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517B1 -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517B1
KR101009517B1 KR1020080059128A KR20080059128A KR101009517B1 KR 101009517 B1 KR101009517 B1 KR 101009517B1 KR 1020080059128 A KR1020080059128 A KR 1020080059128A KR 20080059128 A KR20080059128 A KR 20080059128A KR 101009517 B1 KR101009517 B1 KR 10100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rear end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925A (ko
Inventor
오정원
김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517B1/ko
Priority to US12/487,966 priority patent/US9048489B2/en
Priority to EP09163394.1A priority patent/EP2139057B1/en
Priority to JP2009148347A priority patent/JP5330117B2/ja
Priority to CN200910150449.5A priority patent/CN101615694B/zh
Publication of KR2009013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극탭을 최외각에 고정시켜 전극탭의 발열을 완화시키고, 전극 조립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무지부 영역에 절연 부재를 부착하여 무지부와 활물질층 또는 무지부와 무지부 간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되어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전극탭, 무지부, 활물질층, 단락

Description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핸드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7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양극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과, 캔형과, 파우치형으로 구분된다.
리튬 이차 전지의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가 적층되거나,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판은 집전체와,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는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다. 집전체의 양단부는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무지부 영역이 존재한다. 전극판의 무지부 영역에 일반적으로 전극탭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에서 전극판에 전극탭이 용접되는 부위는 이종금속이 접속되는 부위이므로 내부 저항(internal resistance, IR)이 증가되어 발열이 집중된다. 따라서 전극탭이 설치되는 부분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어 전극판과 전극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이차 전지는 전극탭이 설치되는 부분과 활물질층과 무지부의 경계부분에 절연테이프가 부착된다. 그리고 활물질층과 무지부의 경계부분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는 다른 극판과의 접촉으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호 테이프 또는 절연 테이프는 전극판의 일부영역에 한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를 차단하는 세퍼레이터가 전극탭에 의한 내부 발열로 인해 수축되면서 절연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은 전극판의 무지부와 다른 전극판의 활물질층이 접촉되면 전지의 내부 단락이 발생된다.
또한, 전극판의 무지부와 다른 전극판의 무지부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서도 전지의 내부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지의 내부 단락은 전지의 발화 또는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 생으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충방전에 의한 전극탭의 발열 및 발화의 위험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퍼레이터의 수축시 전극판의 무지부와 다른 전극판의 활물질층의 접촉으로 인한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퍼레이터의 수축시 전극판의 무지부와 다른 전극판의 무지부의 접촉으로 인한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 조립체는 집전체의 양단에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를 구비한 제 1 전극판과; 집전체의 양단에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를 구비한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1 전극 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 1 전극판의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1 전극탭; 및 상기 제 2 전극판의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2 전극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탭과 제 2 전극탭은 전극 조립체의 권취시 최외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극판의 최외각에는 후단 무지부의 적어도 일면에 절연 부재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외면과 마주보는 제 1 전 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내면에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 1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외면에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전극판의 선단 무지부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전극판의 선단 무지부의 양면에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부재는 절연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전극탭의 활물질층과 무지부의 경계부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극판은 양극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전극판은 음극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극 조립체를 여러가 지 기술적 특징을 선택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최외각에 전극탭이 설치되므로 전극탭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어 과충방전에 의한 전극탭의 발열 및 발화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최외각에 권취되는 전극판의 무지부에 절연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수축시 전극판의 무지부와 다른 전극판의 활물질층의 접촉으로 인한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최외각에 권취되는 전극판의 무지부에 절연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수축시 전극판의 무지부와 다른 전극판의 무지부의 접촉으로 인한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판(110)과 음극판(120) 및 세퍼레이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110)과 음극판(120)은 세퍼레이터(130)가 사이에 게재되어 적층된 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된다.
상기 양극판(110)은 박판의 알루미늄 호일로 된 양극집전체(111)와 상기 양극집전체(111)의 양면에 코팅되는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층(112)을 포함하고 있다. 양극집전체(111)상에는 양극 활물질층(112)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인 양극무지부(posi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113)가 양극판(11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111)에는 양극탭(140)이 초음파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양극탭(140)의 단부는 상기 양극집전체(110)의 상단부 위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양극탭(140)은 통상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되며 다른 금속소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판(120)은 박판의 구리 호일로 된 음극집전체(121)와 상기 음극집전체(121)의 양면에 코팅된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층(122)을 포함 하고 있다. 상기 음극집전체(121)에도 음극 활물질층(122)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인 음극무지부(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123)가 음극판의 양 끝단에 소정 영역으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123)에는 음극탭(150)이 초음파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음극탭(150)의 단부도 상기 음극집전체(121)의 상단부 위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음극탭(150)은 통상 니켈 또는 니켈합금으로 형성되며 다른 금속소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각 전극판(120, 130) 간의 절연을 위하여 상기 양극판(110)과 음극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양극판(110)과 음극판(12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양극판(110)과 음극판(120)의 상,하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절연 부재로서 절연 테이프를 사용한다. 절연 테이프로는 보호 테이프(160), 라미네이션 테이프(170)(180)가 사용되어 부착된다. 상기 절연 테이프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폴리불화 비닐리덴(PVDF) 등의 불소 수지,폴리이미드,액정 폴리머(LCP),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폴리염화비닐(PVC),아세테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로 된 절연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절연 테이프는 전해액이나 리튬 이온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절연성 재료이면 어떠한 재질이든지 사용가능하다.
상기 보호 테이프(160)는 전극탭(140,150)이 전극판(110,120)에서 용접된 부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보호 테이프(160)에 의해 전극탭(110,120)이 전극판(110,120)로부터 돌출된 부위에 의해 세퍼레이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170)(180)는 전극판(110,120)의 기재인 집전체(111,121)의 양면에서 활물질층(112,122)의 형성이 시작되는 부위와 종료되는 부위에 부착된다. 이는 활물질의 도포시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이 돌출되므로 활물질층(112,122)의 돌출 부위에 의해 세퍼레이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판(110)과 세퍼레이터(130)와 음극판(120)이 젤리-롤 타입으로 권취시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의 양단에 형성된 무지부(113,123) 중에서 권취가 시작되는 무지부를 선단 무지부(113A,123A)라 칭하고, 권취가 종료되는 무지부를 후단 무지부(113B,123B)라 칭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의 선단이 위치하는 부분을 전극 조립체의 내주부라 정의하고,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의 후단이 위치하는 부분을 전극 조립체의 외주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외주부에 양극탭(140)과 음극탭(150)이 설치된다.
상기 양극탭(140)은 후단 양극무지부(113B)에 용접되며 보호 테이프(160)가 부착된다. 상기 음극탭(150)은 후단 음극무지부(123B)에 용접되며 보호 테이프(160)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판(110)은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내면에 절연 부재가 부착된다. 이러한 절연 부재는 활물질층(112)과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경계부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 테이프(170A)이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170A)는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판(110)의 라미네이션 테이프(170A)는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의 외면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의 내면과 대응되는 상기 양극판(110)의 외면에도 절연 부재가 부착된다. 이러한 절연 부재는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경계부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 테이프(170B)이다. 상기 라미네이션 테이프(170B)는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의 내면과 대응된다.
이때,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 또는 양극무지부(113B) 및 음극무지부(123B)에서 외면은 전극조립체의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면을 지칭하고, 내면은 전극조립체의 안쪽을 향하는 면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100)의 내주부에서 양극판(110)의 선단 양극무지부(113A)의 양면에 라미네이션 테이프(18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 션 테이프(180)는 음극판(120)의 음극활물질층(122) 및 선단 음극무지부(123A)와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부에는 양극탭(140)과 음극탭(150)이 설치된다. 즉, 양극판(110)의 최외각에 양극탭(140)이 초음파 용접되어 보호 테이프(160)가 부착되고, 음극판(120)의 최외각에 음극탭(150)이 초음파 용접되어 보호 테이프(160)가 고정된다. 따라서 양극탭(140)과 음극탭(150)은 전극 조립체(100)의 최외각에 위치되어 있어 전지의 충방전시 양극탭(140)과 음극탭(150)에 집중되는 발열이 완화된다. 그러므로 양극탭(140)와 음극탭(150)의 발열로 인해 양극판(110)과 음극판(120)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극 조립체(10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양극탭(140)과 음극탭(150)은 전극조립체(100)의 내주부에 위치하는 전극탭 보다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내면에는 라미네이션 테이프(170A)가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판(110)의 라미네이션 테이프(170A)는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의 외면과 대응된다. 그러므로 양극판(110)과 음극판(120)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0)가 손상되거나 수축이 발생되더라도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는 음극판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와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는,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는 음극판의 활물질층(122)과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양극판의 양극무지부와 음극판의 활물질층의 접촉시 전지의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험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의 외면에는 라미네이션 테이프(170B)가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의 내면과 대응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극판(110)과 음극판(120)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0')가 손상되거나 수축이 발생되더라도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는 양극판(110)의 후단 무지부(113B)와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는, 음극판(120)의 후단 음극무지부(123B)는 양극판(110)의 활물질층(112)과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음극판(120)의 음극무지부(123B)와 양극판(110)의 활물질층(112)의 접촉으로 인한 내부 단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 조립체(100)은 양극판(110)의 양극탭(140)과, 음극판(120)의 음극탭(150)이 모두 전극 조립체(100)의 최외각에 위치하여 전극탭의 발열에 의한 내부 단락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130)(130')의 손상 또는 수축시 절연 부재인 라미네이션 테이프(170A)(170B)에 의해 음극판(120)의 후단 무지부(123B)는 양극판(110)의 후단 양극무지부(113B) 또는 양극활물질층(112)과 절연되므로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 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부에서 발생되는 단락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라미네이션 테이프(180)에 의해 양극판(110)의 선단 양극무지부(113A)의 양면이 절연되어 있어 음극판(120)의 선단 음극무지부(123A) 또는 활물질층(122)과의 단락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 조립체(100)의 절연 부재(160)(170)(180)는 양극탭(140) 및 음극탭(150)의 단락을 방지하고, 양극판(110)의 양극무지부(113A)(113B)와 음극판(120)의 활물질층(122)의 단락 및 음극판(120)의 음극무지부(123A)(123B)와 양극판(110)의 활물질층(112)의 단락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 조립체(100)는 파우치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상태에서 파우치와 전극탭(140)(150)간의 단락 및 전극판의 무지부와 활물질층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00)를 이용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을 수용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10)를 제공한다.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1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안착되는 내부 공간(11)을 갖는 제 1 케이스(12)와, 제 1 케이스(12)를 밀봉하는 제 2 케이스(13)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의 제 1,2 케이스는(12)(13)는 절연층, 금속층 및 보호층이 순차 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절연층은 최내각층으로 절연성 및 열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고, 금속층은 수분 침투 방지와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층은 최외각층으로 전지의 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우치의 재질이나 형상을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100)는 제 1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탭(140) 및 음극탭(150)은 밀봉되는 제 1 케이스(12)와 제 2 케이스(13)의 외부로 인출된다. 전극 조립체(100)가 제 1 케이스(12)의 내부에 수납된 후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내부 공간(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밀폐면에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 1 케이스(12)와 제 2 케이스(13)를 밀봉하면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10)의 제조가 완료된다.
제조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10)의 내부에 수납된 전극 조립체(100)에 의해 전극탭(140)(150)에 의한 발열을 완화시키는 효과 및 전극판의 무지부와 활물질층, 전극판의 무지부와 무지부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10)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각형 또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에 적용시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이용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절연 부재인 라메네이션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1 ; 내부 공간 12,13 ; 제 1,2 케이스
100 ; 전극 조립체
110 ; 제 1 전극판 111 ; 제 1 전극판의 집전체
112 ; 제 1 전극판의 활물질층 113A,113B ; 제 1 전극판의 선,후단 무지부
120 ; 제 2 전극판 121 ; 제 2 전극판의 집전체
122 ; 제 2 전극판의 활물질층 123A,123B ; 제 2 전극판의 선,후단 무지부
130,130' ; 세퍼레이터 140 ; 제 1 전극탭
150 ; 제 2 전극탭 160,170,180 ; 절연 부재

Claims (12)

  1. 집전체의 양단에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를 구비한 제 1 전극판과;
    집전체의 양단에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를 구비한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1 전극 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 1 전극판 후단 무지부의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1 전극탭;
    상기 제 2 전극판 후단 무지부의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2 전극탭; 및
    상기 제 1 전극판의 최외각에는 후단 무지부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내면에서 상기 제 1 전극판의 후단무지부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 1 전극판의 후단 무지부의 외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전극판의 선단 무지부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전극판의 선단 무지부의 양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절연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전극판의 제 1전극탭의 활물질층과 무지부의 경계부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양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판은 음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2. 상기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080059128A 2008-06-23 2008-06-23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00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28A KR101009517B1 (ko) 2008-06-23 2008-06-23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US12/487,966 US9048489B2 (en) 2008-06-23 2009-06-19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EP09163394.1A EP2139057B1 (en) 2008-06-23 2009-06-22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09148347A JP5330117B2 (ja) 2008-06-23 2009-06-23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200910150449.5A CN101615694B (zh) 2008-06-23 2009-06-23 电极组件和使用该电极组件的锂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28A KR101009517B1 (ko) 2008-06-23 2008-06-23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925A KR20090132925A (ko) 2009-12-31
KR101009517B1 true KR101009517B1 (ko) 2011-01-18

Family

ID=4109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128A KR101009517B1 (ko) 2008-06-23 2008-06-23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48489B2 (ko)
EP (1) EP2139057B1 (ko)
JP (1) JP5330117B2 (ko)
KR (1) KR101009517B1 (ko)
CN (1) CN10161569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9046B2 (en) 2014-10-31 2017-11-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80016329A (ko) * 2015-06-09 2018-02-14 소니 주식회사 전지, 전지 팩, 전자 기기, 전동 차량, 축전 장치 및 전력 시스템
US11387494B2 (en) 2018-02-14 2022-07-12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377B1 (ko) * 2009-07-16 2012-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815437B2 (en) * 2009-09-10 2014-08-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5363444B2 (ja) * 2009-10-01 2013-12-1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546007B2 (en) * 2009-10-29 2013-10-0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5087110B2 (ja) * 2010-06-21 2012-11-2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
EP2610954B8 (en) * 2010-08-23 2019-01-23 LG Chem, Ltd. Improved jelly-roll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US9490464B2 (en) * 2010-10-01 2016-1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22415B1 (ko) 2011-01-13 2013-01-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EP2642560B1 (en) * 2011-01-25 2018-06-27 LG Chem, Lt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N102122727A (zh) * 2011-01-30 2011-07-13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及其电池单体
KR101584830B1 (ko) * 2011-02-18 2016-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254865B1 (ko) * 2011-03-10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935265B2 (ja) 2011-08-29 2016-06-15 Tdk株式会社 巻回型電気化学デバイス
KR101867614B1 (ko) * 2011-12-08 2018-06-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CN103178233B (zh) * 2011-12-22 2015-07-22 有量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安全性修饰极耳的锂电池
KR101987335B1 (ko) * 2012-01-20 2019-06-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JP2013201094A (ja) * 2012-03-26 2013-10-03 Hitachi Maxell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981809B2 (ja) * 2012-08-31 2016-08-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KR101547403B1 (ko) * 2013-01-11 2015-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95611B1 (ko) * 2013-03-22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US20150194645A1 (en) * 2014-01-06 2015-07-09 Rfa Brands, Llc Dba Mycharge Portable storage container for an electrical energy device
WO2015198526A1 (ja) * 2014-06-26 2015-12-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捲回型電池
KR102279223B1 (ko) * 2014-11-25 2021-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0566598B2 (en) * 2015-07-10 2020-02-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having separator protection provided to electrode
CN108028433B (zh) 2015-09-09 2021-04-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
KR102124106B1 (ko) 2015-11-26 2020-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CN205388988U (zh) * 2016-03-24 2016-07-20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极片
CN109565084A (zh) * 2016-06-24 2019-04-0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卷绕式电芯
KR102624595B1 (ko) * 2016-12-23 202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의 활물질 도포 방법 및 상기 배터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10168777A (zh) * 2017-02-27 2019-08-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102422921B1 (ko) * 2017-04-07 2022-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경화 방지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
JP6737235B2 (ja) * 2017-05-22 2020-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05437A (ja) * 2017-09-11 2021-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912333B2 (ja) * 2017-09-14 2021-08-04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極アセンブリ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WO2019069890A1 (ja) * 2017-10-06 2019-04-11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2272877B (zh) * 2018-04-11 2022-12-0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以及电池
CN111883740B (zh) * 2018-06-22 2021-09-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极片及二次电池
WO2020017923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459970B1 (ko) 2018-11-27 2022-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이차 전지
CN110429328B (zh) * 2019-08-09 2022-06-28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电池内部温升的方法
KR20210077512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부 단락 평가용 전지 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셀의 내부 단락 평가 방법
KR20210112573A (ko) * 2020-03-05 2021-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3916870A1 (de) * 2020-05-29 2021-12-01 VARTA Microbattery GmbH Energiespeicherelement mit prismatischem gehäuse
KR20220023095A (ko) * 2020-08-20 2022-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20059102A (ko) *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용접성이 우수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2314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8020193A (zh) * 2021-12-08 2024-05-10 株式会社Lg新能源 卷绕形电极组件和包括该卷绕形电极组件的圆柱形锂二次电池
WO2023184453A1 (zh) * 2022-03-31 2023-10-0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用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184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젤리롤 형 전극 조립체를 가지는 이차전지
KR20060037846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70097149A (ko) * 2006-03-28 2007-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712A (ja) * 2000-04-19 2001-11-02 Nec Mobile Energy Kk 密閉型電池
JP2002093404A (ja) 2000-09-19 2002-03-29 Gs-Melcotec Co Ltd 偏平型電池
KR100509606B1 (ko) * 2003-02-19 2005-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 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KR100515830B1 (ko) * 2003-03-12 2005-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N2645251Y (zh) 2003-09-28 2004-09-29 惠州Tcl金能电池有限公司 一种卷绕型锂电池电芯
JP4502616B2 (ja) * 2003-09-30 2010-07-14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ィルム状外装体を有する電池
JP2005222887A (ja) 2004-02-09 2005-08-18 Sony Corp 電極捲回型電池
KR100601548B1 (ko) * 2004-05-25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798967B2 (ja) * 2004-06-14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
DE602005011217D1 (de) 2004-09-22 2009-01-08 Samsung Sdi Co Ltd Kompositmaterialband für sekundäre Lithiumbatterien und sekundäre Lithiumbatterien dieses verwendend
KR100561303B1 (ko) 2004-09-22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JP4649993B2 (ja) * 2005-01-12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184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젤리롤 형 전극 조립체를 가지는 이차전지
KR20060037846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70097149A (ko) * 2006-03-28 2007-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9046B2 (en) 2014-10-31 2017-11-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80016329A (ko) * 2015-06-09 2018-02-14 소니 주식회사 전지, 전지 팩, 전자 기기, 전동 차량, 축전 장치 및 전력 시스템
KR102122636B1 (ko) * 2015-06-09 2020-06-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지, 전지 팩, 전자 기기, 전동 차량, 축전 장치 및 전력 시스템
US11387494B2 (en) 2018-02-14 2022-07-12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5144A1 (en) 2010-02-11
KR20090132925A (ko) 2009-12-31
JP5330117B2 (ja) 2013-10-30
EP2139057B1 (en) 2019-05-01
EP2139057A1 (en) 2009-12-30
CN101615694B (zh) 2014-09-24
US9048489B2 (en) 2015-06-02
JP2010003697A (ja) 2010-01-07
CN101615694A (zh)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517B1 (ko)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106377B1 (ko) 이차 전지
US11437683B2 (en) Battery cell of venting structure using taping
KR100449757B1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JP4485217B2 (ja) ジェリーロール型の電池部と、このワインディング方法及びこれを具備し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5214543B2 (ja) 二次電池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0948848B1 (ko) 전지부 유니트와,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6595162B2 (ja) 2次電池の製造方法
KR100601548B1 (ko) 이차전지
JP2007035638A (ja) 二次電池
JP2009110928A (ja)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11464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047B1 (ko) 배터리 셀
US20160028051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for preventing water permeation
JP2004356085A (ja) ジェリーロール型の電極組立体とこれを採用した二次電池
KR101243550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한 안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200008877A (ko) 이차 전지
JP4779287B2 (ja) 電池極板の製造方法
KR20040005242A (ko) 단락방지수단이 형성된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리튬이차전지
KR20230048927A (ko)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9950A (ko) 이차 전지
KR20060019768A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