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716A -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716A
KR20110074716A KR1020100134590A KR20100134590A KR20110074716A KR 20110074716 A KR20110074716 A KR 20110074716A KR 1020100134590 A KR1020100134590 A KR 1020100134590A KR 20100134590 A KR20100134590 A KR 20100134590A KR 20110074716 A KR20110074716 A KR 2011007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aterial
storage container
plate
shap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후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lle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매의 판 형상체를 수평 상태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받침대는 격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받침대의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제1 금속재보다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금속재의 영률이 높은 것인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STORAGE CONTAINER FOR PLATE-LIKE BODY}
본 발명은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등의 FPD(Flat Panel Display)용 유리 기판은, 유리 기판과 유리 기판 사이에 합지를 개재 장착시킨 상태로 복수매 적층된다. 그리고, 이 적층체는 가로 쌓기용의 수납 용기(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또는 세로 쌓기의 수납 용기(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2 참조)에 수납되어, 유리판 메이커로부터, 유리판의 가공 및 유리판을 사용한 장치의 조립 등을 행하는 유리판 사용 메이커로 트럭 등에 의해 반송된다.
유리판 사용 메이커의 창고에 반입된 수납 용기는, 트럭으로부터 상기 창고에 설치된 반송용 롤러 컨베이어로 포크리프트에 의해 옮겨 적재된다. 그리고, 수납 용기는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가공 및 조립 공장으로 반송된다. 가공 및 조립 공장에 있어서, 유리 기판은 취출 장치에 의해 수납 용기로부터 1매씩 취출된다. 이때, 유리 기판은 취출 장치의 유리 파지부에 의해 흡착되어 수납 용기로부터 취출되고, 다음에 취출 장치의 합지 파지부에 의해 합지가 취출되는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로 쌓기용의 수납 용기(판 형상체 곤포 상자)는 판 형상체가 수평 상태로 적층되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대는 복수의 I형 프레임재를 종횡으로 격자 형상으로 조립 부착함으로써 구성된 프레임 구조체이다. 또한, 상기 I형 프레임재는 수납 용기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압출재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수납 용기에는, 받침대의 저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하부 덧댐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하부 덧댐 부재는 철판이다. 이 철판을 아래로 하여 수납 용기를 롤러 컨베이어에 적재함으로써, 수납 용기를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이 철판은 받침대의 저부와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647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062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수납 용기의 하부 덧댐 부재인 철판은, 받침대의 저부와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납 용기 전체가 철판에 의해 상당한 중량물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제8 세대라 불리는 2160mm×2460mm 크기 이상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에, 이 유리 기판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철판을 설치하면, 철판의 중량만으로도 수백 킬로그램이 된다. 즉, 유리 기판을 반송하는 트럭으로부터 보면, 적재 하중 중 수납 용기가 차지하는 하중이 증대되기 때문에, 긴요한 유리 기판을 대량으로 반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로 구성된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은, 유리 기판의 대형화에 의해 유리 기판의 적층체가 중량물이 되는 것, 및 전술한 롤러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시의 내마모성 향상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그 대책으로서, 알루미늄의 금속재의 개수를 늘려 받침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대책에서는, 받침대의 부품 개수가 증대됨과 함께 받침대가 중량물이 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롤러 반송시에, 철의 롤러보다 영률이 낮은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이 깎아져 조기에 마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납 용기는 강도를 높이면 중량물이 되고, 경량화를 도모하면 강도가 낮아진다는 상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강도를 높임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매의 판 형상체를 수평 상태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받침대는 격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받침대의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제1 금속재보다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금속재의 영률이 높은 것인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용기의 받침대를 제1 금속재에 의해 구성하고, 받침대의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를, 제1 금속재보다 영률이 높은 제2 금속재로 구성했다. 즉, 받침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측 프레임 부재에 착안하여, 이 외측 프레임 부재만을 제2 금속재로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얻는 것이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는 롤러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시에 롤러와 접촉하지만, 제1 금속재보다 영률이 높은 제2 금속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롤러에 의해 용이하게 깎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조기에 마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납 용기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만을 제2 금속재로 했으므로, 받침대의 저면 전체에 철판이 설치된 특허문헌 1의 수납 용기와 비교하여 대폭적인 경량화가 도모된다. 게다가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를 제2 금속재로 함으로써, 판 형상체의 중량에 의해 제1 금속재에 발생하는 변위가, 제1 금속재만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와 비교하여 대폭 감소된다. 이 변위 저감 효과에 의해, 제1 금속재와 제2 금속재를 포함하는 받침대의 변위가 제1 금속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받침대와 동등한 변위로 되도록, 제1 금속재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수납 용기가 더욱 경량이 된다.
본 발명의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금속재가 I형 프레임재이고, 상기 제2 금속재가 각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금속재가 알루미늄 합금이고, 상기 제2 금속재가 스테인리스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금속재가 알루미늄 합금의 I형 프레임재이고, 상기 제2 금속재가 스테인리스강의 각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금속재로서 비중 약 2.7의 알루미늄 합금의 I형 프레임재를 사용하고, 제2 금속재로서 비중 약 7.7 내지 8.0의 스테인리스강의 각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제1 금속재로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받침대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는 알루미늄 합금과 비교하여 약 3배의 강도가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강의 각 파이프는 시판되고 있는 양산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 주문 제품으로 하는 것보다 수납 용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에 따르면, 상기 각 파이프와 상기 각 파이프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I형 프레임재는, 상기 각 파이프의 너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각 파이프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된 블라인드 너트에, 상기 I형 금속재의 볼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방"이라 함은 받침대로부터 보아 판 형상체가 적층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알루미늄 합금의 I형 프레임재와, 스테인리스강의 각 파이프와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선, 블라인드 너트를 너트 툴의 맨드릴에 장착하고, 이 블라인드 너트를 각 파이프의 너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각 파이프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한다. 다음에, 너트 툴의 트리거를 당겨, 블라인드 너트를 각 파이프의 너트 삽입 구멍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I형 금속재의 볼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볼트를, 블라인드 너트에 체결한다. 이에 의해, I형 프레임재로 구성되어 있는 수납 용기의 본체에, 각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는 외측 프레임 부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용기의 받침대를 알루미늄 합금 등의 제1 금속재에 의해 구성하고, 받침대의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를 제1 금속재보다 영률이 높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제2 금속재로 구성했으므로, 강도를 높임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받침대에 대해 받침 접시를 상방으로 이격하여 도시함과 함께, 받침대에 대해 외측 프레임 부재를 하방으로 이격하여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체의 금속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의 금속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수납체가 3단 쌓기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체의 금속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의 금속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의 해석 케이스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비교예의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만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받침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받침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판 형상체로서 제8 세대라 불리는 2160mm×2460mm 크기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예시한다. 또한, 이 FPD용 유리 기판이 합지를 개재하여 복수매 적층된 것을 적층체라 칭한다. 또한, 상기 적층체가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에 수납된 형태를 수납체라 칭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수납 용기(10)를 구성하는 받침대(12)에 대해 받침 접시(16)를 상방으로 이격하여 도시함과 함께, 받침대(12)에 대해 외측 프레임 부재(18)를 하방으로 이격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수납 용기(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외경이 직사각형 형상인 받침대(12)에 의해 구성된다. 이 받침대(12)는 프레임 구조체인 본체(14), 본체(14)의 상면에 고정된 받침 접시(16), 및 본체(14)의 저부에 고정된 외측 프레임 부재(18)로 구성된다.
유리 기판과 합지로 이루어지는 적층체(20)는, 받침대(12)의 받침 접시(16)에 수평 상태로 적재된다. 이 적층체(20)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씌워지고, 시트의 네 변의 모서리부가 고정 부재에 의해 받침대(12)에 고정된다. 이 고정 부재는 받침 접시(16)의 측모서리부에 고정된 판 형상의 유리 스토퍼(22, 22), 및 상기 합지와 시트를 받침 접시(16)를 향해 가압하는 L자형의 가로 가압 부재(24, 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층체(20)가 수납 용기(10)에 수납되어 수납체(26)가 구성된다.
받침대(12)의 본체(14)는 복수개의 금속재(제1 금속재)(28, 28…)를 프레임 형상으로 조립 부착하여 구성한 프레임 구조체이다. 금속재(28)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SS강, 또는 SGHC강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용기(10)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예를 들어 A6063S-T5)을 사용했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재(28)는,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에 의해 단면 형상이 대략 I형으로 성형된 금속재이다(도 2 참조). 이들 금속재(28, 28…)를 종횡으로 격자 형상으로 조립 부착함과 함께, 이 부착 부재의 격자면이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조립 부착함으로써 본체(1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18)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14)의 소정의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크리프트의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부(30, 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12)에 고정된 받침 접시(16)의 표면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수지 등의 유연한 상부 덧댐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납체(26)는 창고에서 단 쌓기되어(연직 방향으로 겹쳐) 보관된다. 수납체(26)를 단 쌓기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본체(14)의 상면 및 저면의 4개의 구석부에는, 각통 형상의 끼워 맞춤부(32, 3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끼워 맞춤부(32)에 지지 기둥(34)이 각각 삽입되어 세워 설치된다. 지지 기둥(34)은 각기둥 형상의 몸통부(34A)와, 각뿔 형상 또는 원뿔 형상의 가이드부(34B)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단 쌓기 구성에 따르면, 우선 몸통부(34A)를 본체(14)의 상면의 끼워 맞춤부(32)에 삽입하여, 4개의 지지 기둥(34)을 본체(14)의 상면 구석부에 세워 설치한다. 그리고, 4개의 지지 기둥(34)의 가이드부(34B)에, 2단째의 수납체(26)의 본체(14)의 저면에 형성된 끼워 맞춤부(32)를 끼워 맞춤시킨다. 이에 의해, 수납체(26, 26)가 상하로 2단 쌓기된다.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단 쌓기 대수를 늘림으로써, 예를 들어 수납체(26)가 도 3과 같이 3단 겹침으로 단 쌓기된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받침대(12)의 저부에 설치된 외측 프레임 부재(18)는, 본체(14)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28)보다 영률이 높은 스테인리스강의 4개의 금속재(제2 금속재)(36, 36…)를 막대 형상으로 조립 부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금속재(36)는 본체(14)의 외측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금속재(28)의 하부에, 도 2에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38)와 볼트(40)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스테인리스강의 4개의 금속재(36, 36…)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 부재(18)가 본체(14)의 저면에 구성된다. 또한, 본체(14)와 외측 프레임 부재(18)의 연결 구조는 블라인드 너트(38)와 볼트(40)에 의한 체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연결해도 좋다.
그러나, 연결 공정수를 간략화하는 관점에서 보면, 블라인드 너트(38)와 볼트(40)에 의한 체결 구조가 용접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접이면, 용접시에 발생한 열에 의해 금속재(28, 36)가 변형되어 받침대(12)의 평면도가 악화되고, 유리 기판의 적재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즉, 받침대(12)의 평면도가 악화되면, 적재되는 유리 기판의 전체 면에 균등하게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일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그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여 유리 기판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블라인드 너트(38)와 볼트(40)에 의한 체결 구조에서는, 상기 평면도가 악화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 유리 기판의 적재에 적합하다.
여기서, 스테인리스강의 금속재(36)는 도 2, 도 4와 같이 시판되고 있는 양산품인 각 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블라인드 너트(38)와 볼트(40)에 의한 금속재(28)와 금속재(36)의 연결 수순은, 우선 금속재(36)의 상면에 복수의 너트 삽입 구멍(42, 42…)을 금속재(36)를 따라 개구하고, 이들 너트 삽입 구멍(42, 42…)으로부터 금속재(36)의 내부 공간부에 블라인드 너트(38)를 각각 장착한다. 다음에, 금속재(28)의 하부 플랜지(28A)에 개구되어 있는 복수의 볼트 삽입 구멍(44, 44…)으로부터 볼트(40)를 각각 삽입하고, 이들 볼트(40)를 블라인드 너트(38)에 체결한다. 이상에 의해, I형 금속재(28)로 구성되어 있는 수납 용기의 본체(14)에, 각 파이브로 구성되어 있는 외측 프레임 부재(18)의 금속재(36)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에서는, 금속재(28)의 하부 플랜지(28A)와 금속재(36) 사이에 판 형상의 스페이서(37)가 개재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37)에는, 볼트(40)의 삽입 구멍(37A)과, 블라인드 너트(38)의 헤드부를 릴리프하기 위한 긴 오목 홈(3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37)도 금속재(36)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강으로 해도 좋지만, 스페이서(37)는 박판이어도 강도 향상에 그다지 공헌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페이서(37)는 금속재(28)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강보다 저렴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라인드 너트(38)의 너트 삽입 구멍(42)으로의 장착은 주지의 팝 너트 툴(팝 리벳 패스너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즉, 팝 너트 툴의 맨드릴에 블라인드 너트(38)를 장착하고, 이 블라인드 너트(38)를 금속재(36)의 너트 삽입 구멍(42)으로부터 금속재(36)의 내측의 공간부에 삽입한다. 다음에, 팝 너트 툴의 트리거를 당겨, 블라인드 너트(38)를 휘게 하여 금속재(36)의 너트 삽입 구멍(42)에 고정한다. 이상으로 블라인드 너트(38)가 너트 삽입 구멍(4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10)는 받침대(12)의 본체(14)를 경량인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28, 28…)에 의해 구성하고, 본체(14)의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18)를 알루미늄 합금(영률 69GPa)보다 영률이 높은 스테인리스강(예를 들어 영률이 197GPa인 SUS304)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받침대(12)에 있어서,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18)만을 스테인리스강으로 함으로써, 수납 용기(10)는 전체적으로 중량물의 적층체(20)를 수납하는 용기로서 충분한 강도를 취득한다. 본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18)는 롤러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시에 롤러와 접촉하는 부재이지만, 알루미늄 합금보다 영률이 높은 스테인리스강이기 때문에, 롤러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 시에 롤러에 의해 용이하게 깎아지는 일은 없어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수납 용기(1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18)만이 스테인리스강이므로, 받침대의 저면 전체에 철판이 설치된 특허문헌 1의 수납 용기와 비교하여 대폭적인 경량화가 도모된다.
게다가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18)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함으로써, 적층체(20)의 중량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의 본체(14)에 발생하는 최대 변위량이, 알루미늄 합금만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와 비교하여 대폭 감소한다. 이 최대 변위량 저감 효과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받침대와 동등한 최대 변위량으로 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28)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용기(10)가 보다 한층 경량이 된다. 이 최대 변위량 저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금속재(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의 각 파이프이며, 시판되고 있는 양산품이므로, 특별 주문 제품으로 하는 것보다 수납 용기(1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강도 취득과 최대 변위량 저감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건은, 해석 소프트웨어(3차원 프레임 구조 해석 소프트웨어: 가부시끼가이샤 구조 계획 연구소제)에 의해 받침대(12)의 변위량(휨량)을 구하고, 그때의 본체(14) 및 외측 프레임 부재(18)의 응력을 산출한 것이다.
(1) 하중 조건
Figure pat00001
(2) 해석 케이스
도 5와 같이, 받침대(12)의 4개의 구석부를 지지한 단 쌓기 상태.
도 5에 있어서 파선은 받침대(12)의 변위를 나타내고 있고, 그의 최대 변위량을 (a)로 하여 하기에 나타내고 있다.
(3) 실시예의 해석 결과
Figure pat00002
(4) 비교예(알루미늄 합금만으로 받침대를 형성: 총 질량 1853kg)
Figure pat00003
상기 (3) 실시예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 부재(18)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4)로 받침대(12)를 구성한 예이고, (4) 비교예는 외측 프레임 부재(18) 및 본체(14)의 양자 모두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받침대(12)를 구성한 예이다. 이들 해석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12)의 외측 프레임 부재(18)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함으로써, 비교예의 최대 변위량 a가 5.1mm인 것에 반해, 실시예의 최대 변위량 a는 3.7mm로 감소했다. 이것으로부터, 실시예의 구조로, 또한 비교예와 동등한 최대 변위량 a: 5.1mm로 되도록 설계하는 경우, 실시예의 본체(14)의 금속재(28)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6은 비교예의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재만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비교예의 본체(14')와 동등한 최대 변위량으로 되도록, 금속재(28)의 개수를 삭감한 실시예의 본체(14)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본체(14')는 다수개의 금속재(28, 28…)를 사용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본체(14)는 금속재(28)의 개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어, 구조가 간소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허용 변위량이 동일한 경우, 실시예의 수납 용기(10)가 보다 한층 경량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프레임 부재(18)의 금속재(36)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14)를 구성하는 금속재(28)보다 강도가 있는 재료이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인 받침대(50)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실시 형태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 받침대(50)는 본체(52)의 대략 I형 금속재(54)의 하부 파이프부(56)의 하면에 스테인리스강의 판재(58)를 코킹에 의해 접합하여, 받침대(50)의 하면의 영률을 높인 것이다. 이 받침대(50)는, 롤러 반송시에 판재(58)가 롤러에 접촉하기 때문에, 롤러에 대한 내마모성을 갖는다. 금속재(54)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인 받침대(60)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실시 형태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 받침대(60)는 본체(62)의 대략 I형 금속재(64)의 하부 파이프부(66)의 하면에, 스테인리스강의 강판(68)을 볼트(70)와 블라인드 너트(72)에 의해 접합하여, 받침대(60)의 하면의 영률을 높인 것이다. 이 받침대(60)는, 롤러 반송시에 강판(68)이 롤러에 접촉하기 때문에, 롤러에 대한 내마모성을 갖는다. 금속재(64)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95262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이용예로서 제8 세대의 FPD용 유리 기판을 예시했지만, 유리 기판의 크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판 형상체로서는 FPD용 유리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판 형상체이면, 수지판, 금속판 등의 판 형상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를 적용할 수 있다.
10: 수납 용기
12, 50, 60: 받침대
14, 14', 52, 62: 본체
16: 받침 접시
18: 외측 프레임 부재
20: 적층체
22: 유리 스토퍼
24: 가로 가압 부재
26: 수납체
28, 36, 54, 64: 금속재
28A: 하부 플랜지
30: 개구부
32: 끼워 맞춤부
34: 지지 기둥
34A: 몸통부
34B: 가이드부
37: 스페이서
37A: 삽입 구멍
37B: 긴 오목 홈
38, 72: 블라인드 너트
40, 70: 볼트
42: 너트 삽입 구멍
44: 볼트 삽입 구멍
56, 66: 하부 파이프부
58: 판재
68: 강판

Claims (5)

  1. 복수매의 판 형상체를 수평 상태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받침대는 격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받침대의 저부의 외측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제1 금속재보다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금속재의 영률이 높은 것인,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재가 I형 프레임재이고, 상기 제2 금속재가 각 파이프인,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재가 알루미늄 합금이고, 상기 제2 금속재가 스테인리스강인,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재가 알루미늄 합금의 I형 프레임재이고, 상기 제2 금속재가 스테인리스강의 각 파이프인,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이프와, 상기 각 파이프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I형 프레임재는, 상기 각 파이프의 너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각 파이프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된 블라인드 너트에, 상기 I형 금속재의 볼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되는,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KR1020100134590A 2009-12-25 2010-12-24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KR201100747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5262 2009-12-25
JPJP-P-2009-295262 2009-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716A true KR20110074716A (ko) 2011-07-01

Family

ID=4417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590A KR20110074716A (ko) 2009-12-25 2010-12-24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68973B2 (ko)
KR (1) KR20110074716A (ko)
CN (1) CN102107755B (ko)
TW (1) TWI50190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46B1 (ko) * 2013-08-23 2015-07-14 (주)루맷 디스플레이용 필름 수납케이스
KR101638844B1 (ko) * 2015-07-14 2016-07-12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생산성 및 수율 향상을 가능케 하는 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 장치
KR101898456B1 (ko) * 2017-12-06 2018-09-13 (주)루맷 무용접 핀가이드 고정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필름 운송 보관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0860B2 (ja) * 2012-02-08 2016-04-2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金属製パレット
KR101976739B1 (ko) * 2019-03-08 2019-05-09 유니슨이테크(주)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1825U (ko) * 1979-11-28 1981-07-02
JPH04128226U (ja) * 1991-05-18 1992-11-24 株式会社ウメムラ リターナブルラツク
TWI268892B (en) * 2002-06-26 2006-12-21 Asahi Glass Co Ltd Glass plate packing device and packing method, and package
WO2006009225A1 (ja) * 2004-07-23 2006-01-2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CN100522760C (zh) * 2004-07-23 2009-08-05 旭硝子株式会社 板状体包装箱、板状体搬送方法及板状体装载、取出方法
JP4911276B2 (ja) * 2004-07-23 2012-04-04 旭硝子株式会社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
JP2007308169A (ja) * 2006-05-18 2007-11-29 Kanto Coil Center:Kk 板運搬用パレット
JP2008124347A (ja) * 2006-11-14 2008-05-29 Murata Mach Ltd 枚葉搬送用トレイ
TWM330559U (en) * 2007-10-18 2008-04-11 Forever Group Prec Ind Co Ltd Flat panel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CN201116174Y (zh) * 2007-11-07 2008-09-17 永联邦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平板储运装置
JP2010168045A (ja) * 2008-12-26 2010-08-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46B1 (ko) * 2013-08-23 2015-07-14 (주)루맷 디스플레이용 필름 수납케이스
KR101638844B1 (ko) * 2015-07-14 2016-07-12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생산성 및 수율 향상을 가능케 하는 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 장치
KR101898456B1 (ko) * 2017-12-06 2018-09-13 (주)루맷 무용접 핀가이드 고정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필름 운송 보관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7755A (zh) 2011-06-29
JP5668973B2 (ja) 2015-02-12
TWI501909B (zh) 2015-10-01
CN102107755B (zh) 2015-09-09
JP2011148552A (ja) 2011-08-04
TW201134733A (en) 201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1276B2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
JP5382027B2 (ja) 板状体梱包箱及び板状体搬送方法
KR20110074716A (ko)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JP57871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KR20090114351A (ko) 판상체의 곤포 팔레트
US9908762B1 (en) Pallet truck load lift portion
KR20100099218A (ko) 판 형상체 수납 용기
KR20130140118A (ko) 곤포 용기 및 곤포체
JP2013227021A (ja) 積載構造体
JP2013227020A (ja) 積載構造体
KR20070104242A (ko) 유리 기판용 반송 상자
CN101626966B (zh) 玻璃板捆包用集装架以及玻璃板捆包体
JP2013023256A (ja) 輸送用架台装置
JP72657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CN211686119U (zh) 玻璃板捆包用托盘
JP6011658B2 (ja) インナーパレット
KR100823902B1 (ko)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및 판형상체적재·취출 방법
KR200449030Y1 (ko) 포장운반상자
JP5708195B2 (ja) インナーパレット
JP5464466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4257273B2 (ja) 板状物梱包用具
KR20100003721U (ko) 스틸박스
CN216660717U (zh) 玻璃板捆包体
WO2023181973A1 (ja) ガラス板梱包体
CN201325466Y (zh) 一种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7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4

Effective date: 201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