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355A - 위상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355A
KR20110078355A KR1020090135143A KR20090135143A KR20110078355A KR 20110078355 A KR20110078355 A KR 20110078355A KR 1020090135143 A KR1020090135143 A KR 1020090135143A KR 20090135143 A KR20090135143 A KR 20090135143A KR 20110078355 A KR20110078355 A KR 2011007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signal
phase detector
analog
latch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141B1 (ko
Inventor
정성욱
류경호
정동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1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 장치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존하여 출력하는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감지 장치는 듀티 사이클에 무관하며 넓은 위상 감지 범위를 갖는다.

Description

위상 검출 장치 {PHASE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위상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디램(DRAM), 에스디램(SRAM)과 같은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디램(DRAM), 에스디램(SRAM)과 같은 메모리 장치는 지연 동기 루프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연 동기 루프는 일반적으로 위상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연 동기 루프(DLL, Delayed Locked Loop)는 시스템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된 출력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이다. 위상 검출 장치는 두 개의 입력 클럭 신호의 위상 차를 비교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지연 동기 루프에 사용되는 위상 검출 장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무관하게 위상 감지 범위(phase capture range)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지연 동기 루프에 사용되는 위상 검출 장치는 넓은 위상 감지 범위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디지털 지연 동기 루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위상 검출 장치는 좁은 위상 감지 범위를 가지며, 듀티 사이클에 따라 위상 감지 범위가 변하 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듀티 사이클에 무관며, 넓은 위상 감지 범위를 갖는 위상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 장치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존하여 출력하는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는 제 1 및 제 2 클럭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제 3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2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제 4 클럭 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는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를 논리 로우로 천이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의 선후에 기초하여, 제 5 및 제 6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가 상기 제 4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보다 선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 6 클럭 신호는 논리 하이이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5 클럭 신호는 논리 로우이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가 상기 제 4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보다 선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 5 클럭 신호는 논리 하이이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6 클럭 신호는 논리 로우이다.
실시 예로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6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5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4 스위치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실시 예로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제 3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프리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5 스위치 및 상기 제 4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프리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6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5 및 제 6 스위치는 PMOS 트랜지스터이다.
실시 예로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의 디코딩 동작이 완료된 후에 디코딩 완료 신호를 발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 제 4 클럭 신호 및 상기 디코딩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5 및 제 6 클럭 신호는 리셋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4 클럭 신호가 논리 로우이고 상기 디코딩 완료 신호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상기 제 5 및 제 6 클럭 신호는 각각 논리 하이로 천이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 장치는 듀티 사이클에 무관하며 넓은 위상 감지 범위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연 동기 루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연 동기 루프(100)는 위상 검출부(110), 업/다운 카운터부(120) 및 지연 라인부(130)를 포함한다.
위상 검출부(110)는 외부로부터 기준 클럭 신호(CLK_ref)를 인가받는다. 위상 검출부(110)는 지연 라인부(130)로부터 출력 클럭 신호(CLK_out)를 인가받는다. 위상 검출부(110)는 인가받은 기준 클럭 신호(CLK_ref)와 출력 클럭 신호(CLK_out)의 위상 차를 검출하여 업 신호(UP), 홀드 신호(HOLD) 또는 다운 신호(DN)를 발생한다. 이 경우, 출력 클럭 신호(CLK_out)는 피드 백 루프(feed back loop)에 의하여 지연 라인부(130)로부터 위상 검출부(110)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위상 검출부(110)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analog phase detector)와 래치 회로(latch)를 포함한다. 아날로 그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부(110)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무관한 넓은 위상 감지 범위(phase capture range)를 갖는다. 또한, 래치 회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부(110)는 셋-업 시간(set-up time) 및 홀드 시간(hold-time)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부(110)는 이하의 도 2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업/다운 카운터부(120)는 위상 검출부(110)로부터 업 신호(UP), 홀드 신호(HOLD) 또는 다운 신호(DN)를 인가받는다. 업/다운 카운터부(120)는 인가받은 업 신호(UP), 홀드 신호(HOLD) 또는 다운 신호(DN)에 대한 카운팅을 통하여 지연 라인부(130)에 인가될 제어 신호(CTRL)를 발생한다.
지연 라인부(130)는 위상 업/다운 카운터부(120)로부터 제어 신호(CTRL)를 인가받는다. 지연 라인부(130)는 외부로부터 기준 클럭 신호(CLK_ref)를 인가받는다. 지연 라인부(130)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기준 클럭 신호(CLK_ref)를 지연시켜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지연 동기 루프(100)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보정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연 동기 루프(100)는 기준 클럭 신호(CLK_ref)에 비하야 90°, 180°, 270°, 360° 지연된 다중 위상을 갖는 출력 클럭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상 검출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위상 검출부(110)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 래치 회로(112), 디코더(113) 및 프리차지 회로(114)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외부로부터 기준 클럭 신호(CLK_ref)를 인가받는다.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외부로부터 출력 클럭 신호(CLK_out)를 인가받는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지연 라인부(13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 클럭 신호(CLK_out)를 인가받는다.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기준 클럭 신호(CLK_ref)와 출력 클럭 신호(CLK_out)의 위상 차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기준 클럭 신호(CLK_ref)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업 신호(AN_UP)를 발생한다.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출력 클럭 신호(CLK_out)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를 발생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기준 클럭 신호(CLK_ref)가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되는 경우,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기준 클럭 신호(CLK_ref)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된 아날로그 업 신호(AN_UP)를 발생한다. 또한, 출력 클럭 신호(CLK_out)가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되는 경우,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출력 클럭 신호(CLK_out)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된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를 발생한다.
한편, 기준 클럭 신호(CLK_ref)와 출력 클럭 신호(CLK_out)가 모두 논리 하이(high)인 경우,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는 모두 논리 로우(low)로 리셋(reset)된다.
래치 회로(112)는 제 1 내지 제 4 NMOS 트랜지스터들(MN1~MN4) 및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들(MP1, MP2)을 포함한다. 래치 회로(112)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로부터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를 전달받는다. 래치 회로(112)는 프리차지 회로(114)로부터 프리차지 신호(PRE)를 전달받는다. 래치 회로(112)는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및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의 상승 에지(rising edge)의 선후에 따라, 제 1 신호(out1) 및 제 2 신호(out2)를 발생한다.
이 경우, 래치 회로(112)는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및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의 위상 차에 대한 데이터를 디코더(113)에서 디코딩 동작이 완료될때까지 보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의 상승 에지(rising edge)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에 선행하는 경우, 제 1 신호(out1)는 논리 로우(low)를 갖고, 제 2 신호(out2)는 논리 하이(high)를 갖는다. 반대로,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의 상승 에지(rising edge)가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선행하는 경우, 제 1 신호(out1)는 논리 하이(high)를 갖고, 제 2 신호(out2)는 논리 로우(low)를 갖는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신호(out1, out2)의 논리 값은 디코더(113)의 디코딩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디코더(113)는 래치 회로(112)로부터 제 1 신호(out1) 및 제 2 신호(out2)를 인가받는다. 디코더(113)는 제 1 신호(out1) 및 제 2 신호(out2)를 디코딩하여 업 신호(UP), 홀드 신호(HOLD) 또는 다운 신호(DN)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out1)가 논리 로우(low)이며 제 2 신호(out2)가 논리 하이(high)인 경우, 디코더(113)는 업 신호(UP)를 출력한다. 제 1 신호(out1)가 논리 하이(high)이며 제 2 신호(out2)가 논리 로우(low)인 경우, 디코더(113)는 다운 신호(DN)를 출력한다. 제 1 신호(out1) 및 제 2 신호(out2)가 모두 논리 하이(high)인 경우, 디코더(113)는 홀드 신호(HOLD)를 발생한다. 이는 이하의 표 1로 간략히 정리될 수 있다.
out1 out2 UP/DN/HOLD
0 1 UP
1 0 DN
1 1 HOLD
한편, 디코딩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디코더(113)는 디코딩 완료 신호(DCFN)를 프리차지 회로(114)에 전달한다.
프리차지 회로(114)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로부터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및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를 전달받는다. 프리차지 회로(114)는 디코더(113)로부터 디코딩 완료 신호(DCFN)를 전달받는다. 프리차지 회로(114)는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 및 디코딩 완료 신호(DCFN)를 기초로 프리차지 신호(PRE)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및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가 논리 로우(low)이며 디코딩 완료 신호(DCDF)가 논리 하이(high)인 경우에, 프리차지 회로(114)는 프리차지 신호(PRE)를 논리 하이(high)에서 논리 로우(low)로 천이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위상 검출부(110)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위상 검출부(110)는 넓은 위상 감지 범위(phase capture range)를 갖는다. 예를 들어, 위상 검출부(110)는 -2π~2π의 위상 감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상 검출부(110)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무관하게 동일한 위상 감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위상 검출부(110)는 래치 회로(112)를 포함한다. 래치 회로(112)의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N1, MN2)의 문턱 전압과 프리차지 전압(Vdd)의 전압 차가 작은 경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N1, MN2)는 제 1 및 제 2 신호(out1, out2)의 전압 레벨이 조금만 떨어져도 쉽게 턴 오프(turn off) 된다. 이는 위상 검출부(110)가 작은 셋-업 시간(set-up time)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래치 회로(112)는 차동 래치(differential latch) 구조이기 때문에, 홀드 시간(hold time)이 없다. 이는 위상 검출부(110)가 작은 위상 차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30nm 공정에서, 위상 검출부(110)는, 최악의 경우(worst case simulation)에도, 6ps의 위상 차를 감지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3에서는 위상 검출부(110)가 업 신호(UP)를 발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초기상태에서 A노드 및 B노드는 각각 프리차지 전압(Vdd)으로 프리차지된 상태라고 가정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클럭 신호(CLK_ref)가 출력 클럭 신호(CLK_out)에 선행하여,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업 신호(AN_UP)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보다 선행하여,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된다.
아날로그 업 신호(AN_UP)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보다 선행하여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되기 때문에, 래치 회로(112)의 제 3 NMOS 트랜지스터(MN3)가 제 4 NMOS 트랜지스터(MN4)보다 먼저 턴 온(turn on) 된다. 따라서, A노드에 프리차지된 전압(Vdd)은 방전(discharge)되고, 결국 제 1 신호(out1)는 논리 하이(high)에서 논리 로우(low)로 천이된다.
또한, 이 경우에 A노드에 프리차지된 전압(Vdd)이 방전(discharge)되기 때문에, 제 2 NMOS 트랜지스터(MN2)는 턴 오프(turn off)된다. 따라서, 제 2 신호(out2)는 논리 하이(high)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코더(113)는 제 1 신호(out1) 및 제 2 신호(out2)를 인가받아 디코딩 동작(decoding operation)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 1 신호(out1)는 논리 로우(low)이고 제 2 신호(out2)는 논리 하이(high)이기 때문에, 디코더(113)는 업 신호(UP)를 발생한다. 따라서, 위상 검출부(110)는 기준 클럭 신호(CLK_ref)가 출력 클럭 신호(CLK_out)보다 선행하여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되는 경우에, 업 신호(UP)를 발생한다.
한편, 디코딩 동작이 완료되면, 디코딩 완료 신호(DCFN)는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된다. 디코딩 완료 신호(DCFN)가 논리 하이(high)이며, 동시에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및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가 논리 로우(low)인 경우에, 프리차지 신호(PRE)는 논리 하이(high)에서 논리 로우(low)로 천이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P1, MP2)는 턴 온(turn on)되고, A노드 및 B노드는 프리차지 전압(Vdd)으로 프리차지된다.
이 후, 기준 클럭 신호(CLK_ref)가 출력 클럭 신호(CLK_out)보다 선행하여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되는 경우, 상술한 동작이 반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에서는 위상 검출부(110)가 다운 신호(DN)를 발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클럭 신호(CLK_out)가 기준 클럭 신호(CLK_ref)에 선행하여,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가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에 선행하여,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된다.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가 아날로그 업 신호(AN_UP)보다 선행하여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되기 때문에, 래치 회로(112)의 제 4 NMOS 트랜지스터(MN4)가 제 3 NMOS 트랜지스터(MN3)보다 먼저 턴 온(turn on) 된다. 따라서, B노드에 프리차지된 전압(Vdd)은 방전(discharge)되고, 결국 제 2 신호(out2)는 논리 하이(high)에서 논리 로우(low)로 천이된다.
또한, 이 경우에 B노드에 프리차지된 전압(Vdd)이 방전(discharge)되기 때문에, 제 1 NMOS 트랜지스터(MN1)는 턴 오프(turn off)된다. 따라서, 제 1 신호(out1)는 논리 하이(high)를 유지한다. 결국, 제 1 신호(out1)는 논리 하이(high)이고, 제 2 신호(out2)는 논리 로우(low)이기 때문에, 디코더(113)는 다운 신호(DN)를 발생한다.
한편, 디코딩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은 도 3에서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5에서는 위상 검출부(110)가 계속해서 홀드 신호(HOLD)를발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다시 말하면, 기준 클럭 신호(CLK_ref)와 출력 클럭 신호(CLK_out)가 락(Lock)된 경우가 설명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클럭 신호(CLK_ref)와 출력 클럭 신호(CLK_out)의 상승 에지(rising edge)는 동기되어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는 거의 동시에 논리 로우(low)에서 논리 하이(high)로 천이된다.
이 경우,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가 모두 논리 하이(high)이므로, 아날로그 위상 검출기(111)는 아날로그 업 신호(AN_UP)와 아날로그 다운 신호(AN_DN)를 논리 로우(low)로 리셋(reset)한다. 즉,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신호와 아날로그 다운(AN_DN) 신호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논리 하이(high) 상태를 갖는다. 여기서,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신호와 아날로그 다운(AN_DN) 신호가 논리 하이(high)를 유지하는 시간은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111)의 성능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업 신호(AN_UP) 신호와 아날로그 다운(AN_DN) 신호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논리 하이(high) 상태를 갖기 때문에, 제 3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MN3, MN4)는 턴 오프(turn off) 상태를 유지하거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턴 온(turn on)된다. 이는 제 A노드 및 B노드에 프리차지된 전압(Vdd)이 거의 방전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신호(out1, out2)는 논리 하이(high)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결국, 제 1 및 제 2 신호(out1, out2)가 논리 하이(high)를 유지하므로, 디코더(113)는 계속해서 홀드 신호(HOLD)를 발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00)은 메모리 컨트롤러(1100) 및 메모리 장치(1200)를 포함한다.
메모리 컨트롤러(1100)는 클럭 신호(CLK), 어드레스 신호(ADDR),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 데이터 입출력 신호(DQ) 및 제어신호들(CTRLs)을 메모리 장치(1200)에 전달한다. 메모리 장치(1200)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와 데이터 입출력 신호(DQ)를 메모리 컨트롤러(11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200)는 디램(DRAM), 에스디램(SD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데이터 입출력 신호(DQ)와 동기되어 출력되도록 메모리 장치(1200)의 지연 동기 루프(1210)에서 발생된다. 또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메모리 컨트롤러(1100)의 지연 동기 루프(1110)로 제공되어 메모리 장치(1200)에서 독출 되는 데이터 입출력 신호(DQ)를 래치하기 위하여 그 위상을 조절한다. 이 경우, 도 6의 제 1 지연 동기 루프(1100)로 도 1의 지연 동기 루프(10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제 2 지연 동기 루프(1200)로 도 1의 지연 동기 루프(10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의 메모리 시스템(2000)은 도 6의 메모리 시스템(1000)과 유사하다. 다만, 도 6의 메모리 시스템(1000)과 달리, 도 7의 메모리 시스템(2000)의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지연 동기 루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연 동기 루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검출기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위상 검출부(110)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Claims (15)

  1.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존하는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위상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는 제 1 및 제 2 클럭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제 3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2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제 4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 신호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를 논리 로우로 천이하는 위상 검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의 선후에 기초하여, 제 5 및 제 6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가 상기 제 4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보다 선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 6 클럭 신호는 논리 하이인 위상 검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클럭 신호는 논리 로우인 위상 검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가 상기 제 4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보다 선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 5 클럭 신호는 논리 하이인 위상 검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클럭 신호는 논리 로우인 위상 검출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제 3 및 제 4 클럭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6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5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4 스위치를 포함하는 위상 검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는 NMOS 트랜지스터인 위상 검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제 3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프리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5 스위치; 및
    상기 제 4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프리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제 6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위상 검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및 제 6 스위치는 PMOS 트랜지스터인 위상 검출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의 디코딩 동작이 완료된 후에 디코딩 완료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 제 4 클럭 신호 및 상기 디코딩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5 및 제 6 클럭 신호는 리셋되는 위상 검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4 클럭 신호가 논리 로우이고 상기 디코딩 완료 신호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상기 제 5 및 제 6 클럭 신호는 각각 논리 하이로 천이되는 위상 검출 장치.
KR1020090135143A 2009-12-31 2009-12-31 위상 검출 장치 KR10114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43A KR101140141B1 (ko) 2009-12-31 2009-12-31 위상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43A KR101140141B1 (ko) 2009-12-31 2009-12-31 위상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355A true KR20110078355A (ko) 2011-07-07
KR101140141B1 KR101140141B1 (ko) 2012-05-02

Family

ID=4491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143A KR101140141B1 (ko) 2009-12-31 2009-12-31 위상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985A (ko) 2018-10-30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트레이닝들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온 칩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온 칩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007B2 (ja) * 1996-08-28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Pll回路
KR100319607B1 (ko) * 1999-02-25 2002-01-09 김영환 아날로그 디엘엘회로
KR100385232B1 (ko) * 2000-08-07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들을 동기화시키는회로
KR100630343B1 (ko) * 2004-07-14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위상 보간 기술을 이용한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141B1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423B1 (ko) 듀티 보정 장치
US7310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ck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40697B1 (ko) 다중 위상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및 그제어방법
US6605969B2 (en) Method and circuit for adjusting the timing of ouput data based on an operational mode of output drivers
US7932759B2 (en) DL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930415B1 (ko) 클럭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424592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circuit for correcting data output timing
JP2015012352A (ja) 半導体装置
JP2007068139A (ja) 遅延固定ループ
US20080130396A1 (en) Fast response time, low power phase detector circuits, devices and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JP2008109663A (ja) 遅延同期ループ回路
KR100594278B1 (ko)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회로와 방법 및 이를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턴시 신호 발생 회로
KR20100081483A (ko) Dll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8611163B2 (en) Digital DLL for timing control in semiconductor memory
KR100863032B1 (ko) 데이터 버스 센스 앰프 회로
US7616034B2 (en) Circuit for controlling data output
KR101140141B1 (ko) 위상 검출 장치
KR100705205B1 (ko) 외부 클록 신호의 펄스 폭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된 내부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내부 클록 발생기 및 그 내부 클록발생 방법
JP2016012204A (ja) 半導体装置
WO2014203775A1 (ja) 半導体装置
US20140368248A1 (en) Flip-flop circuit and duty ratio correction circuit using the same
KR101027759B1 (ko) 지연 동기 루프 및 그것의 듀티 사이클 보정 회로
KR100532482B1 (ko) 공통 모드 전압 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되는 출력지연 시간을 가지는 증폭 회로와 이를 구비하는 리플리카지연 회로 및 이 리플리카 지연 회로를 구비하는 내부클럭 발생 회로
US20090168584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100344A (ko) 래치 비교기, 상기 래치 비교기를 이용하는 클럭 생성 회로 및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