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42B1 -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42B1
KR102391442B1 KR1020200154646A KR20200154646A KR102391442B1 KR 102391442 B1 KR102391442 B1 KR 102391442B1 KR 1020200154646 A KR1020200154646 A KR 1020200154646A KR 20200154646 A KR20200154646 A KR 20200154646A KR 102391442 B1 KR102391442 B1 KR 10239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median
bar
rotation
uppe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선
Original Assignee
정웅선
주식회사 엑스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선, 주식회사 엑스게이트 filed Critical 정웅선
Priority to KR102020015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드레일과 하부가드레일이 복수 개의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하부가드레일과 각 지지봉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하부가드레일과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드레일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가드레일과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삼입됨으로써 하부가드레일과 점차적으로 겹쳐지고, 이에 따라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UPWARD OPENABLE MEDIAN STRIP WITH IMPROVED MOVABLE RANGE OF OPEN OPERATION}
고속도로, 국도 등의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에는 좌우측 통행 차량의 진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 중앙분리대의 형태는 여러 가지인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블록형 중앙분리대와, 지주 및 가드레일로 구성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도로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되어야 할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폭설로 인하여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 폭우로 인한 도로 유실이나 사면 토사 도로 유입 때문에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 교통사고나 도로 상의 화재 발생으로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 등과 같이, 차량의 도로 주행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반대편 차선을 이용하도록 차량을 U턴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중앙분리대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의 제거는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앞서 예를 든 것처럼, 교통사고나 화재 발생 등의 긴급 상황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반드시 생사를 다투는 위급 상황이 아닐지라도 여러 가지 이유에서 차량을 신속히 U턴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자동차 전용 도로의 특정 구간은, 중앙분리대를 제거하여 차량을 U턴 시킬 수 있는 "차량 U턴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 U턴 구간에서는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가 사용된다. 그러나, 가드레일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가드레일을 지주에 고정하고 있는 많은 볼트를 일일이 해체하여야 한다. 그리고 볼트를 해체한 뒤에는 가드레일을 철거하고 지주를 뽑아서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데는 통상 6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인원이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작업 인원이 투입되어야하지만, 그만큼 소요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많은 작업 인원이 투입되더라도, 볼트의 해체, 가드레일의 철거, 지주의 인발 제거라는 작업은 반드시 수행될 수밖에 없으므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의 제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는, 제거를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이 볼트를 해체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서는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므로,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의 제거 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차량의 U턴이 지연될 수 밖에 없으며, 위급 상황에서는 이러한 차량 U턴 지연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가드레일형 중앙분리대는, 차량 U턴 필요 상황이 종료된 후 다시 지주의 설치 및 볼트를 이용한 가드레일의 조립이라는 번거로운 재조립 설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 인원의 필요 및 작업 비용 발생, 그리고 작업 시간 소요에 따른 교통 체증 유발 등의 추가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715호 “도로의 회차용 중앙분리대 도어장치”에서는 상향으로 접철되는 구조로서 도로에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아주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중앙분리대를 개방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 도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479715호에 따르는 회차용 중앙분리대에 의하면, 리프트 지주장치에 의해 상부도어본체가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부재에 의해 상부도어본체와 연결된 하부도어본체 또한 상방향으로 회전되며 중앙분리대가 개방된다. 이때, 연결부재가 자중에 의해 비스듬하게 회동되며 상부도어본체와 하부도어본체의 사이간격이 좁아지면서 상부도어본체와 하부도어본체가 충돌함에 따라 상하부도어본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부도어본체의 개방 각도가 다소 한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부가드레일과 하부가드레일이 복수 개의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하부가드레일과 각 지지봉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하부가드레일과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분리대가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 시 상부가드레일이 하부가드레일과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삽입된 채 회전을 지속함으로써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하부가드레일과 각 지지봉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부가드레일과 하부가드레일이 서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중앙분리대가 상방향 회전 시 상부가드레일과 하부가드레일이 충돌하지 않음으로써 파손의 위험성이 감소된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바닥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에 하단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지지봉;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가드레일; 상기 상부가드레일을 회전시키는 리프트장치; 및 상기 상부가드레일에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이 상방향으로 회전할 때 자중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상부가드레일과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가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은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상기 각 지지봉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고, 상기 상부가드레일은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점차적으로 겹쳐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상부가드레일의 일 말단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홀의 내경보다 크기가 작은 외경을 갖는 회전축볼트가 상기 회전축홀을 통과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은 상기 회전축볼트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장치는 동력을 인가받아 상승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에 상승방향 힘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가드레일의 일 측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상기 회전축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상부가드레일의 일 측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이 상기 리프트장치로부터 받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상부보강바; 및 상기 하부가드레일의 일 측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하부가드레일의 바깥으로 연장되는 하부보강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보강바는 ‘ㅏ’형상을 갖는 제1 보강바와 ‘]’형상을 갖는 제2 보강바가 상기 상부가드레일을 사이에 두고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바(bar) 형상을 가지고, 일 말단이 상기 하부보강바의 일 말단에 수직하게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말단이 상기 회전축볼트에 수직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가드레일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정렬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와 상기 회전축볼트의 결합부의 양 옆에 고정되어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의 다른 말단이 상기 회전축볼트 상에서 좌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에 연결된 상기 하부가드레일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가드레일푸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봉의 하단부는 밑으로 내려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홀에 삽입 시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부가드레일과 각 지지봉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하부가드레일과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분리대가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 시 상부가드레일이 하부가드레일과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삽입된 채 회전을 지속함으로써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되어 화물 적재 등으로 높은 공간이 필요한 차량들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가드레일과 각 지지봉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부가드레일과 하부가드레일이 서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중앙분리대가 상방향 회전 시 상부가드레일과 하부가드레일이 충돌하지 않음으로써 상하부 가드레일의 파손의 위험성이 감소되어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이용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차용 중앙분리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차용 중앙분리대에서 지지봉, 상부가드레일, 및 하부가드레일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차용 중앙분리대에서 지지봉, 상부가드레일, 및 하부가드레일의 연결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구동부프레임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회차용 중앙분리대가 개방 후 다시 폐쇄될 때의 상부가드레일, 하부가드레일, 지지봉 및 가드레일 정렬바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개방 시 구동부 측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보강바가 상부가드레일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를 간략하게 “회차용 중앙분리대”로 호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회차용 중앙분리대(10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두 개의 회차용 중앙분리대 유닛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이다. 필요에 따라,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회차용 중앙분리대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회차용 중앙분리대 유닛을 회차용 중앙분리대라고 칭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는 복수 개의 지지봉(110), 두 개의 상부가드레일(120), 두 개의 하부가드레일(130), 리프트장치(140). 및 구동부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상부가드레일(120) 및 두 개의 하부가드레일(130)은 각각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대해 대칭적으로 결합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나의 하부가드레일(130)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에서의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은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결합된 두 개의 상부가드레일(120) 및 두 개의 하부가드레일(130)을 지칭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도로 상황에서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는 복수 개의 지지봉(110)이 도로에 형성된 고정홀(310)에 삽입된 채로 고정되어 도로의 상하행선을 구분한다(도 1). 그러나, 화재나 폭설, 교통사고 등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리프트장치(140)에 의해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부가드레일(120)에 연결된 복수 개의 지지봉(110)과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연결된 하부가드레일(130)이 상부가드레일(120)에 견인되어 상부가드레일(120)과 함께 들어올려지면서 회차용 중앙분리대(100)가 개방되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하부 가드레일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니들밸브(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개방 이후 폐쇄 시 상하부 가드레일이 급격하게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량조절밸브(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
구동부프레임(150)은 본 발명의 회차용 중앙분리대(100)가 개방 또는 폐쇄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구동부프레임(150)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막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쉽게 부서지지 않기 위해 강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프레임(150)에는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의 일 말단의 일부, 및 리프트장치(14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에서 복수 개의 지지봉(110),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 개의 지지봉(110)은 기둥 형태를 갖는 구조물로서, 평상시 하단부가 도로 바닥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홀(310)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를 도로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홀(310)은 도로 바닥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멍 또는, 도로 바닥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지지봉(11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홀부재(370)에 의해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홀부재(370)는 위아래가 관통된 원통 모양으로, 상측으로는 지지봉(110)의 말단이 삽입 또는 제거되고, 하측으로는 비나 눈 등에 의한 유수가 흘러내리도록 할 수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홀부재(370)는 바닥면이 있는 원통 모양으로서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유수가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지지봉(110)의 양 측면에는 후술할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이 결합된다. 각 지지봉의 형상은 각 지지봉의 양 측면에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이 고정될 수 있다면 그 단면의 모양이 제한되지는 않으나, 고정홀(310)에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지지봉(110)에는 상부가드레일(120)이 결합하기 위한 상부피벗홀(320)과 하부가드레일(130)이 결합하기 위한 하부피벗홀(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피벗홀(320)과 하부피벗홀(330)의 내경은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과의 결합에 이용되는 볼트의 외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지지봉(110)의 도로 측 일 말단은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제작하여 지지봉의 하단에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는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를 개방한 이후 다시 폐쇄할 시 복수 개의 지지봉(110)이 고정홀(310)에 대해 수직으로 삽입되지 않더라도 고정홀(310)과 각 지지봉(110)의 말단에서 형성되는 마찰을 줄여 복수 개의 지지봉(110)이 고정홀(310)로 매끄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복수 개의 지지봉(110)과 결합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350, 360)을 갖는다.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350, 360)의 내경은 각 지지봉과의 결합에 이용되는 볼트의 외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은 단면이 곡선형태로 굴곡진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이렇게 단면이 굴곡진 구조를 갖는 경우 도 2와 같이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이 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중력방향의 하중에 대항하는 전단응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
상부가드레일(120)은 볼트가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대해 대칭으로 놓여진 두 개의 상부가드레일(120)에 형성된 관통홀(350)과 각 지지봉에 형성된 상부피벗홀(320)을 관통한 후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부가드레일(120)에 형성된 관통홀(350)과 각 지지봉(110)에 형성된 상부피벗홀(320)의 내경의 크기가 이들을 관통한 볼트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복수 개의 지지봉(110)은 자중에 의해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 시 상부가드레일(12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가드레일(120)의 일 말단에는 회전축홀(530)이 형성되고, 회전축홀(53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볼트가 구동부프레임(150)과 회전축홀(530)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상부가드레일(120)의 회전축홀에 결합된 볼트 부분이 리프트장치(140)에 의해 회전할 때의 회전축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가드레일(130)은 상부가드레일(120)의 하단으로 상부가드레일(120)에 평행하고, 상부가드레일(120)과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결합한다. 하부가드레일(130)은 볼트가 복수 개의 지지봉(110)에 대해 대칭으로 놓여진 두 개의 하부가드레일(130)에 형성된 관통홀(360)과 탄성부재(340), 그리고 각 지지봉에 형성된 하부피벗홀(330)을 관통한 후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복수 개의 지지봉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하부가드레일(130)에 형성된 관통홀(360)과 각 지지봉(110)에 형성된 하부피벗홀(330)의 내경의 크기가 이들을 관통한 볼트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하부가드레일(130)은 각 지지봉(11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 시 하부가드레일(130)은 자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부가드레일(120)과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상부가드레일(120)과 함께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탄성부재(340)는 각 하부가드레일(130)과 각 지지봉(11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또는 기타 물체가 하부가드레일(130)에 충돌 시 받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탄성부재(340)는 탄성을 가지고, 내부에 볼트가 통과될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일정 직경으로 코일이 감겨 형성된 스프링은 볼트가 통과하기 위한 별도의 관통홀을 생성할 필요가 없고, 충격 흡수도 우수하여 본 발명의 탄성부재로서 적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지지봉(110),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의 연결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보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할 상부보강바(510) 및 하부보강바(520) 등은 도시하지 않는다. 하부가드레일(130)은 각 지지봉(110)과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각 지지봉(110)과 이격되어 결합된다. 즉, 하부가드레일(130)은 상부가드레일(120)보다 도로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이 운전미숙, 부주의, 사고 등으로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에 충돌하는 경우 하부가드레일(130)에 먼저 충돌하게 되고, 탄성부재(340)에 의해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감소된 후 상부가드레일(120)에 충돌하게 되므로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손상을 감소시킴은 물론 차량 및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지지봉(110)의 일 말단에는 방지캡(410)이 설치될 수 있다. 방지캡(410)은 고정홀(310) 또는 고정홀부재(37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지지봉(110)의 말단에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10)이 고정홀(310)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봉이 고정홀(310)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눈이나 비 등의 유수가 고정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개방 시 구동부 측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개방을 위해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 시 하부가드레일(130)은 자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부가드레일(120)과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상부가드레일(120)과 함께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사이의 이격거리는 점점 좁아지며, 일정각도에 다다르는 경우 상부가드레일(120)의 하단과 하부가드레일(130)의 상단 사이의 수직거리가 0이된다.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종래의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경우, 일정각도에서 상부가드레일(120)의 하단과 하부가드레일(130)의 상단이 서로 맞닿기 때문에 일정각도 이상의 개방이 불가하다. 또한, 상하부가드레일(120, 130)이 서로 충돌하면서, 혹은 반복되는 충돌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나 가공 오차에 의해서 상부가드레일(120)의 상방향 작동시에 상하부가드레일(120, 130)의 끼임이 발생하게 되면 하방향 작동 중에 각 지지봉(110)의 각도가 원상 복원되지 않아서 고정홀에 지지봉(110)을 넣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하부가드레일(130)과 각 지지봉(110) 사이에 탄성부재(340)가 결합되어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이 동일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부가드레일(120)이 일정각도 이상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가드레일(120)의 하단부가 하부가드레일(130)과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가드레일(130)과 지지봉(110)이 탄성부재(340)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다시 말해,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은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격거리가 점점 작아지다가 일정 지점부터는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이 점차적으로 겹쳐진다. 이로 인해 상부가드레일(120)은 상부가드레일(120)의 하단부가 탄성부재(340)에 접하는 지점까지 일정각도 이상으로 상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가드레일(130)과 지지봉(110) 사이에 탄성부재(340)를 설치하는 것은, 차량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안전 및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수명연장을 도모하고, 일정각도 이상으로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 시 발생할 수 있는 하부가드레일(130)과의 충돌을 제거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부가드레일(120)이 하부가드레일(130)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이 겹쳐지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일정각도 이상의 회전 각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개방각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리프트장치(140)는 상부가드레일(120)을 회전시킨다. 리프트장치(140)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유압작키가 될 수 있으며,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유닛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프트장치(140)는 상부가드레일(120)의 하단에 접한 상태에서 상하운동 함으로써 상부가드레일(120)을 상방향으로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리프트장치(140)는 리프트장치(140)의 일 말단이 두 개의 상부가드레일(12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하운동 함으로써 상부가드레일(120)을 상방향으로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가드레일(120)의 회전에 있어서, 상부가드레일(120)이 리프트장치(140)로부터 힘을 전달받는 지점이 구동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프트장치(140)는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양 측 어디서든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도로의 상행선 또는 하행선 측 어디서나 건너편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손쉽게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구동부프레임(15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100)는 상부보강바(510), 하부보강바(520), 가드레일정렬바(540), 및 가드레일푸시바(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보강바(510)는 상부가드레일(120)의 일 말단부에 결합하여 구동축(580)에 인가되는 힘을 분산시킨다. 상부가드레일(120)의 회전은 회전축과 구동축 사이의 거리가 짧은데 반해(약 50cm) 구동축과 구동축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부가드레일(120)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길고(약 7미터 이상), 또한 상부가드레일(120)에 복수 개의 지지봉(110) 및 복수 개의 지지봉(110)을 통해 연결된 하부가드레일(130)의 하중이 모두 실리기 때문에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 시 상부가드레일(120)의 구동축 인근에는 큰 부하가 작용한다. 상부가드레일(120)의 구동축(580) 인접부분에 덧대어 결합된 상부보강바(510)는 상부가드레일(120)에 인가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상부가드레일(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보강바(510)가 상부가드레일(120)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보강바(510)는 ‘ㅏ’모양의 제1 보강바(810)와 ‘]’ 모양의 제2 보강바(820)가 상부가드레일(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부가드레일(1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부가드레일(120)에 인가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하부보강바(520)는 하부가드레일(130)의 일 말단의 외측면에 덧대어져 하부가드레일(130)의 바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보강바(520)는 하부가드레일의 굴곡져 들어간 부분에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드레일정렬바(540)는 강성이 큰 강체로 구성되며, 바(bar) 형상을 갖는다. 가드레일정렬바(540)는 일 말단이 하부보강바(520)의 일 말단에 수직하게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른 말단은 구동부프레임(150)과 상부가드레일(120)의 회전축홀(530)을 통과하는 볼트(570)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부가드레일(130)과 지지봉(110)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340)로 인해 상부가드레일(120)과 하부가드레일(130)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일 말단이 하부보강바(520)의 일 말단에 결합한 가드레일정렬바(540)의 다른 말단은 상부보강바(510)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상부보강바(510) 사이, 그리고 가드레일정렬바(540)와 구동부프레임(150) 사이의 공간에서 가드레일정렬바(540)의 다른 말단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상부보강바(510) 사이, 그리고 가드레일정렬바(540)와 구동부프레임(150) 사이에는 이동방지부재(5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방지부재(560)는 가드레일정렬바(540)의 말단이 움직이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제한없이 선택될 수 있다.
강체로 제작된 가드레일정렬바(540)가 하부가드레일(130)이 회전하면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기 때문에 하부가드레일(130)은 일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가드레일정렬바(540)가 하부가드레일(130)의 좌우측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하방향 회전 시(즉, 회차용 중앙분리대 폐쇄 시) 복수 개의 지지봉(110)의 하단부가 도로에 형성된 고정홀(31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가드레일푸시바(550)는 바 형상을 가지고 가드레일정렬바(540)의 후방에 고정되어 가드레일정렬바(540)가 가드레일푸시바(55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드레일푸시바(550)는 지지봉(11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설치된 두 개의 가드레일정렬바(540)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구동부프레임(150)의 너비에 걸쳐 고정될 수 있다.
가드레일푸시바(550)는 가드레일정렬바(540)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써, 가드레일정렬바(540)에 전방을 향해 밀어내는 힘을 인가한다. 가드레일푸시바(550)의 유무에 따라 회차용 중앙분리대(100)가 개방 후 다시 폐쇄될 때의 상부가드레일(120), 하부가드레일(130), 지지봉(110) 및 가드레일정렬바(540)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 시 하부가드레일(130)은 자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부가드레일(120)과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상부가드레일(120)과 함께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상부가드레일(120)이 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평상시 90도이다가 점점 더 작아지게 된다. 복수 개의 지지봉 또한, 지면에 대해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가지며 함께 회동한다.
회차용 중앙분리대(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부가드레일(120)이 회차용 중앙분리대(100)의 폐쇄를 위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부가드레일(130)이 자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가드레일정렬바(540) 또한 지면에 대해 90도의 각도를 회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봉(110) 또한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어 도로에 형성된 고정홀(310)에 삽입된다. 그러나, 하부가드레일(130)과 지지봉(110)을 연결하는 볼트 등에 녹이 발생한다거나, 하부가드레일(130) 사이에 상부가드레일(120)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 시에는, 상부가드레일(1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함에도 하부가드레일(130)이 적절하게 회동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로 회복되지 않는다. 가드레일푸시바(550)가 없는 경우의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6a를 참조하면, 하부가드레일(130)이 적절하게 회동하지 못함에 따라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로 회복되지 못하고, 지지봉(110) 또한 가드레일정렬바(540)와 마찬가지로 지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누워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지지봉(110)이 고정홀(310)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면 6b는 가드레일푸시바(550)가 있는 경우의 회차용 중앙분리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가드레일푸시바(550)는 가드레일정렬바(540)의 후방에 가드레일정렬바(540)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가드레일(1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드레일푸시바(550)에 접촉한 가드레일정렬바(540)를 밀어내어 가드레일정렬바(540)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부가드레일(130)의 회동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더라도 가드레일푸시바(550)에 의해 가드레일정렬바(54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게 되고, 지면에 대해 가드레일정렬바(54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봉(110) 또한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원활하게 도로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차용 중앙분리대에서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상부가드레일(120) 및 하부가드레일(130)은 복수 개의 가드레일편이 이어져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드레일편은 서로 가까이 배치된 말단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겹쳐진 부분이 복수 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받는 힘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회차용 중앙분리대
110: 지지봉
120: 상부가드레일
130: 하부가드레일
140: 리프트장치
150: 구동부프레임
310: 고정홀
320: 상부피벗홀
330: 하부피벗홀
340: 탄성부재
350, 360: 관통홀
370: 고정홀부재
410: 방지캡
510: 상부보강바
520: 하부보강바
540: 가드레일정렬바
550: 가드레일푸시바
560: 이동방지부재
570: 볼트
580: 구동축
810: 제1 보강바
820: 제2 보강바

Claims (9)

  1. 도로의 바닥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에 하단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지지봉;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가드레일;
    상기 상부가드레일을 회전시키는 리프트장치; 및
    상기 상부가드레일에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이 상방향으로 회전할 때 자중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상부가드레일과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가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은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상기 각 지지봉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고,
    상기 상부가드레일은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가드레일과 점차적으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드레일의 일 말단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홀의 내경보다 크기가 작은 외경을 갖는 회전축볼트가 상기 회전축홀을 통과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은 상기 회전축볼트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는 동력을 인가받아 상승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에 상승방향 힘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가드레일의 일 측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는,
    상기 회전축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상부가드레일의 일 측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이 상기 리프트장치로부터 받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상부보강바; 및
    상기 하부가드레일의 일 측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하부가드레일의 바깥으로 연장되는 하부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바는 ‘ㅏ’형상을 갖는 제1 보강바와 ‘]’형상을 갖는 제2 보강바가 상기 상부가드레일을 사이에 두고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가드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6. 제 4 항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가지고, 일 말단이 상기 하부보강바의 일 말단에 수직하게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말단이 상기 회전축볼트에 수직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가드레일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정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와 상기 회전축볼트의 결합부의 양 옆에 고정되어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의 다른 말단이 상기 회전축볼트 상에서 좌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8. 제 6 항에 있어서,
    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정렬바에 연결된 상기 하부가드레일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가드레일푸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봉의 하단부는 밑으로 내려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홀에 삽입 시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KR1020200154646A 2020-11-18 2020-11-18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KR10239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46A KR102391442B1 (ko) 2020-11-18 2020-11-18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46A KR102391442B1 (ko) 2020-11-18 2020-11-18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42B1 true KR102391442B1 (ko) 2022-04-27

Family

ID=8139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646A KR102391442B1 (ko) 2020-11-18 2020-11-18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670B1 (ko) 2023-06-15 2024-06-17 주식회사 이화 회차용 개폐식 가드레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117U (ja) * 1992-12-25 1994-08-05 トピー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ガードフェンス
KR20130078533A (ko) * 2011-12-30 2013-07-10 정웅선 도로의 회차용 중앙분리대 도어장치
KR101554660B1 (ko) * 2015-04-22 2015-09-21 주식회사 에이앤피코리아 광고판 겸용 휀스 차단기
KR101820338B1 (ko) * 2017-06-07 2018-02-28 주식회사 진안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117U (ja) * 1992-12-25 1994-08-05 トピー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ガードフェンス
KR20130078533A (ko) * 2011-12-30 2013-07-10 정웅선 도로의 회차용 중앙분리대 도어장치
KR101554660B1 (ko) * 2015-04-22 2015-09-21 주식회사 에이앤피코리아 광고판 겸용 휀스 차단기
KR101820338B1 (ko) * 2017-06-07 2018-02-28 주식회사 진안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670B1 (ko) 2023-06-15 2024-06-17 주식회사 이화 회차용 개폐식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327B2 (en) Cable guardrail release system
US7794173B2 (en) Deformable divider for a vehicle impact safety barrier, of the type that is used between a vertical support-or post-fixing element and a horizontal impact or railing element
US4574523A (en) Vehicle barricade or maximum security barrier
US10900182B2 (en) Vehicle safety catch fence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MX2011010257A (es) Ensamble de valla de seguridad, poste de soporte de separacion para una valla de seguridad y metodos para el ensamble y uso de los mismos.
US10837149B2 (en) Erectable barrier
KR102391442B1 (ko) 개방동작 가동범위가 향상된 상방향 개폐식 회차용 중앙분리대
WO2007071725A1 (en) Anti-vehicle barrier
EP1861548B1 (en) Impact resisting post
KR100791827B1 (ko)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
DE10318357A1 (de) Fahrzeugrückhaltesystem
ES2341548T3 (es) Sistema de seguridad de atenuacion de energia.
DE69727757T2 (de) Stahlschutzplankeneinrichtung
CZ17319U1 (cs) Retardér průběžný, mobilní, s vyšším zdvihem
DE2413095B2 (de) Leiteinrichtung für Personen- und Lastkraftwagen
KR102476885B1 (ko) 신속시공이 가능한 중앙분리대용 개별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KR102476879B1 (ko) 신속 시공이 가능한 싱글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AT524699A1 (de) Leitwandelement
JP7072821B2 (ja) 離間型スノーシェルター
DE19602567C2 (de) Leitplankenanordnung
CZ2006838A3 (cs) Mobilní otevírací retardér
CZ17346U1 (cs) Mobilní otevírací retardér
CA2583043C (en) Breakaway support post for highway guardrail end treatments
EP2032765B1 (en) Vehicle safety b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