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84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842A
KR20160098842A KR1020150020968A KR20150020968A KR20160098842A KR 20160098842 A KR20160098842 A KR 20160098842A KR 1020150020968 A KR1020150020968 A KR 1020150020968A KR 20150020968 A KR20150020968 A KR 20150020968A KR 20160098842 A KR20160098842 A KR 2016009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display
item
unit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091B1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091B1/ko
Priority to US15/017,717 priority patent/US20160231898A1/en
Priority to EP16155106.4A priority patent/EP3056974B1/en
Priority to CN201610084604.8A priority patent/CN105867726B/zh
Publication of KR2016009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와의 인터랙티브성을 강화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아이템들을 구현한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고 끊김없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피드백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 또는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은, 상기 제1제어 장치에서의 터치의 해제 또는 상기 제1제어 장치의 절전 모드 진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상기 제2제어 장치의 방향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단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상기 커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서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여러 개의 제어 장치들간에 끊김없는 유저 인터페이스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각 입력 장치를 통해서 조작시 피드백이 시작되는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싱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인팅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에 저장되는 모듈의 예이다.
도 4a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에 위치하는 키의 선택은 키의 눌림 또는 키의 터치, 키의 드래그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는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또는 웹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제 컨텐츠가 출력되는 부분은 스크린 또는 화면으로 불리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a, 200b, 200c, 200d, 200e)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된다.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어 장치(200a, 200b, 200c, 200d, 200e)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200)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템 영역(300)을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영역(300)에는 아이템 (1, 2, 3, 4, 5, 6, 7)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은 도 1a에서는 가로로 배열되어 있지만 아이템 영역은 세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아이템 영역은 도 1a에서는 하나가 표시되어 있지만 아이템 영역은 두 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아이템 영역이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의 각각은 복수개의 카테고리의 각각을 나타낼 수 있다.
아이템들은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영상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템,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템, 사용자가 실행한 컨텐츠의 이력( history )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들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영화 또는 드라마에 대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영화 또는 드라마 포스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음악이 포함된 앨범의 포스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마지막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채널에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했던 화면 이미지 또는, 해당 채널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사용자가 실행한 컨텐츠의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컨텐츠에서 마지막으로 실행된 화면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의 포트를 나타내는 아이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을 나타내는 아이템, PC 포트(PC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및 USB 포트(USB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향키를 구비한 제어 장치(200a)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제어 장치(200b)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우스와 같은 형태의 제어 장치(200d)의 입력에 기초해서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향키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고 포인팅 장치로 구현된 제어 장치(200c)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각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객체의 형태는 서로 다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기초해서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싱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포커싱 모드(focusing mode)는 네비게이션 모드(navigation mode) 또는 메뉴 드리븐 모드(menu driven mode)로 불리울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에 마련된 방향키 입력에 기초하여 아이템 영역(300)에 표시된 아이템들을 선택하거나 이동시키거나 스크롤링할 수 있다. 스크롤링(scrolling)은 컴퓨터 디스플레이나 텔레비전 제품에서,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상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말한다. 스크롤링은 텍스트나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변경시키지 않고 전체적으로 보여지지 않는 더 큰 이미지의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자의 뷰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어 장치(200a, 200c)에 마련된 방향키(201, 204) 입력을 최초로 감지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향키 입력에 따른 아이템 제어를 위한 동작을 초기화하고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한 아이템이 포커스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시각적 효과를 특정한 아이템에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a, 200c)에 마련된 방향키 입력을 최초로 수신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 영역(30)에 표시된 첫번째 아이템(1)에 포커스 시각적 효과(310)를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시각적 효과는 포커스된 아이템의 테두리에 진한 선으로 테두리를 둘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시각적 효과는 포커스된 아이템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포커스된 아이템의 투명도를 다르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시각적 효과는 포커스된 아이템의 사이즈를 다르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시각적 효과는 포커스된 아이템을 다른 아이템들과 간격을 벌여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아이템이 포커스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장치(200a, 200c)에 마련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향키 입력에 대응되는 인접 아이템으로 포커스 시각적 효과(310)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3)이 포커스된 상태에서 제어장치(200a, 200c)로부터 오른쪽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3)에 부여했던 포커스 시각적 효과를 아이템 (3)의 오른쪽에 인접한 아이템 (4)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3)이 포커스된 상태에서 제어장치(200a, 200c)로부터 왼쪽 방향키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 (3)에 부여했던 포커스 시각적 효과를 아이템 (3)의 왼쪽에 인접한 아이템 (2)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의 포인팅 입력에 기초해서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인팅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2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커서(320)의 모양이 원형인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커서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것이다. 커서(cursor:300)는 컴퓨팅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 또는 포인팅 장치에 응답하여, 컴퓨터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말한다.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는 디스플레이상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는 주로 포인터(pointer)라고 불리운다. 도 1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c)를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서 움직이면 제어 장치(200c)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2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구현된 제어 장치(200)의 가운데에 마련된 터치 패드(203)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팅 모드로 동작하도록 초기화하고 디스플레이부(115)에 커서(320)를 표시한다. 제어 장치(200c)는 터치 패드(203)에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c)를 움직이면 제어 장치에 마련된 모션센서(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가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모션센서 값을 출력하며, 제어 장치의 제어부(280)는 출력된 모션센서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c)로부터 수신한 모션센서 값에 기반하여 커서(320)의 위치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c)의 터치 패드(203)을 일반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누르면 터치 패드 밑에 마련된 스위치가 동작하여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c)가 아이템 영역(300)의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가리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아이템을 롤오버(rollover)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포커싱 효과와 유사하게 커서가 아이템 상에 위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가 위치된 해당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고, 다시 커서가 이동하여 아이템을 빠져나가면 해당 아이템을 원래의 형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포인팅 기능을 실현하는 제어 장치(200)는 터치 패드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지 제어 장치(200d)을 그립하고 움직이는 동작만으로도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센서 값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포인팅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아이템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 아이템에 포커싱 효과 또는 하이라이트 효과를 표시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로 사용하다가 포커싱 모드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던 커서의 처리를 어떻게 할지,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로 사용하다가 포인팅 모드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포인팅 모드에서 처음 나타나는 커서의 위치를 어디에 위치시킬지,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자연스러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 제어부(180), 및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감지부(16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포커싱 효과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스크린상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6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커서의 모양과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6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응답하여, 이 방향키의 방향에 대응하여 아이템의 포커싱을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도록 디스플레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제어부(180),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모드에 따른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방향키 모드에 따른 입력에 대응하여 포커스 시각적 효과를 아이템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커서가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커서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킬 때 커서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40)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튜너부(140)은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튜너부(14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되는 멀티윈도우 화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윈도우에 복수개의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튜너부(1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은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1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에 마련된 터치 패드(203)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200)를 움직이면 이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에 마련된 특정한 버튼이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수신부(1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에 버튼식으로 마련된 터치 패드(203)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이러한 버튼식 터치 패드(203)이 눌려졌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식 터치 패드(203)가 눌려졌다는 신호는 아이템들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1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에 마련된 방향키 버튼(204)를 누르면, 방향키 버튼(204)이 눌려졌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수신부(163)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 또는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은,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에서의 터치의 해제 또는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절전 모드 진입을 포함한다.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방향키 입력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수신부(163)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한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상에 표시될 커서를 생성하거나,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템에 부여할 포커스 시각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 및 아이템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으로 이동시키는 제 1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커서가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커서를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게 하는 제2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에 나타나는 제3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163),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및 후면 중 하나에 위치하는 패널 키(panel key, 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각 아이템 영역이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하면 이러한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그래픽 처리부(184)에 의해 생성된, 제 1애니메이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커서가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커서를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게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그래픽 처리부(184)에 의해 생성된 제2애니메이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더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킬 때 커서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그래픽 처리부(184)에 의해 생성된 제3애니메이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커서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 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해서 출력되는 커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해서 아이템들에 부여되는 포커스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할 수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에 저장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90-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90-1)은 포커스 시스템(10), 포인팅 시스템(20), UI 툴킷 시스템(30),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를 포함한다.
포커스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커싱 모드로 사용될 때 포커싱되는 객체 또는 포커싱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포커스 히스토리 정보(11)는 포커싱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담고 있으며 그중 마지막 포커싱 아이템 정보(12)는 현재 또는 마지막으로 어떠한 유저 인터페이스 객체 또는 아이템이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포커스 시스템(10)은 마지막 포커싱 아이템 정보(12)를 항상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포커싱 모드에서 포인팅 모드로 전환 할 때 또는 포인팅 모드에서 포커싱 모드로 전환할 때 마지막 포커싱 아이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커싱 시스템(10)은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에 이벤트로 알려줄 수 있다.
포인팅 시스템(20)은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 및 모션을 조작해준다. 또한 포인팅 시스템(20)은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상태를 이벤트로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에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포인팅 시스템(20)은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 또는 비활성화 액션을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에 이벤트로 알려줄 수 있다.
UI 툴킷 시스템(User Interface toolkit system)(30)은 UI 객체들 또는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에 표시해주며 UI 객체들 또는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은 각 입력 장치별 동작 전환에 대한 심리스 피드백(seamless feedback)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4a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00)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30)는 도 4b의 (a)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a)와 같이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201)를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는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 애플리케이션, 또는 아이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방향 키나 버튼은 상, 하, 좌, 우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4방향 키나 4 방향 버튼 대신에 2 방향 키나 2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201)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된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의 포커스를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도 4b의 (b)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b)와 같이 터치 패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230)는 제어 장치(200)의 터치 패드를 통해 드래그(drag), 터치(touch) 또는 플립(fli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를 들면,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방향, 터치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도 4b의 (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c)는, 4 방향키(204), 터치 패드(203) 및 자이로 센서(241), 가속도 센서(242)를 모두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0)가 포인팅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200)의 자이로 센서(241)를 이용하여 기울이는 방향 또는 각도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4 방향키(204)의 선택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된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의 포커스를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드(203)의 터치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터치 패드(203)의 터치 신호가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200c)의 터치패드(203)를 터치함으로써 포인팅 장치(200c)의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의 신호를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인팅 장치(200c)의 터치 패드(203)를 터치함으로써 포인팅 장치(200c)의 포인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또한 포인팅 장치(200c)의 터치 패드(203)에서의 터치를 해제함으로써 포인팅 장치(200c)의 포인팅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b의 (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d)는, 4 방향키(205)와 자이로 센서(241), 가속도 센서(242)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d)는 제어 장치(200c)와 유사하지만 터치패드(203)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장치(200d)는 포인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터치 패드로의 터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단지 제어 장치(200d)를 잡고(그립) 움직임으로써 제어 장치(200d)의 포인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제어 장치(200d)를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또는 제어 장치(200d)를 내려놓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어 장치(200d)가 절전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제어 장치(200d)의 포인팅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는 감지된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커서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를 통하여 감지된 제어 장치(200)의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 키, 터치패드, 포인팅 기능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된 커서 또는 포커싱의 위치를 제어하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부(115)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템 영역(600)을 마련하고 아이템 영역(600)에 아이템 #1 내지 아이템 #6을 표시한다. 아이템 영역의 위치나 개수, 아이템들의 배열이나 개수 등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된 아이템들은 포커싱 모드에서 제어 장치의 방향키 입력 등에 의해 제어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모드에서 제어 장치의 포인팅 기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패드(203)을 구비한 제어장치(200c)의 터치패드를 터치함으로써 제어장치(200c)의 포인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c)의 터치패드(203)을 터치한 상태로 제어 장치(200c)를 움직이면 제어 장치(200c)의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는 이러한 제어 장치(200c)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60)는 이러한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80)으로 전달한다.
저장부(19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90-1)을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180)는 포인팅 시스템(20)에 의해 감지부(160)로부터 전달된 움직임 신호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서(320)를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또한 터치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제어장치(200d)를 잡고 움직임으로써 제어 장치(200d)의 포인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 또는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은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에서의 터치의 해제 또는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절전 모드 진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인팅 모드에서 커서(320)가 (x1,y1)의 위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패드(203)을 구비한 포인팅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 장치(200c)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203)에서 손가락을 떼어 터치를 해제함으로써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터치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포인팅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 장치(200d)를 사용자가 놓아 제어 장치(200d)에서 움직임 신호를 감지함 없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200d)는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절전 모드 진입을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201)를 구비한 제어 장치(200a)에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60)는 이와 같이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포인팅 시스템(20)는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에 이벤트의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단계 530에서, 감지한 입력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었던 커서를, 포인팅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 입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 제어부(180)의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은 커서를 디스플레이부(115)에서 바로 사라지게 만들지 않고, 포커스 시스템(10)이 저장하고 있는 마지막 포커싱 아이템 정보(12)로부터 마지막 포커싱을 가지고 있었던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은 UI 툴킷 시스템(30)을 통해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대한 위치 좌표를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은 현재 커서의 위치 즉, 포인팅 모드를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었을 당시의 커서의 위치로부터, 마지막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켜주는 애니메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포인팅 모드를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었을 당시의 커서의 위치가 s(x1, y1)이라고 하고, 마지막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이 아이템 #2라고 하고, 아이템 #2의 가운데 위치가 s(x2, y2)라고 하자.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는 포인팅 모드를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었을 때 커서를 s(x1, y1)의 위치에서 바로 사라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커서를 s(x1,y1)의 위치에서부터 s(x2,y2)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애니메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애니메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갑자기 커서가 사라지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포인팅 모드에서 포커싱 모드로 진입할 때 커서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커서가 이동되는 위치는 반드시 마지막 포커싱 아이템의 가운데 위치는 아니고 마지막 포커싱 아이템 상의 위치라면 어떤 위치라도 좋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가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커서를 디스플레이부(115)로부터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의 UI 툴킷 시스템(30)은 도 7에서와 같이 마지막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2로 커서(320)의 이동이 완료되면 커서의 표시를 사라지게 하고, 아이템 #2가 포커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아이템 #2에 시각적 효과(310)를 부여할 수 있다. 포커싱을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310)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아이템 #2에 테두리를 두른다든가 아이템 #2의 색상을 다른 아이템들과 다르게 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커싱 기능을 가진 제어 장치(200c)를 이용하여, 포커싱된 아이템 #2으로부터 시작하여 아이템들간에 포커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아이템 #2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커싱 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c)의 방향키(204)중 오른쪽 방향키를 누름으로써 아이템 #2의 오른쪽에 인접한 아이템 #3으로 포커싱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른쪽 방향키를 한번 더 누름으로써 아이템 #3의 오른쪽에 인접한 아이템 #4로 포커싱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에 아이템 #4가 포커싱된 것을 표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사용자가 터치 패드(203)를 구비한, 포인팅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 장치(200c)의 터치 패드(203)에 손가락을 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터치 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포인팅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 장치(200d)를 그립하여 움직이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80)의 포인팅 시스템(20)은 이러한 감지된 입력을 이벤트의 형태로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에 알려줄 수 있다.
단계 9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 통합 입력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40)은,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320)를,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4상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팅 기능을 가진 제어 장치(200c)를 이용하여 아이템 #4상에 위치된 커서의 위치로부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포커싱 모드에서 포인팅 모드로 진입할 때, 포커싱 모드에서 표시되기 시작하는 커서를 디스플레이부(115)상의 임의의 위치가 아니라 포커싱이 끝난 지점 즉 마지막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상에 그려주기 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여러가지 입력 장치들간의 자연스럽고 연결성 있는 피드백을 경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 및 장점들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를, 아래 청구항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본 개시의 설명적 예시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 또는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은,
    상기 제1제어 장치에서의 터치의 해제 또는 상기 제1제어 장치의 절전 모드 진입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상기 제2제어 장치의 방향키 입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단일 장치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상기 커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서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었던 커서를, 포커싱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1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 또는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액션은,
    상기 제1제어 장치에서의 터치의 해제 또는 상기 제1제어 장치의 절전 모드 진입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장치의 활성화 액션은,
    상기 제2제어 장치의 방향키 입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단일 장치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서 상기 커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서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상기 마지막으로 포커싱을 가지고 있던 아이템 상에 나타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은,
    포인팅 장치의 활성화 액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20968A 2015-02-11 2015-02-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5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68A KR102250091B1 (ko) 2015-02-11 2015-02-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5/017,717 US20160231898A1 (en) 2015-02-11 2016-02-0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16155106.4A EP3056974B1 (en) 2015-02-11 2016-02-1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201610084604.8A CN105867726B (zh) 2015-02-11 2016-02-14 显示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68A KR102250091B1 (ko) 2015-02-11 2015-02-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42A true KR20160098842A (ko) 2016-08-19
KR102250091B1 KR102250091B1 (ko) 2021-05-10

Family

ID=5552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968A KR102250091B1 (ko) 2015-02-11 2015-02-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31898A1 (ko)
EP (1) EP3056974B1 (ko)
KR (1) KR102250091B1 (ko)
CN (1) CN1058677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026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2886A (zh) * 2017-03-22 2017-12-01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入点切换方法和电子设备
WO2019000430A1 (en) * 2017-06-30 2019-01-03 Guangdo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SYSTEMS AND TEXT INPUT METHODS IN A VIRTUAL ENVIRONMENT
CN113760137B (zh) * 2021-06-16 2022-08-05 荣耀终端有限公司 光标显示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7331A (en) * 1995-08-03 1997-11-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animated focus item
EP2613546A2 (en) * 2012-01-09 2013-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2758A1 (en) * 1992-05-07 1993-11-11 Kensington Microware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ursor positioning
US7168047B1 (en) * 2002-05-28 2007-01-23 Apple Computer, Inc. Mouse having a button-less panning and scrolling switch
KR100514736B1 (ko) * 2002-12-27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US7659890B2 (en) * 2004-03-19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or electronic highlighter pens and mousing devices
JP5582629B2 (ja) * 2008-10-16 2014-09-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963847B2 (en) * 2010-12-06 2015-02-24 Netflix, Inc.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device
KR20130142824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3784B1 (ko) * 2013-01-07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7331A (en) * 1995-08-03 1997-11-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animated focus item
EP2613546A2 (en) * 2012-01-09 2013-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026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67726A (zh) 2016-08-17
CN105867726B (zh) 2019-06-25
KR102250091B1 (ko) 2021-05-10
EP3056974A3 (en) 2016-11-23
EP3056974B1 (en) 2019-04-10
US20160231898A1 (en) 2016-08-11
EP3056974A2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523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1480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6009786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CN105763921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KR201701248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70059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718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842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7957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EP305697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111696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2100748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573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22656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EP30323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700726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7544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647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