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553A - 구두의 안창 및 신발 - Google Patents

구두의 안창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553A
KR20110055553A KR1020117003616A KR20117003616A KR20110055553A KR 20110055553 A KR20110055553 A KR 20110055553A KR 1020117003616 A KR1020117003616 A KR 1020117003616A KR 20117003616 A KR20117003616 A KR 20117003616A KR 20110055553 A KR20110055553 A KR 2011005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hoe
bottom plate
heel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215B1 (ko
Inventor
오사무 시바타
마사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Publication of KR2011005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구두의 안창(10)은 바닥판(11), 바닥판(11)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2-1~12-16), 바닥판(11)의 외주에 접합된 커버(13), 바닥판(11)과 커버(13) 사이에 봉입된 유체(14)를 가지고, 바닥판(11)의 블레이드 기립면에는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오목부(15)가 형성되고, 해당 제1 오목부(15) 내에 복수의 블레이드(12-1~12-16)가 수용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블레이드(12-1~12-16)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하고, 해당 복수의 블레이드(12-1~12-16)의 일부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였다.

Description

구두의 안창 및 신발{Shoe inner sole and footwear}
본 발명은 안정감이 있는 쾌적한 보행감을 가져오면서 보행시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또는 선 위치에서의 발·무릎 등에 대한 부담을 경감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마사지할 수 있는 구두의 안창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행 동작에 있어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할 때에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체중의 약 1.25배, 또한 조깅에서는 약 3배나 된다고 한다. 이 충격은 발뒤꿈치, 복사뼈, 무릎, 나아가 허리로 전달된다.
종래, 구두의 안창으로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할 때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체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탄성체는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할 때 등에 지면과 접하는 부분의 충격을 흡수해 준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보행시에 발바닥이 지면에 착지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마사지하는 효과가 있는 기술을 제안하여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바닥판과 커버 사이에 주입된 유체에 의해 발바닥이 지면에 착지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할 수 있고, 무릎, 허리 등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를 발뒤꿈치 쪽으로 향하여 똑같이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유체의 원활한 이동에 의해 발바닥에의 충격을 분산 흡수하는 효과와 블레이드에 의한 마사지 효과도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사람이 보행할 때 먼저 발뒤꿈치로 지면에 착지하고, 다음에 이 발뒤꿈치부터 발가락의 밑까지를 서서히 지면에 착지시키며, 마지막으로 발가락으로 지면을 차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이 일련의 동작을 1사이클로 하고, 이 1사이클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이제까지 보행시의 1사이클 중에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했을 때가 가장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후술하는 도 6의 시뮬레이션에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했을 때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발가락으로 지면을 차올릴 때의 충격이 큰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를 똑같이 발뒤꿈치 쪽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발가락으로 지면을 차올릴 때의 유체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기울어지게 하고 있으므로 발끝 쪽의 유체가 발뒤꿈치 쪽으로 고속도로 이동하여 발뒤꿈치 쪽에 대한 충격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특허 제1959712호 공보(특공평6-91849호 공보)
본 발명은 보행 중에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보행 중의 무릎 등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고 블레이드에 의한 발바닥에 대한 마사지를 얻는 구두의 안창 및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두의 안창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바닥판의 외주에 접합된 커버; 상기 바닥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봉입된 유체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블레이드 기립면에는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며, 해당 제1 오목부 내에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수용된 구두의 안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하고, 해당 복수의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신발대에 배치되고,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바닥판의 외주에 접합된 커버, 상기 바닥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봉입된 유체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의 상기 블레이드 기립면에는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해당 제1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하며, 해당 복수의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여 이루어진 신발의 안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에 설치한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보행시의 유체의 콘트롤과 발바닥의 마사지를 행할 수 있는 구두의 안창 및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구두의 안창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바닥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바닥판 및 커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바닥판 및 커버를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버를 도 3의 V방향에서 본 화살표시도이다.
도 6은, 블레이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발끝으로 향하여 기울어지게 하여 보행 시뮬레이션을 행했을 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서의 바닥판 및 커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에서의 바닥판 및 커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실시형태 4에서의 발뒤꿈치가 있는 신사화에 신는 구멍으로부터 구두의 안창과 깔창을 삽입할 때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9b는, 신사화의 신발대와 구두의 안창 및 깔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발뒤꿈치가 있는 부인화에 신는 구멍으로부터 구두의 안창과 깔창을 삽입할 때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b는, 부인화의 신발대와 구두의 안창 및 깔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는, 실시형태 5에서의 발뒤꿈치가 없는 신사화의 신발대에 구두의 안창을 일체적으로 고정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b는, 신발대와 구두의 안창 및 깔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c는, 구두의 안창을 깔창으로 싸서 접착제로 고정한 상태의 이면도이다.
도 12a는, 발뒤꿈치가 없는 부인화에 구두의 안창을 일체적으로 고정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2b는, 신발대와 구두의 안창 및 깔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c는, 구두의 안창을 깔창으로 싸서 접착제로 고정한 상태의 이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두의 안창(10)에 적용한 경우의 일부를 파단한 외관 사시도이다.
구두의 안창(10)은 바닥판(11), 이 바닥판(11)의 외주에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된 커버(13), 바닥판(11)과 커버(13) 사이에 봉입된 유체(14), 바닥판(11)의 하면에 접합된 시트(18)를 갖고 있다.
바닥판(11)은 염화 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 등의 성형 수단에 의해 성형된다. 이 바닥판(1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1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바닥판(11)은 용착면(19)을 개재하여 커버(13)의 용착면(19')에 접합된다. 또, 바닥판(11)과 커버(13)는 동질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고 있다.
단, 바닥판(11)과 커버(13)는 접합 가능하면 다른 소재이어도 상관없다. 유체(14)는 바람직하게는 물 투과성이 낮아 증발하기 어려운 특성의 것이면서 유동성이 좋아 부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이 유체(14)는 발뒤꿈치 쪽의 주입구(25)로부터 주입된다.
이 유체(14)는 한랭지에서도 동결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물 등의 액체에 부동액을 혼입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유체(14)로서 프로필렌 글리콜을 이용하고 있다.
시트(18)는 만일 유체(14)가 바닥판(11)을 통과한 경우에도 이 유체(14)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여 보행의 불쾌감을 저감하기 위해 바닥판(11)에 접합되는 것이다. 이 시트(18)도 예를 들면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또, 이 시트(18)는 유체(14)가 바닥판(11)을 통과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는 바닥판(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의 표면에는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상사형상)의 제1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오목부(15)의 외주에는, 내벽(15a)과 용착면(19)을 개재하여 외주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착면(19)은 클래딩부(23)(도 4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오목부(15)의 발끝 쪽의 일부는 발가락의 밑에 이르러도 되지만, 보행하기 쉽도록 가능한 한 발가락의 접지뿌리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오목부(15)의 내주측에는 바닥판(11)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구획벽(17)이 제1 오목부(15)의 내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벽(1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도 2에서 구획벽(17)에는 해칭이 부여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부분과 식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부여한 것이다.
또, 제1 오목부(15)로부터 일체적으로 복수의 블레이드(12-1~12-16)가 기립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블레이드(12)는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12-1~12-16) 각각이 대략 등간격(p)으로 발뒤꿈치부터 발끝에 걸쳐 정렬 배치되어 있다.
이들 블레이드(12)는 탄성체라는 특질에서도 발바닥의 경혈을 적당하게 자극한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발바닥에는 신체의 건강에 관계된 몇 개의 경혈이 집중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12)의 탄성력과 유체(14)의 공동작용에 의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걸으면서 적당하게 경혈을 자극하여 마사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바닥판(11)과 이에 접합되는 커버(13)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12-1~12-16)는 적어도 일부가 발끝 쪽으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16장의) 블레이드(12-1~12-16)가 발끝 쪽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모든 블레이드(12-1~12-16)가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 y-y에 대해 각도θ(약 45°)로 발끝 쪽으로 똑같이 경사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각도θ로서 약 45°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도 3에 있어서 제1 오목부(15)와 그 외주의 외주부(16) 사이에는 단차(h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1)의 외주부(16)에서 커버(13)와의 접합부(용착부)에는 클래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래딩부(23)는 용착면(19)을 갖고 있다. 또, 제1 오목부(15)와 그 외주부(16)의 경계에는 경사형상의 내벽(경사면)(15a) 및 외벽(경사면)(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차(h1)를 마련한 것은 바닥판(11)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1 오목부(15)에 대향하여 커버(13)에는 제2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오목부(21)와 그 외주의 외주부(22) 사이에는 단차(h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21)와 그 외주부(22)의 경계에는 경사형상의 내벽(경사면)(21a) 및 외벽(경사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부(22)에는 바닥판(11)의 용착면(19)에 대향하여 용착면(19')(용착 예정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15)의 외주부(16)(의 용착면(19))와 제2 오목부(21)의 외주부(22)(의 용착면(19'))를 용착한 것이다. 또한, 단차(h2)를 마련한 것은, 커버(13)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하여 바닥판(11)의 용착면(19)과 커버(13)의 용착면(19')이 용착되어 바닥판(11)과 커버(13)가 접합된다. 또, 바닥판(11)과 커버(13)를 용착할 때, 그 용착 부분이 녹아 두께가 수축하기 때문에 바닥판(11)에 두꺼운 클래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클래딩부(23)의 폭(가로폭)은 용착면(19)의 폭보다도 약간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클래딩부(23)의 폭이 용착면(19)의 폭보다도 작으면, 용착 부분에 있어서 바닥판(11)이 누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바닥판(11)과 커버(13)를 용착하여 봉지형상으로 밀봉하고, 그 내부에 전술한 유체(14)를 봉입한다.
또, 주입구(25)(도 1 참조)는 용착하지 않고 남겨 둔다. 또한, 용착면(19)의 외주측은 비용착의 상태인 채로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15)와 그 외주부(16)의 경계에는 경사면(15a, 15b)이 형성되고, 제2 오목부(21)와 그 외주부(22)의 경계에는 경사면(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 경사면을 원호면이나 만곡면으로 해도 된다.
그런데, 사람의 발바닥은 예를 들면 구두창에 1개의 자갈이 들어가도 불쾌감을 느낄 정도로 매우 민감하므로 클래딩부(23)를 용착한 후에도, 특히 커버(13)의 용착면(19')에 그다지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평탄한 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면(19, 19')이 대략 균일한 폭으로 용착됨으로써 접착강도가 균일해져 누수할 우려가 없고, 또한 구두의 안창(10) 전체가 비틀림 등을 일으키지 않고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래딩부(23)를 균일한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는, 용착면(19, 19')을 대략 균일한 폭으로 용착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용착면(19)의 외주측의 비용착면에는 수 개소에 스폿 용착이 실시되어, 바닥판(11)과 커버(13) 사이에 모래나 쓰레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4는 바닥판(11) 및 커버(13)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는 길이방향의 양단부의 윗 쪽이 완만하게 만곡한 원호형상을 이루고, 이 양단부는 제1 오목부(15)의 내주측에 형성된 구획벽(17)에 도달하지 않는다. 또한, 이 블레이드(12)에는 그 길이방향의 중도부에 홈(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20)은 유체(14)가 바닥판(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블레이드(12)에 소정 간격으로 2개의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홈(2O)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20)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면은 반원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대략 U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홈(20)을 블레이드(12)의 상부(커버(13) 측)에 형성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부(제1 오목부(15)와의 대향측)에 형성해도 된다.
이 도 4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바닥판(11)의 내벽(15a)은 외주부(16)로 향하여 점차 경사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벽(15a)을 경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체(14)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국부적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커버(1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전술한 구획벽(17)은 블레이드(1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와 제1 오목부(15)의 내벽(15a) 간에 제1 오목부(15)의 내주측을 둘러싸도록 바닥판(11)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고 있다.
이 구획벽(17)은 유체(14)가 바닥판(11)과 커버(13)의 용착면(19, 19')(도 1 참조)에 직접적으로 당접하지 않도록 하여 유체(14)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체(14)의 누출을 막는 것도 중요한 테마인 것이다.
예를 들면, 오목부(15, 21) 내의 유체(14)는 보행시에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에 압력을 동반하여 이동한다. 구획벽(17)은 이 때의 고압의 유체(14)가 바닥판(11)과 커버(13)의 용착면(19, 19')을 돌파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행시의 체중 이동이 가져오는 충격의 강도는 상식적으로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벽(17)의 높이는 바닥판(11)의 외주부(16)의 상면과 대략 같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걷는 동작을 고찰해 보면 발은 발뒤꿈치 부분에서 착지하고, 발바닥의 장심(발바닥의 아치부위)의 외측으로 접지면을 넓혀 발가락의 접지뿌리의 부풀어오른 부분(볼부)에 체중을 실기가 끝나면 가로나 세로에 대한 비틀거림을 억제하도록 발가락은 가로로 퍼진다. 다음에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볼부로부터 굴곡이 시작되고, 발뒤꿈치 부분이 떠올라 발가락 전체로 지면을 차올린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구두의 안창(10)의 경우 내측에 봉입된 유체(14)가 이동하여 착지 충격을 균등하게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이 점에 관해 예를 들면 용기 내에 봉입된 액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은 용기 내의 모든 면에 균등하게 전해진다(파스칼의 법칙).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구두의 안창(10)을 이용하면 자신의 체중 이상의 수압이 커버(13)의 접촉면 전부에 균등하게 가해진다. 그리고, 복수의 블레이드(12)의 탄력을 유체(14)의 이동에 의해 완화하고 있다.
도 5는 커버(13)를 도 3의 V방향에서 본 화살표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커버(13)의 제2 오목부(21)는 바닥판(11)의 제1 오목부(15)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오목부(21)의 외주에는 내벽(21a)과 용착면(용착 예정면)(19')을 개재하여 외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21)와 외주부(22)의 평면 형상은 바닥판(11)의 제1 오목부(15)와 외주부(16)의 형상과 대략 같다. 또한 이 외주부(22)의 두께는 클래딩부(23)를 제외하고 바닥판(11)의 외주부(16)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커버(13)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요철 모양, 예를 들면 다다미형이나 나시지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13)의 상면에 땀이 물방울이 되어 모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방울의 확산,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바닥판(11)과 커버(13)를 용착한 후, 각각의 제1 오목부(15)와 제2 오목부(21)로 둘러싸인 공간에 주입구(25)(도 1 참조)로부터 유체(14)를 주입하고, 그 후 주입구(25)를 용착하여 유체(14)를 밀봉한다.
도 6은 블레이드(12)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발뒤꿈치 또는 발끝으로 향하여 기울어지게 하여 보행한 시뮬레이션을 행했을 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그 때에 발바닥에 가해진 압력값(무차원)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실시형태 1)에서는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모든 블레이드(12-1~12-16)를 발끝으로 향하여 똑같이 기울어지게 하고(곡선 A), 또한 그 경사각을 변화시킨 것이다(곡선 B). 이 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가 곡선 A(실선의 굵은 선)와 곡선 B(점선)로 나타나 있다.
또, 곡선 E(점선)는 비교예로서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발뒤꿈치 쪽으로 향하여 똑같이 기울어지게 한 것이다. 또한, 곡선 C(실선의 가는 선)와 곡선 D(일점쇄선)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2, 3에서 설명한다.
도면의 P1점은 보행시에 발의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하기 직전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그 후 P2점에서 발뒤꿈치에서의 착지를 종료한다(체중이 가해진다). 다음에, P3점은 발뒤꿈치에서 발끝 쪽으로 체중이 한창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P4점은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체중이 가해진다)의 압력을 나타낸다. 또,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린 후에는 체중이 이동하여 다음 단계의 발의 발뒤꿈치가 P1점으로 향한다. 이것이 사람이 보행할 때의 1사이클을 나타낸다.
여기서, 곡선 A는 바닥판(11)에 설치한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도α(예를 들면, 10°)로 발끝 쪽으로 똑같이 기울어지게 했을 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곡선 B는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도θ(예를 들면, 45°)(θ>α)로 발끝 쪽으로 똑같이 기울어지게 했을 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낸 것이다.
또, 곡선 E는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도α(예를 들면, 10°)로 발뒤꿈치 쪽으로 똑같이 기울어지게 했을 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곡선 A에서는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이 약 38000(무차원)을 나타내고,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이 64000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 곡선 B에서는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이 약 35000을 나타내고,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이 53000을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12)의 경사각이 작은(각도α) 곡선 A가 경사각이 큰(각도θ) 곡선 B의 경우보다도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도 크고, 또한 발끝으로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도 크다.
이는 블레이드(12)의 경사각이 작은 곡선 A가 발바닥에 직접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곡선 E에서는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이 약 39000(무차원)을 나타내고,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이 64000을 나타낸다.
즉, 곡선 E는 전체적으로 곡선 A와 거의 같은 곡선인데,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은 곡선 E가 곡선 A보다도 약간 커진다. 또한,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은 곡선 E와 곡선 A는 대략 같아진다.
P2점의 압력이 곡선 A보다도 곡선 E가 약간 큰 것은, 블레이드(12)가 발끝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곡선 A)보다도 발뒤꿈치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곡선 E)가 발바닥에 직접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P4점의 압력은 곡선 A와 곡선 E에서 대략 같아진다.
또, 발끝으로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과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의 차는 곡선 A의 경우나 곡선 E의 경우보다도 곡선 B가 작아진다.
이 차올림시의 압력과 착지시의 압력의 차에 관해, 보행시에는 차올림시의 압력과 착지시의 압력의 차가 작은 쪽이 피곤해지기 어려워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블레이드(12)를 발끝 쪽으로 향하여 기울어지게 했을 때의 경사 각도를 작게(각도α) 한 경우보다도 약간 크게(각도θ) 한 경우의 쪽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블레이드(12)를 발끝으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하면, 특히 발끝으로의 차올림 시에 블레이드(12)의 경사각의 방향에 따라 봉입된 유체(14)에는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저항이 부여되고 발끝 쪽에서 발뒤꿈치 쪽으로의 급격한 유체(14)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할 때의 동작으로서 발뒤꿈치로 지면에 착지한 후에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리는데, 발뒤꿈치를 밟는 힘은 차올리는 힘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에 유체(14)가 발뒤꿈치 쪽에서 발끝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오히려 작다. 한편,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힘은 크기 때문에 차올림 시에 유체(14)가 발끝 쪽에서 발뒤꿈치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매우 크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곡선 A 및 곡선 B)에서는 블레이드(12)가 똑같이 발끝 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끝으로 차올렸을 때에 유체(14)가 발끝 쪽에서 발뒤꿈치 쪽으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저항이 유체(14)에 부여된다. 이에 의해 유체(14)의 이동 속도는 늦어진다. 이렇게 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특히, 차올릴 때의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11)의 제1 오목부(15)(및 커버(13)의 제2 오목부(21))의 형상이 발바닥과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때문에 봉입되어 있는 유체(14)의 용적은 발뒤꿈치 쪽보다도 발끝 쪽이 크다. 따라서, 발끝으로 차올렸을 때에 유체(14)는 발끝 쪽에서 발뒤꿈치 쪽으로 향하여 큰 속도로 이동하고자 한다. 그러나, 블레이드(12)가 똑같이 발끝 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이 블레이드(12)에 의해 유체(14)의 이동시의 저항력이 되므로 차올림시의 유체(14)의 발뒤꿈치 쪽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 현시점에서는 블레이드(12)의 경사각의 최적값을 구하지 않는다. 이는 블레이드(12)의 경사각이 변화하면 단지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값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유체(14)의 흐름의 경로의 변화나 보행하기 쉬움 등)의 영향도 들어가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구두의 안창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두창에 직접 적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든 블레이드(12-1~12-16)를 발끝으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함으로써 특히 차올렸을 때의 압력이 완화되고, 발뒤꿈치로부터 무릎 또는 허리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쾌적한 보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제로 발바닥을 마사지하는 것은 블레이드(12)가 갖는 탄성력이지만, 이 블레이드(12)의 탄성력을 유체(14)가 완화하여 발바닥을 자극하여 장시간 계속해서 쾌적한 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7은 실시형태 2에서의 바닥판(11) 및 커버(13)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실시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는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고, 또한 중앙에서 발끝까지는 발뒤꿈치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의 8장의 블레이드(12-1~12-8)는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θ(예를 들면, 45°)로 발끝 쪽으로 똑같이 경사 배치되고, 또한 중앙에서 발끝까지의 블레이드(12-9~12-16)는 발뒤꿈치로 향하여 소정 각도θ(예를 들면, 45°)로 똑같이 경사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곡선 C(실선의 가는 선)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곡선 C에 의하면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이 약 36000을 나타내고,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이 53000을 나타낸다. 즉, 차올림시의 최대 압력과 착지시의 최대 압력의 차는 17000으로서 도 6의 곡선 중에서 가장 작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피곤해지기 어려워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발뒤꿈치로 지면에 착지했을 때는 발뒤꿈치 쪽에 봉입된 유체(14)는 발뒤꿈치에서 중앙까지 이동하지만, 중앙에서 발끝 쪽에 걸쳐 발뒤꿈치 쪽으로 향하여 똑같이 기울어지는 블레이드(12)에 의해 반대저항이 가해진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발뒤꿈치 쪽의 유체(14)는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동속도도 작기 때문에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완화된다.
다음에 발끝으로 차올렸을 때는 발끝 쪽에 봉입된 유체(14)는 발끝에서 중앙까지 이동하지만, 중앙에서 발뒤꿈치 쪽에 걸쳐 발끝 쪽으로 향하여 똑같이 기울어져 있는 블레이드(12)에 의해 반대저항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발끝 쪽의 유체(14)는 중앙에서 발끝까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반대저항에 의해 이동속도도 작아지고, 이렇게 하여 발끝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완화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는 발끝으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하고, 중앙에서 발끝까지는 발뒤꿈치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하였으므로, 실시형태 1과 같이 봉입된 유체(14)에 대해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저항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급격한 유체(14)의 이동이 억제된다.
[실시형태 3]
도 8은 실시형태 3에서의 바닥판(11) 및 커버(13)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실시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12)를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는 발뒤꿈치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고, 또한 중앙에서 발끝까지는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것이다.
즉, 실시형태 2에서는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의 블레이드(12)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에서 발끝까지의 블레이드(12)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점이 상이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의 8장의 블레이드(12-1~12-8)는 바닥판(1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θ(예를 들면, 45°)로 발뒤꿈치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되고, 또한 중앙에서 발끝까지의 블레이드(12-9~12-16)는, 소정 각도θ(예를 들면, 45°)로 발끝으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곡선 D(일점쇄선)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곡선 D에 의하면 발뒤꿈치로 착지했을 때의 압력(P2점)이 약 33000을 나타내고, 발끝으로 지면을 차올렸을 때의 압력(P4점)이 55000을 나타낸다. 즉, 차올림시의 최대 압력과 착지시의 최대 압력의 차는 22000이다.
이 곡선 D에 의하면 곡선 A의 경우보다도 차올림시와 착지시의 최대 압력의 차가 작기 때문에 실시형태 1, 2와 같이 피곤해지기 어려운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는 발끝으로 차올렸을 때는 발끝 쪽에 봉입된 유체(14)는 중앙에서 발끝 쪽까지 발끝 쪽으로 똑같이 기울어져 있는 블레이드(12)에 의해 반대저항이 가해지고, 이동속도도 작아져 발끝에 가해지는 큰 충격력이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발뒤꿈치로 지면에 착지했을 때는 발뒤꿈치 쪽에 봉입된 유체(14)는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 해당 발뒤꿈치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된 블레이드(12)에 의해 반대저항이 가해져 이동속도가 작아지고,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중앙에서 발끝까지의 블레이드(12)를 발끝으로 향하여 똑같이 경사 배치하였기 때문에 발끝 쪽의 유체(14)는 발끝 쪽의 블레이드(12)에 의해 발끝 쪽에서의 차올림 힘에 의한 큰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술한 각 실시형태와 같이 특히 발끝 쪽에 봉입된 유체(14)는 발끝 쪽에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저항이 부여되고, 급격한 유체(14)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신발(신사화(30) 또는 부인화(40))의 외관도,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발의 안창으로서의 구두의 안창(10)을 신사화(30) 또는 부인화(40)의 신발대(31, 41) 상에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 구두의 신발대(31, 41)와 깔창(34, 44) 및 구두의 안창(10) 이외의 부분은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는 발뒤꿈치가 있는 신사화(30)에 입구(37)로부터 구두의 안창(10)과 깔창(34)을 삽입할 때의 전체 사시도, 도 9 b는 신사화(30)의 신발대(31)와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34)의 분해 사시도이다.
신사화의 신발대(31)는 본 바닥(32)과 중간 바닥(안창)(33)을 갖고 있다. 또, 힐(36)은 예를 들면 독립된 부품으로서 복수매의 가죽을 적층하여 만들어져 있다. 본 바닥(32)은 구두의 바닥부로서, 일반적으로 쿠션성이 좋은 소재로 만들 수 있다. 중간 바닥(33)은 안창이라고도 하며, 주로 구두의 강성, 내굴곡성, 충격 흡수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바닥(32)과 중간 바닥(33)은, 접착제로 붙이거나 실로 꿰매 붙이거나 또는 일체 성형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깔창(34)은 예를 들면 1장의 가죽으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바닥(33) 상에 순차적으로 구두의 안창(10)과 깔창(34)이 입구(37)로부터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되어 있다. 즉, 구두의 안창(10)과 깔창(34)은 고객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또, 깔창(34)은 1장의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그 윗면에는 제조자의 브랜드명 등이 표시된 네임 태그(35)가 꿰매 붙여져 있다.
또,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깔창(34)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구두의 안창(10)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된다.
도 10a는 발뒤꿈치가 있는 부인화(40)에 입구(47)로부터 구두의 안창(10)과 깔창(44)을 삽입할 때의 전체 사시도, 도 10B는 부인화(40)의 신발대(41)와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44)의 분해 사시도이다.
부인화(40)의 신발대(41)는 본 바닥(42)과 중간 바닥(안창)(43)을 갖고 있다. 이들 본 바닥(42), 중간 바닥(43), 깔창(44), 힐(46) 및 네임 태그(45)에 대해서는 전술한 신사화(30)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바닥(43) 상에 순차적으로 구두의 안창(10)과 깔창(44)이 입구(47)로부터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되어 있다. 즉, 구두의 안창(10)과 깔창(44)은 고객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접착 등이 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또,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깔창(44)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는 구두의 안창(10)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을 신사화(30)나 부인화(40)의 신발대(31, 41) 상에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두의 안창(10)을 스포츠 슈즈, 스니커, 스트랩 부착 또는 스트랩 없는 샌들, 업무용화, 스키화, 골프화, 하이킹화, 워킹화, 부츠, 장화, 실내화, 짚신, 슬리퍼, 양말 등 그 밖의 신발에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다. 신발대(31, 41)의 상부를 덮는 부분이나 스트랩이 있으면 구두의 안창(10)을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해도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두의 안창(10)이 신사화 등의 신발대(31, 41) 상에 삽발 자유자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신사화 등에의 장착이 간단하다. 또한, 예를 들면 보행시의 충격 흡수와 발바닥 마사지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깔창(34, 44)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구두의 안창(10)에 의해 선 위치에서의 발·무릎 등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1a 내지 도 11c, 도 12a 내지 도 12c는 각각 본 실시형태에서의 신발(신사화(50) 또는 부인화(60))의 외관도, 분해 사시도, 이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발의 안창으로서의 구두의 안창(10)을 신사화(5O) 또는 부인화(60)의 신발대(51, 61)에 접착하여 일체화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 신발대(51, 61)와 깔창(54, 64) 및 구두의 안창(10) 이외의 부분은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는 발뒤꿈치가 없는 신사화(50)의 신발대(51)(본 바닥(52)을 갖고 있음)에 구두의 안창(10)을 일체적으로 고정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11B는 신발대(51)와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54)의 분해 사시도, 도 11 c는 구두의 안창(10)을 깔창(54)으로 싸서 접착제로 고정한 상태의 이면도이다.
신사화(50)의 신발대(51)는 본 바닥(52)을 갖고 있다. 본 바닥(52)은 구두의 바닥부로서, 예를 들면 우레탄재 등의 쿠션성이 좋은 소재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깔창(54)은 예를 들면 1장의 가죽으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을 깔창(54)으로 싸서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이 일체 고정한 구두의 안창(10)과 깔창(54)을 본 바닥(52) 상에 고정하였다. 즉, 구두의 안창(10)의 표면(10a), 측면(10c) 및 이면(10b)의 외주부를 깔창(54)으로 싸고, 깔창(54)의 외주부의 내측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착하였다(도 11 c 참조).
또, 이렇게 하여 일체화된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54)과 본 바닥(52)을 깔창(54)의 외주부와 구두의 안창(10)의 이면(10b)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착하였다. 이 경우 피접착 부분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접착(압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깔창(54)의 하측에 구두의 안창(10)을 접착하여 일체화한다. 이에 의해 구두의 안창(10)이 함부로 이동하거나 이탈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과 깔창(54) 및 깔창(54)과 본 바닥(52)을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로 꿰매 붙여도 되고,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결합해도 된다. 또한, 구두의 안창(10), 깔창(54) 및 본 바닥(52)의 상호 간을 외주부에 도포한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대향하는 전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해도 된다. 또, 구두의 안창(10)의 표면(10a)의 외주부와 깔창(54)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양자를 접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을 깔창(54)으로 싼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두의 안창(10)의 측면(10c)이 노출되도록 접착해도 된다.
또, 깔창(54)의 외주부의 내측에는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의 금(5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외주부의 외주와 내주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깔창(54)의 표면(구두의 안창(10)의 접착면과 반대쪽)에는 제조자의 브랜드명 등이 표시된 네임 태그(55)가 꿰매 붙여져 있다.
도 12A는 발뒤꿈치가 없는 부인화(60)에 구두의 안창(10)을 일체적으로 고정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12B는 신발대(61)와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64)의 분해 사시도, 도 12 c는 구두의 안창(10)을 깔창(64)으로 싸서 접착제로 고정한 상태의 이면도이다.
부인화(60)의 신발대(61)는 본 바닥(62)과 중간 바닥(63)을 갖고 있다.
또, 본 바닥(62), 중간 바닥(63), 깔창(64), 힐(66) 및 네임 태그(65)에 대해서는, 전술한 신사화(30)의 경우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차적으로 중간 바닥(63),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64)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이들 일체 고정된 중간 바닥(63), 구두의 안창(10) 및 깔창(64)이 본 바닥(62) 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구두의 안창(10)의 이면(10b)과 중간 바닥(63)의 표면(63a)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합체한 것을 깔창(64)으로 싸도록 한다. 즉, 구두의 안창(10)과 중간 바닥(63)을 합체시킨 상태로 구두의 안창(10)의 표면(10a), 측면(10c) 및 중간 바닥(63)의 이면(63b)의 외주부를 깔창(64)으로 싼다. 또한, 이렇게 하여 일체화된 구두의 안창(10), 깔창(64) 및 중간 바닥(63)을 깔창(64)의 외주부와 구두의 안창(10)의 이면(10b)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였다(도 12 c 참조). 이 경우, 피접착 부분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접착(압착)하면 된다.
또, 깔창(64), 구두의 안창(10)과 일체화된 중간 바닥(63)과 본 바닥(62)을 중간 바닥(63)의 이면(63b)과 깔창(64)의 외주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하였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과 중간 바닥(63) 및 중간 바닥(63)과 본 바닥(62)을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들을 실로 꿰매 붙여도 되고,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결합해도 된다. 또한, 구두의 안창(10)의 표면(10a)의 외주부와 깔창(64)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양자를 접착해도 된다.
이에 의해 구두의 안창(10)을 깔창(64)의 하측에 접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구두의 안창(10)이 함부로 이동하거나 이탈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을 깔창(64)으로 싼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두의 안창(10)의 측면(10c)이 노출되도록 접착해도 된다.
또, 깔창(64)의 외주부의 내측에는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의 금(6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깔창(64)의 외주부의 외주와 내주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깔창(64)에는 네임 태그(65)가 꿰매 붙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두의 안창(10)을 신사화(50)나 부인화(60)의 신발대(51, 61)에 일체적으로 고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두의 안창(10)을 스포츠 슈즈, 스니커, 스트랩 부착 또는 스트랩 없는 샌들, 업무용화, 스키화, 골프화, 하이킹화, 워킹화, 부츠, 장화, 실내화, 짚신, 슬리퍼, 양말 등 그 밖의 신발에도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두의 안창(10)이 신사화(50)나 부인화(60)의 신발대(51, 6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두의 안창(10)이 함부로 이동하거나 노출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한번 본 것만으로는 신사화(50)나 부인화(60)에 구두의 안창(10)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신사화(50)나 부인화(60)의 신발대(51, 61)에 접착하여 일체화한 구두의 안창(10)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보행시의 충격 흡수와 발바닥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구두의 안창(10)에 의해 선 위치에서의 발·무릎 등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14)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바닥판의 외주에 접합된 커버;
    상기 바닥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봉입된 유체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블레이드 기립면에는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수용된 구두의 안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는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고, 중앙에서 발끝까지는 발뒤꿈치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발뒤꿈치까지는 상기 발뒤꿈치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고, 중앙에서 발끝까지는 상기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길이방향의 중도부에 상기 유체가 이동 가능한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의 내주측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구획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외주에서 상기 커버와의 접합부에 클래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부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과 상기 커버를 대략 균일한 폭으로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그 외주부는 단차를 가지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제2 오목부와 그 외주부는 단차를 가지며,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는 대향하고, 상기 제1 오목부의 외주부와 상기 제2 오목부의 외주부를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그 외주부의 경계 및 상기 제2 오목부와 그 외주부의 경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프로필렌 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안창.
  11. 신발대에 배치되고,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바닥판의 외주에 접합된 커버, 상기 바닥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봉입된 유체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의 상기 블레이드 기립면에는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발끝으로 향하여 경사 배치하여 이루어진 신발의 안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대는 본 바닥과 중간 바닥을 가지고,
    상기 중간 바닥 상에 순차적으로 상기 신발의 안창과 깔창을 삽발(揷拔) 자유자재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대는 본 바닥을 가지고,
    상기 신발의 안창 상에 깔창을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본 바닥 상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대는 본 바닥과 중간 바닥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 바닥과 상기 신발의 안창 및 깔창을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본 바닥 상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17003616A 2008-08-27 2009-06-11 구두의 안창 및 신발 KR101247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7682 2008-08-27
JP2008217682 2008-08-27
PCT/JP2009/002644 WO2010023793A1 (ja) 2008-08-27 2009-06-11 靴の中底及び履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553A true KR20110055553A (ko) 2011-05-25
KR101247215B1 KR101247215B1 (ko) 2013-03-25

Family

ID=4172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616A KR101247215B1 (ko) 2008-08-27 2009-06-11 구두의 안창 및 신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73287B2 (ko)
EP (1) EP2316294A4 (ko)
JP (1) JP4741714B2 (ko)
KR (1) KR101247215B1 (ko)
CN (1) CN102131417B (ko)
AU (1) AU2009286277C1 (ko)
HK (1) HK1155621A1 (ko)
TW (1) TWI451848B (ko)
WO (1) WO2010023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7620S1 (en) 1976-10-29 2022-10-25 Gavrieli Brands LLC Shoe with outsole patch
USD761538S1 (en) 2014-11-14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Dual-sole shoe with outpatch sole
US8745893B2 (en) 2011-08-10 2014-06-10 Gavrieli Brands LLC Split-sole footwear
US8991072B2 (en) * 2010-02-22 2015-03-31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incorporating a flexible plate
US9167862B2 (en) 2011-08-10 2015-10-27 Gavrieli Brand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rying footwear
USD943252S1 (en) 2011-08-10 2022-02-15 Gavrieli Brands LLC Ballet shoe with green outsole patch and contrasting upper
USD837495S1 (en) 2014-11-14 2019-01-08 Gavrieli Brands LLC Dual-sole shoe with stripe, color outpatch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831312S1 (en) 2014-11-14 2018-10-23 Gavrieli Brands LLC Dual-sole shoe with blue outpatch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824150S1 (en) 2011-08-10 2018-07-31 Gavrieli Brands LLC Dual-sole shoe with color stripe and outpatch sole
CA2873158C (en) * 2013-05-22 2016-09-13 Himiko Co., Ltd. Sole member of footwear
USD756086S1 (en) * 2013-09-18 2016-05-17 Ecco Sko A/S Sole
USD756082S1 (en) 2014-05-02 2016-05-17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green sole
USD755485S1 (en) 2014-05-02 2016-05-10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757407S1 (en) 2014-05-02 2016-05-31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red stripe and red sole
USD763556S1 (en) 2014-05-02 2016-08-16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yellow stripe and yellow sole
USD761529S1 (en) 2014-05-02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purple stripe and purple sole
USD761530S1 (en) 2014-05-02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green stripe and green sole
USD756087S1 (en) 2014-05-02 2016-05-17 Gavrieli Brands LLC Green sole assembly for single-sole shoe
USD756081S1 (en) 2014-05-02 2016-05-17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purple sole
USD756083S1 (en) 2014-05-02 2016-05-17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red sole
USD755486S1 (en) 2014-05-02 2016-05-10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stripe,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761531S1 (en) 2014-05-02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orange stripe and orange sole
USD771919S1 (en) 2014-06-10 2016-11-22 Gavrieli Brands LLC Single sole shoe with red sole
USD764154S1 (en) 2014-06-10 2016-08-23 Gavrieli Brands LLC Red sole and midsole assembly for single-sole shoe
USD761532S1 (en) 2014-06-10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 sole shoe with yellow sole
USD761535S1 (en) 2014-06-10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USD758052S1 (en) 2014-06-10 2016-06-07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green stripe, green sole, mid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775798S1 (en) 2014-06-10 2017-01-10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stripe and blue sole
USD825160S1 (en) 2014-06-10 2018-08-14 Gavrieli Brands LLC Blue sole and midsole assembly for single-sole shoe
USD761539S1 (en) 2014-06-10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Yellow sole and midsole assembly for single-sole shoe
USD755488S1 (en) 2014-06-10 2016-05-10 Gavrieli Brands LLC Single sole shoe with stripe,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761533S1 (en) 2014-06-10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Green sole and mid-sole assembly for a single-sole shoe
USD825156S1 (en) 2014-06-10 2018-08-14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stripe
USD756084S1 (en) 2014-06-10 2016-05-17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stripe, blue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763557S1 (en) 2014-06-10 2016-08-16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purple sole
USD779798S1 (en) 2014-06-10 2017-02-28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orange sole
USD761534S1 (en) 2014-06-10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Orange sole and mid-sole assembly for a single-sole shoe
USD762050S1 (en) 2014-06-10 2016-07-26 Gavrieli Brands LLC Purple sole and midsole assembly for a single-sole shoe
USD761536S1 (en) 2014-06-10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 sole shoe with green sole
USD761537S1 (en) 2014-06-11 2016-07-19 Gavrieli Brands LLC Single sole shoe with orange sole
USD771920S1 (en) 2014-06-11 2016-11-22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yellow sole
US9538813B1 (en) 2014-08-20 2017-01-10 Akervall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elements for footwear and method of use
USD779800S1 (en) 2014-10-27 2017-02-28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outpatch sole
USD843094S1 (en) 2014-10-27 2019-03-19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outpatch sole and contrasting upper
USD843093S1 (en) 2014-10-27 2019-03-19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outpatch sole
USD846844S1 (en) 2017-02-27 2019-04-30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stripe and outpatch sole
USD842593S1 (en) 2014-10-27 2019-03-12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outpatch sole
USD844312S1 (en) 2014-10-27 2019-04-02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blue outpatch sole
USD779801S1 (en) 2014-10-27 2017-02-28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stripe and outpatch sole
USD779799S1 (en) 2014-10-27 2017-02-28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stripe and outpatch sole
USD884323S1 (en) 2014-11-14 2020-05-19 Gavrieli Brands LLC Dual-sole shoe with yellow outpatch sole
CN108024594B (zh) * 2015-09-18 2020-11-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插入板和非线性抗弯刚度的鞋类鞋底组件
US10182612B2 (en) 2015-11-05 2019-01-2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nonlinear bending stiffness with compression grooves and descending ribs
US10660400B2 (en) * 2016-08-25 2020-05-26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grooves and a flex control insert with ribs
MX2019008270A (es) * 2017-03-17 2019-09-16 Desarrollo Integral Del Molde Sl Suela para calzado.
WO2020058536A1 (es) * 2018-09-19 2020-03-26 Desarrollo Integral Del Molde, S.L. Suela para calzado
US10813408B2 (en) * 2018-10-16 2020-10-27 Adam Michaels Urbin Tactile feedback shoe sole
US11419384B2 (en) 2019-02-07 2022-08-23 Benjamin Ari Bryer Shoe for simulating exercising on natural granular matertial
USD930346S1 (en) * 2020-08-26 2021-09-14 Nike, Inc. Shoe
USD955728S1 (en) * 2020-08-27 2022-06-28 Nike, Inc. Sho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9707A (en) * 1959-12-14 1963-03-05 Hack Morton Resilient shoe soles
US3087262A (en) * 1961-04-24 1963-04-30 Forward Slant Sole Company Resilient shoe sole
FR2591441B1 (fr) * 1985-12-13 1988-03-18 Mauger Jean Semelle ou premiere de chaussur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incorpore
FR2628946B1 (fr) 1988-03-28 1990-12-14 Mauger Jean Semelle ou premiere de chaussur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incorpore
JPH0381377A (ja) 1989-08-24 1991-04-05 Nitto Denko Corp 熱定着性インク及びパターンシート並びに焼成パターン形成方法
JPH0381377U (ko) * 1989-12-12 1991-08-20
JPH0691849B2 (ja) 1990-11-22 1994-11-16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または靴底
US5189816A (en) * 1990-11-22 1993-03-02 Kabushiki Kaisha Himiko Mid-sole or sole of shoes
JP2549602B2 (ja) * 1992-05-07 1996-10-30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2742752B2 (ja) 1992-09-09 1998-04-22 鐘紡株式会社 リピート柄原図およびその作成法
IT1278358B1 (it) * 1995-02-07 1997-11-20 Scarpa Calzaturificio Spa Suola per calzatura.
JPH10295402A (ja) 1997-05-02 1998-11-10 Senshin:Kk 靴の通気構造とその中敷
JP2000236908A (ja) * 1999-02-23 2000-09-05 Himiko Co Ltd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3081377U (ja) * 2001-04-25 2001-11-02 請吉 山本 靴底と同靴底を用いた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6294A4 (en) 2013-05-29
KR101247215B1 (ko) 2013-03-25
TWI451848B (zh) 2014-09-11
WO2010023793A1 (ja) 2010-03-04
US8973287B2 (en) 2015-03-10
JP4741714B2 (ja) 2011-08-10
HK1155621A1 (en) 2012-05-25
CN102131417B (zh) 2012-07-04
AU2009286277B2 (en) 2012-04-05
AU2009286277C1 (en) 2012-09-27
US20110131834A1 (en) 2011-06-09
TW201023778A (en) 2010-07-01
CN102131417A (zh) 2011-07-20
JPWO2010023793A1 (ja) 2012-01-26
EP2316294A1 (en) 2011-05-04
AU2009286277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215B1 (ko) 구두의 안창 및 신발
US11653715B2 (en)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JP7213773B2 (ja) 靴用のソール
EP1773149B1 (en) Cleated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50027004A1 (en) Flexible Footwear With Puncture Resistant Sole And Reinforced Strap Mounting
CN105979809A (zh) 具有感觉反馈鞋外底的鞋类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EP2157876A1 (en) Supporting plate apparatus for shoes
TWI635818B (zh) 具有沿鞋底周圍設置的感覺節點元件的鞋類物件及鞋底結構
TWI651059B (zh) 具有中央前足脊狀元件的鞋類物件及鞋底結構
TW201739366A (zh) 具有中央感覺節點元件的鞋類物件及鞋底結構
KR20160001214U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CN109090764B (zh) 一种具有保温吸湿功能的环保健康鞋及其制备方法
JP3095615U (ja) 振動吸収緩衝機能を具えたソール
KR101263614B1 (ko) 신발
JP2004254803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KR102012077B1 (ko) 신발용 안창
JP3098918U (ja) カップインソールを装填したヒールを有する婦人靴
KR200357924Y1 (ko) 신발 깔창
KR20110059684A (ko) 발가락 신발
KR20100137916A (ko) 보행시 가압에 의해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는 기능성 신발
KR20010083575A (ko) 샌달
KR20100064749A (ko) 키 높이 안창의 구조
JP2001054404A (ja) 健康履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