 65 ㎜∼75 ㎜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 코어 홀더.
KR1020100115512A 2010-02-05 2010-11-19 비드 코어 홀더 KR20110091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4441A JP4897896B2 (ja) 2010-02-05 2010-02-05 ビードコアホルダー
JPJP-P-2010-024441 2010-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426A true KR20110091426A (ko) 2011-08-11

Family

ID=4442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512A KR20110091426A (ko) 2010-02-05 2010-11-19 비드 코어 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97896B2 (ko)
KR (1) KR20110091426A (ko)
CN (1) CN1021455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5351A1 (de) * 2015-11-05 2017-05-1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Reifenbau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eifenrohl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8826B2 (ja) * 2012-11-19 2015-06-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自動アッセンブル装置
JP7134409B2 (ja) * 2018-12-28 2022-09-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コア保持装置およびタイヤ成形装置
KR102304426B1 (ko) * 2019-12-27 2021-09-2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비드 세트 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6366B (it) * 1991-02-12 1994-11-17 Firestone Int Dev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 realizzazione di assiemi tallone-profilo per pneumatici di veicoli
JP2001030371A (ja) * 1999-07-22 2001-02-06 Sumitomo Rubber Ind Ltd ビードコア保持用リング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1341211A (ja) * 2000-06-01 2001-12-11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ビードホルダー
CN2463166Y (zh) * 2000-10-10 2001-12-05 北京敬业机械设备有限公司 用于轮胎成型的钢丝圈三角胶弹簧压实装置
JP3912490B2 (ja) * 2001-11-14 2007-05-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ビード自動挿入装置
JP4571582B2 (ja) * 2005-12-21 2010-10-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コアとエーペックスとの組立体の形成方法
JP5116011B2 (ja) * 2007-05-21 2013-0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9012218A (ja) * 2007-07-02 2009-01-22 Bridgestone Corp ビードセット装置及びタイヤ成型装置
CN201176001Y (zh) * 2008-01-10 2009-01-07 威胜机械(张家港)有限公司 三角胶压延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5351A1 (de) * 2015-11-05 2017-05-1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Reifenbau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eifenrohl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61678A (ja) 2011-08-25
CN102145545B (zh) 2015-01-14
CN102145545A (zh) 2011-08-10
JP4897896B2 (ja)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8814A (zh) 轮胎制造装置及轮胎制造方法
JP5462817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20060070696A1 (en) Method for molding bead portion of green tire and bead portion molding device
KR20110091426A (ko) 비드 코어 홀더
JP4065220B2 (ja) 生タイヤ形成装置、及び生タイヤ形成方法
US20130098537A1 (en) Green tire forming method and pneumatic tire producing method
EP2239130B1 (e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pneumatic tire
JP5759441B2 (ja) タイヤ形成用のビードコア組立体
US10538046B2 (e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pneumatic tire
JP2016216044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538047B2 (e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pneumatic tire
JP2008221719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生タイヤ成形装置
CN102615843B (zh) 充气轮胎的制造方法
US10532615B2 (e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pneumatic tire
JP6825899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20230182425A1 (en)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JP2006205768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108862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CN100564012C (zh) 轮胎用橡胶组件的制造方法
WO2015190027A1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加硫用金型
JP540424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6037027A (ja) 空気入りタイヤ製造方法
JP2020111028A (ja) タイヤ成形ドラム
JP2005212325A (ja) 空気入り安全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5044320A (ja) 重荷重用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