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867A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867A
KR20110063867A KR1020117010462A KR20117010462A KR20110063867A KR 20110063867 A KR20110063867 A KR 20110063867A KR 1020117010462 A KR1020117010462 A KR 1020117010462A KR 20117010462 A KR20117010462 A KR 20117010462A KR 20110063867 A KR20110063867 A KR 20110063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enkey
car
key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685B1 (ko
Inventor
마사유키 이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 내 또는 승강장에 마련된 텐키 버튼이 ON 고장난 경우더라도,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입력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칸 내 및 승강장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숫자가 할당된 텐키 버튼과, 텐키 버튼의 ON 고장을 검출하는 버튼 고장 검출 장치와,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미검출시는 눌린 텐키 버튼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하고,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검출시는 ON 고장난 텐키 버튼의 입력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할당하고, 눌린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하는 버튼 입력 처리 장치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LER}
본 발명은 텐키 조작 기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층빌딩이나 다층 정지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텐키 타입의 조작 기기의 적용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 텐키 타입의 조작 기기에서는 0~9의 숫자 버튼의 조합에 의해서 행선층이 입력된다.
또, 호출 등록 버튼의 ON 고장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사용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없어도 ON 고장인 층간을 영구히 왕복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버튼의 신호가 ON 고장나 있는 것을 검출하는 ON 고장 검출 회로, 이 ON 고장 검출 회로가 동작하면 ON 고장의 호출 등록 버튼의 신호에 대한 서비스를 중지하는 회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 60-248582호 공보
일반적으로, 텐키 타입의 조작 기기에서도 텐키 버튼의 ON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고장난 텐키 버튼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하는 층이 자동으로 계속 등록되게 된다. 이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호출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다른 텐키 버튼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입력이 모두 무효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ON 고장난 버튼에 할당된 행선 방향의 호출을 입력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칸 내 또는 승강장에 마련된 텐키 버튼이 ON 고장난 경우더라도,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입력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칸 내 및 승강장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숫자가 할당된 텐키 버튼과,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을 검출하는 버튼 고장 검출 장치와,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미검출시는 눌린 텐키 버튼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검출시는 ON 고장난 텐키 버튼의 입력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할당하고, 눌린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하는 버튼 입력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 내 또는 승강장에 마련된 텐키 버튼이 ON 고장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텐키 버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최근에, 빌딩의 고층화에 따라 다층 정지의 엘리베이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칸 및 승강장에는 텐키 타입의 조작 기기가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조작 기기에는 「0」~ 「9」에 대응한 텐키 버튼이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이용자는 소망층의 숫자에 대응한 텐키 버튼을 차례대로 누름으로써, 행선층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에 대응한 텐키 버튼을 누른 후, 「5」에 대응한 텐키 버튼을 누른면, 15층이 행선층으로서 등록된다. 이것에 의해, 20층, 30층 등의 다층 정지의 엘리베이터에서도, 호출 등록 버튼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여기서, 텐키 버튼에 ON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난 텐키 버튼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하는 층이 자동으로 계속 등록되게 된다. 이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호출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다른 텐키 버튼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입력이 모두 무효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텐키 조작 기기이다. 이 텐키 조작 기기(1)는 엘리베이터의 칸 및 각 승강장에 마련된다. 이 텐키 조작 기기(1)는 텐키 버튼(2), 버튼 고장 검출 장치(3), 동작 모드 선택 장치(4), 버튼 입력 처리 장치(5),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6)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텐키 조작 기기(1)만이 도시된다.
텐키 버튼(2)은 엘리베이터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버튼 조작 정보(9)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버튼 고장 검출 장치(3)는 버튼 조작 정보(9)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버튼 고장 검출 장치(3)는 버튼 조작 정보(9)에 기초하여, 각 텐키 버튼(2)의 고장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버튼 고장 검출 장치(3)는 각 텐키 버튼(2)의 고장 상태에 기초하여, 고장 버튼 정보(10)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동작 모드 선택 장치(4)는 고장 버튼 정보(10)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동작 모드 선택 장치(4)는 고장 버튼 정보(10)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동작 모드 선택 장치(4)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 정보(11)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버튼 조작 정보(9)와 동작 모드 정보(11)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버튼 조작 정보(9)와 동작 모드 정보(11)에 기초하여 통상 또는 백업의 출력 경로를 선택하고, 엘리베이터의 호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6)는 버튼 조작 정보(9)와 고장 버튼 정보(10)와 동작 모드 정보(11)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6)는 버튼 조작 정보(9)와 고장 버튼 정보(10)와 동작 모드 정보(11)에 기초하여, 버튼등 제어 정보(12)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방향등(7)은 각 텐키 버튼(2)에 근접해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등(7)은 각 텐키 버튼(2)에 내장된 LED 등을 구비한다. 이 방향등(7)은 버튼등 제어 정보(12)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방향등(7)은 버튼등 제어 정보(12)에 기초하여, 점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8은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이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는 버튼 입력 처리 장치(5)가 출력한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칸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텐키 버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버튼 고장 검출 장치(3)가 텐키 버튼(2)이 ON 고장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버튼 고장 검출 장치(3)는 정기적으로 텐키 버튼(2)의 ON/OFF 상태를 확인하여, 일정시간 이상 OFF 상태로 되지 않고 ON 상태로 되어 있는 텐키 버튼(2)을 ON 고장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버튼 고장 검출 장치(3)가 어느 텐키 버튼(2)도 ON 고장나지 않았다고 하는 고장 버튼 정보(10)를 출력하면, 동작 모드 선택 장치(4)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로서 「통상시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 처리 장치(5)에는 동작 모드 정보(11)로서 「통상시 모드」가 입력된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소망 층의 숫자에 대응하는 텐키 버튼(2)을 누르면,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눌린 텐키 버튼(2)의 버튼 조작 정보(9)를 그대로 통상의 출력 경로에 출력한다. 이때,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6)는 버튼등 제어 정보(12)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향등(7)은 점등하지 않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는 버튼 조작 정보(9)에 기초하여, 행선층을 등록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은 등록된 행선층에 도착한다.
한편, 버튼 고장 검출 장치(3)는 승강장의 어느 하나의 텐키 버튼(2)이 ON 고장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고장 버튼 정보(10)로서 텐키 버튼(2)이 고장나 있는 정보와 어느 텐키 버튼(2)이 고장나 있다고 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 선택 장치(4)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로서 「백업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 처리 장치(5)에는 동작 모드 정보(11)로서 「백업 모드」가 입력된다.
이때,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ON 고장난 텐키 버튼(2)의 입력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에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할당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텐키 버튼(2)에서 상반 부분에 배치된 「1」~ 「6」에 대응하는 텐키 버튼(2) 중에서 ON 고장나지 않은 것에 상승 방향을 할당한다. 또,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텐키 버튼(2)의 하반 부분에 배치된 「7」~ 「9」, 「0」에 대응하는 텐키 버튼(2) 및 예비 텐키 버튼(2) 중에서 ON 고장나지 않은 것에 하강 방향을 할당한다.
이것과 동시에,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6)는 ON 고장나지 않은 모든 방향등(7)에 반휘도로 점등하도록 지시하는 버튼등 제어 정보(12)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의 여하에 관계없이 ON 고장나지 않은 방향등(7)의 전부가 반휘도로 점등한다. 여기서, 방향등(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키 버튼(2)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백업 모드」가 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방향등(7)은 텐키 버튼(2)의 ON 고장의 검출시에,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에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을 통지하는 통지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을 누르면,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업/다운 정보를 백업의 출력 경로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눌린 텐키 버튼(2)의 버튼 조작 정보(9)를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나타내는 업/다운 정보로 변환하고, 백업의 출력 경로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에는 당해 행선 방향의 호출이 등록된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에는 당해 승강장보다도 당해 행선 방향에 있는 각 층이 행선층으로서 등록된다.
또,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6)는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 중에서 눌린 텐키 버튼(2)과 같은 방향의 행선 방향이 할당된 텐키 버튼(2)의 방향등(7)에, 전휘도로 점등하도록 지시하는 버튼등 제어 정보(12)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휘도(全輝度)란 반휘도(半輝度)보다도 휘도를 높힌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ON 고장나지 않은 방향등(7) 중에서 버튼 입력 처리 장치(5)에 출력된 행선 방향과 같은 방향의 방향등(7)이 모두 전휘도로 점등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승강장에 도착한 경우, 버튼등 제어 정보(12)는 전휘도로 점등하고 있는 방향등(7)에, 반휘도로 점등하도록 지시하는 버튼등 제어 정보(12)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전휘도로 점등하고 있던 방향등(7)은 반휘도의 점등 상태로 돌아온다. 그 후,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는 엘리베이터 칸을, 먼저 등록된 행선 방향의 각 층마다 정지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로서 「통상시 모드」가 선택될 때까지, 「백업 모드」로의 운전이 반복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 내의 텐키 버튼(2)이 ON 고장난 경우라도, 승강장의 텐키 버튼(2)이 ON 고장난 경우와 거의 같은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이 눌린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보다도, 눌린 텐키 버튼(2)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있는 각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서 등록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이 당해 행선 방향의 최단층(最端層)에 도착한 경우, 버튼등 제어 정보(12)는 전휘도로 점등하고 있는 방향등(7)에, 반휘도로 점등하도록 지시하는 버튼등 제어 정보(12)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전휘도로 점등하고 있던 방향등(7)은 반휘도의 점등 상태로 돌아온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텐키 버튼(2)의 ON 고장의 검출시는, ON 고장난 텐키 버튼(2)의 입력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할당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 처리 장치(5)는 눌린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내 또는 승강장에 마련된 텐키 버튼(2)가 ON 고장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의 호출로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입력할 수 있다.
또, 텐키 버튼(2)에 근접해서 마련된 방향등(7)이 텐키 버튼(2)의 ON 고장의 검출시에,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에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이 할당된 것을 통지한다. 이 때문에, 텐키 버튼(2)의 ON 고장시에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업/다운 입력을 할 수 있는 것을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은 방향등(7)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러한 내용을 문자로 디스플레이 표시하여 통지할 수도 있고, 음성 안내 방송으로 통지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텐키 버튼(2)의 ON 고장의 미검출시는 방향등(7)은 소등하고, 텐키 버튼(2)의 ON 고장의 검출시는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의 방향등(7)이 점등한다. 또,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 중에서 눌린 텐키 버튼(2)과 같은 방향의 행선 방향이 할당된 텐키 버튼(2)의 방향등(7)의 휘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용자는 텐키 버튼(2)을 이용하여 통상 입력을 할 수 없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망한 행선 방향이 정식으로 입력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유지 보수 작업자가 ON 고장난 텐키 버튼(2)의 교환을 잊어버리지 않는다. 즉, 텐키 버튼(2)의 ON 고장 상태의 방치가 방지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8)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텐키 버튼(2)의 ON 고장의 검출시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이 눌린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보다도 눌린 텐키 버튼(2)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있는 각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서 등록한다. 이 때문에, ON 고장난 텐키 버튼(2)에 할당된 숫자를 포함한 층에도 엘리베이터 칸을 도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1」에 대응한 텐키 버튼(2)가 ON 고장난 경우, 이러한 텐키 버튼(2)의 입력을 단지 무효로 하는 것 만으로는, 1층, 15층, 21층 등 「1」을 포함하는 층을 행선층으로서 등록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3층에 있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1층에 가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하강 방향의 할당된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2)을 누르면, 희망하는 대로 1층에 갈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 내 또는 승강장에 마련된 텐키 버튼이 ON 고장난 경우더라도,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입력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텐키 조작 기기 2: 텐키 버튼
3: 버튼 고장 검출 장치 4: 동작 모드 선택 장치
5: 버튼 입력 처리 장치 6: 텐키 버튼등 제어 장치,
7: 방향등 8: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
9: 버튼 조작 정보 10: 고장 버튼 정보
11: 동작 모드 정보 12: 버튼등 제어 정보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칸 내 및 승강장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숫자가 할당된 텐키 버튼과,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을 검출하는 버튼 고장 검출 장치와,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미검출시는 눌린 텐키 버튼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검출시는 ON 고장난 텐키 버튼의 입력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할당하고, 눌린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대응한 정보를 출력하는 버튼 입력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키 버튼에 근접해서 마련되고,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검출시에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이 할당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지 장치는
    상기 텐키 버튼에 마련되고, 상기 텐키 버튼에 할당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등을 구비하고,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미검출시는 상기 방향등을 소등하고,
    상기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검출시는,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의 방향 표시등을 점등하고,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 중에서 눌린 텐키 버튼과 같은 방향의 행선 방향이 할당된 텐키 버튼의 방향등의 휘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텐키 버튼의 ON 고장의 검출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ON 고장나지 않은 텐키 버튼이 눌렸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보다도, 눌린 텐키 버튼에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 방향에 있는 각 층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117010462A 2008-12-11 2008-12-11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1199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72533 WO2010067439A1 (ja) 2008-12-11 2008-12-11 エレベータ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867A true KR20110063867A (ko) 2011-06-14
KR101199685B1 KR101199685B1 (ko) 2012-11-08

Family

ID=4224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462A KR101199685B1 (ko) 2008-12-11 2008-12-11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61868B1 (ko)
JP (1) JP5293747B2 (ko)
KR (1) KR101199685B1 (ko)
CN (1) CN102239099B (ko)
WO (1) WO2010067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0175A (ja) * 2011-03-01 2012-09-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5743321B2 (ja) * 2011-03-23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4153817A (ja) * 2013-02-06 2014-08-25 Toshiba Corp 通行制御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251698B2 (ja) * 2015-03-25 2017-12-2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353809B2 (ja) * 2015-04-17 2018-07-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行先登録装置、行先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05060055B (zh) * 2015-07-29 2019-11-1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按钮故障检测及处理方法
CN109153530B (zh) * 2016-06-03 2020-01-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语音呼梯登记装置以及语音呼梯登记功能的自我诊断方法
KR102262406B1 (ko) * 2016-12-26 2021-06-08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6466516B2 (ja) * 2017-06-19 2019-02-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行先階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運転方法
EP3856670A1 (en) * 2018-09-28 2021-08-04 Inventio AG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for inferring a health status of call devices in an elevator arrangement
CN116553317A (zh) * 2021-10-28 2023-08-0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语音控制系统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056A (en) 1976-04-08 1977-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registering elevator ride call
JPS59190172A (ja) 1983-04-13 1984-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呼び登録装置
JPS60248582A (ja) 1984-05-23 1985-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US6550586B1 (en) * 2000-06-23 2003-04-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lay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MY137800A (en) * 2001-12-19 2009-03-31 Inventio Ag Control panel and method for using a control panel in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67439A1 (ja) 2012-05-17
EP2361868B1 (en) 2015-08-26
EP2361868A4 (en) 2014-06-18
EP2361868A1 (en) 2011-08-31
WO2010067439A1 (ja) 2010-06-17
JP5293747B2 (ja) 2013-09-18
KR101199685B1 (ko) 2012-11-08
CN102239099B (zh) 2013-06-26
CN102239099A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685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A2823109C (en) Method of modernising a lift installation
KR20150010762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603785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1051710A (ja) エレベータの特殊運転制御方法
JP2009143635A (ja) 群管理制御エレベーターの予約操作システム
JP640965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US9527696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for double operation
JP2011131997A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運転制御方法
JP5293746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913768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3091543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476190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3704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JP2008007322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減速制御システム
JP201423142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49389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利用不可報知方法
JP200816279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40152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230798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4284763A (ja) エレベータ
JP4554055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乗場表示装置
WO2022208756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178968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の点検装置
JP2004155560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