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507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507B1
KR101960507B1 KR1020150049951A KR20150049951A KR101960507B1 KR 101960507 B1 KR101960507 B1 KR 101960507B1 KR 1020150049951 A KR1020150049951 A KR 1020150049951A KR 20150049951 A KR20150049951 A KR 20150049951A KR 101960507 B1 KR101960507 B1 KR 10196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ode
setting
low pow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629A (ko
Inventor
손호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507B1/ko
Priority to US15/013,293 priority patent/US20160299673A1/en
Priority to EP16157944.6A priority patent/EP3079039A1/en
Publication of KR2016012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전 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다 고해상도의 영상이 제공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한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큰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소한의 기능만이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신속하게 온 시킬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 및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공하는 단계는,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 및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의 진입 이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신속하게 온 시킬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대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절전 모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절전 모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3c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는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화면'은 디스플레이에서 영상이 실제 출력되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을 칭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장치의 하나로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카메라, 휴대폰, 저장 매체 및 기타 전자 기기에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PC 용 모니터 및 TV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업용 디스플레이(LFD, large format display)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용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0)를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전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브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브 프로세서는 저전력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고, 이 때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서브 프로세서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저전력 모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 부분에 공급되는 전원중 적어도 일부가 차단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적인 모드일 때와 비교하여 전력을 더 적게 소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를 따를 수 있다. 여기서 DPMS는 비디오 전자 규격 협회인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정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규격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카메라, 휴대폰, 저장 매체, 셋탑 박스 등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DPMS의 규격에 따른 다양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란, 일정 시간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 횟수 및 일정 시간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총 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 및 해제된 이력을 획득하는 시간 구간을 제1 구간이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의 길이는 1주일, 10일 등이 될 수 있고, 이는 구현 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은,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를 들어 3시간, 5시간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를 온 하거나, 오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온 된 경우, 서브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를 외의 다른 부분들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온 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 부분에 공급되는 전력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인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온 된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 유선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에 공급되는 전원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 된 경우, 서브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 및 메인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 외의 다른 부분들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 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아니함) 부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 된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 유선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 된 경우, 서브 프로세서와 메인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온 된 경우, 저전력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만을 소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 된 경우, 미리 정해진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가 온 된 경우와 오프 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부분에 대해 상술한 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구현 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 1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는 때에 대응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에 대응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이 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화면상에 표시되는 팝업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마이크, 유선 마우스, 무선 마우스, 키보드 등의 PC의 주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마우스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우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은 구현 예일 뿐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5)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신호에 의해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모션 입력에 의해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될 수도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11)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13)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15)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받지 않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17)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받지 않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대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아이템들(13, 15, 17)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에 위치한 하드 키 버튼을 푸쉬하는 동작을 통하여 아이템들(13, 15, 17)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터치하는 동작을 통하여 아이템들(13, 15, 17)을 선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구현 예에 따라, 다른 종류의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b>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업용 디스플레이(LFD, large format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스크탑, 서버, 저장 매체, 셋탑 박스 등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b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1b에 도시된 것은 구현 예이고, 이러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이 가능한 TV용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을 위한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0)를 디스플레이(115)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c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오른쪽 하단에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1c에 도시된 것은 구현 예이고, 이러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80) 및 디스플레이(11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 및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메인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는 저전력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고,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사용자 입력부(175), 제어부(180),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다. 절전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전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브 프로세서(183-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점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 및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은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따라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시키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시키는 사용자의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따라 광 수신부(16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시키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광 수신부(163)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70)는 구현 예에 따라 D-sub 포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포트 및 DP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 설정(setting)을 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5)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5)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183-1) 및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183-2)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83-1)는 코어 및 GPU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83-2)는 저전력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고,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사용자 입력부(175)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커서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 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90)는 절전 모드의 현재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90)는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및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나타내기 위한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90)는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S1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및 제1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S110에서 획득한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S120).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에서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전자 규격 협회인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의 규격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sub 포트 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수직 주파수(H-sync) 및 수평 주파수(V-sync) 각각이 미리 정해진 주파수 이하일 때 저전력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DVI 및 DP 포트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TMDS(Transmiss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의 클록에 의해 저전력 모드에 진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DVI 및 DP 포트 등으로부터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저전력 모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마이크, 유선 마우스, 무선 마우스, 키보드 등의 PC의 주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511)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일 때,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511)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제1 구간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메시지(511)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을 일주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을 1일, 5일, 10일 등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 횟수가 50회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에 진입 횟수가 많은 편입니다. Max power Saving을 off으로 설정하면 저전력 모드 진입/해제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Off로 설정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511)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513)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515)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510)를 제공받지 않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517)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일 때, 아이템(513)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오프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 서브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 및 메인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의 진입과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이 0.5초 이내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517)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절전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 및 해제하는 빈도가 많은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절전 모드를 오프로 설정함으로써 저전력 모드의 진입과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521)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일 때,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521)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메시지(52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에 기초하여 메시지(521)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을 일주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을 5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컴퓨터 모니터일 수 있으며, 제1 구간(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가 4회이고, 5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가 3회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컴퓨터를 켜서 사용하는 시간이 긴 편입니다. Max power Saving을 on으로 설정하면 저전력 모드에서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On으로 설정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521)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513)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515)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제공받지 않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517)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일 때, 아이템(513)을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온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온일 때, 서브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에 공급되는 전력 외에 다른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절전 모드가 온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와 비교하여 전력을 적게 소모할 수 있다. 절전 모드가 온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은 6초 내지 10초 이내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517)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520)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절전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 및 해제하는 빈도가 적고,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는 절전 모드를 온으로 설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S21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S210에서, 제1 구간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S210에서 획득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20). 그 후 단계 S2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230).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20).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단에 표시된 가로축(711)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가로 축 상에 표시된 화살표(701)의 시작과 끝은 각각 저전력 모드에 진입된 시점과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된 시점에 대응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온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703)는 5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703)는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4회 일 수 있다) 이상일 수 있다.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703)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7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711)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오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705)가 3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한 횟수(705)는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4회 일 수 있다) 미만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7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721)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T1)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된 횟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보면, 미리 정해진 시간(T0, 703)은 10시간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T1) 동안 10시간 이상 저전력 모드 상태가 지속된 횟수가 2회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속된 횟수인 2회는 미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4회일 수 있다) 미만일 수 있다. 지속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7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721)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310).
단계 S3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S310에서 획득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20). 그 후 단계 S3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330).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20).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제1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단에 표시된 가로축(911)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a의 가로 축 상에 표시된 화살표들의 시작과 끝은 각각 저전력 모드에 진입된 시점과 저전력 모드에서 해제된 시점에 대응된다. 도 9a의 화살표들 각각의 길이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오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에 진입된 횟수는 5회일 수 있다. 도 9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구간(T2, 901) 동안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총 시간을 5 ×T2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속된 총 시간인 5 ×T2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지속된 총 시간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9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911)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온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는 5회일 수 있다. 도 9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구간(T3, 903) 동안 저전력 모드 상태로 지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총 시간을 5 ×T3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속된 총 시간인 5 ×T3는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일 수 있다. 지속된 총 시간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9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921)를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9a에 및 도9b에서 저전력 모드에 진입된 횟수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9a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저전력 모드에 지속된 총 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면,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S410).
단계 S4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420).
단계 S4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S420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S430).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점(t1, 1101)에서부터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화살표들(1103, 1105, 1107)의 각각의 길이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온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는 3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총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일 수 있다. 지속된 총 시간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11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1111)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1115)을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유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절전 모드 설정을 유지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수집하는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점(t2, 1102)에서부터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b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점(t2, 1101)에서부터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화살표들(1103, 1105, 1107, 1113, 1115, 1117)의 각각의 길이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오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는 5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구간(T1)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총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지속된 총 시간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1121)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1115)을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유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절전 모드 설정을 유지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수집하는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점(t2, 1102)에서부터 제1 구간(T1) 보다 더 긴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c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점(t2, 1101)에서부터 제1 구간(T1)의 두 배의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설정은 온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구간(T1)의 두 배의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는 10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점(t2, 1102)에서부터 제1 구간(T1)의 두 배의 구간 동안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총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총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13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1131)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대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대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구간(T1) 동안 t4(1201), t5(1203), t6(1205), t7(1207) 및 t8(1209)의 시점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구간(T1)은 예를 들어 일주일일 수 있다. 각각의 시점인, t4(1201), t5(1203), t6(1205), t7(1207) 및 t8(1209)는 예를 들어, 하루(T2) 중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한 이력에 기초하여, 하루(T2) 중 미리 정해진 시간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a는 절전 모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도 3의 175 참조)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에 위치한 하드 키 버튼을 푸쉬하는 동작을 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OSD (On Screen Display) 기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템(13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통하여 아이템(1310)과 관련된 설명(135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b는 절전 모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템(1310)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도 3의 175 참조)를 통해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템(1310)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 설정을 자동으로 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템(1311), 절전 모드 설정을 온으로 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템(1311) 및 절전 모드 설정을 오프로 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템(1311)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 설정을 자동으로 하기 위한 아이템(1311)에 Auto 의 표시와 함께 현재 절전 모드의 설정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c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절전 모드의 설정이 자동인 경우에, 절전 모드의 설정의 변경을 제안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의 변경을 제안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아이템(133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300)를 통하여 아이템(1330)과 관련된 설명(135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의 설정의 변경을 제안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 및 장점들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를, 아래 청구항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본 개시의 설명적 예시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의 상기 저전력 모드 (low-power mode)에서, 일반적인 모드에서보다 더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절전 모드가 온일 때의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의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보다 더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구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상기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점에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 및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의 상기 저전력 모드 (low-power mode)에서, 일반적인 모드에서보다 더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절전 모드가 온일 때의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가 오프일 때의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보다 더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구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 및 상기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의 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의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 해제되는 때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점에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로 진입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오프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온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이 온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저전력 모드가 지속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을 오프로 변경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 및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 진입 이력이 수집되는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50049951A 2015-04-08 2015-04-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6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951A KR101960507B1 (ko) 2015-04-08 2015-04-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5/013,293 US20160299673A1 (en) 2015-04-08 2016-02-02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16157944.6A EP3079039A1 (en) 2015-04-08 2016-02-29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951A KR101960507B1 (ko) 2015-04-08 2015-04-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29A KR20160120629A (ko) 2016-10-18
KR101960507B1 true KR101960507B1 (ko) 2019-03-20

Family

ID=5565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951A KR101960507B1 (ko) 2015-04-08 2015-04-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99673A1 (ko)
EP (1) EP3079039A1 (ko)
KR (1) KR101960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154B1 (ko) * 2014-08-29 2021-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모드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37395B1 (ko) * 2017-05-10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440157B1 (ko) * 2017-12-29 202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3296A (ja) 2006-03-23 2007-11-08 One Laptop Per Child Association Inc 表示副システムの消費電力低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第2表示制御装置
US7505795B1 (en) 2004-07-07 2009-03-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Power save management with customized range for user configuration and tuning value based upon recent usage
US20100039214A1 (en) * 2008-08-15 201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llphone display time-out based on skin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1236B1 (en) * 1996-06-03 2004-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altering operation of a graphics subsystem during run-time to conserve power upon detecting a low power condition or lower battery charge exists
GB9925289D0 (en) * 1999-10-27 1999-12-29 Ibm Method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user-activity-dependent changes of operational state of an apparatus
US7020788B2 (en) * 2001-06-01 2006-03-28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Reduced power option
US20030158609A1 (en) * 2002-02-19 2003-08-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saving management for portable devices
KR100530800B1 (ko) * 2003-06-25 2005-1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070703A (ko) * 2008-12-18 2010-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36120B2 (ja) * 2009-07-03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電気機器、画像形成装置、電気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35251B2 (en) * 2010-01-11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low power mode implementation for computing devices
US9684394B2 (en) * 2011-01-10 2017-06-2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9317096B2 (en) * 2012-12-18 2016-04-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Performance aware idle power management
US9603090B2 (en) * 2013-08-08 2017-03-21 Apple Inc.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low power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60154452A1 (en) * 2014-12-02 2016-06-02 Arm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mode of operation of a memor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5795B1 (en) 2004-07-07 2009-03-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Power save management with customized range for user configuration and tuning value based upon recent usage
JP2007293296A (ja) 2006-03-23 2007-11-08 One Laptop Per Child Association Inc 表示副システムの消費電力低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第2表示制御装置
US20100039214A1 (en) * 2008-08-15 201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llphone display time-out based on skin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039A1 (en) 2016-10-12
KR20160120629A (ko) 2016-10-18
US20160299673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641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션 인식방법
US2016023188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701687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73279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properties of a highlighted item and surrounding items
KR2017009143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8038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064150B2 (en) High resolution user interface
CN105739815A (zh) 图像显示设备和图像显示方法
KR2018009805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9605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3750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1696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4283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88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436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700726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7544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01077A (ko)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