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90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903A
KR20110068903A KR1020100127592A KR20100127592A KR20110068903A KR 20110068903 A KR20110068903 A KR 20110068903A KR 1020100127592 A KR1020100127592 A KR 1020100127592A KR 20100127592 A KR20100127592 A KR 20100127592A KR 20110068903 A KR20110068903 A KR 2011006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vity
vibration absorbing
housing
absorb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410B1 (ko
Inventor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단자 피팅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이 있는 내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는 외부 하우징과, 고무 플러그를 구비한다. 고무 플러그는 밀봉부, 진동 저감부 및 진동 흡수부를 구비한다. 밀봉부는 단자 피팅의 후단부에 고정 장착되고, 공동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진동 저감부는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유지 구멍에 끼워져, 외부 하우징과 함께 변위된다. 진동 흡수부는 진동 저감부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밀봉부를 진동 저감부에 연결한다. 진동 흡수부는 유지 구멍의 외측이면서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JP-A-2009-093896은 단자 유지 부재를 갖춘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단자 유지 부재에는 단자 피팅이 내장되는 공동(cavity)이 마련되어 있다. 전선이 단자 피팅에 연결되고 단자 유지 부재 뒤의 위치로 도출된다. 단자 유지 부재에 조립되는 진동 감쇠 부재는 전선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단자 유지 부재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진동 감쇠 부재는 공동의 뒤에 유지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전선이 유지 구멍을 관통한다. 원통형의 고무 플러그가 전선에 끼워지고, 그 밀봉부가 단자 피팅의 후단부에 고정 장착된다. 고무 플러그는 공동의 내주면과 기밀식으로 밀착한다. 진동 저감부가 유지 구멍에 끼워지고, 진동 흡수부가 밀봉부를 진동 저감부에 연결하며, 이 진동 흡수부는 진동 저감부 또는 밀봉부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는다.
고무 플러그의 진동 저감부는 전선에 끼워지고, 진동 감쇠 부재는 진동 저감부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진동 저감부와 진동 감쇠 부재는 전선의 진동 시에 일체로 변위된다. 전선의 진동 에너지의 일부는 운동 에너지로서 흡수되어 진동 저감부와 진동 감쇠 부재를 변위시킨다. 따라서 전선으로부터 고무 플러그를 통하여 단자 피팅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된다. 또한, 감쇠된 진동이 진동 저감부로부터 밀봉부로 전달될 때에 감쇠된 진동의 일부가 진동 흡수부에 의해 흡수되므로, 단자 피팅에 전달된 진동을 유효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자 피팅과 상대 단자의 접촉 시의 미세한 슬라이딩 마모가 억제된다.
진동 저감부, 진동 흡수부 및 밀봉부의 후단은 전술한 커넥터의 진동 감쇠 부재의 유지 구멍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부의 후단이 진동 감쇠용의 진동 감쇠 부재 및 진동 흡수부의 변위와 함께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흡수부가 충분한 진동 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으로부터 단자 피팅으로의 진동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단자 피팅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고무 플러그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전선이 단자 피팅에 연결되고 공동 뒤의 위치로 도출된다. 단자 유지 부재에 조립되는 진동 감쇠 부재는 전선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단자 유지 부재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진동 감쇠 부재는 공동의 뒤에 유지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전선이 유지 구멍을 관통할 수 있다. 원통형의 고무 플러그가 전선에 끼워진다. 고무 플러그는 단자 피팅의 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밀봉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공동의 내주면과 기밀식으로 밀착한다. 진동 저감부는 유지 구멍에 끼워지므로, 진동 감쉬 부재와 일체로 변위될 수 있다. 진동 흡수부는 밀봉부의 후단과 진동 저감부의 전단을 연결하며, 진동 저감부보다 얇다. 진동 흡수부는 유지 구멍의 외측이면서 유지 구멍의 전방에 있다.
전선이 진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선의 진동 에너지는 진동 저감부와 진동 감쇠 부재의 일체의 변위에 기인하여 감쇠된다. 감쇠된 진동의 일부는 진동이 진동 저감부로부터 밀봉부로 전달될 때에 진동 흡수부에 의해 흡수된다. 진동 흡수부는 유지 구멍의 외측이면서 유지 구멍의 전방에 있다. 그 결과, 진동 흡수부는 진동 감쇠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진동 감쇠 부재의 변위가 밀봉부에 바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 흡수부는 충분한 진동 흡수 기능을 발휘하고, 전선으로부터 단자 피팅에 전달된 진동은 더욱 효과적으로 감쇠된다.
진동 흡수부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 내에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진동 흡수부와 간섭하지 않고, 단자 유지 부재와 진동 감쇠 부재 사이의 갭으로 침입되지 않는다.
진동 흡수부의 외경은, 진동 흡수부가 공동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부의 외경보다 작을 수도 있다.
진동 흡수부는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지만, 공동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 흡수부는 높은 진동 흡수 기능을 발휘한다.
진동 흡수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높은 진동 흡수 기능을 발휘하는 벨로우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유지 구멍의 내주 및 진동 저감부의 외주에 제한부를 마련함으로써, 자웅 결합에 의해 유지 구멍에 대한 진동 저감부의 길이방향 변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지 구멍과 진동 저감부를 확실하게 유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으로부터 단자 피팅으로의 진동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진동이 감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선 X-X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외부 하우징(진동 감쇠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Y-Y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내부 하우징(단자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고무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는 있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단자 유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블록 형상의 내부 하우징(11)과, 감쇠 유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외부 하우징(2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외부 하우징(11, 20)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커넥터는 하우징(10) 내에 삽입되는 단자 피팅(30)과 고무 플러그(40)를 또한 구비한다.
공동(12)은 내부 하우징(1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고, 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공동(12)의 전방부(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좌측)는 단자 피팅(30)을 수납하는 단자 수납 공간(13)을 구획한다. 공동의 후방부는 원통형의 밀봉 구멍914)을 구획한다.
내부 하우징(11)의 길이방향 중심보다 약간 뒤의 위치에서 내부 하우징(11)의 외주에 연속하여 외향 돌출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11)의 외주와 상대 하우징(도시 생략)의 후드(hood)의 내주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한 방수 시일 링(18)이 내부 하우징(11)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링(18)은 플랜지(15)의 전면(前面)과 접촉하여 시일 링(18)의 후방 변위를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 사이의 위치 관계를 초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링형의 탄성 유지 부재(19)가 내부 하우징(11)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 유지 부재(19)는 플랜지(15)의 후면과 접촉하여 탄성 유지 부재(19)의 후방으로의 변위를 제한한다.
내부 하우징(11)의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내부 하우징(11)의 좌우 외측면으로부터 좌우 결합 돌기(16)가 대칭으로 돌출한다. 결합 돌기는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을 조립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 돌기(16)의 전면(前面)에 아치형의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면은 측방향으로 보았을 때 반원형의 아치형상을 갖는다. 좌우 아치형 돌출면(17)의 아치의 중심은 동일 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20)은 블록 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를 구비한다.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에 형성된 로크 아암(23)은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의 상면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로크 아암(23)은 상대 하우징 상의 로크 돌기(도시 생략)에 결합하여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을 체결 결합 상태로 유지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결합 구멍(24)이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의 좌우 측면을 대칭으로 관통하여,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2)을 조립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 구멍(24)의 전방 가장자리는 아치형 돌출면(17)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 오목면(25)을 형성한다.
본체(21)의 전면은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에 형성된 공간의 후단부와 연통하는 오목부(26)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26)의 수직 방향 사이즈는 내부 하우징(11)의 후단부의 수직 방향 사이즈를 초과하고, 오목부(26)의 측방향 사이즈는 내부 하우징(11)의 후단부의 측방향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3개의 평행한 유지 구멍(27)이 본체(21)의 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오목부(26)로부터 본체(21)의 후단면까지 본체(21)를 관통한다. 유지 구멍(27)은 내부 하우징(11)의 공동(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유지 구멍(27)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한 돌기(28)가 둘레 방향으로 각 유지 구멍(27)의 내주면에 연속하여 연장된다.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은, 결합 돌기(16)와 결합 구멍(24)의 체결 결합에 의해 두 하우징(11, 20) 사이의 길이방향의 큰 변위를 제한하도록 조립된다. 결합 돌기(16)가 결합 구멍(24)에 결합하는 위치에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 사이의 수직 방향의 큰 변위도 또한 제한된다. 또한, 내부 하우징(11)과 오목부(26)의 측방향 사이즈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두 하우징(11, 20) 사이의 측방향의 상대 변위가 제한된다.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 있을 때에, 탄성 유지 부재(19)의 후방에 있는 내부 하우징(11)의 부분은 외부 하우징(20)의 오목부(26) 내에 있고, 유지 구멍(27)은 공동(12)의 뒤에 있다. 오목부(26)의 전방에 있는 내부 하우징(11)의 부분은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탄성 유지 부재(19)는 오목부(26)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형의 체결 결합부(22)의 내주에 형성된 스토퍼(29)와, 탄성 유지 부재(19)가 길이방향으로 붕괴되어 있는 탄성 변형 상태의 플랜지(15)의 후면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탄성 유지 부재(19)의 탄성 복원력은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을, 공동(12)의 밀봉 구멍(14)과 유지 구멍(27)이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초기 상태(도 3 참조)로 상시 유지한다.
조립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은, 아치형 돌출면(17)과 아치형 오목면(25)이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동안에, 아치형 돌출면(17)과 아치형 오목면(25)의 아치의 중심을 통과하는 측방향 연장 가상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11) 및 외부 하우징(20)의 전후 단부는 전선(35)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1)의 후단부의 수직 방향 사이즈가 오목부(26)의 수직 방향 사이즈보다 작기 때문에, 내부 하우징(11) 및 외부 하우징(20)의 수직 방향 경사 변위가 어렵지 않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30)은 길이방향으로 긴 암형 단자이다. 사각형의 관형 단자 접속부(31)가 단자 피팅(30)의 전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는 단자 접속부(31)와 탭이 서로 도전(導電) 접속되도록 상대 하우징(10)의 상대 단자(도시 생략)의 탭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접속부(32)가 단자 피팅(3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전선(35)의 전단부는 압축 본딩 또는 크림핑에 의해 전선 접속부(32)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고무 플러그(40)의 전단부도 압축 본딩 또는 크림핑에 의해 전선(35)과 함께 전선 접속부(32)에 장착되어 있다.
단자 피팅(30)은 후방으로부터 외부 하우징(20)의 유지 구멍(27) 및 공동(12)의 밀봉 구멍(14)을 통하여 단자 수납 공간(13) 내로 삽입된다. 단자 수납 공간(13) 내로 정확하게 삽입된 단자 피팅(30)은 공동(12)의 전면에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단자 피팅(30)의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단자 접속부(31)에 형성된 랜스(lance; 33)의 결합 작용에 의해, 단자 피팅(30)의 후방 분리가 방지된다. 전선(35)은, 단자 피팅(30)이 단자 수납 공간(13) 내에 적절하게 수납된 때에 내부 하우징(11) 뒤의 위치로 도출된다.
고무 플러그(40)는 도 3,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이 길이방향을 향하는 긴 튜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플러그(40)의 전방부는 전선(35)과 함께 단자 피팅(30)의 전선 접속부(32)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고무 플러그(40)가 전체 길이에 걸쳐 전선(35)에 끼워진다. 고무 플러그(40)는 일체로 형성되고, 밀봉부(41), 진동 저감부(44) 및 진동 흡수부(46)를 구비한다. 밀봉부(41)는 공동(120의 내주와 전선(35)의 외주 사이의 갭을 밀봉하는 방수 기능을 나타낸다. 진동 저감부(44)는 전선(35)이 진동할 때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기능을 나타낸다. 진동 흡수부(46)는 밀봉부(41)의 후단과 진동 저감부(44)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전선(35)이 진동할 때에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 기능을 나타낸다.
평행한 외주 립(42; lips)이 밀봉부(41)의 외주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고무 플러그(4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때에, 각 외주 립(42)의 외경은 내부 하우징(11)의 밀봉 구멍(14)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또한, 평행한 내주 립이 밀봉부(41)의 내주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고무 플러그(4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때에, 내주 립(43)의 내경은 전선(35)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내주 립(43)은 탄성적으로 편향된 상태에서 전선(35)의 외주와 기밀하게 밀착한다.
진동 저감부(44)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이다. 진동 저감부(44)의 외경은 유지 구멍(27)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고, 진동 저감부(44)의 내경은 전선(35)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진동 저감부(44)의 외주를 따라 제한 홈(45)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흡수부(46)는 진동 저감부(44)의 벽두께보다 작은 벽두께를 갖고, 벨로우즈 형상을 갖는다. 얇은 벽과 벨로우즈 구조로 인하여, 진동 흡수부(46)는 진동 저감부(44)보다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진동 흡수부(46)의 축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진동 흡수부(46)의 최대 외경은 밀봉부(41)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밀봉 구멍(14)의 내경보다 작으며, 진동 저감부(44)의 외경보다 작다. 진동 흡수부(46)의 최소 내경은 전선(35)의 외경보다 크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진동 흡수부(46)의 길이는 길이방향으로 밀봉부(41) 및 진동 저감부의 각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이 함께 조립되고 단자 피팅(30)이 공동(12) 내에 삽입된 때에, 고무 플러그(40)의 전체 밀봉부(41)는 길이방향으로 밀봉 구멍(14)의 대략 중앙 영역이다. 고무 플러그(40)의 전단부는 단자 피팅(30)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단자 피팅(30)이 공동(12) 내로 적절하게 삽입된 때에 고무 플러그(40)의 전단 근처의 밀봉부(41)가 밀봉 구멍(14)의 길이 방향으로 현저하게 변위될 가능성은 없다. 밀봉부(41)의 외주상의 외주 립(42)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밀봉 구멍(14)의 내주면과 기밀하게 밀착된다.
단자 피팅(30)이 공동(12) 내로 적절하게 삽입된 때에 전체 진동 흡수부(46)는 밀봉 구멍(14)의 후방부 내에 있다. 또한, 진동 흡수부(46)는 유지 구멍(27)의 외측 전방에 있다. 또한, 진동 흡수부(46)의 외경은 밀봉 구멍(14)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진동 흡수부(46)의 외주와 밀봉 구멍(14)의 내주 사이에는 원주에 걸쳐 갭이 형성된다.
대략 전체 진동 저감부(44)가 유지 구멍(27)의 내측에 있다. 유지 구멍(27) 내에서 진동 저감부(44)의 반경방향 상대 변위[예컨대, 전선(35)의 축선에 교차하는 수직 방향 및 측방향의 변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진동 저감부(44)는 전선(35)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부 하우징(20)과 일체로, 그리고 내부 하우징(11)에 대하여 상대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유지 구멍(27) 내측에서의 제한 돌기(28)와 제한 홈(45) 사이의 결합에 의해, 진동 저감부(44)의 길이방향의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플러그(40)는 하우징(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5)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외부 하우징(20)과 고무 플러그(40)의 진동 저감부(44)는 내부 하우징(11)에 대하여 일체로 경사지고, 전선(35)의 진동 에너지는 상대 변위에 의해 감쇠된다. 진동 저감부(44)와 외부 하우징(20)에 의해 감쇠된 진동은 진동 저감부(44)로부터 진동 흡수부(46)를 통하여 밀봉부(41)로 전달된다. 그러나 전달된 진동의 일부는 진동 흡수부(46)에 의해 흡수된다. 진동 흡수부(46)는 유지 구멍(27)의 전방이면서 외측에 있는데, 이 위치는 진동 흡수부(46)가 외부 하우징(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다. 따라서 밀봉부(41)도 외부 하우징(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외부 하우징(20)의 변위가 밀봉부(41)에 직접 전달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진동 흡수부(46)는 진동 흡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전선(35)으로부터 단자 피팅(30)에 전달된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진동 흡수부(46)가 공동(12) 내에 있으므로, 진동 흡수부(46)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 사이에 침입할 경우라도, 이물질이 진동 흡수부(46)와 간섭할 가능성은 없다.
진동 흡수부(46)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한다. 진동 흡수부(46)의 외경은 밀봉부(41)의 외경보다 작다. 이에 따라, 진동 흡수부(46)는 공동(12)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고, 진동 흡수부(46)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진동 흡수부(46)는 높은 진동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진동 흡수부(46)는 벨로우즈 형상을 가지므로, 진동 흡수부(46)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어서, 진동 흡수부(46)의 높은 진동 흡수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유지 구멍(27)의 내주 상의 제한 돌기(28)는 자웅 결합에 의해 진동 저감부(44)의 외주의 제한 홈(45)에 결합하여, 유지 구멍(27) 내에서 전선(35)의 길이방향을 따른 진동 저감부(44)의 변위를 제한한다. 따라서 진동 저감부(44)는 유지 구멍(27) 내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진동 저감부(44)의 외주면과 유지 구멍(27)의 내주면 사이에 작은 갭이 형성되고, 제한 돌기(28)와 제한 홈(45) 사이에 작은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 사이에 물이 침입하더라도, 물은 진동 저감부(44)와 유지 구멍(27) 사이의 갭으로부터 하우징(10) 뒤[하우징(10) 밖]의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 및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의 이하의 실시예를 또한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대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부(로크 아암)가 진동 감쇠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진동 감쇠 부재가 상대 하우징에 끼워지는 체결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진동 감쇠 부재는 상대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진동 감쇠용의 전용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진동 흡수부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 내에 있다. 그러나 전체 진동 흡수부가 공동 밖에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진동 흡수부가 벨로우즈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진동 흡수부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내경을 갖는 실린더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진동 흡수부의 외경이 밀봉부의 외경보다 작아서, 진동 흡수부가 공동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진동 흡수 조작을 실행할 때에 진동 흡수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도 있고, 또는 진동 흡수 조작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 진동 흡수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지 구멍 내측에서 진동 저감부의 변위가 제한부들 사이의 자웅 결합에 의해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진동 저감부는 유지 구멍 내에서 전선의 축방향의 상대 변위를 실행시키도록 그러한 제한부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암형 단자 피팅을 내장한 암형 커넥터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형 단자 피팅을 내장한 수형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공동(12)이 있는 단자 유지 부재(11)와, 공동(12)의 뒤에 배치된 유지 구멍(27)을 갖고 상기 단자 유지 부재(11)에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는 진동 감쇠 부재(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단자 유지 부재(11)의 공동(12) 내에 장착된 단자 피팅(30)과,
    상기 단자 피팅(30)에 고정되고, 공동(12) 뒤 및 유지 구멍(27) 뒤의 위치로 도출되는 전선(35)과,
    상기 전선(35)에 끼워지고, 밀봉부(41), 진동 저감부(44) 및 진동 흡수부(46)를 갖는 관형의 고무 플러그(40)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41)는 단자 피팅(30)의 후단부에 고정 장착되고 공동(12)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밀착하며, 상기 진동 저감부(44)는 유지 구멍(27)에 끼워지고 진동 감쇠 부재(20)와 함께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부(46)는 진동 저감부(44)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밀봉부(41)의 후단과 진동 저감부(44)의 전단을 서로 연결하며, 이 진동 흡수부(46)는 유지 구멍(27)의 외측이면서 전방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46)의 적어도 일부는 공동(12)에 내장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46)는 그 외경이 밀봉부(41)의 외경보다 작아서 공동(12)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46)는 벨로우즈 형상을 갖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멍(27)의 내주 및 진동 저감부(44)의 외주에 제한부(28, 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한부는 자웅 결합에 의하여 전선(35)의 길이방향으로의 유지 구멍(27)에 대한 진동 저감부(44)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커넥터.
  6. 공동(12)이 있는 내부 하우징(11)과,
    상기 내부 하우징(11)에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고 공동(12) 뒤에 유지 구멍(27)을 갖는 외부 하우징(20)과,
    상기 내부 하우징(11)의 공동(12) 내에 장착되는 단자 피팅(30)과,
    상기 단자 피팅(30)에 고정되고, 공동(12) 뒤 및 유지 구멍(27) 뒤의 위치로 도출되는 전선(35)과,
    상기 전선(35)에 끼워지고, 밀봉부(41), 진동 저감부(44) 및 진동 흡수부(46)를 갖는 관형의 고무 플러그(40)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41)는 단자 피팅(30)의 후방부에 고정 장착되고 공동(12)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상기 진동 저감부(44)는 유지 구멍(27)에 끼워지고 외부 하우징(20)과 함께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부(46)는 밀봉부(41)와 진동 저감부(44) 사이에서 연장되고 진동 저감부(44)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이 진동 흡수부(46)는 유지 구멍(27)의 외측이면서 전방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46)의 적어도 일부는 공동(12) 내에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46)는 그 외경이 밀봉부(41)의 외경보다 작아서 공동(12)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인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46)는 벨로우즈 형상을 갖는 것인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멍(27)의 내주에 있는 제한 돌기(28)가 진동 저감부(44)의 외주에 형성된 제한 홈(45)에 결합하여, 전선(35)의 길이방향으로의 유지 구멍(27)에 대한 진동 저감부(44)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커넥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20)은 전선(35)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한 것인 커넥터.
KR1020100127592A 2009-12-16 2010-12-14 커넥터 KR101622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5080A JP5353676B2 (ja) 2009-12-16 2009-12-16 コネクタ
JPJP-P-2009-285080 200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03A true KR20110068903A (ko) 2011-06-22
KR101622410B1 KR101622410B1 (ko) 2016-05-18

Family

ID=4414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92A KR101622410B1 (ko) 2009-12-16 2010-12-14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5752B2 (ko)
JP (1) JP5353676B2 (ko)
KR (1) KR101622410B1 (ko)
CN (1) CN1021578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61B1 (ko) * 2011-12-29 2013-01-21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 진동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859A1 (en) * 2008-01-30 2009-07-30 Belkin International, Inc. Computer input device with a cl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423233B2 (ja) * 2009-08-18 2014-0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8192216B1 (en) * 2011-02-07 2012-06-05 R.A. Phillips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moisture resistant seal
JP5370872B2 (ja) * 2011-05-09 2013-12-18 日立金属株式会社 電線保持装置
DE102012022170A1 (de) * 2012-11-13 2014-05-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 insbesondere Lenkungsmotor eines Kraftfahrzeugs
JP6168887B2 (ja) * 2013-07-09 2017-07-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接続構造
JP2015156278A (ja) * 2014-02-20 2015-08-27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263064B2 (ja) * 2014-03-26 2018-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966929A (zh) * 2015-06-03 2015-10-07 刘波 一种槽式输送机电机驱动电路连接头
JP6548035B2 (ja) * 2016-01-29 2019-07-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01242B2 (ja) * 2016-01-29 2019-11-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77527B2 (ja) * 2016-01-29 2019-03-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51248B2 (ja) * 2016-01-29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48036B2 (ja) * 2016-01-29 2019-07-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212923A1 (de) * 2016-07-14 2018-01-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ibrationshemmender Stecker mit einem Schwingungsdämpfer
JP2018073461A (ja) * 2016-10-24 2018-05-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DE102016125029B4 (de) * 2016-12-20 2019-03-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Kontaktsystem
US11569605B2 (en) 2016-12-20 2023-01-3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ontact device and contact system
JP6769353B2 (ja) *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6889840B2 (ja) * 2017-11-08 2021-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855Y2 (ja) * 1991-08-13 1997-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構造
JPH07201406A (ja) * 1993-12-28 1995-08-04 Yazaki Corp 防水ゴム栓
EP0677894B1 (en) * 1994-04-13 2001-09-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waterproof connector
US5667406A (en) * 1994-07-27 1997-09-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seal for connecto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H08180928A (ja) * 1994-10-24 1996-07-12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3540197B2 (ja) * 1999-05-18 2004-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1052804A (ja) * 1999-08-03 2001-02-23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組付方法
JP2001110508A (ja) 1999-10-14 2001-04-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ゴム栓
JP2002008769A (ja) * 2000-06-27 2002-01-11 Yazaki Corp コネクタ
US6325669B1 (en) * 2000-07-06 2001-12-0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nector sealing system
JP2002343493A (ja)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端子一体型シール部材
JP4747753B2 (ja) * 2005-09-14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048928A (ja) * 2007-08-22 2009-03-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JP4973430B2 (ja) * 2007-10-05 2012-07-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61B1 (ko) * 2011-12-29 2013-01-21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 진동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7843A (zh) 2011-08-17
US20110143566A1 (en) 2011-06-16
JP5353676B2 (ja) 2013-11-27
US8235752B2 (en) 2012-08-07
KR101622410B1 (ko) 2016-05-18
CN102157843B (zh) 2013-11-20
JP2011129296A (ja)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8903A (ko) 커넥터
KR101652118B1 (ko) 커넥터
JP4973430B2 (ja) コネクタ
CN107039825B (zh) 连接器
US11081829B2 (en) Connector
WO2018074194A1 (ja) 防水コネクタ
US10283902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JP6168887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接続構造
JP584017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US11848514B2 (en) Elastomer seal spring
KR200449502Y1 (ko) 방수시일
WO2015151888A1 (ja) コネクタ
JP2015133275A (ja) 防水コネクタ
JP2007073457A (ja) 防水コネクタ
WO2015166747A1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17191654A (ja) コネクタ
JP2017098193A (ja) 防水コネクタ
KR20150110364A (ko) 커넥터
WO2019087913A1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CN111342295B (zh) 电连接器
WO2023074417A1 (ja) コネクタ及びキャップ
JP2013009518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保持構造
JP2011233336A (ja) コネクタ
JP2011198499A (ja) コネクタ
JP2023108967A (ja)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弾性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