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498B1 -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498B1
KR100560498B1 KR1020040035482A KR20040035482A KR100560498B1 KR 100560498 B1 KR100560498 B1 KR 100560498B1 KR 1020040035482 A KR1020040035482 A KR 1020040035482A KR 20040035482 A KR20040035482 A KR 20040035482A KR 100560498 B1 KR100560498 B1 KR 10056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sitive
terminals
unit cell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462A (ko
Inventor
조규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498B1/ko
Priority to US11/131,232 priority patent/US7393608B2/en
Priority to CNB200510070995XA priority patent/CN100355116C/zh
Priority to JP2005147019A priority patent/JP4515961B2/ja
Publication of KR2005011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공간활용도를 높여 단위 면적당 출력과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전극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양,음극 단자들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양극 단자, 음극 단자, 캡 조립체, 전지 모듈, 연결도체

Description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출력 대용량 전지에 있어서 단위 전지간 연결구조를 개선시킨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써,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 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 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 전지는 전극군과 케이스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위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띠 상의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형성하거나,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복수개로 적층하여 전극군을 형성한 후 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각형의 단위 전지는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6-86259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각형의 케이스 상에 단자가 돌출설치된 캡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모든 이차 전지의 경우 전지의 한 측면으로만 단자가 설치되어 단위 전지간 연결이 어렵고 전지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전극군을 이루는 양, 음극판은 전지 작용시 발생되는 전류를 집전 하기 위한 역할로서 도전성 탭(tap)이나 집전판이 각기 부착되고, 상기 탭이나 집전판은 캡 조립체에 설치된 양,음극 단자와 리드 등을 매개로 연결되어 양,음극판에서 발생된 전류를 양,음극 단자로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양,음극 단자가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 쪽에만 위치하게 됨으로써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단위 전지간 연결을 위해 별도의 도전체를 구비해야 하므로 연결이 어렵고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게 되며 단위 전지간 다양한 연결방식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 모듈로 각각의 단위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100)을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데, 각 단위 전지(111)의 캡 조립체(1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가 이웃하는 단위 전지(111)의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 전지(111)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115)와 양극단자(114)간에 너트(117,118)를 매개로 도전체(116)를 연결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단위 전지의 케이스 저부가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양,음극 단자가 모두 케이스 상부쪽에만 배치되어 있어서 단위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각 단위 전지를 측방향으로만 배치해야 되고, 이에 따라 단일 공간 내에 단위 전지를 보다 많이 적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의 경우 더욱 심각한 데, HEV용 이차 전지의 경우 무엇보다 대용량 고출력이 요구되므로 단일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수의 단위 전지가 설치되어야 하나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차 전지 구조는 단 위 전지간 공간 배치가 전지의 측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단위 면적 대비 용량과 출력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 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 도전체를 너트로 연결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도전체 사용으로 원가의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공간활용도를 높여 단위 면적당 출력과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간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연결작업 및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이차 전지를 이루는 케이스의 양단으로 단자가 설치됨을 그 요지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전극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양,음극 단자들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전극군이 젤리롤 형태로 감기고 상기 케이스가 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극군을 이루는 상기 양,음극판은 집전체와 활물질이 코팅된 코팅부와,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지는 데, 본 이차 전지의 경우 상기 무지부는 각 극판의 일측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극군의 양단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캡 조립체가 상부를 향하도록 케이스를 세웠을 때 음극판의 무지부와 양극판의 무지부가 케이스의 양 측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캡 조립체에 설치된 양,음극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 선단에 설치된 양,음극단자가 탭(또는 집전판)을 매개로 상기 양,음극판의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조의 경우 케이스의 타측 선단에 양,음극단자가 바로 설치되므로 케이스와 양,음극단자간에 별도의 절연부재가 설치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를 이루는 케이스는 실린더 형태로 일측 선단과 타측 선단이 개방되고 각 선단에는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며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단자가 설치된 캡 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각 선단에 설치되는 양,음극단자는 그 배열 위치가 동일하도록 예컨대 케이스를 기준으로 우측(또는 좌측)에 양극단자가 위치하거나 또는 상호 엇갈리게 예컨대 케이스를 기준으로 일측선단에는 우측(또는 좌측)에 양극단자가 위치하고 좌측(또는 우측)에는 음극단자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양 선단에 배치되는 각 단자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HEV용 이차 전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의 일측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에 각각 양,음극단자가 설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단위 전지간에 도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전지 모듈을 이루는 단위 전지에 있어서 단자가 설치된 이차 전지의 선단에 대해 단위 전지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도전체를 매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전지 모듈을 이루는 단위 전지에 있어서 단자가 설치된 선단 방향으로 각 단위 전지가 적층되어 일 단위 전지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각 단자와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타측 선단에 설치된 단자가 도전체(이하, 설명의 편의 상 상기 도전체와 명확히 구분될 수 있도록 연결도체라 칭한다.)를 매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전지 모듈을 이루는 각 단위 전지에 있어서 단자가 설치된 선단향향과 이 선단방향에 대한 전지의 측방향으로 각 단위 전지가 배치되어 이웃하는 단위 전지간 연결도체 및 도전체를 매개로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전지에 설치되는 각 단자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도체는 두 단자가 충분히 체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단위 전지의 단자 끝단이 마주 놓인 상태에서 각 단위 전지의 단자가 하나의 너트로 체결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이루는 각 단위 전지(11)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12)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를 세웠을 때 케이스의 상단과 하단에 가스켓을 매개로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14a,14b), 상기 양,음극판(12a,12b)과 탭(15)을 매개로 전기적으 로 연결되고 상기 각 캡 조립체(14a,14b)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16a,16b,17a,17b)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3)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군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단위 전지(11)는 캡 조립체(14a,14b)로 두 개의 단자(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되며, 상기 각 단자(16a,16b, 17a,17b)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나사축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14a,14b)는 상기 단자가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고 있으며, 케이스(13)와 캡 플레이트(140a,140b)를 절연시키는 가스켓(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설정된 압력 조건에서 파손되어 가스를 방출함으로써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는 밴트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군(12)은 각각의 활물질이 집전체에 코팅되어 구성된 양극판(12a)과 음극판(12b)이 세퍼레이터(12c)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양극판(12a)과 세퍼레이터(12c) 및 음극판(12b)이 적층된 상태에서 이들이 와류상으로 감겨 형성된 젤리롤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의 케이스(13)에 젤리롤 타입으로 감아진 전극군(12)이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판(12a,12b)의 무지부(12d,12e)가 상기 전극군(12)을 이루는 각 극판의 일 측단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지의 형상이나 무지부의 구조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차 전지를 이루는 전극군(12)은 양극판(12a)의 무지부(12d)와 음극판(12b)의 무지부(12e)가 전극군(12)의 양단에 대향 배치되어 세퍼레이터(12c)를 사이에 두고 젤리롤 형태로 감아진 구조로 케이스(13)를 수직으로 세워 캡 조립체(14a,14b)가 상,하방향으로 놓여졌을 때를 기준으로 케이스(13)의 양 측면에 양,음극판(12a,12b)의 무지부(12d,12e)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장설치되며, 상기 무지부(12d,12e)에 각각 설치되는 탭(15)(또는 집전판)을 매개로 캡 조립체(14a,14b)의 단자(16a,16b, 17a,17b)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이차 전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 상단과 하단에 각각 양극단자(16a,16b)와 음극단자(17a,17b)가 돌출된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한 구조의 단위 전지(11)는 다수개를 적층하고 각 단자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지 모듈(10)을 이루게 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13)를 세워 단자(16a,16b, 17a,17b)가 상부와 하부를 향하도록 단위 전지(11)를 수직상태로 놓았을 때 단위 전지(11)를 가로 방향(도 3에서 H 방향)으로 적층하여 단위 전지를 연결시킴과 더불어 단위 전지를 수직방향(도 3에서 V 방향)으로 적층하여 단위 전지를 연결시킬 수 있다.
먼저, 단위 전지(11)를 가로 방향(H)으로 적층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전지(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일측 단위 전지의 상부 캡 조립체(14a)(또는 하부 캡 조립체)로부터 돌출된 양극단자(16a) 및 음극단자(16b)가 이웃하는 단위 전지(11)의 상부 캡 조립체로부터 돌출된 양극단자(16a) 및 음극단자(16b)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 전지를 교차 배열된다.
이에 따라 단위 전지(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단자(16a)와 음극단자(16b)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된다.(즉,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전지 모듈(10)은 각 단위 전지(11)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 전지(11)간의 양극단자(16a)와 음극단자(16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체(20)가 장착되며, 상기 도전체(20)는 양단에 홀(21)이 형성된 판구조로 상기 홀(21)을 통해 각 단자(16a,16b)에 끼워져 상기 단자에 설치된 너트(18)위에 놓여지고, 홀(21)을 통해 도전체(20) 위로 돌출된 단자(16a,16b)에 너트(22)가 체결되어 도전체(20)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단위 전지(11)의 양극단자(16a)는 H 방향을 따라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 전지(11)의 음극단자(16b)와 도전체(2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다음 단위 전지(11)의 다른쪽 단자열에 위치한 양극단자(16a)는 H 방향을 따라 그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 전지(11)의 음극단자(16b)와 도전체(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 단위 전지(11)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위 전지(11)가 수직방향(V)으로 배열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위 전지(11)의 하부 캡 조립체(14b)에 설치된 양,음극단자(17a,17b)에 V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이웃하는 단위 전지(11)의 상부 캡 조립체(14a)에 설치된 양,음극단자(16a,16b)가 위치하고, 각 단위 전지(11)의 양극단자(17a,16a)는 연결도체(30)인 하나의 너트를 매개로 나사 체결되고 음극단자(17b,16b) 또한 마찬가지로 연결도체(30)인 하나의 너트를 매개로 나사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도체(30)인 너트의 양단으로 각각 위쪽 단위 전지의 하부 캡 조립체(14b)에 설치된 양극단자(또는 음극단자)와 아래쪽 단위 전지의 상부 캡 조립체(14a)에 설치된 양극단자(또는 음극단자)가 위치하여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단위 전지는 하나의 연결도체(30)를 통해 각각의 단자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단위 전지를 가로 방향(H) 뿐아니라 수직방향(V)으로도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단일 공간 내에 단위 전지(11)를 최대로 적재하여 전지 모듈(10)의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 전지는 병렬 연결구조 뿐아니라 직렬 연결구조를 취할 수 있는 데, 상기 수직방향(V)으로 배열된 단위 전지에 있어서 배열된 단위 전지(11)의 단자 위치를 바꾸게 되면 단위 전지는 수직방향(V)을 따라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되고, 따라서 수직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단위 전지(11)간 양극단자(17a)와 음극단자(16b)가 연결도체(30)인 너트를 매개로 하나로 연결되어 단위 전지(11)간 직렬로 연결되게 된다.
이 경우 가로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단위 전지가 직렬로 연결되 어 전지 모듈의 출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와 전지 모듈은, 고출력/대용량을 요구받는 HEV용 전지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용도가 HEV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전지간 병렬연결 및 직렬연결이 용이하여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효과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위 전지를 다수 적층하여 연결함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배열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단일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수의 단위 전지를 적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출력과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9)

  1.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전극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양,음극 단자들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음극단자들이 상기 케이스에 대향 배치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음극단자들이 상기 케이스의 양단에 결합되는 각각의 캡 조립체 상에 설치되는 이차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양,음극단자와 타측 선단에 설치되는 양,음극단자는 그 극성 위치가 동일한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의 양단에 양극판의 무지부와 음극판의 무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세웠을 때 음극판의 무지부와 양극판의 무지부가 케이스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의 양 선단에 설치된 양,음극단자가 탭 또 는 집전판을 매개로 상기 양,음극판의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의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이 와류 상으로 감긴 젤리롤 형태인 이차 전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각형인 이차 전지.
  9.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의 일측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타측 선단에 각각 양,음극단자가 설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단위 전지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단자가 설치된 전지의 선단에 대해 전지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각 단위 전지의 단자간에 도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단자가 끼워지도록 양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된 수나사 형태의 각 단자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연결되어 단위 전지를 직렬연결시키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동일 극성 단자간에 연결되어 단위 전지를 병렬연결시키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단자가 설치된 선단 방향으로 각 전지가 적층되어 일 단위 전지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각 단자와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타측 선단에 설치된 단자가 연결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수나사 형태의 두 단자가 양쪽에서 체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하나의 너트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연결하여 단위 전지를 직렬연결시키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동일 극성 단자간을 연결하여 단위 전지를 병렬연결시키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8. 제 10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단자가 설치된 선단방향향과 이 선단방향에 대한 전지의 측방향으로 각 단위 전지가 배치되어 이웃하는 단위 전지간 연결도체 및 도전체를 매개로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되는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이 HEV(Hybrid Electric Vehicle)의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20040035482A 2004-05-19 2004-05-19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056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482A KR100560498B1 (ko) 2004-05-19 2004-05-19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11/131,232 US7393608B2 (en) 2004-05-19 2005-05-18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CNB200510070995XA CN100355116C (zh) 2004-05-19 2005-05-19 可充电电池和使用其的电池组件
JP2005147019A JP4515961B2 (ja) 2004-05-19 2005-05-19 二次電池を利用した電池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482A KR100560498B1 (ko) 2004-05-19 2004-05-19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462A KR20050110462A (ko) 2005-11-23
KR100560498B1 true KR100560498B1 (ko) 2006-03-14

Family

ID=3537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482A KR100560498B1 (ko) 2004-05-19 2004-05-19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93608B2 (ko)
JP (1) JP4515961B2 (ko)
KR (1) KR100560498B1 (ko)
CN (1) CN10035511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706B2 (en) 2018-06-19 2023-01-03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5552A (ja) * 2007-04-24 2010-07-22 テミツク・オートモテイーベ・エレクトリツク・モーター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溶接点接続部を持つ電気化学単電池及びエネルギー貯蔵装置
WO2009029061A1 (en) * 2007-08-24 2009-03-05 Mack Trucks, Inc. Battery terminal connector bar with integral circuit protection
DE102007063195B4 (de) * 2007-12-20 2013-08-29 Daimler Ag Batterie mit einem Gehäuse und einer Wärmeleitplatte
US20090181298A1 (en) * 2008-01-10 2009-07-16 Eaglepicher Energy Products Corporation Integral electrochemical device
KR101051483B1 (ko) * 2008-03-07 2011-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접속부재
KR101067625B1 (ko) * 2008-03-07 2011-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접속부재 및 절연성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중대형전지모듈
KR101552904B1 (ko) * 2008-12-08 2015-09-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20100067464A (ko) * 2008-12-11 2010-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00069493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지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087036B1 (ko) * 2008-12-17 2011-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DE102009006465A1 (de) * 2009-01-28 2010-07-29 Li-Tec Battery Gmbh Batteriemodul
CN101877413B (zh) * 2009-04-30 2013-10-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单体电池及包含该单体电池的动力电池组
JP5566641B2 (ja) * 2009-08-26 2014-08-06 株式会社東芝 電池
US8815437B2 (en) * 2009-09-10 2014-08-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EP2325923B1 (en) * 2009-11-19 2014-04-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tability
KR101135492B1 (ko) * 2010-01-20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군과 이를 적용한 이차 전지
KR101147172B1 (ko) * 2010-05-20 2012-05-2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JP5636893B2 (ja) * 2010-11-15 2014-12-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
KR101274859B1 (ko) * 2011-03-04 2013-06-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및 그 조립 방법
DE102011109918A1 (de) * 2011-08-10 2013-02-14 Audi Ag Verfahren zum Bauen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sowie Modul
KR101287107B1 (ko) * 2011-08-25 2013-07-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US8512885B2 (en) * 2012-01-13 2013-08-20 Xglow P/T, Llc Battery and method of use
JP5761055B2 (ja) * 2012-01-31 2015-08-12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DE102012208239A1 (de) * 2012-05-16 2013-11-21 Robert Bosch Gmbh Batteriebaugruppe
CN103219485B (zh) * 2013-03-28 2016-01-13 朱金怀 电池单元及移动电源
USD740221S1 (en) 2013-05-15 2015-10-06 Xglow P/T, Llc Battery
US9478792B2 (en) 2013-07-26 2016-10-25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N103532192B (zh) * 2013-10-15 2016-01-20 深圳市顶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电源及组合式移动电源
FR3018394A1 (fr) 2014-03-04 2015-09-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iece d'assemblage et de connexion electrique d'au moins deux cellu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KR102382525B1 (ko) * 2015-01-13 2022-04-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배열
USD782409S1 (en) * 2015-03-30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ith terminal washers
EP3378113B1 (en) * 2016-02-26 2022-11-30 Techtronic Outdoor Products Technology Limited Battery packs and method of assembling battery packs
US20190296283A1 (en) * 2018-03-23 2019-09-26 Sf Motors, Inc. Integrated battery cell modules with plug-in battery cells for electric vehicles
US10622604B2 (en) * 2018-03-23 2020-04-14 Sf Motors, Inc. Integrated battery modules in electric vehicles
EP3588614A1 (de) * 2018-06-21 2020-01-01 Hilti Aktiengesellschaft Pouchzelle und stack
CN111668407B (zh) * 2019-03-08 2022-04-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和具有其的车辆
CN117320916A (zh) * 2021-03-26 2023-12-29 海力昂公司 蓄电池托盘货架系统及用于对蓄电池托盘货架系统中的蓄电池进行充电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2620B (en) * 1981-07-17 1984-08-01 Chloride Group Ltd Alkaline electric storage cells
JP3291785B2 (ja) 1992-08-31 2002-06-10 ソニー株式会社 ブロック変換符号化データの伝送装置
JPH0686259U (ja) * 1993-05-25 1994-12-13 本多電機株式会社 蓄電池の極柱の極性表示装置
JPH0992262A (ja) * 1995-09-27 1997-04-0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の組電池
US6287719B1 (en) * 1998-06-15 2001-09-1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including a non-aqueous multi-cell spiral-wound electrode assembly
JP3691260B2 (ja) * 1998-10-30 2005-09-0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及びその連結体
JP2000348772A (ja) * 1999-06-04 2000-12-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JP2001068078A (ja) * 1999-06-22 2001-03-16 Hudson Soft Co Ltd 電 池
JP2001135358A (ja) * 1999-08-24 2001-05-18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密閉二次電池
JP2001102044A (ja) * 1999-09-29 2001-04-13 Yazaki Corp バッテリーの電源線接続構造
DE60019444T2 (de) * 1999-09-30 2006-02-23 Eveready Battery Co., Inc., Westlake Elektrochemische zellen mit ultradünnen separatoren und herstellungsverfahren
JP3073675U (ja) 2000-05-31 2000-11-30 威稷股▲フン▲有限公司 電池組構造体
JP3551365B2 (ja) * 2000-06-20 2004-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扁平形状巻回型電極電池
CN1233053C (zh) * 2000-12-22 2005-12-21 吴崇安 一种用于棱柱形电池的电极组件
JP2002231192A (ja) * 2001-01-29 2002-08-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4134521B2 (ja) * 2001-03-16 2008-08-20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密閉形電池
JP4210896B2 (ja) * 2001-12-05 2009-01-21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密閉形電池
US20030175588A1 (en) * 2002-03-14 2003-09-18 Dong Zhang Cathode compositions, cathodes, methods of producing cathod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same
JP3596537B2 (ja) * 2002-04-08 2004-1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の接続構造及び組電池
JP3988570B2 (ja) * 2002-08-01 2007-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706B2 (en) 2018-06-19 2023-01-03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15961B2 (ja) 2010-08-04
US7393608B2 (en) 2008-07-01
CN1707829A (zh) 2005-12-14
CN100355116C (zh) 2007-12-12
JP2005332823A (ja) 2005-12-02
KR20050110462A (ko) 2005-11-23
US20050260491A1 (en)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98B1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KR10059000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CN100403592C (zh) 二次电池
US9083029B2 (en) Battery pack
EP2201629B1 (en) Module pack for secondary battery
US9203065B2 (en) Battery module
KR101084055B1 (ko) 이차 전지
KR100599795B1 (ko) 이차 전지
KR20060010483A (ko) 이차 전지
KR20050121904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20120010669A (ko) 이차 전지
KR20050121909A (ko) 전지 모듈
KR100667945B1 (ko) 이차 전지
KR100599803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집전판
KR20130073856A (ko) 이차 전지
KR20140065956A (ko) 이차 전지
KR100913174B1 (ko) 전지 모듈
KR100599714B1 (ko) 이차 전지
CN215896625U (zh) 一种带长电芯的电池及电池模组
KR100599792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집전판
KR100612396B1 (ko) 이차 전지
KR101320581B1 (ko) 이차 전지
KR100599617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667952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