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435A -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35A
KR20110069435A KR1020090126167A KR20090126167A KR20110069435A KR 20110069435 A KR20110069435 A KR 20110069435A KR 1020090126167 A KR1020090126167 A KR 1020090126167A KR 20090126167 A KR20090126167 A KR 20090126167A KR 20110069435 A KR20110069435 A KR 2011006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polyurethane
diisocyanate
resin composition
polyurethane resin
powdery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947B1 (ko
Inventor
윤수형
여문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박상준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9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안료와 혼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압출단계 및 b) 상기 압출 단계에서 수득된 펠렛을 믹서에서 이산화규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독성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며, 저온 하에서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고, 용융점도 조절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부여하여 표피재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성형된 표피재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경제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표피재, 자동차 내장재

Description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Powder―type Thermoplastics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s And Preparing Method}
본 발명은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b)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c)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안료와 혼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압출단계 및 b) 상기 압출 단계에서 수득된 펠렛을 믹서에서 이산화규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이나 플로어 콘솔(Floor console) 또는 암레스트(Arm rest) 등과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각종 부품의 표면에는 차량의 실내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신체적인 접촉이 예상되는 부분에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안 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종 표피재, 일명 스킨(Skin) 소재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 부품에 적용되는 표피재는 진공성형공법을 위한 시트상의 소재와 PSM(Powder Slush Mould) 공법(이하, PSM 공법이라 한다)을 위한 분체상(粉體狀, Powder) 소재로 크게 대변될 수 있다. PSM 공법은 파우더 상태의 컴파운드를 표면온도 150 ~ 250 로 가열된 금형에 용융시킨 후 냉각시켜 표피재를 얻어내는 공법으로 PSM 공법의 경우 진공성형공법에 비하여 표피재의 성형이 다소 까다롭기는 하지만 진공성형공법에 비하여 보다 부드러운 감촉 및 선명한 엠보싱(Embossing)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중형차 이상의 고급차종에 사용되는 내장재 부품의 표피재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진공성형공법에 사용되는 시트상 소재의 경우에는 염화비닐수지(PVC 수지)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일명, ABS 수지)를 블랜딩한 것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재활용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로서 프로필렌을 베이스로 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Thermoplastic polyolefin) 소재가 적용되기 시작하여 그 빈도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상기 PSM 공법에 사용되는 분체상 소재의 경우는 PVC 수지를 베이스로 하여 가소제 및 각종 첨가제가 컴파운드 된 PVC 분말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프로필렌을 베이스로 하여 탄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의 분체상 소재가 PSM 공법을 위한 소재로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PSM 공법을 위한 상기 PVC 분체상 소재의 경우는 PVC를 베이스로 하 여 프탈레이트계의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서 표피재의 재활용이 매우 어렵게 되고 표피재 제품을 소각에 의하여 폐기 처분할 시 대기오염과 환경파괴의 요인이 되는 염소계 화합물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사용이 점차적으로 규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저온조건하에서 그 물성이 저하되어 조수석 에어백의 주류인 인비저블 PAB 도어(Invisible PAB Door)의 실현에 한계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한편 상기 PVC 분체상 소재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베이스로 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분체상 소재의 경우는 PVC 분체상 소재에 비하여 표면 스크래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표피재의 성형 후 도장작업과 같은 별도의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표피재의 생산성 및 작업환경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도장제에 의한 2 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소재 자체가 비극성을 가짐에 따라 발포폼(Foam) 제품과의 접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표피재와 폼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베이스 코팅제(Base cotting)로서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소재의 적용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소재를 이용하여 PSM 공법으로 표피재를 성형할 경우 높은 성형온도가 필요하며 그 성형에 따른 온도범위 또한 비교적 협소하게 되어 표피재의 제조가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프로필렌을 베이스로 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분체상 소 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한 분체상의 소재의 경우, 폴리올레핀 소재와 비교하여 내스크래치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나 완전하지 못하여, 별도의 내스크래치성 개선 첨가제를 추가함으로써 표면의 블루밍과 같은 이행성(Migration) 문제점과 도장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자동차 소재로써 요구하는 내열성 및 내광성을 만족하고자 지방족 폴리우레탄을 주로 사용하여 제조 단가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스크래치성과와 이행성(Migration)을 별도 첨가제 없이 개선하기 위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의 혼합물 및 쇄연장제로부터 반응 생성된 폴리 우레탄과 열가소성 경화 스티렌계 탄성체를 혼합한 분체상 조성물의 경우 용융 점도의 조절이 까다롭고, 부드러움의 향상을 위해 충분한 함량을 혼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서는 자동차용 내장재 부품에 적용되는 표피재를 PSM 공법으로 제조함과 동시에, PSM 공법 적용 시 넓은 성형온도 범위를 가지면서 고온성형이 불필요하여 우수한 성형성을 부여할 수 있고, 소각 시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스크래치성 및 저온 물성을 가지면서 경제성을 지닌 신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b)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c)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또한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안료와 혼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압출단계 및 b) 상기 압출 단계에서 수득된 펠렛을 믹서에서 이산화규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독성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며, 저온 하에서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고, 용융점도 조절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부여하여 표피재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성형된 표피재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안료와 혼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압출단계 및 b) 상기 압출 단계에서 수득된 펠렛을 믹서에서 이산화규 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은 독성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며, 저온 하에서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고, 용융점도 조절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부여하여 표피재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성형된 표피재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경제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체상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b)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c)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안료와 혼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압출단계 및 b) 상기 압출 단계에서 수득된 펠렛을 믹서에서 이산화규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을 각각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쇄연장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칸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6-사이클로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 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사이클로 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사이클로 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 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트, 4,4'-,2,4'- 또는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탈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1,2)-에탄, 나프탈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필수적인 성분이며,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에스테르 디올 및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쇄연장제는 톨루엔 디아민계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쇼어 A 경도가 70 ~ 95 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에서는 유연성(softness)과 강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유동지수 60 ~ 70 g/10분이고, 용융온도 150 ~ 200 ℃인데, 이 범위에서는 균일한 흐름성을 지녀, 성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쇄연장제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40 ~ 95 중량%를 사용하는데, 40 중량% 미만 시 성형 시 전체적인 용융점도가 감소하여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성형된 표피재의 부드러운 감촉이 저하되며, 95 중량% 초과 시 파우더 입자간의 뭉침 현상이 증가하여 성형된 표피재의 일반 물성이 저하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는 선형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것으로써 평균분자량은 400 ~ 6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450 ~ 5000 이고,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또는 이들 중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는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다가알코올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에서 분자 말단이 디올의 구조를 가진 폴리에스테르 디올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디올을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탄소수 2 ~ 12 의 디카르복실산으로 제조되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옥살산, 말로닉산, 숙시닉산, 글루타릭산, 아디픽산, 피멜릭산, 수베릭산, 세바식산, 언데칸디오익산 및 도데칸디오익산 등이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테르프탈산 등이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은 단독 또 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구체적으로 숙시닉산, 글루타릭산 및 아디픽산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구체적인 예로 알코올기 중 탄소원자수가 1 ~ 4 인 카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카르복실산무수물 또는 카르복실산 염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 6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숙시닉산과 글루타릭산, 에디픽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디올을 구성하는 다가알코올은 탄수원자수 2 ~ 10 인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들의 가지 달린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또한 다가알코올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4 ~ 6 의 디올, 구체적으로 1,4-부탄디올 또는 1,6-헥산디올의 에스테르, ω-하이드록시 카프론산과 같은 ω-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축합생성물 또는 락톤, ω-카프로락톤의 중합생성물 등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4 의 글리콜, 구체적으로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 디올, 1,3-프로판 디올, 1,2-부탄 디올, 1,3-부탄 디올, 1,4-부탄 디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디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로 조합된 폴리에스테르 디올은 구체적으로, 에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1,4-부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에탄디올-1,4-부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1,6-헥산디올-네오펜틸글리콜-폴리아디페이트, 1,6- 헥산디올-1,4-부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및 폴리카프로락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는 2 ~ 55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데 2 중량% 미만 시 표피재의 성형에 있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용융점도 조절 효과와 유연성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55 중량% 초과 시 압출 가공할 때 전단력 부족에 의해 충분한 혼련이 어려우므로 물성의 편차가 심해지며, 성형 후 표피재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무기질 평활제 >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질 평활제는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이며, 분체화된 폴리우레탄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외곽을 둘러싸 수지의 뭉침을 방지하고 분체상의 유동을 향상시켜, 성형 후 표피재의 외관상 핀홀과 같은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기질 평활제의 입자크기는 2 ~ 20 ㎛ 이고, 0.05 ~ 5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입자크기 내에서는 뭉침 방지 효과가 좋으며, 상기 무기질 평활제를 0.05 중량% 미만 사용 시 파우더 입자간의 뭉침현상이 발생하여 흐름성이 저하되므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표피재의 성형이 어려우며, 5 중량% 초과 시 파우더 입자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성형된 표피재의 물성 특히 원하는 강도를 얻어내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안료, 유 화제, 열 및 광안정제, 상용화제, 내부 활제,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난연제 및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 등을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가 있다. 본 단계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40 ~ 95 중량%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를 2 ~ 55 중량%를 160 ~ 200 ℃ 범위 내에서 혼합하고,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데, 이 범위 내로 혼합하면 좁은 온도 범위에서 균일한 흐름성을 지녀, 성형성이 우수한 점이 효과적이다. 상기 a) 단계 후 펠릿의 크기는 75 ~ 450 ㎛인 경우와 1 ~ 5 mm인 경우가 있다.
먼저 펠릿의 크기가 75 ~ 450 ㎛ 경우, 상기 크기가 75 ~ 450 ㎛인 펠릿을 믹서를 이용하여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와 혼합하여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있다. 상기 무기질 평활제 혼합단계에서는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0.05 ~ 5 중량%를 상기 분쇄물과 함께 혼합하는데 20 ~ 180 ℃ 온도범위 하며 상기 온도범위 내에서 혼합 시 수지와의 접착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후 펠릿의 크기가 1 ~ 5 mm인 경우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 압출을 거쳐 수득된 펠렛을 0 ℃ 이하의 온도범위, 액상질소 하에서 냉동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동지수 70 g/10분, 용융온도 140 ℃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열의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쇄연장제인 톨루엔 디아민계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수평균분자량이 600 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인 에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5 중량부에 추가적으로 반응성 상용화제인 글리시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 중량부, 내부활제인 칼슘 스테아레이트 2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이가녹스 1010 3 중량부, 무기첨가제인 탈크 3 중량부를 혼합하고, 단축 압출기(L/D 30 이상)를 이용하여, 180 ℃ 에서 압출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펠릿을 액체 질소 하에서 저온 분쇄하여 350㎛의 분체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 분체 조성물에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 평활제 1 중량부를 투입하여 210 ℃에서 PSM(Powder Slush Mould) 공법으로 시트를 제조 하였다.
비교예 1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를 투입하지 않은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5 중량부 투입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 의 시트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경도, 인장강도, 신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경도 : 쇼어 A 경도 측정법에 의해 시행하였다.
2) 인장강도 : ASTM D412에 의해 시행하였다.
3) 신율 : ASTM D412에 의해 시행하였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경도 71 72 78
인장강도
(kgf/㎠)
138.4 91.5 128.6
신율(%) 801.8 758.2 689.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실시예 1 ~ 2)의 경도가 비교예(1 ~ 2)보다 부드러우며, 인장강도, 신율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40 ~ 95 중량%;
    b)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 2 ~ 55 중량%; 및
    c)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 0.05 ~ 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유동지수 60 ~ 70 g/10 분이고, 용융온도 150 ~ 200 ℃이며, 쇼어 A 경도가 70 ~ 95 이며,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쇄연장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칸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6-사이클로 디이소시아 네이트, 4,4'-디사이클로 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사이클로 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사이클로 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4- 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트, 4,4'-,2,4'- 또는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탈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1,2)-에탄, 나프탈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에스테르 디올 및 폴리카프로락톤 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쇄연장제는 톨루엔 디아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는 에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1,4-부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에탄디올-1,4-부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1,6-헥산디올-네오펜틸글리콜-폴리아디페이트, 1,6-헥산디올-1,4-부탄디올-폴리아디페이트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인 무기질 평활제는 입자크기가 2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8.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안료와 혼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압출단계; 및
    b) 상기 압출 단계에서 수득된 펠렛을 믹서에서 이산화규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압출단계 후 펠렛은 75 ~ 4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압출단계 후 펠렛은 1 ~ 5 mm 이고, 압출을 거쳐 수득된 펠렛을 0℃ 이하에서 냉동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혼합물은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40 ~ 95 중량%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올리고머는 2 ~ 55 중량%이며, 상기 무기질 평활제는 0.5 ~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내장재.
KR1020090126167A 2009-12-17 2009-12-17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27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67A KR101277947B1 (ko) 2009-12-17 2009-12-17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67A KR101277947B1 (ko) 2009-12-17 2009-12-17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35A true KR20110069435A (ko) 2011-06-23
KR101277947B1 KR101277947B1 (ko) 2013-06-27

Family

ID=4440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67A KR101277947B1 (ko) 2009-12-17 2009-12-17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25B1 (ko) * 2013-11-29 2014-06-27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분말 슬러쉬 몰딩 조성물
KR101444713B1 (ko) * 2012-06-26 2014-09-26 김완식 차량 댐퍼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차량 댐퍼
KR20200062782A (ko) * 2018-11-27 2020-06-04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370A (ko) 2014-12-31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탄성 중도 도료 조성물
KR102098542B1 (ko) * 2019-09-09 2020-04-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KR102461768B1 (ko) * 2019-09-09 2022-10-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7890B (zh) * 2006-05-09 2012-10-03 J·J·森诺豪斯 增容化的聚合物加工助剂
JP5336059B2 (ja) 2007-09-11 2013-11-06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プライマー形成用組成物、この組成物を用いたプライマー層を有する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0023A (ko) * 2007-12-26 2009-07-0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카렌다 가공성이 우수한 무가소제저경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0971557B1 (ko) * 2008-06-11 2010-07-20 덕양산업 주식회사 지방족 폴리우레탄 기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13B1 (ko) * 2012-06-26 2014-09-26 김완식 차량 댐퍼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차량 댐퍼
KR101405525B1 (ko) * 2013-11-29 2014-06-27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분말 슬러쉬 몰딩 조성물
WO2015080373A1 (ko) * 2013-11-29 2015-06-0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분말 슬러쉬 몰딩 조성물
CN105764987A (zh) * 2013-11-29 2016-07-13 和仁化学株式会社 粉末搪塑组合物
KR20200062782A (ko) * 2018-11-27 2020-06-04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947B1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947B1 (ko)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4184178B2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EP2588534B1 (en) Polymer compositions
KR101678049B1 (ko)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용도
TWI727207B (zh) 熱塑性聚氨酯、含彼之發泡熱塑性聚氨酯彈性體粒子及彼等之製備方法
US6420510B1 (en) Aliphatic, low-emissi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molding materials suitable for sintering
JP2008138196A (ja) プラスチック複合材料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525606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
CA3131813A1 (en) Soft particle foam consisting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KR100971557B1 (ko) 지방족 폴리우레탄 기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22555B (zh) 热塑性聚氨酯及其弹性体粒子和它们的制备方法
US20060287419A1 (en) Composition for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used in powder slush molding process
KR101258021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1418148B1 (ko) 파우더 슬러쉬 성형을 위한 미세 구형 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764B1 (ko)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한 미세기공형 폼시트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KR100883319B1 (ko) 콩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과폴리라틱산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혼합체, 및 이의 발포체
KR20060064897A (ko)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성형을 위한 분체상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조성물
JP2020143194A (ja) 難燃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KR102557201B1 (ko) 경화성 조성물
JPH06184367A (ja) ポリマーアロイ
JP2006233097A (ja) パウダー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材料
CA2911752C (en) New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rubbers, elastomers, and their recycled
US9752019B2 (en)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rubbers, elastomers, and their recycled
JP2005082675A (ja) 難燃性の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2006124509A (ja) 自動車内装用表皮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