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120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120A
KR20110047120A KR1020100087994A KR20100087994A KR20110047120A KR 20110047120 A KR20110047120 A KR 20110047120A KR 1020100087994 A KR1020100087994 A KR 1020100087994A KR 20100087994 A KR20100087994 A KR 20100087994A KR 20110047120 A KR20110047120 A KR 20110047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electrode assemblies
electrode
assemblies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319B1 (ko
Inventor
이명로
류명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4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4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located inside the innermost case of the cells, e.g. mandrels, electrodes or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4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inside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7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8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86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ubular or cylind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집전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제1 집전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집전판,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캔을 포함한다. 상기 각 전극 조립체들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전극 조립체들 사이 및/또는 상기 캔의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용량을 구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용량의 요구에 따라 사이즈가 큰 원통형 셀이 요구된다.
동일 용량의 이차 전지에서, 작은 사이즈의 원통형 셀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 보다, 큰 사이즈의 원통형 셀을 한 개 사용하는 것이 셀들을 연결하는 부품이나 회로 장치를 줄이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원통형 셀의 사이즈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고용량 이차 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젤리롤(Jelly Roll) 형태로 전극 조립체를 권취할 때, 저용량 이차 전지를 만들 때 보다 많은 권취 회전수를 필요로 한다.
전극 조립체에서 권취 회전수가 많아질수록 양극과 음극의 폭 차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안전한 원통형 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양극과 음극의 폭 차이의 증대는 이차 전지의 용량을 저하시킨다.
또한, 큰 사이즈의 원통형 셀에서 전극 조립체가 고용량이므로 원통형 셀의 폭발력도 커지기 때문에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고용량 전극 조립체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 셀들을 연결하는 부품 및 회로 장치를 줄이며, 셀 스웰링(cell swelling)을 방지하고, 또한 전해액의 쏠림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집전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제1 집전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집전판,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캔을 포함한다. 상기 각 전극 조립체들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전극 조립체들 사이 및/또는 상기 캔의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비선형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면을 수용하도록 만곡된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비선형부의 곡률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면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제1 서브 스페이서들과 복수의 제2 서브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은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전극 조립체들의 외측면들이 실질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두 개의 대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외측면이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와, 상기 캔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선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의 상기 오목부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인접한 전극 조립체들 사이로 전해액의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캔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는 바닥, 상단, 및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과 바닥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상단 및 바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삽입홀들은 상기 상단과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상기 삽입홀들 각각을 통해 복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홀들이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캔의 내측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와 캔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와 캔은 변형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캔은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만곡부의 곡률은 상기 캔의 만곡부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단일 열(row)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복수 열(row)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제2 집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집전판들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전극 조립체들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두 개의 단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캔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전극 조립체들 사이 및/또는 상기 캔의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전극 조립체들의 외측면들이 실질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서브 스페이서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캔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에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상기 삽입홀들 각각을 통해 복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단일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복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캔 내에 저용량의 원통형 전극 조립체들을 복수로 내장하여 병렬로 연결하므로, 전극 조립체 내에서 양극과 음극의 폭 차이를 최소화하여 단위 셀의 이차 전지를 고용량으로 구현할 수 있고, 외부에서 이차 전지들을 연결하는 부품 및 회로 장치가 줄어들며, 또한 이차 전지가 고용량임에도 전극 조립체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종래의 각형 이차 전지에서 발생되는 셀 스웰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전극 조립체들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이웃하는 저용량 원통형 전극 조립체들을 분리함으로써 캔에 원통형 전극 조립체 삽입시, 원통형 전극 조립체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삽입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가 캔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또한 캔 내부 공간에서 전해액의 쏠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1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10), 제1 집전판(20)(이하에서, "하부 집전판"이라 한다), 제2 집전판(30)(이하에서, "상부 집전판"이라 한다), 캔(40), 캡 플레이트(50), 전극단자(60) 및 스페이서(70)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100)는 하나의 캔(40) 내에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10)을 내장하여 형성된다. 즉 이차 전지(100)는 저용량의 전극 조립체들(10)을 복수로 구비하여 병렬로 연결하므로 고용량을 구현하면서 또한 폭발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은 음극(11)과 양극(1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재인 세퍼레이터(13)를 함께 권취함으로써, 젤리롤(Jelly Roll)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음극(11)과 양극(12) 사이에 개재되어, 양 전극들(11, 12)을 서로 절여시킨다.
예를 들면, 전극 조립체(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전극 조립체(10)의 중심에는 섹터 핀(14)이 배치되고, 섹터 핀(14)은 전극 조립체(10)의 원통 형상을 유지시킨다(도 4 참조).
음극(11) 및 양극(12)은 각각 박판의 금속 호일로 집전체를 형성하고,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11a, 12a)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11b, 12b)를 포함한다. 즉 무지부(11b, 12b)는 각각 코팅부(11a, 12a)의 서로 반대측 끝에 형성된다.
음극(11)의 무지부(11b)에는 제1 리드탭(11c)(이하에서 "음극 리드탭"이라 한다)이 연결되고, 양극(12)의 무지부(12b)에는 제2 리드탭(12c)(이하에서 "양극 리드탭"이라 다)이 연결된다.
따라서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권취하여 형성되는 원통형 전극 조립체(10)에서, 음극 리드탭(11c)은 전극 조립체(10)의 외면에서 일측(하방)으로 돌출되고, 양극 리드탭(12c)은 전극 조립체(10)의 중심에서 음극 리드탭(11c)의 반대측(상방)으로 돌출된다(도 2 참조).
또한, 전극 조립체(10)은 1개의 캔(40) 내에 복수로 배치되므로 캔(40)의 내부 전체 공간에 비하여 작은 체적의 원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회전수가 줄어듦으로써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 유지를 위한 음극(11)과 양극(12)의 폭 차이(W11-W12)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차 전지(100)의 용량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은 양극(12)의 코팅부(12a)와 음극(11)의 코팅부(11a)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양극(12) 코팅부(12a)의 폭(W12)을 음극(11) 코팅부(11a)의 폭(W11)보다 작게 형성(W12<W11)하는데,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회전수가 적어짐에 따라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폭 차이(W11-W12)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도1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들(10) 각각에서, 음극 리드탭들(11c)은 전극 조립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극 조립체들(10)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집전판(20)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양극 리드탭들(12c)은 전극 조립체(1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극 조립체들(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집전판(30)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즉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10)은 하부 집전판(20)과 상부 집전판(30)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되어, 고용량을 구현한다.
캔(40)은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10)을 삽입하여 내장할 수 있도록 일측을 개방하는 직육면체의 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캔(40)은 저용량의 원통형 전극 조립체들(10)을 복수로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므로 고용량의 이차 전지(100)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복수의 이차 전지들(100)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부품이나 회로 장치가 줄어 들 수 있고, 또한 셀 스웰링(cell swelling)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70)는 병렬로 연결되는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 개재되어 이웃하는 전극 조립체들(10)을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며, 전극 조립체들(10)을 삽입하거나 전극 조립체들(10)을 캔(4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들(10)을 고정시킨다. 또한, 스페이서(70)는 전극 조립체들(10)로 형성되는 열(row)의 최외곽에 제공되어 전극 조립체(10)과 캔(40) 사이를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며, 전극 조립체들(10)을 캔(4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들(10)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페이서(70)는 전극 조립체(10)의 높이(H1)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 접촉하는 높이(H2)를 가지며, 이웃하는 원통형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 설정되는 공간을 점유하여 전극 조립체들(10)의 원통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곡면부(71)를 가진다. 제1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10)의 높이(H1)와 스페이서(70)의 높이(H2)가 동일한 구성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의 높이(H2)는 전극 조립체(10)의 높이(H1)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스페이서들(70) 중, 이웃하는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70A)는 곡면부(71)를 양면에 구비하고(도4, 도6 참조), 최외곽 전극 조립체(10)과 캔(4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70B)는 곡면부(71)를 일면에 구비하고, 다른 일면을 캔(4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도 2, 도 4 참조).
스페이서(70)는 곡면부(71)에 높이(H2)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관통홀(72)을 구비한다. 관통홀(72)은 스페이서(70)의 하측에 1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로 형성되는 관통홀(72)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72)은 캔(40) 내에서 스페이서(70)로 구획되는 양측 전극 조립체들(10)에 전해액의 유동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스페이서(70)는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서 전해액의 유동을 안내하여, 전극 조립체(10) 사이들에서 전해액이 한 쪽으로 치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치우친 전해액이 동일한 전해액 레벨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스페이서(70)는 원통형 전극 조립체들(10)의 배치에 따라 전극 조립체들(10)의 열(row) 방향에서 얇은 제1 두께(T1)로 설정되는 곡면부(71)의 중앙부(73)와, 제1 두께(T1) 보다 두꺼운 제2 두께(T2)로 설정되는 곡면부(71)의 외곽부(74)를 가진다.
스페이서(70)는 이웃하는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 개재되므로 전극 조립체들(10)의 방열을 차단한다. 따라서 스페이서(70)는 전극 조립체들(10)의 방열 차단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즉 전극 조립체들(10)의 방열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70)는 외곽부(74)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방열부(75)를 형성한다. 방열부(75)는 스페이서(70)에 의한 전극 조립체들(10)의 외측면 차단을 최소화하고, 외측면의 노출을 증대시킨다.
제1 실시예에서, 방열부(75)는 스페이서(70)의 높이(H2)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 및 요철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 외측면의 노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미도시).
또한, 방열부(75)는 외곽부(74)의 높이(H2) 방향 중앙에 형성되므로 외곽부(74)의 높이(H2) 방향 양단으로 전극 조립체들(10)을 지지하며,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스페이서(70)는 우수한 성형성과 가공성을 가지며,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7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폴리이미드(PI, polyimide)와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 전지(100)는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부가적인 단계가 추가되거나 일부 단계가 제외될 수 있으며, 단계의 순서가 변화될 수 있다. 캔(40)에 전극 조립체(10)를 삽입할 때,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 제1 스페이서(70A)를 개재하고, 전극 조립체들(10) 열(row)의 최외곽에 제2 스페이서(70B)를 구비하여, 전극 조립체들(10)을 제1, 제2 스페이서들(70A, 70B)과 함께 삽입한다.
캔(40)에 전극 조립체(10)와 스페이서(70)를 삽입한 상태에서, 캔(40)은 하부 집전판(20)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극 리드탭(11c)이 하부 집전판(20)에 연결되면, 하부 집전판(20)에 연결되는 캔(40)은 이차 전지(100)에서 음극 단자로 역할 한다. 또한, 전극 조립체(10)에서 양극 리드탭이 하부 집전판에 연결되면, 하부 집전판에 연결되는 캔은 이차 전지에서 양극 단자로 역할 할 수 있다(미도시).
캔(40)은 철이나 알루미늄계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캔(40)이 전극 조립체들(10)의 음극(11)에 연결되어 음극 단자로 역할 하는 경우, 캔(40)은 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캔이 전극 조립체들의 양극에 연결되어 양극 단자로 역할 하는 경우, 캔은 도전성이 철보다 우수한 알루미늄계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캡 플레이트(50)는 전극 조립체들(10)과 스페이서들(70)을 삽입한 캔(40)의 개방 측에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들(10)과 전해액을 내장하는 캔(40)을 밀폐한다.
전극단자(60)는 캡 플레이트(50)에 설치되어, 캔(40)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10)의 양극(12)에 연결된다. 전극단자(60)는 연결부재(31)를 통하여 상부 집전판(30)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31)는 일단으로 상부 집전판(30)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연결구(32)를 형성하여, 전극단자(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극단자(60)는 연결부재(31)와 상부 집전판(30)을 통하여 전극 조립체들(10)의 양극들(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캡 플레이트(50)는 캔(40)을 통하여 전극 조립체들(10)의 음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양극(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31) 및 전극단자(60)는 캡 플레이트(50)와 전기적으로 절연 구조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하부 인슐레이터(33)는 캡 플레이트(50)와 연결부재(31)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부재(31)와 캡 플레이트(50)를 전기적인 절연시킨다. 상부 인슐레이터(34)는 캡 플레이트(50)의 상면과 전극단자(60) 사이 및 캡 플레이트(50)의 전극단자구(51)와 전극단자(60) 사이에 개재되어, 캡 플레이트(50)와 전극단자(6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전극단자구(51)와 전극단자(6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을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스페이서(70)를 예시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의 이차 전지(200)는 전극 조립체들(10) 사이사이에 개재되고 전극 조립체들(10) 외곽에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 구조를 형성하는 스페이서(270)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70)는 캔(2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캔(240)에 대응하는 외관으로, 즉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어지고, 전극 조립체들(10)이 각각 삽입되도록 전극 조립체(10)의 삽입 방향(도7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27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 전지(100)는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부가적인 단계가 추가되거나 일부 단계가 제외될 수 있으며, 단계의 순서가 변화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들(10)을 일체형 스페이서(270)의 삽입구(271)에 각각 삽입한 상태로, 스페이서(270)와 전극 조립체들(10)을 캔(240)에 삽입한다. 제2 실시예의 스페이서(270)는 전극 조립체들(10)의 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캔(240)과 전극 조립체(10)를 공간적으로 이격시키고, 전극 조립체들(10)을 캔(240)에 삽입하거나 삽입한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들(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스페이서(270)는 삽입된 전극 조립체들(10)을 내장하므로 전극 조립체들(10)의 방열을 방해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스페이서(270)는 전극 조립체들(10)의 방열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방열홀(275)를 형성한다. 방열홀(275)는 스페이서(270)에 의한 전극 조립체들(10) 외측면의 차단을 최소화하여, 전극 조립체들(10) 외측면의 노출을 증대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이차 전지(200)는 캔(240) 및 스페이서(270)를 직육면체의 각형으로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제3 실시예의 이차 전지(300)는 캔(340) 및 스페이서(370)를 변형된 직육면체의 각형으로 형성한다.
제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340) 및 스페이서(370)는 직육면체 각형에서 전극 조립체들(10)의 열 방향 양단을 전극 조립체(10)의 외형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변형된 각형으로 형성한다.
열 방향 양단을 곡면으로 형성한 캔(340) 및 스페이서(370)는 이차 전지(300)를 변형된 직육면체의 각형으로 형성한다. 제3 실시예의 이차 전지(300)는 제1, 제2 실시예의 이차 전지(100, 200)에 비하여, 더 작은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70)는 전극 조립체들(10)의 방열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방열홀(375)를 형성한다. 방열홀(375)는 스페이서(370)에 의한 전극 조립체들(10) 외측면의 차단을 최소화하여, 전극 조립체들(10) 외측면의 노출을 증대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400)의 단면도이다.
상기 이차 전지(400)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전극 조립체들(10)을 포함한다. 도 9에는 세 개 열의 전극 조립체들(10)을 예시하였지만, 실시예에서 따라서 그 이상 또는 그 이하 개수 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캔(440)과 스페이서(470)는 복수 열의 전극 조립체들(10)과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캔(440)은 변형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500)의 단면도이다.
상기 이차 전지(500)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전극 조립체들(10)을 포함한다. 도 10에는 세 개 열의 전극 조립체들(10)을 예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그 이상 또는 그 이하 개수 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캔(540)과 스페이서(570)는 복수 열의 전극 조립체들(10)과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캔(54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300 : 이차 전지 10 : 전극 조립체
20 : 제1 집전판(하부 집전판) 30 : 제2 집전판(상부 집전판)
40, 240, 340 : 캔 50 : 캡 플레이트
60 : 전극단자 70, 270, 370 : 스페이서
70A : 제1 스페이서 70B, : 제2 스페이서
11 : 음극 12 : 양극
11a, 12a : 코팅부 11b, 12b : 무지부
11c : 제1 리드탭(음극 리드탭) 12c : 제2 리드탭(양극 리드탭)
13 : 세퍼레이터 14 : 섹터 핀
31 : 연결부재 32 : 관통구
33 : 하부 인슐레이터 34 : 상부 인슐레이터
51 : 전극단자구 71 : 곡면부
72 : 관통홀 73 : 중앙부
74 : 외곽부 75 : 방열부
271 : 삽입구 275, 375 : 방열홀
H1, H2 : 높이 T1, T2 : 제1, 제2 두께
W11 : 음극 코팅부 폭 W12 : 양극 코팅부 폭

Claims (21)

  1. 제1 집전판;
    상기 제1 집전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집전판,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캔
    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전극 조립체들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전극 조립체들 사이 및/또는 상기 캔의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3. 제 2 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원통 형상을 갖는 이차 전지.
  4. 제 3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비선형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면을 수용하도록 만곡된 곡면부를 갖는 이차 전지.
  5. 제 4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비선형부의 곡률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면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이차 전지.
  6. 제 2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제1 서브 스페이서들과 복수의 제2 서브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은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전극 조립체들의 외측면들이 실질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두 개의 대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외측면이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와, 상기 캔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선형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7. 제 6 항에서,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의 상기 오목부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인접한 전극 조립체들 사이로 전해액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이차 전지.
  8. 제 2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캔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는 바닥, 상단, 및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과 바닥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상단 및 바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이차 전지.
  9. 제 8 항에서,
    복수의 삽입홀들이 상기 상단과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상기 삽입홀들 각각을 통해 복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이차 전지.
  10. 제 8 항에서,
    복수의 방열홀들이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캔의 내측면을 향해 노출되는 이차 전지.
  11. 제 8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캔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이차 전지.
  12. 제 8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캔은 변형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캔은 상기 스페이서의 측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만곡부의 곡률은 상기 캔의 만곡부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이차 전지.
  13. 제 1 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단일 열(row)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이차 전지.
  14. 제 1 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복수 열(row)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이차 전지.
  15. 제 1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16. 제 1 항에서,
    제2 집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집전판들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전극 조립체들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집전판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두 개의 단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17.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은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들과, 상기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캔
    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전극 조립체들 사이 및/또는 상기 캔의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전극 조립체들의 외측면들이 실질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8. 제 17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서브 스페이서들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서브 스페이서들 각각은 상기 전극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9. 제 17 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캔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에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상기 삽입홀들 각각을 통해 복수의 상기 전극 조립체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이차 전지.
  20. 제 17 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단일 열(row)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이차 전지.
  21. 제 17 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들은 상기 캔 내부에서 복수 열(row)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이차 전지.
KR1020100087994A 2009-10-29 2010-09-08 이차 전지 KR101233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602309P 2009-10-29 2009-10-29
US61/256,023 2009-10-29
US12/870,662 2010-08-27
US12/870,662 US8546007B2 (en) 2009-10-29 2010-08-27 Rechargeable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20A true KR20110047120A (ko) 2011-05-06
KR101233319B1 KR101233319B1 (ko) 2013-02-14

Family

ID=4358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994A KR101233319B1 (ko) 2009-10-29 2010-09-08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6007B2 (ko)
EP (1) EP2317587B1 (ko)
JP (1) JP5538178B2 (ko)
KR (1) KR101233319B1 (ko)
CN (1) CN102054954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13B1 (ko) * 2013-12-30 2015-06-11 (주)에스제이신소재 권취형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일체형 이차전지
EP2894691A1 (en) * 2014-01-08 2015-07-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20160039417A (ko) * 2014-10-01 2016-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KR20160048592A (ko) * 2014-10-24 2016-05-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외부 지지체가 장착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0071656A1 (ko) * 2018-10-01 2020-04-09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3562B2 (en) * 2010-11-01 2017-01-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2013118161A (ja) * 2011-12-02 2013-06-13 ▲蘇▼州冠▲碩▼新能源有限公司 電池蓋組立部材、この電池蓋組立部材を備えた電池アセンブリ及びこの電池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6102057B2 (ja) * 2012-02-15 2017-03-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6102058B2 (ja) * 2012-02-15 2017-03-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6232848B2 (ja) * 2012-09-26 2017-11-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WO2014059348A2 (en) 2012-10-11 2014-04-17 Lampe-Onnerud Maria Christina Lithium ion battery
US10790489B2 (en) 2012-10-11 2020-09-29 Cadenza Innovation, Inc. Lithium ion battery
US10637022B2 (en) 2012-10-11 2020-04-28 Cadenza Innovation, Inc. Lithium ion battery
US9847182B2 (en) * 2012-11-30 2017-12-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 storage apparatus configured to pass a heat exchange medium
CN103887463B (zh) * 2012-12-19 2018-02-13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圆筒形电池
DE102014202337A1 (de) 2014-02-10 2015-08-13 Robert Bosch Gmbh Gehäuse mit verbesserter Wärmeleitung
DE102014209286A1 (de) 2014-05-16 2015-11-19 Robert Bosch Gmbh Batterieeinheit mit einer Mehrzahl von elektrochemischen Zellen sowie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von Batterieeinheiten
JP6535982B2 (ja) * 2014-06-13 2019-07-0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101909616B1 (ko) 2014-07-31 2018-10-18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배터리 스페이서, 전기 코어 보호 어셈블리 및 파워 배터리
US10833298B2 (en) * 2015-09-18 2020-11-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device
KR102517901B1 (ko) * 2015-10-02 2023-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5220335A1 (de) * 2015-10-19 2017-04-20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integriertem Kühlelement
KR102553087B1 (ko) * 2015-12-21 2023-07-0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6743417B2 (ja) 2016-02-29 2020-08-1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8147618A (ja) * 2017-03-02 2018-09-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7021589B2 (ja) * 2018-03-30 2022-02-17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モジュール及び蓄電デバイスホルダー
GB2575981B (en) * 2018-07-30 2022-09-07 Gp Batteries International Ltd A battery
EP3850683A1 (en) 2018-09-11 2021-07-21 Energizer Brands, LLC Hearing aid battery with slotted grommet
US11145932B2 (en) 2018-09-24 2021-10-1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cell module and battery pack
US11641044B1 (en) 2020-04-14 2023-05-02 Energizer Brands, Llc Battery housing and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N113451690A (zh) * 2021-05-14 2021-09-28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方形锂电池
KR20230108138A (ko) * 2022-01-10 2023-07-18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039B2 (ja) 1998-09-22 2006-09-20 宇部興産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3695983B2 (ja) 1999-03-29 2005-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電池
JP4496582B2 (ja) 1999-12-28 2010-07-07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二次電池
JP5049436B2 (ja) * 2001-09-28 2012-10-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JP3826895B2 (ja) 2003-04-04 2006-09-27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497252B1 (ko) 2003-09-09 2005-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0530158B1 (ko) * 2003-10-15 2005-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분리하부테잎이 부착된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JP4578147B2 (ja) 2004-04-30 2010-11-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570625B1 (ko) 2004-07-28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772043Y (zh) * 2004-11-11 2006-04-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卷绕组合式锂离子二次动力电池
JP2006331975A (ja) * 2005-05-30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合電池
CN100470916C (zh) 2005-11-08 2009-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
EP1969655B1 (en) * 2005-12-27 2011-11-23 LG Chem, Ltd. Frame membe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0988445B1 (ko) * 2006-02-13 2010-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제조용 스페이서
JP5079782B2 (ja) * 2006-03-20 2012-11-21 中信国安盟固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ソフトパッケージ大容量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7982B1 (ko) * 2006-03-28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873308B1 (ko) * 2006-06-05 2008-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두 개 이상의 유닛 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용량 전지셀
KR20090031444A (ko) 2006-08-10 2009-03-25 파나소닉 주식회사 밀폐형 전지
JP2008135374A (ja) 2006-10-24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二次電池
KR100824885B1 (ko) * 2006-10-24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323826B2 (en) * 2006-10-24 2012-12-04 Panasonic Corporation Sealed secondary battery
JP4906538B2 (ja) * 2007-02-28 2012-03-2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963981B1 (ko) * 2007-03-26 2010-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딩량이 다른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는 젤리-롤
JP5115696B2 (ja) 2007-05-16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CN101836310B (zh) 2007-07-16 2013-03-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二次电池的电连接构件
CN101803067B (zh) * 2007-07-16 2013-06-05 株式会社Lg化学 基于机械连接方式的二次电池组
KR100876265B1 (ko) 2007-08-30 2008-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케이스 및 그를 이용한 전지 팩
FR2928035B1 (fr) 2008-02-22 2011-08-19 Saft Groupe Sa Connexion electrique pour accumulateur de courant.
US8628876B2 (en) * 2008-06-20 2014-01-14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ame
KR101002498B1 (ko) * 2008-06-20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009517B1 (ko) * 2008-06-23 2011-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CN201438490U (zh) 2009-04-30 2010-04-14 天津市捷威动力工业有限公司 一种锂离子动力电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13B1 (ko) * 2013-12-30 2015-06-11 (주)에스제이신소재 권취형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일체형 이차전지
WO2015102360A1 (ko) * 2013-12-30 2015-07-09 세진이노테크(주) 권취형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일체형 이차전지
EP2894691A1 (en) * 2014-01-08 2015-07-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20160039417A (ko) * 2014-10-01 2016-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KR20160048592A (ko) * 2014-10-24 2016-05-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외부 지지체가 장착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0071656A1 (ko) * 2018-10-01 2020-04-09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전지
US11876166B2 (en) 2018-10-01 2024-01-1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7587A2 (en) 2011-05-04
EP2317587B1 (en) 2015-05-13
KR101233319B1 (ko) 2013-02-14
US8546007B2 (en) 2013-10-01
JP5538178B2 (ja) 2014-07-02
CN102054954A (zh) 2011-05-11
JP2011096660A (ja) 2011-05-12
EP2317587A3 (en) 2014-04-09
CN102054954B (zh) 2014-08-13
US20110104540A1 (en)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319B1 (ko) 이차 전지
KR101319383B1 (ko) 이차 전지
US9548475B2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0570625B1 (ko) 이차 전지
US10601091B2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8852789B2 (en)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cell holder
KR100560498B1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1084055B1 (ko) 이차 전지
US9543562B2 (en) Secondary battery
US9005803B2 (en) Secondary battery
KR20130116087A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US8551645B2 (en) Can for cylindrical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cylindrical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US20210135325A1 (en)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KR20180127769A (ko) 이차 전지
KR20170005581A (ko) 냉매 유로 관을 포함하는 전지셀
US9147878B2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t least a first and second electrode each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US8758927B2 (en) Secondary battery
US20210104794A1 (en) Lithium-air battery package
US9012059B2 (en) Secondary battery
CN112119524A (zh) 电极组件
KR100590100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20040058922A (ko) 각형 리튬 이차 전지
JP2024055266A (ja) 蓄電装置
KR20240049152A (ko) 축전 장치
KR20210119847A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