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618B1 -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618B1
KR101953618B1 KR1020120113748A KR20120113748A KR101953618B1 KR 101953618 B1 KR101953618 B1 KR 101953618B1 KR 1020120113748 A KR1020120113748 A KR 1020120113748A KR 20120113748 A KR20120113748 A KR 20120113748A KR 101953618 B1 KR101953618 B1 KR 10195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nnel
channels
tun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444A (ko
Inventor
김형미
류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2011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6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하는 등화부; 상기 등화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부; 및 상기 등화부와 증폭부 및 튜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Multi tun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튜너는 디지털 티브이(D-TV) 또는 셋탑박스(STB) 등과 같은 디지털방송수신기에서 여러 개의 방송채널을 모두 선국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디지털방송신호에서 각각의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는 하나의 수신기이다.
따라서 상기 다중 튜너는 2 개의 방송 채널을 동시에 선국하여 하나의 방송채널을 시청하면서, 다른 하나의 방송채널을 녹화하는 PVR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PIP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는 하나의 방송 채널을 주(Main) 화면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방송 채널을 부(Sub)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종래의 다중 튜너는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분배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분배되어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서 변환 출력된 중간주파수를 복조하는 복조부로 구성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다중 튜너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튜너부 보다 적은 입력 신호를 다수개의 튜너로 이루어진 튜너부를 이용할 경우에 입력단 신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증폭부가 사용된다.
이때, 증폭부는 단일 입력으로 들어온 신호가 여러 개로 분배됨에 따라 신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된 신호를 일정 비율로 증폭시킨다.
한편, 광대역 수신 시에 주파수에 따른 감쇄 및 페이딩(Fading) 발생으로 주파수 기울어짐 현상(tilt)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 기울어짐 발생시,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튜너에서 수신되는 약전계 신호와 다른 튜너에서 수신되는 강전계 신호가 동일하게 증폭되어 약전계 신호 수신이 안되거나 강전계 신호가 포화상태에 이를 수 있다.
국내 특허 공개 번호2007-00889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증폭부의 출력을 균일하게 하여 다중 채널의 수신 성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하는 등화부; 상기 등화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부; 및 상기 등화부와 증폭부 및 튜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등화부는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하며, 상기 등화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AGC 값을 출력 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수신 강도를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A) 등화부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하는 단계; (B) 증폭부가 상기 등화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C) 튜너부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 채널을 선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등화부는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D) 제어부가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AGC 값을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수신 강도를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부의 출력을 균일하게 하여 다중 채널의 수신 성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방송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부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면, 주파수에 따른 감쇄 및 페이딩 발생으로 주파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튜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화부의 입력 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등화부의 출력 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등화부의 주파수별 보상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등화부의 채널별 보상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출력 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튜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튜너는, 등화부(100), 증폭부(105), 튜너부(110), 복조부(120), 제어부(125), 저장부(130), 재생부(140) 및 화면 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화부(100)는 방송 신호 수신시에 주파수에 따른 감쇄 및 페이딩(Fading)에 의한 주파수 기울어짐(tilt)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부(105)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다.
그리고, 증폭부(105)는 단일 들어온 신호가 여러 갈래로 분배됨에 다른 신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된 방송 신호를 일정 비율로 증폭시킨다.
상기 튜너부(110)는 송신단에서 보내는 RF(Radio Frequency) 신호들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국하여 주파수 신호를 추출함으로써, 원하는 방송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튜너부(110)는 다수의 튜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주파수 변경 튜너들과 고정 튜너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주파수 변경 튜너들은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다수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국하여 주파수 신호를 추출한다.
이에 반하여, 고정 튜너들은 고정된 주파수로 하나의 채널만을 선국하여 주파수 신호를 추출한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러한 복조부(120)는 다수의 디모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다수의 리코더로 구성되며 복조부(120)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의 저장은 하나의 리코더에 각 채널마다 저장 위치를 달리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각각의 채널마다 리코더를 형성하여 각각의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각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각 채널마다 리코더를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수신된 각 채널의 데이터가 저장됨을 도시하고 있다.
재생부는(140) 다수의 플레이어로 구성되며 저장된 데이터를 각 채널 별로 재생시킨다.
화면 관리부(150) 재생되는 채널의 화면 구성을 관리한다. 즉, 채널을 단일 화면으로 구성할 것인지, 다중 PIP(multiple Picture In Picture)화면으로 구성할 것인지, 모자이크 화면으로 구성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단일 화면은 화면에 하나의 채널만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다중 PIP 화면은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채널은 메인 화면으로 실시간으로 보여주고 나머지 채널들은 작은 서브 화면으로 동시에 보여주는 화면이다. 그리고, 모자이크 화면은 다수 채널의 화면을 바둑판 형태의 모자이크로 보여주는 화면이다.
한편, 제어부(125)는 등화부(100)를 제어하여 채널별로 이득을 달리하여 일정한 출력 전력을 가지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증폭부(105)를 제어하여 약전계나 강전계시에 이득을 보상하여 출력하도록 하며, 그외 복조부(120)나 화면 관리부(150) 등을 제어한다.
이하, 도 1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중 튜너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등화부(100)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방송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부(105)에 입력되는 수신 방송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다.
이때, 등화부(100)로 입력되는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별로 서로 다른 입력 전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등화부(100)는 이러한 서로 다른 입력 전력을 서로 다른 이득으로 증폭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채널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 전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등화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득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채널별로 입력 전력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경우에 좋은 출력 전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등화부(100)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별로 서로 다른 이득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채널별로 입력 전력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좋은 출력 전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등화부(100)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광대역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부(105)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면, 주파수에 따른 감쇄 및 페이딩 발생으로 주파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있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의해 증폭부(105)를 통과한 출력 전력이 채널별로 서로 다른 출력 전력을 가지게 되어 포화 한계를 넘어 포화 상태가 되어 수신 불가가 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1과 채널2는 포화 한계를 넘어 수신 불가상태가 된다).
한편, 증폭부(105)는 그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안테나로부터 유입된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한다. 증폭부(105)는 신호를 증폭하되 발생하는 잡음을 적게 하도록 위해서 부품의 선택에 주의를 하고,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저잡음인 것을 사용하며 저잡음 증폭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증폭부(105)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약전계에서는 이득을 높여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고 강전계에서는 이득을 감소시켜 출력 전력을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튜너(110)는 X개 형성되는데, 각각의 튜너(110)는 다수의 채널을 분할한 채널 그룹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즉, 튜너 1은 채널 1 ~ 채널 n의 n 개의 방송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선국하며, 마지막 튜너 X는 채널 N-m ~ 채널 N의 m 개의 방송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선국할 수 있다. X 개의 튜너는 총 N개의 채널을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방송 주파수를 선국한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를 통과한 신호를 복조하여 TS(Transport Stream)를 추출한다. 즉, 채널 코딩된 심볼(Symbol)을 추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킨다. 복조부(120)는 각 튜너부(11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복조부(120)로부터 전달 받은 TS 스트림내의 패킷 단위로 먹싱된 오디오, 비디오, 부가 정보 등의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채널별로 할당된 리코더에 저장한다.
재생부(140)의 각 플레이어를 구성하는 디코더는 분리된 데이터인 ES(Element Stream)을 디코딩한다. 디코더는 비디오 디코더,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화면 관리부(150)는 단일 채널을 단일 화면으로, 다중 채널을 다중 PIP 화면 또는 모자이크 화면으로 표시할 것이지 여부를 결정하여 보여준다.
한편, 제어부(125)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각 채널별로 복조부(120)에서 출력되는 AGC(Auto Gain Control)값이나 수신 강도(RSSI)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5)는 이와 같이 검출된 AGC 값이나 수신 강도를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채널별로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등화부(100)의 보상 이득을 결정한다.
이처럼 보상 이득이 결정되면 제어부(125)는 등화부(100)를 결정된 보상 이득에 따라 제어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광대역 신호를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부(105)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주파수에 따른 감쇄 및 페이딩 발생으로 주파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한다.
물론, 제어부(125)는 강전계 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105)를 제어하여 증폭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출력 전력을 감소시키고, 약전계가 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105)를 제어하여 증폭 이득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출력 전력을 증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면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S100)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다(S110).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각 채널별로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AGC(Auto Gain Control)값이나 수신 강도(RSSI)를 검출하여, 이와 같이 검출된 AGC 값이나 수신 강도를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다.
이후에, 제어부는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채널별로 등화부의 보상 이득을 결정한다(S120).
이러한 보상 이득의 결정은 등화부를 통과한 출력 전력이 전 주파수에 따라 일정한 출력 전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주파수별(좀더 상세하게는 채널별)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게 설정된다.
이처럼 보상 이득이 결정되면 제어부는 등화부를 결정된 보상 이득에 따라 제어하여(S130)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방송 신호를(S140)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부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주파수에 따른 감쇄 및 페딩 발생으로 주파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한다(S150).
물론, 제어부는 강전계 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를 제어하여 증폭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출력 전력을 감소시키고, 약전계가 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를 제어하여 증폭 이득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출력 전력을 증가시킨다(S160).
이후에, 투너부의 각 튜너는 선국된 신호를 튜닝하고 복조부는 튜닝된 신호를 복조하며, 저장부는 복조된 신호를 저장하고, 화면 관리부는 복조된 신호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표시한다(S170).
한편, 위에서 제어 방법은 등화부의 보상 이득을 가변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적으로 증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단계 S100~130은 필요하지 않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등화부 105 : 증폭부
110 : 튜너부 120 : 복조부
125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재생부 150 : 화면 관리부

Claims (10)

  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하는 등화부;
    상기 등화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등화부와 증폭부 및 튜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다수의 리코더로 구성되어,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다수의 플레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채널 별로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채널의 화면 구성을 관리하는 화면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튜너부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며 다수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국하는 주파수 변경 튜너 및 고정된 주파수로 하나의 채널만을 선국하는 고정 튜너를 포함하는 다수의 튜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부는
    하나의 리코더에 각 채널마다 저장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각 채널마다 리코더를 형성하여 각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저장하며,
    상기 화면 관리부는
    재생되는 채널의 화면을 단일 화면으로 구성하거나, 다중 PIP(multiple 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구성하거나, 모자이크 화면으로 구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튜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화부는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는 다중 튜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하며,
    상기 등화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하는 다중 튜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AGC 값을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하는 다중 튜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수신 강도를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한 후에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하는 다중 튜너.
  6. (A) 등화부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 채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하여 출력하는 단계;
    (B) 증폭부가 상기 등화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C) 튜너부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 채널을 선국하여 출력하는 단계;
    (F) 복조부가 상기 튜너부에서 선국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
    (G) 저장부가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H) 재생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 채널 별로 재생하는 단계; 및
    (I) 화면 관리부가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채널의 화면 구성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튜너부가 다수의 튜너 중 주파수 변경 튜너를 통해 주파수를 변경시키며 다수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국하거나, 고정 튜너를 통해 고정된 주파수로 하나의 채널만을 선국하여 출력하고,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저장부가 하나의 리코더에 각 채널마다 저장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각 채널마다 리코더를 형성하여 각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저장하며,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화면 관리부가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채널의 화면을 단일 화면으로 구성하거나, 다중 PIP(multiple 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구성하거나, 모자이크 화면으로 구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등화부는 주파수에 따른 이득을 조절하는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D) 제어부가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입력 전력에 반비례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상 이득에 따라 등화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AGC 값을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 채널에 대하여 자동 스캔을 수행하여 복조부를 통하여 전채널에 대한 수신 강도를 출력받아 주파수 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다중 튜너의 제어 방법.
KR1020120113748A 2012-10-12 2012-10-12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48A KR101953618B1 (ko) 2012-10-12 2012-10-12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48A KR101953618B1 (ko) 2012-10-12 2012-10-12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44A KR20140047444A (ko) 2014-04-22
KR101953618B1 true KR101953618B1 (ko) 2019-03-04

Family

ID=5065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748A KR101953618B1 (ko) 2012-10-12 2012-10-12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6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415A (ja) * 2006-11-06 2008-05-22 Sharp Corp 複数チューナ内蔵テレビ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415A (ja) * 2006-11-06 2008-05-22 Sharp Corp 複数チューナ内蔵テレビ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44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4929B2 (ja) 地上波ディジタルtv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適する地上波ディジタルtv放送受信装置
US8725097B2 (en) Amplifier for cable and terrestrial applications with independent stage frequency tilt
US8019027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EP13503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level of rf signals based upon the information stored on a memory
US8035445B2 (en) Frequency response compensation amplifier arrangements
US9491395B2 (en) Tuning circuit and receiver
KR100809246B1 (ko) Rf 루프쓰루의 출력선택 기능을 갖는 디지탈 듀얼 튜너
US200400419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level of rf signals
US20040036772A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level of rf signals by comparing quality of the rf signals under different operation modes
KR101953618B1 (ko) 다중 튜너 및 그 제어 방법
JP4557057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20100060800A1 (en) Receiving device,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US20080218637A1 (en)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845470B1 (ko) 듀얼 튜너
US8436945B2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JP2007251413A (ja) 放送受信可能チャンネル確認方法及び装置
JP2008278195A (ja) 複数チューナ内蔵テレビ受信装置
JP5554146B2 (ja) 放送受信装置
KR10187270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방법
KR100727120B1 (ko) 영상신호의 오프셋과 게인의 자동 처리를 위한 텔레비젼수상기 및 방법
KR20140049840A (ko) 다중 채널 수신 장치
JP5017428B2 (ja) 変調信号処理装置及び変調信号処理方法
JP2008205762A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00042702A (ko) 영상표시기기의 오디오 신호 조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