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869A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869A
KR20110063869A KR1020117010696A KR20117010696A KR20110063869A KR 20110063869 A KR20110063869 A KR 20110063869A KR 1020117010696 A KR1020117010696 A KR 1020117010696A KR 20117010696 A KR20117010696 A KR 20117010696A KR 20110063869 A KR20110063869 A KR 20110063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vator
control
control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511B1 (ko
Inventor
다카마사 엔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B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치 때 등,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화재 감지기로부터 접점 신호가 입력되면 통상 운전 제어부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키고,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면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에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는 운전 선택 제어부와,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정하는 기능 판정부를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 선택 제어부는, 상기 기능 판정부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통상 운전 제어부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을 갖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엘리베이터는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화제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5-147849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A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해 왔다. 또한 상기 A접점이란 평소에는 접점이 열려 있는 노멀 오픈 타입(normal open type)의 접점이다. 즉, A접점을 가진 화재 검지기란, 평소에는 접점이 열려 있고, 화재의 발생을 검지하면 접점을 닫아 검지 신호(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타입의 감지기를 말한다.
A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가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서는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없더라도 통상의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구성의 제어 장치에서는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제어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신호선에 단선이 발생하면, 실제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상기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화재 관제 운전에 이행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fail-safe의 사고방식을 중요시하여, B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를 건물에 설치하고, 이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이용하는 것도 실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B접점이란, 평소에는 접점이 닫혀 있는 노멀 클로즈 타입(normal close type)의 접점이다. 즉, B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란, 평소에는 접점이 닫혀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화재의 발생을 검지하면 접점이 열려 접점 신호를 차단하는 타입의 감지기를 말한다.
B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가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서는, 상기 신호선에 단선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가 화재 관제 운전을 이행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안전 측면을 최우선으로 하는 제어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 장치에서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접점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설치 때 등, 건물 측에 화재 감지기의 접점 신호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 동작(이러한 경우에는, 설치 모드에 의한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건물 측에 화재 감지기가 준비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가 화재의 발생을 오검출해 버려,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설치 작업등을 실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B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치 때 등,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을 제어하는 통상 운전 제어부와, 화재 관제 운전을 제어하는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와, 화재 감지기로부터 접점 신호가 입력되면 통상 운전 제어부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키고,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면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에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는 운전 선택 제어부와,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정하는 기능 판정부를 포함하고, 운전 선택 제어부는, 기능 판정부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판정되었을 경우는,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통상 운전 제어부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B접점을 가진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에 근거해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치 때 등,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어 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한 내용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어 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2는 승강로 내를 엘리베이터 칸(1)과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 추, 3은 엘리베이터 칸(1)과 균형 추(2)를 서로 두레박식에 현가(懸架)하는 주 로프이다. 이 주 로프(3)는 예컨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권상기(4)에 그 일부가 감겨져 있고 이 권상기(4)(의 구동 쉬브)의 회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즉, 권상기(4)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주 로프(3)의 이동을 통해 엘리베이터 칸(1)(및, 균형 추(2))은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5는 권상기(4)의 제어 등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 제어를 맡는 제어반이다. 이 제어반(5)에는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갖춰져 있다. 즉, 제어반(5)은 건물의 각층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반(5)은 우선,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화재 발생층이 특정되면, 그 화재 발생층을 피해 승객을 안전하게 피난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기(6)는 B접점을 가진 감지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화재 감지기(6)는 평소에는 접점을 닫아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화재의 발생을 검지하면, 접점을 열어 접점 신호를 차단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7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8은 승강장(7)에 설치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8a는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8)에 비치된 승강장 버튼, 9는 제어반(5)과 엘리베이터 칸(1)을 연결하는 제어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반(5)의 구성(기능)과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에 있어서, 제어반(5)은 CPU(10), RAM(11), RSW(12), 표시기(13)에 의해 그 주요부가 구성된다. 또, 상기 CPU(10)에는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14), 통상 운전 제어부(15), 센서 입력부(16), 센서 판정부(17), 기능 판정부(18), 운전 선택 제어부(19), 표시 제어부(20)로 이루어진 각종 기능부가 갖춰져 있다.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14)는 화재의 발생시에 여러 가지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을 적절히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화재 관제 운전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상 운전 제어부(15)는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을 적절히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통상 운전이란 엘리베이터에 필요한 운전 중 상기 화재 관제 운전 이외의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승강장 호출이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에 기초하여 승객을 목적층까지 운반하는 일반적인 운전(전자동 운전) 외, 엘리베이터의 보수시에 행해지는 보수 운전,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행해지는 설치 운전도 이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
센서 입력부(16)는 건물에 설치된 각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제어반(5)에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입력부(16)는 각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 유무의 정보(접점 정보)를 RAM(11)에 기억한다. 센서 판정부(17)는 RAM(11)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접점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유무와 피난층 승강장(7)의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능 판정부(18)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반(5)에 전용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RSW(12)를 설치해 두고, 이 RSW(12)의 값이 RAM(11)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규정값과 일치하는 경우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는 취지의 판정을 실시한다.
또, 운전 선택 제어부(19)는 센서 판정부(17) 및 기능 판정부(18)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에 실시시키는 동작을 통상 운전 혹은 화재 관제 운전 중 어느 쪽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 선택 제어부(19)는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어느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 입력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14)에 대하여 동작 지령 및 귀착층 지령을 출력하여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시킨다. 또,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한 때 모든 화재 감지기(6)로부터 접점 신호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면,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킨다. 한편,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고 판정되면, 운전 선택 제어부(19)는 각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 입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킨다.
표시 제어부(20)는 표시기(13)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20)는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고 판정되면, 그 취지를 표시기(13)에 표시시키고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는 점을 외부에 알린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제어반(5)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제어반(5)에서는 기능 판정부(18)가 RSW(12)의 값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실시한다(S101). 여기서,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하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운전 선택 제어부(19)는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대해 전자동 운전을 실시하는 취지의 운전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S102).
또, 제어반(5)에서는 센서 입력부(16)에 의해 각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정보가 RAM(11)에 기억되고, 순서대로 그 접점 정보가 갱신되고 있다. 그리고 어느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 입력이 차단되면, 센서 판정부(17)에 의해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고, 더욱이 화재의 발생층(화재층)이 특정된다(S103).
화재층을 특정한 센서 판정부(17)는 먼저, RAM(11)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피난층을 화재 관제 운전에 있어서의 귀착층으로 설정한다(S104). 그리고, S104에서 설정한 귀착층이 S103에서 특정한 화재층인지의 판정을 실시하고, 해당하지 않으면, 운전 선택 제어부(19)에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기 위한 동작 지령을 출력시킨다(S105). 또한, S105에 있어서 귀착층이 화재층에 해당하는 경우, 센서 판정부(17)는 귀착층을 다른 안전층으로 다시 설정하고(S106), S105의 판정을 다시 실시한다.
그리고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14)에서는 운전 선택 제어부(19)로부터 받은 동작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귀착층까지 주행시켜, 승객을 구출한 후 휴지 동작(休止動作)을 실시한다(S107, S108).
한편, S101에 있어서,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운전 선택 제어부(19)는 각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 유무에 관계없이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대해 설치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의 운전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S109). 즉, 이러한 경우에는,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하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화재 관제 운전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경우에서는,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졌을 때,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대해 전자동 운전을 실시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 전자동 운전의 일부의 기능을 제한 혹은 변경한 설치 운전(특수 운전)을 실시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RSW(12)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자동 운전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자나 보수원 등은, 전자동 운전을 실시할 수 없는 것에 따라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RSW(12)의 복구를 잊어버리는 것(forgetting about returning)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어반(5)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SW(12)의 값이 순서대로 RAM(11)에 기억되고(S201), 그 값이 기능 판정부(18)에 의해 판단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 판정부(18)는 RSW(12)의 값이 RAM(11)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규정값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는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라는 취지를,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하다는 취지를 판정한다(S202).
표시 제어부(20)에서는, S202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인 경우는 그 취지의 신호를 표시기(13)에 대해 출력하고(S203),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인 경우는 그 취지의 신호를 표시기(13)에 대해 출력한다(S204).그리고, 표시기(13)에 S202의 판정 결과에 따른 내용이 표시된다(S205).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설치 때 등, 화재 감지기(6)로부터의 접점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설치시 또는 리모델링시 등, 일부 화재 감지기(6)의 접점 신호가 건물 측에 준비되어 있지 않아도 엘리베이터를 임의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시험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설치 공사 등을 공사 기간에 그대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자 등은 표시기(13)에 의한 표시나 상기 특수 운전 동작 등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을 무효로 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을 무효로 설정한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유저(user) 측에 인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운전 제어부(15)에 의한 특수 운전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동 운전시 행해지는 조작과는 다른 조작에 의해 승강장(7)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을 등록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성이면, 통상의 조작에 의해 승강장 호출을 등록할 수 없기 때문에, 만일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설정된 상태로 유저측에 엘리베이터가 인도되어 버렸다 하더라도, RSW(12)의 복구를 잊어버린 것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운전은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그 제어 내용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S/W에 의해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을 무효로 하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H/W에 의해 접점 신호를 단락하는 방법으로도 같은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S/W의 대응이라면, H/W를 대응한 경우의 상기 단락의 복구를 잊어버리는 것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나 여분의 배선 없이 배선 재료를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B접점의 화재 감지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1: 엘리베이터 칸 2: 균형 추
3: 주 로프 4: 권상기
5: 제어반 6: 화재 감지기
7: 승강장 8: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8a: 승강장 버튼 9: 제어 케이블
10: CPU 11: RAM
12: RSW 13: 표시기
14: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 15: 통상 운전 제어부
16: 센서 입력부 17: 센서 판정부
18: 기능 판정부 19: 운전 선택 제어부
20: 표시 제어부

Claims (4)

  1.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을 제어하는 통상 운전 제어부;
    상기 화재 관제 운전을 제어하는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접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상 운전 제어부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키고,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면 상기 화재 관제 운전 제어부에 상기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는 운전 선택 제어부; 및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정하는 기능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 선택 제어부는, 상기 기능 판정부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통상 운전 제어부에 통상 운전을 실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 선택 제어부는, 기능 판정부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판정된 경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접점 신호의 입력 유무에 상관없이 전자동 운전(全自動運轉)의 일부 기능을 제한 또는 변경한 특수 운전을 통상 운전 제어부에 실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통상 운전 제어부는, 전자동 운전 시에 행해지는 조작과는 다른 조작에 의해 승강장에서 승강장 호출을 등록시킴으로써, 특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 판정부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기능이 무효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표시기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17010696A 2008-12-08 2008-12-0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202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72238 WO2010067406A1 (ja) 2008-12-08 2008-12-08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869A true KR20110063869A (ko) 2011-06-14
KR101202511B1 KR101202511B1 (ko) 2012-11-16

Family

ID=4224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696A KR101202511B1 (ko) 2008-12-08 2008-12-0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6339B2 (ko)
EP (1) EP2357149B1 (ko)
JP (1) JP5293746B2 (ko)
KR (1) KR101202511B1 (ko)
CN (1) CN102227368B (ko)
WO (1) WO2010067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9525A1 (ja) * 2009-04-15 2010-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3287936B (zh) * 2012-03-05 2015-05-13 上海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 电梯疏散系统
CN103787166A (zh) * 2012-10-29 2014-05-14 通用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逃生系统
CN106882669A (zh) * 2017-04-14 2017-06-23 安徽省沃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火灾报警的小区电梯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054U (ko) * 1978-10-27 1980-05-08
JPS5567054A (en) 1978-11-16 1980-05-20 Unitika Ltd Ear stabilization of long fiber web
JP3077066B2 (ja) 1991-05-20 2000-08-14 ホーヤ株式会社 ガラスゴブとその中間体の各製造方法
JPH05147849A (ja) 1991-11-26 1993-06-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2000030173A (ja) 1998-07-13 2000-01-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監視装置の表示方法
US20030028275A1 (en) 2001-05-01 2003-02-06 Xerox Corporation Incremental distributed actuation for large assemblies of implementation units
JP2003335475A (ja) 2002-05-15 2003-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JP4112273B2 (ja) 2002-05-15 2008-07-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4265938B2 (ja) * 2003-06-30 2009-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用運転装置
CN1805895B (zh) * 2004-06-10 2011-09-2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火灾管制装置
JP2006344191A (ja) 2005-06-09 2006-12-21 Shinichi Nakagawa 防犯用室内監視通報装置
CN101014522B (zh) * 2005-09-05 2011-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组群管理电梯的火灾时避难运转装置
JP4749854B2 (ja) * 2005-12-08 2011-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1975108A4 (en) * 2006-01-18 2011-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ASSISTING EVACUATION FOR ELEVATOR
EP1975109A4 (en) * 2006-01-19 2011-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NG MANAGEMENT DEVICE FOR ELEVATOR
US7963372B2 (en) * 2006-07-06 2011-06-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elevator
JP4907669B2 (ja) * 2006-12-15 2012-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火災時避難支援システム
CN101583554B (zh) * 2007-01-25 2012-07-1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系统
JP5147849B2 (ja) 2007-09-14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WO2009054065A1 (ja) * 2007-10-26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システム
JP2011084388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JP5550302B2 (ja) * 2009-10-19 2014-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US8230980B2 (en) * 2009-12-31 2012-07-31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7149A4 (en) 2014-11-26
EP2357149A1 (en) 2011-08-17
JPWO2010067406A1 (ja) 2012-05-17
WO2010067406A1 (ja) 2010-06-17
CN102227368A (zh) 2011-10-26
US20110203879A1 (en) 2011-08-25
CN102227368B (zh) 2013-08-21
EP2357149B1 (en) 2015-10-21
US8616339B2 (en) 2013-12-31
JP5293746B2 (ja) 2013-09-18
KR101202511B1 (ko)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5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982157B2 (ja)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WO2007037031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JP2014040320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運転方法
KR10120251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07320719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JP640965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2019131334A (ja) エレベータの点検システム
JP5052293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JP2010149989A (ja) エレベータ
JP47379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09132740B (zh) 电梯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8203384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7062852A (ja) エレベータ保守運転装置
JPH0859119A (ja) 乗場に設けられたエレベータ保守用運転装置
JP2008074508A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626807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479512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82351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3354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657301B2 (ja) エレベータの点検システム
JP6705306B2 (ja) 救出運転スイッチ誤操作対策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5022936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2009029580A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運転装置および方法
JP202119522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