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26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260A
KR20180031260A KR1020160119480A KR20160119480A KR20180031260A KR 20180031260 A KR20180031260 A KR 20180031260A KR 1020160119480 A KR1020160119480 A KR 1020160119480A KR 20160119480 A KR20160119480 A KR 20160119480A KR 20180031260 A KR20180031260 A KR 2018003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display
displaying
displaye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덕
강호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260A/ko
Priority to EP17851099.6A priority patent/EP3491503A4/en
Priority to PCT/KR2017/009969 priority patent/WO2018052225A1/en
Priority to US15/708,502 priority patent/US20180081526A1/en
Publication of KR2018003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7Special input arrangements or commands for improving display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TV,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도 점점 축소되고 있으며,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포함되어 있던 입력 장치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있으며 입력 장치의 크기도 갈수록 작아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입력 장치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입력 장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의 오류가 보다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도록 UI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통해 사용자 입력의 오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입력 모듈(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0)은 유선/또는 무선으로 소스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소스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0)은 방송망을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버로부터 웹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예: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VGA(video graphics array)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예: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등)를 통해 소스 장치와 연결되어 소스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0)은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Wi-Fi(wireless-fidelity) 모듈, 또는 IR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0)은 상술한 모듈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버튼, 터치 패드, 조그 셔틀(jog-shutt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가능한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복수의 방향(예: 상, 하, 좌, 우 및 중심 방향)으로 움직임(또는, 푸쉬) 가능한 조그 셔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푸쉬 및,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그 셔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 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또는,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등 다양한 회로 또는 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60)은 제1 방향(11)을 향하는 전면(front surface)(21), 상기 전면(21)에 대향하는 후면(rear surface)(22), 및 상기 전면(21)과 상기 후면(22) 사이의 적어도 일부 공간을 둘러싼 측면(side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제3 방향(또는, 좌측 방향(left-side direction))(13)을 향하는 좌측면(23), 제4 방향(또는, 우측 방향(right-side direction))(14)을 향하는 우측면(24), 제5 방향(또는, 상측 방향(upper-side direction))(15)을 향하는 상측면(25) 및 제6 방향(또는, 하측 방향(bottom-side direction))(16)을 향하는 하측면(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충격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물, 도전성 소재(예: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또는, 하우징(160))의 전면(2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제1 방향(11)을 향하는 전면(21)과 제2 방향(412)을 향하는 후면(22) 사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2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하우징(160)의, 디스플레이(130)가 노출된 면을 제외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디스플레이(130)가 노출된 전면(21)을 제외한 후면(2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23, 24, 25, 26)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UI를 저장할 수 있다. UI는 예를 들어, 도형, 캐릭터, 아이콘, 텍스트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통신 모듈(110), 입력 모듈(120), 디스플레이(130) 및 메모리(140) 각각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UI는, 예를 들어, 복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제2 버튼 및 제3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5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를 포함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I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는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는 위쪽을 향하는 화살표 모양이고, 제2 객체는 원 모양이고, 제3 객체는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모양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객체는 파란색이고, 제2 객체는 노란색이고 제3 객체는 붉은색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UI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객체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원래의 설정값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제외한 다른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원래의 설정값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또는, 디스플레이(130)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가 표시되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가 표시된 후)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예: 1초, 2초 또는 5초 등)이 경과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채널 번호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또는, 오디오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채널 변경 모드에서 음량 변경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채널 번호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디스플레이(130)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UI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객체와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원래의 설정값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제외한 다른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원래의 설정값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젊은 사람은 지정된 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나이가 많은 노인의 경우 지정된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즉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를 표시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3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3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3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3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다른 객체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35)를 칼라(color) 형태로 표시하고 제1 객체(31) 및 제2 객체(33)를 흑백(gray)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예를 들어, 제3 객체(35)를 원래의 색상에 따라 표시하거나 또는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객체를 칼라(color)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객체가 붉은색, 파란색, 녹색, 노란색, 회색 등 다양한 색상에 따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객체를 흑백(gray)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객체를 검은색, 흰색 및 회색으로만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의 <302>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3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31), 제2 객체(33) 및 제3 객체(35)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31) 및 제2 객체(33)를 칼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31) 및 제2 객체(33) 및 제3 객체를 원래의 색상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31), 제2 객체(33) 및 제3 객체(35)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변경함과 동시에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4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4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4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4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4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을 다른 객체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45)의 일부(예: 테두리)를 칼라(color) 형태로 표시하고, 제3 객체(45)의 나머지 일부, 제1 객체(41) 및 제2 객체(43)를 흑백(gray)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프로세서(150)는, 예를 들어, 제3 객체(45)의 일부를 원래의 색상에 따라 표시하거나 또는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402>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4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41), 제2 객체(43) 및 제3 객체(45)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객체(45)의 나머지 일부, 제1 객체(41) 및 제2 객체(43)를 칼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41), 제2 객체(43) 및 제3 객체(45)를 원래의 색상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41), 제2 객체(43) 및 제3 객체(45)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변경함과 동시에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5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5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5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5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크기를 다른 객체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55)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3)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는 각각의 객체에 설정된 원래의 크기보다 큰 크기이고, 제2 크기는 각각의 객체에 설정된 원래의 크기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크기는 각각의 객체에 설정된 원래의 크기이고, 제2 크기는 각각의 객체에 설정된 원래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도 5의 <502>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5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51), 제2 객체(53) 및 제3 객체(55)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객체(55)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3)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51), 제2 객체(53) 및 제3 객체(55)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6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6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6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6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6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투명도를 다른 객체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65)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제1 객체(61) 및 제2 객체(63)를 제1 투명보다 높은 제2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도는 각각의 객체에 설정된 원래의 투명도이고, 제2 투명도는 각각의 객체에 설정된 원래의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일 수 있다. 객체의 투명도가 높을수록 객체의 뒤쪽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더 많이 보여질 수 있다.
도 6의 <602>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6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61), 제2 객체(63) 및 제3 객체(65)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61) 및 제2 객체(63)를 원래의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61), 제2 객체(63) 및 제3 객체(65)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함과 동시에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7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7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7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7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7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7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상이한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75)를 제1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하고, 제1 객체(71) 및 제2 객체(73)를 제1 표시 주기보다 긴 제2 표시 주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주기는 0.5초이고 제2 표시 주기는 무한대일 수 있다. 도 7의 <702> 이미지를 참조하면, 제3 객체(75)는 지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후 사라질 수 있다. 도 7의 <703> 이미지를 참조하면, 제3 객체(75)는 표시 주기가 도래하면 디스플레이(130)에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객체(75)는 제1 표시 주기에 따라 깜빡일 수 있고 제1 객체(71) 및 제2 객체(73)는 깜빡임 없이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704>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7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71), 제2 객체(73) 및 제3 객체(75)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3 객체(75)가 깜빡이지 않도록 제3 객체(75)의 표시 주기를 무한대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71), 제2 객체(73) 및 제3 객체(75)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주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8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제1 UI(8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8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8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8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8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85)를 칼라(color) 형태로 표시하고 제1 객체(81) 및 제2 객체(83)를 흑백(gray)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제2 UI(87)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8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모래시계 모양의 제2 UI(87)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2 UI(87)의 위치, 색상, 크기, 모양,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된 시간 동안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802> 이미지 및 <803>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모래시계 모양의 제2 UI(87)의 위쪽 모래의 양이 감소되고 아래쪽 모래의 양이 증가되도록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UI(87)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2 UI(87)의 투명도를 지정된 시간 동안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2 UI(87)가 지정된 시간 동안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2 UI(87)의 표시 주기를 지정된 시간 동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의 <804>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제1 UI(8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81), 제2 객체(83) 및 제3 객체(85)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객체(81), 제2 객체(83) 및 제3 객체(85)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주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제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2 UI(87)를 디스플레이(130)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901>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9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9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91),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2 객체(93) 및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9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3 버튼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3 객체(95)를 칼라(color) 형태로 표시하고 제1 객체(91) 및 제2 객체(93)를 흑백(gray)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UI(90)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입력 모듈(120)을 통해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902>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제1 버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객체(91)를 칼라(color) 형태로 표시하고 제2 객체(93) 및 제3 객체(95)를 흑백(gray)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903> 이미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도록 UI(90)가 변경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객체(91), 제2 객체(93) 및 제3 객체(95)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2 객체(93) 및 제3 객체(95)를 칼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취소하고,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해서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더라도 즉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을 높이기 위해 제3 버튼을 푸쉬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이 한단계 높아질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3 버튼을 다시 푸쉬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이 즉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01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은 버튼, 터치 패드, 조그 셔틀(jog-shutt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디스플레이가 노출된 전면을 제외한 후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02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UI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객체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UI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UI의 위치, 색상, 크기, 모양,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된 시간 동안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03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030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1020 동작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030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예: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1040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예: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또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1050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1060 동작에서, UI의 적어도 일부(예: 제1 UI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일부)의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일부의 모양,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2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칼라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다른 객체가 흑백 형태로 표시된 제1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다른 객체가 칼라 형태로 변경된 제2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가 제1 크기로 표시되고 상기 다른 객체가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된 제1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제2 크기로 변경된 제2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가 제1 투명도로 표시되고 상기 다른 객체가 상기 제1 투명도보다 높은 제2 투명도로 표시된 제1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다른 객체가 상기 제1 투명도로 변경된 제2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가 제1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되고 상기 다른 객체가 상기 제1 표시 주기보다 긴 제2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되는 제1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표시 주기가 상기 제2 표시 주기로 변경된 제2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버튼, 터치 패드 및 조그 셔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3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3 UI의 위치, 색상, 크기, 모양,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4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취소하고, 상기 제4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UI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UI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UI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일부의 모양, 색상, 크기,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적어도 일부를 칼라 형태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다른 객체를 흑백 형태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다른 객체를 칼라 형태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제1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객체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상기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객체를 상기 제1 투명도보다 높은 제2 투명도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객체를 상기 제1 투명도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제1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객체를 상기 제1 표시 주기보다 긴 제2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객체를 상기 제2 표시 주기에 따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3 UI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UI의 위치, 색상, 크기, 모양, 투명도 및 표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4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취소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UI가 표시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19480A 2016-09-19 2016-09-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1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80A KR20180031260A (ko) 2016-09-19 2016-09-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7851099.6A EP3491503A4 (en) 2016-09-19 2017-09-12 DISPLAY DEVIC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PCT/KR2017/009969 WO2018052225A1 (en) 2016-09-19 2017-09-12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708,502 US20180081526A1 (en) 2016-09-19 2017-09-19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80A KR20180031260A (ko) 2016-09-19 2016-09-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260A true KR20180031260A (ko) 2018-03-28

Family

ID=6161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80A KR20180031260A (ko) 2016-09-19 2016-09-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81526A1 (ko)
EP (1) EP3491503A4 (ko)
KR (1) KR20180031260A (ko)
WO (1) WO20180522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285A (ko) * 2019-12-20 2021-06-30 (주)클로버추얼패션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263A (en) * 1995-06-16 1998-12-01 High Technology Solutions, Inc. Interactive visual ordering system
US5825347A (en) * 1996-06-17 1998-10-20 Ds Partners, Inc. Physical/electronic image depi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780660B2 (ja) * 1997-10-14 2006-05-31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と映像表示装置における光源消灯阻止方法
US6670970B1 (en) * 1999-12-20 2003-12-30 Apple Computer, Inc. Graduated visual and manipulative translucency for windows
JP2004302669A (ja) * 2003-03-28 2004-10-28 Fujitsu Ltd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
US20060244863A1 (en) * 2005-04-27 2006-11-02 John Baikie On-screen assisted on-screen display menuing systems for displays
CN100583013C (zh) 2005-09-23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用户操作控制装置及其方法
CN101286310A (zh) * 2007-04-13 2008-10-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器屏幕显示控制系统及其操作方法
US20090193357A1 (en) * 2008-01-26 2009-07-30 Panico Michael W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Unintended Graphical Cursor Input
KR20100006845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Osd 아이템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58506B1 (ko) * 2009-07-21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360665A3 (en) * 2009-11-26 2012-03-28 LG Electronic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87479B1 (ko) * 2010-01-29 2011-11-25 주식회사 팬택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14477B2 (en) *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743775B2 (ja) * 2011-07-25 2015-07-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
JP5995607B2 (ja) * 2012-08-22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60342574A1 (en) * 2012-10-16 2016-11-24 Xincheng Zhang Allotment of placement locations for supplemental content in dynamic documents
US9401984B1 (en) * 2015-02-04 2016-07-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isdials and unintended activation of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285A (ko) * 2019-12-20 2021-06-30 (주)클로버추얼패션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97865A (ko) * 2019-12-20 2022-07-08 (주)클로버추얼패션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US11417039B2 (en) 2019-12-20 2022-08-16 Clo Virtual Fashion Inc.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US11625877B2 (en) 2019-12-20 2023-04-11 Clo Virtual Fashion Inc.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81526A1 (en) 2018-03-22
EP3491503A1 (en) 2019-06-05
EP3491503A4 (en) 2019-07-17
WO2018052225A1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953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TWI461663B (zh) 具有顯示器之裝置與其光伏陣列之光感測方法
US20150227231A1 (en) Virtual Transparent Display
US104094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display posi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US10802784B2 (en) Transmission of data related to an indicator between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US9906257B2 (en) Case for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EP3026649B1 (en) Pointing apparaus, interface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2011028564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d
US2018016579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108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063288B (zh) 显示装置及其频道地图管理方法
US10248244B2 (en) Device operated through opaque cover and system
US20160139729A1 (en) Methods in computing devices
EP3340015B1 (en)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indicated object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20190222757A1 (en) Control method
KR2018003126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6815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605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70507A (ko) 전자 장치의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5244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04415B2 (en) Interactive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input device thereof
CN107205170B (zh) 显示设备及操作显示设备的方法
EP327367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ely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80173382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818585B (zh) 用户手指位置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投影仪、投影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