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542B1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542B1
KR102098542B1 KR1020190111258A KR20190111258A KR102098542B1 KR 102098542 B1 KR102098542 B1 KR 102098542B1 KR 1020190111258 A KR1020190111258 A KR 1020190111258A KR 20190111258 A KR20190111258 A KR 20190111258A KR 102098542 B1 KR102098542 B1 KR 10209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urethane resin
cable sheath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968A (ko
Inventor
김환기
박영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968A/ko
Priority to KR1020200037693A priority patent/KR102461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2Polyurethanes or polythiourethanes; Polyurea or polythio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특성 및 탄성력이 우수하고, 난연성 향상을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여 용융점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압출시 압출부하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압출성 및 이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베이스 수지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며 압출공정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Composition for sheath of cable compris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and cable having a sheath layer form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특성 및 탄성력이 우수하고, 난연성 향상을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여 용융점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압출시 압출부하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압출성 및 이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베이스 수지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며 압출공정의 연속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현장에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 FA) 설비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러한 공장자동화 설비, 예를 들어, 이송장치, 로봇 등 반복적인 이동을 수행하는 설비에 사용되는 FA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FA 케이블은 그 사용환경에 따라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강도 및 뛰어난 탄성력과 난연성 등의 꾸준한 신뢰성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비가교 형태도로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등과 같은 뛰어난 기계적 물성 및 탄성력 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탄성체인 가교 고무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와 달리 사출, 압출 등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제품 성형이 용이하여 자동차, 전선, 공압 호스 및 신발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취약한 난연성, 그리고 연소시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어 불똥이 드립핑되는 현상 때문에 FA 케이블용 등 우수한 난연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취약한 난연성을 극복하기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융점도를 증가시켜 FA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시 압출 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에스테르(ester) 혹은 에테르(ether) 그룹과 폴리올 그룹의 중합체로 가수분해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증가된 압출 부하로 인해 압출시 다이와의 마찰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서 다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해 일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가수분해되어 열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압출공정의 연속성이 방해된다.
따라서,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특성 및 탄성력이 우수하고, 난연성 향상을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여 용융점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압출시 압출부하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압출성 및 이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베이스 수지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며 압출공정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포함하는 FA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특성, 탄성력, 난연성 등이 우수한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성 향상을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여 용융점도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압출시 압출 부하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압출성, 생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증가된 압출 부하에 의해 압출 다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수지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압출공정의 연속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장자동화(FA)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난연제 및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활제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해도계수-5 내지 용해도계수+5의 용해도계수를 갖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해도계수는 20 내지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스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활제는 에스테르계 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활제는 에테르계 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쇼어 A 경도가 80 내지 95이고, 융점(Tm)이 15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활제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인계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유기 금속 포스피네이트 난연제이고, 상기 멜라민계 난연제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내가수분해제, 산화방지제 및 탈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융점(Tm)이 150 내지 170℃이고, 상기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은 규격 EN 50363-10-2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2.8 kgf/㎟ 이상 및 300% 이상이고, 규격 IEC 60332에 따라 상기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고 길이가 600±25 mm인 케이블 시편에 대해 난연성 시험을 수행할 때 상기 케이블 시편의 일 말단을 지지체로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지체 하단부로부터 475±5 mm의 하부 지점에 45±2°의 각도로 60±2초간 불꽃을 인가한 후 연소가 종료됐을 때 상기 지지체 하단부와 연소가 종료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50 mm를 초과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난연제 첨가에 의해 내마모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특성, 탄성력, 난연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특정 활제를 첨가하여 난연성 첨가에 의해 증가된 용융점도에도 불구하고 압출부하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압출성,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고, 베이스 수지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압출공정의 연속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압출시 압출성 및 압출균일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를 포함하고, 난연성 향상을 위해 난연제, 상기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향상된 용융점도 증가로 증가된 압출부하를 낮추기 위한 특정 활제,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PU)는 인장강도, 신율,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굴곡 특성 및 내유 특성이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 연질부와 경질부의 조성비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져 적용 용도가 정해지는데,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로 적용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에스테르(ester) 또는 에테르(ether)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고, 따라서 연질부가 에스테르계 폴리올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연질부가 에테르계 폴리올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융점(Tm)이 150 내지 170℃이고, 쇼어 A 경도가 80 내지 95일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쇼어 A 경도가 80 미만인 경우 케이블 쉬스층에서 요구되는 경도, 강도 규격에 미달될 수 있는 반면, 95 초과인 경우 케이블 쉬스층의 경도가 과도하여 케이블의 굴곡 특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베이스 수지로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공온도를 고려하고, 화재시 차르(char)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유기 금속포스피네이트 난연제 등과 같은 인계 난연제와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난연제 등과 같은 멜라민계 난연제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인계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상기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용융점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출시 압출부하가 증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쉬스층의 압출성, 케이블의 생산성 등이 크게 저하되며, 압출부하 증가에 의해 압출 다이스에 조성물이 체류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가수분해에 취약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부분적으로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상기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용융점도가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압출시 압출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특정 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용해도계수가 유사한 활제를 채택하는 경우 상기 압출부하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예측컨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에 첨가되는 활제의 용해도계수가 유사한 경우 이들 사이의 상용성이 증가하여 상기 활제에 의한 효과, 즉 압출부하 증가 억제 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해도계수는 약 20 내지 24이고, 상기 활제의 용해도계수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판 수지의 용해도계수±5, 즉 약 15 내지 29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해도계수±5의 용해도계수를 갖는 활제는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스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에스테르계 폴리올 타입인 경우 에스테르계 활제일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에테르계 폴리올 타입인 경우 에테르계 활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제의 함량은 베이스 수지로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활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활제에 의한 압출부하 증가 억제 효과가 미미한 반면, 1.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케이블 쉬스층의 내마모성, 경도,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 탈크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은 앞서 기술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여 우수한 내마모성, 강도, 경도 등의 기계적 강도와 탄성력을 보유하는 동시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특정 난연제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여 충분한 난연성을 보유하고, 상기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용융점도가 증가하고 이로써 압출시 압출부하가 증가하는 문제는 특정 활제를 특정 함량으로 첨가함으로써 해결하며, 결과적으로 쉬스층의 압출성, 케이블의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베이스 수지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압출공정의 연속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예를 들어, FA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기재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쉬스 시편 및 케이블 시편을 제조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수지 100
난연제1 25 25 25 25 35 25 25 15
난연제2 25 25 25 25 25 35 15 25
활제1 0.5 0.5 0.5 0.5 0.5
활제2 0.5
활제3 0.5
기타 4 4 4 4 4 4 4 4
- 수지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쇼어 A 경도 : 80~95; 융점(Tm) : 150~170℃)- 난연제1 : 인계 팽창난연제(질소 함량 : 19~23 중량%; 인 함량 : 16~20 중량%)
- 난연제2 : 멜라민시아누레이트(순도 99.5%; 잔류 시안산 : 0.2 중량% 이하; 잔류 멜라민 : 0.3 중량% 이하, 평균입경(D50) 1~4 ㎛)
- 활제1 : 에스테르계 왁스
- 활제2 : 실리콘계 활제
- 활제3 : 불소계 활제
- 기타 : 내가수분해제, 산화방지제, 탈크
2. 물성 평가
1) 상온 물성 평가
규격 EN 50363-10-2에 따라 250㎜/min의 평가속도로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쉬스층 시편에 대해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장율을 각각 측정했다. 인장강도는 2.8 kgf/㎟ 이상, 인열강도는 50 N/m 이상, 신장율은 300% 이상이어야 한다.
2) 산소지수 평가
규격 ASTM D2863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쉬스층 시편에 대해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를 측정했다. 한계산소지수는 28% 이상이어랴 한다.
3) 난연성 평가
규격 IEC 60332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쉬스층을 갖고 길이가 600±25 mm인 케이블 시편에 대해 난연성 시험을 수행했고, 상기 케이블 시편 각각의 일 말단을 지지체로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지체 하단부로부터 475±5 mm의 하부 지점에 45±2°의 각도로 60±2초간 불꽃을 인가한 후 연소가 종료됐을 때 상기 지지체 하단부와 연소가 종료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50 mm를 초과해야 한다.
4) 압출특성 평가
Hakke mini single extruder를 이용해 일정 기간, 시간별 압출량 측정을 통해 압출성 및 압출균일성을 평가했다. 시간별 압출량은 2.8 kg/h 이상이어야 하고, 구간별 압출량을 균일해야 한다.
상기 물성 평가 결과는 아래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인장강도
(kgf/㎟)
4.25 4.19 4.28 4.08 4.51 4.42 3.7 3.6
신장율(%) 368 357 342 372 284 252 432 426
인열강도(N/m) 58 54 52 53 38 32 57 56
LOI(%) 28.5 29 28.5 29 32 28 28 24
시간당압출량
(kg/h)
3.21 3.17 1.98 2.76 2.82 2.79 3.47 3.41
압출균일성 우수 불량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우수 우수
난연성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fail fail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이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LOI 및 난연성 평가에서도 우수하며, 압출성 및 압출균일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에스테르계 활제가 아닌 실리콘 활제, 불소계 활제 등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은 활제와 베이스 수지간의 상용성 저하로 시간당 압출량 및/또는 압출균일성이 기준 미달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활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시간당 압출량으로 평가되는 압출성이 기준 미달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난연제가 과량 첨가된 비교예 4 및 5의 조성물은 신장율, 인열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압출성도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난연제가 불충분하게 첨가된 비교예 6 및 7의 조성물은 난연성이 기준 미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공장자동화(FA)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난연제 및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스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상기 활제는 에스테르계 활제이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상기 활제는 에테르계 활제이고,
    상기 활제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해도계수-5 내지 용해도계수+5의 용해도계수를 갖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해도계수는 20 내지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스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활제는 에스테르계 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에테르 그룹과 폴리올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활제는 에테르계 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쇼어 A 경도가 80 내지 95이고, 융점(Tm)이 15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활제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인계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유기 금속 포스피네이트 난연제이고, 상기 멜라민계 난연제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10.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가수분해제, 산화방지제 및 탈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융점(Tm)이 150 내지 170℃이고,
    상기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은 규격 EN 50363-10-2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각각 2.8 kgf/㎟ 이상 및 300% 이상이고,
    규격 IEC 60332에 따라 상기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고 길이가 600±25 mm인 케이블 시편에 대해 난연성 시험을 수행할 때 상기 케이블 시편의 일 말단을 지지체로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지체 하단부로부터 475±5 mm의 하부 지점에 45±2°의 각도로 60±2초간 불꽃을 인가한 후 연소가 종료됐을 때 상기 지지체 하단부와 연소가 종료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50 mm를 초과하는, 공장자동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KR1020190111258A 2019-09-09 2019-09-09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KR10209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58A KR102098542B1 (ko) 2019-09-09 2019-09-09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KR1020200037693A KR102461768B1 (ko) 2019-09-09 2020-03-27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58A KR102098542B1 (ko) 2019-09-09 2019-09-09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732A Division KR20180090632A (ko) 2017-02-03 2017-02-03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693A Division KR102461768B1 (ko) 2019-09-09 2020-03-27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968A KR20190106968A (ko) 2019-09-18
KR102098542B1 true KR102098542B1 (ko) 2020-04-07

Family

ID=6807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58A KR102098542B1 (ko) 2019-09-09 2019-09-09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5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96B1 (ko) 2008-07-28 2010-10-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비수축튜브
CN102295835A (zh) 2010-06-24 2011-12-28 上海凯波特种电缆料厂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热塑性聚氨酯弹性体护套料及其制备与应用
KR101224031B1 (ko) 2004-12-02 2013-01-1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튜브
JP2013023656A (ja) * 2011-07-25 2013-02-04 Mitsui Chemicals Inc チューブおよびチューブの製造方法
KR101277947B1 (ko) 2009-12-17 2013-06-27 박상준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549592B1 (ko) * 2015-03-24 2015-09-03 주식회사 경신전선 차량 시트용 열선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5034B1 (ko) 2015-10-23 2016-05-30 (주)경신전선 전기자동차용 충전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31B1 (ko) 2004-12-02 2013-01-1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튜브
KR100985296B1 (ko) 2008-07-28 2010-10-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비수축튜브
KR101277947B1 (ko) 2009-12-17 2013-06-27 박상준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2295835A (zh) 2010-06-24 2011-12-28 上海凯波特种电缆料厂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热塑性聚氨酯弹性体护套料及其制备与应用
JP2013023656A (ja) * 2011-07-25 2013-02-04 Mitsui Chemicals Inc チューブおよびチューブの製造方法
KR101549592B1 (ko) * 2015-03-24 2015-09-03 주식회사 경신전선 차량 시트용 열선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5034B1 (ko) 2015-10-23 2016-05-30 (주)경신전선 전기자동차용 충전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968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7949B1 (en) Flexible flame retardant insulated wires for use in electronic equipment
EP2221832A2 (en) Insulation material for electric cables with superior flexibility and crosslinkability and electric cable produced with the same
KR20190000063A (ko) 내한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KR20160073615A (ko) 케이블의 쉬스용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KR20100038701A (ko)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피복용 친환경 난연 열가소성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복합수지 조성물
KR101745107B1 (ko) 자동차용 전선소재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2098542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KR100627509B1 (ko) 전선 피복재료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KR100985296B1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비수축튜브
KR20200035392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KR20180090632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케이블 쉬스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쉬스층을 갖는 케이블
KR102160312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불소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저압전선
KR102414219B1 (ko) 열수축 튜브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수축 튜브
KR102023837B1 (ko) 난연성 절연수지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0636B1 (ko) 유연성이 우수한 불소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23001B1 (ko) 절연 재료
CN112831139A (zh) 一种电线外皮及其制备工艺
KR101774449B1 (ko) 내마모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자동차 전선용 절연재료 조성물
KR100947141B1 (ko) 반도전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JPH09302185A (ja) 軟質塩化ビニル樹脂系組成物及びptc発熱体
KR100674747B1 (ko) 난연 열수축 튜브 제조용 조성물 및 난연 열수축 튜브
KR20200143540A (ko) 가공 케이블 외절연용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가공 케이블 외절연을 포함하는 가공 케이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KR20110107610A (ko) 고유연, 고내열, 고내유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열수축 튜브
KR102195765B1 (ko) 신호 전송용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