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751A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751A
KR20110044751A KR1020117002648A KR20117002648A KR20110044751A KR 20110044751 A KR20110044751 A KR 20110044751A KR 1020117002648 A KR1020117002648 A KR 1020117002648A KR 20117002648 A KR20117002648 A KR 20117002648A KR 20110044751 A KR20110044751 A KR 2011004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tuner
chann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나리 다끼구찌
마사또모 미야시따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4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04N5/505Invisible or silent tu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83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using two or more tun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the loop being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for use outside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복수의 튜너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채널 천이시에 발생하는 화질 열화를 저감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수신 신호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부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수신부(300)를 구비하였다. 또한, 수신부(300)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부(300)에 공급하는 국부 발진부(305)와, 국부 발진부(305)에서 발진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PLL부(310)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수신부(300)에서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이며, 분배부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수신부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PLL부(310)에서 주파수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튜너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수상기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나 HDD(Hard Disk Drive) 레코더 등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튜너를 2대 이상 탑재한 것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안테나가 수신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스플리터에서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를, 튜너를 탑재한 복수대의 장치에 공급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1대의 튜너인 방송국(이하, 채널이라고도 칭함)에서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다른 튜너에서 다른 채널에서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도 동시에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튜너에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면서, 다른 튜너에서 수신한 별도의 방송 프로그램을 HDD 등에 기록(녹화)할 수도 있게 된다. 표시 화면의 영역을 복수로 분할 가능한 표시 장치를 사용하면, 분할한 각 표시 영역에, 복수의 튜너에 의해 수신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1대의 튜너인 채널에서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튜너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표)를 수신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복수의 튜너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에 의해 각각이 개별로 제어됨으로써, 서로 다른 채널을 선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메인 튜너와 서브 튜너의 2개의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50108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복수의 튜너를 탑재한 장치 또는, 분배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대의 장치에 있어서, 어느 튜너에서 선국의 전환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 그 동작의 영향이 다른 튜너에도 미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영향에 의해, 다른 튜너에서 수신 중인 영상에 노이즈가 유입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튜너를 2대 탑재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1대의 튜너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특정 채널이 선국되어 있고, 다른 튜너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1에, 이와 같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의, 각각의 튜너에서의 선국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에는, 채널 CH2를 선국 중인 튜너(제1 튜너)에서의 선국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의 (b)에는, 채널의 전환이 행해지는 다른 튜너(제2 튜너)의 선국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와 도 1의 (b)에 있어서, 횡축은 채널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1의 (a)에는, 제1 튜너에 있어서 채널 CH2가 선국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에 있어서, 채널 CH2보다 낮은 주파수의 채널 CH1로부터, 채널 CH2보다 높은 주파수의 채널 CH3으로 선국이 전환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2 튜너에서는, 제어부(도시 생략)의 제어에 기초하여, 채널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의 값이, 채널 CH1을 선국하기 위한 전압값으로부터 채널 CH3을 선택하기 위한 전압값으로 변화한다. 이 전압값의 변화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들여 서서히 변화한다. 이로 인해, 전압값이 채널 CH2 선국용 전압값과 같은 전압이 되는 타이밍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튜너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값이 동일해질 때에, 문제는 발생한다.
제2 튜너에 있어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값이, 채널 CH2 선국용 전압값과 동일해지면, 제1 튜너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조건과 제2 튜너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조건이 순간적으로 동등해진다. 이에 의해, 제1 튜너에서의 입력 임피던스가 급변하고, 제1 튜너에 입력되는 RF 신호의 입력 레벨도 일시적으로 변동한다. 변동이 발생하는 것은, 제2 튜너에 있어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값이 채널 CH2 선국용 전압값을 횡단하는 순간뿐이며, 그 후, 제1 튜너에 입력되는 RF 신호의 레벨은 처음으로 돌아간다.
튜너에는,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가 구비되어 있지만, 제1 튜너에 있어서의 AGC 회로는, 이와 같이 RF 신호의 입력 레벨이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에는, 그것에 추종할 수 없다. 즉, 적정한 제어를 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 표시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에 선이 생기거나, 블록 노이즈가 발생하는 등의, 화질 열화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튜너를 갖는 장치 또는, 분배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각 장치에 있어서, 채널 천이시에 발생하는 화질 열화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부에서 분배된 각각의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수신부를 구비하였다. 또한,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부에 공급하는 국부 발진부와, 국부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귀환 신호로 하여, 국부 발진기에서 발진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PLL부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이며, 분배부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수신부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PLL부에서 주파수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생성 처리도 천천히 행해지게 되므로, 선국시의 국부 발진부의 과도 응답도 지연된다. 이에 의해, 채널의 천이시에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한 경우에도, 다른 튜너에 있어서 발생하는 입력 임피던스의 변동이 완만한 것이 되고, 다른 튜너에 입력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레벨의 변동도 완만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의 천이시에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한 경우에도, 다른 튜너에 있어서 발생하는 입력 임피던스의 변동에 수반하는, 입력 신호에서의 레벨 변동은 완만한 것이 된다. 이에 의해, AGC 회로에 의해 자동 이득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에도 제어가 적정하게 행해지게 되어, 출력 화상의 화질의 열화가 억제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1 채널과 제2 채널에서의 선국 상황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튜너와 제2 튜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튜너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주파수 제어 전압의 변위와 RF 입력 신호 레벨의 변위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차지 펌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큰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b)는 차지 펌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작은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부에서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튜너와 제2 튜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부에서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의 적용예 (1)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의 적용예 (2)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복수의 튜너를 탑재한 수신 장치의 구성예)
2. 제2 실시 형태(스플리터로 분배된 신호를, 튜너를 탑재한 복수대의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경우의 구성예)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수신 장치를, 튜너를 2대 탑재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하고 있다.
[장치의 전체 구성예]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를 적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수신 부분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지만, 튜너를 갖는 장치이면, 비디오 레코더나 HDD 레코더, DVD 레코더, Blu-ray(등록 상표) 레코더 등의 기록 재생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른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상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입력 신호를 2개로 분배하는 스플리터(10)와, 제1 튜너(20)와, 제2 튜너(30)와, 제1 튜너(20) 및 제2 튜너(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1 튜너(20)는 튜너부(21)와 복조부(22)를 구비하고, 제2 튜너(30)는 튜너부(31)와 복조부(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튜너에 있어서의 튜너부(21)와 복조부(22)는, 제어선(Ln1)을 통하여 제어부(40)와 접속하고 있고, 제2 튜너(30)에 있어서의 튜너부(31)와 복조부(32)는, 제어선(Ln2)을 통하여 제어부(40)와 접속하고 있다. 즉, 제1 튜너(20)에 있어서의 튜너부(21)와 복조부(22)와, 제2 튜너(30)에 있어서의 튜너부(31)와 복조부(32)는 동일한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된다.
튜너부(21)와 튜너부(31)는 스플리터(10)로 분배된 RF 입력 신호 중에서 희망하는 채널의 전파를 선택(선국)하고, 선국한 신호의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한다. 복조부(22)와 복조부(32)는, 튜너부(21)와 튜너부(31)로부터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이하, IF 신호라고도 칭함)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취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나 스피커에 출력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저로부터 리모트 컨트롤 장치 등을 통하여 채널의 전환이 지시되거나, 유저에 의해 지정된 녹화 시간에 채널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 채널 전환에 필요한 정보를 각 튜너에 출력한다. 채널의 전환에 필요한 정보로서는, 후술하는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에 있어서의 분주비나,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AGC 회로에 있어서의 AGC 레벨 등이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예를 들어 처리의 부하가 낮은 타이밍(아이들 시간) 등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1 튜너(20) 및 제2 튜너(30)에서 선국 중인 채널의 정보(선국 주파수)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테이블 등에 기입하는 것도 행한다. 그리고, 제1 튜너(20) 또는 제2 튜너(30)가 채널의 선국을 개시하였을 때에 이 테이블의 값을 참조하여, 한쪽의 튜너에 의한 선국이,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한쪽의 튜너에 의한 선국이,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후술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3에, 제2 튜너(30)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튜너(30)가 제1 튜너(20)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채널 전환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 위하여, 제2 튜너(30)의 구성을 설명하지만, 제1 튜너(20)도 제2 튜너(30)와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제2 튜너(30)는, 수신 회로(수신부)(300)와 PLL(Phase-Locked Loop) 회로(310)를 포함한다. 수신 회로(30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이하, BPF라고 칭함)(301)와, 저잡음 증폭기(302)와, 제2 BPF(303)와, 믹서(304)와, 국부 발진기(305)와, 중간 주파 증폭기(306)와, 자동 이득 제어부로서의 AGC 회로(307)에 의해 구성된다.
제1 BPF(301)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과 가변 콘덴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조 회로이며, 가변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희망하는 수신 주파수를 선택한다. 그것과 함께, 방해가 되는 불필요 신호의 배제도 행한다. 저잡음 증폭기(302)는, 제1 BPF(301)를 통과한 고주파 전압을 증폭하여 제2 BPF(303)에 출력한다. 제2 BPF(303)는, 희망 주파수 이외의 방해가 되는 주파수 성분(이미지 주파수)을 감쇠시키는 필터이며, 제2 BPF(303)를 통과한 신호는 믹서(304)에 입력된다.
믹서(304)는, 제2 BPF(303)를 통과한 희망 주파수의 신호와 국부 발진기(305)로부터 출력된 국부 발진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IF 신호로 변환한다. 국부 발진기(305)는, PLL 회로(310)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제어 전압에 기초하여,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믹서(304)에 출력한다.
중간 주파 증폭기(306)는, 믹서(304)에서 변환된 IF 신호를 증폭함과 함께, 신호 레벨의 최적화를 행하고, 조정 후의 IF 신호를 복조부(32)(도 2 참조)에 출력한다. AGC 회로(307)는, 중간 주파 증폭기(306)에서 증폭된 IF 신호를 취출하여, 저잡음 증폭기(302)에서의 게인을 조정하기 위한 AGC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AGC 제어 신호를 저잡음 증폭기(302)에 공급한다.
PLL 회로(310)는, 국부 발진기(305)로부터 출력된 국부 발진 신호를 귀환 신호로 하여, 국부 발진기(305)에서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을 생성한다. PLL 회로(310)는, 프로그래머블 분주부(311)와, 기준 신호 발생부(312)와, 위상 비교부(313)와, 차지 펌프부(314)와,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를 갖는다.
프로그래머블 분주부(311)는, 국부 발진기(305)로부터 귀환된 신호(이하, 귀환 신호라고도 칭함)의 레벨의 최적화를 도모함과 함께, 제어부(40)로부터 공급되는 분주비에 기초하여, 귀환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분주한다. 그리고, 조정 후의 신호를 위상 비교부(313)에 출력한다.
기준 신호 발생부(312)는, 제어부(4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파수로 설정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기준 신호를 위상 비교부(313)에 공급한다. 위상 비교부(313)는, 기준 신호 발생부(312)로부터 공급된 기준 신호의 위상과, 프로그래머블 분주부(311)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에 따른 전류 레벨, 극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차지 펌프부(314)에 출력한다.
차지 펌프부(314)는, 전원으로서의 역할을 이루고 있고, 위상 비교부(313)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내용과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 내용에 기초하여, 원하는 레벨과 극성의 전류ㆍ전압을 발생시켜,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 출력한다. 차지 펌프부(314)에서 발생시키는 전류의 상한값은, 제어부(40)로부터 지시되는 레벨로 설정된다. 전류의 상한값(이하, 전류 상한값이라고 칭함)의 레벨은, 예를 들어 5단계로 설정 가능한 것으로 한다.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는, 차지 펌프부(314)로부터 입력된 전류ㆍ전압의 레벨에 따른 크기의 주파수 제어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주파수 제어 전압은, 국부 발진기(305)와 제1 BPF(301)와 제2 BPF(303)의 제어에 사용된다.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는, DC 증폭기(3151)와, 저역 통과 필터(이하, LPF라고 칭함)(3152)로 구성된다. DC 증폭기(3151)는, 차지 펌프부(314)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직류 증폭하여 LPF(3152)에 출력한다. LPF(3152)는, DC 증폭기(3151)에서 증폭된 전류를 적분하여 DC 전압으로 하고, 생성한 DC 전압을 국부 발진기(305)에 공급한다.
국부 발진기(305)에서는, 주파수 제어 전압에 의해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된다. 또한, 주파수 제어 전압의 생성 속도의 속도에 의해,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의 속도가 결정된다. 제1 BPF(301)와 제2 BPF(303)에서는, 주파수 제어 전압에 의해 그 필터 특성이 정해진다.
이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의 속도, 즉,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의 속도는, 이하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변화한다.
(1) PLL 회로(310)에 있어서의 루프 게인
(2) PLL 회로(310)의 루프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의 높이
(1)에 나타낸 PLL 회로(310)에 있어서의 루프 게인의 크기는, DC 증폭기(3151)의 게인의 크기나,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즉, DC 증폭기(3151)의 게인을 올린 경우에는, 루프 게인이 커지므로,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이 빠르게 행해지게 된다. 한편, DC 증폭기(3151)의 게인을 내린 경우에는, 루프 게인이 작아지므로,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의 속도는 느려진다.
또한, 차지 펌프부(314)가 공급하는 전류를 크게 한 경우에도, 루프 게인은 커지므로,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의 속도는 빨라진다. 차지 펌프부(314)가 공급하는 전류를 작게 한 경우에는, 루프 게인은 작아지므로,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의 속도는 느려진다.
(2)에 나타낸 PLL 회로(310)의 루프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의 고저의 제어는, DC 증폭기(3151)의 컷오프 주파수를 높게 하거나 낮게 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DC 증폭기(3151)의 컷오프 주파수를 높게 한 경우에는,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의 속도는 빨라지고, 낮게 한 경우에는,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의 속도는 느려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튜너가 채널의 전환(선국)을 행하는 경우이며, 또한 그 선국시에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에,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동작을 지연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이 일시적으로 느려지므로, AGC 회로에 있어서의 제어가 입력 RF 신호의 레벨 변화에 추종하여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의 속도를, 차지 펌프부(314)가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실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의 (a)는 차지 펌프부(314)로부터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 공급되는 전류가 큰 경우의, 채널 전환시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의 천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b)는, 차지 펌프부(314)로부터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 공급되는 전류가 작은 경우의, 채널 전환시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의 천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와 도 4의 (b)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종축에는, 최상단에, 제1 튜너(20)에 입력되는 RF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고, 그 아래의 단 이후에, 채널 CH3 선국용 전압 레벨, 채널 CH2 선국용 전압 레벨, 채널 CH3을 선국하기 위한 전압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2 튜너(30)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 생성되는 주파수 제어 전압이 천이하는 상태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에는, 제2 튜너(30)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이, 굵은 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채널 CH1 선국용 전압 레벨로부터 채널 CH3 선국용 전압 레벨까지 급속하게 천이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예에서는, 차지 펌프부(314)로부터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 공급되는 전류가 크기 때문에,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의 동작이 고속으로 행해져,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이 급속하게 천이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튜너(30)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이, 제1 튜너(20)에서 선국 중인 채널 CH2에 대응된 전압의 레벨을 횡단할 때에, RF 입력 신호의 레벨이 변동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어지고 있다. 우선, 제2 튜너(30)의 제1 BPF(301)에 공급되는 주파수 제어 전압의 레벨이, 제1 튜너(20)에서 선국 중인 채널 CH2 선국용 전압 레벨과 동일해짐으로써, 제1 튜너(20)와 제2 튜너(30)의 임피던스 조건이 일시적으로 동등해진다. 이 영향을 받아, 제1 튜너(20)의 입력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제1 튜너(20)에 입력되는 RF 신호의 신호 레벨도 순간적으로 변동하게 된다.
도 4의 (a)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제2 튜너(30)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의 천이가 고속으로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제1 튜너(20)에 입력되는 RF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변동도 짧은 시간에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RF 입력 신호의 레벨이 단시간에 변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튜너(20)의 AGC 회로(도시 생략)에서의 제어가 소용없게 되므로, 표시 장치 등에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이 일시적으로 열화되어 버리게 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튜너(30)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의 전압 레벨을,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서 변화시킨 경우에는, 제1 튜너(20)에의 RF 입력 신호의 레벨의 변동도 완만한 것이 된다. RF 입력 신호의 변동이 완만하면, 제1 튜너(20)의 AGC 회로도 그 변화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표시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에 노이즈가 유입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널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이며,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에,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는 최저의 값(레벨)으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는 최저의 레벨로 설정하는 예를 들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을 5단계로 설정 가능한 경우에는, 밑에서부터 2번째의 레벨 등으로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장치의 동작예]
이하,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2 튜너(30)의 제어부(40)에서의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튜너(30)에서 채널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므로, 제2 튜너(30)에 있어서 이하의 제어 처리가 행해지지만,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제1 튜너(20)에서 채널 전환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제1 튜너(20)에 있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제2 튜너(30)에서의 선국이 개시되어, 다른 튜너에서 선국되어 있는 채널을 횡단하는 것이 검출되면(스텝 S1), 제어부(40)에 의해,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이, 설정할 수 있는 최저의 레벨로 설정된다(스텝 S2). 그리고, PLL 회로(310)가 로크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이 행해진다(스텝 S3). 즉 위상 비교부(313)(도 3 참조)에 입력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와 분주된 귀환 신호의 주파수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PLL 회로(310)가 로크할 때까지의 동안, 즉, 채널의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은, 스텝 S3의 판단이 반복된다. PLL 회로(310)의 로크가 확인되면, 제어부(40)의 제어에 기초하여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이, 설정 변경 전이나 그 밖에 원하는 높은 레벨로 복귀된다(스텝 S4).
그와 함께, 복조부(32)에서의 복조 처리가 개시된다(스텝 S5). 다음에, 복조부(32)에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수신을 행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이 되어(스텝 S6), 수신이 완료되지 않는 동안은, 스텝 S6의 판단이 반복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복조부(32)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7).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튜너(30)에서 채널의 전환이 행해지는 경우이며, 그 전환에 의해 다른 튜너에서 선국되어 있는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에,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이 최저의 레벨로 설정되어,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 생성되는 주파수 제어 전압의 레벨이, 시간을 들여 완만하게 변위하게 되므로,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도 지연된다. 따라서, 제1 튜너(20)에서의 입력 임피던스의 변동도 급격한 것은 아니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튜너(20)에 입력되는 RF 신호의 레벨도 완만하게 변화하게 되므로, AGC 회로에 있어서의 제어도, 입력 RF 신호의 레벨 변화에 추종하여 행해지게 된다. 즉, 표시부 등에 출력되는 화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채널의 선국이 완료되어 PLL 회로(310)가 로크한 타이밍에서 차지 펌프부(314)에서의 전류 상한값이, 변경 전의 원래의 값이나 그 밖에 원하는 높은 값으로 복귀되므로, 제2 튜너(30)에서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어 버리는 일도 없게 된다.
또한, 차지 펌프부(314)에서의 전류 상한값의 값이 원래의 값이나 안정된 화상 형성에 필요한 그 밖에 원하는 높은 값으로 변경되는 것은, 제2 튜너(30)에서의 채널 천이가 완료된 후이므로, 제1 튜너(20)에의 입력 RF 신호에 대하여 영향이 발생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상술한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의 설정의 변경이나 재설정의 처리는, 제어부(40)에서만 행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회로 구성에 변경을 첨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예]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채널의 전환이 행해지는 경우이며, 또한 그 전환에 의해 다른 튜너에서 선국되어 있는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에만,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행하지 않고, 채널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 항상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지 펌프부(314)의 전류 상한값을 변경함으로써,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을 지연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DC 증폭기(3151)의 게인을 낮추거나, LPF(3152)의 컷오프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의 과도 응답을 지연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일시적으로 낮추는 DC 증폭기(3151)의 게인의 값은, PLL 회로(310)의 루프가 파탄하지 않을 정도의 값이며, 또한 초기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 낮게 하는 LPF(3152)의 컷오프 주파수의 값도, 바운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값이며, 또한 초기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튜너에 의한 선국시에,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테이블에 기입된 값을 제어부(40)가 읽으러 감으로써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느 튜너에 의한 선국이 개시되었을 때에, 그때마다 다른 튜너에서의 채널의 선국 상황을 조회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튜너를 2개 탑재한 수신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3개 이상 탑재한 장치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튜너로서, 수신 신호에 선국용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를 얻는 튜너에 적용하였지만, 수신 신호에 선국용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직접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튜너에 적용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수신 장치를,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RF 신호를, 튜너를 탑재한 복수의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적용하고 있다.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
도 6에 나타낸 블록도는,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시스템의 예를 기능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에는, RF 입력 신호를 분배하는 스플리터(50)와, 제1 튜너(60)와, 제1 튜너(6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00)가 포함된다. 또한, 제2 튜너(70)와, 제2 튜너(7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10)가 포함된다.
제1 튜너(60)는 튜너부(61)와 복조부(62)를 구비하고, 제2 튜너(70)는 튜너부(71)와 복조부(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튜너에 있어서의 튜너부(61)와 복조부(62)는, 제어선(Ln1)을 통하여 제1 제어부(100)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2 튜너(70)에 있어서의 튜너부(71)와 복조부(72)는, 제어선(Ln2)을 통하여 제2 제어부(110)와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00)와 제2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선(Ln10)이 접속되어 있고, 각각이 선국 중인 채널의 정보를, 이 제어선(Ln10)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1 튜너(60) 및 제2 튜너(70)는, 도 2에 도시한 제1 튜너(20)나 제2 튜너(3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각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장치의 동작예]
다음에,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채널의 선국을 행하는 측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행해지는 제어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동작은, 제2 튜너(70)가 채널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제2 튜너(70)에서의 선국이 개시되면(스텝 S11), 제2 튜너(7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10)에 의해, 제1 튜너(60)에서의 선국 주파수가 취득된다(스텝 S12). 계속해서, 제2 제어부(110)에서, 제2 튜너(70)에 의한 선국이, 제1 튜너(60)에서 선국 중인 선국 주파수를 횡단하는 선국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3).
제1 튜너(60)에서의 선국 주파수를 횡단하지 않는 선국인 경우에는, 제2 제어부(110)에 의해, 국부 발진기(305)(도 3 참조)에서 생성되는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가 행해진다(스텝 S14).
다음에, 제2 튜너(70) 내의 PLL 회로(310)(도 3 참조)가 로크하였는지 여부가 제2 제어부(110)에서 판단되고(스텝 S15), 로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5의 판단이 계속된다.
제2 튜너(70) 내의 PLL 회로(310)가 로크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튜너(70) 내의 복조부(72)에서의 복조 처리가 개시된다(스텝 S16). 다음에, 복조부(72)에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수신을 행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이 되고(스텝 S17), 수신이 완료되지 않는 동안은, 스텝 S17의 판단이 계속된다. 그리고,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복조부(72)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18).
한편, 스텝 S13에서, 제2 튜너(70)에 의한 선국이, 제1 튜너(60)에서 선국 중인 선국 주파수를 횡단하는 선국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제어부(110)에 의해,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속도를 억제하기(지연시키기) 위한 제어가 행해짐과 함께, 선국 주파수를 변경하는 설정이 행해진다(스텝 S19).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315)에서의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로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PLL 회로(310)에 있어서의 루프 게인을 낮추는 제어나, LPF(3152)(도 3 참조)의 컷오프 주파수를 낮추는 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제2 제어부(110)에 의해, 제2 튜너(70) 내의 PLL 회로(310)가 로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S20), 로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0의 판단이 계속된다.
제2 튜너(70) 내의 PLL 회로(310)가 로크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제어부(110)에 의한,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가 종료된다(스텝 S21).
그리고, 제2 튜너(70) 내의 복조부(72)에서의 복조 처리가 개시된다(스텝 S22). 다음에, 복조부(72)에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수신을 행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이 되어(스텝 S23),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동안은, 스텝 S23의 판단이 계속된다. 그리고, 수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복조부(72)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24).
다음에, 제2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구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서 얻어진 RF 입력 신호를, 제1 튜너(60)를 내장한 기록 재생 장치(1)와, 제2 튜너(70)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2)가 수신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록 재생 장치(1)로서는, 예를 들어 비디오 레코더나 HDD 레코더, DVD 레코더, Blu-ray(등록 상표) 레코더 등의 장치가 사용된다.
도 8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RF 입력 신호를, 기록 재생 장치(1) 내의 스플리터(50)가, 기록 재생 장치(1) 내의 제1 튜너(60)와 텔레비전 수상기 내의 제2 튜너(70)로 분배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기록 재생 장치(1)와 텔레비전 수상기(2)의 2대의 장치에 RF 입력 신호를 분배하는 구성을 예로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의 기록 재생 장치(1)에, 스플리터 및 튜너를 구비한 장치를 또한 복수대 접속하는 구성에 적용해도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기록 재생 장치(1) 내에는, 제1 튜너(6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00)를 설치하고 있고, 텔레비전 수상기(2) 내에는, 제2 튜너(7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1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00)와 제2 제어부(110)를 제어선(Ln10)으로 접속하고 있다.
제1 제어부(100) 내(또는 제2 제어부(110)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고, 이 테이블 중에는, 제1 튜너(60)에서 선국 중인 선국 주파수와 제2 튜너(70)에서 선국 중인 선국 주파수의 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채널의 변경(선국)을 행할 때에, 제1 제어부(100) 또는 제2 제어부(110)가 이 테이블에 기억된 값을 참조함으로써, 선국에 의해 다른 튜너에서 선국 중인 선국 주파수를 횡단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제1 튜너(60)와 제2 튜너(70)의 내부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선국을 행하는 측의 제어부에서의 처리로서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어느 튜너에서 채널의 전환이 행해지는 경우이며, 그 전환에 의해 다른 튜너에서 선국되어 있는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에, 주파수 제어 전압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00)(또는 제2 제어부(110)) 내에 테이블을 설치하지 않고, 다른 튜너에서의 선국 주파수 정보를, 통신을 통하여 그때마다 취득하는 구성에 적용해도 된다.
도 9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서 얻어진 RF 입력 신호를, 제1 튜너(60)를 내장한 기록 재생 장치(1)와, 제2 튜너(70)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2)와, 제3 튜너(80)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3)가 수신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RF 입력 신호를, 입력 신호를 복수개로 분배 가능한 외장형의 스플리터(50')가 분배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는, 기록 재생 장치(1)와 텔레비전 수상기(2)와 퍼스널 컴퓨터(3)의 3대의 장치에 RF 입력 신호를 분배하는 구성을 예로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튜너를 구비한 장치를, 스플리터(50')에 또한 복수대 접속하는 구성에 적용해도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기록 재생 장치(1) 내에는, 제1 튜너(6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00)를 설치하고 있고, 텔레비전 수상기(2) 내에는, 제2 튜너(7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1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 내에도, 제3 튜너(80)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12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00)와 제2 제어부(110)와 제3 제어부(120)를 제어선(Ln10)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튜너(60)와 제2 튜너(70)와 제3 튜너(80)의 내부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하고, 선국을 행하는 측의 제어부에서의 처리로서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튜너를 구비한 복수의 장치에, 스플리터(50)(또는 스플리터(50'))에 의해 분배된 RF 입력 신호를 분배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어느 튜너에서 채널의 전환이 행해지는 경우이며, 그 전환에 의해 다른 튜너에서 선국되어 있는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에, 주파수 제어 전압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선국시의 국부 발진기(305)(도 3 참조)의 과도 응답이 지연되므로, AGC 회로에 있어서의 제어도, 입력 RF 신호의 레벨 변화에 추종하여 행해지게 된다. 즉, 표시부 등에 출력되는 화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처리부(중앙 제어 유닛 등)에 인스톨함으로써 실행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를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고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1: 기록 재생 장치
2: 텔레비전 수상기
3: 퍼스널 컴퓨터
10: 스플리터
20: 제1 튜너
21: 튜너부
22: 복조부
30: 제2 튜너
31: 튜너부
32: 복조부
40: 제어부
50, 50': 스플리터
60: 제1 튜너
61: 튜너부
62: 복조부
70: 제2 튜너
71: 튜너부
72: 복조부
80: 제3 튜너
100: 제1 제어부
110: 제2 제어부
120: 제3 제어부
300: 수신 회로
301: 제1 BPF
302: 저잡음 증폭기
303: 제2 BPF
304: 믹서
305: 국부 발진기
306: 중간 주파 증폭기
307: AGC 회로
310: PLL 회로
311: 프로그래머블 분주부
312: 기준 신호 발생부
313: 위상 비교부
314: 차지 펌프부
315: 주파수 제어 전압 생성부
3151: DC 증폭기
3152: 저역 통과 필터
CH1, CH2, CH3: 채널
Ln1, Ln2, Ln3, Ln10: 제어선

Claims (12)

  1. 수신 신호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부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부에 공급하는 국부 발진부와,
    상기 국부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귀환 신호로 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에서 발진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PLL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이며,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수신부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PLL부에서 상기 주파수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는, 상기 PLL부의 루프 게인을 낮추는 처리 또는, 상기 PLL부의 루프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낮추는 처리에 의해 행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및 상기 PLL부는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수신 신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PLL부의 제어를 행하는, 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장치와는 별도의 수신 장치와 통신선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행해지는 통신에 의해, 상기 별도의 수신 장치로 선국 중인 채널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LL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국부 발진부에서 생성된 상기 주파수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된 기준 신호의 위상의 차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위상 비교부와,
    상기 위상 비교부로부터의 출력에 따른 전류를 생성하는 차지 펌프부와,
    상기 차지 펌프부에서 생성된 전류를 증폭하는 직류 증폭기와,
    상기 직류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류를 적분하여 직류 전압으로 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국부 발진부에 공급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PLL부의 루프 게인을 낮추는 처리는, 상기 차지 펌프부에서 생성하는 전류의 상한값을 낮추는 것 또는, 상기 DC 증폭기의 게인을 낮춤으로써 행하는, 수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PLL부의 루프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낮추는 처리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행하는, 수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의 채널의 변경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를 종료시키는, 수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신부에서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경우라 함은, 상기 채널의 천이시에, 상기 주파수 제어 전압의 값이, 상기 다른 수신부에 공급되고 있는 주파수 제어 전압의 값과 동일해지는 경우인, 수신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지 펌프부의 전류 상한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전류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는 최저의 값으로 설정하는, 수신 장치.
  11. 수신 신호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신호로 분배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수신 처리와,
    상기 수신 처리에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처리와,
    상기 주파수 신호를 귀환 신호로 하여, 상기 국부 발진 처리에서 발진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PLL 처리와,
    상기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이며, 상기 분배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수신 처리에 의해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PLL 처리에서 상기 주파수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 처리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12. 수신 신호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신호로 분배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얻는 수신 처리와,
    상기 수신 처리에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처리와,
    상기 주파수 신호를 귀환 신호로 하여, 상기 국부 발진 처리에서 발진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PLL 처리와,
    상기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이며, 상기 분배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수신 처리에 의해 선국 중인 채널을 횡단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PLL 처리에서 상기 주파수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17002648A 2008-08-11 2009-08-06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10044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7430 2008-08-11
JP2008207430 2008-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751A true KR20110044751A (ko) 2011-04-29

Family

ID=4166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48A KR20110044751A (ko) 2008-08-11 2009-08-06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34337A1 (ko)
EP (1) EP2315363A1 (ko)
JP (1) JPWO2010018780A1 (ko)
KR (1) KR20110044751A (ko)
CN (1) CN102119529A (ko)
TW (1) TW201012214A (ko)
WO (1) WO2010018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8820B2 (en) * 2013-03-13 2015-01-06 Silcon Laboratories Inc. Television tuner to capture a cable spectrum
US8885106B2 (en) 2013-03-13 2014-11-11 Silicon Laboratories Inc. Multi-tuner using interpolative dividers
JP6559078B2 (ja) * 2016-02-11 2019-08-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受信装置
CN113098538B (zh) * 2021-03-04 2022-07-26 河北晶禾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源时序异常装置及其控制方法
US11901927B2 (en) * 2022-02-18 2024-02-13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Dynamic range extension of radio frequency signals using phasing of two or more IQ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033B2 (ja) * 1985-11-07 1994-10-19 株式会社東芝 選局装置
JPH04140911A (ja) * 1990-10-01 1992-05-14 Alpine Electron Inc Rds受信機の代替局高速サーチ方法
JPH06164433A (ja) * 1992-11-16 1994-06-10 Clarion Co Ltd 巡回フィルタを用いたfm受信装置
US5479449A (en) * 1994-05-04 1995-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VSB detector with bandpass phase tracker, as for inclusion in an HDTV receiver.
KR100226528B1 (ko) * 1995-03-29 1999-10-15 가나이 쓰도무 다중화 압축화상/음성데이타의 복호장치
US6725463B1 (en) * 1997-08-01 2004-04-20 Microtune (Texas), L.P. Dual mode tuner for co-existing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JP2000350108A (ja) 1999-06-04 2000-12-15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
DE19929178C2 (de) * 1999-06-25 2002-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Phasenregelkreissystem
US7203472B2 (en) * 2002-03-15 2007-04-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alibration technique for RF performance tuning
AU2003297715A1 (en) * 2002-12-06 2004-06-30 Thomson Licensing S.A. Tuner power dissipation reduction in a standby mode
US20040181813A1 (en) * 2003-02-13 2004-09-16 Takaaki Ota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channel change within a digital system
WO2007081731A1 (en) * 2006-01-04 2007-07-19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 level control
EP1879376A3 (en) * 2006-06-13 201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7612618B2 (en) * 2006-12-04 2009-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LL apparatus for OFDM system having variable channel band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9529A (zh) 2011-07-06
US20110134337A1 (en) 2011-06-09
WO2010018780A1 (ja) 2010-02-18
EP2315363A1 (en) 2011-04-27
TW201012214A (en) 2010-03-16
JPWO2010018780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470B2 (en) Digital broadcast recorder
EP2092738B1 (en) Tuning device with diplexer input
KR20110044751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CN102098464B (zh) 电视广播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180865A (ja) 受信回路、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S62183684A (ja) テレビジヨン同調装置
US20100045875A1 (en) Adaptive tuner
KR101324577B1 (ko) 지연된 신호에 avc를 적용하는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3308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060800A1 (en) Receiving device,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JP2007251413A (ja) 放送受信可能チャンネル確認方法及び装置
KR19980052942A (ko) 채널별 음량레벨 변동폭 자동 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1008448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스캔방법 및 장치
JPH0533645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チューナ
KR101953618B1 (ko)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8046B1 (ko) Pll 제어방법 및 장치
US8248539B2 (en) Channel selecting device, channel selecting method, and program
JP201204431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812042B1 (ko)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영상 및 음성 제어방법
JP2005333198A (ja)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チューナ
KR20050099592A (ko) 텔레비전의 영상신호 레벨 제어 장치
JP2004032324A (ja) テレビ受信装置
JP2005354620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0865593A (ja) 映像中間周波数検波回路
JP2007214827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