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611A - 압력 방출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방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611A
KR20110043611A KR1020117001609A KR20117001609A KR20110043611A KR 20110043611 A KR20110043611 A KR 20110043611A KR 1020117001609 A KR1020117001609 A KR 1020117001609A KR 20117001609 A KR20117001609 A KR 20117001609A KR 20110043611 A KR20110043611 A KR 2011004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lief
relief valve
valve
hol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813B1 (ko
Inventor
마테오 마쪼니
Original Assignee
와르보일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르보일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와르보일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1004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3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vibration pre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38Pop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5With retarder or dash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afety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관성력에 따른 유압 모터의 압력 변동, 즉 가속 및 감속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조절식 압력 방출 밸브(점진적 충격 방지용 압력 방출 밸브)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최적화된 밸브는 누출 감소, 밸브 제어 동안 유동력의 작용의 감소, 및 압력 손실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며, 이들 특징은 유압 모터가 구동 부하를 받아 작동되지 않을 때 유압 모터의 회전을 방지하고, 특히 낮은 유량으로 밸브 제어 압력의 진동 및 불안정성을 제거하여, 조절값이 밸브를 통한 유량에 따라 변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밸브의 또 다른 특징은 밸브 부품수의 감소 및 이로 인한 비용 효율 증가이다.

Description

압력 방출 밸브{PRESSURE RELIEF VALVE}
본 발명은, 특히 관성력에 따른 유압 모터의 압력 변동, 즉 가속 및 감속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조절식 압력 방출 밸브(점진적 충격 방지용 압력 방출 밸브) 분야에 관한 것이다.
조절식 압력 방출 밸브가 종래 기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압력 방출 밸브는 공급 라인으로부터 그 위에 배치된 챔버로 이동되는 유압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 가압 부재를 통해 주 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제어 압력 증가를 감쇠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압력 방출 밸브 내의 이동가능한 부재를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조절 스프링이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며, 그러한 조절 스프링이 이동가능한 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밸브 외부에 위치된 조절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방출 밸브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주된 문제점으로, 상당한 누출로 인해, 과도 제어 및 충격 방지 목적으로 유압 모터에 설치된 종래의 밸브는 유압 모터가 구동 부하의 영향을 받아 구동되지 않을 때 유압 모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없어서, 모터가 설치된 장치가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 부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의 모터 제동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압력 방출 밸브의 또 다른 문제점은 종래의 압력 방출 밸브의 복잡한 구조적 구성 및 상당한 부품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의 모터 제동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고도 앞서 언급한 누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누출 방지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 동안 발생되는 유동력의 영향 및 압력 손실을 감소시켜, 밸브를 통한 유량이 감소되는 식으로 변하는 조절값을 제공할 수 있고 제어 압력의 진동 및 불안정성을 제거하는 구조적 구성의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그러한 구조적 구성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비용을 줄이기 위해 밸브 부품수를 감소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점진적 압력 방출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이들 및 기타 다른 특징은 일 예로서 제한 없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일부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 내의 폐쇄 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가 통상 사용되는 유압 회로의 대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의 작동 중 시간 변화에 따른 제어 압력의 전형적인 곡선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밸브(V)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특성 및 조작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밸브(V)는 내부 중공형 카트리지(6) 및 상기 카트리지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된 스프링 지지용 플러그(spring-holding plug)(3)로 구성되며, 상기 카트리지(6)에는 링 형상의 반경방향 관통 구멍(6a) 및 하나 이상의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6)는 축방향 관통 구멍(10a)을 포함한 폐쇄 부재(10), 주 스프링(8), 축방향 관통 구멍(5a)을 포함한 피스톤(5), 조절 스프링(setting spring)(12) 및 조절 스프링(12)과 폐쇄 부재(10) 사이에 삽입된 축방향 관통 구멍(11a)을 포함한 플레이트(plate)(11)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보정용 스로틀(calibrated throttles)(7, 9)이 폐쇄 부재(10) 내에 장착되고, 직렬로 배치되며, 각각 보정용 구멍(7a, 9a)을 포함하고, 그러한 스로틀에는 보정용 구멍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강철 피아노선(steel music wire)(7b)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구조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스로틀이 소경의 보정용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조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용 구멍(7a, 9a)은 공급 라인(P) 내의 압력에 무관하게 관통 구멍(10a)을 통해 일정한 유량을 보장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성된 보상용 유량 조절기(compensated flow-rate regulator)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에 아주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듯이, 폐쇄 부재(10)는 모양이 상이한 부분, 즉 원추대 형상 및 기하학적 정밀도가 카트리지(6)의 내측 에지(S1)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헤드부(head)(10b), 카트리지(6)의 내측면을 따라 몇 ㎜의 틈을 두고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원통면(10c), 중심부, 및 원통 형상이면서, 주 스프링 챔버(main spring chamber)(C1)가 카트리지(6)의 내측면, 폐쇄 부재(10)의 외측면 및 피스톤(5)의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소경을 갖는 단부(10d)로 구성된다.
밸브가 작동되지 않을 때, 주 스프링 챔버(C1)는 카트리지(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6b)에 의해 배출 라인(T)의 압력으로 유지된다.
폐쇄 부재(10)의 헤드부(10b)는 유체가 유동할 때 발생되는 유동력의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압 유체를 공급 라인(P)으로부터 배출 라인(T)으로 적절하게 보내는 배플(baffle)(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플(15)은 폐쇄 부재(10)의 원추형 헤드부(10b)의 하부에 기계적 절삭 가공으로 형성된 환형 배출부(annular discharge)이다.
폐쇄 부재의 원통면(10c)은 카트리지(6)의 내측면과 접하는데, 고도의 기하학적 정밀성으로 인해 폐쇄 부재의 원통면(10c)과 카트리지의 내측면은 접하므로, 그 접촉면 사이에서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유체의 누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주 스프링 챔버(C1)와 챔버(C3)(본 챔버(C3)는 배플(15)과 카트리지(6)의 에지(S1)에 의해 형성됨) 사이에서 누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구멍(6b)를 통해 주 스프링 챔버(C1)와 배출 라인(T) 사이에서 누출될 수 있는 유체의 유량보다 훨씬 더 낮으며, 주 스프링 챔버(C1) 및 상기 챔버(C3) 내의 압력은 서로 독립적이다.
또한, 폐쇄 부재의 원통면(10c)은 밸브가 폐쇄될 때 링 형상의 구멍(6a)의 일부를 노출된 상태로 두기 위한 크기로 구성되는데, 이 구성은 압력 손실을 줄이며, 진동, 및 특히 낮은 유량으로 제어 압력의 불안정성을 방지한다.
공급 라인(P)으로부터 배출 라인(T)으로의 밸브를 통한 유동은 폐쇄 부재(10)의 원통면(10c)에 의해 일부 차단되는 관통 구멍(6a)으로 인해 상기 챔버(C3) 내의 압력을 주 스프링 챔버(C1) 내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값으로 증가시켜, 주 스프링(8)과 조절 스프링(12)의 힘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폐쇄 부재(10)에 대한 추가의 추력을 발생시킨다. 폐쇄 부재(10)의 단부(10d)는 피스톤(5)의 관통 구멍(5a) 내에 수용되고, 관통 구멍(5a)과 폐쇄 부재의 단부(10d)가 접하는 부분은, 밸브의 작동 압력에서 이들 접촉면 사이의 유체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5㎖/분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해, 길이 및 기하학적으로 정밀하게 구성된다.
피스톤(5)은 카트리지(6)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피스톤(5)의 외측면과 카트리지(6)의 내측면이 접하는 고도의 기하학적 정밀도 및 시일(seals)(13, 14)의 추가로 인해, 어떠한 유체 누출도 그 접촉면 사이에서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V)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서로 접하는 관통 구멍(5a)과 폐쇄 부재(10)의 단부(10d) 사이에서, 상기 단부(10d)에 환형 홈(17)을 형성시켜 이 홈 내에 저마찰 시일(low friction seal)(16)을 채움으로써, 최적화된 밀봉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V)의 제3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6)는 생략되어 있으며, 밸브의 구성요소들은 특수 가공된 본체(specially machined body)(1b)에 바로 설치되고, 카트리지(6) 내에 형성된 구멍(6b)은 상기 특수 가공된 본체(1b) 내에 직접 형성되며, 링 형상의 관통 구멍(6a)은 배출 라인(T) 내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annular recess)(1c)로 대체된다.
폐쇄 부재(10)의 헤드부(10b)는 특수 가공된 본체(1b)의 직접 가공에 의해서도 얻어지는 에지(S2)에 맞닿아 밀봉한다.
상기 3개의 실시예의 결과로서, 주 스프링 챔버(C1), 및 스프링 지지부(spring holder)(3)와 피스톤(5)에 의해 형성된 챔버(C2)는 서로 분리되고, 주 스프링 챔버(C1) 및 공급 라인(P)은, 밸브가 폐쇄될 때, 서로 분리된다.
스프링 지지부(3)는 일 단부에 설치된 조절 나사(2) 및 스프링 플레이트(4)와 조절 스프링(12)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동(3a)을 포함한다. 조절 스프링(12)은 헤드부(10b)가 내측 에지(S1)에 맞닿는 쪽으로 플레이트(11)를 통해 폐쇄 부재(10)의 단부를 가압하고, 조절 나사(2)에 대해 스프링 플레이트(4)를 가압한다. 그 결과, 조절 나사(2)는 폐쇄 부재(10)가 내측 에지(S1)에 대해 가압되는 힘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밸브(V)는 공급 라인(P) 내의 유압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된 힘이 폐쇄 부재(10)가 주 스프링(8)의 예압 및 조절 스프링(12)의 예압에 의해 내측 에지(S1) 또는 에지(S2)에 대해 가압되는 힘보다 더 작아질 때까지 폐쇄되며, 이 상태에서, 챔버(C3)는 공급 라인(P)에 의해 분리되고, 폐쇄 부재의 원통면(10c)은 카트리지(6)의 링 형상의 구멍(6a) 또는 특수 가공된 본체(1b) 내의 환형 리세스(1c)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되게 한다.
공급 라인(P) 내의 유압 유체에 의해 발생되고, 폐쇄 부재(10)의 헤드부(10b) 상에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폐쇄 부재(10) 및 플레이트(11)로 구성된 조립체는 상향으로 이동하고, 폐쇄 부재의 헤드부(10b)와 카트리지(6)의 내측 에지(S1) 또는 특수 가공된 본체(1b)의 에지(S2) 사이에는 통로가 형성되어, 공급 라인(P) 내의 유체 일부가 챔버(C3)로 유입된 후, 링 형상의 구멍(6a) 또는 환형 리세스(1c)를 통해 배출 라인(T)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라인(P) 내의 유압 유체의 또 다른 부분이 관통 구멍(10a, 11a)을 통해, 그리고 스로틀(7)의 보정용 구멍(9a, 7a)을 통해 챔버(C2)로 유입되며, 이 유체의 작용에 의해, 피스톤(5)은 하향으로 움직여 주 스프링(8)을 가압할 수 있는데, 이는 제어 압력을 증가시킨다.
피스톤(5)이 하향으로 움직일 때, 주 스프링 챔버(C1) 내의 유체는 관통 구멍(6b)을 통해 배출 라인(T)으로 압입되며, 이 상태에서, 주 스프링 챔버(C1) 내의 압력은 증가되고, 피스톤(5)의 하향 운동을 반대로 함으로써 감소된다. 구멍(6b 또는 1b)의 크기는 밸브 작동 시간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가 통상 사용되는 전형적인 유압 회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2개의 압력 방출 밸브(V 및 V')는 통상 유압 블록의 본체(1 또는 1b)에 설치되며, 압력 방출 밸브(V)는 공급 라인(P) 및 배출 라인(T)과 연통되고, 압력 방출 밸브(V')는 상기 본체(1 또는 1b) 내에 형성된 공급 라인(P') 및 배출 라인(T')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 또는 1b)의 내부는 공급 라인(P)이 배출 라인(T')과 연통되고, 공급 라인(P')이 배출 라인(T)과 연통되도록 가공된다. 유압 블록(1 또는 1b)은 유압 라인(L1 및 L2)에 의해 서로 연결된 방향 제어 밸브(D)와 모터(M)를 포함하는 유압 회로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V 및 V')가 사용되기 때문에, 방향 제어 밸브(D)가 회전 운동을 모터(M)에 가하도록 구동되면, 감쇠된 점진적 가속이 얻어지고, 이를 거꾸로 말하면, 방향 제어 밸브(D)가 모터(M)로의 유동을 급중단하도록 구동되면, 모터는 이에 연결된 관성 부하로 인해 자체 회전 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모터(M)에서 나오는 유체는 방향 제어 밸브(D)를 통해 유동할 수 없으며, 압력 방출 밸브(V 및 V')의 설정 압력에 이를 때까지 회전 방향에 따라 유압 라인(L1 및 L2)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이 압력 증가로 인해, 밸브는 개방되어, 유체는 반대 방향의 유압 라인(L2 또는 L1)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유체가 압력 방출 밸브(V 또는 V')를 통과할 때, 유체는 에너지 소산에 따른 압력 손실을 겪게 되어, 유압 회로 내에 임의의 추가의 제동 시스템을 요하지 않고도, 모터가 멈출 때까지 모터(M)를 서서히 감속시킬 수 있다.
압력 방출 밸브(V 및 V')는 낮은 압력값에서 작동되며, 그러한 설정 압력을 미리 정해진 시간에 보다 높은 최종 압력값으로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모터(M)에 감쇠된 점진적 가속 및 감속 변동을 제공한다. 방향 제어 밸브가 모터(M)로의 유동을 중단하도록 구동되면, 압력 방출 밸브(V 및 V')는 유압 라인(L1)과 유압 라인(L2) 사이의 경미한 누출을 보장하여, 모터가 외부 부하에 의해 구동되는 경향이 있을 때라도, 모터(M)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작용은 도 6에 도시된 밸브의 작동 중 시간 변화에 따른 제어 압력의 전형적인 곡선에 의해 효과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압력이 공급 라인(P)에 작용하기 시작하는 시간에서부터, 압력은 시간(t1)에서의 압력값(P1)까지 증가한 결과, 폐쇄 부재(10)는 공급 라인(P)과 챔버(C3) 사이 및 챔버(C3)로부터 링 형상의 구멍(6a) 또는 환형 리세스(1c)를 거쳐 배출 라인(T)으로 이어지는 유체 경로를 일부 개방하기 시작하는데, 이 제1 단계에서, 유체는 보정용 구멍(7a, 9a, 10a)을 통과하여 챔버(C2)에 이른다. 챔버(C2) 내의 압력이 피스톤(5)을 변위시킬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압력값에 이르는 시간(시간(t1))에서부터, 챔버(C2) 내의 압력은 시간(t1')까지, 즉 시간(t1)에서 시간(t1')까지 대체로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결과, 피스톤(5)은 이동하고 주 스프링(5)의 예압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주 스프링(8)의 예압과 그로 인한 폐쇄 부재(10)를 인상하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즉 공급 라인(P) 내의 압력값이 P1에서 P1'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t1')에서, 피스톤(5)은 맞대기부에 도달하여, 압력은 압력값(P1')에 이르고, 그 후 챔버(C2) 내의 압력은 시간(t2)에서 공급 라인(P) 내의 압력이 최종 압력값(P2)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 다음, 상기 최종 압력값(P2)은 공급 라인(P)에서 배출 라인(T)으로 유동이 있는 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보정용 구멍(7a, 9a)은 피스톤(5)이 맞대기부로 주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보정용 스로틀(7, 9)을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의 작동 시간(t2에서 t0)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 조절 단계 동안, 폐쇄 부재의 헤드부(10b)의 크기 및 배플(15)의 형성은 유동력 및 압력 손실의 작용을 감소시키고, 진동을 제거하여, 낮은 유량으로 제어 압력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의 압력 방출 밸브는 종래의 압력 방출 밸브에 비해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 주 스프링 챔버(C1), 챔버(C2) 및 챔버(C3)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챔버(C3)의 형성 및 폐쇄 부재(10)의 배플(15)의 형상은 폐쇄 부재(10)와 플레이트(11)의 시스템에 충분한 댐핑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서, 또 다른 댐핑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의 구성요소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 정지 상태의 압력 방출 밸브에 의해, 공급 라인(P)과 배출 라인(T) 사이의 유체 누출이 매우 적고, 압력 방출 밸브와 연결되는 유압 모터가 구동 부하의 작용을 받는 경우에도 제 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 유동력 및 압력 손실의 작용은 감소된다.
- 낮은 유량으로의 제어 압력의 진동 및 불안정성이 제거된다.
- 바람직한 구조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작동은 직렬로 배열된 2 개 이상의 보정용 스로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직렬로 배열된 2개 이상의 보정용 스로틀에 의해, 상기 보정용 스로틀에는 직경이 증가한 보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막힘에 덜 노출될 수 있으며, 보정용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보장하는 추가의 보장물로서 강철 피아노선(7b)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보정용 스로틀의 사용으로, 밸브 부품의 복잡한 가공 과정을 피할 수 있다.

Claims (9)

  1. 공급 라인(supply line)(P, P') 및 배출 라인(discharge line)(T, T')과 연통되도록 유압 블록(hydraulic block)의 본체(1, 1c) 내에 설치되는 유형의 유압 모터 및 유압 회로의 압력 피크(pressure peaks) 제어용 유압식, 개선된 압력 방출 밸브(V, V')에 있어서,
    카트리지(cartridge)(6),
    스프링 지지용 플러그(spring-holding plug)(3),
    축방향 관통 구멍(10a)을 가진 폐쇄 부재(10),
    주 스프링(8),
    축방향 관통 구멍(5a)을 가진 피스톤(5),
    조절 스프링(setting spring)(12),
    스프링 플레이트(spring plate)(4), 및
    축방향 관통 구멍(11a)을 가진 플레이트(11)
    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6)는, 상기 카트리지(6)의 내측면, 상기 폐쇄 부재(10)의 외측면 및 상기 피스톤(5)의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 주 스프링 챔버(main spring chamber)(C1); 및 상기 피스톤(5) 및 상기 스프링 지지용 플러그(3)에 의해 형성된 챔버(C2)와 같은, 내부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6)는 링 형상의 반경방향 관통 구멍(6a); 및 상기 주 스프링 챔버(C1)와 상기 배출 라인(T)의 연통을 위한 1개 이상의 구멍(6b)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부재(10)는 헤드부(head)(10b), 원통면(10c) 및 단부(10d)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 방출 밸브(V)는,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헤드부(10b)와 상기 카트리지(6)의 에지(S1) 사이의 결합면,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원통면(10c)과 상기 카트리지(6)의 내측면 사이의 결합면,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단부(10d)와 상기 피스톤(5)의 구멍(5a) 사이의 결합면, 및 상기 피스톤(5)의 외측면과 상기 카트리지(6)의 내측면 사이의 결합면이 기하학적으로 정밀하게 형성되어, 상기 압력 방출 밸브의 작동 압력에서 유체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5㎖/분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면들은, 부품들의 상대 이동 중의 마찰이 무시할 정도가 되도록 동축으로 배치된,
    압력 방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의 상기 헤드부(10b)는 배플(baffle)(15), 즉 상기 폐쇄 부재(10)의 원추형 헤드부(10b)의 하부에 기계 가공으로 형성된 환형 배출부(annular discharge)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부재의 상기 원통면(10c)은, 밸브 제어 동안 유동력의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 방출 밸브가 폐쇄될 때 상기 링 형상의 구멍(6a)의 일부를 노출된 상태로 두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압력 방출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6)의 내측면,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헤드부(10b) 및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원통면(10c)에 의해 형성된 챔버(C3)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C3)는 상기 폐쇄 부재(10)에 형성된 상기 배플(15)의 기하학적 형상과 조합되어 상기 폐쇄 부재(10)와 상기 플레이트(11)의 조립체에 댐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압력 방출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단부(10d)는 저마찰계수를 가진 시일(seal)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홈(17)을 포함하여, 대응하는 상기 피스톤(5)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압력 방출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10a) 내에는 2개 이상의 스로틀(throttles)(7, 9)이 설치되고, 상기 스로틀(7, 9)은 보정용 구멍(7a, 9a)을 사용하여 밸브 작동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직렬로 배치된, 압력 방출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10a) 내에는 1개 이상의 스로틀(7 또는 9)이 설치되고, 상기 스로틀은 보정용 구멍(7a, 9a)을 사용하여 밸브 작동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압력 방출 밸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7, 9)의 상기 보정용 구멍(7a, 9a)은 막힘 방지용 강철 피아노선을 구비할 수 있는, 압력 방출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상기 카트리지(6)의 내측면에 부합하는 모양의 특정 공동(special cavity)이 형성된 본체(1b)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 방출 밸브의 내부 부품은, 상기 카트리지(6)가 빠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압력 방출 밸브(V)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b) 상에서 직접 슬라이딩되며,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헤드부(10b)와 상기 본체(1b)의 에지(S2) 사이의 결합면,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원통면(10c)과 상기 본체(1b)의 내측면 사이의 결합면,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단부(10d)와 상기 피스톤(5)의 상기 관통 구멍(5a) 사이의 결합면, 및 상기 피스톤(5)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1b)의 내측면 사이의 결합면은 기하학적으로 정밀하게 형성되어, 상기 압력 방출 밸브의 작동 압력에서 유체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5㎖/분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면들은, 부품들의 상대 이동 중의 마찰이 무시할 정도가 되도록 동축으로 배치된, 압력 방출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10)의 상기 관통 구멍(10a) 내에 설치된 상기 스로틀은 상기 공급 라인(P) 내의 압력에 무관하게 상기 관통 구멍(10a)을 통해 일정한 유량을 보장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성된 보상용 유량 조절기(compensated flow-rate regulator)로 대체될 수 있는, 압력 방출 밸브.
KR1020117001609A 2008-07-08 2009-07-08 압력 방출 밸브 KR101542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PR2008A000041A IT1390605B1 (it) 2008-07-08 2008-07-08 Valvola idraulica limitatrice di pressione con intervento progressivo per il controllo dei transitori dei motori idraulici
ITPR2008A000041 2008-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611A true KR20110043611A (ko) 2011-04-27
KR101542813B1 KR101542813B1 (ko) 2015-08-07

Family

ID=4097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609A KR101542813B1 (ko) 2008-07-08 2009-07-08 압력 방출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7049B2 (ko)
EP (1) EP2310726B1 (ko)
KR (1) KR101542813B1 (ko)
AT (1) ATE551565T1 (ko)
IT (1) IT1390605B1 (ko)
WO (1) WO20100045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7140A1 (en) * 2019-06-19 2020-12-24 Tenet Hydraulics Co. Hydraulic valve with linear adjustable throttling gate and a hydraulic velocity fuse throttling g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5368B2 (ja) * 2011-06-08 2015-09-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リリーフ弁
CN103291679B (zh) * 2013-06-04 2015-07-15 浙江大学 一种低滞环溢流阀
CN104343759B (zh) * 2013-07-23 2016-02-24 武汉机械股份有限公司 稳压阀
BR112016023537B1 (pt) * 2014-04-09 2022-03-29 Volvo Truck Corporation Ferramenta, sistema e método para drenagem e reabastecimento de combustível criogênico em um tanque de veículo
US9879792B1 (en) * 2014-04-14 2018-01-30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Pressure relief valve for cryogenic liquid containers
DE102014210387A1 (de) * 2014-06-03 2015-12-03 Robert Bosch Gmbh Druckbegrenzungsventil
EP2990704B1 (en) * 2014-08-27 2017-07-26 Apex Medical Corp. Pneumatic valve and air mattress assembly having pneumatic valve
DE112015006917T5 (de) * 2015-09-18 2018-06-14 Shimadzu Corporation Druckregelventil
CN106286918A (zh) * 2016-08-30 2017-01-04 重庆红江机械有限责任公司 超高压溢流阀
CN107061843B (zh) * 2017-03-31 2019-12-03 江苏汉邦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超临界流体色谱系统的自动背压阀
CN108278237A (zh) * 2018-01-25 2018-07-13 陈艳艳 双向二级缓冲阀
US11118698B2 (en) * 2018-07-23 2021-09-14 Pratt & Whiiney Canada Corp. Damping mechanism for valves
CN109404357A (zh) * 2018-10-30 2019-03-01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溢流阀
EP3680484A1 (de) * 2019-01-08 2020-07-15 Burckhardt Compression AG Sitzventil
JP7479807B2 (ja) 2019-09-19 2024-05-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弁および建設機械
CN110989710B (zh) * 2019-12-31 2023-06-20 深圳市宝明发科技有限公司 一种减压阀压力智能调节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0825A (en) * 1945-03-05 1953-03-10 New York Air Brake Co Relief valve
US2600875A (en) * 1946-12-06 1952-06-17 Hydraulic Equipment Company Silent relief valve for hydraulic systems
US3054420A (en) * 1958-10-03 1962-09-18 Commercial Shearing Relief valves
US3036593A (en) * 1959-08-10 1962-05-29 Eric J Saville Pressure relief valve
US3217740A (en) * 1962-03-23 1965-11-16 Bendix Corp Relief valve having partial balancing arrangement
US3465778A (en) * 1966-08-08 1969-09-09 Gen Electric Combined pressure control valve and pressure relief valve having a flat pressure-flow characteristic
DE1750341B1 (de) * 1968-04-23 1970-09-24 Messerschmitt Boelkow Blohm Rueckschlagventil
US3592223A (en) * 1969-11-06 1971-07-13 Cla Val Co Pilot-operated modulating valve system and flow stabilizer incorporated therein
US5050636A (en) * 1990-10-17 1991-09-2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Relief valve
US5590683A (en) * 1994-10-11 1997-01-07 Bennett; Barry D. Compensating relief valve
DE60321879D1 (de) * 2002-11-12 2008-08-14 Cavagna Group Spa Federbelastetes Druckentlastungsventil
US8281804B2 (en) * 2008-07-08 2012-10-09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Pressure relief valv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7140A1 (en) * 2019-06-19 2020-12-24 Tenet Hydraulics Co. Hydraulic valve with linear adjustable throttling gate and a hydraulic velocity fuse throttling gate
US11891928B2 (en) 2019-06-19 2024-02-06 The Oilgear Company Hydraulic valve with linear adjustable throttling gate and a hydraulic velocity fuse throttling g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390605B1 (it) 2011-09-09
EP2310726B1 (en) 2012-03-28
ITPR20080041A1 (it) 2010-01-09
KR101542813B1 (ko) 2015-08-07
ATE551565T1 (de) 2012-04-15
WO2010004511A1 (en) 2010-01-14
EP2310726A1 (en) 2011-04-20
US20110114203A1 (en) 2011-05-19
US8517049B2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3611A (ko) 압력 방출 밸브
JP5250624B2 (ja) 一体化された圧力補償器を有する力フィードバックポペット弁
WO2014142208A1 (ja) 減衰弁
JPH0777283A (ja) 圧力制御弁用パイロット段
JP6808837B2 (ja) 緩衝器
KR20000052553A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CN104929927B (zh) 用于可调节的静液泵的电控制的压力调节阀和具有压力调节阀的可调节的静液泵
WO2018016132A1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EP0441343A2 (en) Fluid pressure controller
CN110701370B (zh) 电动驱动式流量控制阀
KR20010052024A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KR101265550B1 (ko) 직동형 릴리프밸브
EP1821014B1 (en) Relief valve
JP4872868B2 (ja) 圧力制御装置
JP2007514106A (ja) 流体圧制御装置
JP2000266046A (ja) 軸受予圧用油圧回路及び主軸装置並びにころがり軸受の予圧方法
JP4296306B2 (ja) 供給停止弁
JP5217454B2 (ja) 油圧駆動装置
JPWO2019215883A1 (ja) プライオリティ流量制御バルブ
US20190128360A1 (en) Damping force-adjusting valve and shock absorber
WO2023032576A1 (ja) 圧力補償弁
JP4935590B2 (ja) 圧力制御装置
JP2017133643A (ja) リリーフ弁
US20230282405A1 (en) Solenoid, solenoid valve, and shock absorber
JP2008303619A (ja) ドアクロ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