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739B1 -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 Google Patents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739B1
KR101976739B1 KR1020190026771A KR20190026771A KR101976739B1 KR 101976739 B1 KR101976739 B1 KR 101976739B1 KR 1020190026771 A KR1020190026771 A KR 1020190026771A KR 20190026771 A KR20190026771 A KR 20190026771A KR 101976739 B1 KR101976739 B1 KR 10197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elding
welded
formed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구본광
차명길
김종인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주)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주)
Priority to KR102019002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soldering, welding, or otherwise uniting oppos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2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05Construction
    • B65D2501/24146Connection between walls or of walls with bottom
    • B65D2501/24159Non-integral
    • B65D2501/24165Welded or glu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 중 용기를 구성하는 각 면(面)으로 구분된 하나의 플레이트를 가지고 용기의 면을 구성하도록 절곡성형을 한 후 용접위치에 맞는 용접지그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용접하도록 하며, 제조된 용기의 밀폐 용이성과 적층 용이성은 물론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다단으로 적층시 적층유지가 가능토록 걸림체 및 보강체를 구성하며, 각각 독립 사용시에도 미관이 우수하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알루미늄 재질로 식품보관용 용기를 구성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로서, 절곡된 용기성형체(100b)를 용접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를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는 외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용기성형체(100b)가 긴밀히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면서 동일한 면적을 가진 수용부(201)와 상기 용기성형체(100b) 용접부(161)의 수(數)에 대응되면서 용접부(16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로 절개된 용접홀(211)이 제1모서리부(1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모서리부(210)에 한 쌍씩 형성된 외부지지체(200);와,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수용부(201)에 수용된 용기성형체(100b)의 내부 저장공간(101)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면서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된 내부지지체(300); 및,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제2모서리부(210) 상부의 상단면과 하부의 하단면에 각각 테두리형상에 대응되는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각각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에 단차진 결합탭(411)을 형성하면서 외측 돌출부(412)는 외부지지체(200) 외부로 돌출되는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410)와, 상기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410) 돌출부(412)를 상호 수직 연결하여 중간에 용접홀(211)이 위치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봉(4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420)에 결속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용접제(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433-2)을 통해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하는 용접가이드부재(430)로 구성되는 용접지지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CONTAINER FOR FOOD STORAGE WITH MULTI-STACKING}
본 발명은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 중 용기를 구성하는 각 면(面)으로 구분된 하나의 플레이트를 가지고 용기의 면을 구성하도록 절곡성형을 한 후 용접위치에 맞는 용접지지체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용접하도록 하며, 제조된 용기의 밀폐 용이성과 적층 용이성은 물론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다단으로 적층시 적층유지가 가능토록 걸림체 및 보강체를 구성하며, 각각 독립 사용시에도 미관이 우수하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알루미늄 재질로 식품보관용 용기를 구성하여서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이 식품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품을 가공 및 제조하는 식품업계에서 식재료를 넣어 보관하거나, 세척이나 조리과정 또는 숙성 및 운반과정 등과 같은 모든 가공 및 제조공정에서 합성수지재로 된 식품저장용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식품저장용 용기는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통체의 바닥과 측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내구성이 보장되는 두께와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서, 수납공간부에 담겨진 야채나 고기 등의 각종 식재료는 보관 및 가공하기 위한 여러 공정 중에 통공을 통하여 수분이 제거되거나 냉장이나 냉동 보관 상태에서 외부의 냉기가 식재료에 원활하게 공급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중량체인 식재료가 담겨진 상태에서 강도가 유지될 뿐 아니라 공간활용을 위해 상하로 식품용기를 적층할 경우에도 충분한 내구성이 보장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재 식품저장용 용기는 편리한 기능과 구조상의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호르몬의 발생이라는 치명적인 문제로 인하여 근래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합성수지가 주원료인 종래 식품용기는 재질의 성분에 함유된 비스페놀A 뿐 아니라, 제조할 때 가공성과 제품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 등은 환경호르몬의 발생 원인이 되었다. 상기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장애물질로서 체내에 잔류성이 강한 화학물질이 인체의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정자수를 감소시키거나 기형을 유발하며 극단적인 경우 암수, 즉 자웅을 변화시키는 물질이라는 것이 많은 실험결과와 연구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식품저장용 용기에 담겨진 각종 식재료는 환경호르몬에 그대로 노출되는 실정이었으며, 특히 식재료는 가공 및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에 고온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상태로 식품저장용 용기에 담겨지게 되거나 또는 염분이나 기름기 등이 많이 함유된 상태로 담겨지는 경우에는 환경호르몬의 발생이 더욱 촉진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식품이라는 측면과 사용상 편이성을 제공하고자 인체에 무해한 용기의 재질 및 사용자가 쉽게 이동이 용이도록 가벼운 중량을 가진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다단으로 적층시 상호 결합성 및 밀착성이 증가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6068호(발명의 명칭 : 다단 적층 가능한 수납바구니)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1370호(발명의 명칭 : 걸림 테두리를 갖는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245호(발명의 명칭 : 식품업계용 보관바구니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식품업계에서 사용되는 식품보관용 용기를 인체에 무해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여서 식품을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안전하게 가공 및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식품보관용 용기를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에 있어서, 기존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가공성이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고 프레스 절단 및 절곡 성형 그리고 정밀 용접작업에 의하여 최소비용과 간단한 공정으로서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위생적이면서 능률적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에 중량물이 담겨지거나 상하로 적층 보관할 때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평판의 플레이트부에 바닥부를 기준으로 둘레부를 형성하도록 제1모서리부를 사이에 배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정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구성하도록 절단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부의 바닥부를 기준으로 제1모서리부를 포함한 정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절곡하여 둘레부를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 그리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기성형체의 정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각각의 변(邊)이 대응되는 위치의 제1모서리부 양측 변(邊)에 각각 면접되는 부위에 형성된 용접부를 용접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를 용접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성형체를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의 외형에 대응되는 외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용기성형체가 긴밀히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의 외형에 대응되면서 동일한 면적을 가진 수용부와 상기 용기성형체 용접부의 수(數)에 대응되면서 용접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로 절개된 용접홀이 제1모서리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모서리부에 한 쌍씩 형성된 외부지지체와,
상기 외부지지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용기성형체의 내부 저장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성형체의 저장공간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내부지지체와,
상기 외부지지체의 제2모서리부 상부의 상단면과 하부의 하단면에 각각 테두리형상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지지체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각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에 단차진 결합탭을 형성하면서 외측 돌출부는 외부지지체 외부로 돌출되는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와, 상기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 돌출부를 상호 수직 연결하여 중간에 용접홀이 위치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에 결속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용접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하는 용접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용접지지체를 포함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접가이드부재는 한 쌍의 양측 가이드봉에 각각 삽입되도록 관형의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 각각의 상부 내측단 상호 및 하부 내측단 상호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 및, 상기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상부 양측면 및 하부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는 가이드공을 형성하면서 전면 중앙에서 후면 중앙으로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이 후면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진 용접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기성형체의 내부 저장공간에 밀착 수용되어 용기성형체의 제1모서리부에 대응되는 내부지지체 외면에 형성된 제3모서리부에 있어 상기 용기성형체의 제1모서리부에 형성된 용접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모서리부에 용접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진 시트삽입홈이 형성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단 전체에서 정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제1모서리부가 연결되어 수직면을 가진 둘레부를 구성하면서 상기 제1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양측 연결부위의 용접부를 용접 후(後) 또는 용접 전(前) 용기성형체 제조단계에서,
상기 둘레부 상부 테두리단에 연결되어 저장공간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 상단 길이에서 제1경사부의 기울기에 상하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로 구성되어 저장공간 상부 내면에 띠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의 제1경사부 상단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단부 길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로 구성되어 수직부 내측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용기성형체 상부 외면에 띠형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체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기성형체의 저장공간 내면에 형성된 걸림체의 제2경사부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용기성형체의 바닥부 테두리단과 둘레부 하부 테두리단 사이에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형성되는 기울기면을 가지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 후(後) 또는 용접 전(前)에 둘레부를 구성하는 정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전체에 이격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단계를 거쳐 용기성형체의 상부에 걸림체와 보강체 그리고 용기성형체의 하부에 기울기면을 형성한 용기를 제작한 다음, 제작된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를 적층하여 상측 용기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측 용기의 보강체 이격공간에 삽입되도록 단차진 끼움부와 상기 하측 용기의 보강체 수평부를 면접하면서 수직부를 커버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부가 형성된 단차면 중앙에서 끼움홈 중앙으로 수직 관통하는 이동홀이 형성하되, 상기 이동홀 내부의 하측에서 끼움홈 중앙을 관통하는 위치까지 이동홀의 내부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협소한 폭으로 형성되면서 이동홀 하측의 협소한 폭이 시작되는 위치의 이동홀 양측에 각각 단턱면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 이동홀로 관통되는 수평길이로 절개된 결속구가 형성된 판재형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결속구로 삽입되도록 후측에 상향 경사진 기울기를 가진 가압부와 상기 누름부 단부에서 연결되어 결속구 외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누름부로 구성되어 지지판의 양측에서 각각 결속구로 연결되는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가압회동체 및,
상기 지지판의 이동홀로 긴밀히 삽입되어 이동홀의 하측으로 형성된 협소한 공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하단이 끼움홈의 중앙의 이동홀에 위치 또는 돌출되어 가압회동체의 누름부 하부에 상단 중앙이 면접되며, 상기 지지판 이동홀의 단턱면에 대응되는 차단면이 형성되면서 차단면 중앙에 연결되어 하향 돌출되는 결속봉과 상기 결속봉에 삽입되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누름판으로 구성되는 용기이동부재가 구비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품업계서 식품을 가공 및 제조하기 위하여 식재료를 넣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인체에 무해한 알루미늄재로 제조함으로써 환경호르몬의 발생없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식품을 보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식품이 고온 상태에서도 환경호르몬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가 사용 중 외부의 충격에 작은 조각이나 분진 등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파손이 최소화되므로 작은 조각 등이 불의하게 식품에 유입되는 일 없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용기를 구성하는 각 면을 하나의 플레이트에 절단 성형하여 용기의 형상으로 절곡한 후 용기의 각 면이 면접하는 용접부위를 용접지그에서 정밀한 용접을 수행함으로서, 알루미늄재가 가지고 있는 재질적 약점을 해결하면서 최소의 공정과 비용으로 성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의 사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의 다른 방향에서 표현한 사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의 정면 도면.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의 “A”부위의 단면 도면.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의 “B”부위의 확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를 상하로 적층된 정면 도면.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의 “C”부위의 확대 단면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작하기 전(前)의 플레이트부의 구조도(a)(b).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작하는 용접단계에서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하기 위한 외부지지체-용접지지체-내부지지체의 결합 사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를 제작하는 용접단계에서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하기 위한 외부지지체-용접지지체-내부지지체의 결합 분리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하는 단계의 외부지지체에 용접지지체가 결합되는 분리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하는 단계의 용접지지체 결합 분리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접지지체의 용접가이드부재를 구성하는 용접지지부의 사시 도면(a)과 단면 도면(b).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성형체의 용접부를 용접하는 단계의 내부지지체 사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상하로 적층된 용기의 측부에 용기이동부재가 설치된 사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상하로 적층된 용기의 측부에 용기이동부재가 설치된 정면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이동부재의 정면 사시 도면(a)과 배면 사시 도면(b).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이동부재의 결합 분리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에서 용기이동부재의 지지판 내부 단면 도면.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10)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의 바닥부(110) 테두리단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결되는 둘레부(S)를 구성하는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그리고 상기 둘레부(S)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4개의 제1모서리부(160) 즉, 상기 제1모서리부(160) 양측에 이웃하는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가 직교하는 위치에 상호 이웃하도록 제1모서리부(160)가 형성되는 둘레부(S) 전체구조를 가지며, 이때 도 8과 같이 평판의 플레이트부(100a)에 상기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우측면부(150) 그리고 4개의 제1모서리부(160)가 형성되도록 제단과정인 절단성형 후 절곡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통체의 용기성형체(100b)로 절곡성형을 거친 다음 용접작업으로 연결하여 사각통체 형상의 다단 적층시 식품보관용 용기(10, 이하, ‘용기’라 칭함)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10)를 제조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8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평판의 플레이트부(100a)에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둘레부(S)를 형성하도록 제1모서리부(160)를 사이에 배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를 구성하도록 절단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부(100a)의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제1모서리부(160)를 포함한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를 절곡하여 둘레부(S)를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 그리고 내부에 저장공간(101)이 형성된 용기성형체(100b)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각각의 변(邊)이 대응되는 위치의 제1모서리부(160) 양측 변(邊)에 각각 면접되는 부위에 형성된 용접부(161)를 용접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를 용접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를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는 외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용기성형체(100b)가 긴밀히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면서 동일한 면적을 가진 수용부(201)와 상기 용기성형체(100b) 용접부(161)의 수(數)에 대응되면서 용접부(16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로 절개된 용접홀(211)이 제1모서리부(1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모서리부(210)에 한 쌍씩 형성된 외부지지체(200);와,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수용부(201)에 수용된 용기성형체(100b)의 내부 저장공간(101)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면서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된 내부지지체(300); 및,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제2모서리부(210) 상부의 상단면과 하부의 하단면에 각각 테두리형상에 대응되는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각각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에 단차진 결합탭(411)을 형성하면서 외측 돌출부(412)는 외부지지체(200) 외부로 돌출되는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410)와, 상기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410) 돌출부(412)를 상호 수직 연결하여 중간에 용접홀(211)이 위치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봉(4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420)에 결속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용접제(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433-2)을 통해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하는 용접가이드부재(430)로 구성되는 용접지지체(400);를 포함하는 용기(10)를 제공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0.5 ~ 2.5mm로 구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평판의 플레이트부(100a)에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우측면부(150) 그리고 4개의 제1모서리부(160)를 기지도록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되어 각각 분할 구성하며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전체에 이격된 다수 개의 통공(102)을 가공하게 되며, 상기 통공(102)의 가공은 알루미늄의 재질적 특성과 작업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공지의 가공시스템으로 작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공의 가공방법에 제한을 두지 아니하나, 전개된 소재 위에 여러 가지 형상들을 입력된 치수조건에 알맞게 펀칭하는 기계의 일종인 NCT(Numerically Controlled Turret)시스템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단계를 거친 다음, 바닥부(110)의 테두리단을 경계로 하여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우측면부(150) 그리고 4개의 제1모서리부(160)를 절곡하여 둘레부(S)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저장공간(101)이 형성되는 사각통체의 용기성형체(100b)로 성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모서리부(160) 양측단 길이인 변(邊)에 각각 이웃하는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각각의 측단 길이인 변(邊)이 마주하여 용접부(161)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용접부(161)는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 양측에 각각 수직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에 형성된 용접부(161)를 정교하게 용접되도록 용접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포함된다.
먼저,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지지체(2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통체형태로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를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는 외형의 형상 즉,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 면접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진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용기성형체(100b)가 긴밀히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면서 동일한 면적을 가진 수용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성형체(100b) 용접부(161)의 수(數)에 대응되면서 용접부(16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로 절개된 용접홀(211)이 제1모서리부(1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모서리부(210)에 한 쌍씩 형성된다.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둘레에는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 수(數)와 위치에 대응되는 수를 가진 제2모서리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성형체(100b)에 형성된 용접부(161)의 수(數)와 위치에 대응되면서 용접부(161)의 수직 길이와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제2모서리부(210)에 수용부(201)로 관통되는 용접홀(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9,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지지체(300)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부(301)를 구성하는 사각통체로서,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수용부(201)에 수용된 용기성형체(100b)의 내부 저장공간(101)에 긴밀히 수용되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면서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하기 위해 용접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용접부(161)를 용접하는 용접제(미도시)가 통과되어 용접부(161)를 용접하면서 용접부(16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접되도록 유도하는 용접지지체(400)가 외부지지체(200)의 용접홀(211)에 각각 설치된다.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접지지체(400)는 결합부(410), 가이드봉(420) 및 용접가이드부재(430)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어 외부지지체(200)의 제2모서리부(210)에 형성된 용접홀(211)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410)는 제2모서리부(210)의 상단 및 하단 테두리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ㄴ”형태로서 내측의 결합탭(411)과 외측의 돌출부(412)로 구분되는 일몸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제2모서리부(210)의 상부 상단면 및 하부의 하단면에 각각 상하 대칭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410)에 돌출된 결합탭(411)이 제2모서리부(210)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긴밀히 밀착 수용되어 체결수단(50)을 통해 외부지지체(200)의 제2모서리부(210) 상부 상단면에 상측 결합부(410) 및 하부 하단면에 하측 결합부(410)가 고정 결합하게 되며, 이때 상기 결합부(410)의 돌출부(412)는 외부지지체(200)의 외측으로 수평 돌출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420)은 상측 결합부(410)의 돌출부(412) 양측 및 하측 결합부(410)의 돌출부(412) 양측을 각각 상호 수직 연결하여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봉 중간 즉, 가이드봉(420)과 가이드봉(420) 사이에 용접홀(211)이 위치하도록 연결 배치된다.
상기 상측 결합부(410)와 하측 결합부(410) 사이에 양측으로 가이드봉(420) 한 쌍씩 마련되면서 한 쌍의 가이드봉 사이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외부지지체(200)의 용접홀(211)이 노출되도록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가이드부재(430)는 가이드봉(420)에 결속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용접제(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433-2)을 통해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하도록 상하이동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공지의 용접장치(미도시)는 레이저, 스폿 및 코일용접 등 알루미늄재질의 금속재를 용접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용접지지부(433)의 삽입공(433-2)으로 용접장치의 용접팁 또는 용접토치가 삽입 돌출되어 용접팁 또는 용접토치 일부가 삽입공(433-2)에 단속되어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정밀 용접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접가이드부재(430)는 이동봉(431)과 지지부(432) 및 용접지지부(433)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동봉(431)은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가이드봉(420)이 삽입되며, 양측 가이드봉(420)에 각각 이동봉(431)이 삽입되어 가이드봉(42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결속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432)는 이동봉(431) 각각의 상부 내측단 상호 및 하부 내측단 상호를 각각 수평 연결하도록 한 쌍이 결합되어 이동봉(431) 사이에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432)로 배치되며, 상기 용접지지부(433)는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432)가 삽입되도록 상부 양측면 및 하부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는 가이드공(433-1)을 형성하면서 전면 중앙에서 후면 중앙으로 관통하는 삽입공(433-2)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33-2)이 후면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공(433-2)을 통해 용접장치의 용접제가 삽입되어 용접제 단부가 용접부(161)에 직면하여 용접부(161)를 용접하게 되며, 이때 용접부(161)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용접지지체(400)의 용접가이드부재(430)가 가이드봉(4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교하게 용접부(161)를 용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부(161)의 위치에 용접지지부(433)의 삽입공(433-2)이 위치하도록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432)에 결속된 용접지지부(433)를 지지부(432)의 좌우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용접지지부(433)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가 포함된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접지지부(433)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공(433-1)에 삽입된 상측 지지부(432)에 용접지지부(433)를 고정하기 위해 용접지지부(433)의 상부 일면에서 가이드공(433-1)으로 연통되는 체결공(433-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433-3)을 통해 체결수단(50)을 결합시켜 가이드공(433-1)에 배치된 상측 지지부(432)를 밀착 고정하게 된다.
또한, 용접지지체(400)의 용접가이드부재(430)를 구성하는 용접지지부(433)의 삽입공(433-2)을 통해 용접제(미도시)를 유입하여 용접부(161)를 용접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열원에 의해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내측에 형성된 용접부(161)에도 용접시트(미도시)가 용융되면서 용접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가 포함된다.
도 9,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내부 저장공간(101)에 밀착 수용되어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에 대응되는 내부지지체(300) 외면에 형성된 제3모서리부(310)에 있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에 형성된 용접부(16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모서리부(160)에 용접부(16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진 시트삽입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삽입홈(311)에 용접시트(미도시)를 삽입시킨 후 외부지지체(200)의 외측에 마련된 용접가이드부재(430) 용접지지부(433)의 삽입공(433-2)을 통해 인도된 용접제(미도시)가 용융되면서 발생된 가열원이 용접시트에 전달되어 용기성형체의 저장공간에 형성된 용접부(161)에 용접시트가 용융되면서 용접하여 용접부(161) 전측 및 하측을 전부 용접되게 하여 용접제 및 용접시트의 용접액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용접부(161)를 용접하게 된다.
이에,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한 후 용접부(161)를 연마하여 용기(10)를 제작하게 된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10)의 테두리단 전체에서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우측면부(150) 및 제1모서리부(160)가 연결되어 수직면을 가진 둘레부(S)를 구성하면서 상기 제1모서리부(160)를 기준으로 양측 연결부위의 용접부(161)를 용접 후(後) 또는 용접 전(前) 용기성형체(100b) 제조단계에서,
상기 둘레부(S) 상부 테두리단에 연결되어 저장공간(101)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경사부(171)와 상기 제1경사부(171) 상단 길이에서 제1경사부(171)의 기울기에 상하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172)로 구성되어 저장공간(101) 상부 내면에 띠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걸림체(170)와, 상기 걸림체(170)의 제2경사부(172) 상단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81)와 상기 수평부(181) 단부 길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182)로 구성되어 수직부(182) 내측에 이격공간(183)이 형성된 용기성형체(100b) 상부 외면에 띠형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체(180)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용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성형체(100b) 또는 용기(10)의 둘레부(S)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걸림체(170)와 보강체(180)가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체(170)는 저장공간(101) 내측 벽면에 돌출된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 또는 용기(10)의 둘레부(S) 상부 테두리단 전체에 연결되어 저장공간(101)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경사부(171)와 상기 제1경사부(171) 상단 길이에서 제1경사부(171)의 기울기에 상하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172)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체(180)는 용기성형체(100b) 또는 용기(10)에 형성된 걸림체(170)에 연결되어 용기성형체(100b) 또는 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걸림체(170)의 제2경사부(172) 상단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81)와 상기 수평부(181) 단부 길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182)로 구분되어 수직부(182)와 제2경사부(172) 사이인 수직부(172) 내측으로 이격공간(18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182)의 자유단 내측에 연결되어 돌출된 마감탭(182-1)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용기(10)를 이동시 저장공간(101)에 저장된 식품의 하중에 의해 수직부(182)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내면에 형성된 걸림체(170)의 제2경사부(172)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바닥부(110) 테두리단과 둘레부(S) 하부 테두리단 사이에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형성되는 기울기면(111)을 가지는 용기(10)를 제공한다.
상기 기울기면(111)은 걸림체(170)의 제2경사부(172)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어 상기 용기(10)가 상하층으로 적층시 상측에 배치된 용기(10)의 기울기면(111)이 하측에 배치된 용기(10)의 제2경사부(172)에 밀착 면접되어 상측 용기(10)를 안전하게 적층하며, 상기 상측 용기(10)를 하측 용기(10)로부터 탈거시 하측 용기(10)의 단속없이 손쉽게 상측 용기(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둘레부(S)를 구성하는 좌측면부(140)와 우측면부(150)에 각각 걸림체(170)가 형성된 하측에 저장공간(101) 내로 관통된 손잡이홀(103)이 형성되면서 상기 손잡이홀(103) 내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탭(103-1)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홀(103)을 파지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파지하면서 손잡이홀(103)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 후(後) 또는 용접 전(前)에 둘레부(S)를 구성하는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전체에 이격된 다수 개의 통공(102)이 형성되는 용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10)의 둘레부(S)를 구성하는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전체에 통공(102)이 형성되어 식품의 물기를 배출하거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식품의 저장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각각의 전체면 중앙이 펀칭되어 저장공간(101) 내측으로 돌출 또는 저장공간(101)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의 단차진 보강형상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형상부(104)는 용기성형체(100b) 또는 용기(10)를 구성하는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각각의 전체면에서 중앙의 사각형으로 구분된 형태로서 절단단계 또는 절곡단계에서 펀칭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저장공간(101)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저장공간(101)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각각의 전체면에 대한 자체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단계를 거쳐 제작 완료된 용기(10)를 적층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용기이동부재(500)가 더 포함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5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단계를 거쳐 용기성형체(100b)의 상부에 걸림체(170)와 보강체(180) 그리고 용기성형체(100b)의 하부에 기울기면(111)을 형성한 용기(10)를 제작한 다음, 제작된 상측 용기(10)와 하측 용기(10)를 상하로 적층하여 상측 용기(10)의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측 용기(10)의 보강체(180) 이격공간(183)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단차진 끼움부(511)와 상기 하측 용기(10)의 보강체(180) 수평부(181)를 면접하면서 수직부(182)를 커버하도록 끼움홈(512)이 하부에 형성되면서 하단 내측에 수직부(182) 내측의 이격공간(183)에 결속되는 걸림턱(513)과 상기 끼움부(511)가 형성된 단차면 중앙에서 끼움홈(512) 중앙으로 수직 관통하는 이동홀(514)이 형성하되, 상기 이동홀(514) 내부의 하측에서 끼움홈(512) 중앙을 관통하는 위치까지 이동홀(514)의 내부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협소한 폭으로 형성되면서 이동홀(514) 하측의 협소한 폭이 시작되는 위치의 이동홀(514) 양측에 각각 단턱면(514-1)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 이동홀(514)로 관통되는 수평길이로 절개된 결속구(515)가 형성된 판재형의 지지판(510)과,
상기 지지판(510)의 결속구(515)로 삽입되도록 후측에 상향 경사진 기울기를 가진 가압부(521)와 상기 가압부(521) 단부에서 연결되어 결속구(515) 외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누름부(522)로 구성되어 지지판(510)의 양측에서 각각 결속구(515)로 연결되는 힌지축(523)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가압회동체 (520) 및,
상기 지지판(510)의 이동홀(514)로 긴밀히 삽입되어 이동홀(514)의 하측으로 형성된 협소한 공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하단이 끼움홈(512)의 중앙의 이동홀(514)에 위치 또는 하향 돌출되어 가압회동체(520)의 가압부(521) 하부에 상단 중앙이 면접되며, 상기 지지판(510) 이동홀(514)의 단턱면(514-1)에 대응되는 차단면(531)이 형성되면서 차단면(531) 중앙에 연결되어 하향 돌출되는 결속봉(532)과 상기 결속봉(532)에 삽입되는 탄성부(533)가 구비되는 누름판(530)으로 구성되는 용기이동부재(500)가 구비되는 용기(10)를 제공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이동부재(500)는 용기(10)를 다단으로 적층시 하측 용기(10)와 상기 하측 용기(10) 상부에 적층된 상측 용기(10)에서 적층된 상측 및 하측 용기(10)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지지하면서 상측 용기(10)의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에 각각 배치되어 적층된 상측 및 하측 용기(10) 일체를 사용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지지판(510), 가압회동체(520) 및 누름판(53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5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수직의 판재형태로서, 상부의 수평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단차진 끼움부(511)가 형성되어 상측 용기(10)의 보강체(180)를 구성하는 수직부(182) 내측에 형성된 이격공간(183)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510)의 하부는 하측 용기의 보강체(180) 수평부(181)를 면접하면서 수직부(182)를 커버하도록 끼움홈(512)이 하부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끼움홈(512)이 형성된 하단인 걸림턱(513)이 수직부(182) 내측의 이격공간(183)에 결속 또는 수직부(182) 단부에 면접되어 하측 용기(10)의 걸림체(180) 수직부(182)를 결합한다.
상기 지지판(51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부(511)의 단차면 중앙에서 내부를 통해 수직길이방향으로 하부의 끼움홈(512) 중앙으로 관통하는 이동홀(514)이 형성하되, 상기 이동홀(514) 내부의 하부 양측단에 단턱면(514-1)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면(514-1)을 기준으로 이동홀(514)의 내부를 상부 이동홀(514)과 하부 이동홀(514)로 구분하며, 이때 상부 이동홀(514)의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하부 이동홀(5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510)의 후면이 상측 용기(10)의 측면에 마주한다면 지지판(510)의 정면 중앙에 이동홀(514)로 내통되는 소정이 수평길이로 절개된 결속구(515)가 형성하되, 상기 결속구(515)의 위치가 이동홀(514)의 단턱면(514-1)으로 구분된 상부 이동홀(514)로 내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17의 (a)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회동체(520)는 결속구(515)를 통해 이동홀(514) 내에 배치되는 가압부(521)와 상기 가압부(521)에 연결되어 결속구(515) 외측인 지지판(510) 정면으로 돌출되는 누름부(522)로 구성되는 일몸체의 구조로서, 상기 가압부(521)는 상향의 소정 각도로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어 그 일단이 이동홀(514) 내부로 연장되면서 이동홀(514)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522)는 가압부(521)의 타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수평길이로 연장되어 결속구(515)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된 일부 상면에 하부로 관통된 그립홀(522-1)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구(515)에 위치한 가압부(521)의 타단 양단이 힌지축(523)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가압부(521)의 힌지연결구(521-1)에 대응되는 지지판(510)의 양측에서 각각 결속구(515)로 연결되는 힌지축(523)을 연결하여 가압부(521)의 힌지연결구(521-1)에 결합함으로서 가압회동체(520)의 누름부(522)를 상향 이동시 가압부(521)가 하향 이동되는 회동구조로 힌지축(523)에 의해 가압회동체(520)가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530)은 지지판(510)의 이동홀(514)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홀(514)의 단턱면(514-1)을 기준으로 상부 이동홀(514)에 형성된 결속구(515) 위치에서 하부 이동홀(514)을 거쳐 지지판(510) 하부의 끼움홈(512)에 형성된 이동홀(514)까지 이동홀(514) 내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형성되어 이동홀(514)의 단턱면(514-1)에 대응되는 차단면(531)이 양측 일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차단면(531) 중앙에서 하향의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결속봉(532)이 형성되면서 상기 결속봉(532)으로 탄성부(533)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533)는 스프링과 같은 복원가능한 탄성력을 가진 것으로서, 어 상기 탄성부(533)의 하단부가 이동홀(514)의 단턱면(514-1)에 밀착 면접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530)의 상단 중앙에 가압회동체(520)의 가압부(521) 하부가 밀착 면접되어 가압회동체(520)의 회동으로 가압부(521)가 누름판(530) 상단을 가압하여 누름판(530)이 하향 이동되며, 상기 누름판(530)의 하향 이동으로 누름판(530) 하부가 지지판(510)의 끼움홈(512)에 형성된 이동홀(514)로 돌출되면서 하측 용기(10)의 수평부(181)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상기 용기이동부재(500)의 누름판(530) 하단이 용기(10)의 보강체(180) 수평부(181)를 가압함으로서 하층 용기(10)의 수직부(182)를 밀착하는 지지판(510)의 걸림턱(513)을 지지하면서 누름판(530) 하단 및 걸림턱(513)이 하측 보강체(180) 수직부(182) 상부 및 하부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여 적층된 용기(10)를 들어 이동시 용기(10) 내에 저장된 식품의 하중에도 적층 용기(10)의 이탈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용기 10 플레이트부 100a 용기성형체 100b
저장공간 101 통공 102 손잡이홀 103
보강형상부 104 바닥부 110 정면부 120
후면부 130 좌측면부 140 우측면부 150
제1모서리부 160 용접부 161 걸림체 170
제1경사부 171 제2경사부 172 보강체 180
수평부 181 수직부 182 이격공간 183
외부지지체 200 수용부 201 제2모서리부 210
용접홀 211 결합홈 212 내부지지체 300
공간부 301 제3모서리부 310 시트삽입홈 311
용접지지체 400 결합부 410 결합탭 411
돌출부 412 가이드봉 420 용접가이드부재 430
이동봉 431 지지부 432 용접지지부 433
가이드공 433-1 삽입공 433-2 용기이동부재 500
지지판 510 끼움부 511 끼움홈 512
걸림턱 513 이동홀 514 단턱면 514-1
결속구 515 가압회동체 520 가압부 521
누름부 522 힌지축 523 누름판 530
차단면 531 결속봉 532 탄성부 533

Claims (7)

  1.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평판의 플레이트부(100a)에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둘레부(S)를 형성하도록 제1모서리부(160)를 사이에 배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를 구성하도록 절단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부(100a)의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제1모서리부(160)를 포함한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를 절곡하여 둘레부(S)를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 그리고 내부에 저장공간(101)이 형성된 용기성형체(100b)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각각의 변(邊)이 대응되는 위치의 제1모서리부(160) 양측 변(邊)에 각각 면접되는 부위에 형성된 용접부(161)를 용접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를 용접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를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는 외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용기성형체(100b)가 긴밀히 수용되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외형에 대응되면서 동일한 면적을 가진 수용부(201)와 상기 용기성형체(100b) 용접부(161)의 수(數)에 대응되면서 용접부(16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로 절개된 용접홀(211)이 제1모서리부(1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모서리부(210)에 한 쌍씩 형성된 외부지지체(200);와,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수용부(201)에 수용된 용기성형체(100b)의 내부 저장공간(101)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면서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된 내부지지체(300); 및,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제2모서리부(210) 상부의 상단면과 하부의 하단면에 각각 테두리형상에 대응되는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지지체(2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각각 대응 결합되도록 내측에 단차진 결합탭(411)을 형성하면서 외측 돌출부(412)는 외부지지체(200) 외부로 돌출되는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410)와, 상기 상측 및 하측의 결합부(410) 돌출부(412)를 상호 수직 연결하여 중간에 용접홀(211)이 위치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봉(4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420)에 결속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용접제(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433-2)을 통해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하는 용접가이드부재(430)로 구성되는 용접지지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이드부재(430)는 한 쌍의 양측 가이드봉(420)에 각각 삽입되도록 관형의 이동봉(431)과,
    상기 이동봉(431) 각각의 상부 내측단 상호 및 하부 내측단 상호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432) 및,
    상기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432)가 삽입되도록 상부 양측면 및 하부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는 가이드공(433-1)을 형성하면서 전면 중앙에서 후면 중앙으로 관통하는 삽입공(433-2)이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433-2)이 후면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진 용접지지부(4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내부 저장공간(101)에 밀착 수용되어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에 대응되는 내부지지체(300) 외면에 형성된 제3모서리부(310)에 있어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제1모서리부(160)에 형성된 용접부(16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모서리부(160)에 용접부(16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 또는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진 시트삽입홈(3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의 테두리단 전체에서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우측면부(150) 및 제1모서리부(160)가 연결되어 수직면을 가진 둘레부(S)를 구성하면서 상기 제1모서리부(160)를 기준으로 양측 연결부위의 용접부(161)를 용접 후(後) 또는 용접 전(前) 용기성형체(100b) 제조단계에서,
    상기 둘레부(S) 상부 테두리단에 연결되어 저장공간(101)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경사부(171)와 상기 제1경사부(171) 상단 길이에서 제1경사부(171)의 기울기에 상하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172)로 구성되어 저장공간(101) 상부 내면에 띠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걸림체(170)와,
    상기 걸림체(170)의 제2경사부(172) 상단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81)와 상기 수평부(181) 단부 길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182)로 구성되어 수직부(182) 내측에 이격공간(183)이 형성된 용기성형체(100b) 상부 외면에 띠형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체(1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저장공간(101) 내면에 형성된 걸림체(170)의 제2경사부(172)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용기성형체(100b)의 바닥부(110) 테두리단과 둘레부(S) 하부 테두리단 사이에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형성되는 기울기면(1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 후(後) 또는 용접 전(前)에 둘레부(S)를 구성하는 바닥부(110), 정면부(120), 후면부(130),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 전체에 이격된 다수 개의 통공(102)이 형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성형체(100b)의 용접부(161)를 용접단계를 거쳐 용기성형체(100b)의 상부에 걸림체(170)와 보강체(180) 그리고 용기성형체(100b)의 하부에 기울기면(111)을 형성한 용기(10)를 제작한 다음, 제작된 상측 용기(10)와 하측 용기(10)를 상하로 적층하여 상측 용기(10)의 좌측면부(140) 및 우측면부(15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측 용기(10)의 보강체(180) 이격공간(183)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단차진 끼움부(511)와 상기 하측 용기(10)의 보강체(180) 수평부(181)를 면접하면서 수직부(182)를 커버하도록 끼움홈(512)이 하부에 형성되면서 하단 내측에 수직부(182) 내측의 이격공간(183)에 결속되는 걸림턱(513)과 상기 끼움부(511)가 형성된 단차면 중앙에서 끼움홈(512) 중앙으로 수직 관통하는 이동홀(514)이 형성하되, 상기 이동홀(514) 내부의 하측에서 끼움홈(512) 중앙을 관통하는 위치까지 이동홀(514)의 내부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 협소한 폭으로 형성되면서 이동홀(514) 하측의 협소한 폭이 시작되는 위치의 이동홀(514) 양측에 각각 단턱면(514-1)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 이동홀(514)로 관통되는 수평길이로 절개된 결속구(515)가 형성된 판재형의 지지판(510)과,
    상기 지지판(510)의 결속구(515)로 삽입되도록 후측에 상향 경사진 기울기를 가진 가압부(521)와 상기 가압부(521) 단부에서 연결되어 결속구(515) 외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누름부(522)로 구성되어 지지판(510)의 양측에서 각각 결속구(515)로 연결되는 힌지축(523)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가압회동체 (520) 및,
    상기 지지판(510)의 이동홀(514)로 긴밀히 삽입되어 이동홀(514)의 하측으로 형성된 협소한 공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하단이 끼움홈(512)의 중앙의 이동홀(514)에 위치 또는 하향 돌출되어 가압회동체(520)의 가압부(521) 하부에 상단 중앙이 면접되며, 상기 지지판(510) 이동홀(514)의 단턱면(514-1)에 대응되는 차단면(531)이 형성되면서 차단면(531) 중앙에 연결되어 하향 돌출되는 결속봉(532)과 상기 결속봉(532)에 삽입되는 탄성부(533)가 구비되는 누름판(530)으로 구성되는 용기이동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KR1020190026771A 2019-03-08 2019-03-08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KR10197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71A KR101976739B1 (ko) 2019-03-08 2019-03-08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71A KR101976739B1 (ko) 2019-03-08 2019-03-08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39B1 true KR101976739B1 (ko) 2019-05-09

Family

ID=6654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771A KR101976739B1 (ko) 2019-03-08 2019-03-08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948U (ja) * 2005-06-22 2005-09-22 ピー ティー マスピオン 加熱用調理容器
KR100641370B1 (ko) 2005-02-25 2006-11-06 정종용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148552A (ja) * 2009-12-25 2011-08-04 Asahi Glass Co Ltd 板状体の収納容器
KR101321245B1 (ko) 2012-02-15 2013-10-28 전재양 식품업계용 보관바구니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068B1 (ko) 2012-06-22 2014-05-15 이영철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바구니
JP2015002264A (ja) * 2013-06-14 2015-01-05 旭化成Fdk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370B1 (ko) 2005-02-25 2006-11-06 정종용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3113948U (ja) * 2005-06-22 2005-09-22 ピー ティー マスピオン 加熱用調理容器
JP2011148552A (ja) * 2009-12-25 2011-08-04 Asahi Glass Co Ltd 板状体の収納容器
KR101321245B1 (ko) 2012-02-15 2013-10-28 전재양 식품업계용 보관바구니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068B1 (ko) 2012-06-22 2014-05-15 이영철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바구니
JP2015002264A (ja) * 2013-06-14 2015-01-05 旭化成Fdk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518B2 (en) Stackable system container and transport system
USRE44754E1 (en) Stackable tray having anti-pivot stop and wash apertures
US8925761B2 (en) Cover for food containers
JPH0219249A (ja) 移動および保存容器
US6713029B1 (en) Sterilization tray
US11065757B2 (en) Hybrid single and double wall case
JP2007055688A (ja) 液体のための移送兼貯蔵容器
KR101976739B1 (ko) 다단 적층식 식품보관용 용기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JP5374274B2 (ja) トレー機能を有するまな板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WO2016004342A1 (en) Self-nesting wavy surface
US10322863B2 (en) Tight fastening type size-free container carrying bag
CN213588013U (zh) 一种可叠放的锅具组合
US20120285851A1 (en) Modular top frame
RU193327U1 (ru) Лоток открытый ручной сборки
KR200485808Y1 (ko)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5322907B2 (ja) 内倒れ式折り畳みコンテナとsnコンテナとの段積み構造
KR101832237B1 (ko)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JP6778444B2 (ja) 合成樹脂容器
KR20140004849U (ko)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KR101666481B1 (ko) 포장 박스
JP7437155B2 (ja) 食品包装容器
KR101671968B1 (ko) 접이식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