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930A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930A
KR20110088930A KR1020100008671A KR20100008671A KR20110088930A KR 20110088930 A KR20110088930 A KR 20110088930A KR 1020100008671 A KR1020100008671 A KR 1020100008671A KR 20100008671 A KR20100008671 A KR 20100008671A KR 20110088930 A KR20110088930 A KR 2011008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touch
function
applic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479B1 (ko
Inventor
민승준
이창대
전승헌
강제니효미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0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479B1/ko
Priority to US12/861,481 priority patent/US9128555B2/en
Priority to CN201010277977.XA priority patent/CN102141851B/zh
Priority to EP20100183082 priority patent/EP2354904A3/en
Publication of KR2011008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하게 형성된 제1 터치 패널,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터치 패널, 제1,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는 제1, 제2 터치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와 두 터치 패널들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화면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구동 제어부는 터치 인식 결과에 따라 제1 터치 패널의 제1 기능과 제2 터치 패널의 제2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거나, 제1 및 제2 기능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할 때 쉽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활용 가능한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의 확대와 기술적 진보에 기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토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작용하는 터치 패널, 소자를 투명화하여 사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접거나 휘는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되면서 기술적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기술 중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구조에 있어 소자의 투명한 형태를 구현하여 시간적/공간적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상되는 응용분야가 광범위하여 잠재적 시장가치가 큰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가적으로 채용되는 형태여서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를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이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제어할 때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진 경우가 많아서 화면의 객체를 원하는 대로 쉽게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투명한 형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한 형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활용 가능한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하게 형성된 제1 터치 패널;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와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화면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되,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이격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오버레이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버레이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서로 조합한 제3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투명하게 형성된 제1 터치 패널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와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화면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실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형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활용 가능한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겹쳐진 부분의 터치 인식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선택된 객체를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객체 이동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새로운 제3의 연동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터치 패널(110), 제2 터치 패널(120) 및 구동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제2 터치 패널(110, 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입력 포인터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화면 상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0, 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 파일, 동작 옵션 등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객체로는, 윈도우(Window), 필드(Field), 대화상자(Dialog Box), 메뉴(Menu), 아이콘(Icon), 버튼(Button), 커서(Cursor), 스크롤 바(Scroll Bar)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해당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한 객체와 연관된 여러 가지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윈도우의 열기, 닫기, 최소화, 또는 최대화를 행하는 버튼,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0, 120) 상에서, 입력 포인터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이 터치 패널(110, 120)의 객체를 선택하거나 그 표면을 따라 움직일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의 상대적 움직임에 대응한다.
상부의 제1 터치 패널(110)은 투명한 박막트랜지스터나 투명한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의 소자를 채용하여 투명한 상태로 형성되고, 하부의 제2 터치 패널(120)은 일부 혹은 전체 영역이 제1 터치 패널(110)과 겹쳐져 오버레이(overlay) 상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터치 패널(120)도 제1 터치 패널(110)과 마찬가지로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을 구동하고, 제1 터치 패널(110) 또는 제2 터치 패널(120)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다. 그리고, 구동 제어부(130)는 제1, 제2 터치 패널(110, 120)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예컨대, 터치 입력의 종류, 터치 접점)와, 두 터치 패널(110, 120)들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제1, 제2 터치 패널(110, 120)에서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한다. 아울러, 구동 제어부(130)는 오버레이 상태에서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의 기능들을 어떻게 선택하고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겹쳐져 있는 터치 패널(110, 120)들의 화면 구성내용을 제어하여 화면을 이루는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터치 인식 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의 화면이 겹쳐지는 부분에 대한 터치 인식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전술한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110, 12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1 터치 패널(11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 제어부(130)는 제1, 제2 터치 패널(110, 12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이루는 객체들(T111, T121)의 좌표값을 프로세싱한다. 구동 제어부(130)는 제1, 제2 터치 패널(110, 120)을 구분하고, 각 터치 패널(110, 12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객체들(T111, T121)의 좌표값을 인식하고 있는 상태이다. 구동 제어부(130)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터치 패널(110, 120)의 종류, 즉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 중 어디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터치 접점에 있는 객체의 좌표값, 두 터치 패널(110, 120)의 오버레이 여부 및 오버레이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각 터치 패널(110, 120)의 화면이 동일한 위치, 형태로 겹쳐져 있는 경우(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겹쳐져 있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터치가 발생한 부분을 상부의 제1 터치 패널(110)에서 물리적으로 인식한 후 해당 터치 접점의 절대좌표를 하부에 위치한 제2 터치 패널(120)과 공유하여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30)는 터치 접점에 있는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객체(T111), 그와 겹쳐져 있는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객체(T12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겹쳐진 부분의 터치 인식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해당 도면에서, 제1 객체(T111)는 제1 터치 패널(11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객체이다. 제2 객체(T121)는 제2 터치 패널(120)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객체이다.
도 3은 터치 시간에 의해 제1 객체(T111) 및 제2 객체(T121)의 선택 여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두 개의 터치 패널(110, 120)들이 겹쳐져 있지 않은 경우라면, 각 화면의 제1 객체(T111)와 제2 객체(T121)는 직접적인 터치 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이와 비교하여, 두 개의 터치 패널(110, 120)들이 겹쳐져 있는 경우 각 화면의 제1 객체(T111)와 제2 객체(T121)는 터치 시간에 의해 선택 여부가 결정된다. 제1 터치 패널(110)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초기 터치 시 제1 객체(T111)를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제2 객체(T121)로 스위칭하여 제2 객체(T121)를 선택하여 활성화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1 객체(T111)를 터치한다면 터치 후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100ms 이내)은 구동 제어부(130)가 해당 터치 동작을 제1 객체(T111)의 선택으로 인식하고, 제1 객체(T111)에 포커싱(focusing)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컨대, 100ms) 이상 터치가 유지될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해당 터치 입력을 제2 객체(T121)의 선택으로 인식하여 제2 객체(T121)로 포커싱을 이동시킨다.
도 4는 터치 횟수에 의해 제1 객체(T111) 및 제2 객체(T121)의 선택 여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객체(T111)를 터치한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초기 터치 시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객체(T111)를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다음 터치 시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객체(T121)로 스위칭하여 제2 객체(T121)를 활성화한다. 초기 터치 시 제1 객체(T111)에 포커싱을 두고, 더블 터치 시 포커싱을 제2 객체(T121)로 스위칭하는 것이다.
도 5는 멀티-터치 방식에 의해 제1 객체(T111) 및 제2 객체(T121)의 선택 여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객체(T111)를 터치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초기 터치 시 제1 객체(T111)를 선택하여 활성화한다. 사용자가 제1 객체(T111)를 터치한 상태에서 멀티-터치에 의해 다른 터치 접점에 위치한 메뉴 전환 스팟(spot)(T112)을 터치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해당 터치 동작이 활성화된 객체를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임을 인식하여 제2 객체(T121)를 선택하여 활성화하게 된다.
(a)의 초기 터치 시 구동 제어부(130)는 제1 객체(T111)에 포커싱을 둔다. 제1 객체(T111)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b)와 같이 멀티-터치로 특정 부분, 예컨대, 기 선택되지 않은 영역 또는 메뉴 전환 스팟(T112)이 있는 부분을 선택하면 포커싱이 제2 객체(T121)로 이동된다. 이후, 제1 객체(T111) 또는 제2 객체(T121)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터치에 의한 신규 터치 접점을 제거할 때 해당 객체의 선택이 인식될 수 있다. 신규 터치 접점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객체의 선택을 인식하게 되면, 객체의 이동이나 겹침 등을 실행하는 경우와 혼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규 터치 접점의 제거 시 해당 객체의 선택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터치 압력에 의해 제1 객체(T111) 및 제2 객체(T121)의 선택 여부를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화면이 겹쳐지는 부분에 대한 터치 인식 방식으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전자유도 방식 등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인식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터치 압력에 의해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의 중첩 부분을 인식하는 저항막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제1 터치 패널(110)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터치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구동 제어부(130)가 제1 터치 패널(110) 화면 상의 터치 지점에 있는 제1 객체를 선택하여 활성화하고, 터치된 압력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1 객체와 겹쳐져 있는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객체로 스위칭하여 제2 객체를 활성화한다.
구동 제어부(130)는 터치가 발생한 터치 패널(110, 120)의 종류와 터치 접점에 있는 객체의 좌표값을 알고 있는 상태이다. 오버레이 상태에 있는 각 화면의 객체가 동일한 위치, 형태로 겹쳐져 있지 않더라도 구동 제어부(130)는 각 터치 패널(110, 120)에서 압력이 가해진 부분을 물리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터치 패널(110, 120)에서 압력이 가해진 부분의 절대좌표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구동 제어부(130)가 두 터치 패널(110, 120) 각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의 오버레이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선택된 객체를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투명 디스플레이인 제1 터치 패널(110)과 그 하부의 터치 패널(120)이 겹쳐져 있는 경우 각 화면의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투명도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이다. (a)의 초기 상태에서 제1 객체(T111), 제2 객체(T121)는 모두 반투명 상태이다. 제1 객체(T111)의 선택 시 구동 제어부(130)는 (b)와 같이 선택된 제1 객체(T111)의 투명도를 낮춘다. 이 상태에서 제2 객체(T121)가 선택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c)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T111)의 투명도를 이전으로 복귀시키고, 제2 객체(T121)의 투명도를 낮춘다.
도 8은 객체의 색상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이다. 제1 객체(T111), 제2 객체(T121)가 모두 선택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각 객체(T111, T121)는 고유한 특정 색상(투명 색상 포함)으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제1 객체(T111)의 선택 시, 구동 제어부(130)는 제1 객체(T111)의 테두리, 해당 부분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백그라운드(background) 색상을 시인성(visibility)이 높은 다른 색상으로 변경한다. 이 상태에서 제2 객체(T121)가 선택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제1 객체(T111)의 색상을 본래의 색으로 복귀시키고, 선택된 제2 객체(T121)의 색상을 변경한다.
도 9는 객체의 연관 효과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이다. 두 객체(T111, T121)가 모두 선택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각 객체(T111, T121)는 일정한 크기로 설정된다. 제1 객체 선택 시 선택된 객체(T111, T121)의 크기가 변경되면서 연관 효과(예컨대, 애니메이션 효과)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상태에서 제2 객체(T121)가 선택되면 구동 제어부(130)가 연관 효과를 중단하면서 제1 객체(T111)를 본래의 크기로 복귀시키고, 제2 객체(T121)의 크기 및 연관 효과를 변경하여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진 영역에서 오버레이 상태에 있는 제1 객체(T111) 및 제2 객체(T121)의 투명도, 색상, 크기 변화, 연관 효과 등을 변화시켜 터치 입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객체 이동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투명 디스플레이인 제1 터치 패널(110)과 그 하부의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져 있는 경우, 각 화면의 객체 디스플레이 과정 중 화면 간 이동 방식을 표현한 것이다.
도 10은 두 터치 패널(110, 120)들이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물리적인 화면을 따라 화면 간 객체 이동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이다. 물리적인 화면구성을 살펴보면,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제1 객체(T111)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제2 객체(T121)가 디스플레이된다. 터치 입력에 의한 사용자 선택 기능이 제1 객체(T111)에서 제2 객체(T121)로 스위칭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초기의 물리적인 화면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택된 제2 객체(T121)와 그를 포함한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상부에 위치한 제1 터치 패널(110)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하부에 있는 제2 터치 패널(120)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객체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체를 상부의 제1 터치 패널(110)로 시각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11은 두 터치 패널(110, 120)들이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상대적인 화면을 따라 화면 간 객체 이동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이다.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사용자 선택 기능이 스위칭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초기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그대로 두고, 각 객체(T111, T121)만을 화면 이동시켜 제1, 제2 객체(T121)가 상대방 터치 패널(110, 120)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스위칭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부에 위치한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객체(T111)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부의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있는 제2 객체(T121)를 선택하면, 구동 제어부(130)가 본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 객체(T121)만을 상부에 위치한 제1 터치 패널(110)의 화면으로 이동시킨다. 제1, 제2 객체(T121)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이동하여 제2 객체(T121)가 상단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화면 상에서 선택된 객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110, 12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12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제2 터치 패널(120)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실행한다. 오버레이 상태에 있는 제1 기능과 제2 기능의 실행 시 그와 연동된 제3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객체들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객체들을 매칭하여 오버레이 실행명령 목록을 미리 등록하고, 오버레이 상태에서 터치 접점에 위치하는 제1 객체, 제2 객체를 식별한 후 오버레이 실행명령 목록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매칭되어 있는 오버레이 실행명령을 인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터치 패널(110)이나 제2 터치 패널(120)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화면들에 대해 연계가 가능한 제3 기능이 실행된다. 예컨대, (a)와 같이 제1 터치 패널(110)의 폰북 아이콘과 제2 터치 패널(120)의 사진이 겹쳐져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영역을 터치하여 (b)에 도시된 것처럼 원하는 사람에게 사진을 보내기 위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터치 입력 시 제1 터치 패널(11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제2 터치 패널(120)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연동한 제3 기능이 실행되는 예시들을 목록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어플리케이션
제2
어플리케이션
제3
어플리케이션
비고

통화(Call),
통화내역(Call History)






Image Album Send MMS Send MMS, Caller ID 설정 중 어떤 기능으로 매핑할지 여부는 등록 단계에서 결정






Video Album Send MMS
Sound Album Send MMS
Music Player Send MMS
Image Album Picture Call ID 설정
Video Album Video Caller ID 설정
Sound Album Ringer Caller ID 설정
Music Player Ringer Caller ID 설정
대기화면(Idle)
Image Album Idle 배경화면 설정
Video Album Idle 배경화면 설정
메뉴선택
(Contact list
or Detail view)






Image Album Send MMS Send MMS, Caller ID 설정 중 어떤 기능으로 매핑할지 여부는 등록 단계에서 결정






Video Album Send MMS
Sound Album Send MMS
Music Player Send MMS
Image Album Picture Caller ID 설정
Video Album Video Caller ID 설정
Sound Album Ringer Caller ID 설정
Music Player Ringer Caller ID 설정
알람(Alarm)
Sound Album Alarm Ringer 설정
Music Player Alarm Ringer 설정
MMS


Image Album Send MMS


Video Album Send MMS
Sound Album Send MMS
Music Player Send MMS
SMS Memo(Note pad) Send MMS
네비게이터
(Navigator)

Contact list
or Detail view
Send GPS Info

MMS Send GPS Info
Memo(Note pad) Save GPS Info
기타(etc)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여러 객체들이 있고,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여러 객체들이 있는 경우, 표 1과 같이 터치 접점의 좌표값에 매칭되는 제3의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표 1에서,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어플리케이션이 'Contact list'이고,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어플리케이션이 'Image Album'인 경우,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구동 제어부(130)는 'Contact list' 및 'Image Album'과 매칭되어 있는 'Send MMS'를 실행하여 사용자가 'Image Album' 중에서 사진을 선택하여 MMS로 송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제1 터치 패널(110)이 '대기화면(Idle)' 상태이고, 제2 터치 패널(120)의 제2 어플리케이션이 'Video Album'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Video Album'에 상응하는 영역이 터치된 경우, 'Idle 배경화면 설정'을 위한 제3의 기능이 실행됨으로써 사용자가 'Video Album'에 저장된 영상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통화(Call)' 아이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Music Player' 아이콘의 겹쳐져 있는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Ringer Caller ID 설정'을 위한 제3의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Music Player'에 저장된 음원들 중 특정 음원을 원하는 사람의 연락처에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터치 패널(110)의 화면 전체에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터치 패널(120)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여러 객체들이 있을 경우(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지는 순간 여러 객체들이 있는 제2 터치 패널(120)에서 제1 터치 패널(110)의 제1 어플리케이션과 연계 가능한 객체들만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객체 선택 시 제3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터치 패널(110)이 사진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터치 패널(120)의 여러 객체들 중 달력을 선택할 경우 원하는 날짜에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터치 인식 방법, 도 7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준용할 수 있다. 단, 일 실시예의 경우 터치 입력 시 제1, 제2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른 실시예는 터치 입력 시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연계한 새로운 제3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 나타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새로운 제3의 연동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은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져 있지 않은 경우 멀티-터치에 의해 제3 기능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터치 패널(110)은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D111)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터치 패널(120)은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D112)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두 터치 패널(110, 120)의 같은 화면 또는 다른 화면을 멀티-터치하면 구동 제어부(130)가 이를 제3의 기능으로 인식하여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격 상태에 있는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의 양측이 모두 터치되는 경우 제3 기능을 실행하여 제1 터치 패널(110)이나 제2 터치 패널(120)에 제3 어플리케이션 화면(D113)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도 14는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지는 동작에 상응하여 제3 기능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서로 겹쳐져 있지 않은 (a)의 초기 상태에서 제1, 제2 터치 패널(110, 120)은 서로 다른 제1,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D111, D112)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제2 터치 패널(120)이 이격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b)와 같은 오버레이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오버레이 상태에 의거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서로 조합한 제3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c)는 두 터치 패널(110, 120)의 오버레이 동작에 따라 제3 기능이 실행되어 제3 어플리케이션 화면(D113)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혹은,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이 서로 겹쳐지는 시점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기능들 중 제1 어플리케이션과 연계 가능한 기능만을 활성화한 후 터치 입력 발생 시 제3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두 터치 패널(110, 120)을 겹치면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겹쳐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선택(활성화)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도 15는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져 있는 경우 오버레이 상태의 객체들을 활용하여 제3 기능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구동 제어부(130)는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구현하는 객체의 이동, 다른 객체와의 오버레이 상태에 상응하여 오버레이 상태의 객체들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a),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객체(T111)를 터치한 상태에서 제2 객체(T121)가 위치한 영역으로 이동시켜 제2 객체(T121)와 겹치도록 하고 터치 접점을 제거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c)와 같이 인터랙티브 팝업창(T113)을 띄워 터치를 떼면 제3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묻는다. 현재 포커싱되어 있는 제1 객체(T111)의 기능을 수행할지 혹은 제1 객체(T111)와 제2 객체(T121)를 연동한 제3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두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터치 방식에 있어서는, 터치 시간, 터치 횟수, 멀티-터치에 의한 터치 접점의 추가 생성 및 제거, 터치 압력, 중력, 가속도 등 다양한 센서의 입력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입력데이터를 이용해 터치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여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의 선택을 인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2 객체(T121)가 겹쳐져 있고, 제1 객체(T111)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객체(T111)를 일정 시간 이상 터치(도 3 참조)하거나 더블 터치하는 경우(도 4 참조), 구동 제어부(130)는 이러한 터치 입력을 제3 기능의 선택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혹은, 도 5와 같은 멀티-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객체(T121)를 선택하는 대신 제3 기능의 선택으로 인식하여 제3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객체(메뉴나 아이콘 등)들이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에 분리되어 있을 경우, 터치 입력의 종류를 식별하여 각 터치 패널(110, 120)이 고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 터치 패널(110, 120)이 겹쳐지는 경우 제1 터치 패널(110)의 특정 기능과 제2 터치 패널(120)의 특정 기능을 조합하여 제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이나 조합을 통하여 같은 면적에서 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을 구동함으로써 각각의 터치 패널(110, 12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10). 사용자가 제1 터치 패널(110)이나 제2 터치 패널(120)의 일부 영역을 터치함에 따라, 구동 제어부(130)는 터치 입력의 발생을 감지한다(S120).
이후,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 또는 제2 터치 패널(120)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 터치 접점,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실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을 판단(S130)하여 이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화면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40, S150).
이때,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여 제1 터치 패널(110)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제2 터치 패널(120)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실행할 수 있다(S140, S150).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구동 제어부(1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연동하는 제3 기능을 매칭하여 표 1과 같은 오버레이 실행명령 목록을 등록한다(S210).
이후,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과 제2 터치 패널(120)을 구동함으로써 각각의 터치 패널(110, 120)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20). 사용자가 제1 터치 패널(110)이나 제2 터치 패널(120)의 일부 영역을 터치함에 따라, 구동 제어부(130)는 터치 입력의 발생을 감지한다(S230).
이후, 구동 제어부(130)는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이 겹쳐진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예컨대, 터치 입력의 종류, 터치 접점)와, 제1 터치 패널(110) 및 제2 터치 패널(120)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제3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240). 제3 기능은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여 제1 터치 패널(110)에서 실행 중인 제1 기능과 제2 터치 패널(120)에서 실행 중인 제2 기능을 연동한 것일 수 있다.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3 기능의 실행으로 인식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130)는 기 등록된 오버레이 실행명령 목록 중 현재 실행 중인 제1 기능 및 제2 기능과 매칭되어 있는 제3 기능을 인식하여 실행한다(S250). 사용자 선택이 제3 기능이 아닌 제1 기능 혹은 제2 기능 중 하나라고 인식하는 경우에는, 물리적인 터치 동작이 발생한 터치 지점의 고유 기능(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한다(S26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제1 터치 패널
120: 제2 터치 패널
130: 구동 제어부

Claims (19)

  1. 투명하게 형성된 제1 터치 패널;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와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화면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1 기능을 선택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상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제2 기능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1 기능을 선택하고, 다음 터치 시 상기 제2 기능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초기 터치 시 상기 제1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제1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멀티-터치에 의해 다른 터치 접점이 새로 생성된 후 상기 새로 생성된 터치 접점이 제거되면 상기 제2 기능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터치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기능을 선택하고, 터치된 압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2 기능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을 구현하는 객체의 투명도, 색상, 크기 변화, 연관 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켜 선택된 기능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객체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 2 객체로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제2 객체를 포함한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체를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터치 패널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객체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객체로 스위칭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그대로 두고 상기 제1 객체, 상기 제2 객체만을 이동시켜 상대방 터치 패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스위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터치 시간, 터치 횟수, 멀티-터치에 의한 터치 접점의 추가 생성 및 제거, 터치 압력, 중력,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기능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구현하는 객체의 이동, 다른 객체와의 오버레이 상태에 상응하여 오버레이 상태의 객체들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이격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오버레이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오버레이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서로 조합한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서로 겹쳐지는 시점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기능들 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연계 가능한 기능만을 활성화한 후 터치 입력 발생 시 상기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객체들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객체들을 매칭하여 오버레이 실행명령 목록을 미리 등록하고, 오버레이 상태에서 터치 접점에 위치하는 제1 객체, 제2 객체를 식별한 후 상기 오버레이 실행명령 목록 중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와 매칭되어 있는 오버레이 실행명령을 인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이격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양측이 모두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7. 투명하게 형성된 제1 터치 패널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 각각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상태와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오버레이 상태에 따른 기능을 판단하여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맞게 화면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실행 단계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실행 단계에서,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겹쳐진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화면의 터치 접점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을 연동한 제3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00008671A 2010-01-29 2010-01-29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71A KR101087479B1 (ko) 2010-01-29 2010-01-29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861,481 US9128555B2 (en) 2010-01-29 2010-08-23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010277977.XA CN102141851B (zh) 2010-01-29 2010-09-08 多显示器装置及其控制方法
EP20100183082 EP2354904A3 (en) 2010-01-29 2010-09-30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71A KR101087479B1 (ko) 2010-01-29 2010-01-29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30A true KR20110088930A (ko) 2011-08-04
KR101087479B1 KR101087479B1 (ko) 2011-11-25

Family

ID=4306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71A KR101087479B1 (ko) 2010-01-29 2010-01-29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28555B2 (ko)
EP (1) EP2354904A3 (ko)
KR (1) KR101087479B1 (ko)
CN (1) CN10214185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213A1 (en) * 2013-01-23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e a touch selection area
KR20180092058A (ko) * 2017-02-08 2018-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8230905A1 (ko) * 2017-06-13 2018-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압력 입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16909A (ko) * 2020-01-31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US10712907B2 (en) 2012-06-19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WO2022181922A1 (ko) * 2021-02-26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7047B2 (en) 2010-10-01 2015-06-02 Z124 Allowing multiple orientations in dual screen view
US9182937B2 (en) 2010-10-01 2015-11-10 Z124 Desktop reveal by moving a logical display stack with gestures
KR101092591B1 (ko) * 2009-11-05 2011-12-13 주식회사 팬택 관통입력을 제공하는 단말 및 그 방법
US20130181945A1 (en) * 2010-09-22 2013-07-1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program for the device and the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8754854B1 (en) 2010-09-28 2014-06-17 Google Inc. Keyboard integrated with trackpad
EP2646948B1 (en) * 2010-09-30 2018-11-14 Orange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749484B2 (en) 2010-10-01 2014-06-10 Z124 Multi-screen user interface with orientation based control
JP5879738B2 (ja) * 2011-04-25 2016-03-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505797B (en) * 2011-06-30 2019-10-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mart window and display enclosure
US8665236B2 (en) 2011-09-26 2014-03-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8994686B2 (en) 2011-10-17 2015-03-31 Topaz Systems, Inc. Digitizer
US8952926B2 (en) 2011-10-17 2015-02-10 Topaz Systems, Inc. Digitizer
US9557876B2 (en) 2012-02-01 2017-01-31 Facebook, Inc. Hierarchical user interface
US9235317B2 (en) * 2012-02-01 2016-01-12 Facebook, Inc. Summary and navigation of hierarchical levels
US9645724B2 (en) 2012-02-01 2017-05-09 Facebook, Inc. Timeline based content organization
KR20130095970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112197A (ko) * 2012-04-03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의 상태 변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3151587A1 (en) * 2012-04-06 2013-10-10 Topaz Systems, Inc. Digitizer
US8816989B2 (en) 2012-05-22 2014-08-26 Lenovo (Singapore) Pte. Ltd. User interface navigation utilizing pressure-sensitive touch
KR20130143381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4021658A1 (en)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TW201407351A (zh) * 2012-08-08 2014-02-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多觸控螢幕裝置和操作多觸控螢幕裝置的方法
KR102121527B1 (ko) * 2012-08-3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371958B1 (ko) * 2012-08-31 2014-03-07 주식회사 팬택 콜백 정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TWI637312B (zh) 2012-09-19 2018-10-0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在透明顯示裝置顯示資訊的方法、顯示裝置及電腦可讀記錄媒體
KR101990039B1 (ko) * 2012-11-30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51656B1 (ko) * 2013-01-22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5103116B (zh) * 2013-03-05 2018-09-21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终端设备、图像生成方法和存储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20160034132A1 (en) * 2013-03-13 2016-02-0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KR102089447B1 (ko) * 2013-06-04 2020-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9367280B2 (en) * 2013-08-06 2016-06-14 Intel Corporation Dual screen visibility with virtual transparency
KR102186548B1 (ko) * 2013-08-21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롤 실행의 화면 표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50049843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증 패턴 생성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증 시스템
US9436304B1 (en) * 2013-11-01 2016-09-06 Google Inc. Computer with unified touch surface for input
JP2015176186A (ja) * 2014-03-13 2015-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165448B1 (ko) * 2014-04-09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US9910518B2 (en) * 2014-10-01 2018-03-0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ransparency augmented industrial automation display
US10222840B2 (en) * 2014-10-15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89786B1 (ko) * 2014-11-21 2021-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8943B1 (ko) * 2015-11-17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
KR102307215B1 (ko) * 2016-02-04 2021-10-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567144B1 (ko) * 2016-04-26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000382A1 (zh) * 2016-06-30 2018-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查看应用程序的图形用户界面、方法及终端
WO2018026155A1 (en) * 2016-08-01 2018-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ouch
KR20180014644A (ko) 2016-08-01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80031260A (ko) * 2016-09-19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9409B1 (ko) * 2016-11-11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16873B2 (en) * 2017-05-15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specific adaption of user input assignments for input devices
JP6427234B2 (ja) * 2017-07-21 2018-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DK179931B1 (en) * 2017-09-09 2019-10-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 AFFORDANCE ON A BACKGROUN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650954B1 (ko) 2004-03-11 2006-11-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73668B1 (ko) 2006-03-15 2007-11-0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영상 오버레이 기능을 가지는 영상 처리 장치,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및 영상 오버레이 방법
US20080150903A1 (en) * 2006-12-21 2008-06-26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sided touch device
KR100838017B1 (ko) 2007-03-05 2008-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 및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TW200915820A (en) * 2007-09-19 2009-04-01 Giga Byte Tech Co Ltd Touch panel structure having dual touch-mode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5043641B2 (ja) 2007-12-28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装置
US8533284B2 (en) * 2008-05-28 2013-09-10 Cooliris, Inc. Sharing of media and other content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KR101526970B1 (ko)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129084B1 (en) * 2008-05-29 2010-11-24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95559B1 (ko) * 2008-07-21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명령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088632A1 (en) * 2008-10-08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dual mode touchscreen-based navigation
US8565829B2 (en) * 2009-03-02 2013-10-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etachably coupled sub-device
CN101996031A (zh) * 2009-08-25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触摸输入功能的电子装置及其触摸输入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907B2 (en) 2012-06-19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US11586340B2 (en) 2012-06-19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WO2014116213A1 (en) * 2013-01-23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e a touch selection area
KR20180092058A (ko) * 2017-02-08 2018-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8230905A1 (ko) * 2017-06-13 2018-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압력 입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135727A (ko) * 2017-06-13 2018-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29797B2 (en) 2017-06-13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input
KR20200016909A (ko) * 2020-01-31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WO2022181922A1 (ko) * 2021-02-26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479B1 (ko) 2011-11-25
CN102141851B (zh) 2014-02-26
EP2354904A2 (en) 2011-08-10
US9128555B2 (en) 2015-09-08
CN102141851A (zh) 2011-08-03
EP2354904A3 (en) 2014-07-02
US20110187655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4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36384B2 (en) Pressure-sensitive degre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touchscreen-enabled mobile terminal
US11269486B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20230021260A1 (en) Gesture instruction execution method and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TWI588734B (zh)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US1019816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8638315B2 (en) Virtual touch screen system
KR100831721B1 (ko)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00013782A1 (en) Touch-sensitive mobile compu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applied thereto
US20160124532A1 (en) Multi-Region Touchpad
WO201112535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02722334A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30052749A (ko)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7533424A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448957B (zh) 電子裝置
CN103294392A (zh) 用于在移动装置中编辑内容视图的方法和设备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JP201603891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れ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31190A (ja) 入力システム、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JP2015018426A (ja) 情報表示装置
JP20141158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と情報処理方法
JP2010049318A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US11188224B2 (en) Control method of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