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387A - 저 다분산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 - Google Patents

저 다분산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387A
KR20110073387A KR1020107028526A KR20107028526A KR20110073387A KR 20110073387 A KR20110073387 A KR 20110073387A KR 1020107028526 A KR1020107028526 A KR 1020107028526A KR 20107028526 A KR20107028526 A KR 20107028526A KR 20110073387 A KR20110073387 A KR 2011007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derivatives
organic
formula
v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991B1 (ko
Inventor
프랑크 에곤 마이어
닐스 슐테
빌리 크로이더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7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 C09B69/10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B69/109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ther specific dy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5Polyfluor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로비플루오렌, 인데노플루오렌, 페난트렌, 디히드로페난트렌, 디히드로피렌, 테트라히드로피렌 및 디히드로벤족세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저 다분산성 및 고 분자량을 갖는 신규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화물 및 제형, 및 전자 소자에서의,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위 OLED (OLED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에서의 상기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 다분산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 {NOVEL POLYMERS HAVING LOW POLYDISPERSITY}
본 발명은 스피로비플루오렌, 인데노플루오렌, 페난트렌, 디히드로페난트렌, 디히드로피렌, 테트라히드로피렌 및 디히드로벤족세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저 다분산성 및 고 분자량을 갖는 신규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화물 및 제형, 및 전자 소자에서의,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위 OLED (OLED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에서의 상기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특히 OLED 에서 사용시, 비교적 긴 수명을 나타낸다.
공액 중합체는 이미, OLED 에서 고도로 유망한 물질로서 한동안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유기 물질로서 중합체를 포함하는 OLED 는 종종 또한 PLED (PLED = polymeric light-emitting diode: 중합체성 발광 다이오드) 로서 알려져 있다. 이들의 간단한 제조는 상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저렴한 제조를 약속한다.
PLED 가 오직 하나의 발광층으로 이루어지므로, 중합체 자체에서 OLED 의 모든 기능 (전하 주입, 전하 수송, 재조합) 이 가능한 한 크게 조합될 수 있는 중합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기능을 취하는 상이한 단량체를 중합 동안 사용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모든 3 가지 발광 색조의 생성을 위해, 상응하는 단량체 내로 특정 공단량체를 공중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WO 00/046321 A1, WO 03/020790 A2 및 WO 02/077060 A1 참조). 그러므로, 예를 들어 청색-발광 베이스 중합체 ("백본") 로부터 출발하여, 2 개의 다른 1 차 색조인 적색 및 녹색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색조 디스플레이 요소 (전-색조 디스플레이) 용으로 이미 제안되거나 개발된 중합체는 다양한 계열의 금속, 예를 들어, 폴리-파라-페닐렌 (PPP) 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폴리플루오렌 유도체 (예를 들어, EP 0842208, WO 99/54385, WO 00/22027, WO 00/22026 및 WO 00/46321 에 기재된 바와 같음), 폴리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예를 들어, EP 0707020, EP 0894107 및 WO 03/020790 에 기재된 바와 같음), 폴리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폴리페난트렌 유도체 및 폴리디히드로페난트렌 유도체 (예를 들어, WO 2005/014689 에 기재된 바와 같음) 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WO 02/077060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기 단량체 단위의 2 개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OLED 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효율, 색조 및 수명이다. 이들 특성은 사용되는 중합체(들) 에 의해 결정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에 알려진 물질에 비해 이들 물질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공지된 종래 기술로부터, 개선된 특성, 특히 보다 긴 수명을 갖는 신규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로서 간주될 수 있다.
놀랍게도, 스피로비플루오렌, 인데노플루오렌, 페난트렌, 디히드로페난트렌, 디히드로피렌, 테트라히드로피렌 및 디히드로벤족세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저 다분산성, 즉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중합체가,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동일한 물질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긴 수명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 2.0 의 다분산성 D (= Mw/Mn) 및 ≥ 100,000 g/몰의 분자량 Mw (폴리스티렌 표준에 대해 GPC 에 의해 측정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로비플루오렌, 인데노플루오렌, 페난트렌, 디히드로페난트렌, 디히드로피렌, 테트라히드로피렌 및 디히드로벤족세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복 단위를 1 몰% 이상 내지 100 몰% 포함하는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다분산성 D 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수 평균 분자량 Mn 의 몫: D = Mw/Mn 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 1.9, 특히 바람직하게는 ≤ 1.8 의 다분산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Mw ≥ 200,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 300,000 g/몰을 갖는다.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I) 의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V = C, Si 또는 Ge, 바람직하게는 C 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Ia) 의 9,9'-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2
바람직한 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I) 의 트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III) 의 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모두이다:
Figure pct00003
또한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IV) 의 페난트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V) 의 9,10-디히드로페난트렌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4
또한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VI) 의 4,5-디히드로피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VII) 의 4,5,9,10-테트라히드로피렌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5
(식 중, W = CR2, O, S 또는 Se, 바람직하게는 CR2 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VIa) 의 4,5-디히드로피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VIIa) 의 4,5,9,10-테트라히드로피렌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6
또한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VIII) 의 5,7-디히드로디벤족세핀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7
(식 중, W = CR2, O, S 또는 Se, 바람직하게는 CR2 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VIIIa) 의 5,7-디히드로디벤족세핀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08
다양한 화학식 (I) 내지 (VIII) 및 (Ia), (VIa) 내지 (VIIIa) 는 부가적으로 또한 자유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R 및 R1 은 각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또는 알콕시 사슬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 C 원자는 O, S, CR2=CR2, C≡C, CO, O-CO, CO-O 또는 O-CO-O 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불소로 대체될 수 있음), 탄소수 5 내지 40 의 아릴 또는 아릴옥시기 (또한, 하나 이상의 C 원자는 O, S 또는 N 으로 대체될 수 있음) (이것은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 로 치환될 수 있음), 또는 F, CN, N(R2)2 또는 B(R2)2 이고;
R2 는 각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사슬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 C 원자는 O, S, CO, O-CO, CO-O 또는 O-CO-O 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불소로 대체될 수 있음), 또는 탄소수 5 내지 40 의 임의 치환 아릴기 (또한, 하나 이상의 C 원자는 O, S 또는 N 으로 대체될 수 있음) 이다.
바람직한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2-메틸부틸, n-펜틸, s-펜틸, 시클로펜틸, n-헥실, 시클로헥실, 2-에틸헥실, n-헵틸, 시클로헵틸, n-옥틸, 시클로옥틸, 도데카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퍼플루오로-n-부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퍼플루오로옥틸 및 퍼플루오로헥실이다.
바람직한 알케닐기는 에테닐,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시클로펜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헵테닐, 시클로헵테닐, 옥테닐 및 시클로옥테닐이다.
바람직한 알키닐기는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및 옥티닐이다.
바람직한 알콕시기는 메톡시, 에톡시, 2-메톡시에톡시, n-프로폭시, i-프로폭시, n-부톡시, i-부톡시, s-부톡시, t-부톡시, 2-메틸부톡시, n-펜톡시, n-헥속시, n-헵톡시 및 n-옥톡시이다.
바람직한 아릴기는 페닐, 비페닐, 트리페닐, [1,1':3',1"]테르페닐-2'-일, 나프틸, 안트라센, 비나프틸, 페난트렌, 디히드로페난트렌, 피렌, 디히드로피렌, 크리센, 페릴렌, 테트라센, 펜타센, 벤조피렌, 플루오렌, 인덴, 인데노플루오렌 및 스피로비플루오렌이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기는 5-원 고리, 예를 들어,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1,2,3-트리아졸, 1,2,4-트리아졸, 테트라졸, 푸란, 티오펜, 셀레노펜, 옥사졸, 이속사졸, 1,2-티아졸, 1,3-티아졸, 1,2,3-옥사디아졸, 1,2,4-옥사디아졸, 1,2,5-옥사디아졸, 1,3,4-옥사디아졸, 1,2,3-티아디아졸, 1,2,4-티아디아졸, 1,2,5-티아디아졸, 1,3,4-티아디아졸, 6-원 고리, 예를 들어,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1,3,5-트리아진, 1,2,4-트리아진, 1,2,3-트리아진, 1,2,4,5-테트라진, 1,2,3,4-테트라진, 1,2,3,5-테트라진, 또는 축합기, 예를 들어, 인돌, 이소인돌, 인돌리진, 인다졸, 벤즈이미다졸, 벤조트리아졸, 푸린, 나프트이미다졸, 페난트리미다졸, 피리디미다졸, 피라진이미다졸, 퀴녹살린이미다졸, 벤족사졸, 나프톡사졸, 안트르옥사졸, 페난트록사졸, 이속사졸, 벤조티아졸,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디벤조푸란, 퀴놀린, 이소퀴놀린, 프테리딘, 벤조-5,6-퀴놀린, 벤조-6,7-퀴놀린, 벤조-7,8-퀴놀린, 벤즈이소퀴놀린, 아크리딘,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벤조피리다진, 벤조피리미딘, 퀴녹살린, 페나진, 나프티리딘, 아자카르바졸, 벤조카르볼린, 페난트리딘, 페난트롤린, 티에노[2,3b]티오펜, 티에노[3,2b]티오펜, 디티에노티오펜, 이소벤조티오펜, 디벤조티오펜, 벤조티아디아조티오펜, 또는 상기 기들의 조합이다.
아릴 및 헤테로아릴기는 또한 알킬, 알콕시,티오알킬, 불소, 플루오로알킬 또는 추가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화학식 (I) 내지 (VIII) 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를 10 내지 99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8 몰%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공액, 부분적 공액 또는 비-공액 중합체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공액 및 부분적 공액 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액 중합체이다.
본 출원에서 공액 중합체는 원칙적으로 sp2-혼성화 탄소 원자 (이것은 주쇄 내 상응하는 헤테로원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서, 이것은 주쇄 내 이중 및 단일 결합의 대안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원칙적으로는 공액 삽입을 야기하는 자연 발생적 결함이 "공액 중합체" 라는 용어를 평가절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액이라는 용어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아릴아민 단위 및/또는 특정 헤테로사이클 (즉, N, O 또는 S 원자를 통한 공액) 및/또는 유기금속 착물 (즉, 금속 원자를 통한 공액) 가 주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본 출원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반대로, 예를 들어, 단순 알킬 가교, (티오)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이미드 연결과 같은 단위는 명백하게 비-공액 분절로서 정의된다. 부분적 공액 중합체는 주쇄 내 비교적 긴 공액 분절에 비-공액 분절이 삽입되거나, 주쇄 내에 비-공액된 중합체의 측쇄 내 비교적 긴 공액 분절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화학식 (I) 내지 (VIII) 의 구조적 단위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선형, 분지형 또는 교차연결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랜덤, 대안적인 또는 블록-유사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또한 대안적인 배열로 다수의 상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블록-유사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가 수득될 수 있는 방법 및 본 목적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추가의 구조적 요소는 예를 들어, WO 2005/014688 A2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시점에서 중합체가 또한 선형 구조 외의 덴드리머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만 한다.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또한 추가의 구조적 요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WO 02/077060 A1 및 DE 10337346 A1 에 기재되어 있고 집중적으로 열거된 것들이다. 추가의 구조적 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군으로부터 기원할 수 있다:
그룹 1: 중합체의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 특성에 영향을 주는 단위;
그룹 2: 중합체의 전자-주입 및/또는 -수송 특성에 영향을 주는 단위;
그룹 3: 그룹 1 및 그룹 2 로부터의 개별 단위의 조합을 갖는 단위;
그룹 4: 발광 특성을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이 수득될 수 있는 범위로 변형시키는 단위;
그룹 5: 소위 단일선 상태로부터 삼중선 상태로의 전이를 향상시키는 단위;
그룹 6: 수득된 중합체의 형태학 및/또는 발광 색조에 영향을 주는 단위;
그룹 7: 발광하는 단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구조적 요소가 전하-수송 특성을 갖는 것, 즉 그룹 1 및/또는 2 로부터의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정공-수송 특성을 갖는 그룹 1 로부터의 구조적 요소는 예를 들어, 트리아릴아민, 벤지딘, 테트라아릴-파라-페닐렌디아민, 트리아릴포스핀,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디히드로페나진, 티안트렌, 디벤조-파라-디옥신, 페녹사티인, 카르바졸, 아줄렌, 티오펜, 피롤 및 푸란 유도체 및 추가의, 고 HOMO (HOMO =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최고 점유 분자 오비탈) 을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을이다. 이러한 아릴아민 및 헤테로사이클은 바람직하게는 -5.8 eV 초과 (진공 수준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eV 초과의 중합체 내 HOMO 를 야기한다.
전자-수송 특성을 갖는 그룹 2 로부터의 구조적 요소는 예를 들어, 피리딘, 피리미딘, 피리다진, 피라진, 옥사디아졸, 퀴놀린, 퀴녹살린 및 페나진 유도체, 뿐 아니라 트리아릴보란 및 추가의, 저 LUMO (LUMO =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최저 미점유 분자 오비탈) 을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이다. 중합체 내의 이러한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1.5 eV 미만 (진공 수준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eV 미만의 LUMO 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정공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구조 또는 전자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구조 (즉, 그룹 1 및 2 로부터의 단위) 가 서로 직접 결합되어 있는 그룹 3 으로부터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들 단위 중 일부는 이미터로서 작용할 수 있고 발광 색조를 녹색, 황색 또는 적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용은 예를 들어, 본래 청색-발광인 중합체로부터 다른 발광 색조를 발생시키는데 적합하다.
그룹 4 로부터의 구조적 단위는 심지어 실온에서, 고효율로 삼중선 상태로부터 발광할 수 있는, 즉,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을 나타내는 (종종 에너지의 효율 증가를 야기함) 단위이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것은 일차적으로, 원자수가 36 초과인 중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언급된 조건을 충족하는 d 또는 f 전이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8 내지 10 족 (Ru, Os, Rh, Ir, Pd, Pt) 으로부터의 원소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구조적 단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 적합한 구조적 단위는 예를 들어, WO 02/068435 A1, DE 10116962 A1, EP 1239526 A2 및 DE 10238903 A1 에 기재된 예를 들어, 다양한 착물이다. 상응하는 단량체는 WO 02/068435 A1 및 DE 10350606 A1 에 기재되어 있다.
그룹 5 로부터의 구조적 단위는 단일선 상태로부터 삼중선 상태로의 전이를 향상시키고 그룹 4 로부터의 구조적 요소를 지지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조적 요소의 인광 특성을 향상시키는 단위이다. 본 목적에 적합한 것은 특히, DE 10304819 A1 및 DE 10328627 A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카르바졸 및 가교 카르바졸 이량체 단위이다. 본 목적에 또한 적합한 것은 DE 10349033 A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케톤, 포스핀 옥시드, 술폭시드 및 유사한 화합물이다.
상기 언급된 것 외에 중합체의 형태학 및/또는 발광 색조에 영향을 주는 그룹 6 으로부터의 구조적 요소는 상기 언급된 기에 포함되지 않는, 즉 전하-운반 이동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유기금속 착물이 아니거나 단일선-삼중선 전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방향족 또는 기타 공액 구조를 갖는 요소이다. 상기 유형의 구조적 요소는 수득된 중합체의 형태학 및/또는 발광 색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단위에 따라, 그러므로 또한 이들은 이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6 내지 40 의 방향족 구조 및 또한 톨란, 스틸벤 또는 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라디칼 R1 로 치환될 수 있음) 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1,4-페닐렌, 1,4-나프틸렌, 1,4- 또는 9,10-안트릴렌, 1,6-, 2,7- 또는 4,9-피레닐렌, 3,9- 또는 3,10-페릴레닐렌, 4,4'-비페닐릴렌, 4,4"-테르페닐릴렌, 4,4'-비-1,1'-나프틸릴렌, 4,4'-톨라닐렌, 4,4'-스틸베닐렌 또는 4,4"-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의 도입이다.
발광하는 그룹 7 로부터의 구조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청색, 녹색 또는 적색을 발광하는 단위이다.
적합한 청색-발광 단위는 전형적으로는 중합체 백본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방향족 또는 기타 공액 구조를 갖지만, 발광 색조를 녹색 또는 적색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단위이다.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 4 내지 40 의 방향족 구조 뿐 아니라, 스틸벤 및 톨란 유도체 및 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치환 또는 미치환될 수 있는 하기 구조적 요소, 1,4-페닐렌, 1,4-나프틸렌, 1,4- 또는 9,10-안트라세닐렌, 2,7- 또는 3,6-페난트레닐렌, 4,4'-비페닐릴렌, 4,4"-테르페닐릴렌, 4,4'-비-1,1'-나프틸릴렌, 4,4'-스틸벤 유도체, 9,10-디히드로피렌 유도체, 4,5,9,10-테트라히드로피렌 유도체 (예를 들어, EP-A-699699 에 따름), 플루오렌 유도체 (예를 들어, EP-A-0 842 208, WO 99/54385, WO 00/22027, WO 00/22026, WO 00/46321 에 따름),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예를 들어, EP-A-0 707 020, EP-A-0 894 107, WO 03/020790, WO 02/077060 에 따름), 5,7-디히드로디벤족세핀 유도체, 시스- 및 트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예를 들어, GB 0226010 및 EP 03014042 에 따름) 및 9,10-디히드로페난트렌 유도체 (예를 들어, DE 10337346 에 따름) 이다. 이러한 계열 외에, 소위 사다리 PPP (LPPP) (예를 들어, WO 92/18552 에 따름) 뿐 아니라, PPP 함유 고리 구조 (예를 들어, EP-A-690086 에 따름) 가, 예를 들어 또한 적합하다. 전자-풍부가 아닌 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가 또한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 1 개 초과의 이러한 청색-발광 구조적 단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녹색-발광 구조적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본 목적에 적합한 구조적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또는 기타 공액 구조를 갖고, 발광 색조를 녹색으로 이동시키는 단위이다. 녹색-발광 단위에 대한 바람직한 구조는 전자-풍부 비스스티릴아릴렌 및 상기 구조의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녹색-발광 구조적 단위는 벤조티아디아졸 및 상응하는 산소 유도체, 퀴녹살린,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디히드로페나진, 비스(티오페닐)아릴렌, 올리고(티오페닐렌) 및 페나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1 개 대신에 다수의 상이한 녹색-발광 구조적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고, 이 경우 녹색-발광 단위의 총 비율은 최대 2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 몰% 이다.
적합한 적색-발광 구조적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또는 기타 공액 구조를 갖고, 발광 색조를 적색으로 이동시키는 단위이다. 적색-발광 단위에 대한 바람직한 구조는 전자-풍부 단위인 구조, 예를 들어, 티오펜이 녹색-발광 전자-결핍 단위, 예를 들어, 퀴녹살린 또는 벤조티아디아졸과 조합된 구조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적색-발광 단위는 4 개 이상의 축합 방향족 단위, 예를 들어, 루브렌, 펜타센 또는 페릴렌 (바람직하게는 치환됨) 을 포함하는 계, 또는 바람직하게는 공액 밀고-당기기 (push-pull) 계 (기증자 및 수용자 치환에 의해 치환된 계) 또는 스쿠아린 또는 퀴나크리돈 (바람직하게는 치환됨) 과 같은 계이다. 또한 1 개 대신에 다수의 상이한 적색-발광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고, 이 경우 적색-발광 단위의 총 비율은 최대 1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 몰% 이다.
적합한 청색-, 녹색- 및 적색-발광 구조적 단위는 원칙적으로는 또한 삼중선 상태로부터 발광하는, 즉,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을 나타내는 (종종 에너지의 효율 증가를 야기함) 단위이다. 상기 단위는 하기에 삼중선 이미터로서 언급된다. 저분자량 OLED 에서의 상기 유형의 금속 착물의 용도는 예를 들어, M. A. Baldo et al. (Appl. Phys. Lett. 1999, 75, 4-6) 에 기재되어 있다.
· 상기 목적에 적합한 것은 첫째로 중 원자, 원소 주기율표에서 36 초과의 원자 번호를 갖는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 상기 목적에 특히 적합한 것은 상기 언급된 조건을 충족하는 d 또는 f 전이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8 내지 10 족 (Ru, Os, Rh, Ir, Pd, Pt) 으로부터의 원소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구조적 단위이다.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 적합한 구조적 단위는 예를 들어, WO 02/068435, DE 10116962 A1, EP 1239526 및 DE 10238903 A1 에 기재되어 있는 예를 들어, 다양한 착물이다.
상응하는 화합물은 WO 02/068435 에 기재되어 있다.
착물의 색조는 일차적으로는 사용되는 금속에 의해, 정확한 리간드 구조에 의해, 그리고 리간드 상의 치환기에 의해 결정된다. 녹색- 및 적색-발광 착물 모두가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비치환 트리스(페닐피리딜)이리듐(III) 은 녹색광을 방출하는 반면, 배위 결합 탄소 원자에 대해 파라-위치에 있는 전자-기증 치환기 (예를 들어, 디아릴아미노 치환기) 는 오렌지-적색으로 발광을 이동시킨다. 또한 알려진 것은 오렌지 또는 진한 적색 방출을 직접적으로 (추가 치환기 없이) 야기하는 다양한 리간드 구조를 갖는 상기 착물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리간드의 예는 2-페닐이소퀴놀린, 2-벤조티오페닐피리딘 및 2-나프틸피리딘이다.
청색-발광 착물은 예를 들어, 전자-철회 치환기 예를 들어, 다수의 불소 및/또는 시아노기에 의해 트리스(페닐피리딜)이리듐(III) 골격을 치환함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광 이미터는 모노스티릴아민, 디스티릴아민, 트리스티릴아민, 테트라스티릴아민 및 아릴아민 (각각은 불소 라디칼에 의해 치환됨) 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모노스티릴아민은 하나의 스티릴기 및 하나 이상의 아민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임) 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디스티릴아민은 2 개의 스티릴기 및 하나 이상의 아민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임) 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트리스티릴아민은 3 개의 스티릴기 및 하나 이상의 아민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임) 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테트라스티릴아민은 4 개의 스티릴기 및 하나 이상의 아민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임) 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있어 아릴아민 또는 방향족 아민은 질소에 직접 결합된 3 개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계 (이 중 하나 이상은 바람직하게는, 14 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 원자를 갖는 축합 고리계임) 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스티릴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틸벤 (이것은 또한 2 중 결합 상에서 또는 방향족 고리 상에서 추가로 치환될 수 있음) 이다. 상기 유형의 화합물의 예는 치환 또는 미치환 트리스틸벤아민 또는 예를 들어, WO 06/000388, WO 06/058737, WO 06/000389, DE 102005058543 A1 및 DE 102006015183 A1 에 기재되어 있는 추가의 화합물이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이미터로서 WO 06/122630 에 따른, DE 102006025846 A1 에 따른 화합물이다.
인광 이미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원자 번호가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8 초과 84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6 초과 80 미만인 하나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금속 착물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것은 구리, 몰리브덴, 텅스텐, 레늄, 루테늄, 오스뮴, 로듐, 이리듐, 팔라듐, 백금, 은, 금 또는 유로퓸, 특히 이리듐을 함유하는 금속 착물의 사용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라 사용되는 인광 물질이 본 목적에 적합하다.
다수의 상이한 구조적 요소의 사용은 가용성, 고상 형태학, 색조, 전하-주입 및 -수송 특성, 온도 안정성, 전자-광학 특성 등과 같은 특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중합체의 필요한 가용성은 특히, 다양한 반복 단위 상의 치환기에 의해 확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고, 이 중 하나 이상은 중합체 내에 화학식 (I) 내지 (VIII) 로부터 선택된 구조적 단위를 야기한다. 적합한 중축합 반응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C-C 또는 C-N 연결을 야기하는 특히 적합하고 바람직한 중축합 반응은 하기와 같다:
(A) SUZUKI 중축합;
(B) YAMAMOTO 중축합;
(C) STILLE중축합;
(D) HECK 중축합;
(E) NEGISHI 중축합;
(F) SONOGASHIRA 중축합;
(G) HIYAMA 중축합; 및
(H) HARTWIG-BUCHWALD 중축합.
중축합을 상기 과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중합체를 반응 매질로부터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문헌에, 예를 들어 WO 03/048225 A2, WO 2004/037887 A2 및 WO 2004/037887 A2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C-C 연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SUZUKI 커플링, YAMAMOTO 커플링 및 STILLE 커플링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C-N 연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HARTWIG-BUCHWALD 커플링이다.
바람직한 다분산성을 수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를 분리 과정에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모든 분리 과정이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DE 102 02 591 A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한 수득된 중합체의 분별이다. 상기 출원에는, 중합체 용액 (기증자 상) 을 방적돌기를 통해 또는 다수의 방적돌기를 통해 강하게 진탕되는 침전 배스 (수용자 상) 가 있는 혼합 구역 내로 밀어넣고, 졸 상 및 젤 상을 포함하는 2-상 혼합물이 형성되고, 졸 상 및 젤 상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의 분별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상응하는 장치는 마찬가지로 DE 102 02 591 A1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 졸 상 및 젤 상은 혼합 구역 이후의 휴지 구역에서 분리됨,
- 졸 상 및 젤 상은 휴지 구역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됨;
- 졸 제거 및 겔 제거의 영역 내 휴지 구역 내에 상이한 온도를 설정함;
- 침전 배스는 바람직하게는, 분별되는 중합체의 가용성 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취하는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임;
- 기증자 상은 분별되는 중합체의 농축된, 균질 용액임;
- 중합체 용액은 펌프의 도움으로 방적돌기(들) 을 통해 밀어내짐;
- 수용자 상은 보조 중합체로서 단독중합체를 포함함;
- 및/또는 분별은 분자량에 따라 일어남.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SUZUKI 중축합, YAMAMOTO 중축합, STILLE 중축합 또는 HARTWIG-BUCHWALD 중축합에 의해 제조하고 이어서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합성을 위해, 상응하는 단량체가 필요하다. 화학식 (I) 내지 (VIII) 의 단위 및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서 그룹 1 내지 7 로 기재되는 단위를 산출하는 단량체의 합성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문헌, 예를 들어 WO 2005/014689 A2, WO 2005/030827 A1 및 WO 2005/030828 A1 에 기재되어 있다.
부가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순수 성분이 아닌, 임의의 바람직한 유형의 추가의 중합체성, 올리고머성, 덴드리머성 또는 저분자량 성분과 함께 혼화물 (혼합물) 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전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일선 상태로부터 삼중선 상태로의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거나, 스스로 단일선 상태로부터 또는 삼중선 상태로부터 발광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형성되는 중합체 필름의 형태학 또는 중합체 용액의 점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 전자으로 비활성인 성분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및 하기, 혼화물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성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중합체성, 올리고머성, 덴드리머성 또는 저분자량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혼화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용매 중에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는 혼화물을 포함하는 용액 및 제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WO 02/072714 A1, WO 03/019694 A2 및 그 곳에 언급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용액은 예를 들어 영역-코팅 방법 (예를 들어, 스핀 코팅) 또는 프린트 방법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트) 에 의해 중합체 박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 그러므로 가교가능기를 함유하는 화학식 (I) 내지 (VIII) 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적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열 또는 광유도 제자리 중합 및 제자리 가교결합, 예를 들어, 제자리 UV 광중합 또는 광패턴화에 의해 필름 또는 코팅의 제조에, 특히 구조화 코팅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유형의 적용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폭시드 및 옥세탄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이다. 상응하는 중합체를 순수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또한 상기 기재된 상기 중합체의 제형 또는 혼화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은 용매 및/또는 결합제의 첨가 또는 첨가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방법에 대해 적합한 물질, 방법 및 장치는 예를 들어, WO 2005/083812 A2 에 기재되어 있다. 가능한 결합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부티랄 및 유사한, 광학-전자으로 중성은 중합체이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용매는 예를 들어, 톨루엔, 아니솔, 자일렌, 메틸 벤조에이트, 디메틸아니솔, 메시틸렌, 테트랄린, 베라트롤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혼화물 및 제형은 전자 또는 광학-전자 소자에 또는 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전자 또는 광학-전자 소자에서의, 바람직하게는 유기 또는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PLED),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태양 전지 (O-SC),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레이저), 유기 광전지 (OPV) 요소 또는 소자 또는 유기 광수용체 (OPC) 에서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또는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PLED) 에서의, 특히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PLED) 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혼화물 및 제형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캐소드, 애노드, 발광층 및 임의로 추가의 층,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정공-주입층, 및 임의로 정공-주입층과 발광층 사이에 사이층을 포함한다.
OLED 또는 PLED 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WO 2004/070772 A2 에서 일반적으로 방법으로서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것은 개별 경우에 대해 상응하게 적용되어야만 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PLED 또는 디스플레이 내에서 전계발광 물질로서 매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전계발광 물질은 활성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활성층은 층이 전기장 (발광층) 의 적용시 발광할 수 있는 것 및/또는 양전하 및/또는 음전하 (전하-주입 또는 전하-수송층) 의 주입 및/또는 수송을 개선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정공-주입층과 발광층 사이의 사이층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특히 전계발광 물질로서의, PLED 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는 혼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활성층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자 또는 광학-전자 소자, 바람직하게는 유기 또는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PLED),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태양 전지 (O-SC),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레이저), 유기 광전지 (OPV) 요소 또는 소자 또는 유기 광수용체 (OPC),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또는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특히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활성층은 예를 들어, 발광층, 전하-수송층, 전하-주입층 및/또는 사이층일 수 있다.
본 출원 명세서 및 또한 하기 실시예는 원칙적으로는 PLED 및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와 관련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명세서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추가의 진보성 없이, 다른 전자 소자에서 상기 기재된 추가의 용도를 위한 반도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재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관련 실시예가 근거하고 있는 정의된 화합물의 기재된 특징, 특성 및 장점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다른 화합물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다르게 언급되지 않으면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주 내에 있다.
실시예
A) 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
먼저, 3 개의 중합체 1 내지 3 을 WO 03/048225 A2 에 따라 SUZUKI 커플링에 의해 하기 단량체 (% 데이터 = 몰%) 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중합체 1
Figure pct00009
중합체 2
Figure pct00010
중합체 3
Figure pct00011
B) 수득된 중합체의 분별
실시예 4 내지 6
중합체 1 내지 3 을 WO 03/062282 A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분별한다. 모든 실험에서, "기증자 상" 으로서 톨루엔 내 중합체의 1% 용액을 사용한다. 모든 예에서 에탄올이 "수용자 상" 의 역할을 한다. 중합체 1 내지 3 의 분별 결과를 하기 표 1 에 제시한다. 분획 1.1 및 1.2 가 중합체 1 로부터 수득되고, 분획 2.1 이 중합체 2 로부터 수득되고, 분획 3.1 및 3.2 가 중합체 3 으로부터 상응하게 수득된다.
표 1
Figure pct00012
측정 방법(들) 의 설명:
분자량 Mw 및 Mn 을 GPC (모델: Agilent HPLC 시스템 시리즈 1100) (컬럼: PL-RapidH, Polymer Laboratories; 용매: 0.12 부피% 의 o-디클로로벤젠을 포함하는 THF; 검출: UV 및 굴절률; 온도: 40℃) 에 의해 측정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을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C) 분별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OLED 소자
실시예 7 내지 14:
PLED 의 제조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는 문헌 (예를 들어, WO 2004/037887 A2) 에 이미 수 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분획화된 중합체 1.1 및 1.2, 2.1 및 3.1 및 3.2 을 포함하는 PLED 를 PEDOT 및 정공-주입 사이층 (PEDOT 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임 (Baytron P, H. C. Starck, Goslar)) 으로 미리 코팅된 ITO 기판 상에 스핀 코팅에 의해 제조하였다. 중합체 층의 층 두께는 약 80 nm 이다. 그 다음 Ba/Al 캐소드 (금속, Aldrich) 를 증착에 의해 적용하고, PLED 를 캡술화하고 전자-광학적으로 특징화한다.
중합체 1, 2 및 3 및 상기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분획화된 중합체 1.1 및 1.2, 2.1 및 3.1 및 3.2 의 사용 시 PLED 에서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2 에 제시한다
표 2
Figure pct00013
결과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성, 발광 물질의 수명은 비교 물질의 수명보다 양호하다. 발광 색조 및 효율도 필적할만 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성, 발광 물질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합체보다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15)

  1. ≤ 2.0 의 다분산성 D (= Mw/Mn) 및 ≥ 100,000 g/몰의 분자량 Mw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로비플루오렌, 인데노플루오렌, 페난트렌, 디히드로페난트렌, 디히드로피렌, 테트라히드로피렌 및 디히드로벤족세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복 단위를 1 내지 100 몰% 포함하는 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반복 단위가 하기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하기 화학식 (I) 의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Figure pct00014

    (식 중, V = C, Si 또는 Ge 임);
    - 하기 화학식 (II) 의 트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III) 의 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Figure pct00015

    - 하기 화학식 (IV) 의 페난트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V) 의 9,10-디히드로페난트렌 유도체:
    Figure pct00016

    - 하기 화학식 (VI) 의 4,5-디히드로피렌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VII) 의 4,5,9,10-테트라히드로피렌 유도체:
    Figure pct00017

    (식 중, W = CR2, O, S 또는 Se 임).
    - 하기 화학식 (VIII) 의 5,7-디히드로디벤족세핀 유도체:
    Figure pct00018

    (식 중, W = CR2, O, S 또는 Se 임).
    [식 중,
    R 은 각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또는 알콕시 사슬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 C 원자는 O, S, CR2=CR2, C≡C, CO, O-CO, CO-O 또는 O-CO-O 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불소로 대체될 수 있음), 탄소수 5 내지 40 의 아릴 또는 아릴옥시기 (또한, 하나 이상의 C 원자는 O, S 또는 N 으로 대체될 수 있음) (이것은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 로 치환될 수 있음), 또는 F, CN, N(R2)2 또는 B(R2)2 이고;
    R2 는 각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사슬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 C 원자는 O, S, CO, O-CO, CO-O 또는 O-CO-O 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불소로 대체될 수 있음), 또는 탄소수 5 내지 40 의 임의 치환 아릴기 (또한, 하나 이상의 C 원자는 O, S 또는 N 으로 대체될 수 있음) 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액 또는 부분적 공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중합체의 정공-주입 및/또는 -수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중합체의 전자-주입 및/또는 -수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발광 특성을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이 수득될 수 있는 범위로 변형시키는 구조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소위 단일선 상태로부터 삼중선 상태로의 전이를 개선시키는 구조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수득된 중합체의 형태학 및/또는 발광 색조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내지 (VIII) 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 외에, 발광하는 구조적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10. SUZUKI 중축합, YAMAMOTO 중축합, STILLE 중축합 또는 HARTWIG-BUCHWALD 중축합에 의해 제조하고 이어서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중합체성, 올리고머성, 덴드리머성 또는 저분자량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혼화물.
  12. 하나 이상의 용매 중에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제 11 항에 따른 혼화물을 포함하는 용액 및 제형.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 제 11 항에 따른 혼화물 및 제 12 항에 따른 제형의 전자 또는 광학-전자 소자에서의 용도.
  14. 하나 이상의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활성층 중 하나 이상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자 또는 광학-전자 성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성분이 유기 또는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PLED),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태양 전지 (O-SC),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레이저), 유기 광전지 (OPV) 요소 또는 소자 또는 유기 광수용체 (OP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또는 광학-전자 성분.
KR1020107028526A 2008-09-25 2009-09-02 저 다분산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 KR101660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9037.7 2008-09-25
DE102008049037A DE102008049037A1 (de) 2008-09-25 2008-09-25 Neue Polymere mit niedriger Polydispersität
PCT/EP2009/006355 WO2010034393A1 (de) 2008-09-25 2009-09-02 Neue polymere mit niedriger polydispersit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387A true KR20110073387A (ko) 2011-06-29
KR101660991B1 KR101660991B1 (ko) 2016-09-28

Family

ID=4125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526A KR101660991B1 (ko) 2008-09-25 2009-09-02 저 다분산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95280A1 (ko)
EP (1) EP2328950A1 (ko)
JP (1) JP5710484B2 (ko)
KR (1) KR101660991B1 (ko)
CN (1) CN102076737A (ko)
DE (1) DE102008049037A1 (ko)
WO (1) WO2010034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6935B2 (ja) * 2009-05-29 2015-12-24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共役ポリマーおよび有機半導体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DE102010032737A1 (de) * 2010-07-29 2012-02-02 Merck Patent Gmbh Polymere enthaltend substituierte Benzodithiopheneinheiten, Blends enthaltend diese Polymere sowie Vorrichtungen enthaltend diese Polymere oder Blends
JP5958045B2 (ja) * 2012-04-25 2016-07-27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素子
KR102331668B1 (ko) 2016-04-15 2021-11-25 베크만 컬터, 인코포레이티드 광활성 거대분자 및 그의 용도
JP7330018B2 (ja) 2018-12-06 2023-08-21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の製造方法
BR102019025989A2 (pt) 2018-12-14 2020-06-23 Beckman Coulter, Inc. Modificação de corantes poliméricos e aplicaçõ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401A (ja) * 2001-09-04 2005-03-31 コビオン オーガニック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ピロビフルオレンユニットを含有する共役ポリマーおよびその使用
JP2005213503A (ja) * 2004-01-27 2005-08-11 Samsung Sdi Co Ltd スピロフルオレン系高分子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010A (en) 1923-11-15 1924-12-18 Charles Harrison Davies Improvements in splash guards for vehicle wheels
DE4111878A1 (de) 1991-04-11 1992-10-15 Wacker Chemie Gmbh Leiterpolymere mit konjugierten doppelbindungen
US5679760A (en) * 1991-04-11 1997-10-21 Hoechst Aktiengesellschaft Ladder polymers containing conjugated double bonds
DE4422670A1 (de) 1994-06-30 1996-01-04 Hoechst Ag Konjugierte Polymere mit Ansateilstruktur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DE4431039A1 (de) * 1994-09-01 1996-03-07 Hoechst Ag Poly(4,5,9,10-tetrahydropyren-2,7-diyl)-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DE4436773A1 (de) 1994-10-14 1996-04-18 Hoechst Ag Konjugierte Polymere mit Spirozentr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EP0842208B2 (en) 1995-07-28 2009-08-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2,7-aryl-9-substituted fluorenes and 9-substituted fluorene oligomers and polymers
DE19614971A1 (de) 1996-04-17 1997-10-23 Hoechst Ag Polymere mit Spiroatom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US6309763B1 (en) 1997-05-21 2001-10-30 The Dow Chemical Company Fluorene-containing polymers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s therefrom
DE19846766A1 (de) 1998-10-10 2000-04-20 Aventis Res & Tech Gmbh & Co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spezielle Fluorenbaustein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DE19846768A1 (de) 1998-10-10 2000-04-20 Aventis Res & Tech Gmbh & Co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2,7-Fluorenyleinheit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CA2360644A1 (en) 1999-02-04 2000-08-10 The Dow Chemical Company Fluorene copolymers and devices made therefrom
DE10109027A1 (de) * 2001-02-24 2002-09-0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Rhodium- und Iridium-Komplexe
JP4438042B2 (ja) 2001-03-08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金属配位化合物、電界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EP1370619B1 (de) * 2001-03-10 2006-06-21 MERCK PATENT GmbH Lösung und dispersionen organischer halbleiter
KR100888910B1 (ko) * 2001-03-24 2009-03-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스피로비플루오렌 단위와 플루오렌 단위를 함유하는 공액중합체 및 이의 용도
DE10116962A1 (de) * 2001-04-05 2002-10-1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Rhodium- und Iridium-Komplexe
DE10141624A1 (de) * 2001-08-24 2003-03-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Lösungen polymerer Halbleiter
GB0125621D0 (en) * 2001-10-25 2001-12-19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Polymer preparation
DE10159946A1 (de) * 2001-12-06 2003-06-18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Prozess zur Herstellung von Aryl-Aryl gekoppelten Verbindungen
DE10202591A1 (de) * 2002-01-24 2003-07-31 Clariant Gmbh Spinn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echnischen Fraktionierung von Oligomeren und Polymeren
US7135241B2 (en) * 2002-05-24 2006-11-1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ight-emitting block copolymers composition, process and use
DE10238903A1 (de) * 2002-08-24 2004-03-0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Rhodium- und Iridium-Komplexe
DE10249723A1 (de) 2002-10-25 2004-05-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Arylamin-Einheiten enthaltende konjugierte 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04819A1 (de) * 2003-02-06 2004-08-1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Carbazol-enthaltende konjugierte Polymere und Blends,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28627A1 (de) 2003-06-26 2005-02-17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DE10337077A1 (de) * 2003-08-12 2005-03-1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Konjugiert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37346A1 (de) 2003-08-12 2005-03-3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Dihydrophenanthren-Einheiten und deren Verwendung
EP1668058B1 (de) * 2003-09-20 2012-10-24 Merck Patent GmbH Konjugierte 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43606A1 (de) * 2003-09-20 2005-04-1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Weiß emittierend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WO2005040302A1 (de) * 2003-10-22 2005-05-06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und deren verwendung
DE10349033A1 (de) 2003-10-22 2005-05-2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und deren Verwendung
DE10350606A1 (de) 2003-10-30 2005-06-0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heteroleptischer, ortho-metallierter Organometall-Verbindungen
CN1894199B (zh) * 2003-11-14 2011-04-13 住友化学株式会社 卤代双二芳基氨基多环芳族化合物及其聚合物
KR100718103B1 (ko) * 2003-12-09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73525B1 (ko) * 2004-02-06 2007-1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티에노[3,2-b]인돌계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DE102004009355A1 (de) * 2004-02-26 2005-09-1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Vernetzung organischer Halbleiter
DE102004020299A1 (de) * 2004-04-26 2005-12-0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Konjugierte 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TW200613515A (en) 2004-06-26 2006-05-01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02004031000A1 (de) * 2004-06-26 2006-01-12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4032527A1 (de) * 2004-07-06 2006-02-02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TW200639140A (en) * 2004-12-01 2006-11-16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EP1676632A1 (de) * 2004-12-28 2006-07-0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en
KR101146976B1 (ko) * 2005-01-06 2012-05-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청색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E102005023437A1 (de) * 2005-05-20 2006-11-30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05058543A1 (de) * 2005-12-08 2007-06-14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KR101328972B1 (ko) * 2006-01-26 201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DE102006015183A1 (de) * 2006-04-01 2007-10-04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6025846A1 (de) 2006-06-02 2007-12-06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KR101407575B1 (ko) * 2007-01-17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광 단위 및 형광 단위를 포함한 발광 고분자 및 이를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401A (ja) * 2001-09-04 2005-03-31 コビオン オーガニック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ピロビフルオレンユニットを含有する共役ポリマーおよびその使用
JP2005213503A (ja) * 2004-01-27 2005-08-11 Samsung Sdi Co Ltd スピロフルオレン系高分子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49037A1 (de) 2010-04-22
US20110095280A1 (en) 2011-04-28
JP2012503684A (ja) 2012-02-09
EP2328950A1 (de) 2011-06-08
WO2010034393A1 (de) 2010-04-01
KR101660991B1 (ko) 2016-09-28
CN102076737A (zh) 2011-05-25
JP5710484B2 (ja)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314B1 (ko) 평면 아릴아민 단위를 포함하는 전자발광 중합체, 그의 제조 및 용도
JP5670353B2 (ja) アルデヒド基を含むポリマー、このポリマーの反応および架橋、架橋ポリマー、このポリマー含む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US7799875B2 (en) Triarylamine-arylvinylene moiety-containing conjugated polymers, their production and use
US9534077B2 (en) Electroluminescent polymer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8580395B2 (en) Electroluminescent polymer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610481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ための材料
JP5763059B2 (ja) アルキルアルコキシ基を含む構造単位を含むポリマー、これらのポリマーを含むブレンド、これらのポリマーとブレンドを含む光電子素子
JP5221537B2 (ja) 1,4−ビス(2−チエニルビニル)ベンゼン誘導体及びその使用
KR20080091266A (ko) 전계발광 물질 및 이의 용도
KR101676510B1 (ko) 가교가능한 및 가교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807339B1 (ko)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KR101660991B1 (ko) 저 다분산성을 갖는 신규 중합체
EP2601237B1 (de) Polymere mit struktureinheiten, die elektronen-transport-eigenschaften aufweisen
JP2012533661A (ja) 電子素子のための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