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798A -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798A
KR20110056798A KR1020090113268A KR20090113268A KR20110056798A KR 20110056798 A KR20110056798 A KR 20110056798A KR 1020090113268 A KR1020090113268 A KR 1020090113268A KR 20090113268 A KR20090113268 A KR 20090113268A KR 20110056798 A KR20110056798 A KR 20110056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tire
protrusions
tread
inclined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958B1 (ko
Inventor
전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58B1/ko
Priority to CN2010102453722A priority patent/CN102069683A/zh
Publication of KR2011005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11/1218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gard to depth and exten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60C2011/1245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being arranged in crossing relation, e.g. sipe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프를 개량하여서 된 자동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커프는 일반적으로 1mm 정도의 세폭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실제 주행시에는 그 간격이 좁아져 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바, 본 발명은 커프의 양 내벽에 돌조로 된 세파레이터를 X자 형으로 만나게 교차 형성시켜 주행시 커프의 양 벽면이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타이어의 그립 성능이 저하됨을 방지하게 한 것임.
타이어, 블록, 커프, 돌조

Description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Vehicle tire improved kerf}
자동차용 타이어의 접지면에는 트랙션(Traction)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프(Kerf)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커프는 일반적으로 1mm 정도의 세폭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실제 주행시에는 세폭으로 이격된 양 측벽이 서로 만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설계 시 고려되었던 커프 측벽간 간격을 유지하기 힘들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주행 중에도 커프가 그 이격되는 폭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커프의 내벽에 돌조(突條 ;돌출기둥)로 되는 세파레터(Separator)를 설치하여서 되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바, 커프의 내벽에 돌출부를 형성시켜서 되는 종래의 타이어들에 관하여 조사를 한 결과,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을 알게 되었다.
공개번호 제10-2006-0131499호는 커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사각형이고, 일측면에 제 1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홈과 수직이면서 연통되게 제 2 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블레이드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커프블레이드 자체를 절곡시켜서 된 것으로 주행시 커프의 폭이 일정하게 하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이 기술은 양측 벽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트랙션 또는 제동 응력을 받게 되면 커프의 양 측벽이 서로 접하여질 염려가 크다.
공개번호 제10-2006-0102015는 커프의 일측벽에 돌출된 반구돌기를 형성시키고 타측벽엔 반구홈소켓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코너링시 커프가 밀릴 때 반구돌기가 반구소켓홈에 삽입되어 그립력(Grip force)이 향상되므로 커프에 횡방향으로 응력이 작용되어도 블록과 블록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움직이므로 블록의 강성이 약화되지 않게 하여서 되는 타이어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양 측벽이 양측 벽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트랙션 또는 제동 응력을 받게 되면 커프의 양 측벽이 서로 접하여질 염려가 크다.
US 2007-281747는 커프의 바닥부에 록킹부(Locking Region)를 형성시킴으로써 록킹부가 커프 상부 벽 사이의 이격을 유도한다. 그러나, 이는 타이어가 마모되어 록킹부가 표면으로 들어나게되면 커프가 없어지는 셈이 되어 오히려 커프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행 중, 타이어에 형성시킨 커프의 양 벽이 서로 달라 붙지 아니하게 하는 타이어를 제공하여 커프가 설계된 바 제 기능을 수행하게 하여야 하며, 특히 마모 후기에 있어서도 커프가 소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여야 한다는 과 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주행 중 블록의 운동이 심하여 커프로 분할되는 양 벽 사이가 뒤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프의 내벽에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향하여 길게 형성된 돌조를 설치하여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상기의 돌조를 마주보는 양벽에 각각 설치하되 마주 보는 양 벽의 돌조는 축방향 즉 수직 방향이 아닌 경사 방향으로 형성시켜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 벽에 설치된 돌조가 그 경사 방향을 달리하여 맞닿는 돌조가 X자 형으로 교차하도록 하여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의 각 돌조가 하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 정도가 적어지도록 돌조의 직경을 점점 감소시켜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타이어는, 타이어가 노면과 접할 때 커프의 양 벽면에 형성된 돌조끼리 서로 접촉하게 되어 커프 양 측벽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프의 양 벽면에 형성시킨 돌조가 서로 맞물려 결착됨으로 블록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 벽면 형성시킨 돌조는 커프의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져서 타이어가 마모됨에 따라 돌조의 크기가 점점 작아져 커프의 양벽 사이의 간격 확보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트레드와 트레드 양측의 사이드월 및 사이드월 양단의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부의 접지면에 블록(1)이 형성되고, 블록(1)에 커프(2)가 형성되고, 커프(2)의 벽면에 돌조가 형성된 자동차용 타이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커프(2)의 벽면에 형성된 돌조가, 커프(2)의 양 벽면(21, 22)에 커프(2)의 상단으로부터 축방향이 아닌, 즉, 수직 방향이 아닌, 하향 경사방향으로 각각 돌출 성형된 경사돌조(3,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마주보는 양 벽면(21, 22)에 설치된 위의 경사돌조(3, 4)가 서로 경사 방향을 달리하여 경사돌조(3)와 경사돌조(4)가 X자 형으로 만나 교차하게 형성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의 각 경사돌조(3, 4)가 하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 정도가 적어지도록 경사돌조(3, 4)의 직경을 점점 감소시켜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타이어의 요부 발췌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블록
2. 커프
21, 22. 벽면
3, 4. 경사돌조

Claims (3)

  1. 트레드와 트레드 양측의 사이드월 및 사이드월 양단의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부의 접지면에 블록(1)이 형성되고, 블록(1)에 커프(2)가 형성되고, 커프(2)의 벽면에 돌조가 형성된 자동차용 타이어에 있어서, 커프(2)의 벽면에 형성된 돌조가, 커프(2)의 양 벽면(21, 22)에 커프(2)의 상단으로부터 축방향이 아닌, 즉, 수직 방향이 아닌, 하향 경사방향으로 각각 돌출 성형된 경사돌조(3,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양 벽면(21, 22)에 설치된 경사돌조(3, 4)는 서로 경사 방향을 달리하여 경사돌조(3)와 경사돌조(4)가 X자 형으로 만나 교차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경사돌조(3, 4)는 하단으로 갈수록 그 돌출 정도가 적어지도록 경사돌조(3, 4)의 직경이 점점 감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KR1020090113268A 2009-11-23 2009-11-23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KR10108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68A KR101082958B1 (ko) 2009-11-23 2009-11-23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CN2010102453722A CN102069683A (zh) 2009-11-23 2010-07-30 切缝改进的汽车用轮胎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68A KR101082958B1 (ko) 2009-11-23 2009-11-23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98A true KR20110056798A (ko) 2011-05-31
KR101082958B1 KR101082958B1 (ko) 2011-11-11

Family

ID=4402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68A KR101082958B1 (ko) 2009-11-23 2009-11-23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2958B1 (ko)
CN (1) CN1020696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2898A2 (zh) * 2012-02-10 201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重传控制方法、通信系统及设备
KR101513362B1 (ko) * 2013-10-23 2015-04-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
DE102016224803A1 (de) * 2016-12-13 2018-06-2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63B1 (ko) * 2002-07-09 2005-06-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커프를 개량한 타이어와 커프성형 블레이드
JP4437421B2 (ja) * 2004-04-21 2010-03-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723939B2 (ja) * 2005-07-22 2011-07-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008290521A (ja) * 2007-05-23 2008-12-04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5045390B2 (ja) * 2007-11-21 2012-10-1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958B1 (ko) 2011-11-11
CN102069683A (zh)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600B2 (en) Pneumatic tire for vehicle
JP4899650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2987656B1 (en) Sipe of a tread of a snow tire
WO2012098895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08870B1 (ko) 공기 타이어
KR101082958B1 (ko)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KR101631758B1 (ko) 커프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1410822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2019420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0444974Y1 (ko) 스톤이젝터 보강용 돌출부를 가진 공기입 타이어
WO2013018890A1 (ja) タイヤ
CN108290461B (zh) 车辆充气轮胎
KR100792977B1 (ko)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US11376892B2 (en) Pneumatic vehicle tyre
KR100771683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1580888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190163B1 (ko) 종그루브를 개량하여서 된 스노우 타이어
KR101048778B1 (ko) 눈길 주행 성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타이어
KR102374958B1 (ko)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CN112867613B (zh) 车辆充气轮胎
KR101101238B1 (ko) 트레드부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KR20140052702A (ko) 차량용 타이어
KR101209600B1 (ko) 자동차용 타이어
KR20100002615A (ko) 러그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70057515A (ko) 자동차용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