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991A -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991A
KR20110088991A KR1020100008767A KR20100008767A KR20110088991A KR 20110088991 A KR20110088991 A KR 20110088991A KR 1020100008767 A KR1020100008767 A KR 1020100008767A KR 20100008767 A KR20100008767 A KR 20100008767A KR 20110088991 A KR20110088991 A KR 2011008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hch
formula
compound
nhc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형
당테흥
유은숙
강경진
홍종기
정해영
김형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991A/ko
Publication of KR2011008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 C07C22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25/1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0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7C233/09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Y10S514/885
    • Y10S514/88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LPS-활성화 RAW 264.7 세포에서 NO, iNOS,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New cannabinoid analogue and medical use thereof}
본 발명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 iNOS,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의 조절이 염증 관련 질환의 병인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이러한 염증 반응은 다양한 신호전달 예를들어, 사이클로옥시게네이즈, NO 신테이즈, 사이토카인 등의 순차적인 활성화와 관련된다.
NO, iNOS, IL-6, IL-1β, TNF-α 등을 포함한 염증성 매개물의 과도한 생성은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건선, 내독소혈증, 독성쇼크증후군과 같은 염증질환을 매개한다.
또한, 이러한 염증성 매개물은 장기 이식,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관련 질환을 매개한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은 크게 급성 염증 반응(Acute inflammation)과 만성 염증 반응(Chronic inflamm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 염증 반응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항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급속하게 발생하는 반응이다.
급성 염증 과정의 시작은 인터루킨-1β(interleukin-1 beta), 인터루킨-6(interleukin-6),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orsis factor-alpha;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유도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등과 같은 염증 매개 물질 합성 유전자들의 증가를 동반하게 된다.
이처럼 분비된 염증 조절 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 세포들이 유입된 항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항원이 모두 제거되면 더 이상의 진행은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급성 염증 반응이 인체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나, 백일해(pertussis) 등 일부 만성염증질환으로 발전하는 경우에는 IL-23의 발현이 증가하여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Infect. Immun., 73: 1590-1597, 2005).
급성과 달리 만성 염증 반응은 외부 항원보다는 인체 내부적 요인에 의해 장기간 동안 진행되는 염증 반응으로 대식 세포에 의한 단순 염증 반응이 아닌 대식 세포, 호중구와 T 림프구가 포함된 염증 반응으로 IL-17 및 IL-23의 발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한 TNF-α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일어난다(Trends in Immunol, 27: 17-23, 2006).
이와 같은 만성염증질환의 치료는 고전적으로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스테로이드에 의한 염증 억제제, 나프록센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치료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및 사이클로스포린이나 FK506과 같이 칼슘 및 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인산화 효소인 칼시뉴린(calcineurin)에 결합하여 그 작용을 억제하는 면역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왔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로이드를 비롯한 면역억제제들은 신독성, 감염, 임파종, 당뇨병, 진전(tremor), 두통, 설사, 고혈압, 오심,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현재 사용되는 염증질환 치료제 및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염증 매개물의 과잉발현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약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 iNOS,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R은 -NHR1이고, R1은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아세틸,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릭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 및 m은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R1은 -NHCH(CH3)2, -NHCH2CH2OH, -NHCH(CH3)CH2OH, -NHCH2CH2Cl, -NHCH2CH(OH)CH2OH, -NHCH2COOH, -NHC8H10O2, -NHC9H12O2 또는 -NHC10H11NO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 R1은 -NHCH(CH3)2, -NHCH2CH2OH, -NHCH(CH3)CH2OH, -NHCH2CH2Cl, -NHCH2CH(OH)CH2OH, -NHCH2COOH, -NHC8H10O2, -NHC9H12O2 또는 -NHC10H11NO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R1이 -NHCH(CH3)2, -NHCH2CH2OH, -NHCH(CH3)CH2OH, -NHCH2CH2Cl, -NHCH2CH(OH)CH2OH, -NHCH2COOH, -NHC8H10O2, -NHC9H12O2 또는 -NHC10H11NO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이 1 내지 7의 정수이고, m이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N-아실아마이드류 및 이의 할로겐 유도체; N-아실에탄올아민류 및 이의 효소적 가수분해 저항성 유도체; N-아실아미노산류; N-아실도파민류; N-아실세로토닌류; 및 N-아실아미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R2 내지 R4는 아실이며, N-아실아미노산류의 R3는 다양한 아미노산을 정의하는 기능기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N-아실아마이드류(1-4,31,39,47,56,64,71) 및 이의 할로겐 유도체(13-16,34,42,50,59,67,74); 상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N-아실에탄올아민류(5-8,32,40,48,57,65,72) 및 이의 효소적 가수분해 저항성 유도체(9-12,33,41,49,58,66,73); 상기 화학식 4(c)로 표시되는 N-아실아미노산류(21,22,36,44,52,61,76); 상기 화학식 4(d)로 표시되는 N-아실도파민류(23-26,37,45,53,62,69,77); 상기 화학식 4(e)로 표시되는 N-아실세로토닌류(27-30,38,46,54,63,70,78); 및 상기 화학식 4(f)로 표시되는 N-아실아미노프로판디올(17-20,35,43,51,60,68,7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건선, 내독소혈증, 독성쇼크증후군, 장기 이식,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수구체 신염, 뇌척수염,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새로 합성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세포에서 NO, iNOS,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실온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 하에서 2-(1H-벤조트리아졸-1-일)-1,2,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와 트리에틸아민(TEA)의 존재 하에 각각의 지방산 성분들이 다양한 아민들과 반응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합성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 iNOS,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과 mRNA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N-아실도파민류(23-26,37,45,53,62,69,77)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유도체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소량으로 함유되면 약효 발생의 저하가 야기될 수 있는 반면, 다량으로 함유되면 복통, 설사, 오심, 구토와 같은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 내지 1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마우스에서 복강투여하여 급성독성 실험한 결과, ID50가 20 mg/kg 이상인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본 발명의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 iNOS,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건선, 내독소혈증, 독성쇼크증후군과 같이 염증성 매개물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질환의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장기 이식,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자가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써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의 NO 생성에 관한 억제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기에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공통적인 분석방법
이후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에 관한 1H 및 13C 스펙트럼은 Varian Inova 400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기록되었고, 화학적 이동은 관련 잔류 용매 또는 중수소 용매 피크(δH 7.24 및 δC 77.0 for CDCl3)와 관련하여 기록되었다. 또, FABMS 데이터는 JEOLJMS SX-102A 분광분석기에서 얻어졌다. 그리고, HPLC는 Shodex RI-71 검출기를 이용하여 YMC ODS-H80 컬럼(250 X 10 mm, 4㎛, 80Å) 및 C18-5E Shodex packed column(250 X 10 mm, 5㎛, 100Å)로 수행하였다. 사용된 화학약품은 시그마-알드리치사로부터 구입하였고,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E )- N -이소프로필-11-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Isopropyl-11-oxooctadec-9-enyl amide; 1]
다양한 아실기와 아민 헤드를 지닌 하기 모든 지방산 아마이드는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합성되었다. 즉,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된 화합물 C1(3mg)과 트리에틸아민(TEA, 2당량)의 혼합물에 2-(1H-벤조트리아졸-1-일)-1,2,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1당량)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이소프로필아민(2당량)을 첨가하였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물로 세정하고, 건조하며, 농축한 농축물을 80% 수용성 CH3CN으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1.5mg, 63%)를 합성하였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6.92 (1H, dt, J = 16.4, 7.2 Hz, H-9), 6.11 (1H, dt, J= 16.4, 1.2 Hz, H-10), 5.19 (1H, brs, NH), 4.07 (1H, m, -CH(CH3)2), 2.57 (2H, t, J= 7.6 Hz, H-12), 2.25 (4H, m, H-2, H-8), 1.59 (4H, m, H-3, H-13), 1.49 (2H, m, H-7), 1.34-1.30 (14H, m, CH2), 1.13 (6H, d, J = 6.8 Hz, -(CH3)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60 [M + Na]+.
<실시예 3> ( E )- N -이소프로필-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N -Isopropyl-10-oxooctadec-8-enyl amide; 2]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4 (1H, dt, J = 16.0, 6.5 Hz, H-8),6.13 (1H, dt, J = 16.0, 1.5 Hz, H-9), 5.19 (1H, brs, NH), 4.07 (1H, m, -CH(CH3)2), 2.58 (2H, t, J = 7.5 Hz, H-11), 2.27 (4H, m, H-2, H-7), 1.62 (4H, m, H-3, H-12), 1.51 (2H, m, H-6), 1.401.33 (14H, m, CH2), 1.13 (6H, d, J = 6.8 Hz, -(CH3)2), 0.92 (3H, t, J = 6.5 Hz, H-18); FABMS m/z 360 [M + Na]+.
<실시예 4> (E)- N -이소프로필-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Isopropyl-9-oxooctadec-10-enyl amide; 3]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4.0, 7.0 Hz, H-11),6.10 (1H, dt, J = 14.0, 1.5 Hz, H-10), 5.19 (1H, brs, NH), 4.07 (1H, m, -CH(CH3)2), 2.58 (2H, t, J = 7.5 Hz, H-8), 2.25 (4H, m, H-2, H-12), 1.58 (4H, m, H-3, H-7), 1.49 (2H, m, H-13), 1.331.28 (14H, m, CH2), 1.13 (6H, d, J = 6.8 Hz, -(CH3)2), 0.90 (3H, t, J = 7.0 Hz, H-18); FABMS m/z 360 [M + Na]+.
<실시예 5> (E)- N- 이소프로필-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Isopropyl-8-oxooctadec-9-enyl amide; 4]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6.0, 7.6 Hz, H-10), 6.10 (1H, dt, J = 16.0, 1.4 Hz, H-9), 5.19 (1H, brs, NH), 4.07 (1H, m, -CH(CH3)2),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14H, m, CH2), 1.13 (6H, d, J = 6.8 Hz, -(CH3)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60 [M + Na]+.
<실시예 6> (E)- N -하이드록시에틸-11-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Hydroxyethyl-11-oxooctadec-9-enyl amide; 5]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6.92 (1H, dt, J = 16.4, 7.2 Hz, H-9), 6.11 (1H, dt, J = 16.4, 1.2 Hz, H-10), 5.91 (1H, brs, NH), 3.73 (2H, t, J = 5.6 Hz, -CH 2 CH2OH), 3.44 (2H, quint, J = 6.0 Hz, -CH 2 OH), 2.57 (2H, t, J = 7.6 Hz, H-12), 2.25 (4H, m, H-2, H-8), 1.59 (4H, m, H-3, H-13), 1.49 (2H, m, H-7), 1.34-1.30(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62[M + Na]+.
<실시예 7> (E)- N -하이드록시에틸-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N -Hydroxyethyl-10-oxooctadec-8-enyl amide; 6]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4 (1H, dt, J = 16.0, 6.5 Hz, H-8), 6.13 (1H, dt, J = 16.0, 1.5 Hz, H-9), 5.91 (1H, brs, NH), 3.73 (2H, t, J = 5.6 Hz, -CH 2 CH2OH), 3.44 (2H, quint, J = 6.0 Hz, -CH 2 OH), 2.58 (2H, t, J = 7.5 Hz, H-11), 2.27 (4H, m, H-2, H-7), 1.62 (4H, m, H-3, H-12), 1.51 (2H, m, H-6), 1.401.33 (14H, m, CH2), 0.92 (3H, t, J = 6.5 Hz, H-18); FABMS m/z 362 [M + Na]+.
<실시예 8> (E)- N -하이드록시에틸-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Hydroxyethyl-9-oxooctadec-10-enyl amide; 7]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4.0, 7.0 Hz, H-11), 6.10 (1H, dt, J = 14.0, 1.5 Hz, H-10), 5.91 (1H, brs, NH), 3.73 (2H, t, J = 5.6 Hz, -CH 2 CH2OH), 3.44 (2H, quint, J = 6.0 Hz, -CH 2 OH), 2.58 (2H, t, J = 7.5 Hz, H-8), 2.25 (4H, m, H-2, H-12), 1.58 (4H, m, H-3, H-7), 1.49 (2H, m, H-13), 1.331.28 (14H, m, CH2), 0.90 (3H, t, J = 7.0 Hz, H-18); FABMS m/z 362 [M + Na]+.
<실시예 9> (E)- N -하이드록시에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Hydroxyethyl-8-oxooctadec-9-enyl amide; 8]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6.0, 7.6 Hz, H-10), 6.10 (1H, dt, J = 16.0, 1.4 Hz, H-9), 5.91 (1H, brs, NH), 3.73 (2H, t, J = 5.6 Hz, -CH 2 CH2OH), 3.44 (2H, quint, J = 6.0 Hz, -CH 2 OH),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62 [M + Na]+.
<실시예 10> ( E )-( R )- N -하이드록시에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R )- N -(2-Hydroxyethyl-1-methyl)-11-oxooctadec-9-enyl amide; 9]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6.92 (1H, dt, J = 16.4, 7.2 Hz, H-9), 6.11 (1H, dt, J = 16.4, 1.2 Hz, H-10), 5.63 (1H, brs, NH), 4.05 (1H, m, -CHCH2OH), 3.66 (1H, m, -CH b OH), 3.53 (1H, m, -CH a OH), 2.57 (2H, t, J = 7.6 Hz, H-12), 2.25 (4H, m, H-2, H-8), 1.59 (4H, m, H-3, H-13), 1.49 (2H, m, H-7), 1.34-1.30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76 [M + Na]+.
<실시예 11> ( E )-( R )- N -(2-하이드록시에틸-1-메틸)-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R )- N -(2-Hydroxyethyl-1-methyl)-10-oxooctadec-8-enyl amide; 10]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4 (1H, dt, J = 16.0, 6.5 Hz, H-8), 6.13 (1H, dt, J = 16.0, 1.5 Hz, H-9), 5.63 (1H, brs, NH), 4.05 (1H, m, -CHCH2OH), 3.66 (1H, m, -CH bOH), 3.53 (1H, m, -CH aOH), 2.58 (2H, t, J = 7.5 Hz, H-11), 2.27 (4H, m, H-2, H-7), 1.62 (4H, m, H-3, H-12), 1.51 (2H, m, H-6), 1.401.33 (14H, m, CH2), 0.92 (3H, t, J= 6.5 Hz, H-18); FABMS m/z 376 [M + Na]+.
<실시예 12> ( E )-( R )- N -(2-하이드록시에틸-1-메틸)-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R )- N -(2-Hydroxyethyl-1-methyl)-9-oxooctadec-10-enyl amide; 11]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4.0, 7.0 Hz, H-11), 6.10 (1H, dt, J = 14.0, 1.5 Hz, H-10), 5.63 (1H, brs, NH), 4.05 (1H, m, -CHCH2OH), 3.66 (1H, m, -CH b OH), 3.53 (1H, m, -CH a OH), 2.58 (2H, t, J = 7.5 Hz, H-8), 2.25 (4H, m, H-2, H-12), 1.58 (4H, m, H-3, H-7), 1.49 (2H, m, H-13), 1.331.28 (14H, m, CH2), 0.90 (3H, t, J= 7.0 Hz, H-18); FABMS m/z 376 [M + Na]+.
<실시예 13> ( E )-( R )- N -(2-하이드록시에틸-1-메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R )- N -(2-Hydroxyethyl-1-methyl)-8-oxooctadec-9-enyl amide; 12]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6.0, 7.6 Hz, H-10), 6.10 (1H, dt, J = 16.0, 1.4 Hz, H-9), 5.63 (1H, brs, NH), 4.05 (1H, m, -CHCH2OH), 3.66 (1H, m, -CH b OH), 3.53 (1H, m, -CH a OH),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76 [M + Na]+.
<실시예 14> ( E )- N -클로로에틸-11-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Chloroethyl-11-oxooctadec-9-enyl amide; 13]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6.92 (1H, dt, J = 16.4, 7.2 Hz, H-9), 6.11 (1H, dt, J = 16.4, 1.2 Hz, H-10), 5.80 (1H, brs, NH), 3.60 (4H, m, -(CH 2 )2Cl), 2.57 (2H, t, J = 7.6 Hz, H-12), 2.25 (4H, m, H-2, H-8), 1.59 (4H, m, H-3, H-13), 1.49 (2H, m, H-7), 1.34-1.30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80 [M + Na]+.
<실시예 15> ( E )- N -클로로에틸-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N -Chloroethyl-10-oxooctadec-8-enyl amide; 14]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4 (1H, dt, J = 16.0, 6.5 Hz, H-8), 6.13 (1H, dt, J = 16.0, 1.5 Hz, H-9), 5.80 (1H, brs, NH), 3.60 (4H, m, -(CH 2 )2Cl), 2.58 (2H, t, J = 7.5 Hz, H-11), 2.27 (4H, m, H-2, H-7), 1.62 (4H, m, H-3, H-12), 1.51 (2H, m, H-6), 1.401.33 (14H, m, CH2), 0.92 (3H, t, J = 6.5 Hz, H-18); FABMS m/z 380 [M + Na]+.
<실시예 16> ( E )- N -클로로에틸-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Chloroethyl-9-oxooctadec-10-enyl amide; 15]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4.0, 7.0 Hz, H-11),6.10 (1H, dt, J = 14.0, 1.5 Hz, H-10), 5.80 (1H, brs, NH), 3.60 (4H, m, -(CH 2 )2Cl), 2.58 (2H, t, J = 7.5 Hz, H-8), 2.25 (4H, m, H-2, H-12), 1.58 (4H, m, H-3, H-7), 1.49 (2H, m, H-13), 1.331.28 (14H, m, CH2), 0.90 (3H, t, J= 7.0 Hz, H-18); FABMS m/z 380 [M + Na]+.
<실시예 17> ( E )- N -클로로에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Chloroethyl-8-oxooctadec-9-enyl amide; 16]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6.0, 7.6 Hz, H-10), 6.10 (1H, dt, J = 16.0, 1.4 Hz, H-9), 5.80 (1H, brs, NH), 3.60 (4H, m, -(CH 2 )2Cl), 2.58 (2H, t, J=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80 [M + Na]+.
<실시예 18> ( E )- N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11-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2,3-Dihydroxylpropyl-11-oxooctadec-9-enyl amide; 17]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6.92 (1H, dt, J = 16.4, 7.2 Hz, H-9), 6.11 (1H, dt, J = 16.4, 1.2 Hz, H-10), 5.97 (1H, brs, NH), 3.75 (1H, m, -CH2 CHCH2OH), 3.53 (2H, m, -CH 2 CHCH2OH), 3.40 (2H, m, -CH2CHCH 2 OH), 2.57 (2H, t, J= 7.6 Hz, H-12), 2.25 (4H, m, H-2, H-8), 1.59 (4H, m, H-3, H-13), 1.49 (2H, m, H-7), 1.34-1.30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92 [M + Na]+.
<실시예 19> ( E )- N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N -2,3-Dihydroxylpropyl-10-oxooctadec-8-enyl amide; 18]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4 (1H, dt, J = 16.0, 6.5 Hz, H-8), 6.13 (1H, dt, J = 16.0, 1.5 Hz, H-9), 5.97 (1H, brs, NH), 3.75 (1H, m, -CH2 CHCH2OH), 3.53 (2H, m, -CH 2 CHCH2OH), 3.40 (2H, m, -CH2CHCH 2 OH), 2.58 (2H, t, J = 7.5 Hz, H-11), 2.27 (4H, m, H-2, H-7), 1.62 (4H, m, H-3, H-12), 1.51 (2H, m, H-6), 1.401.33 (14H, m, CH2), 0.92 (3H, t, J = 6.5 Hz, H-18); FABMS m/z 392 [M + Na]+.
<실시예 20> ( E )- N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2,3-Dihydroxylpropyl-9-oxooctadec-10-enyl amide; 19]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4.0, 7.0 Hz, H-11), 6.10 (1H, dt, J = 14.0, 1.5 Hz, H-10), 5.97 (1H, brs, NH), 3.75 (1H, m, -CH2 CHCH2OH), 3.53 (2H, m, -CH 2 CHCH2OH), 3.40 (2H, m, -CH2CHCH 2 OH), 2.58 (2H, t, J = 7.5 Hz, H-8), 2.25 (4H, m, H-2, H-12), 1.58 (4H, m, H-3, H-7), 1.49 (2H, m, H-13), 1.331.28 (14H, m, CH2), 0.90 (3H, t, J = 7.0 Hz, H-18); FABMS m/z 392 [M + Na]+.
<실시예 21> ( E )- N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2,3-Dihydroxylpropyl-8-oxooctadec-9-enyl amide; 20]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6.0, 7.6 Hz, H-10), 6.10 (1H, dt, J = 16.0, 1.4 Hz, H-9), 5.97 (1H, brs, NH), 3.75 (1H, m, -CH2 CHCH2OH), 3.53 (2H, m, -CH 2 CHCH2OH), 3.40 (2H, m, -CH2CHCH 2 OH),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92 [M + Na]+.
<실시예 22> ( E )- N -아세틸-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Acetyl -9-oxooctadec-10-enyl amide; 21]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4.0, 7.0 Hz, H-11), 6.26 (1H, brs, NH), 6.10 (1H, dt, J= 14.0, 1.5 Hz, H-10), 4.05 (2H, d, J = 4.8 Hz -CH 2 COOH), 2.58 (2H, t, J = 7.5 Hz, H-8), 2.25 (4H, m, H-2, H-12), 1.58 (4H, m, H-3, H-7), 1.49 (2H, m, H-13), 1.331.28 (14H, m, CH2), 0.90 (3H, t, J = 7.0 Hz, H-18); FABMS m/z 376 [M + Na]+.
<실시예 23> ( E )- N -아세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Acetyl -8-oxooctadec-9-enyl amide; 22]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 (1H, dt, J = 16.0, 7.6 Hz, H-10), 6.26 (1H, brs, NH), 6.10 (1H, dt, J= 16.0, 1.4 Hz, H-9), 4.05 (2H, d, J = 4.8 Hz -CH 2 COOH),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376 [M + Na]+.
<실시예 24> ( E )- N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11-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3,4-Dihydroxyphenyl)ethyl-11-oxooctadec-9-enyl amide; 23]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6.81 (2H, m, H-9 and H-5), 6.72 (1H, s, H-2), 6.57 (1H, d, J = 7.6 Hz, H-6), 6.10 (1H, dt, J = 16.0, 1.4 Hz, H-10), 5.54 (1H, brs, NH), 3.48 (2H, q, J= 6.4 Hz, H-2),2.68 (2H, t, J= 6.4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54 [M + Na]+.
<실시예 25> ( E )- N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N -(3,4-Dihydroxyphenyl)ethyl-10-oxooctadec-8-enyl amide; 24]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6.81 (2H, m, H-8 and H-5), 6.72 (1H, s, H-2), 6.57 (1H, d, J = 7.6 Hz, H-6), 6.10 (1H, dt, J = 16.0, 1.4 Hz, H-9), 5.54 (1H, brs, NH), 3.48 (2H, q, J = 6.4 Hz, H-2), 2.68 (2H, t, J = 6.4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54 [M + Na]+.
<실시예 26> ( E )- N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3,4-Dihydroxyphenyl)ethyl-9-oxooctadec-10-enyl amide; 25]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6.81 (2H, m, H-11 and H-5), 6.72 (1H, s, H-2), 6.57 (1H, d, J = 7.6 Hz, H-6), 6.10 (1H, dt, J = 16.0, 1.4 Hz, H-10), 5.54 (1H, brs, NH), 3.48 (2H, q, J = 6.4 Hz, H-2), 2.68 (2H, t, J = 6.4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54[M + Na]+.
<실시예 27> ( E )- N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3,4-Dihydroxyphenyl)ethyl-8-oxooctadec-9-enyl amide; 26]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6.916.81 (2H, m, H-10and H-5), 6.72 (1H, s, H-2), 6.57 (1H, d, J= 7.6 Hz, H-6), 6.10 (1H, dt, J = 16.0, 1.4 Hz, H-9), 5.54 (1H, brs, NH), 3.48 (2H, q, J = 6.4 Hz, H-2), 2.68 (2H, t, J = 6.4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54[M + Na]+.
<실시예 28> ( E )- N -2-(5-하이드록시-1H-인돌-3-일)에틸-11-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2-(5-Hydroxyl-1H-indol-3-yl)ethyl-11-oxooctadec-9-enyl amide; 27]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8.05 (1H, brs, NH), 7.20 (1H, d, J = 8.8 Hz, H-7) 7.016.97 (2H, m, H-4 and H-6), 6.846.76 (2H, m, H-2 and H-9), 6.10 (1H, dt, J= 16.0, 1.4 Hz, H-10), 5.59 (1H, brs, NH), 3.56 (2H, q, J = 6.8 Hz, H-2), 2.88 (2H, t, J = 6.8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77 [M + Na]+.
<실시예 29> ( E )- N -2-(5-하이드록시-1H-인돌-3-일)에틸-10-옥소옥타데크-8-에닐 아마이드[( E )- N -2-(5-Hydroxyl-1H-indol-3-yl)ethyl-10-oxooctadec-8-enyl amide; 28]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8.05 (1H, brs, NH), 7.20 (1H, d, J = 8.8 Hz, H-7) 7.016.97 (2H, m, H-4 and H-6), 6.846.76 (2H, m, H-2 and H-8), 6.10 (1H, dt, J = 16.0, 1.4 Hz, H-9), 5.59 (1H, brs, NH), 3.56 (2H, q, J= 6.8 Hz, H-2),2.88 (2H, t, J= 6.8 Hz, H-3), 2.58 (2H, t, J=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77 [M + Na]+.
<실시예 30> ( E )- N -2-(5-하이드록시-1H-인돌-3-일)에틸-9-옥소옥타데크-10-에닐 아마이드[( E )- N -2-(5-Hydroxyl-1H-indol-3-yl)ethyl-9-oxooctadec-10-enyl amide; 29]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8.05 (1H, brs, NH), 7.20 (1H, d, J = 8.8 Hz, H-7) 7.016.97 (2H, m, H-4and H-6), 6.846.76 (2H, m, H-2 and H-11), 6.10 (1H, dt, J = 16.0, 1.4 Hz, H-10), 5.59(1H, brs, NH), 3.56 (2H, q, J = 6.8 Hz, H-2), 2.88(2H, t, J = 6.8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77 [M + Na]+.
<실시예 31> ( E )- N -2-(5-하이드록시-1H-인돌-3-일)에틸-8-옥소옥타데크-9-에닐 아마이드[( E )- N -2-(5-Hydroxyl-1H-indol-3-yl)ethyl-8-oxooctadec-9-enyl amide; 30]
무색 오일; 1H NMR (CD3OD, 400 MHz) δ 8.05 (1H, brs, NH), 7.20 (1H, d, J = 8.8 Hz, H-7) 7.016.97 (2H, m, H-4 and H-6), 6.846.76 (2H, m, H-2 and H-10), 6.10 (1H, dt, J = 16.0, 1.4 Hz, H-9), 5.59 (1H, brs, NH), 3.56 (2H, q, J = 6.8 Hz, H-2), 2.88 (2H, t, J = 6.8 Hz, H-3), 2.58 (2H, t, J = 7.2 Hz, H-7), 1.58 (4H, m, H-3, H-6), 1.46 (2H, m, H-12), 1.35-1.21 (14H, m, CH2), 0.89 (3H, t, J = 6.8 Hz, H-18); FABMS m/z 477[M + Na]+.
<실험예 1> 세포 배양 및 세포독성 분석
쥐 대식세포 RAW 264.7을 ATCC(Rockville, MD)로부터 구매하고, 10%(v/v) 열-활성 소태아혈청, 스트렙토마이신(100 ㎍/mL) 및 페니실린(100 U/mL)으로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37℃의 온도 및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독성 분석을 위하여, 24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에서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이용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MTT를 가하고 4시간 후 배양기에서 배양물을 제거하고 포마잔 결정을 DMSO를 가해 용해하였다. 대사활성은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예 2> 염증성 매개물에 대한 억제활성 검토
산화질소(NO)의 생성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Sigma, MO, USA)을 이용하여 이전에 알려진 방법(Planta Med. 66, 358360, 2000)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LPS(1 ㎍/mL)로 RAW 264.7 세포를 자극하고 100μL의 상등액을 100μL의 그리스 시약(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설파닐아미드, 2.5% H3PO4)과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빛을 차단한 채 배양하였다. ELISA 리더(Amersham Pharmacia Biotech, UK,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소듐 나이트리트를 표준물질로 이용한 적정곡선과 비교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카나비노이드 유도체의 IL-6 및 TNF-α 생성에 관한 억제활성을 종래 알려진 방법(Eur. J. Pharmacol. 398, 399407, 2000)에 따라 검토하였다. 시료를 DMEM으로 희석된 EtOH로 용해하고, 이러한 용매의 최종 농도가 배양배지에서 0.1%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용해된 용매들에 의해 RAW 264.7 세포에서의 IL-6 및 TNF-α 생성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LPS(1 ㎍/mL) 및 테스트 물질로 자극하기 전에, RAW 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후, LPS 및 테스트 물질을 배양된 세포에 가하고, 마우스 ELISA 키트(R & D Systems Inc., MN, USA)를 이용하여 IL-6 및 TNF-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탁월하게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실험예 3> 독성실험
150± 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37을 각각 20 mg/㎏, 10 mg/㎏, 1 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하, 본 발명의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37 10 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37 10 ㎎, 유당 100 ㎎, 전분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37 1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37 0.5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R은 -NHR1이고, R1은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아세틸,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릭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 및 m은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은 -NHCH(CH3)2, -NHCH2CH2OH, -NHCH(CH3)CH2OH, -NHCH2CH2Cl, -NHCH2CH(OH)CH2OH, -NHCH2COOH, -NHC8H10O2, -NHC9H12O2 또는 -NHC10H11NO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은 -NHCH(CH3)2, -NHCH2CH2OH, -NHCH(CH3)CH2OH, -NHCH2CH2Cl, -NHCH2CH(OH)CH2OH, -NHCH2COOH, -NHC8H10O2, -NHC9H12O2 또는 -NHC10H11NO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N-아실아마이드류 및 이의 할로겐 유도체; N-아실에탄올아민류 및 이의 효소적 가수분해 저항성 유도체; N-아실아미노산류; N-아실도파민류; N-아실세로토닌류; 및 N-아실아미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5.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화학식 3]
    Figure pat00010

    R은 -NHR1이고, R1은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아세틸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릭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 및 m은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R1이 -NHCH(CH3)2, -NHCH2CH2OH, -NHCH(CH3)CH2OH, -NHCH2CH2Cl, -NHCH2CH(OH)CH2OH, -NHCH2COOH, -NHC8H10O2, -NHC9H12O2 또는 -NHC10H11NO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이 1 내지 7의 정수이고, m이 1 내지 5의 정수인 염증성 질환 치료제 또는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건선, 내독소혈증, 독성쇼크증후군, 장기 이식,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수구체 신염, 뇌척수염,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증성 질환 치료제 또는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3]
    Figure pat00013

    R은 -NHR1이고, R1은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아세틸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릭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8과 C-9, C-9와 C-10, C-10과 C-11, C-12와 C-13, C-13과 C-14 및 C-15와 C-16 사이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내며,
    n 및 m은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임.
KR1020100008767A 2010-01-29 2010-01-29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20110088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67A KR20110088991A (ko) 2010-01-29 2010-01-29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67A KR20110088991A (ko) 2010-01-29 2010-01-29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91A true KR20110088991A (ko) 2011-08-04

Family

ID=4492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767A KR20110088991A (ko) 2010-01-29 2010-01-29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9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1297A (zh) * 2018-04-23 2020-12-04 株式会社Enzychem生命科学 甘油衍生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作为有效成分的免疫调节剂
US11202743B2 (en) 2016-07-27 2021-12-21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fatty acid amide derivatives
KR20220020260A (ko) * 2019-05-06 2022-02-18 아토믹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대마 식용품 제조 시스템 및 방법, 및 결과적인 식용 제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2743B2 (en) 2016-07-27 2021-12-21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fatty acid amide derivatives
CN112041297A (zh) * 2018-04-23 2020-12-04 株式会社Enzychem生命科学 甘油衍生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作为有效成分的免疫调节剂
JP2021519807A (ja) * 2018-04-23 2021-08-12 エンジーケム ライフ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グリセロール誘導体、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免疫調節剤
JP7105916B2 (ja) 2018-04-23 2022-07-25 エンジーケム ライフ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グリセロール誘導体、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免疫調節剤
EP3778558A4 (en) * 2018-04-23 2022-08-10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GLYCEROL DERIVATIV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MMUNE MODULATOR CONTAINING THIS AS AN ACTIVE INGREDIENT
CN112041297B (zh) * 2018-04-23 2023-10-20 株式会社Enzychem生命科学 甘油衍生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作为有效成分的免疫调节剂
KR20220020260A (ko) * 2019-05-06 2022-02-18 아토믹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대마 식용품 제조 시스템 및 방법, 및 결과적인 식용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248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and immune diseases, containing apo-9`-fucoxanthinone as active ingredient
KR20110088991A (ko)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20150130939A (ko) 갈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5140231B2 (ja) IκBキナーゼ阻害剤
KR101103426B1 (ko) 몰루긴 또는 몰루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56878B1 (ko)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JP2010195831A (ja) IκBキナーゼ阻害剤
KR102086632B1 (ko) 체불라닌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5232A1 (ja) 神経変性疾患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KR101663609B1 (ko)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82192B2 (ja) 鎮痛に有効な山椒葉抽出物の分画物
KR10182958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965305B1 (ko)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0676761B1 (ko)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80249A (ko) 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59435B1 (ko) 5-아다만탄-1-일-n-(2,4-다이하이드록시벤질)-2,4-다이메톡시벤즈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WO2018066954A1 (ko) 올레아놀린산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독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7189B1 (ko)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4011558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cytokine storm
KR101964889B1 (ko) 다이터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9883B1 (ko) 미크란디락톤 c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8322B1 (ko) 신규 에나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4157A (ko) 메이스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2313B1 (ko) 염증질환 치료제
WO2019146801A1 (ja) 新規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