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296A - 전기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296A
KR20110089296A KR1020117011922A KR20117011922A KR20110089296A KR 20110089296 A KR20110089296 A KR 20110089296A KR 1020117011922 A KR1020117011922 A KR 1020117011922A KR 20117011922 A KR20117011922 A KR 20117011922A KR 20110089296 A KR20110089296 A KR 20110089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cuum cleaner
base
dust collecting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389B1 (ko
Inventor
아쯔시 모리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1008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집진 호스의 동작에 대응시켜 추종성이 양호한 진공 청소기 본체를 갖고, 집진 호스의 만곡에 의한 흡진력의 저하를 억제 가능한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1)는, 기부(17)와, 기부(17)에 제공된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와,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본체부(19)와, 본체부(19)의 피봇축(x)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중심축을 갖는 접속관(33)과, 본체부(19)에 수용되고, 접속관(33)에 연통되게 접속된 진애 분리 집진부(26)와, 본체부(19)에 수용되고,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연통되게 접속된 전동 송풍기(27)와, 접속관(33)에 접속되고,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연통되게 접속된 가요성의 집진 호스(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집진 호스의 만곡에 의한 흡진력의 저하를 억제 가능한 전기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캐니스터형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가 수용된 진공 청소기 본체와, 진공 청소기 본체에 접속된 가요성의 집진 호스와, 집진 호스에 접속된 손잡이 조작관을 구비한다.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 조작관을 끌어당기면, 진공 청소기 본체가 주행된다.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는, 그 저면에 캐스터로 구성된 전륜과, 그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후륜을 구비한다. 또한, 진공 청소기 본체는 그 진행 방향 전방면에 집진 호스가 접속된 접속구를 갖는다.
또한, 다른 예로서,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는, 그 투영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차륜을 구비하고, 그 진행 방향 전방면에 집진 호스가 접속된 접속구를 갖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제2003-190052호 공보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진행 방향 전방에 고정적으로 개구된 접속구를 갖는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집진 호스를 취급하면, 집진 호스가 만곡되기 쉽다. 예를 들어, 바닥면 등의 대략 수평인 피청소면 상에서는, 흡입구체(floor suction fitting)의 전후 동작에 맞추어 집진 호스가 상하 이동한다. 또한, 벽면 등의 대략 수직인 피청소면 상에서는, 집진 호스가 연직 상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집진 호스의 움직임은, 진공 청소기 본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접속구에 대하여, 집진 호스의 만곡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집진 호스의 만곡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집진 호스가 굴곡에 의해 폐색되면, 전동 송풍기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또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의 청소 동작에 수반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의 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호스를 끌어당기는 방향에 따라서는, 진공 청소기 본체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뒤집히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집진 호스가 끌어당겨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방향을 급격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전방부가 순간적으로 부상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캐스터가 피청소면에 부딪치게 되어 비정상적인 소음이 발생하여, 전기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호스로부터 진공 청소기 본체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대응시켜, 진공 청소기 본체를 추종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호스가 끌어당겨지는 것에 의한 피청소면을 따르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병진 운동, 집진 호스의 상하 이동에 의한 진공 청소기 본체의 피봇 운동 및 집진 호스의 좌우 이동에 의한 진공 청소기 본체의 선회 운동과, 집진 호스의 만곡의 억제를, 본체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차륜과, 진공 청소기 본체의 무게중심 위치에 의해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집진 호스를 끌어당겨서 진공 청소기 본체를 선회시키고자 하면, 한 쌍의 차륜의 어느 쪽의 접촉점을 선회축으로 하면서 진공 청소기 본체가 선회한다. 그러므로, 집진 호스는 과대하게 만곡되어, 전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집진 호스의 동작에 대응시켜 추종성이 양호한 진공 청소기 본체를 가지며, 집진 호스의 만곡에 의한 흡진력의 저하를 억제 가능한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설치된 엘리베이션(elevation) 피봇 지지부와, 상기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봇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중심축을 갖는 접속관과,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접속관에 연통되게 접속된 진애 분리 집진부와,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진애 분리 집진부에 연통되게 접속된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진애 분리 집진부에 연통되게 접속된 가요성의 집진 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 호스의 동작에 대응시켜 추종성이 양호한 진공 청소기 본체를 가지며, 집진 호스의 만곡에 의한 흡진력의 저하를 억제 가능한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다른 예의 단면도.
본 발명에 관한 전동 송풍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1)는, 진공 청소기 본체(2)와, 집진 호스(3)와, 손잡이 조작관(4)과, 파지부(5)와, 조작부(6)와, 연장관(7)과, 흡입구체(8)를 포함한다.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접속구(2a)를 포함한다. 접속구(2a)에는, 집진 호스(3)의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진공 청소기 본체(2)는, 피청소면(F)에 놓여지는 기부(17)와, 기부(17)에 설치된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와,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의 피봇축(x) 주위로 피봇(도 1 및 도 4 중, 실선 화살표 Rx 방향) 가능하게 지지된 본체부(19)를 포함한다.
기부(17)는, 피청소면(F)에 놓여지는 기부 본체(21)와, 기부 본체(21)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부(22)와, 본체부(19)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차 전지(23)를 포함한다.
기부 본체(21)의 저면에는, 적어도 3개의 캐스터(24)(차륜)가 설치된다. 캐스터(24)는, 진공 청소기 본체(2)를 대략 수평인 피청소면(F)에 두었을 때, 피청소면(F)에 대한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무게중심의 정투영 위치가, 각각의 캐스터(24)를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 예를 들어, 캐스터(24)가 3개인 경우에는 삼각형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캐스터(24)는, 기부 본체(21) 저면의 외주연 근방에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캐스터(24)에 의해 피청소면(F) 상에서 안정된 선회 동작, 주행 동작이 가능해진다.
선회대부(22)는, 기부 본체(21)의 선회축(z) 주위로 선회(도 1 및 도 3 중, 실선 화살표 Rz 방향) 가능하게 지지된다. 선회축(z)은, 진공 청소기 본체(2)를 피청소면(F)에 두면, 피청소면(F)의 법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축(z)은, 진공 청소기 본체(2)를 대략 수평인 바닥 등의 피청소면(F)에 두면, 대략 연직으로 된다. 선회대부(22)는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를 갖는다.
이차 전지(23)는 기부(17)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차 전지(23)는, 본체부(19) 둘레에 배치된다. 또한, 이차 전지(23)는, 본체부(19)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해도 되고,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 근방의 본체부(19)의 측방만을 둘러싸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이차 전지(23)는, 기부 본체(21) 및 선회대부(22) 중 어느 것에 수용시켜도 된다.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는, 본체부(19)를 피봇축(x) 주위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한다. 피봇축(x)은, 진공 청소기 본체(2)를 대략 수평인 바닥 등의 피청소면(F)에 두면, 피청소면(F)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진다.
본체부(19)는,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에 의해, 기부(17)가 놓여지는 면인 피청소면(F)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상태로부터, 다른 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상태까지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회대부(22)에 의해, 피청소면의 법선 주위로 360°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체부(19) 및 선회대부(22)는, 기부 본체(21)에 의해 일체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체부(19)에는, 진애 분리 집진부(26)와, 전동 송풍기(27)가 포함된다. 또한, 본체부(19)는, 본체 핸들(28)(본체 파지부)과, 전동 송풍기(27)의 배기가 토출되는 본체 배기구(도시 생략)를 갖는다.
본체부(19)는, 집진 호스(3)가 접속된 접속구(2a)를 갖는다. 본체부(19)는, 집진 호스(3)가 끌어당겨져, 진공 청소기 본체(2)가 끌어당겨지면, 기부(17)가 놓여지는 면인 피청소면(F)에 대하여, 적절하게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9)는, 집진 호스(3)의 끌어당김에 추종하여 적절하게 상하로 움직인다. 예를 들어, 집진 호스(3)가 피청소면에 대략 수평인 일방향으로 끌어당겨지면, 본체부(19)는, 접속구(2a)를 대략 수평인 일방향을 향하여 추종하게 한다(도 4 중, 실선 화살표 A). 또한, 본체부(19)는, 집진 호스(3)가 피청소면에 대략 수직으로 끌어당겨지면, 접속구(2a)를 대략 상방향을 향하여 추종하게 한다(도 4 중, 실선 화살표 B). 또한, 본체부(19)는, 집진 호스(3)가 피청소면에 대략 수평인 다른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면, 접속구(2a)를 대략 수평인 다른 방향을 향하여 추종하게 한다(도 4 중, 실선 화살표 C). 또한, 본체부(19)는, 피봇 가능한 범위에서, 집진 호스(3)의 끌어당김에 추종하여 적절하게 접속구(2a)의 방향을 변경시킨다. 이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1)는,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끌어당겨짐에 수반하는 집진 호스(3)의 만곡이 억제되어, 집진 호스(3)의 만곡에 의한 흡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 본체(2)는, 클릭 기구(30)(결합 분리 기구)를 구비한다. 클릭 기구(30)는,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30a)와, 본체부(19)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를 구비한다. 클릭 기구(30)는, 서로 결합 분리 가능한 걸림 갈고리(30a) 및 걸림 오목부(30b)에 의해 본체부(19)를 소정의 내려본 각(俯角) 또는 올려본 각(仰角)으로 임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클릭 기구(30)는, 걸림 갈고리(30a)와 걸림 오목부(30b)가 서로 걸리면, 피봇 가능한 본체부(19)를 적절한 피봇 위치에서 임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릭 기구(30)는, 진공 청소기 본체(2)를 대략 수평인 바닥 등의 피청소면(F)에 두었을 때, 접속구(2a)가 연직 상향의 상태에서 본체부(19)를 임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집진 호스(3)는 가요성을 갖고, 만곡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집진 호스(3)의 일단부는, 접속구(2a)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집진 호스(3)는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연통되게 접속된다.
손잡이 조작관(4)의 일단부는, 집진 호스(3)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손잡이 조작관(4)은, 집진 호스(3)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연통되게 접속된다.
파지부(5)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가 파지하여 전기 진공 청소기(1)를 조작하는 것이다. 파지부(5)는 손잡이 조작관(4)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되고, 집진 호스(3)가 설치된 손잡이 조작관(4)의 일단부를 향하여 만곡시켜 형성된다.
조작부(6)는 파지부(5)에 설치된다.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6)를 조작하여 전기 진공 청소기(1)를 복수의 구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조작부(6)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오프 스위치(6a) 및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운전을 개시시키는 기동 스위치(6b)를 포함한다.
연장관(7)은,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관(7)은, 복수의 통형체를 중첩하여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된다. 연장관(7)의 일단부는, 손잡이 조작관(4)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연장관(7)은, 손잡이 조작관(4) 및 집진 호스(3)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연통되게 접속된다.
흡입구체(8)는, 연장관(7)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흡입구체(8)는, 연장관(7), 손잡이 조작관(4) 및 집진 호스(3)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연통되게 접속된다. 흡입구체(8)는 흡입구(도시 생략)를 갖는다. 흡입구는 바닥면 등의 피청소면(F)에 흡입구체(8)를 두면, 피청소면(F)에 대향된다.
전기 진공 청소기(1)는, 조작부(6)의 기동 스위치(6b)가 눌려지면, 전동 송풍기(27)가 운전을 개시하고,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부압이 작용하도록 작동한다. 이 부압은 접속구(2a)로부터 집진 호스(3)와 손잡이 조작관(4)과 연장관(7)을 거쳐서 흡입구체(8)에 작용한다. 그렇게 하면, 전기 진공 청소기(1)는 흡입구체(8)의 흡입구로부터 피청소면(F)에 저류된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F)을 청소한다. 흡입구체(8)에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는, 진공 청소기 본체(2)에 수용된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의해 공기와 진애로 분리된다. 분리된 진애는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집진된다. 한편, 분리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27)를 통과하여, 본체 배기구로부터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공 청소기 본체(2)는, 기부(17)와,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와, 본체부(19)를 포함한다.
기부(17)는 기부 본체(21)와, 선회대부(22)를 포함한다.
기부 본체(21)의 캐스터(24)는, 기부 본체(21)의 저면에 설치된 캐스터축(32)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캐스터축(32)의 선회축(Rc)은, 기부(17)가 놓여지고, 캐스터(24)가 접촉되는 면인 피청소면(F)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캐스터축(32)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된다. 캐스터축(32)의 선회축(Rc)은, 캐스터(24)의 차축(24a)에 교차하지 않고, 서로 비틀린(twisted) 위치에 있다.
본체부(19)는,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a)를 갖는 접속관(33)과, 접속관(33)에 연통되게 접속된 진애 분리 집진부(26)와,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연통되게 접속된 전동 송풍기(27)를 포함한다.
접속관(33)의 개구 단부는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a)이다. 접속관(33)은, 피봇축(x)에 직교하는 평면(예를 들어, 도 5의 단면)을 따르는 어느 한 방향으로 중심축(c)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관(33)은, 그 중심축(c)이 피봇축(x)에 직교하는 면을 따라, 또한 접속구(2a)가 피봇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또한, 피봇축(x)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체부(19)는, 피봇축(x)에 대하여 축 대칭으로 배치된 본체 핸들(28a, 28b)(본체 파지부, 제2 본체 파지부)을 구비한다. 본체 핸들(28a)은, 기부(17)가 놓여지는 면인 피청소면(F)에 대하여, 본체부(19)가 한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피봇 위치에 있어서 파지(grip) 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본체 핸들(28b)은, 기부(17)가 놓여지는 면인 피청소면(F)에 대하여, 본체부(19)가 다른 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피봇 위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게 제공된다. 진공 청소기 본체(2)는, 본체 핸들(28a, 28b)에 의해, 본체부(19)가 어떠한 피봇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어도 운반할 수 있다. 본체 핸들(28a, 28b)에 의해, 진공 청소기 본체(2)의 가반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청소 동작을 설명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우선,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a)에 집진 호스(3)를 접속한다. 다음에,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손잡이 조작관(4)에 연장관(7)을 접속한다. 다음에,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연장관(7)에 흡입구체(8)를 접속한다.
다음에,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흡입구체(8)를 바닥면 등의 피청소면(F) 상에 두고서, 파지부(5)를 파지하여 기동 스위치(6b)를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기동 스위치(6b)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27)가 작동한다.
다음으로,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파지부(5)를 파지한 채로 손잡이 조작관(4) 및 연장관(7)을 이동시켜, 흡입구체(8)를 주행시킨다.
이때, 예를 들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가 파지부(5)를 전후로 반복하여 이동시켜 피청소면(F)을 청소하면, 손잡이 조작관(4), 연장관(7) 및 흡입구체(8)는 전후로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본체부(19)는,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추종하여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의 피봇축(x) 주위로 피봇 운동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가, 파지부(5)를 상하로 반복하여 이동시켜 벽을 청소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가 급격하게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파지부(5)를 끌어당기면,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선회대부(22) 또는 캐스터(24)에 의해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추종하여 선회축(z) 주위로 선회 운동한다.
또한,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가 피청소 장소를 이동하기 위하여 파지부(5)를 끌어당기면,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 선회대부(22) 및 캐스터(24)에 의해,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추종하여 상하 운동 및 선회 운동함과 함께, 피청소면(F) 상을 주행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 선회대부(22) 및 캐스터(24)에 의해, 본체부(19)의 운동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수반하는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추종하도록 함으로써,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억제시킨다. 또한,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집진 호스(3)로부터 전달되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본체부(19)의 접속구(2a)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집진 호스(3)의 만곡이 억제됨으로써, 집진 호스(3)의 만곡에 수반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흡입 성능의 저하도 억제된다.
한편, 피청소면(F) 상의 진애는, 공기와 함께 흡입구체(8)의 흡입구에 흡입된다. 흡입구체(8)에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는, 연장관(7)과 손잡이 조작관(4)과 집진 호스(3)를 이러한 순서로 통과한 후,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a)를 거쳐서,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흡입된다.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는, 진애 분리 집진부(26)로 안내된다. 여기서, 먼지 함유 공기는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의해 공기와, 진애로 분리된다. 분리된 진애는 진애 분리 집진부(26)에 의해 포집된다. 한편, 분리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27)에 흡기되고, 또한 전동 송풍기(27)를 냉각하면서 통과하고, 또한 본체 배기구로부터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외부로 배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공 청소기 본체(2A)는, 기부(17A)와,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와, 본체부(19)를 포함한다.
기부(17A)는, 기부 본체(21A)와, 선회대부(22)를 포함한다.
기부 본체(21A)는 코드 릴(35)을 구비한다. 코드 릴(35)은 기부 본체(21A)에 수용된다. 코드 릴(35)의 회전축은, 선회대부(22)의 회전 축심에 일치시켜 배치된다. 코드 릴(35)에는 전원 코드(36)가 권회된다. 전원 코드(36)는 본체부(19)의 전동 송풍기(27)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코드(36)의 자유 단부에는 전원 플러그(3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 본체(2A)는, 전원 코드(36)가 설치된 기부 본체(21A)의 상태에 관계없이, 본체부(19)의 피봇 운동 및 선회 운동에 의해, 전원 코드(36)가 진공 청소기 본체(2A)에 휘감김 또는 권회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 선회대부(22) 및 캐스터(24)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수반하는 집진 호스(3)의 움직임에 본체부(19)의 운동을 추종시킴으로써, 집진 호스(3)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1)는 집진 호스(3)의 만곡에 의한 흡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진공 청소기(1)는 집진 호스(3)의 굴곡을 피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 선회대부(22) 및 캐스터(24)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수반하는 집진 호스(3)의 움직임에 본체부(19)의 운동을 추종시킴으로써, 집진 호스(3)로부터 전달되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본체부(19)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집진 호스(3)로부터 전달되는 인장력을 받는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2)는, 옆으로 넘어지거나, 뒤집히거나 하는 일 없이, 원활한 병진 이동, 선회 운동 및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방향을 급격하게 변경시켜도,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캐스터(24)가 피청소면(F)에 부딪치게 되는 일이 없어, 비정상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병진 이동은 캐스터(24)에 의해, 또한 선회 운동은 캐스터(24) 및 선회대부(22)에 의해, 또한 피봇 운동은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18)에 의해, 각각 독립으로 행해지므로, 집진 호스(3)의 만곡에 대응시킨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선회 및 피봇과, 집진 호스(3)가 끌어당겨짐에 의한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병진 운동을 매우 경쾌하고 스무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기부(17)에 이차 전지(23)를 수용함으로써, 본체부(19)의 중량을 최대한 가볍게 할 수 있으므로, 피봇 운동의 경쾌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기부 본체(21A)에 전원 코드(36) 및 코드 릴(35)을 수용함으로써, 선회대부(22) 및 본체부(19)의 선회 운동중에, 진공 청소기 본체(2)에 전원 코드(36)가 권회 또는 휘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본체부(19)에 본체 핸들(28a, 28b)이 설치되므로, 본체부(19)의 가반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에 따르면, 집진 호스(3)의 동작에 대응시켜 추종성이 양호한 진공 청소기 본체(2)를 제공하여, 집진 호스(3)의 만곡에 의한 흡진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1: 전기 진공 청소기
2, 2A: 진공 청소기 본체
2a: 접속구
3: 집진 호스
4: 손잡이 조작관
5: 파지부
6: 조작부
6a: 오프 스위치
6b: 기동 스위치
7: 연장관
8: 흡입구체
17, 17A: 기부
18: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
19: 본체부
21, 21A: 기부 본체
22: 선회대부
23: 2차 전지
24: 캐스터
24a: 차축
26: 진애 분리 집진부
27: 전동 송풍기
28: 본체 핸들
30: 클릭 기구
30a: 걸림 갈고리
30b: 걸림 오목부
32: 캐스터축
33: 접속관
35: 코드 릴
36: 전원 코드
37: 전원 플러그

Claims (10)

  1. 기부(base unit)와,
    상기 기부에 설치된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와,
    상기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피봇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중심축을 갖는 접속관과,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접속관에 연통되게 접속된 진애 분리 집진부와,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진애 분리 집진부에 연통되게 접속된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진애 분리 집진부에 연통되게 접속된 가요성의 집진 호스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적어도 3개의 차륜을 갖는, 전기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상기 차륜이 접촉되는 면에 수직인 선회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차륜의 차축과 상기 선회축이 비스듬한(skewed) 위치에 있는, 전기 진공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기부 본체와,
    상기 기부 본체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엘리베이션 피봇 지지부를 갖는 선회대부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수용되며,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위치에 제공된 상기 전동 송풍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차 전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전동 송풍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기부가 놓여지는 면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상태로부터 다른 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상태까지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가 놓여지는 면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을 배향시켜 상기 본체부를 임시 고정 가능한 결합 분리 기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가 놓여지는 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가 한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피봇 위치에서 파지(grip) 가능한 본체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가 놓여지는 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가 다른 쪽 방향으로 대략 평행인 피봇 위치에서 파지 가능한 제2 본체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KR1020117011922A 2008-11-26 2009-11-26 전기 진공 청소기 KR101284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1583A JP5135182B2 (ja) 2008-11-26 2008-11-26 電気掃除機
JPJP-P-2008-301583 2008-11-26
PCT/JP2009/069922 WO2010061874A1 (ja) 2008-11-26 2009-11-26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296A true KR20110089296A (ko) 2011-08-05
KR101284389B1 KR101284389B1 (ko) 2013-07-09

Family

ID=4222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922A KR101284389B1 (ko) 2008-11-26 2009-11-26 전기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68472B1 (ko)
JP (1) JP5135182B2 (ko)
KR (1) KR101284389B1 (ko)
CN (1) CN102227184B (ko)
RU (1) RU2472421C1 (ko)
WO (1) WO2010061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813B1 (ko) * 2012-02-21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이동 청소기 및 이의 이동 방법
KR102082746B1 (ko) * 2013-06-11 2020-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2083800B1 (ko) * 2013-06-1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GB2542197B (en) * 2015-09-14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N111374589B (zh) 2016-02-29 2022-05-27 Lg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716A (en) * 1988-10-07 1992-09-08 Hitachi, Ltd. Electric clean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unt base and bumper for electric cleaner
JP2508006Y2 (ja) * 1990-03-02 1996-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JPH03111247U (ko) * 1990-03-02 1991-11-14
JPH1147043A (ja) * 1997-07-30 1999-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017357A (ja) * 1999-07-08 2001-01-23 Sharp Corp 電気掃除機
JP2001314356A (ja) * 2000-03-01 2001-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DE60134804D1 (de) * 2000-03-01 2008-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sches Reinigungsgerät
JP2002355199A (ja) * 2001-09-20 2002-12-1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3781676B2 (ja) * 2001-12-27 2006-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172288B2 (ja) * 2003-02-20 2008-10-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60034851A (ko) * 2004-10-20 2006-04-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8472A4 (en) 2014-04-16
JP2010125008A (ja) 2010-06-10
CN102227184A (zh) 2011-10-26
KR101284389B1 (ko) 2013-07-09
RU2472421C1 (ru) 2013-01-20
JP5135182B2 (ja) 2013-01-30
CN102227184B (zh) 2014-06-18
EP2368472A1 (en) 2011-09-28
EP2368472B1 (en) 2016-12-21
WO2010061874A1 (ja)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279B2 (en) Vacuum cleaner
KR101284389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JP3977967B2 (ja) 電気掃除機
WO2010061873A1 (ja) 電気掃除機
JP306635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4779537B2 (ja) 電気掃除機
JP2007130169A (ja) 電気掃除機
JP2014221130A (ja) 電気掃除機
JP3066369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5027829A (ja) 電気掃除機
JP5104534B2 (ja) 電気掃除機
JP2006255305A (ja) キャニスター型電気掃除機
JP4434970B2 (ja) 電気掃除機
TWI623294B (zh) 打掃工具及真空吸塵器
JP306636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19025146A (ja) 電気掃除機
JP4519662B2 (ja) 電気掃除機
JP2002034868A (ja) 電気掃除機
JP2014200536A (ja) 電気掃除機
JP4128071B2 (ja) 電気掃除機
JP2010125039A (ja) 電気掃除機
JP2006034655A (ja) 電気掃除機
JP2014168606A (ja) 電気掃除機
JP2020114281A (ja) 電気掃除機
JP2014200533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