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266A -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266A
KR20110045266A KR1020090101746A KR20090101746A KR20110045266A KR 20110045266 A KR20110045266 A KR 20110045266A KR 1020090101746 A KR1020090101746 A KR 1020090101746A KR 20090101746 A KR20090101746 A KR 20090101746A KR 20110045266 A KR20110045266 A KR 2011004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lt
rolling
horizontal portion
re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476B1 (ko
Inventor
이용경
Original Assignee
(주)진명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명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진명이앤씨
Priority to KR102009010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외장재를 부착할 때 구조물 측의 브래킷과 외장재 측 브래킷의 상호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 측에 일정 간격으로 앵글형 제1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고, 외장재 측에 상기 제1브래킷과 대응하는 앵글형 제2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져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볼트의 외경에 부합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에 설치된 볼트의 전,후 이동을 보장하여 상기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볼트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는 볼트장공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밀림방지요철과 대응하여 볼트에 조립되는 와셔에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래킷의 밀림방지요철과 상기 와셔의 밀림방지요철이 서로 치합되어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조물, 교량, 외장재, 브래킷, 비틀림, 진동, 요철

Description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construction exterior structure of the bracket assembly}
본 발명은 구조물용 외장재를 부착할 때 구조물 측의 브래킷과 외장재 측 브래킷의 상호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브래킷 상호 간을 볼트로 조립하여 고정 후 외장재의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과 진동 등으로 인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에 볼트고정구조를 개선하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의 외관환경을 개선 또는 디자인하기 위하여 도로에 건설되는 교량이나 육교, 고가차도, 생태이동통로, 지하통로, 기둥구조물, 또는 건축구조물(이하, '구조물'이라 통칭함)의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외장재를 구조물의 측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브래킷이 사용된다. 즉, 구조물 측에 일정 간격으로 제1브래킷을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고, 외장재 측에 상기 제1브래킷과 대응하는 제2브래킷이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을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하여 구조물의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의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223호에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철재 프레임(본 발명의 제1브래킷과 대응함)의 수직부가 앵커 볼트를 통해 교량의 기초 구조물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철재 프레임의 수평부에는 철재 플랜지(본 발명의 제2브래킷과 대응함)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는 외장재들이 고정 또는 부착된 교량의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 구조물과 철재 프레임 및 철재 프레임의 플랜지의 접촉부 사이에 완충 겸 미끄럼 방지부재(고무판)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상기 철재 프레임(제1브래킷) 및 철재 프레임의 플랜지(제2브래킷)의 접촉부 사이에 완충 겸 미끄럼 방지부재(고무판)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교량의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시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고 접촉부 사이에 발생되는 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고무판의 고유한 특성인 고화현상(고무가 공기와 접촉하여 탄력을 잃고 딱딱해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나타나 교량에 전달되는 진동 흡수능력이 약화되어 그에 따른 볼트에 풀림 현상이 발생하여 철재 프레임과 플랜지의 고정력을 저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철재 프레임과 플랜지의 볼트 통과공이 서로 90도 방향으로 교차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 체결력의 저하에 따라 장방형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어 볼트 풀림에 따라 외장재의 위치 이동을 조장(助長)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장재의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 또는 진동에 의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여 외장재의 설치 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그에 따른 조립구조를 간단히 하여 조립비용을 값싸게 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으로, 구조물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 측에 일정 간격으로 앵글형 제1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고, 외장재 측에 상기 제1브래킷과 대응하는 앵글형 제2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져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볼트의 외경에 부합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에 설치된 볼트의 전,후 이동을 보장하여 상기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볼트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는 볼트장공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밀림방지요철과 대응하여 볼트에 조립되는 와셔에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래킷의 밀림방지요철과 상기 와셔의 밀림방지요철이 서로 치합되어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 측에 일정 간격으로 앵글형 제1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고, 외장재 측에 상기 제1브래킷과 대응하는 앵글형 제2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져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볼트의 외경에 부합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에 설치된 볼트의 전,후 이동을 보장하여 상기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볼트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는 볼트장공의 주위로 하여 국부적으로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고 상기 볼트장공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국부적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국부적 밀림방지요철과 대응하여 볼트에 조립되는 와셔에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래킷의 국부적 밀림방지요철과 상기 와셔의 밀림방지요철이 서로 치합되어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진 사이에는 고무패드를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의하면, 구조물의 측면에 제1 및 제2브래킷을 매개로 설치된 외장재의 열변형에 의한 비틀림 또는 구조물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의 볼트고정수단에 풀림이 일어날 때 상기 제1브래킷의 밀림방지요철과 와셔의 밀림방지요철에 서로 치합된 형태를 이루어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여 외장재의 설치 후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와 함께 그에 따른 조립구조를 간단히 하여 조립비용을 값싸게 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도면에서 설명하는 도면부호에 있어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 은 같은 도면부호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의 1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의 2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의 변형 예에 따른 조립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1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조물 측면에 외장재(10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장재(100)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외관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외장재(100)를 구조물(200)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물(200)은 콘크리트구조물일 수 있고, 도 2와 같이 철판으로 된 구조물 일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물(200)은 일 예로 철판으로된 교량의 측면 구조물(200)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교량 측의 구조물(200)에 일정 간격으로 앵글형 제1브래킷(10)의 수직부(11)가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는바, 상기 구조물(200)이 콘크리트구조물일 경우에는 도시 생략된 앵커 볼트를 통해 설치된다. 이때에는 상기 수직부(11)에 도시 생략된 볼트장공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앵커 볼트가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200)이 도 2와 같이 철판 구조물일 경 우에는 상기 수직부(11)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00) 측에는 상기 제1브래킷(10)과 대응하는 앵글형 제2브래킷(30)의 수직부(31)가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된다. 가령 도 2와 같이 상기 제2브래킷(30)의 수직부(31)는 외장재(100) 측의 각형 파이프(101)와 용접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각형 파이프(101)에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30)의 수평부(12)(32)가 포개져 볼트(50)와 너트(60)의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제1브래킷(10)와 제2브래킷(30)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래킷(30)의 수평부(32) 중앙에는 볼트(50)의 외경에 부합되는 볼트공(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평부(12) 중앙에는 상기 제2브래킷(30)의 볼트공(33)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30)의 볼트공(33)에 설치된 볼트(50)의 전,후 이동을 보장하여 상기 제2브래킷(30)이 제1브래킷(10)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볼트장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평부(12) 상면에는 볼트장공(13)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림방지요철(14)이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요철(14)과 대응하여 볼트(50)에 조립되는 와셔(40)의 저면에 밀림방지요철(4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3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래킷(10)의 밀림방지요철(14)과 상기 와셔(40)의 밀림방지요철(41)이 서로 치합되어 상기 볼트고정수단이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30)을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1실시 예에 의하면, 제1브래킷(10)의 수직부(11)를 구조 물(200)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고, 제2브래킷(30)의 수직부(31)를 외장재(100)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10)(30)의 수평부(12)(32)를 포개어 상기 볼트(50)를 볼트공(33)과 볼트장공(13)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볼트(50)에 와셔(40)를 끼워 넣는다. 이때 와셔(40)에 형성된 밀림방지요철(41)이 제1브래킷(10)의 수평부(22)에 형성된 밀림방지요철(14)과 마주보게 하여 끼워 넣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너트(60)를 상기 볼트(50)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60)의 조임력에 의하여 상기 제1브래킷(10)의 밀림방지요철(14)과 상기 와셔(40)의 밀림방지요철(41)이 서로 치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밀림을 방지하고, 좌,우 방향은 상기 볼트(50)의 직경과 동등한 크기의 정원(正圓)으로 된 볼트공(33)이 밀림을 방지함으로써 볼트(50) 너트(60)의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2실시 예는, 상기 1실시 예의 제1브래킷(10)에 형성된 밀림방지요철(14)의 구성만 달리할 뿐 나머지 부분은 상기 1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기 1실시 예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생략한다.
본 발명의 2실시 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평부(12) 상면에는 볼트장공(13)의 주위로 하여 국부적으로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고 상기 볼트장공(13)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직사각 형태의 일정한 깊이(약 1mm 내외)로 가공하여 요철(15)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과 대응하는 와셔(40)의 밀림방지요철(41)이 상기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에 삽입됨과 동시에 요철형태로 맞물림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실시 예에 의하면, 제1브래킷(10)의 수직부(11)를 구조물(200)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고, 제2브래킷(30)의 수직부(31)를 외장재(100)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10)(30)의 수평부(12)(32)를 포개어 상기 볼트(50)를 볼트공(33)과 볼트장공(13)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볼트(50)에 와셔(40)를 끼워 넣는다. 이때 와셔(40)에 형성된 밀림방지요철(41)이 제1브래킷(10)의 수평부(22)에 형성된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과 마주보게 하여 끼워 넣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너트(60)를 상기 볼트(50)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60)의 조임력에 의하여 상기 제1브래킷(10)의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에 상기 와셔(40)의 밀림방지요철(41)이 삽입되면서 서로 치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밀림을 방지하고, 좌,우 방향은 상기 볼트(50)의 직경과 동등한 크기의 정원(正圓)으로 된 볼트공(33)이 밀림을 방지함으로써 볼트(50) 너트(60)의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볼트고정수단이 외장재(100)의 진동 등으로 풀림이 발생할 때 상기 와셔(40)가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국부적 밀림방지요철(15)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되어 회전에 의한 풀림에 대응하여 억지하게 됨으로 써 보다 안정된 상태로 볼트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로서 상기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30)의 수평부(12)(32)가 포개진 사이에는 고무패드(45)를 더 부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무패드(45)를 설치함으로써 외장재(100)의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밀림방지요철(14)(15)(41)과 함께 제1 및 제2브래킷(10)(30)의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의 1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의 2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의 변형 예에 따른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브래킷 13 : 볼트장공
14, 41 : 밀림방지요철 15 : 국부적 밀림방지요철
30 : 제1브래킷 33 : 볼트공

Claims (4)

  1. 구조물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 측에 일정 간격으로 앵글형 제1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고, 외장재 측에 상기 제1브래킷과 대응하는 앵글형 제2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져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볼트의 외경에 부합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에 설치된 볼트의 전,후 이동을 보장하여 상기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볼트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는 볼트장공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밀림방지요철과 대응하여 볼트에 조립되는 와셔에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래킷의 밀림방지요철과 상기 와셔의 밀림방지요철이 서로 치합되어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진 사이에는 고무패드를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3. 구조물 측면에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 측에 일정 간격으로 앵글형 제1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앵커 볼트로 설치되고, 외장재 측에 상기 제1브래킷과 대응하는 앵글형 제2브래킷의 수직부가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져 볼트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볼트의 외경에 부합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의 볼트공에 설치된 볼트의 전,후 이동을 보장하여 상기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볼트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 상면에는 볼트장공의 주위로 하여 국부적으로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갖고 상기 볼트장공과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국부적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국부적 밀림방지요철과 대응하여 볼트에 조립되는 와셔에 밀림방지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고정수단에 의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래킷의 국부적 밀림방지요철과 상기 와셔의 밀림방지요철이 서로 치합되어 볼트고정수단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수평부가 포개진 사이에는 고무패드를 더 부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KR1020090101746A 2009-10-26 2009-10-26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KR10106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746A KR101060476B1 (ko) 2009-10-26 2009-10-26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746A KR101060476B1 (ko) 2009-10-26 2009-10-26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266A true KR20110045266A (ko) 2011-05-04
KR101060476B1 KR101060476B1 (ko) 2011-08-30

Family

ID=4424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746A KR101060476B1 (ko) 2009-10-26 2009-10-26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4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263A (zh) * 2012-10-30 2013-01-16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信号感应器的高度调整装置
CN104631736A (zh) * 2014-12-25 2015-05-20 青岛鑫光正建筑节能开发有限公司 一种超薄天然石材保温装饰一体板及其安装方法
CN105015437A (zh) * 2015-08-13 2015-11-0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内饰支架
KR102258727B1 (ko) * 2020-12-17 2021-06-01 주식회사 월드산업 인장 강도와 내진 성능을 향상시킨 연결부재
KR102608618B1 (ko) * 2023-08-11 2023-12-01 (주)대명엘리베이터 안전판 보강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19B1 (ko) * 2021-03-23 2021-11-22 주식회사다우스 진동제어 플레이트가 구비된 서포트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786Y1 (ko) * 2003-02-07 2003-05-01 장성진 건축물외장재고정장치용스톱와셔
KR100762223B1 (ko) * 2006-11-13 2007-10-01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263A (zh) * 2012-10-30 2013-01-16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信号感应器的高度调整装置
CN102874263B (zh) * 2012-10-30 2017-03-22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信号感应器的高度调整装置
CN104631736A (zh) * 2014-12-25 2015-05-20 青岛鑫光正建筑节能开发有限公司 一种超薄天然石材保温装饰一体板及其安装方法
CN105015437A (zh) * 2015-08-13 2015-11-0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内饰支架
KR102258727B1 (ko) * 2020-12-17 2021-06-01 주식회사 월드산업 인장 강도와 내진 성능을 향상시킨 연결부재
WO2022131513A1 (ko) * 2020-12-17 2022-06-23 주식회사 월드산업 인장 강도와 내진 성능을 향상시킨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연결부재
KR102608618B1 (ko) * 2023-08-11 2023-12-01 (주)대명엘리베이터 안전판 보강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476B1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76B1 (ko)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JP5679975B2 (ja) 建築フレームのシャーラグ
KR100955706B1 (ko) 탄 소성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수평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JP2011501050A (ja) 構造物の免震構造
KR20150072142A (ko)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JP5746874B2 (ja) 天井構造およびブレース材と天井仕上板の固定金具
KR10115388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커튼월유니트 설치용 고정구
JP5908688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
KR101842593B1 (ko) 제진장치 설치공법
JP6045855B2 (ja) 防振天井構造
KR101179037B1 (ko) 노출형 주각부 및 이를 이용한 주각 시공방법
JP2010174938A (ja) 防振装置
KR101329420B1 (ko) 벽체 수직 분절형 에너지 소산 시스템
KR102250444B1 (ko) 내진형 다기능 방음벽
JP2008267524A (ja) 防振台装置
JP6445925B2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5652107B2 (ja) 支承装置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JP2010229692A (ja) レールの騒音低減構造
JP6463636B2 (ja) 制震天井構造
KR20110049064A (ko)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공법
JP2020002688A (ja) 橋梁の変位制限装置
JPH06212833A (ja) 建造物の振動抑制装置
JP6208782B2 (ja) 動吸振装置及び床
JP6925114B2 (ja) 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