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658A -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 Google Patents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658A
KR20110074658A KR1020100110849A KR20100110849A KR20110074658A KR 20110074658 A KR20110074658 A KR 20110074658A KR 1020100110849 A KR1020100110849 A KR 1020100110849A KR 20100110849 A KR20100110849 A KR 20100110849A KR 20110074658 A KR20110074658 A KR 20110074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rticle
oil
group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972B1 (ko
Inventor
히요리 후지이
나오유키 에가와
나오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28Amines the amino group being bound to an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등의 섬유 제품을 건조시킨 후의 향기를 강하게 하고, 또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A)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및/또는 에테르기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8 내지 24의 탄화 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b-1) 심물질이 항료 조성물이고, (b-2) 벽물질이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인 마이크로 캡슐을,
(C)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담지시켜서 이루어지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GOODS OF TREATMENT FOR TEXTILE PRODUCT}
본 발명은,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의류 등의 섬유 제품을 건조할 때에 사용하고, 섬유 제품에 강한 향기와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공장 또는 디젤차로부터 배출되는 부유 분진이나, 삼나무나 노송나무로부터 비산되는 꽃가루 등의 대기중에 부유하는 알레르겐이 세탁물에 부착하는 것을 피하거나, 야간에 세탁한다는 사정 때문에, 세탁물을 밖에 말릴수가 없어서 의류용 건조기나 건조기 부착 세탁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때, 의류 등에 유연성이나 대전방지 기능 등을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연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디장쇄(長鎖) 카티온과 모노장쇄 카티온을 특정 비(比)로 포함하고, 또한 특정량의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와 지방산을 특정 비로 포함하는 유연제 조성물을 부직포, 스펀지 등의 기체(基體)에 담지시킨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분자 내에 탄소수 11 내지 22의 탄화 수소기를 2 내지 3개와 -COO-기 및/또는 -CONH-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또는 그 무기산 또는 탄소수 6 이하의 유기산의 중화물을,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 성형물에 담지시켜서 이루어지는 의료 처리용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수용성 폴리머중에 매봉(埋封)된 납(蠟)물질과 방향성의 유화성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입자를 포함하는 섬유 컨디셔닝용 방향성 마이크로 캡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7-1857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4-33366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5-222672호 공보
본 발명은, 의류용 건조기로, 건조시킨 후의 의류 등의 섬유 제품의 유연성이 양호하고, 또한 건조시킨 후의 향기를 강하게 할 수 있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을 벽(壁)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항료 조성물을 봉입하고, 그것을 유연 기제와 함께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적용함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A)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및/또는 에테르기로 분단(分斷)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8 내지 24의 탄화 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b-1) 심물질(芯物質)이 항료 조성물이고, (b-2) 벽물질(壁物質)이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인 마이크로 캡슐을,
(C)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직후의 세탁물의 향기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에 의해 처리한 세탁물은, 톱 노트를 포함하는 프레시한 향기가 오래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액체 유연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유연성을 세탁물에 부여할 수 있다.
[(A)성분]
본 발명의 (A)성분은, 일반적으로 섬유 제품의 유연 처리에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이고,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및/또는 에테르기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8 내지 24의 탄화 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함유하는 3급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I) 내지 (Ⅷ)에 나타내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그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의한 중화물, 및 그 4급화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 자연환경중에 폐기된 후의 생분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탄소수 8 내지 24의 탄화 수소기의 도중에 에스테르기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상기 3급 아민 화합물(I)을 구성하는 R3은 탄소수 8 내지 24의 탄화 수소기이다. 불포화기를 갖는 경우, 시스체와 트랜스체가 존재하는데, 그 질량은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시스/트랜스=25/75 내지 100/0이 바람직하고, 40/60 내지 80/20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포화와 불포화 탄화 수소기의 질량비는, 70/30 내지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건조기중에서 A성분이 분산되기 쉽고, 옷감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3급 아민 화합물(Ⅱ) 내지 (Ⅷ)을 구성하는 R4는 탄소수 8 내지 24의 지방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뺀 잔기(殘基)이고,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직쇄 지방산, 분기 지방산의 어느 하나로부터 유도되는 장쇄 탄화 수소기이다. 불포화 지방산인 경우, 시스체와 트랜스체가 존재하는데, 그 질량비는 시스/트랜스=25/75 내지 100/0이 바람직하고, 40/60 내지 80/20이 특히 바람직하다. R4의 기본이 되는 지방산은 이하의 것이 예시할 수 있다. 스테아린산, 파르미틴산, 미리스틴산, 라우린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부분 수첨(水添) 팜유지방산(요오드가(價) 10 내지 60), 부분 수첨 우지(牛脂)지방산(요오드가 10 내지 60)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파르미틴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을 소정량 조합시키고, 포화/불포화의 질량비가 95/5 내지 50/50, 시스/트랜스 체질 량비가 40/60 내지 80/20, 요오드가가 10 내지 50, 탄소수 18의 함유률이 80질량% 이상이고, 탄소수 20의 지방산을 2질량% 이하, 탄소수 22의 지방산을 1질량%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 지방산 조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중에 존재한 R4은 모두 동일하여도, 또는 각각 달라도 상관없다.
상기 3급 아민 화합물의 중화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메틸황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3급 아민은 염산, 황산, 메틸황산에 의해 중화된 아민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화 공정은 3급 아민을 미리 중화한 것을 물에 분산하여도 좋고, 산(酸) 수용액중에 3급 아민을 액상 또는 고체상으로 투입하여도 좋다. 물론 3급 아민과 산성분을 동시에 투입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3급 아민의 4급화에 사용하는 4급화제로서는 염화 메틸이나 디메틸황산을 들 수 있다.
일반식(Ⅱ), (Ⅲ)의 화합물은 상기 지방산 조성물, 또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조성물과 메틸디에탄올아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 때, 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Ⅱ)와 (Ⅲ)의 화합물의 존재 비율은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4급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급화제로서 염화 메틸이나 디메틸황산 등을 사용하지만, 저분자량이고 4급화에 소요되는 4급화제 중량이 적은 점에서 염화 메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때, (Ⅱ)와 (Ⅲ)으로 나타나는 에스테르아민의 4급화물의 존재 비율도,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Ⅱ)와 (Ⅲ)을 4급화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4급화 반응 후에도 4급화되지 않은 에스테르아민이 잔류한다. 그 때, 4급화물/4급화되지 않은 에스테르아민의 비율은,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99/1 내지 70/3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Ⅳ), (V), (Ⅵ)의 화합물은 상기 지방산 조성물, 또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조성물과 트리에탄올아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 때, 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Ⅳ)+(V)]와 (Ⅵ)의 화합물과의 존재 비율은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4급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급화제로서 염화 메틸이나 디메틸황산 등을 사용하는데, 반응성의 관점에서 디메틸황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때, [(Ⅳ)+(V)]와 (Ⅵ)으로 나타나는 에스테르아민의 4급화물의 존재 비율도,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Ⅳ), (V) 및 (Ⅵ)를 4급화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4급화 반응 후에도 4급화되지 않은 에스테르아민이 잔류한다. 그 때, 4급화물/4급화되지 않은 에스테르아민의 비율은,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99/1 내지 70/30의 질량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Ⅶ), (Ⅷ)의 화합물은 상기 지방산 조성물과 N-메틸에탄올아민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부가물로부터, 「J. Org. Chem. , 26, 3409(1960)」에 기재된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N-(2-히드록시에틸)-N-메틸-1,3-프로필렌디아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 때, (Ⅶ)와 (Ⅷ)의 화합물의 존재 비율은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4급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화 메틸로 4급화 하는데, (Ⅶ)와 (Ⅷ)로 나타나는 에스테르아민의 4급화물의 존재 비율도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Ⅶ), (Ⅷ)를 4급화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4급화 반응 후에도 4급화되지 않은 에스테르아민이 잔류한다. 그 때, 4급화물/4급화되지 않은 에스테르아민의 비율은,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99/1 내지 70/30의 질량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기에 나타내는, 탄소수가 8 내지 24의 고급 지방산 유래의 지방산 아미드알킬 3급 아민 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지방산은 포화라도 불포화라도 좋다.
상기 지방산 아미드알킬 3급 아민의 구체예로서는, 카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우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파르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올레인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미드알킬 3급 아민 또는 그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 자체의 냄새가 낮고 양호하기 때문에, 카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우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파르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올레인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가 바람직하고, 파르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파르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와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와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장쇄 지방산 아미드알킬 3급 아민의 구체적인 상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동방화학(주)제의 카치날PAS-R(상품명, 파르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와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의 질량비 3/7 혼합물), 라이온아크조(주)제의 아민APA168-65E(상품명, 파르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와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의 질량비 30/70 혼합물의 65질량%의 에탄올 용액)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지방산 아미드알킬 3급 아민 또는 그 염은, 예를 들면, 지방산 또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동·식물성 유지 등의 지방산 유도체와, 디알킬아미노알킬아민을 축합 반응시키고, 그 후, 미반응의 디알킬아미노알킬아민을, 감압 또는 질소 블로우로 제거함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로서는,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파르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베헤닌산, 에루카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야자유지방산, 면실유지방산, 옥수수유지방산, 우지지방산, 팜핵유지방산, 대두유지방산, 아마인유지방산, 피마자유지방산, 올리브유지방산 등, 또는 이들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등을 구체적으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섬유 제품에의 흡착 성능에 우수하기 대문에,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파르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베헤닌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A)성분의 (C) 부직포에의 담지량은, 부직포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8g/㎡,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g/㎡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g/㎡ 미만에서는 유연화 기재의 절대량이 적어, 유연 효과가 불충분하다. 18g/㎡를 넘으면 건조기중에서의 사용 조건에 의해, 유연화 기재가 옷감에 다량에 부착하여, 끈적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B)성분]
[(b-1) : 심물질]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심물질로서는, 수불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벽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할 수 있는 항료 조성물이라면 특히 제한 없이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 제품용 마무리제나 유연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료 성분이나, 인체에 대한 생리 활성 기능을 갖는 항료 성분, 모기 등의 벌레에 대한 기피 효과가 있는 항료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료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 페놀류, 알코올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하이드로카본류, 케톤류, 락톤류, 무스크류,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 천연 항료, 동물성 항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운데실렌알데히드, 라우릴알데히드, 알데히드 C-12MNA, 미락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에틸바닐린, 헤리오트로핀, 아니스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옥탄알, 리구스트랄, 릴리알, 리랄, 트리플랄, 바닐린, 헬리오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오이겐올, 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박단올, 디하이드로미르센올, 디하이드로 리날로올, 리날로올, 네롤, 산탈롤, 산탈렉스, 터피네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로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세드람바, 그리살바, 메틸오이겐올, 메틸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스-3-헥센일아세테이트, 시스-3-헥센일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센일살리실레이트, p-크레질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세드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데카하이드로-β-나프틸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에리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트아세테이트, 에리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게라닐포메이트,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β-페닐에틸아세테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스티랄릴아세테이트, 터피닐아세테이트, 베티베릴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만자네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르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α-이오논, β-이오논, 메틸-β-나프틸케톤, α-다마스콘, β-다마스콘, δ-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메틸이오논, 알릴이오논, 카슈메란, 디하이드로자스몬, 이소 이 수퍼, 베르토픽스, 이소론지포라논, 코아본, 로즈페논, 라즈베리케톤, 다이나스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톤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γ-데카락톤, γ-운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도데카락톤, 쿠마린, 안브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스크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갈락솔라이드, 무스크케톤, 토날리드, 니트로무스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게라니올(제라니올), 네롤, 리날로올, 시트랄, 시트로넬롤, 멘톨, 민트, 시트로넬랄, 미르센, 피넨, 리모넨, 테레피네롤, 카르본, 요논, 캄퍼(장뇌), 보르네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항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프티그레인유, 유자유, 네롤리유, 베르가모트유, 라벤더유, 라반딘유, 아비에스유, 아니스유, 베이유, 보아 드 로즈유, 일랑일랑유, 시트로넬라유, 제라늄유, 페퍼민트유, 박하유, 스페어민트유, 유칼리유, 레몬그라스유, 파출리유, 자스민유, 장미유, 시다유, 베티버유, 갈바넘유, 오크모스유, 파인유, 장뇌유, 백단유, 방장유, 테레핀유, 클로브유, 검정 클로브유, 카시아유, 너트메그유, 카날가유, 타임유 등의 정유를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성 항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향, 영묘향, 해리향, 용연향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항료 조성물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표 A]
Figure pat00002
[표 B]
Figure pat00003
[표 C]
Figure pat00004
항료 조성물 중에는 항료 성분과 함께 통상 사용하는 용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항료용 용제로서는, 아세친(트리아세친), MMB아세테이트(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스크로스디아세테이트헥사이소부틸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부틸레이, 헥실렌글리콜디부틸세바케이트, 델틸엑스트라(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메틸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TEG(트리에틸렌글리콜), 안식향산 벤질, 프로필렌글리콜, 프탈산 디에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볼린(디메틸프탈레이트), 델틸푸라임(이소푸로필팔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파르네센, 디옥틸아디페이트, 트리부틸렌(글리세릴트리부타노에이트), 히드로라이트-5(1,2-펜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세틸아세테이트(헥사데실아세테이트), 에틸아비에테이트, 아바린(메틸아비에테이트), 시트로플렉스A-2(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A-4(트리부틸아세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No.2(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No.4(트리부틸시트레이트), 도우라픽스(메틸디히드로아비에테이트), MITD(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폴리리모넨(리모넨 폴리머),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항료 조성물중에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질량% 배합된다.
(b-1)성분은, 마이크로 캡슐 전량에 대해, 40 내지 95%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9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마이크로 캡슐의 형성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역으로 너무 적으면 적당한 향기 강도를 얻을 수가 없다.
[(b-2) : 벽물질]
본 발명에 사용되는 (b-2) 벽물질은, 수불용성의 고분자 물질이고, 상기 심물질을 안정하게 마이크로 캡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불용성」이란, 25℃의 물 100g에의 용해도가 1g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된 중량 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0이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향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불용성의 고분자 물질의 구체예로서는, 우레탄계, 멜라민계, 폴리비닐계, 폴리아크릴산계, 폴리메타크릴산계 등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유성막 형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한 최적의 벽물질은, 제조성, 적당한 캡슐 벽의 강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우레탄계 고분자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화합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민 화합물로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사메틸렌디아민,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조합이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계 고분자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유도되는 메틸올멜라민으로 이루어지는 프리폴리머를 가열 경화하여 얻어진다.
폴리아크릴산계 고분자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그 저급 알킬(C1-4)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계 고분자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무수 말레인산, 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산계 고분자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저급 알킬(C1-4)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벽물질로서는,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물질 및 멜라민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물질 및 멜라민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의 입경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단심형(單芯型) 구조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너무 작으면 건조 직후의 향기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너무 크면 옷감에 균일하게 부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계면 중합법, in-situ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벽물질로서 우레탄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계면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용기에 적절한 농도의 유화제 수용액을 조제하여 두고, 다른 용기에 (b-1) 항료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투입한다. 뒤이어, 상기 2종류의 용액을 고속 교반기에 충전한 후, 고속 교반하여 O/W 에멀션을 조제하고, 뒤이어 적절한 농도의 폴리아민 수용액을 넣어서, 상온에서 소정시간 교반, 반응시켜서 캡슐 벽을 경화하고, 마이크로 캡슐을 조제할 수 있다.
벽물질로서 멜라민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in-situ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벽물질을 심물질의 외측에서 형성시키는 방법이 알맞다. 예를 들면, 교반기를 구비한 용기에 필요에 응하여 유화제를 용해한 적절한 농도의 수용액에, (b-1) 항료 조성물을 분산 농도가 10 내지 40질량%가 되도록 60 내지 80℃에서 분산시킨 후, 교반에 의해 심물질이 소정의 입경으로 되도록 컨트롤한다. 이것과는 별도로, 예를 들면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질량비가 3/1 내지 6/1이 되도록 혼합한 후, 60 내지 80℃에서 5 내지 20분간 축합반응시켜서 수용성의 프리폴리머를 조제하고, 이 프리폴리머를 상기 심물질의 분산액에 투입한다. 뒤이어, 구연산, 황산, 염산 등의산에 의해 pH를 2 내지 5로 조제한 후, 60 내지 80℃에서 3 내지 6시간 중합시킴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을 조제할 수 있다.
벽물질로서 폴리아크릴산계 고분자 또는 폴리메타크릴산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in-situ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벽물질을 심물질측에서 형성시키는 방법이 알맞다. 예를 들면, 미리 아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에틸 등의 모노머를 심물질에 대해 5 내지 30%,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과산화 벤조일 등의 중합 개시제를 상기 모노머에 대해 0.1 내지 5%가 되도록 용해시킨 심물질에 용해시켜 두고, 이것을 교반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용기에 상기 심물질의 분산 농도가 10 내지 40질량%가 되도록 필요에 응하여 상술한 유화제를 용해한 적절한 농도의 수용액에 20 내지 70℃에서 분산시킨 후, 교반에 의해 심물질이 소정의 입경이 되도록 컨트롤한다. 이 분산액을 60 내지 80℃까지 승온한 후, 질소를 도입하면서 3 내지 6시간 중합시킴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을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벽물질의 막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벽물질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필요에 응하여 유화제, 분산제 등을 통상의 사용량으로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화제 또는 분산제로서는, 폴리스티렌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에틸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 아세트산 비닐-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일본 특개소60-166026) 등의 음이온계 유화제 또는 분산제,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일본 특개평11-188257) 등의 비이온계 유화제 또는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벽물질의 배합량은, 그 종류 등에 의해 적절히 선정할 수 있지만, 통상 마이크로 캡슐 전량에 대해, 5 내지 60질량%, 특히 10 내지 50질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벽물질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마이크로 캡슐의 형성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역으로 너무 많으면 상대적으로 심물질의 배합량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B)성분의 마이크로 캡슐의 담지량은, (C) 부직포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3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2.5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 내지 1.25g/㎡이다. 0.003g/㎡보다 적으면 향기의 강도 지속성이 부족해지고, 1.25g/㎡보다 많아지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가 않다.
[(C)성분]
(A)성분 및 (B)성분을 담지시키는 지지체(C)로서는, 재료 자신의 내부에 상기 성분을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부직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이들의 혼합물, 내측이 폴리에틸렌또는 폴리프로필렌인 한쪽이고, 외측이 다른쪽인 복합 폴리올레핀 섬유를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혼합물인 경우,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섬유인 경우, 양자의 비는,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 30 : 70 내지 70 : 30(질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섬유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더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부직포가 다른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섬유 사이의 접착 강도를 유지할 필요상, 폴리에틸렌 섬유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양을,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전량에 대해 3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폴리올레핀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섬유 사이의 접착 강도를 유지할 필요상, 그 양을 5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내측이 폴리프로필렌이고, 외측이 폴리에틸렌인 복합 폴리올레핀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섬유로서는 짓소(주)의 ES 섬유 등으로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상기 섬유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건조시의 부직포의 보푸라기(毛羽) 부착 억제의 관점에서, 1 내지 10데니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직포는, 정법(定法)에 따라, 상기 섬유를, 합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기계적으로 뒤얽히게 하여 접합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융점 성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심(芯)으로 하고, 그 외측에 저융점 성분인 폴리에틸렌을 코팅한 구조의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는, 섬유 사이의 접착이 구성 섬유의 열융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른바 노바인더 부직포라고 말하여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직포에 포함되는 섬유의 배열은 망상(網狀), 아세직상(織狀), 아세직상 이면서 섬유의 배향이 랜덤상(狀)인 것 등, 여러 가지의 배합이 있어도 좋다.
[(D)성분]
본 발명의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은, 또한 (D)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산화 방지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천연계 산화 방지제, 합성계 산화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예를 들면 셸케미칼주재팬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아이놀 ; 메톡시페놀(예를 들면 카와구치화학공업(주)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MQ-F) ;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예를 들면 치바스페셜티케미칼(주)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일가녹스 시리즈 ; 비스페놀계 화합물,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예를 들면 카와구치화학공업(주)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안테지 시리즈) ;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팔미테이트, 몰식자산 프로필, BHT(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A(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구연산, 히드로퀴논, 3급 부틸히드로퀴논, 천연의 토코페롤계 화합물 ; 몰식자산의 장쇄 에스테르(C8 내지 C22), 예를 들면 몰식자산 도데실 ; 구연산 이소프로필, 4,5-디히드록시-m-벤젠술폰산/나트륨염, 디메톡시페놀, 카테콜, 카로티노이드, 푸란류, 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p-메톡시페놀,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2,2'-메틸렌비스(6-t-부틸-4-에틸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D) 산화 방지제의 담지량은, (C) 부직포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g/㎡를 초과하고, 1.5g/㎡ 이하의 범위이다. 이 범위에 있으면 건조기로 건조중의 피지냄새의 발생을 억제하고, 항료의 향기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담지량이 적으면 피지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없고, 산화 방지제의 담지량이 이 범위보다 적으면 효과를 실감할 수가 없고, 이 범위보다 많아지면, 섬유 제품이 황변(黃變)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에는, 유연성을 한층 향상시킴과 함께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A)성분 이외에 모노장쇄알킬 트리단쇄알킬 제 4급 암모늄염(장쇄알킬기중에는,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등이 들어가 있어도 좋다), 지방산, 지방산 아미드, 고급 알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페놀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유지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되어 있지 않는 (b-1) 항료 조성물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건조기 내에서의 (A)성분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형광증백제, 염료, 안료, 항료, 실리콘, 항균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은, (A) 특정한 3급 아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4급화물을, 경우에 따라 임의 성분과 함께, 이들 성분중의 가장 낮은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한 것에 (C) 부직포를 침지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B) 마이크로 캡슐을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하여 포리스포이트 등으로 적하함에 의해 적용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의 조제]
<재료>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성분을 이하에 표시한다.

기호

화학명

메이커

상품명
A-1 에스테르기에서 중단된 장쇄탄화수소기 함유 제4급 암모늄 메틸사르페이트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트리에스테르질량비=28:53:19]
하기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제 4급 암모늄염(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의 혼합물)*1
A-2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메틸사르페이트
라이온아쿠조 아카드 2HPL-MS
A-3 N-(3-알킬로일아미노프로필)-N-(2-알킬로일 옥시에틸)-N-메틸암모늄크로라이드
실험실 합성품 *2
-
주) *1 : 4급 암모늄염 조성물의 조제
-알칸올아민에스테르의 합성-
팜유 유래의 스테아린산 메틸 45질량%와 올레인산 메틸 35질량%와 파르미틴산 메틸 20질량%를 포함하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혼합물(라이온주식회사, 파스텔 M180, 파스텔 M181, 파스텔 M16의 혼합물) 785g(2.68몰), 트리에탄올아민 250g(1.68몰), 산화 마그네슘 0.52g, 및, 14%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71g(에스테르 교환 촉매 ; 몰비(나트륨 화합물/마그네슘 화합물)=1.01/1, 상기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 질량에 대한 촉매 사용량 : 0.10질량%)를, 교반기, 분축기,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L의 4구(口) 프라스코에 넣었다. 질소 치환을 행한 후, 질소를 0.52ℓ/min의 유량으로 흘려 두었다. 1.5℃/min의 속도로 190℃까지 승온하고, 6시간 반응시켰다. 미반응 메틸에스테르가 1질량% 이하인 것을 확인하고, 반응을 정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로부터 촉매 유래인 지방산염을 여과 제거하고, 중간체의 알칸올아민에스테르를 얻었다. 아민값을 측정하고, 분자량을 구하니 582였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
얻어진 알칸올아민에스테르(분자량 582) 300g(0.515몰)을, 온도계, 적하 로트 및 냉각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프라스코에 넣고, 질소 치환하였다. 그 후, 60℃로 가열하고, 디메틸황산 63.7g(0.505몰)를 1시간 걸려서 적하하였다. 반응열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이 없도록 조금씩 온도를 조절하고, 디메틸황산 적하 종료시점에서, 90℃에 도달시켰다. 그대로 90℃로 유지하고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약 69g의 에탄올을 적하하면서 냉각하고, 에탄올 용액을 조제하고,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를 얻었다. 모든 조작은 질소 미량 유통하에서 행하였다.
*2 : 스테아린산에 대신하여 경화 우지(牛脂)지방산을 사용하고, 일본 특개평5-230001호 공보의 실시예 1의 기재에 따라 4급 암모늄염 300g을 얻었다.
상기 4급 암모늄염 300g에 대해 53g의 미(未)변성 에탄올(일본에탄올(주))을 가하여, 고형분이 85질량%의 에탄올 용액으로 하였다.
[(B)성분]
(B-1)
300㎖용(容) 비커에, 이온교환수 200g과, 유화제로서 폴리스티렌술폰산 나트륨염(상품명 「폴리티 PS-1900」, 라이온제) 5g을 넣고, 상기 폴리스티렌술폰산 나트륨염을 용해시켰다.
100㎖용 비커에, 표 2에 표시하는 항료 조성물(b-1) 55g과, 벽물질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상품명 「PAPI-135」, Dow Chemical제) 8g을 넣고, 양자를 혼합하였다.
500㎖용 비커에, 상기한 2종류의 용액을 넣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O/W 에멀션을 생성시켰다. 그곳에, 벽물질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40wt%의 헥사메틸렌디아민 수용액 75g을 넣고, 상온에서 400rpm로 2시간 교반하여 계면 중합 반응시켜, 우레탄계 고분자의 벽을 갖는 아니온성 마이크로 캡슐(B-1)의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의 평균 입자경을, 시마즈 레이저 회절식 입자 분포 측정 장치 SALD-300V(시마즈제작소제)로 측정한 결과, 약 5㎛이였다. 얻어진 아니온성 마이크로 캡슐(B-1)중의 항료 조성물(b-1)의 함유률은 약 59%였다.
(B-2)
유화제로서, 에틸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상품명 「A-C573A」, 「A-C573P」, 모두 하네웰사제)의 나트륨염, 및 폴리스티렌술폰산 나트륨염(상품명 「폴리티 PS-1900」, 라이온제)을 각각 5% 함유하는 수용액 300g에, 표 2에 표시하는 항료 조성물(b-1)을 150g을 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5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O/W 에멀션을 조제하였다.
별도로, 멜라민 30g과, 35%의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00g과, 물 350g을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에 소량의 수산화 나트륨을 가하여 pH를 약 9로 조절하였다. 이것을 80℃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메틸올멜라민 수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메틸올멜라민 수용액을 상기 O/W 에멀션에 첨가하여 70℃에서 약 2시간 교반하여 in-situ 중합 반응시켜, 멜라민계 고분자의 캡슐 벽을 갖는 아니온성 마이크로 캡슐 (B-2)의 수성 분산액을 얻었다.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마이크로 캡슐의 평균 입자경을 측정한 결과, 각각 약 4㎛이였다. 얻어진 아니온성 마이크로 캡슐(B-2)중의 항료 조성물(b-1)의 함유률은 약 67%였다.
(B-3)
유화제로서, 폴리스티렌술폰산 나트륨염 대신에 폴리비닐알코올(상품명 「고세놀L05」, 일본합성화학제)을 5g 사용하고, 항료 조성물로서, 표 2에 표시하는 항료 조성물(b-1)을 사용하여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이온성 마이크로 캡슐(B-3)의 수성 분산액 약 340g을 얻었다.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마이크로 캡슐의 평균 입자경을 측정한 결과, 각각 약 5㎛이였다. 얻어진 비이온성 마이크로 캡슐(B-3)중의 항료 조성물(b-1)의 함유률은 약 59%였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주) *1 : 합성 방법
이소트리데실알코올(상품명 「루텐졸O3」, BASF사제) 115g과, 촉매로서 40% KOH 1.25g을 내압제 반응 용기에 넣고, 일상 방법에 의해 용기 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촉매중을 100℃, 2.4 내지 2.7kpa로 30분 탈수하고 나서 온도를 140℃까지 승온하였다. 교반하면서 0.25MPa 이하에서 에틸렌옥시드 867.8g을 부가 반응시키고, 부가 반응 종료 후, 압력이 평형이 될 때까지 숙성하였다. 다음에, 온도 60℃ 이하까지 냉각하고, 정제수 249g을 첨가 후, 80% 아세트산을 0.37g과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나트륨(색조 안정화를 위한 키레이트제) 0.01g을 첨가하고, 30 분간 분산시켰다.
* 2 : 담지량은 있는 그대로의 양을 기재. 값은, (C) 부직포의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섬유 제품용 처리물품의 제조>
위에 표시한 (A)성분과, (D)성분과, 공통 성분을 함께 가열 용융하고, 이들 성분을 혼합하였다. 이들 성분의 양은 표 5에 표시하였다.
23×28㎝로 재단한 (C) 부직포를 이 용액에 침지한 후, 스로틀 롤러를 이용하여 짜내ㅇ여 부직포에 포함되는 상기 혼합물의 양이 2g이 되도록 하였다. 그 후, 위에서 조제한 (B)성분의 분산액을 물에 용해시켜서 10%수용액으로 하고, 상기 부직포에 소정량 균일하게 소정량 부착하도록 균일하게, 2㎖의 포리스포이트로 적하하고, 건조하여 섬유 제품용 처리물품을 얻었다. 표 5중의 숫자는, (C) 부직포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질량 g/㎡을 나타낸다.
또한, (C) 부직포로서는, 섬유 두께가 3d와 6d의 2종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섬유, 상품명 「ES 섬유」, 짓소(주)제)를, 50/50(중량비) 로 충분히 혼합한 부직포 시트(평량(坪量) 20(g/㎡))을 사용하였다.
[향기의 강도, 유연성, 피지냄새의 강도, 및 착색의 평가]
위에서 얻어진 섬유 제품용 처리물품의 향기의 강도를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포의 전처리>
시판의 면 타월(면 100%, (주)동진제) 15장을, 시판 의료용 세제(상품명 「톱」, 라이온(주)제, 성분 : 계면활성제(알파술포지방산 에스테르나트륨, 지방산 나트륨, 직쇄알킬벤젠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물 연화제, 알칼리제, 효소, 형광증백제)에 의해, 가정용 2조식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 15분(세제는 표준량 사용, 욕비 30배, 45℃수도물)→ 탈수 5분의 행정을 2사이클 반복 후, 유수 헹굼 15분→ 탈수 5분의 행정을 5회 반복하고, 자연 건조한 것을 시험포로 하였다. 이 처리를 반복 행하여, 처리에 사용하는 타월을 작성하였다.
<처리 방법>
위에서 전처리한 타월 20장을 이용하고, 시판 의료용 세제(상품명 「톱」, 라이온제) 20g을 사용하여, 세탁하였다. 세탁은 가정용 전자동 세탁기(MAN-V8TP, 미쓰비시전기(주)제)를 이용하여, 표준 코스, 수량 28L로 행하였다. 그 후, 면 메리야스(면 100%, 야즈상점으로부터 구입) 30×30㎝에 10%올레인산의 에탄올 수용액(에탄올/수용액 = 50/50)을 2%o. w. f. 도포한 옷감을 3장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섬유 제품용 처리물품을 투입하고, 가정용 건조기(마쓰시타전기 NH-D45A)를 사용하여, 50 내지 80℃에서 1시간 건조하였다.
<평가 방법>
■ 향기 강도
건조 종료 직후에 건조기의 문을 연 순간의 향기의 강도를, 6단계 냄새 강도 표시법에 의거하여 20대 내지 40대의 패널 20명이 평가하였다.
0 : 무취
1 : 겨우 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향기
2 : 어떤 향기인지 알 수 있을 정도의 향기
3 : 쉽게 감지할 수 있는 향기
4 : 강한 향기
5 : 강렬한 향기
평균점이, 3.0점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 유연성
위에서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으로 처리한 20장의 타월의 유연성을, 미처리 또는 액체 유연제로 처리한 기준포의 유연성과 비교함에 의해 전문 패널러가 평가하였다. 패널러는 전부로 5명이고, 각자 20장의 타월을 평가하였다.
기준포는, 시판의 면 타월(면 100%, (주)동진제) 3장을, 시판 의료용 세제(상품명 「톱」, 라이온(주)제)에 의해, 가정용 1조식 세탁기(마쓰시타전기 NA-35)를 이용하여, 세탁 8분(세제는 면 타월 1.5kg에 대해 20g의 비율로 사용, 욕비 30배, 45℃ 수도물)→ 탈수 3분→ 헹굼 3분→ 탈수 1분→ 유연 처리 3분→ 탈수 1분한 후, 건조기(마쓰시타전기 NH-D45A, 표준 코스)를 이용하여, 50 내지 80℃에서 1시간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연 처리는, 탈수 후, 2회째의 헹굼용의 물을 모아 둔 세탁조에, 시판 유연제(상품명「향기와 데오도란토의 소후란 후로랄아로마의 향기」, 라이온제)를 첨가하고, 3분간 교반함에 의해 행하였다. 유연제는, 면 타월 1.5kg에 대해 10㎖을 표준 사용량으로 하여, 그 0.5배량 및 1.5배량을 첨가하였다.
평가 기준
0점 : 유연제 없음
1점 : 0.5배량
2점 : 표준 사용량
3점 : 1.5배량
평균치가, 2점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 피지냄새의 강도
건조 종료 직후에 건조기의 문을 연 순간의 피지냄새의 강도를, 6단계 냄새 강도 표시법에 의거하여 20대 내지 40대의 패널 20명이 평가하였다.
0 : 무취
1 : 겨우 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냄새
2 : 어떤 냄새인지 알 수 있을 정도의 냄새
3 :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
4 : 강한 냄새
5 : 강렬한 냄새
평균점이, 3.0점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 착색
<처리 방법>
위에서 전처리한 타월 20장을 사용하여, 시판 의료용 세제(상품명 「톱」, 라이온제) 20g을 사용하여, 세탁하였다. 세탁은 가정용 전자동 세탁기(MAN-V8TP, 미쓰비시전기(주)제)를 이용하고, 표준 코스, 수량 28L로 행하였다. 그 후, 면 메리야스(면 100%, 야즈상점으로부터 구입) 30×30㎝에 10% 올레인산의 에탄올 수용액(에탄올/수용액 = 50/50)을 2%o. w. f. 도포한 옷감을 3장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섬유 제품용 처리물품을 투입하고, 가정용 건조기(마쓰시타전기 NH-D45A)를 사용하여, 50 내지 80℃에서 1시간 건조하였다. 이 공정(세척 내지 건조)를 반복하여 10회 행하고, 20장의 타월의 착색을, 미처리포와의 색차(△b값 ; 황변도)를 비교함에 의해 평가하였다. 타월 20장의 △b값의 평균치를 구하고, 1.3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8

Claims (4)

  1. (A)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및/또는 에테르기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8 내지 24의 탄화 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함유하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b-1) 심물질이 항료 조성물이고, (b-2) 벽물질이 수불용성 고분자 물질인 마이크로 캡슐을,
    (C)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b-2)가, 우레탄계 고분자 물질, 멜라민계 고분자 물질, 폴리아크릴산계 고분자 물질 및 폴리메타크릴산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b-2)가,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우레탄계 고분자 물질이전지 또는 멜라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KR1020100110849A 2009-12-25 2010-11-09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KR101853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4933 2009-12-25
JP2009294933A JP5266547B2 (ja) 2009-12-25 2009-12-25 繊維製品処理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58A true KR20110074658A (ko) 2011-07-01
KR101853972B1 KR101853972B1 (ko) 2018-05-02

Family

ID=4434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849A KR101853972B1 (ko) 2009-12-25 2010-11-09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66547B2 (ko)
KR (1) KR101853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6220B2 (ja) * 2009-12-28 2014-09-10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処理剤
CN113005785B (zh) * 2021-03-02 2022-07-15 东华大学 一种基于夹持式热对流多效铆固技术的可控释香三维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6603A (en) * 1991-09-25 1993-09-21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Fragrance microcapsules for fabric conditioning
JP4039750B2 (ja) 1998-10-05 2008-01-30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仕上げ剤組成物
JP4740801B2 (ja) * 2006-06-28 2011-08-03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仕上げ剤組成物
US20080045426A1 (en) * 2006-08-17 2008-02-21 George Kavin Morgan Dryer-added fabric care articles imparting malodor absorption benef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6547B2 (ja) 2013-08-21
KR101853972B1 (ko) 2018-05-02
JP2011132640A (ja)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4082B2 (ja) 改善された粘度安定性を有する布地柔軟剤組成物
WO2010066486A2 (de) Photolabile duftspeicherstoffe
WO2010119020A1 (de) Trägersystem für duftstoffe
WO2012037122A2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20110074658A (ko) 섬유 제품 처리용 물품
JP2011130986A (ja) 消臭剤組成物
JP2010285737A (ja) 香りが長続きする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5703052B2 (ja) カプセル粒子含有繊維処理剤の製造方法
DE60317919T2 (de) Wäschebehandlungsmittel enthaltend sublimierbares material
EP2046927A1 (de) Oh-gruppenhaltige esterquats zur verbesserten duftstoffausbeute
JP2019535922A (ja) 改善された凍結融解安定性を有する布地柔軟剤組成物
JP5671715B2 (ja) 香料の乳化分散物
JP2019112731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5586220B2 (ja) 繊維製品処理剤
WO2020125937A1 (de) Dispenser zur abgabe eines wirkstoffes
CN117916352A (zh) 用于减少恶臭的酚类组合物
WO2002050230A1 (de) Dispersionen nanapartikulärer riechstoffhaltiger kompositmaterialien
WO1994024092A1 (de) Fettsäureamide mit verbesserter kaltwasserdispergierbarkeit
JP2024053218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H0261174A (ja) 衣料用柔軟仕上剤
JP7106359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WO2021132722A1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23051095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KR101050163B1 (ko) 섬유용 유제 조성물
CN117545827A (zh) 香料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