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378A -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 Google Patents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378A
KR20110059378A KR1020090116089A KR20090116089A KR20110059378A KR 20110059378 A KR20110059378 A KR 20110059378A KR 1020090116089 A KR1020090116089 A KR 1020090116089A KR 20090116089 A KR20090116089 A KR 20090116089A KR 20110059378 A KR20110059378 A KR 2011005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dian
vertical
suppor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009B1 (ko
Inventor
윤인구
오주현
이성헌
Original Assignee
윤인구
지엘기술 (주)
오주현
이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구, 지엘기술 (주), 오주현, 이성헌 filed Critical 윤인구
Priority to KR102009011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지주삽입공(107)으로부터 뽑힐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지주 도르레 휠(205)이 구비되어 있는 지주(101)와, 가드레일(102)을 포함하는 중앙분리대(100); 및 중앙분리대(100)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장치(200)를 포함하며; 리프트 장치(200)는, 종방향 프레임(201)과,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과, 제1 수직방향 프레임의 회동에 대한 회전축이 되는 회전축 프레임(203)과, 복수개의 상부 도르레 휠(204) 및 지주 도르레 휠(205)과, 수직 도르레 휠(206) 및 와이어 감김 휠(207)과, 와이어 감김 휠과 수직 도르레 휠을 거치고, 상부 도르레 휠과 지주 도르레 휠을 교번하여 지나고 있고 길이의 신축에 의해 중앙분리대(1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08)를 포함하며; 와이어(208)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지주(101)가 지반 위로 뽑혀 중앙분리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을 회동시켜 중앙분리대(100)를 이동함으로써 중앙분리대(100)가 설치되어 있던 부분이 개방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가 승강되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철거할 수 있으며, 차량 U턴 상황 종료 후에도 적은 작업 인원으로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재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Lifting-Type Median Strip in Road for Quick Opening}
본 발명은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반으로부터 일체로 뽑힐 수 있도록 설치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와, 상기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를 승강시키고 이를 회전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로 상에 긴급 상황 발생시 차량을 U턴시킬 수 있도록 정해진 차량 U턴 구간에 설치되어, 필요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를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철거할 수 있으며, 차량 U턴 상황 종료 후에도 적은 작업 인원으로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긴급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재설치에 따른 교통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에는 좌우측 통행 차량의 진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 중앙분리대의 형태는 여러 가지인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블록형 중앙분리대와, 지주 및 가드레일로 구성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는 간격을 두고 도로 방향(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주(101)와, 상기 지주(101)의 상단에서 지주(101)의 양면에 각각 조립되는 가드레일(102)로 구성된다. 상기 가드레일(102)은 볼트(103)에 의해 지주(101)에 조립 설치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도로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되어야 할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폭설로 인하여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 폭우로 인한 도로 유실이나 사면 토사 도로 유입 때문에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 도로 상의 화재 발생으로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 등과 같이, 차량의 도로 주행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반대편 차선을 이용하도록 차량을 U턴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중앙분리대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의 제거는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앞서 예를 든 것처럼, 화재 발생 등의 긴급 상황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반드시 생사를 다투는 위급 상황이 아닐지라도 여러 가지 이유에서 차량을 신속히 U턴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로의 특정 구간은, 중앙분리대를 제거하여 차량을 U턴 시킬 수 있는 "차량 U턴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 U턴 구간에서는 가드 레일형 중앙분리대(100)가 사용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존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의 경우, 가드레일(102)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가드레일(102)을 지주(101)에 고정하고 있는 많은 볼트(103)를 일일이 해체하여야 한다. 그리고 볼트(103)를 해체한 뒤에는 가드레일(102)을 철거하고 지주(101)를 뽑아서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데는 통상 6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 인원이 투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만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많은 작업 인원이 투입되더라도, 볼트(103)의 해체, 가드레일(102)의 철거, 지주(101)의 인발 제거라는 작업은 반드시 수행될 수밖에 없으므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의 제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는, 제거를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이 볼트(103)를 해체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서는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므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의 제거 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차량의 U턴이 지연될 수밖에 없으며, 위급 상황에서는 이러한 차량 U턴 지연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100)는, 차량 U턴 필요 상황이 종료된 후 다시 지주(101)의 설치 및 볼트(103)를 이용한 가드레일(102)의 조립이라는 번거로운 재조립 설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 인원의 필요 및 작업 비용 발생, 그리고 작업 시간 소요에 따른 교통 체증 유발 등의 추가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로 상에 긴급 상황 발생시 차량을 U턴시킬 수 있도록 정해진 차량 U턴 구간에 설치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를 적은 작업 인원으로도 철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철거 작업이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차량 U턴 상황 종료 후에도 적은 작업 인원으로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긴급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재설치에 따른 교통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에 형성된 지주삽입공에 삽입되어 직립하되 지주삽입공으로부터 뽑힐 수 있도록 지주삽입공에 설치되고, 상단에는 지주 도르레 휠이 구비되어 있는 지주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및 상기 중앙분리대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가드레일의 상부에서 가드레일과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양단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 하도록 지반 위에 놓이는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의 회도에 대한 회전축이 되는 회전축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부 도르레 휠과, 상기 중앙분리대의 지주 상단에는 설치된 지주 도르레 휠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에 배치된 수직 도르레 휠 및 와이어 감김 휠과, 휠들을 교번하여 지나고 있어 감김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어 중앙분리대를 승강시키고 풀림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서 중앙분리대를 하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와이어가 감겨져서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지주가 지반 위로 뽑히면서 중앙분리대가 상승하여 중앙분리대가 와이어에 의해 리프트 장치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제2 수직방향 프레임을 회동시켜 중앙분리대를 이동함으로써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던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감김 휠을 감아서 와이어를 당기는 것만으로 중앙분리대가 일체로 지반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이를 회전시켜 옆으로 이동하여 차량 U턴 구간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앙분리대의 볼트 등을 해제하여 가드레일과 지주를 일일이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매우 빠르게 차량 U턴 구간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분리대의 개방에는 감김 휠을 회전시키는 것만 으로 충분하므로, 특별한 기술이나 숙련도는 물론이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며, 많은 작업인원도 필요하지 않게 되어 현장에 출동한 교통 경찰관이나 차량 운전자들이 2인 1조가 되어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개방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U턴 구간을 폐쇄하고 다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중앙분리대를 신속하게 다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설치에 따른 교통 체증의 유발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콘크리트 블록형 중앙분리대(300)가 형성된 도로의 차량 U턴 구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에서 중앙분리대(100)가 승강되어 지주가 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중앙분리대(100)가 이동하여 양측 도로 사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콘크리트 블록형 중앙분리대(300) 중간에 본 발명의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 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는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형 중앙분리대 중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 장치의 중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는, 지주(101)와 가드레일(102)로 이루어진 중앙분리대(100)와, 상기 중앙분리대(100)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분리대(100)는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와 마찬가지로 도로에 형성된 지주삽입공(107)에 삽입되어 직립하는 지주(101)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지주(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드레일(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분리대(100)의 지주(101) 상단에는 후술하는 리프트 장치(200)의 지주 도르레 휠(205)이 설치된다.
중앙분리대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장치(200)는, 상기 가드레일(102)의 상부에서 가드레일(102)과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201)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201)의 양단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반 위에 놓이는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과,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반에 설치되는 회전축 프레임(203)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201)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부 도르레 휠(204)과, 상기 중앙분리대(100)의 지주(101) 상단에는 설치된 지주 도르레 휠(205)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의 상단에 배치된 수직 도르레 휠(206)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의 하단에 배치된 와이어 감김 휠(207)과, 양단이 각각 상기 와이어 감김 휠(207)에 감겨 있고 중간은 상기 수직 도르레 휠(206)을 거쳐 상부 도르레 휠(204)과 수직 도르레 휠(206)을 교번하여 지나고 있어 감김에 의해 중앙분리대를 승강시키고 풀림에 의해 중앙분리대를 하강시키는 와이어(20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200)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201)과, 그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은 일체로 ㄷ자 프레임을 이룬다.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은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의 하단부에 바퀴(2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의 일측에서 지반에는 회전축 프레임(203)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이 회전축 프레임(20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의 측면이 회전축 프레임(203)과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 프레임(203)의 하단부가 지반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회전축 프레임(203)이 구멍에서 끼워진 채로 회전됨으로써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다른 예시적인 구성으로는 회전축 프레임(203)은 지반에 완전하게 고정되어 있고,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에 고정된 링형 연결구(도면에 미도시됨)가 회전축 프레임(203)에 끼워져서 상기 링형 연결구가 회전축 프레임(203)을 감싼 채로 회전되어서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처럼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에 결합된 힌지 연결부와 회전축 프레임(203)에 결합된 힌지 연 결부가 서로 힌지 연결되어,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과 회전축 프레임(203)이 관절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이 회전축 프레임(20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 모두 또는 둘 중 어느 하나에는 지지용 다리부재(21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용 다리부재(212)는 상기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상적인 상황에서 중앙분리대를 정상 사용할 때에는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지지용 다리부재(212)가 종방향으로 접혀져 있다가, 중앙분리대를 철거할 때에는 회전하여 중앙분리대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중앙분리대 철거 작업시에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용 다리부재(212) 역시 그 하단부가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하단부에 바퀴(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프레임(201)에는 복수개의 상부 도르레 휠(204)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분리대(100)의 지주(101) 중에서 상기 상부 도르레 휠(204)의 설치 위치와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된 지주(101)의 상단에는 지주 도르레 휠(20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와이어(208)가 상기 상부 도르레 휠(204)과 지주 도르레 휠(205)을 교번하여 지나가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208)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W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의 상부에는 수직 도르레 휠(206)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와이어 감김 휠(207)이 설치되어 있다. 와이 어(208)는 그 양단이 상기 와이어 감김 휠(207)에 감겨 있는데, 와이어(208)의 중간은 상기 수직 도르레 휠(206)을 거쳐 상부 도르레 휠(204)과 수직 도르레 휠(206)을 교번하여 지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이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의 하부에 설치된 와이어 감김 휠(207)에 감겨진 상태에서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 도르레 휠(206)을 거쳐 복수개의 상부 도르레 휠(204) 중에서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 방향에 가장 가까운 상부 도르레 휠(204)을 거치고, 아래 방향으로 내려와서, 다음에 위치하는 상부 도르레 휠(204) 사이에 위치하는 지주(101) 상단의 지주 도르레 휠(205)을 거친 후 다시 상승하여 상부 도르레 휠(204)을 거치고, 이와 같은 상부 도르레 휠(204)과 지주 도르레 휠(205)을 교번하여 거치는 과정을 필요한 횟수로 반복한 후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1a)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 도르레 휠(206)을 거쳐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1a)의 하부에 설치된 감김 휠(207)에 단부가 감겨진다. 따라서 와이어(208)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W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감김 휠(207)에는, 감김 휠(207)을 돌릴 수 있는 휠 회전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휠 회전장치는 감김 휠(207)에 직접 설치된 회전 손잡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회전 크레인장치(22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크레인장치(220) 자체는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시킬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장치인데, 회전 크레인장치(220)에는 종방향 프레임(201) 또는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동체인과 연결체인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체인의 단부는 와이어(208)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간접적으로 상 기 연결체인의 단부는 감김 휠(207)에 연결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작동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그에 따라 연결체인이 감겨져 위로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감김 휠(207)이 회전되어 와이어(208)가 감김 휠(207)에 감기거나 또는 와이어(208)가 직접 당겨지게 된다. 반작업자가 작동체인을 반대쪽 방향으로 당기거나 또는 연결체인의 감김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그에 따라 연결체인이 반대로 풀리게 되고 그에 따라 감김 휠(207)이 반대로 회전된다. 물론 연결체인이 와이어(208)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208)가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감김 휠(207)이 반대로 회전하는 등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208)가 풀어지게 되면 와이어(208)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중앙분리대(100)가 다시 하강한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는, 긴급 상황에서 차량을 U턴 시킬 수 있도록 도로에 설정되어 있는 "차량 U턴 구간"에 항시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중앙분리대(100)를 철거해야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는 종방향 프레임(201)의 양단 즉,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에 각각 접근하여 휠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감김 휠(207)을 회전시킨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휠 회전장치가 감김 휠(207) 자체에 구비된 회전 손잡이인 경우, 회전 손잡이를 돌리게 되고, 휠 회전장치가 회전 크레인장치(220)로 구현된 경우에는 작동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작동체인이 당겨지면 그에 따라 연결체인이 감겨져 위로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감김 휠(207)이 회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에 지지용 다리부재(2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용 다리부재(212)를 종방향 프레임(201)에 대해 수직한 위치가 되도록 회전시켜, 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 각각의 하부에 배치된 감김 휠(207)이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208)가 감김 휠(207)에 감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도르레 휠(206), 상부 도르레 휠(204) 및 지주 도르레 휠(205)을 교번하여 지나고 있는 와이어(208)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중앙분리대(100)가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지반에 삽입되어 있던 지주(101)가 지반 위로 뽑히게 된다. 즉, 지주(101)가 지반 위로 뽑혀서, 중앙분리대(100)가 와이어(208)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차량 통행이 가능한 높이 이상으로 상기 중앙분리대(100)가 지반으로부터 승강되면, 위와 같이 중앙분리대(100)가 와이어(208)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도 차량을 반대편 차선으로 U턴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안전과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을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분리대(100)가 와이어(208)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도 회전축 프레임(203)을 중심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되어 중앙분리대(100)가 이동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분리대(100)가 설치되어 있던 부분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영역을 통해서 차량이 U턴하여 반대편 차선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지주(101)의 하단부가 지반 위에 있을 정도의 높이로 지주(101)가 뽑히면 충분하므로, 중앙분리대(100)가 너무 높게 지반으로 승강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긴급 상황이 종료되어 차량의 U턴이 더 이상 필요 없고 중앙분리대(100)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를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즉,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을 다시 원위치로 회동시켜, 중앙분리대(100)의 지주(201)가 지반 구멍의 직상부에 있도록 위치시킨 후, 감김 휠(207)에 감겨 있던 와이어(208)를 풀어서 와이어(208)의 길이가 늘어나게 함으로써 중앙분리대(100)를 하강시키고, 지주(201)가 다시 지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중앙분리대(100)의 재설치가 완료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단순히 감김 휠(207)을 감아서 와이어(208)를 당기는 것만으로 중앙분리대(100)가 일체로 지반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이를 회전시켜 옆으로 이동하여 차량 U턴 구간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중앙분리대의 볼트 등을 해제하여 가드레일과 지주를 일일이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매우 빠르게 차량 U턴 구간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중앙분리대(100)의 개방에는 감김 휠(207)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특별한 기술이나 숙련도는 물론이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며, 많은 작업인원도 필요하지 않게 되어 현장에 출동한 교통 경찰관이나 차량 운전자 들이 2인 1조가 되어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개방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차량 U턴 구간을 폐쇄하고 다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중앙분리대를 신속하게 다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설치에 따른 교통 체증의 유발도 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각각 180도 회동 개방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의 설치 상태와, 중앙분리대(100)가 90도 회동된 상태와, 중앙분리대(100)가 180도 회동되어 도로 사이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앞서 설명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중앙분리대(100)의 회전 각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과 회전축 프레임(203)이 관절로 연결되어 180도 개방이 가능하다.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에는 회전축 프레임(203) 방향으로 돌출된 제1관절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프레임(203)에도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 방향으로 돌출된 제2관절부(2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관절부(232)와 제2관절부(223)는 그 단부에서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기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서로 힌지 연결된 상기 제1관절부(232)와 제2관절부(223)가 각각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이 회전축 프레임(203)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 시된 것처럼 90도 회전 위치까지 중앙분리대(100)가 회동하여 움직인 상태에서, 상기 제1관절부(232)와 제2관절부(223)의 힌지 연결부가 절곡되어 중앙분리대(100)가 추가적으로 90도 더 회동하게 되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이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과 다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180도로 완전하게 개방된다. 이와 같이 180도로 완전 개방되면 중앙분리대(100)의 개방으로 인한 차선의 차단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하행선 차선에서 차량 통행이 불가능하게 되고 중앙분리대(100)를 하행선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처럼 중앙분리대(100)를 통행이 차단된 하행선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행선의 차량을 상행선으로 유턴시켜 소통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중앙분리대(100)를 하행선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없는 상황에 처해지게 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앙분리대(100)가 90도만 회전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중앙분리대(100)를 상행선 방향으로 회동시켜야 하는데, 그에 따라 90도 회전된 중앙분리대(100)의 아래 부분에서 상행선은 차단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 8의 실시예처럼 중앙분리대(100)가 180도 회전되어 완전 개방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상행선 방향으로 중앙분리대(100)를 회동시키더라도 상행선의 차단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상행선 교통에 장애가 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180도로 완전 개방되는 구조는 도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매우 유용한데, 도로 폭이 좁아서 회동시킬 수 있는 중앙분리대의 길이가 작아, 1개의 중앙분리대 회동만으로는 차량을 U턴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개방 길이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180도 완전 개방 구조를 가지되 종방향으로 짧은 길이를 가진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10) 두 개를, 회전축 프레임(203)이 서로 멀리 위치하도록 연속 배치하고, 두 개의 중앙분리대 장치(10)를 동시에 180도 개방하게 되면, 차량이 U턴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개방 길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은 각각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블록형 중앙분리대가 형성된 도로의 차량 U턴 구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에서 중앙분리대가 승강되어 지주가 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중앙분리대가 이동하여 양측 도로 사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180도 회전 개방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가 90도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중앙분리대가 180도 회동하여 도로 사이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100 : 중앙분리대
200 : 리프트 장치

Claims (5)

  1. 도로에 형성된 지주삽입공(107)으로부터 뽑힐 수 있도록 지주삽입공(107)에 삽입 설치되는 지주(101)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101)에 결합되는 가드레일(102)을 포함하는 중앙분리대(100); 및 상기 중앙분리대(100)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200)는,
    가드레일(102)의 상부에서 가드레일(102)과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201)과,
    종방향 프레임(201)의 양단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반 위에 놓이는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과,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과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어 지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의 회동에 대한 회전축이 되는 회전축 프레임(203)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201)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부 도르레 휠(204)과,
    상기 중앙분리대(100)의 지주(101) 상단에는 설치된 지주 도르레 휠(205)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에 배치된 수직 도르레 휠(206) 및 와이어 감김 휠(207)과,
    상기 와이어 감김 휠(207)과 상기 수직 도르레 휠(206)을 거치고, 상부 도르 레 휠(204)과 지주 도르레 휠(205)을 교번하여 지나고 있고 길이가 줄어들면 중앙분리대(100)를 승강시키고 길이가 늘어나면 중앙분리대(100)를 하강시키는 와이어(208)를 포함하며;
    와이어(208)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지주(101)가 지주삽입공(107)으로부터 뽑혀 중앙분리대(100)가 지반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을 회동시켜 중앙분리대(100)를 이동함으로써 중앙분리대(100)가 설치되어 있던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 또는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지지용 다리부재(21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용 다리부재(212)는, 종방향으로 접혀 있다가 중앙분리대를 철거할 때에는 회전하여 중앙분리대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방향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에는 회전축 프레임(203) 방향으로 돌출된 제1관절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프레임(203)에도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 방향으로 돌출된 제2관절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제1관절부(232)와 제2관절부(223)는 그 단부에서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어,
    지주(101)가 지주삽입공(107)으로부터 뽑혀 중앙분리대(100)가 지반 위로 상승한 상태에서, 중앙분리대(100)가 형성되어 있던 부분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도록,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이 180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체인과 연결체인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체인의 단부에는 와이어(208)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 크레인장치(220)가 종방향 프레임(201) 또는 제1 및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a, 202b)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작동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연결체인이 감기면서 당겨져서 와이어(208)가 감겨지게 되어 중앙분리대(100)가 상승하고, 작동체인을 반대쪽 방향으로 당기거나 또는 연결체인의 감김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연결체인이 반대로 풀리고 와이어(208)가 풀리게 되어 중앙분리대(100)가 하강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수직방향 프레임(202a) 또는 제2 수직방향 프레임(202b)의 하단에는 회동이 용이하도록 바퀴(2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KR1020090116089A 2009-11-27 2009-11-27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KR10121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89A KR101212009B1 (ko) 2009-11-27 2009-11-27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89A KR101212009B1 (ko) 2009-11-27 2009-11-27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78A true KR20110059378A (ko) 2011-06-02
KR101212009B1 KR101212009B1 (ko) 2012-12-13

Family

ID=4439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089A KR101212009B1 (ko) 2009-11-27 2009-11-27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5238A (zh) * 2019-11-05 2020-01-24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中央防撞栏装置
KR102104778B1 (ko) * 2019-06-10 2020-04-27 이동진 다목적 가이드레일형 차수방어벽
WO2021012293A1 (zh) * 2019-07-24 2021-01-28 杨永 智能安全升降护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612B (zh) * 2016-08-19 2018-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护栏设备、护栏系统、护栏设备的运行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61Y1 (ko) * 2009-10-30 2011-12-29 (주)성우산업 중앙분리대용 비상게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778B1 (ko) * 2019-06-10 2020-04-27 이동진 다목적 가이드레일형 차수방어벽
WO2021012293A1 (zh) * 2019-07-24 2021-01-28 杨永 智能安全升降护栏
CN110725238A (zh) * 2019-11-05 2020-01-24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中央防撞栏装置
CN110725238B (zh) * 2019-11-05 2023-10-27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中央防撞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09B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8731B1 (en) Bridge maintenance vehicle with hinge-connected type hanging bracket and capable of avoiding bridge-side obstacles
US8734046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8985890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KR101212009B1 (ko) 신속 개폐 가능한 리프트형 중앙분리대 장치
CA2492987A1 (en) Sliding sign
CN109944451A (zh) 一种上跨既有线施工安全防护装置及其施工方法
CN210658398U (zh) 一种基坑防护装置
US20140042379A1 (en) Barrier system
KR100791827B1 (ko)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
EP0356561B1 (de) Handbaubare Grabenbrücke und Verfahren zur Aufstellung derselben
CN202023149U (zh) 建筑用挂篮
KR20120011567A (ko) 양개식 낙석방지책
KR101016152B1 (ko) 케이블 인양장치와 가설인양대와 수평이동부재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급속교체시공방법 및 급속교체시공장치
EP2548761B1 (de) Seilzugschutztraverse
CN220117026U (zh) 上跨桥梁施工的防护棚
CN112681181A (zh) 一种智能化桥梁入口车辆分流控制装置
JP4021989B2 (ja) 開閉柵
KR200456761Y1 (ko) 중앙분리대용 비상게이트
KR101097288B1 (ko) 스윙 업ㆍ다운 메시 펜스
AU783153B2 (en) A road barrier
CN212896039U (zh) 一种可活动的路障栏杆装置
KR102391442B1 (ko)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KR102476879B1 (ko) 신속 시공이 가능한 싱글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RU2225474C2 (ru) Низководный мос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