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933A - 벌크 피더 - Google Patents

벌크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933A
KR20110084933A KR1020117010900A KR20117010900A KR20110084933A KR 20110084933 A KR20110084933 A KR 20110084933A KR 1020117010900 A KR1020117010900 A KR 1020117010900A KR 20117010900 A KR20117010900 A KR 20117010900A KR 20110084933 A KR20110084933 A KR 20110084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hutter
opening
guid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092B1 (ko
Inventor
코우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65G47/1485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using suction or magnetic fo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취출구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벌크 피더를 제공한다. 벌크 피더는, 수납실(14), 안내구(13b), 취입구(15a), 공급 통로(15) 및 취출구(16)를 포함하는 케이스(10)와, 복수의 영구 자석(40d)을 포함하는 로터(40)와, 취출구(16)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50)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40)에는 복수의 가압부(40c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셔터(50)에는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 가능한 피가압부(50c)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50)는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취출구(16)를 개방하고, 그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 취출구(16)를 폐색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벌크 피더{BULK FEEDER}
본 발명은, 수납실 내에 낱개 상태(방향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수납된 부품을 소정 방향으로 취출구(取出口)에 공급하는 벌크 피더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후측(後側)의 벽면과 외주(外周)의 원호 형상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수납실, 가이드면의 상단에 설치된 취입구(取入口), 취입구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설치된 통로, 통로의 선단에 설치된 부품 분리부, 수납실의 벽면의 후방(後方)에 설치된 회전판 및 회전판에 설치된 복수의 자석을 구비한 벌크 피더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수납실 내에 낱개 상태(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 부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판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실 내의 부품을 자석의 자력에 의해 벽면 및 원호 형상 가이드면의 쌍방에 동시 흡인하여 양면을 따라 정렬시키는 것과 함께 정렬한 부품만을 취입구에 유입시키고, 취입구에 유입한 부품을, 통로를 통하여 부품 분리부에 자중(自重)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부품을 부품 분리부에 형성되는 취출구 상당 개소(箇所)에 공급하는 기능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부품을 통로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중 이동시키는 경우, 통상, 상기 통로의 단면 형상은 치수 공차(公差) 내에서 최대 사이즈의 부품이 통과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 벌크 피더에서는, 통로의 길이가 부품의 길이에 비해서 현저히 긴 것과 함께, 치수 공차 내에서 최소 사이즈의 부품이 통로 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사져서 부품 막힘을 생기게 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부품 1개당 중량이 경량이므로 상기 부품을 자중에 의해 스무스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부품이 취출구 상당 개소에 공급되는 효율이 저하해 버린다.
또한, 이 종류의 벌크 피더는 마운터(부품 탑재 장치)의 부품 공급 수단으로서의 이용 빈도가 높고, 1부품당 탑재 시간이 짧은 고속형 마운터가 존재하는 현상 으로 보아, 상기 마운터에 적합한 능력, 즉, 짧은 시간 간격, 예를 들면 50msec이하로 취출구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벌크 피더에 대하여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벌크 피더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이 취출구에 공급되는 효율이 낮기 때문에, 고속형 마운터에 적합한 능력, 즉, 짧은 시간 간격으로 취출구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어렵다.
1. 일본 등록 특허 제3482324호 2. 일본 등록 특허 제37969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취출구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벌크 피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피더는, 자력(磁力)에 의한 흡인(吸引)이 가능한 부품을 낱개 상태로 복수 개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측벽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 일방(一方) 자극(磁極)이 상기 수납실을 향하고, 상기 일방 자극이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과 동심(同心)의 소정 원 궤도를 따르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의 영구 자석; 소정 원 궤도에 따르도록 상기 수납실의 측벽의 내면에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수납실 내의 상기 부품을 소정 방향에서 수용하여 같은 방향에서 상방(上方)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호(圓弧) 형상의 안내구(案內溝); 소정 원 궤도에 따르도록 상기 안내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수납실의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안내구를 이동하는 소정 방향의 상기 부품을 취입구(取入口)를 통하여 취입(取入)하여서 같은 방향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호 형상의 공급 통로; 상기 공급 통로의 선단(先端)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통로 내를 이동하여 상기 선단에 공급된 소정 방향의 상기 부품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상면 개구(開口)의 취출구(取出口); 및 상기 취출구를 폐색(閉塞) 또는 개방하기 위한 셔터; 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에는 복수의 가압부가 소정 원 궤도를 따르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셔터에는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 가능한 피가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취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취출구를 폐색하도록 동작한다.
이 벌크 피더는, 수납실에 수납되어 있는 낱개 상태의 부품 중의 복수의 부품을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 방향으로 흡인하는 것과 함께 흡인된 복수의 부품을 상기 안내구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을 안내구 내에 소정 방향으로 수용하는 기능과, 안내구 내에 소정 방향으로 수용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을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인하면서 상기 안내구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취입구를 통하여 공급 통로 내에 보내는 기능과, 공급 통로 내에 보내진 소정 방향의 부품을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인하면서 상기 공급 통로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선두의 부품을 상면 개구의 취출구에 공급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공급 통로는 안내구의 상단으로부터 수납실의 상방을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공급 통로의 선단에 상면 개구의 취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급 통로의 길이는 종전의 벌크 피더에 비해서 현저히 짧다. 또한, 공급 통로 내에 보내진 소정 방향의 부품은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상기 공급 통로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부품에 부품 막힘의 원인이 되는 경사를 생기게 하지 않고, 부품 1개당 중량이 경량이여도 상기 부품을 확실하게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이 취출구에 소정 방향으로 공급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취출구로부터 부품이 취출되는 시간 간격이 짧아져도, 예를 들면 50msec이하라도, 상기 시간 간격에 충분히 대응한 공급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벌크 피더에는, 취출구를 폐색 또는 개방하기 위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는 그 피가압부가 로터의 가압부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취출구를 개방하고, 또한,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 취출구를 폐색하도록 동작한다.
즉, 부품이 취출구에 공급될 때에는 취출구를 셔터에 의해 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취출구에 공급된 선두의 부품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 예를 들면 선두의 부품이 취출구에 공급되었을 때의 반동으로 경사지는 것이나, 선두의 부품이 취출구의 외측을 통과하는 영구 자석의 자력의 영향으로 경사지는 것 등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취출구에 공급된 선두의 부품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취출구로부터 부품이 취출되는 시간 간격이 짧아져도, 취출구로부터 선두의 부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작업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터에 설치된 가압부에 의해 셔터에 소기(所期)의 개폐 동작을 수행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개폐 동작을 위한 전용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성으로 취출구의 폐색 또는 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이 설치된 로터에 가압부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해 셔터에 개폐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짧은 시간 간격으로 취출구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벌크 피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과, 구성 특징과, 작용 효과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하는 도면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의 (A)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공급 대상이 되는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 및 도 1의 (C)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에서 공급 대상이 될 수 있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벌크 피더의 좌면도(左面圖), 도 2의 (B)는 동(同) 우면도(右面圖), 도 2의 (C)는 동 상면도(上面圖)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케이스를 구성하는 좌판의 좌면도, 도 3의 (B)는 동 중앙판의 좌면도, 도 3의 (C)는 동 우판의 좌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에 도시한 중앙판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C)에 도시한 우판의 원호구(圓弧溝)를 도시하는 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의 (B)∼도 5의 (D)는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에 도시한 우판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와 취입구 형성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의 (B)∼도 7의 (D)는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와 취입구 형성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로터의 좌면도이며, 도 8의 (B)는 동 상면도, 도 8의 (C)는 도 8의 (A)의 S3-S3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9의 (A)∼도 9의 (C)는 케이스의 안내구와 로터의 영구 자석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셔터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C)의 S1-S1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C)의 S2-S2선을 따르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1은 셔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8 대응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셔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3은 셔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8 대응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셔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5는 셔터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8 대응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셔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7은 셔터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1 대응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28의 (A)는 셔터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셔터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며, 도 28의 (B)는 도 28의 (A)의 S4-S4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9의 (A) 및 도 29의 (B)는 로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8의 (A)대응의 좌면도이다.
도 30의 (A)는 로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8의 (A) 대응의 좌면도, 도30의 (B)는 동 상면도이고, 도 30의 (C)는 도 30의 (A)의 S5-S5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1의 (A) 및 도 31의 (B)은 로터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8의 (A)대응의 좌면도이다.
도 32는 로터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8의 (A) 대응의 좌면도이다.
도 33은 케이스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3 대응의 단면도이다.
도 34의 (A)는 도 33에 도시한 케이스를 구성하는 좌판의 우면도, 도 34의 (B)는 동 우판의 좌면도이다.
도 35의 (A)는 케이스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3의 (C) 대응의 좌면도이고, 도 35의 (B)는 케이스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34의 (B) 대응의 좌면도이다.
도 36의 (A)는 케이스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3 대응의 단면도이고, 도 36의 (B)는 케이스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33 대응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하지만, 상기 설명 중에 사용한「일치」 및「동일」의 용어는 치수 상의 공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완전 일치 및 완전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의 (A)의 좌, 우, 앞 및 안과 다른 도[도 1의 (A)∼도 1의 (C)를 제외한다]의 이들에 상당하는 방향을 각각전, 후, 좌 및 우라고 칭한다.
[벌크 피더의 공급 대상이 되는 부품]
우선, 도 1의 (A)를 인용하여,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공급 대상이 되는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품(EC1)은,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L1)>폭(W1)=높이(H1)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이 부품(EC1)의 구체예는, 길이(L1)가 1.6mm, 1.0mm, 0.6mm, 0.4mm 등의 소형 칩 콘덴서나 칩 레지스터 등의 전자 부품이다. 어느 전자 부품도 강자성체에 속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전극(EC1a)을 포함하는 있는 것 이외에, 종류에 따라서는 강자성체에 속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내부도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다. 물론, 후술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한 흡인이 가능한 동일 형상의 부품이라면, 전자 부품 이외의 부품도 공급 대상이 된다.
또한, 도 1의 (B) 및 도 1의 (C)에 도시한 부품(EC2, EC3)은, 후술하는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을 바꾸는 것에 의해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벌크 피더의 공급 대상이 될 수 있는 부품이다. 도 1의 (B)에 도시한 부품(EC2)은 길이(L2)>폭(W2)>높이(H2)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도 1의 (C)에 도시한 부품(EC3)은 길이(L3)>지름(R3)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이들 부품(EC2, EC3)의 구체예는, 길이(L2, L3)가 1.6mm, 1.0mm, 0.6mm, 0.4mm 등의 소형 칩 콘덴서나 칩 레지스터 등의 전자 부품이다. 어느 전자 부품도 강자성체에 속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전극(EC2a, EC3a)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종류에 따라서는 강자성체에 속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내부도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한 흡인이 가능하다. 물론, 후술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한 흡인이 가능한 동일 형상의 부품이라면, 전자 부품 이외의 부품도 공급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A)∼도 1의 (C)에는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 및 원기둥 형상의 부품(EC1∼EC3)을 나타냈으나, 후술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한 흡인이 가능한 부품이라면, 동도(同圖)에 도시한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부품이나 구형(球形)의 부품 등도 공급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벌크 피더의 일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의 (A)∼도 13을 인용하여, 도 1의 (A)에 도시한 부품(EC1)을 공급 대상으로 하는 벌크 피더의 구조를, 도 1의 (B) 및 도 1의 (C)에 도시한 부품(EC2, EC3)을 공급 대상으로 하는 경우의 변형예도 포함시켜서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A)∼도 13 내에 나타낸 +표시는 후술하는 로터(40)의 회전 중심 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벌크 피더는, 도 2의 (A)∼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 지축(20, 支軸), 축수(30, 軸受), 로터(40), 셔터(50) 및 도시하지 않은 로터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0)는,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치수가 상하 치수 및 전후 치수보다도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케이스(10)는, 도 3의 (A)에 도시한 좌판(11)과, 도 3의 (B)에 도시한 중앙판(12) 및 도 3의 (C)에 도시한 우판(13)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판(11)은, 도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시윤곽(左面視輪郭)이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좌판(11)은, 나사 삽통공(揷通孔)(11a)을 네 모서리에 포함하고 있다.
중앙판(12)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시윤곽이 좌판(11)과 동일하며 상기 좌판(11) 보다도 큰 두께를 가지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판(12)은, 나사공(12a)을 네 모서리에 포함하고, 좌우 방향의 관통공(12b)을 대략 중앙에 포함하고, 셔터용 요부(凹部)(12c)를 상면 중앙에 포함하고 있다.
관통공(12b)은, 곡률 중심이 도면 중의 +표시에 존재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 원호면(12b1)과, 제1 원호면(12b1)보다도 곡률 반경이 작고, 제1 원호면(12b1)과 곡률 중심이 일치하는 제2 원호면(12b2)과, 제1 원호면(12b1)의 하단과 제2 원호면(12b2)의 하단을 연결하는 평면(12b3)과, 제1 원호면(12b1)의 상단과 제2 원호면(12b2)의 상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U자형 요부(12b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원호면(12b1)의 곡률 반경은 후술하는 원호구(13b)의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고, 제2 원호면(12b2)의 곡률 반경은 후술하는 원호구(13b)의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다(도 12 참조).
셔터용 요부(12c)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판(12)의 상면 일부를 좌우 방향으로 절결(切欠)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깊이는 후술하는 취출구용 요부(13c)의 깊이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셔터용 요부(12c)의 전부(前部) 좌측에는 용수철 지지벽(12c1)이 설치되고, 저면 후측에는 나사공(螺絲孔, 12c2)이 설치되어 있다.
우판(13)은,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시윤곽이 좌판(11)과 동일하고 상기 좌판(1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이 투과 가능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우판(13)은, 나사 삽통공(13a)을 네 모서리에 포함하고, 원호구(13b)를 좌면 후측에 포함하고, 취출구용 요부(13c)를 상면 중앙에 포함하고, 지축(20)을 나사 멈춤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공(13f)을 우면 중앙에 포함하고, 셔터용 요부(13g)를 상면 전측(前側)에 포함하고 있다.
원호구(13b)는, 곡률 중심이 도면 중의 +표시에 존재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외측 원호면[13b1, 도 5의 (A)참조]과, 외측 원호면(13b1)보다도 곡률 반경이 작고, 외측 원호면(13b1)과 곡률 중심이 일치하는 내측 원호면[13b2, 도 5의 (A) 참조]을 포함하고 있고, 외측 원호면(13b1)과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의 차이는 후술하는 폭[Wg, 도 5의 (A) 참조]을 규정하고 있다. 이 원호구(13b)는 아래로부터 위를 항하고,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의 +표시의 바로 아래에서 바로 위를 향하여 약 180°의 각도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호구(13b)의 최상점(最上点)으로부터 전측에는, 상기 원호구(13b)와 동일 단면 형상을 가지는 직선구(直線溝, 부호 없음)가, 그 폭 및 깊이를 규정하는 3면이 상기 원호구(13b)의 폭(Wg) 및 깊이(Dg)를 규정하는 3면과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EC1)의 폭(W1) 또는 높이(H1) 보다도 약간 크고, 단면대각(端面對角) 치수(D1) 및 길이(L1) 보다도 작은 폭(Wg) 및 깊이(Dg)를 가지는 직사각형이다. 즉,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는, 동도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EC1)을 폭 또는 높이의 면이 거의 일치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은,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의 변형예이다. 도 5의 (B)에 도시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은, 도 1의 (A)에 도시한 부품(EC1)의 단면대각 치수(D1) 보다도 약간 크고, 길이(L1)보다도 작은 폭(Wg) 및 깊이(Dg)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이다. 즉, 도 5의 (B)에 도시한 원호구(13b)는, 동도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EC1)을 폭 및 높이의 면의 방향에 상관없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은, 도 1의 (B)에 도시한 부품(EC2)의 높이(H2) 보다도 약간 크고, 폭(W2)보다도 작은 폭(Wg)과, 폭(W2) 보다도 약간 큰 깊이(Dg)를 가지는 직사각형이다. 즉, 도 5의 (C)에 도시한 원호구(13b)는, 동도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EC2)을 폭 및 높이의 면이 거의 일치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은, 도 1의 (C)에 도시한 부품(EC3)의 지름(R3)보다도 약간 크고, 길이(L3) 보다도 작은 폭(Wg) 및 깊이(Dg)를 가지는 직사각형이다. 즉, 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는, 동도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EC3)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취출구용 요부(13c)는, 도 3의 (C)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판(13)의 상면 일부, 구체적으로는 원호구(13b)의 최상점 및 그 전후 부분의 상측을 좌우 방향으로 절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호구(13b) 및 직선구에 도달하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있다. 즉, 원호구(13b)의 최상점 및 그 후측 부분과, 직선구의 후단 및 그 전측 부분은, 취출구용 요부(13c)를 통해서 상방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있다.
셔터용 요부(13g)는, 도 3의 (C)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판(13)의 상면 일부, 구체적으로는 취출구용 요부(13c)보다도 전측 부분을 좌우 방향으로 절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깊이는 취출구용 요부(13c)의 깊이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우판(13)의 좌면에는,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취입구 형성 부재(13d)가 멈춤 나사(FS)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취입구 형성 부재(13d)에는 나사 삽통공(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우판(13)의 좌면에는 멈춤 나사(FS)가 끼워지는 나사공(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입구 형성 부재(13d)는, 중앙판(12)의 U자형 요부(12b4)의 내형(內形)에 일치한 외형을 가지는 것과 함께, 원호면(13d1) 만큼만 폭이 좁아진 협폭(狹幅) 부분(13d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취입구 형성 부재(13d)의 두께는 중앙판(12)의 두께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원호면(13d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중앙판(12)의 제1 원호면(12b1)의 곡률 반경과 동일 또는 약간 크고, 상기 원호면(13d1)의 곡률 중심은 제1 원호면(12b1)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이 취입구 형성 부재(13d)가 우판(13)의 좌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는 상기 취입구 형성 부재(13d)의 협폭 부분(13d2)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색되고, 상기 폐색 부분의 후단은 후술하는 취입구(15a)가 된다.
또한, 도 7의 (B)∼도 7의 (D)는,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를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로 치환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원호구(13b)와 취입구 형성 부재(13d)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7의 (A)와 마찬가지로, 각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는 상기 취입구 형성 부재(13d)의 협폭 부분(13d2)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색되고, 상기 폐색 부분의 후단은 후술하는 취입구(15a)가 된다.
또한, 우판(13)의 좌면의 직선구에는, 도 3의 (C)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기둥형 또는 4각 기둥형을 이루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톱퍼 막대(13e)가 압입(壓入) 또는 접착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구의 후단 및 그 전측(前側) 부분은 취출구용 요부(13c)를 통하여 상방을 향해서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구 내에 설치된 스톱퍼 막대(13e)의 후부는 취출구용 요부(13c) 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취출구용 요부(13c)를 통하여 노출하고 있다. 즉, 스톱퍼 막대(13e)의 후부는 취출구용 요부(13c)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개방 부분에 들어가 있고, 성가 개방 부분 중 스톱퍼 막대(13e)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후술하는 취출구(16)가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를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로 치환한 경우라도, 각 원호구(13b)의 최상점으로부터 전측에 동일한 직선구를 형성하면, 상기 직선구에 스톱퍼 막대(13e)를 설치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취출구(1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A)∼도 2의 (C)에 도시한 케이스(10)를 조립하려면, 도 3의 (B)에 도시한 중앙판(12)의 좌면에 도 3의 (A)에 도시한 좌판(11)을 중첩하고, 상기 중앙판(12)의 우면에 도 3의 (C)에 도시한 우판(13)을 중첩하는 것과 함께, 좌판(11)의 각 나사 삽통공(11a)과 우판(13)의 각 나사 삽통공(13a)에 멈춤 나사(FS)를 끼우고, 각 멈춤 나사(FS)를 중앙판(12)의 각 나사공(12a)에 박고, 좌판(11), 중앙판(12) 및 우판(13)을 결합하면 좋다.
여기서는 멈춤 나사(FS)를 이용하여 케이스(10)를 조립하도록 했으나, 좌판( 11) 및 우판(13)으로부터 나사 삽통공(11a, 13a)을 배제하고, 중앙판(12)로부터 나사공(12a)을 배제하고, 이들 대신 관통공을 3자에게 형성하고, 3자를 서로 중첩한 뒤에 3자의 관통공에 플라스틱 핀을 삽입하여 그 양단을 열용융시키는 것으로 3자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좌판(11) 및 우판(13)으로부터 나사 삽통공(11a, 13a)을 배제하고, 중앙판(12)으로부터 나사공(12a)을 배제하고, 3자의 접촉면을 열용착(熱溶着)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함으로써 3자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조립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판(12)의 관통공(12b)의 좌측 개구가 좌판(11)의 우면에 의해 폐색되고, 중앙판(12)의 관통공(12b)의 우판 개구가 우판(13)의 좌면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판(12)의 관통공(12b)의 U자형 요부(12b4)에는, 우판(13)에 설치된 취입구 형성 부재(13d)가 감입(嵌入)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판(13)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의 상부가, 중앙판(12)의 관통공(12b)이 존재하지 않는 우면 부분에 의해 폐색된다.
즉, 케이스(10) 내에는, 관통공(12b)의 제1 원호면(12b1), 제2 원호면(12b2) 및 평면(12b3)과, 취입구 형성 부재(13d)의 원호면(13d1) 및 협폭 부분(13d2)의 후면 및 하면과, 좌판(11)의 우면의 일부와, 우판(13)의 좌면의 일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좌면시윤곽이 대략 원형인 수납실(14, 도 12 및 도 13 참조)이 획성(劃成)된다. 이 수납실(14)에 있어서는, 좌판(11)의 일부가 상기 수납실(14)의 좌측벽이 되고, 우판(13)의 일부가 상기 수납실(14)의 우측벽(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수납실의 측벽」에 해당)이 된다.
또한, 수납실(14)의 우측벽의 내면에는, 우판(13)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가 폐색되어 있지 않은 부분 (약 150°의 각도 범위 부분)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는 원호 형상의 안내구[이하, 안내구(13b)라고 한다, 도 12 참조]가 형성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안내구(13b)의 시점(始點)은 동일 도면 중의 +표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우판(13)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가 폐색된 부분(약 30°의 각도 범위 부분)에 의해, 안내구(13b)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안내구(13b)의 상단에서 수납실(14)의 상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공급 통로(15, 도 11∼도 13 참조)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공급 통로(15)의 후단에 그 입구가 되는 취입구(15a, 도 12 참조)가 형성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공급 통로(15)의 종점[선단(先端)]은 동도 중의 +표시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또한, 스톱퍼 막대(13e)는 이 공급 통로(15)의 선단으로부터 전측에 걸쳐서 옆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상면에는, 공급 통로(15) 내를 이동하여 스톱퍼 막대(13e)의 후면에 당접(當接)하여 정지한 부품(EC1)을 상기 공급 통로(15)로부터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상면 개구의 취출구(16, 도 11∼도 13 참조)가 형성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취출구(16)는 동도 중의 +표시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또한, 중앙판(12)의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와 우판(13)의 취출구용 요부(13c) 및 셔터용 요부(13g)의 깊이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요부(12c, 13c, 13g)는 연속한 하나의 요부가 된다.
또한, 수납실(14)을 구성하는 제1 원호면(12b1)의 곡률 반경이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안내구(13b)의 외측에는 양자의 곡률 반경의 차이에 준한 폭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평탄면(FP1)이 형성된다[도 9의 (A)∼도 9의 (C) 및 도 12 참조]. 이 평탄면(FP1)의 폭은, 대략, 부품(EC1∼EC3)의 길이(L1∼L3)의 2배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안내구(13b)의 내측에는 이 평탄면(FP1)과 면일(面一) 상태의 평탄면(FP2)이 있으므로, 상기 안내구(13b)는 외측과 내측의 평탄면(FP1, FP2)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는 안내구(13b)의 각도 범위를 약 150°로 하고 또한, 공급 통로(15)의 각도 범위를 약 30°로 했으나, 안내구(13b)의 각도 범위를 그 하단 위치를 바꾸지 않고 다소 증감하여도 좋고, 공급 통로(15)의 각도 범위를 그 상단 위치를 바꾸지 않고 다소 증감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를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로 치환한 경우라도, 각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안내구(13b)와 공급 통로(15)와 취입구(15a)와 취출구(16)와 2개의 평탄면(FP1, FP2)이, 수납실(14)과 함께 형성된다.
지축(2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본체(軸本體, 20a)와, 상기 축본체(20a)의 좌단(左端)에 설치된 날밑부(鍔部, 20b)를 포함하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축(20)은, 날밑부(20b)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 삽통공(도시하지 않음)에 멈춤 나사를 넣어서 우판(13)의 우면의 나사공(13f)에 박는 것에 의해 우판(13)의 우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지축(20)의 축본체(20a)의 중심은, 우판(13)의 안내구(13b)를 구성하는 외측 원호면(13b1) 및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축수(3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디얼 타입의 볼·베어링(ball bearing)으로 이루어지고, 지축(20)의 축본체(20a)에 그 내륜(內輪)을 감입하여 설치되어 있다.
로터(40)는, 도 8의 (A)∼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40a)와, 상기 원통부(40a)의 좌단에 설치된 날밑부(40b)와, 상기 날밑부(40b)의 좌면 외주에 설치된 환상부(環狀部, 40c)를 포함하고 있고, 영구 자석의 자력이 투과 가능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40)의 환상부(40c)에는, 총 8개의 영구 자석(40d)이 각각의 일방 자극이 원통부(40a)의 중심[로터(40)의 회전 중심에 상당]과 동심의 가상원(假想圓, VC, 후술하는 원궤도에 상당)을 따르도록 45°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40d)은 양 단면에 자극을 갖는 원기둥형을 이루고 있고, 일방 자극이 환상부(40c)의 좌면과 대략 면일 상태로 노출하도록 상기 환상부(40c)에 매설(埋設)되어 있다. 또한, 각 영구 자석(40d)에는, 수납실(14) 내의 부품(EC1∼EC3)을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하는데 충분한 표면 자력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영구 자석(40d)은 일방 자극의 중심(자력선이 가장 밀집하는 자력 중심에 상당)이 가상원(VC)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가상원(VC, 후술하는 원궤도)의 곡률 반경은, 케이스(10)의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를 구성하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이하이고,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극성은 모두가 N극 또는 S극이여도 좋고, 가상원(VC)를 따라 교호(交互)적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로터(40)의 환상부(40c)의 좌면 외주연(外周緣)에는, 총 8개의 원호 형상 요부(40c1)가 상기 좌면 외주연을 따라 45° 간격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원호 형상 요부(40c1)의 사이에는 좌측을 향하여 산 형상으로 융기하는 부위로 이루어지는 총 8개의 가압부(40c2)가 45°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가압부(40c2)는, 인접하는 원호 형상 요부(40c1)의 단(端)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세워지는 2개의 경사면과, 환상부(40c)의 좌면과 면일 상태의 평면을 포함하고 있고, 위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전측 및 후측에 경사면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면에는 환상부(40c)를 왼쪽에서 보았을 때의 각 가압부(40c2)의 각도 위치를 각 영구 자석(40d)의 각도 위치와 일치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의 전후 방향 위치나 상하 방향 위치 등에 따라, 각 가압부(40c2)의 각도 위치를 각 영구 자석(40d)의 각도 위치와 몇 도(°) 정도 벗어난 위치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로터(4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부(40c)의 좌면이 케이스의 우판(13)의 우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이에 가까운 상태에서 마주 보도록, 상세하게는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수납실(14)의 우측벽의 외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이에 가까운 상태에서 마주 보도록, 각 가압부(40c2)가 수납실(14)의 우측벽의 외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이에 가까운 상태로 마주 보도록, 원통부(40a)의 내공(40a1)을 축수(30)의 외륜에 감입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로터(40)는 지축(30)의 축본체(20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이 회전에 따라 각 영구 자석(40d)은 가상원(VC)에 상당하는 원궤도 하에서 이동하고, 각 가압부(40c2)도 상기 가상원(VC)에 상당하는 원 궤도의 외측을 상기 원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로터(40)의 회전 중심은, 케이스(10)의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를 구성하는 외측 원호면(13b1) 및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중심과,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이 위치하는 가상원(VC)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고, 상기 가상원(VC)의 곡률 반경은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를 구성하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이하로,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상원(VC)에 상당하는 원 궤도 하에서 이동하는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은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와 마주 보는 것과 함께, 각각의 중심은 안내구(13b) 내 및 공급 통로(15) 내를 향한다. 또한, 케이스(10)의 우판(13)은 자력이 투과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구(13b)와 마주 보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은 상기 우판(13)을 통하여 안내구(13b) 내 및 수납실(14) 내에 도달하고, 공급 통로(15)와 마주 보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은 상기 우판(13)을 통하여 공급 통로(15) 내에 도달한다.
도 9의 (A)∼도 9의 (C)에는, 상기 조건[가상원(VC, 원궤도)의 곡률 반경은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를 구성하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이하로,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 이상)을 만족하는 위치 관계를 예시하고 있다.
도 9의 (A)는 「원궤도의 곡률 반경=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2」의 경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도 9의 (B)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2>원궤도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의 경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도 9의 (C)는「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원궤도의 곡률 반경>[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2」의 경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상기 조건 하에서는 도 9의 (A)의 위치 관계가 가장 바람직하고, 이어서 도 9의 (B) 및 도 9의 (C)의 위치 관계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원궤도의 곡률 반경=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또는 「원궤도의 곡률 반경=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의 위치 관계라도, 후술하는 안내구(13b)로의 부품(EC1∼EC3)의 수용을 고확률 하에서 수행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도 12에는 총 8개의 영구 자석(40d)의 외측을 둘러싸는 가상원(도시하지 않음)의 곡률 반경이 제1 원호면(12b1)의 곡률 반경과 거의 일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외측의 평탄면(FP1)의 폭을 확대하거나, 또는 지름의 작은 영구 자석(40d)을 이용하면, 상기 가상원은 제1 원호면(12b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지름이 큰 영구 자석(40d)을 이용하면, 상기 가상원은 제1 원호면(12b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를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로 치환한 경우라도 상기 조건은 동일하다.
셔터(5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시윤곽(上面視輪郭)이 직사각형인 암(arm)부(50a)와, 암부(50a)의 후단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원형인 피지지부(50b)와, 암부(50a)의 전부(前部)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삼각형인 피가압부(50c)와, 암부(50a)의 중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직사각형인 개폐부(50d)를 포함하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50a)는, 그 좌우 치수가 조정되는 것에 의해, 탄성 변형하기 어려운 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0c)의 선단은, 가압부(40c2)와의 접촉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50d)는 취출구(16)를 직접적으로 폐색 또는 개방하는 부위이며, 그 전후 치수는 취출구(16)의 전후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취출구용 요부(13c)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그 좌우 치수는 취출구(16)의 좌우 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피지지부(50b)에는, 셔터(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지공(軸支孔, 50b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50)는 중앙판(12)의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셔터(5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 나사부를 포함하는 지지축(SS)을 축지공(50b1)에 삽입하고, 상기 나사부를 셔터용 요부(12c)의 나사공(12c2)에 박는 것과 함께, 암부(50a)의 전부 좌측과 셔터용 요부(12c)의 용수철 지승벽(12c1)과의 사이에 압축 용수철(SP)을 개장(介裝)함으로써,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 배치된 셔터(50)는, 상기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11 참조)에 있어서, 암부(50a)의 우측을 압축 용수철(SP)의 바이어스력에 기초하여 우판(13)의 상부 좌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0c)의 선단은 셔터용 요부(13g)를 통해서 로터(40)의 원호 형상 요부(40c1) 내에 돌출하고, 개폐부(50d)는 취출구용 요부(13c) 내에 들어가 있고 취출구(16)를 폐색하고 있다. 즉, 셔터(50)는 상기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각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위치 관계 하에서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고, 압축 용수철(SP)은 회전 가능한 셔터(50)의 피가압부(50c)를 그 바이어스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로터 구동 기구는, 로터(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모터와 모터 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와, 모터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로터(40)의 외주면 등에 기어의 대용 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로터(40)에 별도의 부품 기어를 고착하고, 이들 기어에 구동 기어를 치합시키면, 모터 동작에 의해 로터(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모터 동작의 정지에 의해 로터(4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도 20을 인용하여, 도 1의 (A)에 도시한 부품(EC1)을 공급 대상으로 삼는 벌크 피더의 부품 공급에 따른 동작을, 도 1의 (B) 및 도 1의 (C)에 도시한 부품(EC2, EC3)을 공급 대상으로 하는 경우의 변형예도 포함시켜서 설명한다. 또한, 도 14∼도 20 내에 표시한 +표시는 상기 로터(40)의 회전 중심을 나타낸다.
부품 공급 시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수납실(14) 내에 다수의 부품(EC1)을 낱개 상태(방향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수납한다. 이 수납은, 케이스(10)에 설치된 개폐 덮개가 부착된 보충구(補充口, 도시하지 않음)나 씰로 폐색 가능한 보충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행한다.
부품(EC1)의 수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후술하는 취입구(15a)로의 부품(EC1)의 유입 확률이 저하하기 때문에, 부품(EC1)의 최대 수납 레벨은 수납실(14)의 높이의 약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부품(EC1)의 길이(L1)가 1.0mm의 경우, 도 2와 동일 사이즈의 케이스(10)를 형성하고, 최대 수납 레벨을 수납실(14)의 높이 치수의 약 1/2로 하여도, 수 만개 정도의 부품(EC1)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수납실(14) 내에 부품(EC1)을 수납한 후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에 의해 로터(40)를 파선 화살표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수(數) 회전시켜서, 부품(EC1)의 예비 공급[소위, 구슬채우기(玉詰)]을 수행한다.
이 로터(40)의 회전에 의해, 도 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영구 자석(40d)은,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수납실(14)과 대향하고, 안내구(13b)와 마주 보는 상태에서 이동하는 과정(1)과,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수납실(14)과 대향하지 않고, 공급 통로(15)와 마주 보는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2)과,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수납실(14)과 대향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하는 과정(3)을 순서대로 반복한다.
상기 과정(1)에서는, 수납실(14) 내에 수납되어 있는 낱개 상태의 부품(EC1) 중의 복수의 부품(EC1)이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되고, 흡인된 복수의 부품(EC1)은 덩어리의 상태로 부품 수납 영역으로부터 빠져 나가서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취입구(15a)에 도달한다.
안내구(13b)의 외측과 내측에는 상기 안내구(13b)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2개의 평탄면(FP1, FP2)이 면일 상태로 존재하고,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은 안내구(13b) 내를 향하고 있으므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된 복수의 부품(EC1)의 덩어리는, 상기 안내구(13b) 및 그 양측의 평탄면(FP1, FP2)을 덮는 산 형상의 형태(2점 쇄선 참조) 또는 이에 가까운 형태가 된다. 즉, 안내구(13b)의 외측과 내측에 존재하는 평탄면(FP1, FP2)을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부품(EC1)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되게 된다.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되는 복수의 부품(EC1)의 갯수는, 수납실(14) 내의 부품(EC1)의 잔여 수나 영구 자석(40d)의 표면 자력 등으로 좌우되나, 충분한 양의 부품(EC1)이 수납실(14) 내에 수용되고, 영구 자석(40d)이 2,000∼4,000가우스의 표면 자력을 가지고 있어서 충분한 자력이 수납실(14) 내의 부품(EC1)에 도달한 경우에는, 대략,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이다.
또한,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은 안내구(13b) 내를 향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부품(EC1)의 덩어리 중의 상기 영구 자석(40d)에 가장 가깝고 그 중심(자력 중심)을 마주 보는 부품(EC1)에는 안내구(13b) 내로 인입력(引入力)이 가장 강하게 작용한다. 또한, 복수의 부품(EC1)의 덩어리가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부품(EC1)의 덩어리 중의 안내구(13b)에 가까운 부품(EC1)이 상기 안내구(13)의 개구 측의 2개의 원호 형상 에지에 접촉하여 그 방향이 교정되는 작용이 생긴다.
즉, 상기 과정(1)에서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최대한 많은 부품(EC1)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되는 것과 함께,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된 복수의 부품(EC1)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EC1)을, 상기 작용에 기초하여 고확률로 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부품(EC1)은 길이(L1)>폭(W1)=높이(H1)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안내구(13b) 내에 수용되는 부품(EC1)의 방향은, 기본적으로는, 길이 방향(도 16 참조)과, 길이 방향과 90° 다른 방향(도 17 참조)의 2패턴이 되고, 안내구(13b) 내에 수용되지 않는 부품(EC1)은 낱개 상태이다(도 15 참조).
안내구(13b) 내에 수용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부품(EC1)이 모두「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일 때, 또는,「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의 후측에「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과 90° 다른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이 존재할 때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은,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동일 방향인 상태로 취입구(15a)에 유입하여 공급 통로(15) 내에 취입된다. 이 유입시,「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과 90° 다른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과「안내구(13b) 내에 수용되지 않는 부품(EC1)」은, 취입구 형성 부재(13d)의 협폭 부분(13d2)의 후면에 당접하고,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취입구(15a)의 우측을 과도하게 통과하여 흡인력이 저하한 곳에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상기 작용으로 보아, 안내구(13b) 내에 수용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EC1)이 모두「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과 90° 다른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일 확률은 낮지만, 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과 90° 다른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과 「안내구(13b)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부품(EC1)」은, 취입구 형성 부재(13d)의 협폭 부분(13d2)의 후면에 당접하고,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취입구(15a)의 우측을 과도하게 통과하여 흡인력이 저하한 곳에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한편, 상기 과정(2)에서는, 안내구(13b)로부터 취입구(15a)에 유입한 길이 방향의 부품(EC1)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공급 통로(15)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취출구(16)에 도달하고, 상기 취출구(16)에 도달한 길이 방향의 부품(EC1)은 그 전면(前面)을 스톱퍼 막대(13e)의 후면에 당접한 곳에서 정지한다. 예비 공급 시에 로터(40)는 수 회전하기 때문에, 스톱퍼 막대(13e)의 후면에 당접하여 정지한 선두의 부품(EC1)의 후측에는, 복수의 부품(EC1)이 극간을 개재하지 않고 또는 개재하여 나열되는 상태가 된다. 한 편, 상기 과정(3)에서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이 수납실(14) 내의 부품(EC1)에 도달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수납실(14) 내의 부품(EC1)에 불필요한 변동, 예를 들면 안내구(13b) 내로의 부품 수용이나 취입구(15a)로의 부품 유입에 관여하지 않는 변동 등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이 예비 공급 시에 로터(40)가 수 회전 할 때에는, 상기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한 셔터(50)의 피가압부(50c)의 가압과 상기 가압의 해제가 반복된다. 구체적으로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올라가 상기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셔터(50)는 압축 용수철(SP)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축지공(50b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고, 상기 회전 변위에 따라 개폐부(50d)가 취출구(16) 상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취출구(16)가 개방된다(도 20 참조). 또한, 셔터(50)의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로부터 미끄러 떨어져서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셔터(50)는 압축 용수철(SP)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축지공(50b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여 복귀하고, 상기 회전 변위에 따라 개폐부(50d)가 퇴피 위치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취출구(16) 상에 위치하고 상기 취출구(16)가 폐색된다(도 18 참조).
도 1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과정(2)에 있어서 선두의 부품(EC1)이 스톱퍼 막대(13e)의 후면에 당접하여 정지할 때에는 취출구(16)는 셔터(50)의 개폐부(50d)에 의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취출구(16)에 공급된 선두의 부품(EC1)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 예를 들면 선두의 부품(EC1)이 취출구(16)에 공급되었을 때의 반동[스톱퍼막대(13e)의 후면에 당접했을 때의 반동]으로 경사지는 것과, 선두의 부품(EC1)이 취출구(16)의 우측을 통과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의 영향으로 경사지는 것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부품(EC1)의 예비 공급이 완료한 후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취출구(16)의 우측을 과도하게 통과한 위치에 존재하고, 또한, 그 후측의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공급 통로(15)의 우측에 들어간 위치에 존재하도록, 또한, 로터(40)의 가압부(40c2)가 셔터(50)의 피가압부(50c)를 가압하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로터(40)를 정지시킨다(이하, 이 정지 위치를 대기 위치라고 한다).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취출구(16)의 우측(右側)을 과도하게 통과하여 정지한 위치를 대기 위치로 한 이유는, 상기 취출구(16)로부터 선두의 부품(EC1)이 외부에 취출될 때에 상기 부품(EC1)이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끌려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후측의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공급 통로(15)의 우측에 들어간 위치를 대기 위치로 한 이유는, 상기 예비 공급에 의해 공급 통로(15) 내에 보내진 복수의 부품(EC1)이, 상기 공급 통로(15)를 구성하는 내측 원호면(13b2)을 미끄러져 떨어져서 취입구(15a)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대기 위치에 있어서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올라가 상기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50)는 압축 용수철(SP)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해 축지공(50b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고, 상기 회전 변위에 따라 개폐부(50d)가 취출구(16) 상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취출구(16)가 개방된다. 즉,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을 상기 취출구(16)를 통하여 외부에 취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벌크 피더로부터의 부품(EC1)의 취출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대기 위치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운터(전자 부품 탑재 장치)의 흡착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취출구(16)를 향하여 하강시켜서 상기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을 흡착한 후에, 상기 흡착 노즐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취출구(16)가 원호 형상의 공급 통로(15)의 최상점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의 후측에 복수의 부품(EC)이 나열되어 있어도, 상기 후속 부품(EC1)으로부터 선두의 부품(EC1)에 대하여 그 취출에 지장을 발생시키는 부하, 예를 들면 가압력 등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이 취출된 후는,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면 45°나 90°나 135°나 180° 회전시켜서, 상기 로터(40)를 다시 대기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부품(EC1)의 취출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간단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로터(40)의 회전을 개시할 수 있다.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안내구(13b) 내로의 부품(EC1)의 수용」과「안내구(13b)로부터 취입구(15a)로의 부품(EC1)의 유입」과 「공급 통로(15) 내에 있어서의 부품(EC1)의 이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행되어, 부품(EC1)이 다시 취출구(16)에 공급된다. 이 이후도,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이 취출될 때마다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또한,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로부터 미끄러 떨어져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셔터(50)는 압축 용수철(SP)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축지공(50b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여 복귀하고, 상기 회전 변위에 따라 개폐부(50d)가 퇴피 위치부터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취출구(16) 상에 위치하고 상기 취출구(16)가 폐색된다(도 18 참조).
즉, 부품(EC1)이 다시 취출구(16)에 공급될 때에는 상기 취출구(16)는 셔터(50)의 개폐부(50d)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상기 취출구(16)에 공급된 선두의 부품(EC1)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 예를 들면 선두의 부품(EC1)이 취출구(16)에 공급되었을 때의 반동[스톱퍼 막대(13e)의 후면에 당접했을 때의 반동]으로 경사지는 것과, 선두의 부품(EC1)이 취출구(16)의 우측을 통과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의 영향으로 기우는 것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의 (A)에 도시한 원호구(13b)를 도 5의 (B)∼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로 치환한 경우라도, 동(同) 도면에 도시한 부품(EC1∼EC3)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한 안내구(13b)를 도 5의 (B)에 도시한 안내구(13b)로 치환한 경우에는, 부품(EC1)이 폭 또는 높이의 면이 일치하지 않는 길이 방향[도 5의 (B)의 파선 참조]으로 안내구(13b) 내에 수용될 수 있으나, 안내구(13b) 내를 이동하는 과정이나 공급 통로(15) 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부품(EC1) 그 자체에 자세를 안정화시키는 변위가 생기기 때문에, 상기 부품(EC1)은 폭 또는 높이의 면이 일치한 자세로 취출구(16)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벌크 피더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상술한 벌크 피더는, 수납실(14) 내에 수납되어 있는 낱개 상태의 부품(EC1∼EC3) 중의 복수의 부품(EC1∼EC3)을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하는 것과 함께 흡인된 복수의 부품(EC1∼EC3)을 상기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EC1∼EC3)을 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하는 기능과, 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EC1∼EC3)을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하면서 상기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취입구(15a)를 통해서 공급 통로(15) 내에 보내는 기능과, 공급 통로(15) 내에 보내진 길이 방향의 부품(EC1∼EC3)을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하면서 상기 공급 통로(15)를 따라 상방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선두의 부품(EC1∼EC3)을 상면 개구의 취출구(16)에 공급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공급 통로(15)는 안내구(13b)의 상단으로부터 수납실(14)의 상방을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공급 통로(15)의 선단에 상면 개구의 취출구(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급 통로(15)의 길이는 종전의 벌크 피더에 비교하여 현저히 짧다. 또한, 공급 통로(15) 내에 보내진 길이 방향의 부품(EC1∼EC3)은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상기 공급 통로(15)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부품(EC1∼EC3)에 부품 막힘의 원인이 되는 경사를 생기하지 않고, 부품(EC1∼EC3) 1개당 중량이 경량이여도 상기 부품(EC1∼EC3)을 확실하게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품(EC1∼EC3)이 취출구(16)에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취출구(16)로부터 부품(EC1∼EC3)이 취출되는 시간 간격이 짧아져도, 예를 들면 50msec이하여도, 상기 시간 간격으로 충분히 대응한 공급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2) 상술한 벌크 피더에는, 취출구(16)를 폐색 또는 개방하기 위한 셔터(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50)는 상기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취출구(16)를 개방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 취출구(16)를 폐색하도록 동작한다.
즉, 부품(EC1∼EC3)이 취출구(16)에 공급될 때에는 취출구(16)를 셔터(50)에 의해 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취출구(16)에 공급된 선두의 부품(EC1∼EC3)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 예를 들면 선두의 부품(EC1∼EC3)이 취출구(16)에 공급되었을 때의 반동[스톱퍼 막대(13e)의 후면에 당접했을 때의 반동]으로 경사지는 것이나, 선두의 부품(EC1∼EC3)이 취출구(16)의 우측을 통과하는 영구 자석(40d)의 자력의 영향으로 경사지는 것 등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취출구(16)에 공급된 선두의 부품(EC1∼EC3)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취출구(16)로부터 부품(EC1∼EC3)이 취출되는 시간 간격이 짧아져도, 취출구(16)로부터 선두의 부품(EC1∼EC3)을 외부로 취출하는 작업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터(40)에 설치된 가압부(50c)에 의해 셔터(50)에 소기의 개폐 동작을 수행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개폐 동작을 위한 전용 기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간단한 구성으로 취출구(16)의 폐색 또는 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40d)이 설치된 로터(40)에 가압부(50c)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부(50c)에 의해 셔터(50)에 개폐 동작을 수행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3)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로터(40)는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취출구(16)의 외측을 과도하게 통과하여 정지한 위치를 부품 취출을 위한 대기 위치로 하고 있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어서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는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취출구(16)가 개방되어 있다.
즉, 대기 위치에 있어서는, 로터(40)의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이 취출구(16)의 외측을 과도하게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된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EC3)이 상기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끌어들여져 취출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하고, 취출구(16)로부터의 선두의 부품(EC1∼EC3)의 취출을 스무스하게 수행할 수 있다.
(4)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로터(40)에 설치된 복수의 가압부(40c2)는 산 형상으로 융기한 부위[구체적으로는 경사면을 양측에 가지는 대(臺) 형상의 부위]로 이루어지고, 셔터(50)의 피가압부(50c)는 그 선단이 둥근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피가압부(50c)는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올라가는 것으로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셔터(50)의 피가압부(50c)에 대한 가압 및 그 해제는, 상기 피가압부(50c)가 일방의 경사면을 경유하여 가압부(40c2)에 올라가고, 또한 다른 방면의 경사면을 경유하여 가압부(40c2)로부터 미끄러 떨어지는 거동 하에서 수행된다. 즉, 피가압부(50c)의 선단이 둥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과 함께, 취출구(16)의 폐색과 개방을 반복하여도 로터(40) 측 및 셔터(50) 측에 마모나 손상이 생기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서 셔터(40)의 개폐 동작을 안정적이고 스무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c2)가 대 형상의 경우에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가 경사면 간의 평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피가압부(50c)의 가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압에 기초하는 취출구(16)의 개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로터(40)의 정지 위치가 다소 어긋나도 소기의 가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5)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총 8개의 가압부(40c2)의 각각이 가상원(VC)에 상당하는 원궤도를 따르도록 45° 간격으로 로터(40)에 설치되고, 총 8개의 영구 자석(40d)의 각각의 일방 자극의 중심이 가상원(VC)에 상당하는 원 궤도 상에 위치하도록 45° 간격으로 로터(4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취출구(16)에 존재하는 선두의 부품(EC1∼EC3)이 취출된 후에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고 나서 정지시키는 동작을, 예를 들면 45°나 90°나 135°나 180° 회전시켜서 정지시키는 동작을 모터 제어 회로에 있어서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6)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셔터(50)는 탄성 변형하기 어려운 강성을 가지는 암부(50a)에 피가압부(50b)를 가지며, 피가압부(50c)를 압축 용수철(SP)에 의해 지지하고 있고, 상기 셔터(50)는 상기 피가압부(50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용수철 바이어스력에 저항한 회전 변위에 의해 취출구(16)의 개방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용수철 바이어스력에 의한 복귀에 의해 취출구(16)의 폐색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취출구(16)가 폐색될 때의 셔터(50)의 복귀를 압축 용수철(SP)의 바이어스력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셔터(50)에 의한 취출구(16)의 폐색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7)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안내구(13b)를 마주 보는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이 상기 안내구(13b) 내를 향하고 있고, 안내구(13b)의 외측과 내측에는 상기 안내구(13b)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2개의 평탄면(FP1, FP2)이 면일 상태로 존재한다.
그 때문에, 수납실(14) 내에 수납되어 있는 낱개 상태의 부품(EC1∼EC3) 중의 복수의 부품(EC1∼EC3)이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될 때에는, 안내구(13b)의 외측과 내측에 존재하는 2개의 평탄면(FP1, FP2)을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부품(EC1∼EC3)을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된 복수의 부품(EC1∼EC3)의 덩어리 중,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에 가장 가깝고 그 중심(자력 중심)을 마주보는 부품(EC1∼EC3)에는 안내구(13b) 내에 끌어 들이는 힘이 가장 강하게 작용한다. 또한, 복수의 부품(EC1∼EC3)의 덩어리가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부품(EC1∼EC3)의 덩어리 중의 안내구(13b)에 가까운 부품(EC1∼EC3)이 상기 안내구(13)의 개구 측의 2개의 원호 형상의 에지에 접촉하여 그 방향이 교정되는 작용이 생긴다.
즉,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최대한 많은 부품(EC1∼EC3)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되는 것과 함께,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된 복수의 부품(EC1∼EC3)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EC1∼EC3)을, 상기 작용에 기초하여 고확률로 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부품(EC1∼EC3)은,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안내구(13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취입구(15a)에 유입하고, 안내구(13b)로부터 취입구(15a)에 유입한 길이 방향의 부품(EC1∼EC3)은,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면서 공급 통로(15)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취출구(16)에 도달한다.
요컨대,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안내구(13b) 방향으로 흡인된 부품(EC1∼EC3)을 고확률로 안내구(13b)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로터(40)의 회전량에 비해서 취입구(15a)에 길이 방향으로 유입하는 부품(EC1∼EC3)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부품(EC1∼EC3)이 취입구(15a)에 길이 방향으로 유입하는 효율, 즉, 부품(EC1∼EC3)이 취출구(16)에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는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8)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원호 형상의 안내구(13b)는, 우판(13)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가 폐색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원호 형상의 공급 통로(15)는, 우판(13)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가 폐색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원호구(13b)를 이용하여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의 형성이 지극히 용이하고, 또한, 동일 단면 형상을 갖는 안내구(13b)와 공급 통로(15)를 연속하여 얻는 것도 간단하다.
(9)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우판(13)의 원호구(13b)는, 로터(40)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로 아래로부터 바로 위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취출구(16)는, 로터(40)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즉, 안내구(13b)의 시점이 로터(40)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실(14) 내에 수납된 부품(EC1∼EC3)의 잔여 수가 적어진 경우라도 상기 부품(EC1∼EC3)을 안내구(13e) 방향으로 확실하게 흡인하여 취출구(16)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16)가 로터(40)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 통로(15)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케이스(10), 나아가서는 벌크 피더 자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10)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우판(13)의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은, 수납실(14) 내에 수납되는 부품(EC1∼EC3)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되어 있다[도 5의 (A)∼도 5의 (D)를 참조].
즉,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벌크 피더에서 공급하도록 하는 부품(EC1∼EC3)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11) 상술한 벌크 피더에서는,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이 위치하는 원궤도[가상원(VC)에 상당]의 곡률 반경은, 안내구(13b) 및 공급 통로(15)를 구성하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이하로, 또한,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조건 설정에 의해, 가상원(VC)에 상당하는 원 궤도 하에서 이동하는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을 안내구(13b) 내 및 공급 통로(15) 내를 향하도록 하는 것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 내에 있어서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원궤도의 곡률 반경=[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2」의 경우의 위치 관계가 가장 바람직하고, 다음으로, 도 9의 (B)에 도시하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2>원궤도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의 경우의 위치 관계와, 도 9의 (C)에 도시하는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원궤도의 곡률 반경>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2」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원궤도의 곡률 반경=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 또는 「원궤도의 곡률 반경=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의 위치 관계여도, 안내구(13b)로의 부품(EC1∼EC3)의 수용을 고 확률 하에서 수행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셔터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21∼도 28의 (B)를 인용하여, 상기 셔터(5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도 21 및 도 22는 상기 셔터(50)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셔터(51)]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치수가 상기 암부(50a) 보다도 작은 암부(51a)와, 암부(51a)의 후단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거의 원형인 피지지부 (5lb)와, 암부(51a)의 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삼각형의 피가압부(51c)와, 암부(51a)의 중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거의 직사각형의 개폐부(51d)를 포함하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51a)는, 그 좌우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탄성에 기초하는 변형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1c)의 선단에는, 가압부(40c2)와의 접촉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51d)는 취출구(16)를 직접적으로 폐색 또는 개방하는 부위이며, 그 전후 치수는 취출구(16)의 전후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취출구용 요부(13c)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그 좌우 치수는 취출구(16)의 좌우 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피지지부(5lb)에는 나사 삽통공(5lb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51)는 중앙판(12)의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셔터(51)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 나사(FS)를 나사 삽통공(5lb1)에 삽입하고, 상기 나사부를 셔터용 요부(12c)의 나사공(12c2)에 넣어서 피지지부(5lb)를 고정함으로써,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 배치된 셔터(51)는, 상기 피가압부(51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21 참조)에 있어서, 암부(51a)의 우측을 상기 암부(51a)의 탄성에 기초하여 우판(13)의 상부 좌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1c)의 선단은 셔터용 요부(13g)를 통해서 로터(40)의 원호 형상 요부(40c1)내에 돌출하고, 개폐부(51d)는 취출구용 요부(13c) 내에 들어가 있어서 취출구(16)를 폐색하고 있다. 즉, 셔터(51)는 그 피가압부(51c)가 로터(40)의 각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위치 관계 하에서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4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의 피가압부(51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올라가 상기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암부(51a)의 근원 부분이 그 탄성에 저항하여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변형하고, 그 변형에 따라 개폐부(51d)가 취출구(16) 상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취출구(16)가 개방된다.
또한, 부품 취출 후에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의 피가압부(51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로부터 미끄러 떨어져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암부(51a)의 근원 부분이 그 탄성에 의해 복원해서 상기 암부(51a)가 복귀하고, 상기 복원에 따라 개폐부(51d)가 퇴피 위치부터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취출구(16) 상에 위치하여 상기 취출구(16)가 폐색된다.
이 셔터(51)에 의하면, 피가압부(51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암부(51a)의 변형에 의해 취출구(16)의 개방을 수행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암부(51a)의 복원에 의해 취출구(16)의 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셔터(50)와 같은 복귀용 압축 용수철(SP)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셔터(51)를 상기 셔터(5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단, 효과(6)를 제외한다]를 얻을 수 있다.
(2)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셔터(50)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셔터(52)]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치수가 상기 암부(50a)보다도 작은 암부(52a)와, 암부(52a)의 후단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원형인 제1 피지지부(52b)와, 암부(52a)의 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삼각형인 피가압부(52c)와, 암부(52a)의 중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거의 직사각형인 개폐부(52d)와, 암부(52a) 전단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원형인 제2 피지지부(52e)를 포함하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52a)는, 그 좌우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탄성에 기초하는 변형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2c)의 선단에는, 가압부(40c2)와의 접촉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52d)는 취출구(16)를 직접적으로 폐색 또는 개방하는 부위이며, 그 전후 치수는 취출구(16)의 전후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취출구용 요부(13c)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그 좌우 치수는 취출구(16)의 좌우 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각 피지지부(52b, 52e)에는 축지공(52b1, 52e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셔터용 요부(12c')는 상기 셔터용 요부(12c)보다도 전후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저면 전측에는 나사공(12c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52)는 중앙판(12)의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그 셔터(52)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 나사부를 포함하는 지지 축(SS)을 각 축지공(52b1, 52e1)에 삽입하고, 각각의 나사부를 셔터용 요부(12c')의 나사공(12c2, 12c3)에 넣는 것에 의해,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 배치된 셔터(52)는, 그 피가압부(52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23 참조)에 있어서, 암부(52a)의 우측을 상기 암부(52a)의 탄성에 기초하여 우판(13)의 상부 좌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2c)의 선단은 셔터용 요부(13g)를 통해서 로터(40)의 원호 형상 요부(40c1) 내에 돌출하고, 개폐부(52d)는 취출구용 요부(13c) 내에 들어가 있어서 취출구(16)를 폐색하고 있다. 즉, 셔터(52)는 그 피가압부(52c)가 로터(40)의 각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위치 관계 하에서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4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2)의 피가압부(52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올라가 상기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암부(52a) 전체가 그 탄성에 저항하여 좌측 방향으로 만곡(彎曲)하도록 하여 변형하고, 그 변형에 따라 개폐부(52d)가 취출구(16) 상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취출구(16)가 개방된다.
또한, 부품 취출 후에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2)의 피가압부(52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로부터 미끄러 떨어져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암부(52a) 전체가 그 탄성에 의해 복원하여 상기 암부(52a)가 복귀하고, 상기 복원에 따라 개폐부(52d)가 퇴피 위치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취출구(16) 상에 위치하여 상기 취출구(16)가 폐색된다.
이 셔터(52)에 의하면, 피가압부(52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암부(52a)의 변형에 의해 취출구(16)의 개방을 수행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암부(52a)의 복원에 의해 취출구(16)의 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셔터(50)와 같이 복귀용 압축 용수철(SP)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셔터(52)를 상기 셔터(5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단, 효과(6)를 제외한다]를 얻을 수 있다.
(3) 도 25 및 도 26은 상기 셔터(50)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셔터(53)]는, 도 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면시윤곽이 J자 형상의 암부(53a)와, 암부(53a)의 좌단에 설치된 4각 기둥형의 피지지부(53b)와, 암부(53a)의 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삼각형의 피가압부(53c)와, 암부(53a)의 중간부 우측에 설치된 상면시윤곽이 대략 직사각형의 개폐부(53d)를 포함하고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53a)는 피지지부(53b)와의 사이에 대략 반원형의 탄성 부분(53a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탄성 부분(53a1)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탄성에 기초한 변형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3c)의 선단에는, 가압부(40c2)와의 접촉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53d)는 취출구(16)를 직접적으로 폐색 또는 개방하는 부위이며, 그 전후 치수는 취출구(16)의 전후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취출구용 요부(13c)의 전후 치수보다도 작고, 그 좌우 치수는 취출구(16)의 좌우 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피지지부(5lb)는, 피가압부(53c)의 좌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부호 없음)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부호 없음)을 좌면 측에 단차(부호 없음)를 개재하여 포함하고 있다.
한편, 셔터용 요부(12c")는 상기 셔터용 요부(12c)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우측만을 개구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상하 치수)는, 그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벽의 두께만큼 상기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보다도 작다. 또한, 셔터용 요부(12c")의 내측 좌면에는, 셔터(53)의 피지지부(5lb)가 감입되어 지지되는 지지 요부(12c2")가 상기 나사공(12c2) 대신에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53)는 중앙판(12)의 셔터용 요부(12c")의 깊이보다도 약간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셔터(53)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판(12)에 우판(13)을 설치하기 전에 셔터용 요부(12c")의 우측 개구를 통하여 그 셔터용 요부(12c") 내에 삽입되고, 상기 피지지부(5lb)를 지지 요부(12c2")에 감입한 후에 중앙판(12)에 우판(13)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 배치된 셔터(53)는, 그 피가압부(53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25 참조)에 있어서, 암부(53a)의 우측을 그 탄성 부분(53a1)의 탄성에 기초하여 우판(13)의 상부 좌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53c)의 선단은 셔터용 요부(13g)를 통해서 로터(40)의 원호 형상 요부(40c1) 내에 돌출하고, 개폐부(53d)는 취출구용 요부(13c) 내에 들어가 있어서 취출구(16)를 폐색하고 있다. 즉, 셔터(53)는 그 피가압부(53c)가 로터(40)의 각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위치 관계 하에서 케이스(10)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4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3)의 피가압부(53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올라가 상기 가압부(40c2)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암부(53a)의 탄성 부분(53a1)이 그 탄성에 저항하여 내측에 휘도록 하여 변형하고, 그 변형에 따라 개폐부(53d)가 취출구(16) 상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취출구(16)가 개방된다.
또한, 부품 취출 후에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3)의 피가압부(53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로부터 미끄러 떨어져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암부(53a)의 탄성 부분(53a1)이 그 탄성에 의해 복원하여 상기 암부(53a)가 복귀하고, 그 복원에 따라 개폐부(52d)가 퇴피 위치부터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취출구(16) 상에 위치하여 상기 취출구(16)가 폐색된다.
이 셔터(53)에 의하면, 피가압부(53c)가 로터(40)의 가압부(40c2)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암부(53a)의 변형에 의해 취출구(16)의 개방을 수행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암부(53a)의 복원에 의해 취출구(16)의 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셔터(50)와 같은 복귀용 압축 용수철(SP)과 지지축(SS)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보다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셔터(53)를 상기 셔터(50)의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단, 효과(6)를 제외한다]를 얻을 수 있다.
(4) 도 27은 상기 셔터(50)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셔터(50')]는, 암부(50a)의 중간부에 장공(長孔, 53e)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개폐부(50d)가 설치된 부위의 좌우 치수를 국부적으로 작게 한 점에서, 상기 셔터(50)와 구성을 달리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셔터(5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벌크 피더로부터의 부품(EC1∼EC3)의 취출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대기 위치에서 수행되나, 취출의 실패를 원인으로 하여 선두의 부품(EC1∼EC3)이 취출구(16)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잔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개폐부(50d)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복귀하면, 복귀 도중의 개폐부(50d)에 의해 부품(EC1∼EC3)이 끼어, 특히 강성이 낮은 부품(EC1∼EC3)에 있어서는 끼었을 때의 충격에 의해 상기 부품(EC1∼EC3)에 데미지, 예를 들면 손상이나 결손 등을 발생시킨다.
셔터(50')에 있어서는, 장공(53e)의 존재에 의해 개폐부(50d)가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기 쉽게 되어있기 때문에, 복귀 도중의 개폐부(50d)에 의해 부품(EC1∼EC3)이 낀 경우라도, 끼었을 때의 충격을 개폐부(50d)의 좌측 방향 변위에 의해 경감하여, 상기 부품(EC1∼EC3)에 주는 데미지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셔터(50')를 상기 셔터(5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도 28의 (A) 및 도 28의 (B)는 상기 셔터(50)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는, 상기 셔터(50)의 개폐부(50d)에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50d1)를 그 우측이 개폐부(50d)의 우측보다도 약간 돌출하게 설치한 점에서, 상기 셔터(50)와 구성을 달리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셔터(5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체(50d1)는 제4 변형예에서 진술한 장공의 대체가 되는 것으로, 복귀 도중의 개폐부(50d)에 의해 부품(EC1∼EC3)이 끼인 경우라도, 끼었을 때의 충격을 탄성체(51d1)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경감하고, 상기 부품(EC1∼EC3)에 주는 데미지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셔터를 상기 셔터(5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제3 변형 예에서 나타낸 상기 셔터(51∼53)의 개폐부(51d∼53d)에 상기와 동일한 탄성체(51d1∼53d1)를 설치하여도, 데미지 회피의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로터의 변형 예]
다음으로, 도 29의 (A)∼도 32를 인용하여, 상기 로터(4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도 29의 (A) 및 도 29의 (B)는 상기 로터(40)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는 상기 가압부(40c2)의 수 및 각도 간격을 변경한 것으로, 도 29의 (A)에 도시한 로터(40-1)는 총 4개의 가압부(40c2)를 90° 간격으로 포함하고 있고, 도29의 (B)에 도시한 로터(40-2)는 총 2개의 가압부(40c2)를 180° 간격으로 포함하고 있다. 물론, 총 3개의 가압부(40c2)를 135° 간격으로 설치해도 좋다.
가압부(40c2)의 수는, 부품 취출 후에 대기 위치에 있는 로터(40)를 회전시킬 때의 회전 각도에 의존한다. 요컨대, 회전 각도가 90°나 180°나 135°의 경우에는 회전 도중에 셔터(50)에 개폐 동작을 발생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상기 회전 각도에 맞추어 가압부(40c2)의 수를 설정하면, 셔터(50)에 불필요한 개폐 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c2)의 각도 간격은 등간격이 아니어도 좋으나, 등간격인 것이 공급 동작에 있어서 로터(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쉽다.
이 로터(40-1 또는 40-2)를 상기 로터(4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도 30의 (A)∼도 30의 (C)는 상기 로터(40)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는 상기 가압부(40c2)의 형성 위치를 변경한 것으로, 도면에 있어서는 총 8개의 가압부(40c2')가 45° 간격으로 로터(40-3)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각 가압부(40c2')의 형상은 상기 가압부(40c2)의 형상과 동일하고, 상기 각 가압부(40c2')는 셔터(50)의 피가압부(50c)를 상기 가압부(40c2)와 동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 로터(40-3)를 상기 로터(4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도 31의 (A) 및 도 32의 (A)는 상기 로터(40)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는 상기 영구 자석(40d)의 수 및 각도 간격을 변경한 것으로, 도 31의 (A)에 도시한 로터(40-4)는 총 16개의 영구 자석(40d)을 22.5°간격으로 포함하고 있고, 도 31의 (B)에 도시한 로터(40-5)는 총 4개의 영구 자석(40d)을 90° 간격으로 포함하고 있다.
영구 자석(40d)의 수는, 기본적으로는 로터(40)의 회전 속도에 관여하지만, 상술한 공급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영구 자석(40d)의 수는 4∼16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영구 자석(40d)의 각도 간격은 등간격이 아니어도 좋지만, 등간격인 것이 공급 동작에 있어서 로터(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쉽다.
이 로터(40-1 또는 40-2)를 상기 로터(4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도 32는 상기 로터(40)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는 상기 영구 자석(40d)의 형상을 변경한 것으로, 도 32에 도시한 로터(40-6)에는 영구 자석(40d')으로서 4각 기둥형을 이루는 것을 이용하고 있고, 각 영구 자석(40d')의 일방 자극의 중심은 상기 영구 자석(40d)과 일치하고 있다. 각 영구 자석으로서 3각 기둥형이나 5각 이상의 다각 기둥형을 이루는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영구 자석의 부품 비용을 생각하면 원기둥형 또는 4각 기둥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터(40-6)를 상기 로터(4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케이스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33의 (A)∼도 36의 (B)를 인용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변형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도 33, 도 34의 (A) 및 도 35의 (B)는 상기 케이스(10)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케이스(10-1)]는 구성 부품수를 삭감한 것으로, 도 34의 (A)에 도시한 좌판(11-1)과 도 34의 (B)에 도시한 우판(13-1)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와 같은 취입구 형성 부재(13d)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좌판(11-1)은, 도 3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시윤곽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좌판(11-1)은, 나사공(11a)을 네 모서리에 포함하고, 수납실용 요부(11b)를 우면에 포함하고, 셔터용 요부(11c)를 상면 중앙에 포함하고 있다.
수납실용 요부(11b)는, 곡률 중심이 도면 중의 +표시에 존재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 원호면(11b1)과, 제1 원호면(11b1)보다도 곡률 반경이 작고, 제1 원호면(11b1)과 곡률 중심이 일치하는 제2 원호면(11b2)과, 제1 원호면(11b1)의 하단과 제2 원호면(11b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평면(11b3)과, 제1 원호면(11b1)의 상단과 제2 원호면(11b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 평면(11b4)과, 수납실용 요부(11b)의 바닥에 닿는 좌측 내측면(11b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원호면 (11b1)의 곡률 반경은 후술하는 원호구(13b)의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고, 제2 원호면(11b2)의 곡률 반경은 후술하는 원호구(13b)의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다.
셔터용 요부(11c)는, 상기 셔터용 요부(12c)와 동일한 상면시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깊이는 후술하는 취출구용 요부(13c)의 깊이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셔터용 요부(11c)의 전부 좌측에는 용수철 지승벽(11c1)이 설치되고, 저면 후측에는 나사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우판(13-1)은, 도 3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시윤곽이 좌판(11-1)과 동일하고 상기 좌판(11-1)보다도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영구 자석(40d)의 자력이 투과 가능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우판(13-1)은, 나사 삽통공(13a)을 네 모서리에 포함하고, 원호구(13b)를 좌면 후측에 포함하고, 취출구용 요부(13c)를 상면 중앙에 포함하고, 지축(20)을 나사 멈춤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공(13f)을 우면 중앙에 포함하고 있다.
원호구(13b)는, 곡률 중심이 도면 중의 +표시에 존재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외측 원호면(13b1)과, 외측 원호면(13b1)보다도 곡률 반경이 작고, 외측원호면(13b1)과 곡률 중심을 일치하는 내측 원호면을 포함하고 있고, 외측 원호면(13b1)과 내측 원호면(13b2)의 곡률 반경의 차이는 상기 폭[Wg, 도 5의 (A)∼도 5의 (D)참조]을 규정하고 있다. 이 원호구(13b)는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여,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의 +표시의 바로 아래로부터 바로 위를 향하여 약 180°의 각도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호구(13b)의 최상점으로부터 전측에는, 상기 원호구(13b)와 동일 단면 형상을 가지는 직선구(부호 없음)가, 그 폭 및 깊이를 규정하는 3면이 상기 원호구(13b)의 폭(Wg) 및 깊이(Dg)를 규정하는 3면과 연속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에는, 도 5의 (A)∼도 5의 (D)에 도시한 원호구(13b)의 단면 형상이 채용된다.
취출구용 요부(13c)는, 우판(13-1)의 상면 일부, 구체적으로는 원호구(13b)의 최상점 및 그 전후 부분의 상측을 좌우 방향으로 절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호구(13b) 및 직선구에 도달하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있다. 즉, 원호구(13b)의 최상점 및 그 후측 부분과, 직선구의 후단 및 그 전측 부분은, 취출구용 요부(13c)를 통하여 상방을 향해서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있다.
셔터용 요부(13g)는, 우판(13)의 상면 일부, 구체적으로는 취출구용 요부(13c)보다도 전측 부분을 좌우 방향으로 절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깊이는 좌판(11)의 셔터용 요부(11c)의 깊이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우판(13)의 좌면의 직선구에는, 원기둥형 또는 4각 기둥형을 이루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톱퍼 막대(13e)가 압입 또는 접착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구의 후단 및 그 전측 부분은 취출구용 요부(13c)를 통하여 상방을 향해서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도 34의 (B)의 상기 직선구 내에 설치된 스톱퍼 막대(13e)의 후부는 취출구용 요부(13c)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취출구용 요부(13c)를 통해서 노출하고 있다. 즉, 스톱퍼 막대(13e)의 후부는 취출구용 요부(13c)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개방 부분에 인입되어 있고, 상기 개방 부분 중의 스톱퍼 막대(13e)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후술하는 취출구(16)가 된다.
도 33에 도시한 케이스(10-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34의 (A)에 도시한 좌판(11-1)의 우면에 도 34의 (B)에 도시한 우판(13-1)의 좌면을 중첩하는 것과 함께, 우판(13-1)의 각 나사 삽통공(13a)에 멈춤 나사(FS)를 끼우고, 각 멈춤 나사(FS)를 좌판(11-1)의 각 나사공(11a)에 넣고, 좌판(11-1) 및 우판(13-1)을 결합하면 좋다.
여기서는 멈춤 나사(FS)를 이용하여 케이스(10-1)를 조립하도록 했으나, 좌판(11-1)으로부터 나사공(11a)을 배제하고, 우판(13-1)으로부터 나사 삽통공(13a)을 배제하고, 이들 대신 관통공을 양자에 형성하고, 좌판(11-1)과 우판(13-1)을 중첩한 후에 양자의 관통공에 수지(樹脂)핀을 삽입하여 그 양단을 열용융시키는 것으로 양자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좌판(11-1)으로부터 나사공(11a)을 배제하고, 우판(13-1로)으로부터 나사 삽통공(13a)을 배제하고, 양자의 접촉면을 열용착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함으로써 양자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조립에 의해, 좌판(11-1)의 수납실용 요부(11b)의 우측 개구가 우판(13-1)의 좌면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우판(13-1)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의 상부가, 좌판(11-1)의 수납실용 요부(11b)가 존재하지 않는 우면 부분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우판(13-1)의 취출구용 요부(13c)의 좌측 개구가, 좌판(11-1)의 수납실용 요부(11b)가 존재하지 않는 우면 부분에 의해 폐색된다.
즉, 케이스(10-1) 내에는, 상기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좌판(11-1)의 수납실용 요부(11b)의 제1 원호면(11b1), 제2 원호면(11b2), 제1 평면(11b3), 제2 평면(11b4) 및 좌측 내측면(11b5)과, 우판(13-1)의 좌면의 일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좌면시윤곽이 대략 원형인 수납실(14)이 획성된다(도 33 참조). 이 수납실(14)에 있어서는, 좌판(11-1)의 좌측 내측면(11b5)이 상기 수납실(14)의 좌측벽이 되고, 우판(13-1)의 일부가 상기 수납실의 우측벽(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수납실의 측벽」에 해당)이 된다.
또한, 수납실(14)의 우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우판(13-1)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가 폐색되어 있지 않은 부분(약 150°의 각도 범위 부분)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원호 형상의 안내구[13b, 이하, 안내구(13b)라고 한다]가 형성된다.
또한, 우판(13-1)의 원호구(13b)의 좌측 개구가 폐색된 부분(약 30°의 각도 범위 부분)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안내구(13b)와 동일 단면 형상을 포함하고, 안내구(13b)의 상단으로부터 수납실(14)의 상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공급 통로(15)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공급 통로(15)의 후단에 그 입구가 되는 취입구(15a)가 형성된다. 또한, 스톱퍼 막대(13e)는 이 공급 통로(15)의 선단으로부터 전측에 걸쳐서 옆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1)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공급 통로(15) 내를 이동하여 스톱퍼 막대의 후면에 당접하여 정지한 부품(EC1∼EC3)을 상기 공급 통로(15)로부터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상면 개구의 취출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실(14)을 구성하는 제1 원호면(11b1)의 곡률 반경이 외측 원호면(13b1)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안내구(13b)의 외측에는 양자의 곡률 반경의 차이에 준한 폭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평탄면(FP1)이 형성된다. 이 평탄면(FP1)의 폭은, 대략, 부품(EC1∼EC3)의 길이(L1∼L3)의 2배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안내구(13b)의 내측에는 이 평탄면(FP1)과 면일 상태의 평탄면(FP2)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구(13b)는 2개의 평탄면(FP1, FP2)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 케이스(10-1)를 상기 케이스(1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도 35의 (A)와 도 35의 (B)는 상기 케이스(10)의 제2 변형예와 제3 변형 예를 각각 도시한다. 이들 변형예는 상기 우판(13)으로부터 스톱퍼 막대(13e)를 배제한 것으로, 도 35의 (A)에 도시한 우판(13-2)은 상기 케이스(10)의 우판(13)에 대응하고, 도 35의 (B)에 도시한 우판(13-3)은 상기 케이스(10-1)의 우판(13-1)에 대응한다.
도 35의 (A)에 도시한 우판(13-2)은, 원호구(13b')의 최상점으로부터 전측의 부분에 설치한 직선구(부호 없음)를 배제하고, 원호구(13b) 전단(선단)의 벽을 스톱퍼로서 대용하고 있다. 도 35의 (B)에 도시한 우판(13-3)은, 원호구(13b')의 최상점으로부터 전측의 부분에 설치한 직선구(부호 없음)를 배제하고, 원호구(13b')의 전단(선단)의 벽을 스톱퍼로서 대용하고 있다. 어느 것이든, 원호구(13b')의 전단(선단)의 벽에 당접한 선두의 부품(EC1∼EC3)을 마운터(전자 부품 탑재 장치)의 흡착 노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취출할 때의 지장이 되지 않도록, 취출구용 요부(13c')의 형상을 전측 경사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바뀌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우판(13)을 도 35의 (A)에 도시한 우판(13-2)으로 바꾼 케이스, 또는, 상기 케이스(10-1)의 우판(13-1)을 도 35의 (B)에 도시한 우판(13-3)으로 바꾼 케이스를 상기 케이스(1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도 36의 (A)와 도 36의 (B)는 상기 케이스(10)의 제4 변형예와 제5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다. 이들 변형예는 수납실(14)의 바닥을 구성하는 면의 단면 형상을 변경한 것으로, 도 36의 (A)에 도시한 우판(13-2)은 상기 케이스(10)에 대응하고, 도 36의 (B)에 도시한 케이스(10-3)는 상기 케이스(10-1)에 대응한다.
도 36의 (A)에 도시한 케이스(10-2)는, 수납실(14)을 구성하는 제1 원호면(12b1')의 단면이 거의 1/4원을 이루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도 36의 (B)에 도시한 케이스(10-3)는, 수납실(14)을 구성하는 제1 원호면(11b1')의 단면이 거의 1/4원을 이루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물론, 제1 원호면(12b1')과 제1 원호면(11b1')의 단면은, 우판(13, 13-1)의 좌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 케이스(10-2, 10-3)를 이용하면, 수납실(14) 내에 수납된 부품(EC1∼EC3)의 잔여 수가 적어진 경우라도, 상기 제1 원호면(12b1', 11b1')의 경사를 이용하여 얼마 남지 않은 부품(EC1∼EC3)을 우판(13, 13-1)의 좌면을 향하여, 즉, 안내구(13b)의 하단을 향하여 자중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납실(14)의 좌우 치수를 확대하여 부품(EC1∼EC3)의 수납수를 증가시키면, 영구 자석(40d)의 자력이 상기 영구 자석(40d)으로부터 벗어난 부품(EC1∼EC3)에 도달하기 어려워지지나, 이러한 경우라도 얼마 남지 않은 부품(EC1∼EC3)을 안내구(13b)의 하단을 향하여 자중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부품(EC1∼EC3)을 영구 자석(40d)의 자력에 의해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이 케이스(10-2 또는 10-3)를 상기 케이스(10) 대신 이용한 벌크 피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공급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10-1, 10-2, 10-3…케이스 13b…안내구(원호구)
13b1…외측 원호면 13b2…내측 원호면
FP1, FP2…평탄면 14…수납실
15…공급 통로 15a…취입구
16…취출구
40, 40-1, 40-2, 40-3, 40-4, 40-5, 40-6…로터
40c2, 40c2'…가압부 40d, 40d'…영구 자석
VC…원궤도(가상원) 50, 50', 51, 52, 53…셔터
50a, 51a, 52a, 53a…암부 50c, 51c, 52c, 53c…피가압부
50d, 51d, 52d, 53d…개폐부 EC1∼EC3…부품

Claims (17)

  1. 낱개 상태의 부품을 소정 방향에서 취출구(取出口)에 공급하는 벌크 피더로서,
    자력(磁力)에 의한 흡인(吸引)이 가능한 상기 부품을 낱개 상태로 복수 개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측벽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
    일방(一方) 자극(磁極)이 상기 수납실을 향하고, 상기 일방 자극이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과 동심(同心)의 소정 원 궤도를 따르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의 영구 자석;
    소정 원 궤도에 따르도록 상기 수납실의 측벽의 내면에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수납실 내의 상기 부품을 소정 방향에서 수용하여 같은 방향에서 상방(上方)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호(圓弧) 형상의 안내구(案內溝);
    소정 원 궤도에 따르도록 상기 안내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수납실의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안내구를 이동하는 소정 방향의 상기 부품을 취입구(取入口)를 통하여 취입(取入)하여서 같은 방향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원호 형상의 공급 통로;
    상기 공급 통로의 선단(先端)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통로 내를 이동하여 상기 선단에 공급된 소정 방향의 상기 부품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상면 개구(開口)의 취출구(取出口); 및
    상기 취출구를 폐색(閉塞) 또는 개방하기 위한 셔터;
    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에는 복수의 가압부가 소정 원 궤도를 따르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셔터에는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 가능한 피가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취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취출구를 폐색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벌크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의 일방 자극이 상기 취출구의 외측을 통과하여 정지한 위치를 부품 취출을 위한 대기 위치로 하고 있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셔터의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취출구가 개방되는 것인 벌크 피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산 형상으로 융기한 부위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의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올라가는 것으로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인 벌크 피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경사면(傾斜面)을 양측에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인 벌크 피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상기 로터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실의 측벽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벌크 피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벌크 피더.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각각이 소정 원 궤도를 따르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벌크 피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부의 수는 총 8개로서 각각의 각도 간격은 45°인 것인 벌크 피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기 피가압부는 선단에서 둥근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선단이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인 벌크 피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탄성 변형하기 어려운 강성(剛性)을 갖는 암(arm)부에 상기 피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가압부를 스프링에 의해 지지하고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스프링 바이어스력에 저항한 변위에 의해 상기 취출구의 개방을 수행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스프링 바이어스력에 의한 복귀에 의해 상기 취출구의 폐색을 수행하는 것인 벌크 피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탄성에 기초하는 변형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한 암부에 상기 피가압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로터의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상기 암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취출구의 개방을 수행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상기 암부의 복원에 의해 상기 취출구의 폐색을 수행하는 것인 벌크 피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은, 각각의 일방 자극의 중심이 소정 원 궤도 상에 위치하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있는 벌크 피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의 수는 총 8개로서 각각의 각도 간격은 45°인 것인 벌크 피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중의 각 영구 자석의 일방 자극의 중심은 소정 원 궤도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소정 원 궤도 하에서 이동하는 상기 각 영구 자석의 일방 자극의 중심은 상기 안내구 내 및 상기 공급 통로 내를 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영구 자석의 일방 자극이 마주보는 상기 안내구의 외측과 내측에는 상기 안내구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2개의 평탄면이 면일(面一)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인 벌크 피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수납실의 측벽의 내면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설치된 원호구(圓弧溝)의 개구의 상부를 폐색한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는 상기 원호구의 개구가 폐색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벌크 피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구는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로 아래로부터 바로 위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인 벌크 피더.
  17. 제15항에 있어서,
    원 궤도의 곡률 반경은, 상기 원호구의 외측 원호면의 곡률 반경 이하이고 내측 원호면의 곡률 반경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벌크 피더.
KR1020117010900A 2008-12-12 2009-12-09 벌크 피더 KR101243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7134 2008-12-12
JPJP-P-2008-317134 2008-12-12
JP2009276769A JP4499182B1 (ja) 2008-12-12 2009-12-04 バルクフィーダ
JPJP-P-2009-276769 2009-12-04
PCT/JP2009/070936 WO2010067890A1 (ja) 2008-12-12 2009-12-09 バルクフィ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33A true KR20110084933A (ko) 2011-07-26
KR101243092B1 KR101243092B1 (ko) 2013-03-13

Family

ID=4224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900A KR101243092B1 (ko) 2008-12-12 2009-12-09 벌크 피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99182B1 (ko)
KR (1) KR101243092B1 (ko)
CN (1) CN102245488B (ko)
WO (1) WO2010067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6662B2 (ja) * 2012-09-20 2016-09-2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バルク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
JP6191979B1 (ja) * 2016-07-19 2017-09-06 青山 省司 部品の停止通過ユニットおよびねじ締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354B2 (ja) * 1990-04-12 1995-05-1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電子部品の収納ケース及び同収納ケースによる電子部品の自動供給装置
JP3566831B2 (ja) * 1996-05-13 2004-09-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3482324B2 (ja) * 1997-08-07 2003-1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整列装置
JP4141004B2 (ja) 1998-03-04 2008-08-27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59166A (ja) 2010-07-22
CN102245488A (zh) 2011-11-16
KR101243092B1 (ko) 2013-03-13
JP4499182B1 (ja) 2010-07-07
WO2010067890A1 (ja) 2010-06-17
CN102245488B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847B1 (ko) 벌크 피더용 부품 수납 케이스
JP2000277983A (ja) 電気部品フィーダ
KR101243092B1 (ko) 벌크 피더
US20200016681A1 (en) Apparatus for replacing welding tip of welder and apparatus for supplying same
JP4610674B1 (ja) バルクフィーダ用部品収納ケース
CN102407687B (zh) 图像记录装置
KR101294611B1 (ko) 벌크 피더
EP2479527B1 (en) A ball feeding arrangement
WO2010101083A1 (ja) バルクフィーダ
CN106004095A (zh) 输送装置和图像记录设备
KR101243096B1 (ko) 벌크 피더
JP3811856B2 (ja) 部品整列供給装置
CN101045377B (zh) 喷液装置
US20090071795A1 (en) Coin-guiding plate for a coin counter
JP6888261B2 (ja) 記録装置
JP5831184B2 (ja) 画像形成装置
JP4276984B2 (ja) パーツ整列装置
JP5671218B2 (ja) バルクフィーダ用部品収納ケース
JP5671219B2 (ja) バルクフィーダ
JP5450235B2 (ja) 部品供給方法
JP2010182736A (ja) バルクフィーダ
JP2000349496A (ja) 部品供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