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090A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090A
KR20110084090A KR1020100118572A KR20100118572A KR20110084090A KR 20110084090 A KR20110084090 A KR 20110084090A KR 1020100118572 A KR1020100118572 A KR 1020100118572A KR 20100118572 A KR20100118572 A KR 20100118572A KR 20110084090 A KR20110084090 A KR 20110084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mber
slider
magnet
directions
magnet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니이야마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센서의 수를 저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4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100)와, 슬라이더(200a, 200b, 200c)와, 슬라이더(200c)의 플랜지(220c)에 X 및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磁極)이 반대인 자석(611a, 612a)과, 플랜지(220c)에 Y 및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자석(611b, 612b)과, 원점위치에서 자석(611a, 612a)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의 하측에 배치되는 자기센서(620a)와, 원점위치에서 자석(611b, 612b)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의 하측에 배치되는 자기센서(620b)를 구비한다. 자기센서(620a)는, 접근하는 자석(611a, 612a)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자기센서(620b)는, 접근하는 자석(611b, 612b)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장치{AN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X, -X, Y 및 -Y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입력장치로서는, X, -X, Y 및 -Y방향으로 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와, 압하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제1 검출부는, 조작부재의 기초부 X, -X, Y 및 -Y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4개의 자석과, 프린트기판 위에 상기 자석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4개의 홀소자를 가지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4-288459호 공보
이와 같이 제1 검출부는 4개의 자석과 4개의 홀소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고비용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기센서의 수를 저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입력장치는, 소정의 원점위치로부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와, 조작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한 쌍의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자석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자기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자기센서측의 자극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의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이동에 따라서 상기 자석의 한쪽이 상기 자기센서에 접근하면, 상기 자기센서가 상기 자석의 한쪽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재의 2방향의 이동을 1개의 자기센서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 비해서 자기센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의 입력장치의 부품점수의 저감 및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상기 제 1의 입력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입력장치는, 소정의 원점위치로부터 적어도 X, -X, Y 및 -Y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1, 제2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3, 제4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자기센서와,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4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기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1, 제2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3, 제4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의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자석이 상기 제1 자기센서에 접근하면, 상기 제1 자기센서가 상기 제1, 제2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3, 제4 자석이 상기 제2 자기센서에 접근하면, 상기 제2 자기센서가 상기 제3, 제4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1, 제 2의 자기센서로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으로의 조작 이동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 비해서 자기센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의 입력장치의 부품점수의 저감 및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상기 제 2의 입력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입력장치는, 상기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측에 배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부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부와 상기 조작부재와의 사이에 각각 개재해서, 상기 조작부재를 원점위치로 부세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을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부터 X, -X, Y, -Y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벽부와의 사이에서 제1, 제2, 제3, 제4 부세수단이 압축된다. 이에 의해 증가하는 제1, 제2, 제3, 제4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에 의해 X, -X, Y 및 -Y방향으로부터 조작부재를 부세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을 교환함으로써, 조작부재의 조작감 및 스트로크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 중 일부에 다른 것과 부세력이 다른 것을 이용함으로써, 조작부재의 소정방향의 조작감과 다른 방향의 조작감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원의 제 3의 입력장치는, 소정의 원점위치로부터 적어도 X, -X, Y 및 -Y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가 관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과 함께, X, -X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조작부재가 관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과 함께, Y, -Y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X 및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1, 제2 자석과, 상기 제2 슬라이더에 Y 및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3, 제4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자기센서와,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4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기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1, 제2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3, 제4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3의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자석이 상기 제1 자기센서에 접근하면, 상기 제1 자기센서가 상기 제1, 제2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3, 제4 자석이 상기 제2 자기센서에 접근하면, 상기 제2 자기센서가 상기 제3, 제4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1, 제 2의 자기센서로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으로의 조작 이동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 비해서 자기센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의 입력장치의 부품점수의 저감 및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상기 제 3의 입력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3의 입력장치는, 상기 제1 슬라이더에 Y,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더에 X,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제3 슬라이더를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X, -X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X, -X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2 슬라이더의 Y, -Y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Y,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자석은,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아니고, 상기 제3 슬라이더에 X 및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제4 자석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아니고, 상기 제3 슬라이더에 Y 및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의 입력장치는, 상기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측에 배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 부세수단과,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1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 부세수단과, 상기 제3 측벽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Y방향으로 부세하는 제3 부세수단과, 상기 제4 측벽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Y방향으로 부세하는 제4 부세수단을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부터 X, -X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제2 측벽부와의 사이에서 제1, 제2 부세수단이 압축된다. 이에 의해 증가하는 제1, 제2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부터 Y, -Y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3, 제4 측벽부와의 사이에서 제3, 제4 부세수단이 압축된다. 이에 의해 증가하는 제3, 제4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를 개재해서 X, -X, Y 및 -Y방향으로부터 조작부재를 부세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을 교환함으로써, 조작부재의 조작감 및 스트로크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 중 일부에 다른 것과 부세력이 다른 것을 이용함으로써, 조작부재의 소정방향의 조작감과 다른 방향의 조작감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은, 베이스부와, 가동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에 조작감(클릭감)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부터 X, -X, Y 및 -Y방향으로 직교하는 -Z방향으로 압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제 3의 입력장치는, 상기 조작부재를 Z방향으로 부세하는 제5 부세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의 단부 또는 제5 부세수단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Z방향으로 이동하는 제5 자석과, 상기 제5 자석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5 자석의 -Z방향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5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압하 조작된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또, 제5 부세수단이 -Z방향측으로부터 조작부재를 부세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5 부세수단을 교환함으로써, 조작부재의 조작력 및 스트로크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제5 부세수단은, 베이스부와, 가동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의 압하 이동 조작에 조작감(클릭감)이 생겨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제 3의 입력장치는, 상기 조작부재에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환상으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복수의 제6 자석과, 상기 제6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6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6 자석을 대신해서 제7 자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7 자석은,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착자(着滋)된 링체로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4 자기센서는, 상기 제7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자석과 상기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가 비접촉이기 때문에, 양자의 전기접속이 불필요하고 또한 양자의 접촉불량 등에 의한 신뢰성의 열화 등이 생기지도 않는다. 또,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의 이동을 검출하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자석 및 제1, 제2 자기센서와, 조작부재의 압하 이동을 검출하는 상기 제5 자석 및 제3 자기센서와, 조작부재의 회전 이동을 검출하는 상기 제6 또는 제7 자석, 및 제4 자기센서가 각각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치수조정이나 감도조정을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 3의 입력장치는,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과 함께 상기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6 자석 또는 제7 자석이 상기 조작부재가 아니고, 상기 회전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3 슬라이더는 각기둥형상의 박스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박스부 위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박스부와 외형이 거의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 위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암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부 위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암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기 암부가 상기 박스부 및 플레이트의 Y, -Y 또는 X, -X방향측의 외부면에,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기 암부가 상기 박스부 및 플레이트의 X, -X 또는 Y, -Y방향측의 외부면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위에, 상기 조작부재의 플레이트,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부를 이 순서로 적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기 암부가 상기 박스부 및 플레이트의 Y, -Y 또는 X, -X방향측의 외부면에,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기 암부가 상기 박스부 및 플레이트의 X, -X 또는 Y, -Y방향측의 외부면에 각각 접촉시키기만 해도, 상기 조작부재, 제1, 제2 및 제3 슬라이더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 제1, 제2 및 제3 슬라이더의 조합이 간단해져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를 또한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및 회전체는,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및 회전체가 제3 슬라이더와 Z 또는 -Z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 2, 제 3의 입력장치의 장치고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5 부세수단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제5 부세수단 및 회전체는,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제5 부세수단 및 회전체가 제3 슬라이더와 Z 또는 -Z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 2, 제 3의 입력장치의 장치고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 3의 입력장치는,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에 배치된 기판을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 위에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자기센서가 실장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입력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1(a)가 사시도, 도 1(b)가 도 1(a) 중의 A-A단면도;
도 2는 상기 입력장치의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입력장치의 아래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a)는, 상기 입력장치의 커버를 분리하고 또한 제1, 제2, 제3 슬라이더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4(b)는 제1 슬라이더를 제거하고, 제2, 제3 슬라이더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4(c)는 제2 슬라이더를 제거하고, 제1, 제3 슬라이더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5는 상기 입력장치의 케이스의 개략도로서, 도 5(a)가 정면도, 도 5(b)가 평면도, 도 5(c)가 저면도, 도 5(d)가 도 4(b) 중 B-B단면도;
도 6(a)가 상기 입력장치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6(b)가 상기 입력장치의 제3 슬라이더 및 회전체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6(c)가 상기 입력장치의 기판 위의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7은 상기 입력장치의 커버를 분리하고 또한 제1, 제2, 제3 슬라이더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로서, 조작부재가 -X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조작부재가 X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8(b)는 조작부재가 -X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9는 상기 입력장치의 커버를 분리하고 또한 제1, 제2, 제3 슬라이더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로서, 조작부재가 Y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a)는 조작부재가 Y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10(b)는 조작부재가 -Y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11은 조작부재가 Y 및 -X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자석과 제1, 제2, 제3, 제4 자기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도 12는 상기 입력장치의 도 1(a) 중의 A-A단면도로서, 조작부재가 -Z방향으로 압하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상기 입력장치의 제7 자석으로 교체해서 복수의 제6 자석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입력장치는, 조작부재(100)를 원점위치로부터 X, -X, Y, -Y, XY, -X-Y, X-Y, -XY의 8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입력 가능한 슬라이드조작입력기능, 조작부재(100)를 원점위치로부터 -Z방향으로 압하 조작 입력 가능한 압하조작입력기능 및 조작부재(100)를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입력 가능한 회전조작입력기능을 구비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이다. 이 입력장치는, 조작부재(100)와, 제1, 제2, 제3 슬라이더(200a, 200b, 200c)와, 회전체(300)와, 케이스(400)와, 제 1, 제 2의 원점복귀기구(500a, 500b)와, 제 1, 제 2의 슬라이드검출부(600a, 600b)와, 압하검출부(700)와, 회전검출부(800)와, 기판(90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판(900)은, 도 1, 도 2, 도 3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지된 프린트기판이다. 이 기판(90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기판 본체의 4변부에 복수의 외부접속단자(910)가 돌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외부접속단자(910)는 본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전자기기의 메인 기판 등에 직접 또는 리드선 등을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기판(900)의 4개 코너부분에는 위치결정구멍(9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4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10)와, 커버(420)를 가지고 있다. 보디(410)는, 기판(900) 위에 재치된 바닥이 있는 대략 각기둥형상의 사출성형품으로서, 4개의 측벽부(411, 412, 413, 414)(제1, 제2, 제3, 제4 측벽부)를 가지고 있다. 이 측벽부(411, 412, 413, 414)는 보디(410)의 저판부의 4변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판체로서, 조작부재(100)의 주위의 X, -X, Y, -Y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부(411, 412, 413, 414)의 상단부에는, 가이드오목부(411a, 412a, 413a, 414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오목부(411a, 412a)는 Y 및 -Y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가이드오목부(413a, 414a)는 X 및 -X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가이드오목부(411a, 412a, 413a, 414a)의 바닥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볼록한 한 쌍의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411, 412, 413, 414)의 내부면에는, 유지부(411b, 412b, 413b, 414b)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411b, 412b, 413b, 414b)는, 대략 U자 형상의 포켓으로서, 그 단면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보디(410)의 저판부에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구멍(415)이 4개 개설되어 있다. 이 수용구멍(415)에, 제 1, 제 2의 슬라이드검출부(600a, 600b)의 자기센서(620a, 620b), 압하검출부(700)의 자기센서(720), 회전검출부(800)의 자기센서(820)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또, 보디(410)의 저판부에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4개의 위치결정용의 보스(4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416)가 기판(900)의 위치결정구멍(920)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커버(4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10)에 덮인 대략 직사각형상의 컵체이다. 이 커버(420)의 천판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부(4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천판부의 4변부로부터 수하된 4개의 측벽부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걸림편(422)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422)이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서, 기판(900)의 이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420) 및 보디(410)가 기판(900)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제3 슬라이더(200c)는, 도 1(b), 도 2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10)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보디(410)의 저판부의 돌기부 위에 기판(90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재치되어 있다. 이 제3 슬라이더(200c)는, 바닥이 있는 각기둥형상의 박스부(210c)의 4개의 코너부분의 하단부에 4개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플랜지(220c)가 돌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b)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및 -Y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랜지(220c)의 사이에는 극간(230c)이, X 및 -X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랜지(220c)의 사이에는 극간(240c)이 생기고 있다. 또, 박스부(210c)의 바닥부에는 원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박스부(210c)의 관통구멍의 둘레가장자리부분(250c) 및 플랜지(220c)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10)의 저판부의 돌기부 위에 재치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회전체(300)는,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슬라이더(200c)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체(300)는, 원통형상의 원통부(310)의 외주부면의 하단부에 링형상의 날밑부(320)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날밑부(320)의 바깥둘레부분이 제3 슬라이더(200c)의 둘레가장자리부분(250c)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원통부(310)의 내주부면의 하단부에는 링형상의 재치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재치부(311)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관통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원통부(310)의 상단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오목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100)는,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10)와, 고정부(120)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120)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121)와, 이 플레이트(12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122)와, 플레이트(121)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통부(123)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121)는, 그 외형이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외형과 거의 동일한 판체이다. 즉, 플레이트(121)의 바깥둘레가장자리부분이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상단부에 재치되고, 상기 박스부(210c)의 위쪽 개구부를 막는 덮개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원통부(123)에는, 방사형상으로 4개의 걸림볼록부(1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볼록부(123a)가 박스부(210c)의 걸림오목부(211c)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샤프트(110)는, 원기둥형상의 본체부(111)의 하단부에 하향의 원형의 컵체인 연결부(112)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111)는 가이드부(122) 내에 Z 및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및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본체부(111) 및 가이드부(122)가 후술하는 제1, 제2 슬라이더(200a, 200b)의 긴구멍(211a, 213b) 및 커버(420)의 개구부(421)를 통해서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본체부(111)의 중심과 커버(420)의 개구부(421)의 중심이 대략 일치하는 위치가 조작부재(100)의 상기 원점위치로 되어 있다. 조작부재(100)는, 원점위치로부터 주위의 임의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연결부(112)의 내경은 회전체(300)의 원통부(310)의 외경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즉, 연결부(112) 내에 원통부(310)가 Z 및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연결부(112)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 볼록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십자 볼록부(112a)의 중심부는, 제 2의 원점복귀기구(500b)의 러버(510b)를 개재해서 회전체(300)의 재치부(311) 위에 재치되어 있다. 또, 십자 볼록부(112a)의 단부가 원통부(310)의 가이드오목부(312)에 Z 및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샤프트(110)가 회전체(300)에 대해서 Z 및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샤프트(110)가 회전체(300)와 함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의 원점복귀기구(500b)는, 조작부재(100)의 샤프트(110)의 하단부(십자 볼록부(112a))와 회전체(300)의 재치부(31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510b)(제5 부세수단)를 가지고 있다. 러버(510b)는, 링형상의 베이스부(511b)와, 베이스부(511b)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작은 원기둥형상의 가동부(512b)와, 위쪽을 향해서 점차 직경 축소되는 원통형의 지지부(513b)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513b)는, 베이스부(511b)의 내부가장자리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512b)는 지지부(513b)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부(512b)는 지지부(513a)에 의해 베이스부(511b) 위에서 지지되고 있다. 베이스부(511b)는 재치부(311) 위에 재치되어 있다. 가동부(512a)는 샤프트(110)의 하단부(십자 볼록부(112a))에 접촉되어서, 상기 샤프트(110)를 지지하고 있다. 샤프트(110)가 -Z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러버(510b)가 샤프트(110)의 하단부(십자 볼록부(112a))와 회전체(300)의 재치부(311)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면, 지지부(513b)가 탄성 변형해서 굴곡되고, 가동부(512b)가 베이스부(511b)측으로 위치 변위된다. 이에 의해, 러버(510b)에 샤프트(110)를 Z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생긴다. 이 부세력에 의해, -Z방향으로 조작된 샤프트(110)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또, 지지부(513b)의 굴곡 및 가동부(512b)의 위치 변위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Z방향으로의 압하 조작에 클릭감이 생긴다.
제2 슬라이더(200b)는, 도 1(b),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및 -X방향으로 연신하는 장판(長板)형상의 슬라이드부(210b)를 가지고 있다. 이 슬라이드부(210b)는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위에 재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210b)의 중앙부에는, X 및 -X방향으로 연신한 긴구멍(211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210b)의 긴구멍(211b)의 양측에는, X 및 -X방향으로 연신한 한 쌍의 직사각형상의 삽입구멍(21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더(200a)는, 도 1(b), 도 2, 도 3, 도 4(a)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및 -Y방향으로 연신하는 장판형상의 슬라이드부(210a)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부(210a)는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 위에 직교 배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210b)의 중앙부에는, Y 및 -Y방향으로 연신한 긴구멍(211a)이 형성되어 있다. 긴구멍(211a, 211b) 및 커버(420)의 개구부(421)는,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에 위치할 때, 그 중심이 일치하고 있다.
또, 슬라이드부(210b)의 길이치수의 양단부(X, -X방향의 단부)에는,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단차부(2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향단차부(213b)가, 보디(410)의 측벽부(411, 412)의 가이드오목부(411a, 412a)에 삽입되어서, 상기 가이드오목부(411a, 412a)의 돌기부와 커버(420)의 천판부와의 사이에서 Y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향단차부(213b)가 안내됨으로써, 슬라이드부(210b)가 케이스(400) 내를 Y 및 -Y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부(210a)의 길이치수의 양단부(Y, -Y방향의 단부)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10)의 측벽부(413, 414)의 가이드오목부(413a, 414a)에 삽입되어서, 상기 가이드오목부(413a, 414a)의 돌기부와 커버(420)의 천판부와의 사이에 X 및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210a)가 케이스(400) 내를 X 및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의 폭방향의 양단부(Y, -Y방향의 단부)에는,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부(220b)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220b)는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Y, -Y방향의 외부면을 따라서 각각 수하되어서, 상기 암부(220b)의 선단부가 제3 슬라이더(200c)의 극간(240c)에 삽입되어 있다. 이 암부(220b)가,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의 Y, -Y방향의 외부면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상기 외부면에 각각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21)의 상기 외부면 및 박스부(210c)의 상기 외부면을 따라서 X 및 -X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암부(220b)의 선단부는 제3 슬라이더(200c)의 극간(240c) 내를 X 및 -X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슬라이더(200b)는,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에 대해서 X 및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더(200a)의 슬라이드부(210a)의 폭방향의 양단부(X, -X방향의 단부)에는, 도 1(b), 도 2, 도 3, 도 4(a)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부(220a)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220a)는, 제2 슬라이더(200b)의 삽입구멍(212b)을 관통하고 또한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X, -X방향의 외부면을 따르도록 각각 연신되어 있다. 암부(220a)의 선단부는 제3 슬라이더(200c)의 극간(230c)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암부(220a)는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의 X, -X방향의 외부면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에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21)의 상기 외부면 및 박스부(210c)의 상기 외부면을 따라서 Y 및 -Y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부(220a)의 선단부는 제3 슬라이더(200c)의 극간(230c) 내를 Y 및 -Y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더(200a)는,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에 대해서 Y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100)가 Y, -Y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제2 슬라이더(200b)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Y, -Y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가 제1 슬라이더(200a)의 한 쌍의 암부(220a)의 사이를 Y, -Y방향으로 이동된다. 환언하면, 제1 슬라이더(200a)의 한 쌍의 암부(220a)가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X, -X방향의 외부면을 따라서 -Y, Y방향으로 각각 이동되고, 상기 암부(220a)의 선단부가 제3 슬라이더(200c)의 극간(230c) 내를 -Y, Y방향으로 각각 이동된다. 이런 연유로, 제1 슬라이더(200a)는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조작부재(100)가 X,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제1 슬라이더(200a)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X, -X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가 제2 슬라이더(200b)의 한 쌍의 암부(220b)의 사이를 X, -X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2 슬라이더(200b)의 한 쌍의 암부(220b)가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Y, -Y방향의 외부면을 따라서 -X, X방향으로 각각 이동되고, 상기 암부(220b)의 선단부가 제3 슬라이더(200c)의 극간(240c) 내를 -X, X방향으로 각각 이동된다. 이런 연유로, 제2 슬라이더(200b)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암부(220b)의 외부면에는 원기둥형상의 돌기부(221b)가, 암부(220a)의 외부면에는 원기둥형상의 돌기부(221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원점복귀기구(500a)는, 4개의 러버(510a)(제1, 제2, 제3, 제4 부세수단)를 가지고 있다. 이 러버(510a)가, 보디(410)의 측벽부(411)와 제1 슬라이더(200a)의 X방향측의 암부(220a)의 돌기부(221a)와의 사이, 보디(410)의 측벽부(412)와 제1 슬라이더(200a)의 -X방향측의 암부(220a)의 돌기부(221a)와의 사이, 측벽부(413)와 제2 슬라이더(200b)의 Y방향측의 암부(220b)의 돌기부(221b)와의 사이 및 측벽부(414)와 제2 슬라이더(200b)의 -Y방향측의 암부(220b)의 돌기부(221b)와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러버(510a)가 -X, X, -Y, Y방향으로부터 제1, 제2 슬라이더(200a, 200b)를 각각 부세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200a, 200b)를 개재해서 조작부재(100)를 원점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다.
러버(510a)는, 링형상의 베이스부(511a)와, 베이스부(511a)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작은 원반형상의 가동부(512a)와, 선단부측을 향해서 점차 직경 축소되는 원통형의 지지부(513a)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513a)는, 베이스부(511a)의 내부 가장자리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512a)는 지지부(513a)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부(512a)는 지지부(513a)에 의해 베이스부(511a) 위에서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부(511a)는, 측벽부(411, 412, 413, 414)의 유지부(411b, 412b, 413b, 414b)에 각각 삽입되어서, 유지되어 있다. 가동부(512a)는, 암부(220a), 암부(220b)의 돌기부(221a, 214b1)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암부(220a)가 X,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러버(510a)가 보디(410)의 측벽부(411, 412)와 암부(220a)의 돌기부(221a)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면, 지지부(513a)가 탄성 변형해서 굴곡되고, 가동부(512a)가 베이스부(511a)측으로 위치 변위된다. 이에 의해, 러버(510a)에 암부(220a)의 돌기부(221a)를 -X, X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증가하게 되어 있다. 이 부세력에 의해, X,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조작부재(100)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암부(220b)가 Y, -Y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러버(510a)가 보디(410)의 측벽부(413, 414)와 암부(220b)의 돌기부(221b)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면, 지지부(513a)가 탄성 변형해서 굴곡되고, 가동부(512a)가 베이스부(511a)측으로 위치 변위된다. 이에 의해, 러버(510a)에 암부(220b)의 돌기부(214b1)를 -Y, Y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증가하게 되어 있다. 이 부세력에 의해, Y, -Y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조작부재(100)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513a)의 굴곡 및 가동부(512a)의 위치 변위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 -X, Y 및 -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클릭감이 생긴다.
제 1의 슬라이드검출부(600a)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100)의 X 및 -X방향의 성분을 함유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다. 이 제1 슬라이드검출부(600a)는, 자석(611a, 612a)(제1, 제2 자석)과, 자기센서(620a)(제1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다. 자석(611a, 612a)은 원기둥체로서, 높이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자석(611a, 612a)은, 제3 슬라이더(200c)의 -Y 및 -X방향측의 플랜지(220c)에, X 및 -X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다. 자석(611a, 612a)은 서로 자극이 반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석(611a)은 N극을 아래쪽을 향해서, 자석(612a)은 S극을 아래쪽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자기센서(620a)로서는 자극판별타입의 홀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이 자기센서(620a)는,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판(900) 위에 있어서의 자석(611a)과 자석(612a)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의 하측 개소(즉, 상기 중간지점에서 아래쪽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자기센서(620a)는, 조작부재(100)의 X방향의 성분을 함유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자석(611a)이 접근되면, 자석(611a)의 자극에 따른 제1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조작부재(100)의 -X방향의 성분을 함유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자석(612a)이 접근되면, 자석(612a)의 자극에 따른 제2 출력신호(즉, 제1 출력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석(611a, 612a)의 자극(즉, N극이거나 S극)에 따라서 자기센서(620a)로부터 출력된 제1, 제2 출력신호가, 기판(9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제 2의 슬라이드검출부(600b)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100)의 Y 및 -Y방향의 성분을 함유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다. 이 제2 슬라이드검출부(600b)는, 자석(611b, 612b)(제3, 제4 자석)과, 자기센서(620b)(제2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다. 자석(611b, 612b)은 원기둥체로서, 높이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자석(611b, 612b)은, 제3 슬라이더(200c)의 Y 및 -X방향측의 플랜지(220c)에, -Y 및 Y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다. 자석(611b, 612b)은 서로 자극이 반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석(611b)은 N극을 아래쪽을 향해서, 자석(612b)은 S극을 아래쪽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자기센서(620b)로서는 자극판별타입의 홀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이 자기센서(620b)는,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판(900) 위에 있어서의 자석(611b)과 자석(612b)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의 하측 개소(즉, 상기 중간지점에서 아래쪽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자기센서(620b)는, 조작부재(100)의 Y방향의 성분을 함유한 이동에 따라서 자석(611b)이 접근되면, 상기 자석(611b)의 자극에 따른 제3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조작부재(100)의 -Y방향의 성분을 함유한 이동에 따라서 자석(612b)이 접근되면, 상기 자석(612b)의 자극에 따른 제4 출력신호(즉, 제3 출력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석(611b, 612b)의 자극(즉, N극이거나 S극)에 따라서 자기센서(620b)로부터 출력된 제3, 제4 출력신호가, 기판(9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압하검출부(700)는, 도 1(b)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100)의 -Z방향으로의 압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다. 이 압하검출부(700)는, 자석(710)(제5 자석)과, 자기센서(720)(제3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다. 자석(710)은 원기둥체로서, 높이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이 자석(710)은 제 2의 원점복귀기구(500b)의 러버(510b)의 가동부(512a) 내에 N극 또는 S극을 아래를 향해서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자석(710)은 가동부(512a)의 위치 변위에 따라서 -Z방향으로 이동한다. 자기센서(720)로서는 단극검출타입의 홀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이 자기센서(720)는,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판(900) 위에 있어서의 자석(710)의 하측 개소(즉, 자석(710)의 -Z방향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자기센서(720)가 자석(710)의 이동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제5 출력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제5 출력신호가, 기판(9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회전검출부(800)는, 도 1(b)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100)의 둘레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및 그 회전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다. 이 회전검출부(800)는, 자석(810)(제7 자석)과, 자기센서(820)(제4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다. 자석(810)은 링체로서,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자극이 번갈아 반대로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이 자석(810)은 회전체(300)의 날밑부(320)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석(810)은 회전체(300)의 회전에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한다. 자기센서(820)는, 단극검출타입 홀소자(821, 822)를 가지고 있다. 홀소자(821, 822)는,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판(900) 위에 있어서의 자석(810)의 회전궤도의 일부의 하측 개소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즉, 상기 회전궤도의 일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음). 자기센서(820)는, 회전하는 자석(810)의 자계의 변화를 홀소자(821, 822)로 각각 검출해서 조작부재(100)의 회전각도 및 회전량을 2상(相)의 제6, 제7 출력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6, 제7 출력신호가 기판(900)의 외부접속단자(910)를 개재해서 본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전자기기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입력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3 슬라이더(200c)의 플랜지(220c)에는, 자석(611a, 612a, 621a, 622a)이, 회전체(300)의 날밑부(320)에는 자석(810)이, 러버(510b)의 가동부(512b)에는 자석(710)이 미리 장착되어 있다. 또, 기판(900)에는, 자기센서(620a, 620b, 720, 820)가 미리 실장되어 있다.
우선, 조작부재(100)의 샤프트(110)의 본체부(111)를 고정부(120)의 가이드부(122) 내에 삽인한다. 한편, 회전체(300)를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둘레가장자리부분(250c) 위에 설치한다. 그 후, 회전체(300)의 원통부(310)에 러버(510b)를 삽입해서, 상기 원통부(310) 내의 재치부(311) 위에 재치한다. 그 후, 조작부재(100)의 샤프트(110)를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에 삽입하고, 상기 샤프트(110)의 연결부(112)를 회전체(300)의 원통부(310)에 덮는다. 이때, 연결부(112)의 십자 볼록부(112a)가 원통부(310)의 가이드오목부(312)에 삽입되어서, 러버(510b) 위에 재치된다. 이와 함께, 조작부재(100)의 걸림볼록부(123a)가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의 걸림오목부(211c)에 삽입되어서, 조작부재(100)의 고정부(120)의 플레이트(121)가 박스부(210c) 위에 설치된다. 그 후, 제2 슬라이더(200b)의 한 쌍의 암부(220b)의 사이에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를 삽입해서, 암부(220b)의 내부면을 플레이트(121) 및 박스부(210c)의 Y, -Y방향의 외부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의 긴구멍(211b)에 조작부재의 샤프트(110)의 본체부(111) 및 고정부(120)의 가이드부(122)를 삽입한다. 그러면,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가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위에 설치된다. 그 후, 제1 슬라이더(200a)의 한 쌍의 암부(220a)를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의 한 쌍의 삽입구멍(212b)에 삽입하고, 외암부(220a)의 사이에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및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를 삽입한다. 그러면, 암부(220a)의 내부면이 플레이트(121) 및 박스부(210c)의 X, -X방향의 외부면에 접촉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슬라이더(200a)의 슬라이드부(210a)의 긴구멍(211a)에 조작부재의 샤프트(110)의 본체부(111) 및 고정부(120)의 가이드부(122)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 슬라이더(200a)의 슬라이드부(210a)가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 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작부재(100), 제1, 제2, 제3 슬라이더(200a, 200b, 200c), 회전체(300) 및 러버(510b)가 조합된다.
그 후, 보디(410)를 기판(900) 위에 설치한다. 그 후, 조합된 조작부재(100), 제1, 제2, 제3 슬라이더(200a, 200b, 200c), 회전체(300) 및 러버(510b)를 보디(410)의 저판부의 돌기부 위에 설치한다. 이때, 제1 슬라이더(200a)의 슬라이드부(210a)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보디(410)의 측벽부(413, 414)의 가이드오목부(413a, 414a)에 삽입하고,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의 상향단차부(213b)를 보디(410)의 측벽부(411, 412)의 가이드오목부(411a, 412a)에 삽입한다. 그 후, 커버(420)를 보디(410)에 덮고, 상기 커버(420)의 걸림편(422)을 절곡해서 기판(900)의 하부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슬라이드부(210a)의 상기 양단부가 가이드오목부(413a, 414a)와 커버(420)의 천판부와의 사이에서 X 및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슬라이드부(210b)의 상향단차부(211b)가 가이드오목부(411a, 412a)와 커버(420)의 천판부와의 사이에서 Y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입력장치의 조작방법 및 이에 따르는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재(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위치로부터 -X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제1 슬라이더(200a)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X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는, 제2 슬라이더(200b)의 한 쌍의 암부(220b)의 사이를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런 연유로, 제2 슬라이더(200b)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슬라이더(200c)의 플랜지(220c)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검출부(600a)의 자석(611a, 612a)이 -X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석(612a)이 자기센서(620a)에 접근하여, 연직방향으로 대향하는 한편, 자석(611a)이 자기센서(620a)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그러면, 자기센서(620a)가 자석(612a)의 자극에 따른 제2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2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더(200a)의 -X방향측의 암부(220a)와 보디(410)의 측벽부(412)와의 사이에서 러버(510a)가 압축되고, 상기 러버(510a)의 지지부(513a)가 탄성 변형해서 굴곡되고, 가동부(512a)가 -X방향으로 위치 변위된다. 그 후, 조작부재(100)가 해방되면, 러버(510a)의 지지부(513a)가 복원되고, 가동부(512a)가 X방향으로 위치 변위된다. 이에 의해, 조작부재(100), 제1 슬라이더(200a)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X방향으로 이동해서,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로부터 X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조작부재(100)의 -X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 시와 같이, 제1 슬라이더(200a)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X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611a)이 자기센서(620a)에 접근해서, 연직방향으로 대향하는 한편, 자석(612a)이 자기센서(620a)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그러면, 자기센서(620a)가 자석(611a)의 자극에 따른 제1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1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이때, 조작부재(100)의 -X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 시와 같이, 러버(510a)가 압축된다. 그 후, 조작부재(100)가 해방되면, 러버(510a)의 복원에 의해 조작부재(100), 제1 슬라이더(200a)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X방향으로 이동해서,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부재(100)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위치로부터 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제2 슬라이더(200b)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Y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는, 제1 슬라이더(200a)의 한 쌍의 암부(220a)의 사이를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런 연유로, 제1 슬라이더(200a)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슬라이더(200c)의 플랜지(220c)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검출부(600b)의 자석(611b, 612b)이 Y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석(611b)이 자기센서(620b)에 접근해서, 연직방향으로 대향하는 한편, 자석(612b)이 자기센서(620b)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그러면, 자기센서(620b)가 자석(611b)의 자극에 따라서 제3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3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더(200b)의 Y방향측의 암부(220b)와 보디(410)의 측벽부(413)와의 사이에서 러버(510a)가 압축되고, 상기 러버(510a)의 지지부(513a)가 탄성 변형해서 굴곡되고, 가동부(512a)가 Y방향으로 위치 변위된다. 그 후, 조작부재(100)가 해방되면, 러버(510a)의 지지부(513a)가 복원되고, 가동부(512a)가 -Y방향으로 위치 변위된다. 이에 의해, 조작부재(100), 제1 슬라이더(200a)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Y방향으로 이동해서,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로부터 -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조작부재(100)의 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 시와 같이, 제2 슬라이더(200b)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Y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612b)이 자기센서(620b)에 접근해서, 연직방향으로 대향하는 한편, 자석(611b)이 자기센서(620b)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그러면, 자기센서(620b)가 자석(611b)의 자극에 따라서 제4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4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이때, 조작부재(100)의 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 시와 같이, 러버(510a)가 압축된다. 그 후, 조작부재(100)가 해방되면, 러버(510a)의 복원에 의해 조작부재(100), 제2 슬라이더(200b) 및 제3 슬라이더(200c)가 Y방향으로 이동해서,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부재(100)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위치로부터 -X방향과 Y방향과의 사이의 방향(-X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X방향 및 Y방향의 경도(傾倒)조작 시와 같이, 각 부가 동작하여, 자석(612a)이 자기센서(620a)에, 자석(611b)이 자기센서(620b)에 접근한다. 이에 의해, 자기센서(620a)가 자석(612a)의 자극에 따른 제2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자기센서(620b)가 자석(611b)의 자극에 따른 제3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 제3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로부터 X방향과 Y방향과의 사이의 방향(X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X방향 및 Y방향의 경도조작 시와 같이, 각 부가 동작하여, 자석(611a)이 자기센서(620a)에, 자석(611b)이 자기센서(620b)에 접근한다. 이에 의해, 자기센서(620a)가 자석(611a)의 자극에 따른 제1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자기센서(620b)가 자석(611b)의 자극에 따른 제3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제3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로부터 X방향과 -Y방향과의 사이의 방향(X-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X방향 및 -Y방향의 경도조작 시와 같이, 각 부가 동작하여, 자석(611a)이 자기센서(620a)에, 자석(612b)이 자기센서(620b)에 접근한다. 이에 의해, 자기센서(620a)가 자석(611a)의 자극에 따른 제1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자기센서(620b)가 자석(612b)의 자극에 따른 제4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제4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조작부재(100)가 원점위치로부터 -X방향과 -Y방향과의 사이의 방향(-X-Y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X방향 및 -Y방향의 경도조작 시와 같이, 각 부가 동작하여, 자석(612a)이 자기센서(620a)에, 자석(612b)이 자기센서(620b)에 접근한다. 이에 의해, 자기센서(620a)가 자석(612a)의 자극에 따른 제2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자기센서(620b)가 자석(612b)의 자극에 따른 제4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 제4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Y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검출된다.
조작부재(100)의 샤프트(110)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위치로부터 -Z방향으로 압하 조작되면, 샤프트(110)가 -Z방향으로 이동해서, 러버(510b)의 가동부(512b)를 -Z방향으로 밀어서 밑으로 내린다. 이에 의해, 러버(510b)의 지지부(513b)가 탄성 변형해서 굴곡된다. 이때, 가동부(512b)에 형성된 자석(710)이 자기센서(720)에 접근된다. 그러면, 자기센서(720)가 자석(710)의 이동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제5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5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Z방향으로의 압하 조작이 검출된다. 그 후, 조작부재(100)가 해방되면, 러버(510b)의 지지부(513b)가 복원되고, 가동부(512b)가 Z방향으로 위치 변위되고, 샤프트(110)를 원점위치로 밀어 올린다.
조작부재(100)의 샤프트(110)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 상기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체(300) 및 자석(810)이 회전된다. 그러면, 자기센서(820)의 홀소자(821, 822)가, 회전하는 자석(810)의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출해서 2상의 제6, 제7 출력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제6, 제7 출력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부는, 제6, 제7 출력신호 중 어느 것이 먼저 입력됐는지의 여부에 의해 샤프트(110)의 회전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제6, 제7 출력신호의 펄스수로 샤프트(110)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자기센서(620a)가 조작부재(100)의 X, -X방향의 성분을 함유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자석(611a, 612a)의 자극에 따른 제1, 제2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자기센서(620b)가 조작부재(100)의 Y, -Y방향의 성분을 함유한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자석(611b, 612b)의 자극에 따른 제3, 제4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2개의 자기센서(620a, 620b)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X, -X, Y, -Y, XY, -X-Y, X-Y, -XY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100)의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서 4개의 자기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자기센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조작부재(100)의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자석(611a, 612a, 611b, 612b) 및 자기센서(620a, 620b)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압하 이동을 자석(710) 및 자기센서(720)에 의해, 조작부재(10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자석(810) 및 자기센서(820)에 의해 검출하게 되어 있다. 즉, 자석(611a, 612a, 611b, 612b, 710, 810)(가동부)과 자기센서(620a, 620b, 720, 820)(검출부)가 비접촉이기 때문에, 양자의 전기접속이 불필요하고 또한 양자의 접촉불량 등에 의한 신뢰성의 열화 등이 생기지도 않는다. 이런 연유로, 자기센서(620a, 620b, 720, 820)를 한 장의 기판(900) 위에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의 부품점수의 저감 및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상기 입력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 위에,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 및 제1 슬라이더(200a)의 슬라이드부(210a)가 이 순서로 적층되는 동시에, 제2 슬라이더(200b)의 한 쌍의 암부(220b)가 박스부(210c) 및 플레이트(121)의 Y, -Y방향측의 외부면에, 제1 슬라이더(200a)의 한 쌍의 암부(220a)가 박스부(210c) 및 플레이트(121)의 X, -X방향측의 외부면에 각각 접촉시키기만 해도, 조작부재(100), 제1, 제2 및 제3 슬라이더(200a, 200b, 200c)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100), 제1, 제2 및 제3 슬라이더(200a, 200b, 200c)의 조합이 간단해지며, 이 점에서도 상기 입력장치의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 내에 샤프트(110)의 하단부, 회전체(300) 및 러버(510b)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Z 및 -Z방향으로 병렬된 경우에 비해서 장치고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제 2의 슬라이드검출부(600a, 600b), 압하검출부(700) 및 회전검출부(800)가 각각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제 2의 슬라이드검출부(600a, 600b), 압하검출부(700) 및 회전검출부(800)의 자석 및 자기센서의 각 치수, 위치나 자기센서의 감도조절을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러버(510a)가 X, -X, Y, -Y의 4방향으로부터 제1, 제2 슬라이더(200a, 200b)를 개재해서 조작부재(100)를 부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러버(510a)를 교환함으로써, 조작부재(100)의 슬라이드 조작의 조작력이나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러버(510a) 중 일부를 다른 러버(510a)와 부세력이 다른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조작부재(100)의 소정의 슬라이드방향의 조작감과 다른 슬라이드방향의 조작감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입력장치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의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입력장치는, 조작부재(100)를 8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다고 설명했지만, 적어도 조작부재를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00)를 X 및 -X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입력장치는, 조작부재(100)와, 제 1의 슬라이드검출부(600a)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물론, 조작부재(100)를 Y 및 -Y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부재를 -Z방향으로의 압하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 및 압하검출부(70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작부재를 둘레방향으로의 회전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 및 회전검출부(800)에 대해서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재(100)의 조작방향을 한정하는 경우에는, 커버(420)의 개구부(421)에 조작부재(100)의 조작방향으로 연신하는 홈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00)가 4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커버(420)의 개구부(421)를 평면에서 보면 십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석(611a, 612a, 611b, 612b)은, 제3 슬라이더(200c)의 플랜지(220c)에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자석(611a, 612a)을 제1 슬라이더(200a)에, 자석(611b, 612b)을 제2 슬라이더(200b)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3 슬라이더(200c)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자석(611a, 612a, 611b, 612b)을 조작부재(100)의 X, -X, Y, -Y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제2, 제3 슬라이더(200a, 200b, 200c)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자석(710, 810)도 조작부재(10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체(30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자석(810)은, 링체라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자석(810')(제6 자석)을 링형상으로 또한 인접하는 자석(810')의 자기센서(820')측의 자극이 반대로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상기 자기센서(620a, 620b)에 대해서는, 극성판별타입의 홀소자를 이용한다고 설명했지만, 자석(611a, 612a, 611b, 612b)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기센서(620a, 620b)로서 플럭스ㆍ게이트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자기센서(720)에 대해서도, 홀소자를 이용한다고 설명했지만, 자석(710)의 이동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기저항효과소자(MR소자), 자기저항효과 IC(MRIC) 등이어도 된다. 자기센서(820)는, 홀소자(821, 822)를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샤프트(110)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여, 상기 샤프트(110)의 회전량만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1개의 홀소자로 충분하다. 이 경우, 자기저항효과소자(MR소자), 자기저항효과 IC(MRIC) 등으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기센서(620a, 620b, 720, 820)는 기판(900) 위에 실장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센서(620a)는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어떠한 개소에 배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자기센서(620b)도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4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어떠한 개소에 배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자기센서(620a, 620b)는 보디(410)의 측벽부(412, 414)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기센서(720)도, 제5 자석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어떠한 개소에 배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자기센서(720)는 러버(510b)의 베이스부(511b)나 제3 슬라이더(200c)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자기센서(820, 820')는, 제6, 제7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 어떠한 개소에 배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자기센서(820)는, 제3 슬라이더(20Oc)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슬라이더(200a)는, 한 쌍의 암부(220a)가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 및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의 X, -X방향의 외부면에 접촉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박스부(210c) 및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의 Y, -Y방향의 외부면에 접촉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 슬라이더(200b)는, 한 쌍의 암부(220b)가 제3 슬라이더(200c)의 박스부(210c) 및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의 Y, -Y방향의 외부면에 접촉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박스부(210c) 및 조작부재(100)의 플레이트(121)의 X, -X방향의 외부면에 접촉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암부(220a)는, 제2 슬라이더(200b)의 삽입구멍(212b)을 관통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슬라이더(200b)의 슬라이드부(210b)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 암부(220a)를 삽입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 제1 슬라이더(200a)를 폭 넓게 해서, 제2 슬라이더(200b)의 이동 범위 외에 암부(220a)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러버(510a, 510b)는, 코일 스프링, 반전 스프링 등의 주지된 부세수단에 의해 대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러버(510a)는, 암부(220a, 220b)와 측벽부(411, 412, 413, 414)와의 사이에 개재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러버(510a) 등의 상기 부세수단을 암부(220a, 220b)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3 슬라이더와 측벽부(411, 412, 413, 414)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슬라이더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러버(510a) 등의 상기 부세수단을 조작부재(100)와 측벽부(411, 412, 413, 414)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러버(510b)는, 샤프트(110)와 회전체(300)와의 사이에 개재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샤프트(110)와 제3 슬라이더(200c) 또는 기판(900)과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의 각 부의 형상, 위치 및 수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버(420)의 개구부(421)의 중심과 샤프트(110)의 본체부(111)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가 원점위치라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조작부재 121: 플레이트
200a: 제1 슬라이더 210a: 슬라이드부
220a: 암부 200b: 제2 슬라이더
210b: 슬라이드부 220b: 암부
200c: 제3 슬라이더 210c: 박스부
300: 회전체 400: 케이스
410: 보디 420: 커버
500a: 제1 원점복귀기구
510a: 러버(제1, 제2, 제3, 제4 부세수단)
511a: 베이스부 512a: 가동부
513a: 지지부 500b: 제2 원점복귀기구
510b: 러버(제5 부세수단) 511b: 베이스부
512b: 가동부 513b: 지지부
600a: 제1 슬라이드검출부 611a: 자석(제1 자석)
612a: 자석(제2 자석) 620a: 자기센서(제1 자기센서)
600b: 제2 슬라이드검출부 611b: 자석(제3 자석)
612b: 자석(제4 자석) 620b: 자기센서(제2 자기센서)
700: 압하검출부 710: 자석(제5 자석)
720: 자기센서(제3 자기센서) 800: 회전검출부
810: 자석(제7 자석) 820: 자기센서(제4 자기센서)
810': 자석(제6 자석) 820': 자기센서(제4 자기센서)
900: 기판

Claims (20)

  1. 소정의 원점위치로부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와,
    조작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한 쌍의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자석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자기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자기센서측의 자극(磁極)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소정의 원점위치로부터 적어도 X, -X, Y 및 -Y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1, 제2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3, 제4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자기센서와,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4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기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1, 제2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3, 제4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측에 배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부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부와 상기 조작부재와의 사이에 각각 개재해서, 상기 조작부재를 원점위치로 부세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소정의 원점위치로부터 적어도 X, -X, Y 및 -Y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가 관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과 함께, X, -X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조작부재가 관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과 함께, Y, -Y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X 및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1, 제2 자석과,
    상기 제2 슬라이더에 Y 및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고 또한 서로 자극이 반대인 제3, 제4 자석과,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자기센서와,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3 자석과 상기 제4 자석과의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기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X, -X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1, 제2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센서는, 상기 조작부재의 Y, -Y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기 제3, 제4 자석의 자극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에 Y,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더에 X,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제3 슬라이더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X, -X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X, -X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2 슬라이더의 Y, -Y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Y, -Y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자석은,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아니고, 상기 제3 슬라이더에 X 및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제4 자석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아니고, 상기 제3 슬라이더에 Y 및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X, -X, Y 및 -Y방향측에 배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 부세수단과,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1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 부세수단과,
    상기 제3 측벽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Y방향으로 부세하는 제3 부세수단과,
    상기 제4 측벽부와 상기 제2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Y방향으로 부세하는 제4 부세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부세수단은, 베이스부와, 가동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부터 X, -X, Y 및 -Y방향으로 직교하는 -Z방향으로 압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를 Z방향으로 부세하는 제5 부세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의 단부 또는 제5 부세수단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Z방향으로 이동하는 제5 자석과,
    상기 제5 자석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5 자석의 -Z방향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부세수단은, 베이스부와, 가동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에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환상으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복수의 제6 자석과,
    상기 제6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6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입력장치.
  11.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착자(着滋)된 링체로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제7 자석과,
    상기 제7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7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입력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과 함께 상기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6 자석 또는 제7 자석이 상기 조작부재가 아니고, 상기 회전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슬라이더는 각기둥형상의 박스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박스부 위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박스부와 외형이 거의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 위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암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부 위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암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기 암부가 상기 박스부 및 플레이트의 Y, -Y 또는 X, -X방향측의 외부면에,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기 암부가 상기 박스부 및 플레이트의 X, -X 또는 Y, -Y방향측의 외부면에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원점위치로부터 X, -X, Y 및 -Y방향으로 직교하는 -Z방향으로 압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를 Z방향으로 부세하는 제5 부세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의 단부 또는 제5 부세수단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Z방향으로 이동하는 제5 자석과,
    상기 제5 자석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5 자석의 -Z방향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부세수단은, 베이스부와, 가동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위치 변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환상으로 또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배치 형성된 복수의 제6 자석과,
    상기 제6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6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및 회전체는,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착자된 링형상의 제7 자석과,
    상기 제7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7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및 회전체는,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환상으로 또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배치 형성된 복수의 제6 자석과,
    상기 제6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6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5 부세수단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제5 부세수단 및 회전체는,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자극이 번갈아 교체하도록 착자된 링형상의 제7 자석과,
    상기 제7 자석의 회전궤도의 일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7 자석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자기센서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5 부세수단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Z방향측의 단부, 제5 부세수단 및 회전체는,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박스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0. 제10항 또는 제11항 및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Z방향측에 배치된 기판을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판 위에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자기센서가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KR1020100118572A 2010-01-15 2010-11-26 입력장치 KR20110084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7281 2010-01-15
JP2010007281A JP5385165B2 (ja) 2010-01-15 2010-01-15 入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90A true KR20110084090A (ko) 2011-07-21

Family

ID=4397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72A KR20110084090A (ko) 2010-01-15 2010-11-26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44834B2 (ko)
EP (1) EP2360556A3 (ko)
JP (1) JP5385165B2 (ko)
KR (1) KR20110084090A (ko)
CN (1) CN102129305A (ko)
TW (1) TW201135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83B1 (ko) *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7759B2 (en) 2009-09-30 2013-07-16 Apple Inc. Self adapting haptic device
US10013058B2 (en) 2010-09-21 2018-07-03 Apple Inc. Touch-based user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US10120446B2 (en) 2010-11-19 2018-11-06 Apple Inc. Haptic input device
EP2671129B1 (en) * 2010-12-02 2016-03-09 SeeScan, Inc. Magnetically sensed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devices
EP3306449B1 (en) * 2011-03-04 2022-03-09 Apple Inc. Linear vibrator providing localized and generalized haptic feedback
US9218727B2 (en) 2011-05-12 2015-12-22 Apple Inc. Vibration in portable devices
US9710061B2 (en) 2011-06-17 2017-07-18 Apple Inc. Haptic feedback device
DE102012001997B4 (de) * 2012-02-03 2023-02-09 Tdk-Micronas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S9178509B2 (en) 2012-09-28 2015-11-03 Apple Inc. Ultra low travel keyboard
CN104167322B (zh) * 2013-05-16 2016-06-08 巍世科技有限公司 摇杆结构
US9652040B2 (en) 2013-08-08 2017-05-16 Apple Inc. Sculpted waveforms with no or reduced unforced response
US9779592B1 (en) 2013-09-26 2017-10-03 Apple Inc. Geared haptic feedback element
CN105579928A (zh) 2013-09-27 2016-05-11 苹果公司 具有触觉致动器的带体
WO2015047343A1 (en) 2013-09-27 2015-04-02 Honessa Development Laboratories Llc Polarized magnetic actuators for haptic response
WO2015047364A1 (en) 2013-09-29 2015-04-02 Pearl Capital Development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haptic effects
WO2015047372A1 (en) 2013-09-30 2015-04-02 Pearl Capital Developments Llc Magnetic actuators for haptic response
US9317118B2 (en) 2013-10-22 2016-04-19 Apple Inc. Touch surface for simulating materials
WO2015088491A1 (en) 2013-12-10 2015-06-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Band attachment mechanism with haptic response
US9501912B1 (en) 2014-01-27 2016-11-22 Apple Inc. Haptic feedback device with a rotating mass of variable eccentricity
US9396629B1 (en) 2014-02-21 2016-07-19 Apple Inc. Haptic modules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vertical and horizontal mass movements
US9594429B2 (en) 2014-03-27 2017-03-14 Apple Inc. Adjusting the level of acoustic and haptic output in haptic devices
DE112014006608B4 (de) 2014-04-21 2024-01-25 Apple Inc. Verfahren, Systeme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en zum Bestimmen der Kräfteaufteilung für Multi-Touch-Eingabevorrichtungen elektronischer Vorrichtungen
US10133351B2 (en) 2014-05-21 2018-11-20 Apple Inc. Providing haptic output based on a determined orien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DE102015209639A1 (de) 2014-06-03 2015-12-03 Apple Inc. Linearer Aktuator
JP6394099B2 (ja) * 2014-06-18 2018-09-26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ユニット
CN106461743B (zh) * 2014-06-24 2020-05-12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装置控制的磁控制器
US9886090B2 (en) 2014-07-08 2018-02-06 Apple Inc. Haptic notifications utilizing haptic input devices
JP6344852B2 (ja) * 2014-08-28 2018-06-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2017532648A (ja) 2014-09-02 2017-11-0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触覚通知
US10073488B2 (en) 2014-09-11 2018-09-11 Grayhill, Inc. Multifunction joystick apparatus and a method for using same
US20160172136A1 (en) * 2014-09-22 2016-06-16 Polara Engineering, Inc. Hall effect pushbutton switch
US10353467B2 (en) 2015-03-06 2019-07-16 Apple Inc. Calibration of haptic devices
AU2016100399B4 (en) 2015-04-17 2017-02-02 Apple Inc.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707826B1 (ko) * 2015-06-01 2017-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 장치, 스티어링 휠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US20170024010A1 (en) 2015-07-21 2017-01-26 Apple Inc. Guidance device for the sensory impaired
US10566888B2 (en) 2015-09-08 2020-02-18 Apple Inc. Linear actuato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10039080B2 (en) 2016-03-04 2018-07-31 Apple Inc. Situationally-aware alerts
US10772394B1 (en) 2016-03-08 2020-09-15 Apple Inc. Tactile output for wearable device
US10268272B2 (en) 2016-03-31 2019-04-23 Apple Inc. Dampening mechanical modes of a haptic actuator using a delay
US10585480B1 (en) 2016-05-10 2020-03-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 input device having a haptic engine
US9829981B1 (en) 2016-05-26 2017-11-28 Apple Inc. Haptic output device
US10649529B1 (en) 2016-06-28 2020-05-12 Apple Inc. Modification of user-perceived feedback of an input device using acoustic or haptic output
US10845878B1 (en) 2016-07-25 2020-11-24 Apple Inc. Input device with tactile feedback
US10372214B1 (en) 2016-09-07 2019-08-06 Apple Inc. Adaptable user-selectable input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US9898033B1 (en) * 2016-12-08 2018-02-20 Kitty Hawk Corporation Magnetic spring inceptor
US10437359B1 (en) 2017-02-28 2019-10-08 Apple Inc. Stylus with external magnetic influence
DE102017115849B4 (de) * 2017-07-14 2019-02-14 Grammer Aktiengesellschaft Manuell bedienbare Steuereinrichtung
US10622538B2 (en) 2017-07-18 2020-04-14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US10775889B1 (en) 2017-07-21 2020-09-15 Apple Inc. Enclosure with locally-flexible regions
US10768747B2 (en) 2017-08-31 2020-09-08 Apple Inc. Haptic realignment cues for touch-input displays
US11054932B2 (en) 2017-09-06 2021-07-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force sensor, and haptic actuator in an integrated module
US10556252B2 (en) 2017-09-20 2020-02-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tuned resonance haptic actuation system
US10768738B1 (en) 2017-09-27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ptic actuator with magnetic augmentation
US10847330B2 (en) 2017-10-06 2020-11-24 Grayhill, Inc. No/low-wear bearing arrangement for a knob system
WO2019136075A1 (en) 2018-01-03 2019-07-11 Grayhill, Inc. Touch encoder, touch panel, and input method editor with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and methods thereof
JP7036372B2 (ja) * 2018-01-19 2022-03-15 朝日電装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CN108762368A (zh) * 2018-03-27 2018-11-06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旋钮、人机交互开关及人机交互开关的控制方法
TWI669740B (zh) * 2018-06-08 2019-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旋鈕裝置
TWI672617B (zh) * 2018-06-27 2019-09-21 宏碁股份有限公司 旋鈕裝置
US10942571B2 (en) 2018-06-29 2021-03-09 Apple Inc.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US10936071B2 (en) 2018-08-30 2021-03-02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ptic rotatable input
US10613678B1 (en) 2018-09-17 2020-04-07 Apple Inc. Input device with haptic feedback
US10966007B1 (en) 2018-09-25 2021-03-30 Apple Inc. Haptic output system
US10599223B1 (en) 2018-09-28 2020-03-24 Apple Inc. Button providing force sensing and/or haptic output
US10691211B2 (en) 2018-09-28 2020-06-23 Apple Inc. Button providing force sensing and/or haptic output
US11380470B2 (en) 2019-09-24 2022-07-05 Apple Inc. Methods to control force in reluctance actuators based on flux related parameters
WO2021155941A1 (en) * 2020-02-07 2021-08-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agnetic 3d controller with selection function for mobile handset
US11024135B1 (en) 2020-06-17 2021-06-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ptic button assembly
CN112874452A (zh) * 2021-03-01 2021-06-01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辆旋钮开关、车辆旋钮开关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11977683B2 (en) 2021-03-12 2024-05-07 Apple Inc. Modular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localized haptic feedback using inertial actuators
US11809631B2 (en) 2021-09-21 2023-11-07 Apple Inc. Reluctance haptic engine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578A (en) * 1983-01-13 1984-07-10 Atari, Inc. Finger control joystick utilizing Hall effect
US4458226A (en) * 1983-01-28 1984-07-03 Matahari International Corp. Non-contact direction controller
US4723458A (en) * 1986-08-29 1988-02-09 N.V. Industrie-En Handelmaatschappi Control mechanism
JP3137000B2 (ja) * 1996-07-05 2001-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起電式スイッチ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6501458B2 (en) * 1999-06-30 2002-12-31 Caterpillar Inc Magnetically coupled input device
JP2001135196A (ja) * 1999-11-02 2001-05-18 Hosiden Corp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DE60128308T2 (de) * 2000-10-31 2008-01-10 Hosiden Corp., Yao Schiebeschalter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JP4308559B2 (ja) 2003-03-20 2009-08-05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入力キーパッド及びスライド入力スイッチ
JP2006286328A (ja) * 2005-03-31 2006-10-19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617216B2 (ja) * 2005-08-05 2011-01-19 ナイルス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6209802A (ja) * 2006-04-12 2006-08-10 Kiichiro Kurokawa ハンド型コントローラ
JP2008052375A (ja) * 2006-08-22 2008-03-06 Fujitsu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7994886B2 (en) * 2007-05-17 2011-08-09 Korry Electronics Co. Fault tolerant solid state push button control system with built in diagnostic
JP4998171B2 (ja) * 2007-09-21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5237748B2 (ja) * 2008-10-14 2013-07-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位置検知用磁石及び位置検知装置
TWM372999U (en) * 2009-06-10 2010-01-21 Speedtech Corp Structure of low profile multi-directional ke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83B1 (ko) *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75692A1 (en) 2011-07-21
JP2011146305A (ja) 2011-07-28
EP2360556A3 (en) 2013-06-26
US8344834B2 (en) 2013-01-01
JP5385165B2 (ja) 2014-01-08
TW201135785A (en) 2011-10-16
CN102129305A (zh) 2011-07-20
EP2360556A2 (en)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4090A (ko) 입력장치
US8143981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US9318280B2 (en) Contactless switch
US9494966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5394315B2 (ja) 多方向入力装置
CN113992196B (zh) 按键及键盘
EP3067663A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JP2019525207A (ja) 2つの誘導性センサーによって作動を検出する回転型制御ステムを有する携行可能な物
JP2011118796A (ja) 入力装置
US11150109B2 (en)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CN109218578A (zh) 相机模块
JP4684217B2 (ja) 多方向入力装置
EP1003040B1 (en) Rotation sensor
JP2010030406A (ja) シフトポジションセンサ
US11755169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EP2407860A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1752138B (zh) 多方向输入装置
JP2010073481A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CN111721327A (zh) 磁场发生组件、位置检测装置及磁场发生组件的制造方法
JP2014115747A (ja) ジョイスティック
US20150024809A1 (en) Sliding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632375B1 (ko) 센서 시프팅 액추에이터
JP4826606B2 (ja) シフトポジションセンサ
JP4475798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9009805A (ja) 非接触式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