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087A -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087A
KR20110049087A KR1020090105933A KR20090105933A KR20110049087A KR 20110049087 A KR20110049087 A KR 20110049087A KR 1020090105933 A KR1020090105933 A KR 1020090105933A KR 20090105933 A KR20090105933 A KR 20090105933A KR 20110049087 A KR20110049087 A KR 2011004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s
screw shaft
horizontal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300B1 (ko
Inventor
정영화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09010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실린더에 수평프레임을 설치하고, 파레트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취출하거나 또는 검사할 수 있는 장비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헤드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 방향 저면에 엘엠가이드를 설치하고, 그 엘엠가이드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다수의 헤드를 설치하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서보모터의 모터축에 축설되어 정역 회전하는 스크류축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 엘엠가이드와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헤드를 등 간격으로 이동시켜 간격이 등간격으로 조절되도록 구동하는 헤드이동부재를 스크류축과 헤드에 결합 구성하여 이송장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을 이루는 수평프레임에 서보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서버모터의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접철부가 구비된 다수의 헤드가 등간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헤드가 등 간격으로 거리 조절을 하면서 전자부품을 취출하거나 또는 전자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서보모터에 직접 스크류축을 축설하여 다수의 헤드가 정밀하게 좌,우 등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게되어 다양한 크기의 부품 및 다양한 크기의 파레트에 배치된 부품의 취출 및 성능 검사를 하나의 장비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105933
이송장치, 헤드이송부재, 서보모터, 헤드, 볼부싱, 스크류축, 엘엠가이드,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상하실린더

Description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Head spa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X축을 이루는 다수의 헤드가 서보모터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이동되도록 한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는 다수의 헤드에 각각 부품이송을 위한 버큠을 설치하고, 그 장비의 헤드를 X축인 수평프레임의 저면에 설치하고, Y축인 상하실린더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장착하여 파레트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취출하거나 검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는 헤드의 간격이 대부분 고정된 것이어서 한 종류의 대상물을 이송하거나 취출하는데 한정되어 사용될 수 밖에 없었고, 다른 종류 다른 크기의 대상물을 이송하거나 취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간격으로 헤드의 간격을 재 셋팅해야만 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X축을 이루는 수평프레임에 서보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서버모터의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접철부가 구비된 다수의 헤드가 등간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헤드가 등 간격으로 거리 조절을 하면서 전자부품을 추출하거나 또는 전자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서보모터에 직접 스크류축을 축설하여 다수의 헤드가 정밀하게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하실린더에 수평프레임을 설치하고, 파레트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취출하거나 또는 검사할 수 있는 장비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헤드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 방향 저면에 엘엠가이드를 설치하고, 그 엘엠가이드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다수의 헤드를 설치하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서보모터의 모터축에 축설되어 정역 회전하는 스크류축을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 엘엠가이드와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헤드를 등 간격으로 이동시켜 간격이 등간격으로 조절되도록 구동하는 헤드이동부재를 스크류축과 헤드에 결합 구성하여 이송장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을 이루는 수평프레임에 서보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서버모터의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접철부가 구비된 다수의 헤드가 등간격으로 이동되도록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헤드가 등 간격으로 거리 조절을 하면서 전자부품을 취출하거나 또는 전자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서보모터에 직접 스크류축을 축설하여 다수의 헤드가 정밀하게 좌,우 등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게되어 다양한 크기의 부품 및 다양한 크기의 파레트에 배치된 부품의 취출 및 성능 검사를 하나의 장비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파레트(8)에 설치된 전자부품(81)의 좌표(X,Y)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헤드(23)를 좌,우측으로 등 간격을 이루면서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전자부품(81)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이송장치(1)에 설치되는 다수의 헤드(23a~23h)는 파레트(8)에 설치된 전자부품(81)의 갯수만큼 설치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며,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봐와 같이 8개의 헤드(23a~23h)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장치(2)는 Y축인 상하실린더(21)와 X축인 수평프레임(2)과 상기 수평프레임(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헤드(23a~23h)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실린더(21)에 장착된 수평프레임(2)의 저면에 엘엠가이드(22)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엘엠가이드(22) 후설하는 서보모터(3)의 이송력을 전달받아 좌,우측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면서 이동하는 다수의 헤드(23a~23h)를 설치한다.
상기 수평프레임(2)의 양측단에 각각 모터축(34)이 구비된 서보모터(3)와 베어링(33)이 구비된 고정부(3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모터축(34)과 고정부(32)의 사이에 설치되어 서보모터(3)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정역회전되면서 다수의 헤드(23a~23h)를 도면상에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축(41)을 엘엠가이드(22)와 나란히 설치한다.
즉, 상하실린더(21)의 저면에 수평프레임(2)을 설치하여 상기 수평프레임(2)이 상하실린더(2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수평프레임(2)의 저면에 다수의 헤드(23a~23h)가 좌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엘엠가이드(22)에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첫번째 헤드(23a)는 수평프레임(2)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2)의 저면 일측단에 스크류축(31)이 축설된 서보모터(3)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서보모터(31)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다수의 헤드(23a~23h)가 좌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모터축(34)과 스크류축(31)의 사이에 제1 및 제2축홈(61)(62)이 구비된 감속부(6)를 설치하여, 상기 감속부(6)에 의해 스크류축(31)이 빨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헤드(23a~23h)가 파레트(8)에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다수의 헤드(23a~23h)와 스크류축(31)은 헤드이동부재(4)를 연결하여 스크류축(31)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헤드(23a~23h)가 등 간격으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드이동부재(4)는 다수의 헤드(23a~23h)를 연결하는 접철부(41)와, 상기 접철부(41)로 연결된 헤드(23a~23h)가 스크류축(31)과 연결되어 서보모터(3)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볼부싱(5)으로 구성한다.
상기 접철부(41)는 헤드(23a~23h)의 일측면에 접철대(42)를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고, 그 교차되는 부분에 힌지(43)를 이용하여 헤드(23a~23h)의 일측면에 접철대(42)를 결합한다.
그리고 이웃하는 접철대(42)의 양측 끝단을 교차시켜 힌지(43)로 결합 한다.
즉, 접철대(42)가 교차하는 중간과 양측 끝단에 각각 힌지(43)를 결합시켜 마름모 형상의 접철부(41)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헤드(23a~23h)의 일측면에 접철부(41)를 구성하므로서, 상기 다수의 헤드(23a~23h)는 힌지(43)를 중심으로 펼쳐졌다가 좁혀지는 접철부(41)에 의해 등 간격을 이루면서 헤드(23a~23h)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된다.
상기 끝단 헤드(23h)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스크류축(31)에 축설되는 볼부 싱(5)을 설치하여 상기 접철부(41)로 연결된 다수의 헤드(23a~23h)가 스크류축(31)이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등 간격을 이루면서 좌,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볼부싱(5)은 도 5와 같이 스크류축(31)이 관통 되도록 관통홀(51)을 중앙 부에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51)을 양측단에 각각 걸림부(52)를 형성하여 스크류축(31)에 걸림부(52)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관통홀(51)의 내주면에 다수의 볼홈(53)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볼홈(53)과 스크류축(31)에 치합되게 다수의 볼(54)을 결합한다.
이렇게 헤드(23h)와 스크류축(31)을 볼부싱(5)으로 연결하므로서, 상기 접철부(41)로 연결된 다수의 헤드(23a~23h)는 서보모터(3)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으로 등 가격을 이루면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송장치(1)의 다수개를 열 방식으로 장착하여 도 6의 (a),(b)와 같이 한 번의 공정으로 여러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접철부(41)로 연결된 헤드(23a~23h)의 일측에 인장스프링(44)을 힌지(43)에 연결되게 결합하므로서, 상기 인장스프링(44)의 인장력에 의해 볼부싱(5)과 스크류축(31)의 결합력이 증가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상기 스크류축(31)의 이송력이 볼부싱(5)으로 증가되게 전달되어 다수의 헤드(23a~23h)가 파레트(8)에 설치된 전자부품(81)의 좌표(X,Y)로 정확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헤드(23a~23h)의 저면에 버큠(7) 또는 집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 구성하므로서, 파레트(8)에 다수의 전자부품(81)을 추출 또는 설치 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23a~23h)에 센서 또는 램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 여 설치하므로서 파레트(8)에 설치된 전자부품(81)이 정확한 좌표(X,Y)에 설치된 상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6의(b)와 같이 전자부품 이외에 기계부품을 추출 및 설치 하거나 포장지에 약품 또는 식품들을 담을 때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보모터(3)에 축설된 스크류축(31)을 회전시켜 상기 볼부싱(5)을 스크류축(31)의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볼부싱(5)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접철부(41)로 연결된 다수의 헤드(23b~23h)는 도 3과 도 4와 같이 힌지(43)를 중심으로 접철부(41)가 펼쳐지거나 또는 좁아지면서 다수의 헤드(23a~23h)를 좌우측으로 등 간격을 이루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등 간격으로 이동되는 헤드(23a~23h)가 전자부품(81)이 설치된 좌표(X,Y)와 일치하게 되면 상하실린더(21)를 작동시켜 도 1과 같이 헤드(23a~23h)의 저면에 설치된 버큠(7)을 이용하여 전자부품(81)을 파레트(8)에서 추출하는 것이다.
즉, 접철부(41)는 서보모터(3)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다수의 헤드(23a~23h)를 등 간격으로 이동시켜 설정된 좌표(X,Y)로 헤 드(23a~23h)를 이동시키고, 상하실린더(21)를 작동시켜 전자부품(81)을 추출시키는것이다.
이와 같이 접철부(41)로 연결된 다수의 헤드(23a~23h)가 서보모터(3)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으로 등 간격을 이루면서 이동하므로서, 수평프레임(2)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헤드(23a~23h)가 일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여 한번의 공정으로 전자부품(81)이 설치된 좌표(X,Y)와 일치시켜 추출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철부(41)가 설치된 다수의 헤드(23a~23h)에 인장스프링(44)을 연결하므로서, 상기 인장스프링(44)의 인장력에 의해 볼부싱(5)과 스크류축(31)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등 간격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헤드(23a~23h)가 정확하게 설정된 좌표(X,Y)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3 과 도 4는 본 발명의 등 간격 조절이 가능한 헤드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류축과 볼부싱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이송부재에 의해 실장되는 파레트 및 포장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이송장치, 2: 수평프레임,
3: 서보모터, 4: 헤드이동부재,
5: 볼부싱, 6: 감속부,
7: 버큠, 8: 파레트,
21: 상하실린더, 22: 엘엠가이드,
23: 헤드, 31: 스크류축,
32: 고정부, 33: 베어링,
41: 접철부, 42: 접철대,
43: 힌지, 44: 인장스프링,
51: 관통홀, 52: 걸림부,
53: 볼홈, 54: 볼,
61: 제1축홈, 62: 제2축홈,
81: 전자부품,

Claims (5)

  1. 상하실린더(21)에 수평프레임(2)을 설치하고, 파레트(8)에 배치된 전자부품(81)을 추출하거나 또는 검사할 수 있는 장비가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헤드(23)를 상기 수평프레임(2)의 저면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의 길이 방향 저면에 엘엠가이드(22)를 설치하고, 그 엘엠가이드(2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다수의 헤드(23)를 설치하며,
    수평프레임(2)의 일단에 설치된 서보모터(3)의 모터축(34)에 축설되어 정역 회전하는 스크류축(31)을 상기 수평프레임(2)의 저면에 엘엠가이드(22)와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서보모터(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헤드(23)를 등 간격으로 이동시켜 간격이 등간격으로 조절되도록 구동하는 헤드이동부재(4)를 스크류축(31)과 헤드(23)에 결합 구성하여 이송장치(1)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부재(4)는 헤드(23a)를 수평프레임(2)의 저면 일측에 고정 결합하고, 다수의 헤드(23b~23h)는 엘엠가이드(22)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되,
    상기 끝단 헤드(23h)의 저면에 볼부싱(5)을 결합하고, 그 볼부싱(5)을 스크류축(41)에 축설하여 스크류축(31)의 회전방향에 따라 볼부싱(5)이 스크류축(31)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면서 헤드(23h)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다수의 접철부(41)를 상기 헤드(23a~23h)의 일측면에 힌지(42)로 결합 구성하여 헤드(23h)이동시 상기 접철부(41)가 힌지(42)를 중심으로 접혀졌다가 펼쳐지면서 다수의 헤드(23a~23h)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3.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41)를 결합하는 힌지(42) 사이에 인장스프링(44)을 각각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장치(1)를 다수의 열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5.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3a~23h)의 저면에 부품 취출용 버큠(7) 또는 부품 검사용 센서 또는 램프 또는 집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KR1020090105933A 2009-11-04 2009-11-04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KR10117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933A KR101174300B1 (ko) 2009-11-04 2009-11-04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933A KR101174300B1 (ko) 2009-11-04 2009-11-04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087A true KR20110049087A (ko) 2011-05-12
KR101174300B1 KR101174300B1 (ko) 2012-08-16

Family

ID=4436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933A KR101174300B1 (ko) 2009-11-04 2009-11-04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104A (ko) 2020-08-25 2022-03-04 (주)자비스 엔코더 방식의 위치 결정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656A (ja) 2007-01-30 2008-08-14 Canon Anelva Corp 基板搬送ロボ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104A (ko) 2020-08-25 2022-03-04 (주)자비스 엔코더 방식의 위치 결정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300B1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9683B1 (en) Item inspection apparatus and item inspection method
CA2819588C (en) Deformable thin object spreading device and deformable thin object spreading method
CN102713049B (zh) 折叠装置和折叠方法
US10207494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liquid ejection system, and liquid ejection method
EP2963174B1 (en) Fabric piece folding device
WO2019026377A1 (ja) コイル組立装置、コイル組立方法及び回転電機の製造装置
US10632770B2 (en) Conveyance device, conveyance system, and head control method
KR101174300B1 (ko) 부품이송 및 검사를 위한 장비의 등간격 거리 조절이 가능한 헤드간격조절장치
US9233441B2 (en) Machining system
KR102659873B1 (ko) 의류 폴딩 로봇
JP5741392B2 (ja) 連続搬送組立装置
TW201315665A (zh) 電子元件變距移料裝置
CN103029127B (zh) 机器人手爪
KR101566420B1 (ko) 박스 하부 자동 테이핑장치
JP6010379B2 (ja) 印刷装置
JP6874537B2 (ja) 印刷装置
JP2009143677A (ja) 菓子などの移乗配列装置
US20160001412A1 (en) Surface Machining Device
CN102573319B (zh) 电路基板支承装置及其组装方法、组装装置
CN104869798B (zh) 元件安装装置
CN103231622B (zh) 一种拍照平台压纸拉伸机构
KR100809586B1 (ko) 폭 가변형 이송장치의 자동 센터 조절장치
JP6144407B2 (ja) ロールを用いた原紙の左右張力の自動均衡合わせ装置
ITBO20110010A1 (it)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pannelli di legno o simili
JP6482076B2 (ja) 用紙断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