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421A -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21A
KR20110069421A KR1020090126147A KR20090126147A KR20110069421A KR 20110069421 A KR20110069421 A KR 20110069421A KR 1020090126147 A KR1020090126147 A KR 1020090126147A KR 20090126147 A KR20090126147 A KR 20090126147A KR 20110069421 A KR20110069421 A KR 2011006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atty acid
triglyceride
polyunsaturated fatty
ethyl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748B1 (ko
Inventor
이용욱
김정남
박문수
고동현
한재택
남은정
Original Assignee
(주) 켐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켐포트 filed Critical (주) 켐포트
Priority to KR1020090126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48B1/ko
Priority to PCT/KR2010/005033 priority patent/WO2011074758A1/en
Publication of KR2011006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C11C3/06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with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3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ty acids with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1/00Preparation of fatty acids from fats, fatty oils, or waxes; Refining the fatty acids
    • C11C1/005Splitting up mixtures of fatty acids into their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2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ty acids with 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로 정제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특정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 효소,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롤, EPA, 류마티스 관절염

Description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eparing Triglyceride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본 발명은 목적하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특정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순도로 정제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은 탄소수가 18개 이상이고 이중 결합이 2개 이상인 지방산을 의미한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여러 가지 독특한 생리 활성이 있기 때문에, 각종 식품 및 동물 사료에 첨가되어 그 기능성을 높이는데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예로는 리놀산(linoleic acid: LA), α -리놀렌산(α-linolenic acid: ALA), γ-리놀렌산(γ-linolenic acid: GLA), 디호모-γ-리놀렌산(dihomo-γ-linolenic acid: DGLA), 미드산(mead acid: MA),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AA),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등을 들 수 있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유리 지방산 형태나 인지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자체의 화학적 합성은 어렵고 그 비용도 매우 높기 때문에, 그것의 실제적인 공급원은 생물자원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지 식물, 어패류, 미생물, 해초류 등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생물에 함유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낮아 목적하는 생리 활성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거나, 목적하는 생리 작용을 달성하기 위해 다량 섭취할 경우 칼로리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물로부터 특정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분자종을 분리 정제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방법은 고성능 액체 크리마토그래피 등의 분석용 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등,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는데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목적하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특정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고순도로 정제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용이하게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i)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에탄올과 반응시켜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분리 정제하여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i)에서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에탄올과 반응시키 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의 지방산이 에틸에스테르 형태로 전환되어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가 생성된다.
이때 에탄올은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100중량%에 대해 30 내지 10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염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성소다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염기의 사용량은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100중량%에 대해 0.5 내지 2 중량%가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4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는 동식물로부터 추출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유지 식물, 어패류, 미생물, 해초류 등에서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어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멸치, 정어리, 청어, 멘헤덴(menhaden) 또는 참치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단계 (ii)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지방산 에틸에스테르가 혼합되어 있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분리 정제하여 목적하는 특정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가 고농도,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한다.
이 때 분리 정제 방법은 분자증류, 진공분별증류, 재결정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증류(molecular distillation)는 통상의 분자증류장치를 이용하여 0.1torr 이하 100℃ 내지 150℃에서 1차 증류하고 0.1torr 이하 140℃ 내지 170℃ 에서 2차 증류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분별증류(vacuum fractional distillation)는 통상의 진공분별증류장치를 이용하여 0.5torr 이하 120℃ 내지 20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증류장치를 이용하여 1차 분자증류하고 진공분별증류한 다음, 분자증류장치를 이용하여 2차 분자증류를 수행하여도 된다.
상기 재결정화(recrystalization)는 우레아 및 알코올, 특히 메탄올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로 분리 정제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자증류, 진공분별증류 및/또는 재결정화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산(linoleic acid: LA),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ALA), γ-리놀렌산(γ-linolenic acid: GLA), 디호모-γ-리놀렌산(dihomo-γ-linolenic acid: DGLA), 미드산(mead acid: MA),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AA),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에서 특히 에이코사펜타엔산 또는 도코사헥사엔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ii)에서는 상기 단계 (ii)에서 분리 정제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글리세롤에 결합되어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가 제조된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중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의 분리 정제 정도에 따라 변하며, 70% 이상이 바람직하다.
분리 정제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소로는 리조푸스속(Rhizopus sp.) 미생물,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 미생물 및 뮤커속(Mucor sp.) 미생물과 같은 미생물 유래의 리파아제 또는 비위치 특이성 리파아제인 칸디다 실린드라세아(Candida cylindracea) 또는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tica)에서 유래한 리파아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tica)에서 유래한 노보자임(Novozyme) 435 또는 (유사)리파아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의 투입량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에 대해 1 내지 7 중량%가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이 진행되지 않으며, 7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더 이상 반응속도가 빨라지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반응 온도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최적 온도가 존재하지만, 효소의 재사용을 고려했을 때 효소의 활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tica)에서 유래한 리파아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5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50℃ 미만에서는 거의 반응이 진행되지 않으며, 70℃를 초과하면 효소의 활성도가 떨어져 재사용에 문제가 있다.
반응 중 생성되는 에탄올의 신속한 제거를 위해 반응은 진공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진공도는 10 내지 0.05torr가 바람직하다. 진공도는 높을수록 좋지만 너무 진공도가 높을 경우 글리세롤의 소실 가능성이 높아지고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상기 글리세롤의 사용량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에 대해 5 내지 13 중량%가 바람직하며, 7 내지 9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세롤에 지방산이 3개 결합된 트리글리세라이드(TG)의 생성속도 보다 글리세롤에 지방산이 1개 결합된 모노글리세라이드(MG) 및 2개 결합된 다이글리세라이드(DG)의 생성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글리세롤을 필요 이상 과량으로 투입할 경우 다량의 MG 및 DG가 합성되어 결과적으로 원하는 농도의 TG를 합성할 수 없게 된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중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은 60% 이상이 바람직하다.
효소 촉매는 고가이므로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반응 종료 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체에 흡착된 형태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회수의 용이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경피흡수, 직장투여) 투여될 수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약물처리된 시럽제 등 여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형태의 약제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or),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안정제, 착색제 등 상기 형태의 약제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는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0.01 내지 100 중량%의 농도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화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체중 1kg당 하루에 활성성분 0.01 내지 500 mg이 투여될 수 있고,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체중 1kg당 하루에 활성성분 0.01 내지 100 mg이 투여될 수 있다. 상술한 일일 투여량은 한번에 또는 나누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질환의 정도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제, 에멀젼, 시럽제 등의 경구형 제제 형태이거나, 캔디, 과자, 껌, 아이스크림, 면류, 빵, 음료 등 일반적인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형태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부형제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0.01 내지 100 중량%의 농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목적하는 생리 활성을 가지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효소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글리세롤과 반응시키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의 정제 정도 및 종류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에 함유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농도 및 종류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70%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EPA 70EE) 오일의 제조
멸치유 유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100중량%에 에탄올 50 중량% 및 가성소다 1 중량%을 투입한 후 2시간 동안 70℃ 를 유지하며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물로 5회 반응액을 수세한 후 탈기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함량이 17%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오일을 분자증류장치에 투입한 후 0.1torr 이하 120℃ 에서 1차 증류하고 0.1torr 이하 160℃ 에서 2차 증류하여 EPA 함량이 24% 이상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오일을 진공분별증류장치에 투입한 후 0.5torr 이하 120℃ 에서 증류하여 EPA 함량이 70%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EPA 70EE)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70%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DHA 70EE) 오일의 제조
참치유 유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100중량%에 에탄올 50 중량% 및 가성소다 1 중량%을 투입한 후 2시간 동안 70℃ 를 유지하며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물로 5회 반응액을 수세한 후 탈기하여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함량이 24%인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오일을 분자증류장치에 투입한 후 0.1torr 이하 125℃에서 1차 증류하고 0.1torr 이하 165℃ 에서 2차 증류하여 DHA 함량이 45% 이상인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유지를 진공분별증류장치에 투입한 후 0.5torr 이하 170℃ 에서 증류하여 DHA 함량이 70%인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DHA 70EE)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80%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DHA 80EE) 오일의 제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DHA 70EE 오일, 우레아 및 메탄올을 각각 100, 200, 800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60℃ 이상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1.0℃/분 속도로 냉각 재결정하였다. 우레아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탈기하여 도코사헥사엔산 함량이 80%인 도코사헥사엔산 에틸에스테르(DHA 80EE)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90%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EPA 90EE) 오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EPA 70EE 오일, 우레아 및 메탄올을 각각 100, 200, 800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60℃ 이상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1.0℃/분 속도로 냉각 재결정하였다. 우레아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탈기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 함량이 90%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EPA 90EE)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5: 80%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EPA 80EE) 오일의 제조
제조예 1에서와 같이 두 번의 분자증류를 통하여 얻은 EPA 함량이 24%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오일과 제조예 4에서 얻은 EPA 90EE 오일을 1:5 비율로 혼합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 함량이 80%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EPA 80EE) 오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에이코사펜타엔산을 70%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EPA 70EE 오일 100g과 글리세롤 8.7g을 혼합한 후 45℃에서 30분간 탈기하였다. 노보자임(Novozyme) 435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60℃, 1torr 조건에서 300rpm으로 교반하였다. 27시간 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65% 생성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런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노보자임 435와 오일을 분리한 후, 오일에 물 100g을 투입하여 잔류 글리세롤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탈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BF3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화시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로 확인한 결과, EPA 함량은 70%였다. 또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한 결과는, 트리글리세라이드(TG) 65%, 다이글리세라이드(DG) 20%, 에틸에스테르(EE) 15%였고 회수율은 94%였다.
실시예 2: 도코사헥사엔산을 70%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제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DHA 70EE 오일 100g과 글리세롤 7.9g을 혼합한 후 45℃에서 30분간 탈기하였다. 노보자임 435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60℃, 1torr 조건에서 300rpm으로 교반하였다. 30시간 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64% 생성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런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노보자임 435와 오일을 분리한 후, 오일에 물 100g을 투입하여 잔류 글리세롤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탈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BF3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화시켜 GC로 확인한 결과, DHA 함량은 70%였다. 또한, HPLC로 분석한 결과는, TG 64%, DG 22%, EE 14%였고 회수율은 93%였다.
실시예 3: 도코사헥사엔산을 80%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제조
제조예 3에서 수득한 DHA 80EE 오일 100g과 글리세롤 8.09g을 혼합한 후 45℃에서 30분간 탈기하였다. 노보자임 435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60℃, 1torr 조건에서 300rpm으로 교반하였다. 30시간 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62% 생성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런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노보자임 435와 오일을 분리한 후, 오일에 물 100g을 투입하여 잔류 글리세롤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탈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BF3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화시켜 GC로 확인한 결과, DHA 함량은 80%였다. 또한, HPLC로 분석한 결과는, TG 62%, DG 22%, EE 16%였고 회수율은 93%였다.
실시예 4: 에이코사펜타엔산을 90%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제조
제조예 4에서 수득한 EPA 90EE 오일 100g과 글리세롤 8.65g을 혼합한 후 45℃에서 30분간 탈기하였다. 노보자임 435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60℃, 0.2torr 조건에서 300rpm으로 교반하였다. 48시간 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90% 생성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런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노보자임 435와 오일을 분리한 후, 오일에 물 100g을 투입하여 잔류 글리세롤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탈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BF3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화시켜 GC로 확인한 결과, EPA 함량은 90%였다. 또한, HPLC로 분석한 결과는, TG 90%, DG 6%, EE 4%였고 회수율은 92%였다.
실시예 5: 에이코사펜타엔산을 80%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수득한 EPA 80EE 오일 100g과 글리세롤 8.84g을 혼합한 후 45℃에서 30분간 탈기하였다. 노보자임 435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60℃, 1torr 조건에서 300rpm으로 교반하였다. 27시간 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65% 생성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런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노보자임 435와 오일을 분리한 후, 오일에 물 100g을 투입하여 잔류 글리세롤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탈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BF3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화시켜 GC로 확인한 결과, EPA 함량은 80%였다. 또한, HPLC로 분석한 결과는, TG 65%, DG 20%, EE 15%였고 회수율은 94%였다.
실시예 6: 에이코사펜타엔산 53% 및 도코사헥사엔산 25%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수득한 EPA 80EE 오일 94.6g과 제조예 2에서 수득한 DHA 70EE 오일 5.4g을 혼합하여 EPA 함량이 53%이고 DHA 함량이 25%인 혼합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유 100g과 글리세롤 8.55g을 혼합한 후 45℃에서 30분간 탈기하였다. 노보자임 435 5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60℃, 1torr 조건에서 300rpm으로 교반하였다. 27시간 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63% 생성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그런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노보자임 435와 오일을 분리한 후, 오일에 물 100g을 투입하여 잔류 글리세롤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탈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BF3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화시켜 GC로 확인한 결과, EPA 함량은 53%이고 DHA 함량은 25%였다. 또한, HPLC로 분석한 결과는, TG 63%, DG 24%, EE 13%였고 회수율은 91%였다.
시험예 1: 항류마티스 관절염 효능시험
1.시험방법
1.1.시험군의 구성
시험동물로는 수컷 위스터 래트(Wister rat)를 각 시험군에 대해 8마리씩 사용하였다.
시험군은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고 부형제인 옥수수유만을 투여한 정상 대조군과 기염물질인 프로인트 완전 아주반트(Freund's complete adjuvant: FCA)를 시 험동물 후지의 피하에 투여하여 관절염을 유발하고 옥수수유만을 투여한 관절염 대조군 및 시험물질인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트리글리세라이드 투여군과 양성 대조물질인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시험군의 투여액량은 5 mL/kg 체중으로 설정하고, 시험물질의 투여용량은 각각 500, 1000 및 2000 mg/kg 체중으로, 그리고 양성 대조물질인 페닐부타존의 투여용량은 50 mg/kg 체중으로 설정하여, 기염물질인 FCA 투여 후 21일간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1.2.부종율의 측정
래트의 뒷발목 관절 부위를 유성펜으로 표시한 후 플레디스모미터(plethysmometer)를 사용하여 발의 부피를 투여 전, 투여 후 5, 13 및 21일째에 측정하였다. 부종 정도를 측정하여 아래의 수식에 따라 부종증가율 및 부종억제율을 계산하여 관절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부종증가율 (%) = [(기염물질 투여전의 족부종 - 기염물질 투여후의 족부종)/기염물질 투여전의 족부종]×100
▶부종억제율 (%) = [(관절염 대조군의 일정시간 후의 평균부종율 - 약물투여군의 일정시간 후의 평균부종율)/관절염 대조군의 일정시간 후의 평균부종율]×100
1.3.자료의 통계처리
모든 자료는 관절염 대조군과 비교하여 스튜던트 t-테스트(Student's t-test)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여 p<0.05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2. 결과
2.1.부종증가율(도 1) 및 부종억제율(도 2)
도 1에서 보듯이, 관절염 대조군의 FCA 투여 후 5일째에 부종증가율은 65.92±6.24 %로 측정되었으며, 500 mg/kg, 1000 mg/kg 및 2000 mg/kg의 시험물질 투여군의 부종증가율은 각각 55.23±4.22 %, 47.71±8.50 % 및 54.55±4.90 %, 양성 대조군의 부종증가율은 49.65±5.40 %로, 관절염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부종증가율이 억제되는 경향은 관찰되었다. 기염물질인 FCA 투여 후 13일째에는 관절염 대조군의 부종증가율이 106.44±7.78 %로 측정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의 부종증가율은 89.19±6.89 %로 측정되었다. 한편, 시험물질 500 mg/kg, 1000 mg/kg 및 2000 mg/kg 투여군의 부종증가율은 각각 96.03±4.69 %, 95.95±4.94% 및 93.53±7.67 %로 관절염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1일째 측정한 결과에서는 관절염 대조군의 부종증가율이 111.44±5.42 %로 산출되었으며, 시험물질 500 mg/kg과 1000 mg/kg 투여군의 경우에는 각각 89.78±3.65 % 및 88.93±3.46 %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p<0.01) 부종증가율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시험물질 2000 mg/kg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의 부종증가율은 각각 76.84±3.03 %와 72.51±3.97 %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성 있는(p<0.001) 부종증가율의 감 소를 나타내었다.
도 2를 보면, 기염물질인 FCA 투여 후 5일째에 시험물질 500 mg/kg, 1000 mg/kg 및 2000 mg/kg 투여군의 부종억제율은 각각 3.3%, 12.1% 및 6.7%로 산출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의 부종억제율은 9.8 %로 산출되었고, 13일째에는 시험물질 500 mg/kg, 1000 mg/kg 및 2000 mg/kg 투여군이 각각 2.5%, 0.8% 및 2.0%로 산출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은 4.2 %로 산출되었다. 21일째의 부종억제율은 시험물질 500 mg/kg, 1000 mg/kg 및 2000 mg/kg 투여군이 각각 7.1%, 7.8% 및 14.8%로 산출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이 16.4 %로 산출되어 투여 기간의 증가에 따라 관절염 대조군에서 관찰된 부종에 비해 부종이 억제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EPA를 70%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투여는 FCA 유도 관절염 모델에서 관절염 대조군의 족부종 증가율에 비해 족부종의 감소를 나타내어 관절염 대조군에 대한 부종억제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증상 완화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정상 대조군, 관절염 대조군, 시험물질 500, 1000 및 2000 mg/kg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의 부종증가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시험물질 500, 1000 및 2000 mg/kg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의 부종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9)

  1. (i)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에탄올과 반응시켜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분리 정제하여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반응을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염기가 가성소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천연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가 어류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어류가 멸치, 정어리, 청어, 멘헤덴(menhaden) 또는 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에서 분리 정제를 분자증류, 진공분별증류, 재결정화 또는 이들의 혼합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리놀산(linoleic acid: LA),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ALA), γ-리놀렌산(γ-linolenic acid: GLA), 디호모-γ-리놀렌산(dihomo-γ-linolenic acid: DGLA), 미드산(mead acid: MA),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AA),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또는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엔산 또는 도코사헥사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70%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 중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효소가 리조푸스속(Rhizopus sp.) 미생물,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 미생물 및 뮤커속(Mucor sp.) 미생물과 같은 미생물 유래의 리파아제 또는 비위치 특이성 리파아제인 칸디다 실린드라세아(Candida cylindracea) 또는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tica)에서 유래한 리파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효소가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tica)에서 유래한 리파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1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효소의 투입량이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에 대해 1 내지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반응 온도가 5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반응을 10 내지 0.05torr의 진공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글리세롤의 사용량이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에 대해 5 내지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i) 멸치 유래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에탄올과 반응시켜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분리 정제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 에틸에스테르 유지를 글리세롤과 효소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이코사펜타엔산을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7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를 70%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20090126147A 2009-12-17 2009-12-1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KR10120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47A KR101204748B1 (ko) 2009-12-17 2009-12-1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PCT/KR2010/005033 WO2011074758A1 (en) 2009-12-17 2010-07-30 Process for preparing triglyceride oil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47A KR101204748B1 (ko) 2009-12-17 2009-12-1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21A true KR20110069421A (ko) 2011-06-23
KR101204748B1 KR101204748B1 (ko) 2012-11-26

Family

ID=4416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47A KR101204748B1 (ko) 2009-12-17 2009-12-1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4748B1 (ko)
WO (1) WO201107475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4236A (zh) * 2012-12-11 2013-03-27 成都圆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Omega-3大于90%的脂肪酸乙酯的方法
WO2018056609A1 (ko) * 2016-09-23 2018-03-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230085877A (ko) 2021-12-07 2023-06-14 주식회사 종근당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 고 함량으로 함유된, 고 순도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240012963A (ko) 2022-07-21 2024-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화 효소로 Lipozyme TL IM을 이용한 감마리놀렌산 고함유 트리글리세라이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870A (ko) 2015-04-13 2016-10-21 (주) 켐포트 환경유해물질이 제거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FR3103355A1 (fr) * 2019-11-26 2021-05-28 Polaris Composition d’huile de micro-organismes enrichie en acides gras polyinsaturé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3095A (en) * 1987-08-07 1989-06-27 Century Laboratories, Inc. Free fatty acids for treatment or propyhlaxis of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KR0139006B1 (ko) * 1990-02-13 1998-05-01 이상운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화물의 제조방법
JP2516860B2 (ja) * 1991-10-03 1996-07-24 工業技術院長 濃縮された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油脂の製造方法
JP2000270885A (ja) * 1999-03-26 2000-10-03 Nippon Suisan Kaisha Ltd 高度不飽和脂肪酸を含有する構造油脂の製造方法
KR100453445B1 (ko) * 2001-04-25 2004-10-20 한국해양연구원 Epa 에틸에스테르 및 dha 에틸에스테르의 제조방법
MXPA04008711A (es) * 2002-03-08 2004-12-13 Monsanto Technology Llc Tratamiento y prevencion de trastornos inflamatorio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4236A (zh) * 2012-12-11 2013-03-27 成都圆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Omega-3大于90%的脂肪酸乙酯的方法
WO2018056609A1 (ko) * 2016-09-23 2018-03-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230085877A (ko) 2021-12-07 2023-06-14 주식회사 종근당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 고 함량으로 함유된, 고 순도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240012963A (ko) 2022-07-21 2024-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화 효소로 Lipozyme TL IM을 이용한 감마리놀렌산 고함유 트리글리세라이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758A1 (en) 2011-06-23
KR101204748B1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5599B2 (ja)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生成微生物、脂肪酸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を作る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CA2692355C (en)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ester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JP4175698B2 (ja) 新規なトリグリセリド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101204748B1 (ko)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지의 제조방법
EP0409903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A2595917C (en) Method for producing a dha-containing fatty acid composition
KR102149068B1 (ko) 지방산 조성물
US8367729B2 (en) Composition with preventive or improvement effect on symptoms or diseases associated with stress-induced behavior disorders
US10039734B2 (en) Eicosapentaenoic acid (EPA) formulations
JPH04300826A (ja) 体重増加抑制剤
JP7259034B2 (ja) 超長鎖脂肪酸組成物
JP3098559B2 (ja) 脂肪肝予防又は治療剤
JP3098561B2 (ja) 血清トリグリセリド濃度低下剤
JPH0761954B2 (ja) コレステロール低下または上昇抑制剤
JPWO2019208803A1 (ja) 微生物油及び微生物油の製造方法
US9573875B2 (en) Procedure for the obtainment of fatty acids of pharmacological and nutritional interest
WO2003094625A1 (en) A facile two-step enzyme process for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fish oil
JP2023503200A (ja) 多価不飽和脂肪酸で強化された微生物油組成物
EP2464240A1 (en) Phytanic acid fractionation process, fatty acid products and use thereof
JP2004168985A (ja) ω−3系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部分グリセリ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8558B2 (ja) 下痢予防又は治療剤
Sun et al. The Enrichment of Docosahexaenoic Acid from Microalgal Oil by Urea Complexation via Rotary-evaporation Crystallization
NO20220910A1 (en) Cetoleic acid composition
JP2006104152A (ja) カルシウムの石灰化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