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958B1 -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 Google Patents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958B1
KR102374958B1 KR1020200117500A KR20200117500A KR102374958B1 KR 102374958 B1 KR102374958 B1 KR 102374958B1 KR 1020200117500 A KR1020200117500 A KR 1020200117500A KR 20200117500 A KR20200117500 A KR 20200117500A KR 102374958 B1 KR102374958 B1 KR 10237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emi
depth
pattern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5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dep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트레드 상에 원주방향의 종 그루브와 폭방향의 횡 그루브에 의하여 구획되는 센터 블럭과 숄더 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들에 사이프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종?횡 그루브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상기 숄더 블럭에 세미 그루브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트레드에서 숄더 위치의 블록에 종횡그루브보다 깊이가 낮은 세미 그루브를 더 형성함으로써, 접지압력이 편중되는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여 젖은 노면, 마른 노면 또는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 주행 시 타이어의 그립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Snow tire having semi-groove}
본 발명은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트레드에서 숄더 위치의 블록에 종횡그루브보다 깊이가 낮은 세미 그루브를 더 형성함으로써, 접지압력이 편중되는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여 젖은 노면, 마른 노면 또는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 주행 시 타이어의 그립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우 타이어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특허 제10-0784276호의 “스터드레스 스노우타이어”, 공개특허 제10-2018-0001438호의 "타이어", 공개특허 제10-2004-0035373호의 "스노우 전용 패턴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레스 스노우타이어”는, 사이프들이 형성되지 않은 트레드 폭방향 양쪽 끝단 블록에 원주방향으로 반복되는 파형 형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있을 뿐이고, 사이트들을 가로질러 형성되지 않으며, 그루브의 깊이를 알 수 없어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 주행 시 접지압력이 편중되는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젖거나 마른 노면에서 선회시 발생하는 블록간 유동으로 그립력 유지가 저감되면 핸들링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 타이어"는, 숄더 사이프들이 형성된 양측 숄더 블럭에 각각 미들 가로홈과 숄더 가는홈을 형성하여 설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미들 가로홈과 숄더 가는홈에 대한 그루브의 깊이를 알 수 없고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 주행 시 접지압력이 편중되는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제한하기 어려운 점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루브를 구성하는 미들 가로홈과 숄더 가는홈뿐이 고 변형예가 제한됨에 따라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기 부족하며, 젖거나 마른 노면에서 그립력 유지가 저감됨에 따라 핸들링 성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노우 전용 패턴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는, 횡방향 사이프와 원주 방향의 종방향 사이프를 조합하여 코너링 성능이 향상되도록 새로운 스노우 전용 패턴을 구비한 것이지만,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시 접지압이 쏠리는 숄더 부위에 구분되어 형성된 횡방향 사이프와 종방향 사이프가 형성된 블록의 유동성이 높아 그립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제10-0784276호 "스터드레스 스노우 타이어" (공고 2007.12.12.)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 제10-2018-0001438호 "타이어" (공개 2018.01.04.) [특허문헌 0003] 공개특허 제10-2004-0035373호 "스노우 전용 패턴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공개 2004.04.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드에서 숄더 위치의 블록에 종?횡그루브보다 깊이가 낮은 세미 그루브를 더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지압력이 편중되는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여 젖은 노면, 마른 노면 또는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 주행 시 타이어 그립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여 선회 접지 그립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선회 시 핸들링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 숄더 위치의 블록에 더 형성시킨 세미 그루브의 바닥면에 경사도를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유동 억제를 보조하고 배수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선회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레드 상에 원주방향의 종 그루브와 폭방향의 횡 그루브에 의하여 구획되는 센터 블럭과 숄더 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들에 사이프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종?횡 그루브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상기 숄더 블럭에 세미 그루브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미 그루브는, 일정 길이마다 패턴 진행 방향을 바꿔가며 숄더 블록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횡 그루브측에 양쪽 끝단이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시·종 단부와, 상기 시·종 단부사이에 일정 경사도로 바닥이 형성되는 바닥 형성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미 그루브는, 시작과 끝 위치에 시·종 단부를 형성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한 패턴이 형성되는 원주방향 패턴과, 상기 원주방향 패턴 사이에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결되는 패턴이 형성되는 폭방향 패턴과, 상기 폭방향 패턴들을 연결하도록 폭방향 패턴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한 패턴이 형성되는 연결패턴과, 상기 원주방향 패턴 및 폭방향 패턴과 연결패턴이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방향 패턴과 연결패턴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구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교대로 패턴 방향을 바꿔가면서 n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종 단부는, 배수성 및 블록의 유동성을 제한할 수 있도록 깊이 차이가 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 형성 면은, 원주방향 바닥면, 폭방향 바닥면, 연결 바닥면이 시·종 단부사이에서 일정 깊이와 각도로 경사져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 형성면은, 깊이가 낮게 형성된 연결 바닥면에서 양방향으로 점차 깊게 형성된 폭방향 바닥면과 상기 폭방향 바닥면에서 점차 깊게 형성되면서 시·종 단부를 끝단에 갖는 원주방향 바닥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 형성면은, 센터를 가장 낮은 깊이로 형성하고 양측으로 깊어지면서 경사져 형성된 폭방향 바닥면에 연결 바닥면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 형성면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폭방향 바닥면에서 시·종 단부 방향으로 깊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원주방향 바닥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 형성면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시·종 단부에서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원주방향 바닥면과, 상기 원주방향 바닥면에서 점차 깊이가 깊어지면서 경사지는 폭방향 바닥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타이어에 의하면, 트레드에서 숄더 위치의 블록에 종?횡그루브보다 깊이가 낮은 세미 그루브를 더 형성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압력이 편중되는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여 젖은 노면, 마른 노면 또는 겨울철 노면에서 선회 주행 시 타이어 그립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어 숄더 부위의 블록간 유동을 억제하여 선회 접지 그립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선회 시 핸들링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어 숄더 위치의 블록에 더 형성시킨 세미 그루브의 바닥면에 경사도를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유동 억제를 보조하고 배수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선회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미 그루브의 바닥면을 설계에 따라 높낮이를 여러 형태로 형성하여 보강함으로써, 타이어의 선회 시 블록에 대한 유동이 억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미 그루브의 바닥 형성 면에 일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타이어의 선회 시 배수성과 핸들링 성능이 동시에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타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세미 그루브를 형성하는 그루브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세미 그루브에 형성된 바닥 형성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3에 나타낸 바닥 형성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2)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8) 상에 원주방향의 종 그루브(4)와 폭방향의 횡 그루브(6)에 의하여 구획되는 센터 블럭(12)과 숄더 블럭(14)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들에 사이프(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종?횡 그루브(4)(6)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상기 숄더 블럭(14)에 세미 그루브(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선회시 숄더 블럭(14)에 집중된 접지력이 안정되도록 숄더 블럭(14)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마다 패턴 진행 방향을 바꿔가며 숄더 블록(14)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횡 그루브(6)측에 양쪽 끝단이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시·종 단부(36a)(36b)와, 상기 시·종 단부(36a)(36b)사이에 일정 경사도로 바닥이 형성되는 바닥 형성 면(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과 끝 위치에 시·종 단부(36a)(36b)를 형성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한 패턴이 형성되는 원주방향 패턴(42)과, 상기 원주방향 패턴(42) 사이에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결되는 패턴이 형성되는 폭방향 패턴(44)과, 상기 폭방향 패턴(44)들을 연결하도록 폭방향 패턴(44)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한 패턴이 형성되는 연결패턴(46)과, 상기 원주방향 패턴(42) 및 폭방향 패턴(44)과 연결패턴(46)이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폭방향 패턴(44)과 연결패턴(4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타이어의 구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교대로 패턴 방향을 바꿔가면서 n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종 단부(36a)(36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성 및 숄더 블록(14)의 유동성을 제한할 수 있도록 깊이 차이가 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시·종 단부(36a)(36b)의 깊이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차이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숄더 블록(14)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세미 그루브(30)의 설계 시 깊이 차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세미 그루브(30)에 형성된 바닥 형성 면(50)의 깊이 차이는, 숄더 블록(14)의 유동성을 제한하고 배수 향상과 눈길 구름 주행성 증대 및 세미 그루브(30)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양측 끝에 형성되는 시·종 단부(36a)(36b)의 깊이에 차이를 둠으로써, 숄더 블록(14)의 부위마다 다른 내구성(보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미 그루브(30)에 형성된 바닥 형성 면(5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 바닥면(50a), 폭방향 바닥면(50b), 연결 바닥면(50c)이 시·종 단부(36a)(36b)사에서 일정 깊이와 각도로 경사져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가 낮게 형성된 연결 바닥면(50c)에서 양방향으로 점차 깊게 형성된 폭방향 바닥면(50b)과, 상기 폭방향 바닥면(50b)에서 점차 깊게 형성되면서 시·종 단부(36a)(36b)를 끝단에 갖는 원주방향 바닥면(50a)을 형성하여 이루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를 가장 낮은 깊이로 형성하고 양측으로 깊어지면서 경사져 형성된 폭방향 바닥면(50b)에 연결 바닥면(c)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폭방향 바닥면(50b)에서 시·종 단부(36a)(36b) 방향으로 깊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원주방향 바닥면(50a)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도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시·종 단부(36a)(36b)에서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원주방향 바닥면(50a)과, 상기 원주방향 바닥면(50a)에서 점차 깊이가 깊어지면서 경사지는 폭방향 바닥면(50b)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에서 세미 그루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선회하는 경우에 바깥 방향으로 원심력(Centrifugal force)이 발생하게 되고, 원심력에 대항하는 횡력(F: Lateral Force)도 발생하게 된다.
이때 노면과 맞닿는 스노우 타이어(2)의 트레드(8)에는 접지면 중심 대비 사이드 포스가 작용한다. 그리고 타이어(2)에는 오버터닝 모멘트가 작용한 상태임에 따라 세미 그루브(30)에 의하여 숄더 블록(14)의 유동을 제한하여 겨울철 노면에 대한 숄더 블록(14)의 선회 시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세미 그루브(30)에 의하여 숄더 블록(14)의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 또는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바닥 형성 면(50)은, 스노우 타이어(2)가 구를 때 배수 또는 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세미 그루브(30) 바닥에 단면적 차이를 둠으로써, 유동이 억제된 숄더 블록(14)이 노면에 대하여 그립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는 안정된 상태에서 선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스노우 타이어 4: 종 그루브
6: 횡 그루브 8: 트레드
10: 사이프 12: 센터 블럭
14: 숄더 블럭 30: 세미 그루브
36a, 36b: 시·종 단부 42: 원주방향 패턴
44: 폭방향 패턴 46: 연결패턴
50: 바닥 형성 면 50a: 원주방향 바닥면
50b: 폭방향 바닥면 50c: 연결 바닥면

Claims (10)

  1. 트레드(8) 상에 원주방향의 종 그루브(4)와 폭방향의 횡 그루브(6)에 의하여 구획되는 센터 블럭(12)과 숄더 블럭(14)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들에 사이프(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노우 타이어(2)에 있어서,
    상기 종횡 그루브(4)(6)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상기 숄더 블럭(14)에 세미 그루브(3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일정 길이마다 패턴 진행 방향을 바꿔가며 숄더 블록(14)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횡 그루브(6)측에 양쪽 끝단이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시·종 단부(36a)(36b)와,
    상기 시·종 단부(36a)(36b)사이에 일정 경사도로 바닥이 형성되는 바닥 형성면(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미 그루브(30)는,
    시작과 끝 위치에 시·종 단부(36a)(36b)를 형성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한 패턴이 형성되는 원주방향 패턴(42)과,
    상기 원주방향 패턴(42) 사이에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결되는 패턴이 형성되는 폭방향 패턴(44)과,
    상기 폭방향 패턴(44)들을 연결하도록 폭방향 패턴(44)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한 패턴이 형성되는 연결패턴(46)과,
    상기 원주방향 패턴(42) 및 폭방향 패턴(44)과 연결패턴(46)이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패턴(44)과 연결패턴(46)은,
    일정 곡률 또는 일정 각도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구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교대로 패턴 방향을 바꿔가면서 n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종 단부(36a)(36b)는,
    배수성 및 블록의 유동성을 제한할 수 있도록 깊이 차이가 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원주방향 바닥면(50a), 폭방향 바닥면(50b), 연결 바닥면(50c)이 시·종 단부(36a)(36b)사이에서 일정 깊이와 각도로 경사져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깊이가 낮게 형성된 연결 바닥면(50c)에서 양방향으로 점차 깊게 형성된 폭방향 바닥면(50b)과 상기 폭방향 바닥면(50b)에서 점차 깊게 형성되면서 시·종 단부(36a)(36b)를 끝단에 갖는 원주방향 바닥면(50a)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센터를 가장 낮은 깊이로 형성하고 양측으로 깊어지면서 경사져 형성된 폭방향 바닥면(50b)에 연결 바닥면(50c)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폭방향 바닥면(50b)에서 시종 단부(36a)(36b) 방향으로 깊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원주방향 바닥면(50a)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형성면(50)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시종 단부(36a)(36b)에서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원주방향 바닥면(50a)과, 상기 원주방향 바닥면(50a)에서 점차 깊이가 깊어지면서 경사지는 폭방향 바닥면(50b)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KR1020200117500A 2020-09-14 2020-09-14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KR10237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00A KR102374958B1 (ko) 2020-09-14 2020-09-14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00A KR102374958B1 (ko) 2020-09-14 2020-09-14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958B1 true KR102374958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00A KR102374958B1 (ko) 2020-09-14 2020-09-14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73A (ko) 2002-10-22 2004-04-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전용 패턴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KR100784276B1 (ko) 2003-07-09 2007-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터드레스 스노우 타이어
KR20180001438A (ko) 2016-06-27 2018-01-0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JP2019123448A (ja) * 2018-01-18 2019-07-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73A (ko) 2002-10-22 2004-04-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전용 패턴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KR100784276B1 (ko) 2003-07-09 2007-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터드레스 스노우 타이어
KR20180001438A (ko) 2016-06-27 2018-01-0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JP2019123448A (ja) * 2018-01-18 2019-07-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17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880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592038B1 (ko) 중하중용 타이어
JP6010704B2 (ja) 空気入りタイヤ
RU2663262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US9757991B2 (en) Pneumatic tire
RU2601092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448811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4853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13984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40105465A (ko) 눈길 성능 피크들
JP3851544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装着方法
JP2014080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576791B2 (en) Tire
EP3025878B1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KR100869025B1 (ko) 가변형 사이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JP200022581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4100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9543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631758B1 (ko) 커프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CN110091676A (zh) 轮胎
JP52824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74958B1 (ko) 세미 그루브가 형성된 스노우 타이어
JP2006232012A (ja) 空気入りタイヤ
EP3670209A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