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683B1 -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 Google Patents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683B1
KR100771683B1 KR1020060028585A KR20060028585A KR100771683B1 KR 100771683 B1 KR100771683 B1 KR 100771683B1 KR 1020060028585 A KR1020060028585 A KR 1020060028585A KR 20060028585 A KR20060028585 A KR 20060028585A KR 100771683 B1 KR100771683 B1 KR 100771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groove
main longitudinal
tire
widt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828A (ko
Inventor
박영갑
박성완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6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59Depth of th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72Width of th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직선으로 형성된 두개의 메인 종그루브와 상기 메인 종그루브에 의해 구획된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럭과 숄더블럭의 중간을 구획하는 서브 종그루브와 횡 방향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 및 제1사이프를 형성하며, 상기 센터블럭과 솔더블럭의 종방향 측면에 제2사이프를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승차감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으로 노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루브에 돌이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타이어 패턴, 종그루브, 횡그루브, 사이프

Description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패턴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C-C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타이어 20 : 메인 종그루브
30 : 서브 종그루브 40 : 센터블럭
50 : 숄더블럭 60 : 횡그루브
70 : 제1사이프 80 : 제2사이프
90 : 수막방지홈 100 : 프로텍터바
TAW : 타이어 접지폭
GP1 : 타이어 중심선에서 메인 종그루브 폭 중심까지의 거리
GP2 : 타이어 중심선에서 서브 종그루브 폭 중심까지의 거리
GW1 : 메인 종그루브의 폭 GW2 : 서브 종그루브의 폭
ASD : 메인 종그루브의 깊이 ASD1 : 프로텍터바의 높이
ASD2 : 서브 종그루브의 깊이 ASD3 : 횡그루브의 깊이
PW1 : 프로텍터바의 폭 R : 횡그루브의 바닥 단면 반지름
R1 : 서브 종그루브의 바닥 단면 반지름
GR1 : 메인 종그루브의 측면 반지름
본 발명은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으로 형성된 두개의 메인 종그루브와 상기 메인 종그루브에 의해 구획된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럭과 숄더블럭의 중간을 구획하는 서브 종그루브와 횡방향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 및 제1사이프를 형성하며, 상기 센터블럭과 솔더블럭의 종방향 측면에 제2사이프를 다수 개 형성하여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승차감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으로 노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루브에 돌이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써 삶의 질이 향상됨 에 따라 그 기능 및 성능의 최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타이어는 자동차와 노면이 닿는 부분으로써 운전자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좌우하게 됨에 따라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상기 타이어가 노면과 닿는 트레드의 패턴은 그 형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타이어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하고, 자동차의 승차감 및 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3-6리브 패턴을 사용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타이어의 주행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메인 종그루브와 세 개의 서브 종그루브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패턴의 메인 종그루브와 서브 종그루브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면 고속주행 중 타이어의 트랙션(TRACTION)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상기 지그재그형상의 3-6리브 패턴은 고속주행 중 트랙션은 향상되나 물기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타이어 숄더부의 이상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숄더부에 이상마모가 발생되면 차량의 승차감이 감소하게 되고, 제동력이 저하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직선으로 형성된 두개의 메인 종그루브와 상기 메인 종그루브에 의해 구획된 센터블 럭 및 숄더블럭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럭과 숄더블럭의 중간을 구획하는 서브 종그루브와 횡방향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 및 제1사이프를 형성하며, 상기 센터블럭과 솔더블럭의 종방향 측면에 제2사이프를 다수 개 형성하여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승차감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으로 노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루브에 돌이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 트래드 폭방향 중심선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직선으로 형성된 한 쌍의 메인 종그루브, 상기 한 쌍의 메인 종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센터블럭,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숄더블럭,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 각각의 중간부에 종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바닥이 라운드된 직선의 서브 종그루브,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에 횡 방향 대각선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바닥이 라운드된 횡그루브, 상기 횡그루브 사이에 상기 횡그루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사이프, 및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이 상기 메인 종그루브와 서브 종그루브와 접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제2사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어의 중심선에서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폭(GP1)은 상기 타이어의 접지폭(TAW)의 0.12~0.22배로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중심선에서 상기 서브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폭(GP2)은 상기 타이어 접지폭(TAW)의 0.3~0.4배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은 상기 횡그루브와 상기 제1사이프가 형성된 측부에 수막방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상단폭(GW1)은 타이어 접지폭(TAW)의 0.055~ 0.075 배이고, 깊이(ASD)는 메인 종그루브의 상단폭(GW1)의 0.8~2배이며, 측면은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종그루브 측면의 반지름(GR1)은 상기 횡그루브의 바닥 반지름(R)의 50~150 배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 종그루브의 폭(GW2)은 타이어 접지폭(TAW)의 0.005~0.015 배이고, 깊이(ASD2)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 깊이(ASD)의 0.4~0.9배이다.
또한, 상기 횡그루브의 깊이(ASD3)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 깊이(ASD)의 0.07~ 0.17배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바닥에 상단과 하단이 일정각도로 경사진 프로텍터바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바의 폭(PW1)은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상단 폭(GW1)의 0.15~0.28배이고, 높이(ASD1)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깊이(ASD)의 0.07~0.17배이다.
그리고 상기 제1사이프와 제2사이프의 폭은 0.5~1mm이고, 깊이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 깊이(ASD)의 0.1~0.8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승차감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으로 노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루브에 돌이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패턴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C-C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10)의 패턴은 기본 3-6리브 패턴으로 하나의 센터블럭(40)과 두 개의 숄더블럭(50)으로 구획하는 두 개의 메인 종그루브(20)가 타이어(10)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의 종 방향 중심으로 분리하는 서브 종그루브(30)가 타이어(10)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직선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의 횡 방향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60)가 다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이어(10)의 중심선에서 메인 종그루브(20)의 폭(GW1) 중심선까지의 거리(GP1)는 타이어(10) 접지폭(TAW)의 0.12~0.22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이어(10)의 중심선에서 서브 종그루브(30)의 폭(GW2) 중심선까지의 거리(GP2)는 타이어(10) 접지폭(TAW)의 0.3~0.4배로 이루어진다.
즉, 0.12 TAW ≤ GP1 ≤ 0.22 TAW
0.3 TAW ≤ GP2 ≤ 0.4 TAW 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 종그루브(30)와 상기 횡그루브(60)의 바닥 단면은 반원형상으로 라운드 되어 이물질이나 물기가 끼는 것을 최소화하고,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메인 종그루브(20)는 바닥면의 폭이 상단의 폭(GW1) 보다 좁게 형성된 것으로, 상단폭(GW1)은 타이어(10) 접지폭(TAW)의 0.055 ~ 0.075배로 이루어지며, 깊이(ASD)는 상기 상단폭(GW1)의 0.8 ~ 2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은 물기 및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일정 경사지게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 종그루브(20)의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반지름(GR1)은 상기 횡그루브(6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반원의 반지름(R)의 50~150배로 이루어진다.
즉, 0.055 TAW ≤ GW1 ≤ 0.075 TAW
0.8 GW1 ≤ ASD ≤ 2 GW1
R 50 ≤ GR1 ≤ R 150 이다.
여기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R1은 상기 서브 종그루브(30)의 바닥 단면 반지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메인 종그루브(20)의 바닥 모서리에 형성된 반지름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종그루브(20)의 바닥에는 프로텍터바(100)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종그루브(20)의 바닥에 돌과 같은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텍터바(100)의 폭(PW1)은 상기 메인 종그루브(20) 상단폭(GW1)의 0.15 ~ 0.28배로 이루어지며, 돌출 높이(ASD1)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20) 깊이(ASD)의 0.07 ~ 0.17배로 이루어진다.
즉, 0.15 GW1 ≤ PW1 ≤ 0.28 GW1
0.07 ASD ≤ ASD1 ≤ 0.17 ASD 이다.
상기 서브 종그루브(30)는 깊이방향으로 일정폭(GW2)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폭(GW2)은 타이어(10) 접지폭(TAW)의 0.005~0.015배로 이루어지고, 깊이(ASD2)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20) 깊이()의 0.4~0.9배로 이루어진다.
즉, 0.005 TAW ≤ GW2 ≤ 0.015 TAW
0.4 ASD ≤ ASD2 ≤ 0.9 ASD 이다.
그리고 횡그루브(60)는 상기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을 횡방향 대각선으로 구회하는 것으로, 그 깊이(ASD3)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20) 깊이(ASD)의 0.07 ~ 0.17배로 이루어진다.
즉, 0.07 ASD ≤ ASD3 ≤ 0.17 ASD 이다.
상기 다수 개 형성된 횡그루브(60)의 사이에 제1사이프(70)가 상기 횡그루브(6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종그루브(20)와 서브 종그루브(30)가 형성된 상기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의 측부에 제2사이프(80)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1사이프(70)는 주행 시, 타이어(10)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이 노면에 눌러지면서 그 틈이 벌어짐으로 물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고, 상기 제2사이프(80)는 상기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사이프(70)와 제2사이프(80)의 폭은 0.5~1mm로 형성되고, 깊이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20) 깊이(ASD)의 0.1~0.8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횡그루브(60)와 상기 제1사이프(70)가 형성된 상기 센터블럭(40)과 숄더블럭(50)의 측부에 사다리꼴 형상의 수막방지홈(90)이 형성되는 것으로 물기가 있는 노면이나 빗길 주행 시, 상기 메인 종그루브(20)와 서브 종그루브(30)에 있던 물기가 상기 횡그루브(60)와 제1사이프(70)로 안내되도록 하여 노면과 타이어(10)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의하면, 센터블럭 및 숄더블럭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승차감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으로 노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메인 종그루브에 돌이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10)

  1. 타이어 트래드 폭방향 중심선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직선으로 형성된 한 쌍의 메인 종그루브;
    상기 한 쌍의 메인 종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센터블럭;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숄더블럭;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 각각의 중간부에 종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바닥이 라운드된 직선의 서브 종그루브;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에 횡 방향 대각선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바닥이 라운드된 횡그루브;
    상기 횡그루브 사이에 상기 횡그루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사이프; 및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이 상기 메인 종그루브와 서브 종그루브와 접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제2사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선에서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폭(GP1)은 상기 타이어의 접지폭(TAW)의 0.12~0.22배로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중심선에서 상 기 서브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폭(GP2)은 상기 타이어 접지폭(TAW)의 0.3~0.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블럭과 상기 숄더블럭은
    상기 횡그루브와 상기 제1사이프가 형성된 측부에 수막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상단폭(GW1)은 타이어 접지폭(TAW)의 0.055~0.075 배이고, 깊이(ASD)는 메인 종그루브의 상단폭(GW1)의 0.8~2배이며, 측면은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종그루브 측면의 반지름(GR1)은 상기 횡그루브의 바닥 반지름(R)의 50 ~ 15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종그루브의 폭(GW2)은 타이어 접지폭(TAW)의 0.005~0.015 배이고, 깊이(ASD2)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 깊이(ASD)의 0.4~0.9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그루브의 깊이(ASD3)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 깊이(ASD)의 0.07~0.17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바닥에 상단과 하단이 경사진 프로텍터바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바의 폭(PW1)은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상단 폭(GW1)의 0.15~ 0.28배이고, 높이(ASD1)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깊이(ASD)의 0.07~0.1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프와 제2사이프의 폭은 0.5~1mm이고, 깊이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 깊이(ASD)의 0.1~0.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20060028585A 2006-03-29 2006-03-29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77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585A KR100771683B1 (ko) 2006-03-29 2006-03-29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585A KR100771683B1 (ko) 2006-03-29 2006-03-29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828A KR20070097828A (ko) 2007-10-05
KR100771683B1 true KR100771683B1 (ko) 2007-10-31

Family

ID=3880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585A KR100771683B1 (ko) 2006-03-29 2006-03-29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3B1 (ko) 2008-07-09 2010-10-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76868A1 (en) * 2017-10-30 2020-09-03 Victor Abarotin Heavy truck tire tread and heavy truck tire
JP2022057195A (ja) * 2020-09-30 2022-04-1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013A (ja) 1999-08-20 2001-02-27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2087021A (ja) 2000-09-14 2002-03-2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20040035017A (ko) * 2002-10-18 2004-04-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KR100459790B1 (ko) 2001-09-19 2004-12-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5리브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50114025A (ko) * 2004-05-31 2005-12-0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013A (ja) 1999-08-20 2001-02-27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2087021A (ja) 2000-09-14 2002-03-2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0459790B1 (ko) 2001-09-19 2004-12-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5리브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40035017A (ko) * 2002-10-18 2004-04-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KR20050114025A (ko) * 2004-05-31 2005-12-0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3B1 (ko) 2008-07-09 2010-10-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828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038B1 (ko) 중하중용 타이어
US10814676B2 (en) Tread for heavy truck winter tire
KR100771683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EP2735453B1 (en) Pneumatic tire
WO2013018890A1 (ja) タイヤ
CN216993778U (zh) 一种排水和耐磨性好的轮胎
EP2265450B1 (en) Heavy- load vehicle tire
JP200022950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749399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이디얼 타이어
CN108290461B (zh) 车辆充气轮胎
EP4067116B1 (en) Tire
KR100593008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200445685Y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US11376892B2 (en) Pneumatic vehicle tyre
KR100906564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20100037863A (ko) 미니 그루브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KR101010750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70053960A (ko) 사계절용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KR100622981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838443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KR10063559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593004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785499B1 (ko)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719060B1 (ko) 차량용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구조
KR100616357B1 (ko) 소형트럭용 공기압 타이어의 트레드 블럭 패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