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845A - 멀티-드라이브 메커니즘 렌즈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드라이브 메커니즘 렌즈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845A
KR20110089845A KR1020117008287A KR20117008287A KR20110089845A KR 20110089845 A KR20110089845 A KR 20110089845A KR 1020117008287 A KR1020117008287 A KR 1020117008287A KR 20117008287 A KR20117008287 A KR 20117008287A KR 20110089845 A KR20110089845 A KR 2011008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drive mechanisms
spring
lens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킨 밍 판
시오 쿠안 람
콱 싱 쳉
윙 밍 판
티에강 리우
후아 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콩 어플라이드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콩 어플라이드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콩 어플라이드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드
Publication of KR2011008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이미징 디바이스의 오토-포커스 및/또는 흔들림 보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렌즈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징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렌즈 작동장치는 하우징, 렌즈 홀더 및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포함한다. 렌즈 작동장치는 또한 렌즈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전기적 신호들에 반응하여 렌즈 홀더의 모션을 생성하고, 전기적 신호들은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스프링 요소들에 각각 공급된다. 스프링은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다수의 전기적 신호들이 각각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인가되므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렌즈 작동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의 오토-포커스와 흔들림 보상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드라이브 메커니즘 렌즈 작동장치{MULTI-DRIVE MECHANISM LENS ACTUATOR}
여기에서 개시된 주제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들의 오토-포커스 및/또는 흔들림 보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렌즈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렌즈 작동장치들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들 및/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들에 합체되는 디지털 카메라들 및/또는 카메라들 포함하는 많은 응용들에서 사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렌즈 작동장치들은 이미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분석되고 조절들이 하나 이상의 렌즈들에 대해 이루어져 초점거리를 보정하도록 하는 곳에서, 카메라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흔들림이 검출될 수도 있고 조정들이 하나 이상의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이루어져 흔들림으로부터 유발되는 카메라 움직임들을 보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초점 및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렌즈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렌즈 홀더; 렌즈 홀더와 접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 렌즈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연결된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메커니즘들은, 상기 스프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인가된 전기적 신호들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적 활동이 가능한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다수의 전기적 신호들을 다수의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에 전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 및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수의 요소들에 상기 다수의 전기적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과, 렌즈 홀더 안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를 접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과 상기 렌즈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스프링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연결된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을 갖는 스프링의 요소 각각에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인 신호들에 반응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작동장치; 상기 렌즈를 통해 전달된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캡쳐 컴포넌트;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렌즈의 적당한 보정 운동을 결정하되,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를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의 각각에 인가하여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이 렌즈의 보정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초점 및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렌즈 작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
청구 주제는 명세서의 결말부에서 특히 지적되고 명확하게 청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체들, 특징들, 및/또는 그것들의 이점들과 함께, 구성 및/또는 작동 방법 모두에 대해, 만약 동반하는 도면들과 함께 살핀다면,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서 가장 잘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렌즈 작동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스프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프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반하는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일부를 형성하는데, 여기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전체를 통해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여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지정할 수도 있다. 도면의 단순성 및/또는 명확성을 위해, 도면들에서 예시된 요소들은 필연적으로 축척에 맞춰서 그려지지는 않았다는 것은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요소들의 크기들은 명확성을 위해 다른 요소들에 관하여 과장될 수도 있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도 있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구조적 및/또는 논리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방향과 참조 사항들, 예를 들어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은 도면에 대한 논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청구된 주제의 적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도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다음의 상세 설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청구 주제의 의미와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많은 구체적 세부항목들은 청구 주제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구 주제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항목들 없이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주지된 방법들, 절차들, 요소들 및/또는 회로들은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 도처에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언급은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시적인 실시예와 연관되어 기술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질이 적어도 하나의 청구주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다양한 곳들에서 등장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또는 "일실시예에서"라는 표현구들의 출현은 필연적으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더욱이, 특별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질들은 적합한 방법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안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비록 청구 주제의 범위가 이러한 점에 제한되지 않지만, 여기에서 언급되는 용어 "및/또는"은 "및"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을 의미할 수도 있고, "배타적 혹은"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하나"를 의미할 수도 있고, "일부이지만 모두는 아닌"을 의미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것도 아닌"을 의미할 수도 있고,"둘 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렌즈 작동장치들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및/또는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들에 합체되는 디지털 카메라들 및/또는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수많은 응용들에서 사용을 찾아볼 수도 있다. 렌즈 작동장치들은, 예를 들어, 오토-포커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및/또는 흔들림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오토-포커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이미지가 분석될 수도 있고, 조정이 이루어져 하나 이상의 렌즈들이 초점거리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렌즈의 위치조정은 광축을 따라서 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흔들림 보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흔들림이 감지될 수도 있고, 흔들림으로 발생되는 카메라 움직임에 대하여 보상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렌즈의 위치에 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흔들림 보상을 위한 렌즈의 위치에 대한 이러한 조정은 광축에 관련하여 렌즈의 틸팅 모션(tilting motion)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렌즈 작동장치들은 렌즈가 광축에 관련하여, 즉 캡쳐될 이미지의 광행로에 대하여, 직선 방식으로 운동을 야기 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구동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에 어려움이 직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로 전달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와이어들은 렌즈 작동장치를 위한 하우징에 있는 구멍을 관통해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렌즈 홀더가 앞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는 와이어의 움직임에 기인하여 신뢰성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와이어들의 움직임은 와이어들이, 예를 들어 렌즈 홀더 하우징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에 반하여 마찰을 야기할 수도 있고, 이러한 마찰은 결국 와이어 및/또는 와이어의 절연 피복 등의 조기 불량에 이르게 하여, 그 결과 누전 및 회로 오손을 일으킬 수도 있다.
오토-포커스와 흔들림 보상 기능들에 관련한 신뢰성 문제에 더하여, 카메라 디자인들이 더욱 복잡해지고 더 많은 요소들이 카메라의 디자인 및 제조에 추가되기 때문에, 비용문제는 쟁점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그리고 청구 주제에 관련하여,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및/또는 카메라를 합체한 휴대전화 및/또는 다른 개인용 디지털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는 하나 이상의 차원에서 렌즈에 대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스프링을 통해서 전기적인 신호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스프링은 전기 전도성이 있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여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개개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전달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거의 동일한 전압 레벨들이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전달되면, 렌즈 홀더는 광축을 따라 기본적으로 직선형으로 움직이도록 야기될 수도 있다. 하지만, 만약 다른 전압들이 여러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제공되면, 렌즈 홀더는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야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특정 예의 카메라가 두 개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포함하는 렌즈 작동장치를 합체한다면, 하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은 렌즈 홀더의 한쪽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드라이브 메커니즘은 렌즈 홀더의 대향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만약 하나의 전압이 두 개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 중 하나에만 인가되면, 하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만이 렌즈 홀더의 해당 측면에 대한 운동을 유발시킬 것이고, 렌즈 홀더의 대향 측면은 기본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렌즈 홀더, 즉 렌즈는 광축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기울어짐이 유발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스프링은 전기적인 신호들을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들은 렌즈 작동장치 실현의 넓은 범위에서 찾아볼 수도 있는데, 스프링들은 모든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어떠한 에너지도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렌즈 홀더가 중립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보내고,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또한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복합적인 기능들이 스프링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데 그 결과 만약 복원력을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제공하기 위해서 그리고 전기적 신호들을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요소들을 이용하는 활용과 비교되는 경우 재료 비용의 감소효과가 생기게 된다. 또한, 드라이브 메커니즘으로부터 렌즈 홀더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까지 와이어를 지나가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와이어 마찰은 감소 또는 제거될 수도 있어서, 그 결과 시스템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카메라(100)은 본체(110), 본체(110)에 결합된 렌즈 작동장치(2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렌즈 작동장치(200)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하우징(101)은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부는 본체(11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하우징의 끝을, 하부는 본체(110)에 가장 근접한 하우징의 끝을 나타낸다.
렌즈 홀더(105)는 하우징(101) 안에 배치될 수도 있고, 렌즈(104)는 렌즈 홀더(105) 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렌즈 홀더(105)는, 렌즈 홀더(105)와 하우징(101) 사이에 배치된, 드라이브 메커니즘(103a)에 의해서 그리고 드라이브 메커니즘(103b)에 의해서 움직이도록 유발될 수도 있다. 만약 전압이 드라이브 메커니즘 (103a)에 인가되면, 예를 들어, 드라이브 메커니즘(103a)에 인접한 렌즈 홀더 (105) 부분이 광축(116)을 따라 변위하는 경향이 있다. 만약 거의 동일 전압들이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에 인가되면, 렌즈 홀더(105)는 광축(116)을 따라 직선형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움직임의 정도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인가된 전압 레벨들에 기반될 수도 있다. 작은 전압 레벨들은 렌즈 홀더의 작은 움직임을, 더 큰 전압 레벨들은 렌즈 홀더의 더 큰 움직임을 유발시키려고 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 메커니즘들 사이의 동일하지 않은 전압 레벨들의 분포는 렌즈 홀더(105)의 양 측면의 불균등한 운동에 기인하여 광축(116)에 대하여 렌즈 홀더(105)를 경사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하부 스프링(107)은 다수의 분리된 부분들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각 부분은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개별적인 전기적 신호들을 전도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기술된 예에 대하여, 두 개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이 기술되고, 스프링(107)은 최소한 두 개의 전기 전도성을 갖는 요소들(107a,107b)로 표시된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비록 본 예는 스프링(107)에 대한 두 개의 전도성을 갖는 성분을 설명하고 있지만, 청구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은 하단 스프링(107)에 대하여 더 많은 개수의 전기 전도성을 갖는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부 스프링(102)은 하우징(101)과 렌즈 홀더(105)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광축(116)을 따라 렌즈 홀더(105)의 움직임은, 상부 스프링(102)에 의해 렌즈 홀더(105)에 인가되는 복원력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카메라 본체(110)를 향해 광축을 따라 렌즈 홀더(105)의 이동은, 하부 스프링(107)에 의해 렌즈 홀더(105)에 인가되는 복원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107)은 다수의 개별적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개개의 요소들은 렌즈 홀더(105)의 상이한 부분들에 개별적인 힘을 인가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렌즈 홀더(105)의 다른 부분들에 개별적인 힘을 가할 수도 있도록 상부 스프링(102)은 수행될 수도 있으므로 스프링(107)과 스프링(102)은 렌즈 홀더 (105)의 비틀림 운동에 저항할 수도 있다. 스프링(102)과 스프링(107)은 도 3과 도 4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하부 스프링들(107a,107b)은 오토-포커스 유닛(112a) 및/또는 흔들림 보상 유닛(112b)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스프링들(107a,107b)을 통해 각각 전기적 연결들(106a,106b)을 거쳐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에 전달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적 연결들(106a,106b)은 와이어를 포함하지만, 청구주제 범위는 이러한 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적 연결들(106a,106b)이 하우징(101)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와이어 마찰과 그에 따른 마모 및 손상 그리고 이러한 마찰과 관련된 불안전성의 리스크 감소를 주목하자.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미지 캡쳐 컴포넌트(114)도 역시 카메라 (100)에 포함된다. 한 예로, 하나의 이미지는 렌즈(104)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고, 이미지 캡쳐 컴포넌트(114)에 의해 감지될 수도 있다. 캡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는 오토-포커스 유닛(112a) 및/또는 흔들림 보상 유닛(112b)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오토-포커스 기능수행들을 위해서, 오토-포커스 유닛(112a)은 이미지 캡쳐 컴포넌트(114)에 의해 연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도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도 있고, 이미지 품질 향상을 위해 초점거리 조정이 바람직한지 결정할 수도 있다. 오토-포커스 유닛(112a)은 거의 동일한 전압레벨들을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의 각각에 제공할 수도 있고,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은 반응하여 렌즈 홀더(105,116)와 평행방향으로 변위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정 중에 또는 조정 후에 반복될 수도 있는데, 하나 이상의 추가 이미지들이 캡쳐되고 분석되어, 초점거리에 대한 추가적인 조정들이 바람직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약 추가 조정을 수행하도록 결정되면, 업데이트된 전압 레벨이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에 전달될 수도 있고, 상기 과정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반복될 수도 있다.
흔들림 보상 기능 수행을 위하여, 흔들림 보상 유닛(112b)은 이미지 캡쳐 컴포넌트(114)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흔들림 조건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만약 그러한 조건이 존재하면,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어떠한 조정을 할 것 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흔들림 보상 조치는 드라이브 메커니즘(103b)보다 드라이브 메커니즘(103a)에 더 큰 전압값을 인가하는 것을 수반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예에 대한 결과로서 렌즈 홀더(105)는 광축(116)에 대하여 다소 기울어지게 된다. 드라이브 메커니즘들 (103a,103b)에 인가된 동일하지 않은 전압 레벨들은 렌즈 홀더(105)의 양 측면들이 다른 양들 및/또는 다른 방향들로 이동하도록 하고 그 결과 틸팅 모션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물론, 이것은 흔들림을 보상하기 위해 렌즈 홀더를 이동하는 단순한 일예이고,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은 음성 코일들과 자석들의 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코일은 렌즈 홀더(105)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렌즈홀더(105)에 접할 수도 있다. 자석과 음성코일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자석은 렌즈 홀더 커버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만약 전류가 음성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코일, 즉 렌즈 홀더를 자석에 관하여 변위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은 압전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압전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걸친 전압의 인가에 반응하여 자신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압전 디바이스는 전압의 인가에 반응하여 광축을 따라 자신의 길이를 변형할 수도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렌즈 홀더가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일렉트로-폴리머 디바이스들에 전압의 인가에 반응하여 디바이스들의 길이를 변형하는 일렉트로-폴리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위해 모터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수행될 수도 있는 가능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의 형태에 관한 예들일 뿐이며, 청구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몇몇의 아래 실시예들에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카니즘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렌즈 홀더의 적절한 움직임을 더욱 상세하게 특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에너지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드라이브 메커니즘(코일/자석 쌍)에 특정 전압레벨에서 에너지를 공급하고, 제 2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다른 전압 레벨에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또는 전혀 에너지 공급을 하지 않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물론, 이것들은 렌즈 홀더들에 결합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가능한 방법들의 단순예들일 뿐이며, 본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서 소개된 렌즈 작동장치(2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렌즈 홀더(103)는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101)은 상부와 하부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 및/또는 렌즈 홀더 (103)를 위한 케이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비록 도 2에서 하우징(101)을 다수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청구 주제의 범위는 그렇게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1)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단일의 구성요소 및/또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곳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카메라 본체로부터 가장 먼 하우징(101)의 끝은 "상향"으로 지정될 수도 있고, 이미지가 이미지 캡쳐링 컴포넌트 위로 떨어질 때 거치게 되는 끝은 "하향"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용이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임의의 지정에 불과하므로, 청구 주제의 범위는 "상향", 및 "하향" 및/또는 방향들의 용어적 사용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하우징(101)의 상부와 하부면들을 나타내는데,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이 이미지 캡쳐링 컴포넌트(114)로 도달하기 위해 관통하는 작은 구멍들을 포함한다. 렌즈 작동장치(200)는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본체에 고정 및/또는 결합되어, 하부면이 본체에 접한다. 또한,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독형이거나 이동전화기 또는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논의함에도 불구하고, 청구주제와 관련된 작동장치가 표준 아날로그 필름 카메라 또는 폭넓은 범위의 영상장비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곳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a,103b) 각각은 자석과 쌍을 이루는 코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코일 (201a)과 자석 (202a)은 드라이브 메커니즘 (103a)을 구성하고, 코일 (201b)과 자석 (202b)은 드라이브 메커니즘 (103b)을 구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음성 코일들(201a,201b)은 렌즈 홀더(105)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05)는 다수의 코일이 위치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석들의 평면들은 각각의 음성코일들의 세로축에 수직이 되도록, 자석들(202a,202b)은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비록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음성 코일들과 자석들간의 일대일 관계를 도시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석들(202a,202b)은 여러 개의 분리된 자석 컴포넌트 대신에, 두 개 이상의 음성코일들에 대응하는 하나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것들은 음성코일들과 자석들의 단순한 예시적인 구성들에 불과하며, 청구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석들(202a,202b)은 음성코일들(201a,202b)에 각각 접하지는 않고 인접하여 위치할 수도 있으므로, 코일들(201) 각각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은 자석들(202a,202b)의 자기장과 상호작용을 한다. 위에서 기술된 자석들(202a,202b)의 자기장과 음성코일들(201a,202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들은 광축(116)을 따라서 행사되는 힘을 유발하여 음성코일들을 자석들로부터 밀어내고 음성 코일들은 결과적으로 광축을 따라 변위된다. 음성코일들(201a,202b)의 운동은 음성코일들(201a,201b)이 접하는 렌즈 홀더(105)의 운동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홀더(105)는 그 내부에 원통형에 상당한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욱이 원통형 내부 공간에 렌즈를 장착할 수도 있도록 좀더 적응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미도시된) 렌즈(104)는 렌즈 홀더(105) 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렌즈 홀더(105)는 다양한 범위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렌즈 홀더(105)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 물질로 구성된다.
음성 코일들(201a,201b)은 많은 권선회수를 갖는 전기 전도성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기적 신호들은 코일 와이어의 한 끝에서 카메라 안의 하나 이상의 회로들로부터 수신되고, 다른 코일 와이어의 끝은, 실시예에서, 접지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렌즈 홀더(105)의 움직임을 다차원들에서 허용하기 위하여, 음성코일들은 개별적으로 에너지 공급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음성코일들(201a,201b), 자석들(202a,202b) 외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하우징(101)과 렌즈 홀더(105)는 코일들(105)과 자성 요소 (106)의 자기장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 물질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물론, 이러한 것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물질이므로, 청구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부 스프링(102)은 렌즈홀더(103)의 한쪽 끝에 배치될 수도 있고, 렌즈 홀더(103)와 하우징(101)의 상부의 내부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부 스트링(102)은 렌즈 홀더(105)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향상된 제어를 허용할 수도 있다. 하부 스프링(107)도 렌즈 홀더(105)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렌즈 홀더(105)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스프링"은 가해진 힘을 제거한 후에 본래의 정상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능력을 갖는 어떤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상부 스프링(102)과 하부 스프링(107)은 함께, 만약 에너지가 공급되는 경우, 코일들(201a, 201b) 이동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렌즈 홀더(105)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부(102) 및/또는 하부 스프링(107)은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102) 및/또는 하부 스프링(107)은 도 3과 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좀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예들인 판(板)스프링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들(102,107)은 렌즈 홀더(105)의 움직임에 적절한 제한과 제어를 제공하는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프링들(102,107)의 내부 직경은 대체로 렌즈 홀더(105)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클 것이므로 스프링들(102,107)은 렌즈(104)의 광학적 기능을 간섭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하부 스프링(107)은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의 예에서, 하부 스프링(107)은 스프링 부들(107a,107b)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부스프링(107)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은 음성코일들(201a,201b)에 독립적인 전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부(107a)는 오토-포커스 유닛(114a) 및/또는 흔들림 보상 유닛(112b)으로부터 음성코일(201a)로 전기적 신호를 전도할 수도 있고, 스프링부(107b)는 유닛들(114a,114b)의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음성코일(201b)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전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코일들은 많은 회선으로 권취된 와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권선 와이어의 한 끝은 하부 스프링(107)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 중 하나와 연결 될 수도 있고, 권선 와이어의 다른 끝은 접지 전압에 연결된 상부 스프링(102)에 연결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토-포커스 유닛(114a) 및/또는 흔들림 보상 유닛(112b)과 같은 제어 회로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 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부 스프링(107)은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유지하고, 와이어가 하우징을 걸쳐 배선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상술된 와이어 마찰의 문제들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감소된 비용과 향상된 신뢰도와 함께 보다 뛰어난 성능은 달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 2가 음성코일들과 자석들로 구성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형태들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전압과 같은 어떤 형태의 에너지 입력에 반응하여 그것의 형태, 예컨대 그것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도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압의 인가에 반응하여 형태 변화를 겪을 수도 있는 예시적인 타입의 재료들은 압전 디바이스들 및 일렉트로-폴리머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만약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 모두가 대체로 동일한 양으로 에너지 공급되면 (즉, 도 2에서 코일-자석 조합의 경우의 예에서 전류), 대체로 동일한 양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의 위치이동 내지는 형태변화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그 결과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대응하는 렌즈 홀더(105)의 전체 부분들로 하여금 대체로 같은 정도로 변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렌즈 홀더(105)의 결과적인 움직임은 대체로 광축(116)을 따라 직선운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한 직선 운동은 오토-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는데 유리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만약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103)이 동일하지 않은 양으로 에너지 공급되면 (즉, 도 2의 예에서 코일-자석 조합의 경우에서 전류값들을 달리하는 것),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의 형태 변화 또는 위치 이동량들을 달리하여, 그렇게 함으로써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대응하는 렌즈 홀더(105)의 다양한 부분들로 하여금 동일하지 않은 양에 의해 변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렌즈 홀더(105)의 결과적 움직임은 광축(116)에 대하여 틸팅 모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한 틸팅 모션은 흔들림 보상 수행시 유리할 수도 있다.
비록 여기서 설명된 예시적인 일시예들 중에서 적어도 몇몇은 디지털 카메라와 연관된 렌즈 작동장치를 채택한 실시예들을 논의하고 있지만, 청구주제의 범위는 이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청구 주제에 관련한 렌즈 작동장치의 실시예들은 스틸 카메라들, 비디오 카메라들, 영화 카메라들, 및/또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이미징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범위의 광학 이미지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부 스프링(10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 상부 스프링(102)은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러한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스프링(102)이 하나 보다 많은 요소들로 구성되는 곳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상부 스프링의 사용을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상부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부 스프링(102)은 판(板)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전기 전도성의 탄력있는 물질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탄력성은 스프링이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전기 전도성은 상부 스프링(102)이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대한 공통 접점으로 또한 기능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음성 코일들과 자석들을 사용하는 그러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각 음성코일 권선들의 양 끝은 상부 스프링(102)에 납땜 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프링(102)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107a-107d)을 포함하는 하부 스프링(107)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스프링(107)은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개의 요소들이 함께 스프링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이 렌즈 홀더를 위한 복원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예에서,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하나의 판 스프링의 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의 각각은 제어 회로로부터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드라이브 메커니즘(103)과 같은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전기적인 신호들을 전도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요소가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드라이브 매커니즘들의 개별 제어가 가능해진다.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101)에 와이어를 통과시킬 필요성이 없게 되어, 비용 절감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하부 스프링(107)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및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력은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 수행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전기 전도성은 더욱이 하부 스프링(107)이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로 향하는 전기적 신호들을 위한 다수의 개별적 경로들로써 기능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이 가능한 납땜점들(401)을 보여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용 땜납에 의해서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의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것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이 어떻게 하부 스프링(107)과 연결될 수도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에 불과하며,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스프링(107)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은 각각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 전도성의 요소의 연결을 허용할 수도 있지만, 다시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도 4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다수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부 스프링(107)이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다른 예시들은 가능하다. 그러한 일예시에서,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은 다양한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능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비전도성 재료를 거쳐, 다른 것에 연결 될 수도 있다.
도 5는 렌즈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블록(510)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은 선택적으로 스프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거쳐서 렌즈 홀더와 접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전도될 수도 있다. 블록(520)에서,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선택적으로 인가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에 반응하여, 렌즈 홀더의 움직임은 부분적으로나마 생성될 수도 있다. 청구 주제와 관련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510-520) 보다 많이, 또는 적게,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블록들(510-520)의 순서는 단지 예시적 순서일 뿐이므로, 청구 주제의 범위는 이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전의 설명에서는, 청구주제의 다양한 관점들이 기술되었다. 설명을 목적으로 청구 주제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숫자들, 시스템, 및/또는 환경설정이 제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공시의 이점을 갖는 관련 당업자에게는 구체적 세부내용들 없이도 청구 주제가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사례들에서, 청구 주제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잘 알려진 특징들은 삭제 및/또는 단순화되었다. 어떠한 특징들이 여기서 그림으로 묘사 및/또는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당업자들에게 많은 변형들, 대체들, 변화들 및/또는 등가물들이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추가 청구내용들은 본 청구주제의 진정한 의미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그러한 모든 변형 및/또는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라고 이해된다.
116: 광축 401: 납땜점
103a,103b: 드라이브 메커니즘 104: 렌즈
200: 렌즈 작동장치 105: 렌즈 홀더
102: 상부 스프링 112a: 오토-포커스 유닛
114: 이미지 캡쳐 202a,202b: 자석
106a,106b: 전기 커넥션 110: 카메라 본체
203: 커버 201a,201b: 코일
107a,107b,107c,107d: 하부 스프링 101: 하우징
112b: 흔들림 보상 유닛

Claims (19)

  1.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렌즈 홀더;
    렌즈 홀더와 접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
    렌즈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연결된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메커니즘들은, 상기 스프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인가된 전기적 신호들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전도 전도성의 요소들은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추가적인 전기적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추가적인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 각각은 상기 추가적인 전기 커넥터와 상기 스프링의 전기 전도성의 다수의 요소들 중 하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과 렌즈 홀더 사이에 배치된 추가적인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추가적인 전기 커넥터는 렌즈 홀더에 추가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스프링의 요소 각각에 인가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여, 부분적으로나마 개별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에 반응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렌즈 홀더의 직선운동과 틸팅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코일들과 하나 이상의 자석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하나 이상의 압전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은 하나 이상의 일렉트로-폴리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거쳐, 렌즈 홀더를 접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의 선택적 인가에 반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거쳐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로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스프링의 다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거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코일과 자석, 압전 컴포넌트 및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 컴포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적으로 적용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의 상기 선택적인 인가에 반응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렌즈 홀더의 직선 운동 및 틸팅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장치에 있어서,
    독립적 활동이 가능한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다수의 전기적 신호들을 다수의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에 전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 및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수의 요소들에 상기 다수의 전기적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렌즈 홀더의 직선 운동과 틸팅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이미징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렌즈 홀더 안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를 접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과 상기 렌즈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렌즈 홀더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스프링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에 연결된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을 갖는 스프링의 요소 각각에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인 신호들에 반응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렌즈 홀더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작동장치;
    상기 렌즈를 통해 전달된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캡쳐 컴포넌트;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렌즈의 적당한 보정 운동을 결정하되,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를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의 각각에 인가하여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이 렌즈의 보정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렌즈 홀더와 하우징의 하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전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 각각은 상기 상부 전기 커넥터 및 스프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기 커넥터는 렌즈 홀더에 추가 복원력을 공급하기 위해 추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매커니즘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의 다수의 전기 전도성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요소들 각각에 인가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들에 반응하여 개별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보정 운동은 렌즈 홀더의 직선 운동과 틸팅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징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드라이브 메커니즘들이 하나 이상의 코일과 자석, 압전 컴포넌트,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 컴포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7008287A 2008-10-14 2008-10-14 멀티-드라이브 메커니즘 렌즈 작동장치 KR20110089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8/072680 WO2010043078A1 (en) 2008-10-14 2008-10-14 Multi-drive mechanism lens actu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845A true KR20110089845A (ko) 2011-08-09

Family

ID=4112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287A KR20110089845A (ko) 2008-10-14 2008-10-14 멀티-드라이브 메커니즘 렌즈 작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71089B2 (ko)
KR (1) KR20110089845A (ko)
CN (1) CN101542348B (ko)
WO (1) WO20100430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2066A (zh) * 2016-02-17 2017-08-25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WO2024014714A1 (ko) * 2022-07-15 2024-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1303B2 (ja) * 2009-06-03 2015-01-07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保持ユニット
JP5348235B2 (ja) * 2009-08-21 2013-1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カメラ
US8633991B2 (en) * 2009-12-15 2014-01-2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Image stabilization of compact imaging device
WO2011075892A1 (en) * 2009-12-23 2011-06-3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ens control apparatus
KR101103738B1 (ko) * 2010-05-28 2012-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ag보정이 가능한 MEMS액추에이터 장착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Sag보정 방법
JP2012073478A (ja) * 2010-09-29 2012-04-12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12078555A (ja) * 2010-10-01 2012-04-19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JP2012088477A (ja) * 2010-10-19 2012-05-10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US8521017B2 (en) * 2010-11-15 2013-08-27 DigitalOptics Corporation MEMS MEMS actuator alignment
KR101163640B1 (ko) 2010-12-03 2012-07-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2237895A (ja) 2011-05-12 2012-12-06 Micro Uintekku Kk レンズ駆動装置
JP2012242801A (ja) 2011-05-24 2012-12-10 Micro Uintekku Kk 電磁駆動装置
CN102799046B (zh) * 2011-05-24 2016-07-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稳定模组及成像装置
KR101920314B1 (ko) * 2011-10-31 2019-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4067168B (zh) * 2012-03-05 2017-11-17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模块
KR101349524B1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809263B (zh) * 2013-04-19 2017-01-18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新型的镜头移动装置
CN104253940B (zh) 2013-06-28 2017-11-0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稳定器和包含该稳定器的电子设备
JP6223050B2 (ja) * 2013-08-08 2017-11-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撮影用光学装置
US9599836B2 (en) * 2013-09-13 2017-03-21 Sunming Technologies (Hk) Limited Compact electromagnetic actuator
TWI544723B (zh) * 2013-11-29 2016-08-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電磁驅動模組及應用該電磁驅動模組之鏡頭裝置
CN103905704A (zh) * 2014-04-10 2014-07-02 惠州友华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摄像头及光学图像稳定驱动装置
CN103986300A (zh) * 2014-05-20 2014-08-13 深圳市世尊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镜头运动的3轴音圈马达
JP6410474B2 (ja) * 2014-05-28 2018-10-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駆動機構、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WO2016070361A1 (zh) * 2014-11-05 2016-05-12 爱佩仪光电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有利于生产的微型移轴式光学防抖音圈马达结构及装配方法
CN105759391A (zh) * 2014-12-18 2016-07-13 三星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相机模块
WO2016206074A1 (zh) * 2015-06-26 2016-12-29 爱佩仪光电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抗磁干扰光学防抖音圈马达及其制造方法
JP2017037231A (ja) * 2015-08-11 2017-02-16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TWI659649B (zh) * 2016-04-08 2019-05-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攝像模組
CN107295222B (zh) * 2016-04-13 2021-02-02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照相镜头模块
JP6643720B2 (ja) * 2016-06-24 2020-0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06604027A (zh) * 2017-01-24 2017-04-26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抑制电子设备内摄像头振动杂音的方法
JP6728122B2 (ja) * 2017-11-20 2020-07-22 株式会社タムロン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EP3881133A1 (en) * 2018-11-15 2021-09-22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flange focal length distribution
US11681202B2 (en) * 2019-08-16 2023-06-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11343372A (zh) * 2020-03-23 2020-06-2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213581534U (zh) * 2020-06-30 2021-06-29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11B1 (ko) * 2000-12-08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용 4축구동 액추에이터
JP4724308B2 (ja) * 2001-04-17 2011-07-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ガルバノミラー
JP2003295033A (ja) * 2002-04-02 2003-10-15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CN1465996A (zh) * 2002-07-05 2004-01-07 思考电机(上海)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JP4039303B2 (ja) * 2003-04-17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550907B1 (ko) * 2004-09-02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CN100367064C (zh) * 2004-10-22 2008-02-06 华宇电脑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机构
JP4415268B2 (ja) * 2005-02-15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8058391A (ja) * 2006-08-29 2008-03-13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08122470A (ja) * 2006-11-08 2008-05-29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2066A (zh) * 2016-02-17 2017-08-25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WO2024014714A1 (ko) * 2022-07-15 2024-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1089B2 (ja) 2014-08-13
CN101542348A (zh) 2009-09-23
CN101542348B (zh) 2011-04-20
WO2010043078A1 (en) 2010-04-22
JP2012505433A (ja)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9845A (ko) 멀티-드라이브 메커니즘 렌즈 작동장치
US9002188B2 (en) Multi-drive mechanism lens actuator
US11709374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10893178B2 (en) Camera module
US7519282B2 (en)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lens assembly
KR101696172B1 (ko) 손 떨림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730010B1 (ko) 손 떨림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US11356610B2 (en) Camera device with OIS function by moving an image sensor and optical instrument
KR20170071097A (ko) 광학용 액추에이터
KR20060084130A (ko)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CN112068382A (zh) 一种防抖马达
KR101313066B1 (ko) 렌즈 제어 장치
KR20190002852A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CN212379695U (zh) 一种防抖马达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597176B1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50237240A1 (en) Suspension f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13966606B (zh) 相机装置
CN102124390A (zh) 小型成像装置
CN103207499A (zh) 小型成像装置
KR102416242B1 (ko) 카메라 모듈
KR102416241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262305A1 (en) Camera module
KR101790521B1 (ko) 렌즈 구동 장치
CN117097968A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801

Effective date: 2014091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14

Effective date: 2015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