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684A - 발가락 신발 - Google Patents

발가락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684A
KR20110059684A KR1020090116295A KR20090116295A KR20110059684A KR 20110059684 A KR20110059684 A KR 20110059684A KR 1020090116295 A KR1020090116295 A KR 1020090116295A KR 20090116295 A KR20090116295 A KR 20090116295A KR 20110059684 A KR20110059684 A KR 2011005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hoe
insole
epithelium
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470B1 (ko
Inventor
우제만
Original Assignee
우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제만 filed Critical 우제만
Priority to KR102009011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런닝, 마라톤, 등산 등 운동시 운동력 증대와 발을 보호하기 위한 발가락 신발에 관한 것으로, 맨발의 형태를 형상화한 발가락 신발을 구현하고자 하며, 상세하게는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신발에 착용 되는 형태로서, 발가락 관절을 감싸면서 발체와 연결되어 지는 형태의 상피와 발가락 부위가 상기 상피와 같이 발가락 형태에 각각 대응하여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고 발가락이 개별적으로 착용 되며, 발바닥의 굴곡선 모양을 채용한 굴곡 된 형태의 안창과 밑창으로 구성됨.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은 발가락의 굴절운동을 원활케 하여 운동시 추진력 향상과 운동력을 증대시키고, 발가락이 신발 내에서 개별적으로 착용 되어 신발과 밀착함에 따라 운동시 신발 안에서의 발의 미끄럼, 뒤틀림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발가락과 발목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가락 신발임.
발가락 신발, 위 상피, 아래 상피, 안창, 밑창, 홈, 공기쿠션

Description

발가락 신발 {Naked Shoes }
본 발명은 런닝, 마라톤, 등산 등 운동시 운동력 증대와 발을 보호하기 위한 발가락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신발에 착용 되며, 발가락 관절을 감싸면서 발체와 연결되어 지는 형태의 상피와 상기 상피와 같이 발가락 형태에 각각 대응하여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고 발가락이 개별적으로 착용 되며, 발바닥의 굴곡선 모양을 채용한 굴곡 된 형태의 안창과 밑창으로 구성됨.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은 발가락의 굴절운동을 원활케 하여 운동시 추진력 향상과 운동력을 증대시키고,발가락이 신발 내에서 개별적으로 착용 되어 신발과 밀착함에 따라 운동시 신발 안에서의 발의 미끄럼, 뒤틀림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발가락과 발목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가락 신발임.
(1) 런닝, 마라톤, 등산 등 주로 달리거나 걷는 운동을 할 때 일반적인 신발은 발가락 부위에 발가락이 구획되어있지 않고, 바닥이 평평한 안창과 밑창으로 구성되어있어 발가락의 굴절운동이 제약되고 발과 신발의 밀착도가 떨어져 발가락의 운동력 발휘가 제한되어 추진력을 저하시키며, 발이 신발안에서 미끄러지거나 흔들려 발가락과 발목이 부상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가락 신발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허번호 10 - 0869451 - 000 (발명의 명칭:발가락 신발) )에서는 발가락이 구획된 형태로 통기성과 배수성을 강화하고 발 건강 에 기여하며, 수상활동에 편의성을 제공할수 있는 발가락 신발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발가락 신발에 있어 상피는 단순히 발가락이 구획되어 일반적인 신발과 동일하게 신발의 상부를 덮는 역할에 한정되는 형태로,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위 상피 구성이 결여되어있어, 발가락의 운동력을 발체로 전달하는 구성이 없으며, 신발 깔창, 중창, 바닥 창은 통기성과 배수성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안창구조와 같은 공기쿠션에 의한 탄력성과 통기성이 없으며, 발가락 관절 부위에서의 굴곡면을 구성하고 있지 않아 신발 재질 자체의 굴절성 제약으로 발가락의 관절 운동이 제한되고 운동시 바닥으로부터의 충격 완화와 발의 피로 완화는 미비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3) 또한 한국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33258( 고안의 명칭 : 발가락 신발) )에서는 신발의 선단 부위에 5개의 발가락 삽입부가 분할 형성되는 발가락 신발이 게시되어있다. 이러한 발가락 신발은 개별적인 발가락 삽입부가 구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과 같은 발가락 관절 운동력을 전달하는 상피 구성이 결여되어 있고, 신발 안창과 밑창이 일반적인 신발과 동일한 평면으로 구성되어 신발 재질 자체의 굴절성 제약으로 발가락의 관절운동을 원활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 상기에서와 같이 선행 기술의 발가락 신발은 통기성과 배수성을 갖추어 발 건강에 기여하고 활동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원활한 발의 굴절운동을 통한 추진력과 운동력은 기존 신발과 다를 바 없으며 신발에 탄력성을 강화하고 발가락의 관절 운동을 원활히 함으로써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 흡수와 발의 피로 완화, 부상 방지에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신발의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신발에 착용되는 형태로 발가락과 발체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발가락의 관절 운동이 발전체로 전달 되도록 하며, 안창에는 발바닥의 굴곡선을 채용하여 굴곡된 형태로서 바닥에 홈과 공기쿠션을 구성하여 탄력성과 통기성을 부여함으로써, 운동시 추진력 증대 및 부상 방지와 피로를 완화하는 발가락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1) 신발의 발가락 부위에서 발가락이 개별적으로 구획되어 발가락의 첫 번째 관절을 감싸면서 이를 발체와 연결되어 지는 형태의 일체형의 위 상피와 상기 위 상피와 동일하게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진 아래 상피를 구성하며, 내구성과 탄력성을 보유한 합성 피혁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함.
(2) 안창은 상기 상피와 같이 발가락부위가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착용 되는 형태로서 상기 위 상피 및 아래 상피와 발가락부위가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며, 안창바닥은 발바닥의 굴곡선을 채용하여 굴곡된 형태로서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가락 부위, 발가락 뿌리 부위, 발꿈치 부위에 각각 홈을 구성하고, 안창 밑바닥에는 각각의 홈이 위치하는 부분에 통기구가 있는 공기쿠션을 구성하고, 밑창은 상기 상피 및 안창에 각각 대응하여 발가락이 구획되어 지고 발바닥의 굴곡선 모양으로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는 발가락 신발.
본 발명에 의한 발가락 신발은 발가락의 관절운동을 원활케 하여 발가락의 운동력을 증대시키고 발가락이 신발 내에 밀착함에 따라 착용감이 증대되어 운동시 발가락과 발목의 부상을 방지하고, 신발 안창에 구성된 공기쿠션으로 운동시 바닥 으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피로를 감소시키며, 신발 내 공기 출입으로 쾌적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어 런닝, 마라톤, 등산 등의 운동 및 야외활동시에 다양도로 착용할 수 있음.
-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에 대하여 실시 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상피와 안창의 분리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안창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안창과 밑창의 측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밑창(위, 바닥)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은 신발의 발가락 부분이 개별적인 발가락 구획으로 구분되어 각각 신발에 착용 된다.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발가락 신발은 발가락 부분이 발가락 형태별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상피 중 위 상피(1) 이 구성된다.
- 본 발가락 신발은 위 상피(1)와 아래 상피(2), 안창(3)과 밑창(4)으로 이루어지며, 위 상피 (1)은 발가락 부분이 발가락별로 구획되어 5개의 발가락이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구획된 발가락 형태는 아래 상피(2)와 안창(3), 밑창(4)과 연결되어 신발의 발가락 부분이 구성된다.
- 위 상피(1)는 각각의 발가락의 첫 번째 관절을 감싸면서 발체와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발가락의 관절 부위로부터 상피 재질이 연장되어 발등 부위의 신발끈을 묶는 부위로 연결되게 된다. 위 상피 (1)은 발가락의 운동력 전달을 견고히 하기 위해 신축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또는 합성피혁 재질로 구성된다.
- 그리고, 위 상피 (1)은 아래 상피(2)와 연결되어 신발의 상부구조를 구성하게 되며, 아래 상피(2)는 위 상피(1)와 같이 동일하게 발가락 부분이 발가락별로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 엄지발가락 관절과 소지발가락 관절 부위(5)와 발가락의 끝 부위 (5)은 발가락 신발의 발가락 부분의 틀을 견고히 유지하고, 운동시 발끝 부위의 마모와 발이 발끝으로 밀리는데 따른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 고무재질로 구성하며, 이 부분은 안창(3) 및 밑창(4)과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발가락 신발을 구성한다.
- 아래 상피(2)의 발가락 끝 부위 (6)은 운동시 발가락 끝 부위를 신축적으로 확장하여 발가락이 발끝으로 밀리면서 발생하는 압력 해소와 부상 방지를 하며, 신축성과 통풍성이 있는 스판텍스 재질로 구성한다. 이 부분은 위 상피(1) 및 안창(3), 밑창 (4)와 동일한 형태로 연결되어 발가락 신발을 구성한다.
- 또한 아래 상피(2)의 옆 부분(8)에 통기구를 구성하여 신발 내에 공기를 출입시켜 신발 안의 쾌적성을 유지한다.
- 상기 상피(1과2)에 의해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은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과 이미 공개 특허 된 발가락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상피가 상부를 구성하는데 그칠 뿐 발 가락의 관절 운동력을 발체로 전달하는 구성이 미비하다는 문제점과 발가락 끝 부분에서 운동시 발이 발끝으로 밀리는데 따른 압력해소와 발가락 끝 부분의 부상방지 기능이 미비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발가락 신발을 구성한다.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발가락 신발은 공기쿠션(10)을 채용한 안창(3)이 포함된다.
-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안창(3)은 맨 발바닥 모양의 자연스런 굴곡선을 채용한 발바닥 형태로 발가락, 발가락 뿌리, 뒤꿈치 등 각각 발바닥 부위가 접촉하는 부위에 홈(7)을 구성하고 홈과 일치하는 안창(3)의 바닥에는 공기쿠션(10)을 구성한다.
- 구체적으로, 안창(3)은 상기 상피(1과2)와 연결되는 형태로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개별적인 발가락이 각각 착용 되도록 하며, 발바닥이 신발 내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잡도록 하기 위해 발가락, 발가락 뿌리, 뒤꿈치 등 각각의 발바닥 부위가 접촉하는 부위에 원 또는 타원형의 홈(7)을 구성하며, 도 5에서와 같이 안창(3) 밑바닥에는 위의 홈(7)과 일치하는 부위에 통기구(11)가 있는 공기쿠션(10)을 구성하여 공기쿠션 (10)의 압축과 자연스런 복원력으로 운동시 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탄력에 의한 운동력을 증대하며 발의 피로 저하와 신발의 쾌적성을 유지한다.
- 안창(3)에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발가락 끝 부위 (5)과 엄지발가락 및 소지발가락 관절 부위(5)에서 내구성과 탄력성이 강한 합성고무 재질을 이용 상기 상피(1과2)와 연결하여 발가락 부위를 견고히 유지하는 틀을 구성하며, 발가락 끝 부분(6)은 신축성과 통기성이 있는 스판텍스 재질로 구성하여, 운동시 발이 앞으로 밀릴 때 발생하는 압력 해소와 발가락 부상을 방지한다.
- 안창(3)의 발가락 관절 부위에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안창 재질의 굴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름(9) 모양을 구성하며, 도 5에서와 같이 안창(3)의 발가락 관절과 발가락 뿌리가 연결되는 부위(12)에는 발가락 관절의 굴곡 된 형태로 굴곡지게 구성하여 발가락과 안창과의 밀착도를 높이고 발가락의 굴절운동을 용이 하겠금 한다.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발가락 신발은 신발 하부에 밑창을 구성한다.
-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신발 밑창(4)은 상기 상피(1과2) 및 안창(3) 같이 연결하여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발가락이 신발에 착용 되는 형태로 구성한다.
- 도 6에서와 같이 밑창(4)는 상기 안창(3)과 연결되는데 안창(3)의 공기쿠션(10)이 접촉되는 부분에 접촉 홈 (7-1)을 구성하며, 엄지발가락 관절부위 및 소지발가락 관절부위(5)와 발가락 끝 부분(5)에 내구성과 탄력성이 강한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상피(1과2) 및 안창 (3)과 연결하여 신발 앞 부분의 틀을 견고히 유지하게 한다.
-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밑창(4)의 발가락 관절 부위는 밑창의 재질이 용이하게 굴절 되겠금 주름 모양(9)을 구성하며. 밑바닥은 발바닥의 굴곡선을 채용하여 발바닥 안쪽 부위(12)를 굴곡지게 구성한다.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요소와 같이 발가락이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발가락이 착용 되는 형태와 발가락을 감싸면서 발체와 연결되는 형태의 일체형 상피 구성에 의해서만이 발가락의 관절 운동력을 확실하게 발체에 전달되도록 하여, 운동시 발의 추진력과 운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신발의 상피와 연결되는 본 발명의 안창의 발가락 부위, 발가락 뿌리 부위, 발꿈치 부위의 홈 구성에 의해 발을 신발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안창 밑의 공기쿠션에 의한 탄력성 증대와 공기 출입 기능으로 발가락과 발목의 부상 방지와 피로 저하 및 신발 내 쾌적성 유지는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발가락 신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의 예는 발명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그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외형도
- 도 2 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평면도
- 도 3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상피와 안창의 분리 구조도
- 도 4 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안창의 평면도
- 도 5 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안창과 밑창의 측면 구조도
- 도 6은 본 발명의 발가락 신발의 밑창(위, 바닥) 평면도

Claims (1)

  1. - 신발의 발가락 부위가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신발에 착용 되는 형태로서, 발가락의 첫 번째 관절을 감싸면서 이를 발체와 연결하는 일체형의 위 상피와 상기 위 상피와 동일하게 발가락 부위가 구획 되어진 아래 상피를 구성하며, 내구성과 탄력성을 보유한 합성 피혁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함. - 안창은 상기 상피와 같이 발가락부위가 구획되어 각각의 발가락이 착용 되는 형태로서 상기 위 상피 및 아래 상피와 발가락부위가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며, 안창바닥은 발바닥의 굴곡선을 채용하여 굴곡된 형태로서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가락 부위, 발가락 뿌리 부위, 발꿈치 부위에 각각 홈을 구성하고, 안창 밑바닥에는 상기의 홈과 일치하는 부위에 통기구가 있는 공기쿠션을 구성하고, 밑창은 상기 상피 및 안창에 각각 대응하여 발가락이 구획되어 지고 발바닥의 굴곡선 모양으로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는 발가락 신발.
KR1020090116295A 2009-11-28 2009-11-28 발가락 신발 KR10113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95A KR101132470B1 (ko) 2009-11-28 2009-11-28 발가락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95A KR101132470B1 (ko) 2009-11-28 2009-11-28 발가락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684A true KR20110059684A (ko) 2011-06-03
KR101132470B1 KR101132470B1 (ko) 2012-03-30

Family

ID=4439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295A KR101132470B1 (ko) 2009-11-28 2009-11-28 발가락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97Y1 (ko) * 2017-07-06 2018-08-31 주식회사 제이더블유파크 발바닥 부착 슈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97Y1 (ko) 2005-04-11 2005-07-14 김동찬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깔창
KR200395479Y1 (ko) 2005-06-14 2005-09-15 (주)평화유통 신발 깔창
KR100869451B1 (ko) 2008-03-19 2008-11-19 (주)한비트레이딩 발가락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97Y1 (ko) * 2017-07-06 2018-08-31 주식회사 제이더블유파크 발바닥 부착 슈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470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087A1 (en) Midsole for a shoe, in particular a running shoe
US20220022596A1 (en) Sole for a shoe, in particular for a running shoe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US7805860B2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US9554621B2 (en) Midsole for a running shoe
US9565889B2 (en) Shoe
US9510644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ES2624137T3 (es) Calzado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20090085381A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110059684A (ko) 발가락 신발
JP2004254803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JP3167656U (ja) 履物
AU2011203310B2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JP2016097171A (ja) 靴底及び靴
JPH05199907A (ja) 靴 底
KR20140093872A (ko) 기능성 신발깔창 및 샌달용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