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633A - 플럭스 디핑장치 - Google Patents

플럭스 디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633A
KR20110042633A KR1020090099392A KR20090099392A KR20110042633A KR 20110042633 A KR20110042633 A KR 20110042633A KR 1020090099392 A KR1020090099392 A KR 1020090099392A KR 20090099392 A KR20090099392 A KR 20090099392A KR 20110042633 A KR20110042633 A KR 2011004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plate
flux tank
tank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633A/ko
Publication of KR2011004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는, 상부에 플럭스를 도포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럭스를 상기 플레이트에 도포하기 위한 수용부를 수직으로 관통 형성하는 플럭스탱크와, 상기 플럭스탱크와 하강시 연결되고 상승시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송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작동영역 내에서 왕복이동 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이동영역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연결해제위치로 더 이동시킬 때, 연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플럭스탱크로부터 분리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플럭스, 디핑장치, 탱크, 플레이트, 분리

Description

플럭스 디핑장치{FLUX DIPPING APPARATUS UNIT}
본 발명은 플럭스 디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럭스탱크와 플럭스를 도포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럭스탱크와 플레이트의 분리가 용이하여 플럭스 탱크 및 플레이트의 클리닝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플럭스 디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럭스 디핑장치는 "칩마운터"라 불리는 부품실장기에 설치되어 부품실장기에 공급되는 부품에 플럭스가 전사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플럭스 플레이트 상부에 도포하는 것이다.
여기서 부품실장기는 반도체 칩 등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의 일정 위치에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부품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에 소요되는 다품종의 부품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공급받아 흡착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부품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트레이에 부품을 적재하여 부품공급을 수행하지만 부품이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는 이송 중 또는 설치작업 중에 배치된 위치에서 벗어나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작은 부품을 부품실장기에 공급하기 위해 피더를 사용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럭스 디핑장치는 공급되는 부품(1)을 확실하게 실장하기 위해 부품의 범프에 플럭스(P)를 도포한다. 참고로 플럭스(P)는 부품의 접착될 부위 또는 범프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표면에 형성된 산화 막을 제거한다. 그리고 열을 가하는 경우 범프(2)의 융점을 낮추어 인접하는 범프가 상호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럭스 디핑장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1)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1)의 상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플럭스탱크(12)가 설치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1)와 플럭스탱크(12)에 묻은 플럭스(P)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경화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플레이트(11)와 플럭스탱크(12)를 반드시 분리하여 클리닝 해야만 한다.
상기 플레이트(11)와 플럭스탱크(12)를 클리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프레임(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4)를 회전시켜 편심 설치된 캠(13)의 일단이 체결블록(15)을 상부로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플럭스탱크(1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 축(13)으로부터 상기 체결블록(15)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 홈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작업자는 연결이 해제된 플레이트(11)와 플럭스탱크(12)를 분리한 후 플럭스(P)를 클리닝 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플럭스 디핑장치는, 플레이트(11)와 플럭스탱크(12)를 분리하기 위해 협소한 공간에 손을 넣어 캠의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조작의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캠(13)과 손잡이(14)를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캠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체결블록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럭스탱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가 이동영역을 벗어나는 연결해제위치로 이동할 때, 작동부재를 상승시켜 플럭스탱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 플럭스가 묻은 플레이트와 플럭스탱크를 쉽고 빠르게 분리함과 아울러, 작동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장부재의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자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체결블록이 플럭스탱크와의 연결 및 분리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럭스 디핑장치는, 상부에 플럭스를 도포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럭스를 상기 플레이트에 도포하기 위한 수용부를 수직으로 관통 형성하는 플럭스탱크와, 상기 플럭스탱크와 하강시 연결되고 상승시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송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작동영역 내에서 왕복이동 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이동영역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연결해제위치로 더 이동시킬 때, 연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플럭스탱크로부터 분리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럭스탱크의 양측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벽면에 접하도록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는 연결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축은 플레이트의 양측 상부 면에 접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는 베어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스크류 체결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볼스크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암수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지지가 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과 연동하도록 상기 로드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록이 승강할 때 상기 플럭스탱크의 연결축과 연결 및 분리되도록 일면에 걸림 홈이 형성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블록의 사이에는, 플럭스탱크와 플레이트간 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이동에 의해 밀려 후퇴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 2절곡부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블록의 하단을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제3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는, 각각의 단부에 회전가능한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와 플럭스탱크를 수동으로 분리하지 않고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럭스가 묻은 플레이트와 플럭스탱크를 쉽고 빠르게 클리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동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재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승강부재의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게다가, 체결블록이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 있어, 플럭스탱크와 작동부재의 연결 및 분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의 플럭스탱크, 작동부재 및 승강부재 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1작동상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는 프레임(100), 플럭스 탱크(200), 작동부재(300) 및 승강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부품실장기(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 위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에는 부품실장기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에어공급포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공급포트(11)에 의해 공급된 에어를 이용하여 점성을 갖는 액상의 플럭스(P)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럭스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플럭스(P)의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게 일측에는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결정하는 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이 더 있으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분리가능하게 플럭스(P)가 도포 되는 플레이트(110)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10)의 양측에는 가이드 면(1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양측에는 플럭스탱크(200)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의 상부 면에는 일정깊이의 도포 홈(1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도포 홈(113)에는 플럭스(P)가 일정 두께로 도포 될 수 있다.
슬라이드장치의 구성은, 상기 슬라이드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3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300)의 일측이 황복이동 가능하게 스크류 체결되는 볼스크류(130) 및, 상기 볼스크류(130)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볼스크류(130)로 회전 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20), 볼스크류(130) 및 연결부재(140)는 프레임(100)의 내부 또는 양측에 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20)와 볼스크류(130)는 플럭스탱크(200)의 왕복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연결부재(140)는 별도의 구동수단과 밸트(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홈이 형성된 벨트 풀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체인을 연결할 수 있는 스프로킷이나, 기어의 맞물림 연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기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1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플럭스탱크(200)는 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럭스탱크(200)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수용부(2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럭스탱크(200)는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용부(210)에 담긴 플럭스(P)가 플레이트(110)의 도포 홈(113) 내부에 얇게 도포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럭스탱크(200)의 양측에는 플레이트(110)의 양측 벽면에 접하는 상태로 슬라이드 왕복이동되도록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20)의 하단에는 상기 작동부재(300)에 연결되는 걸림 축(2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 축(23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양측 상부 면에 접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는 베어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 축(230)은 플레이트(110)의 가이드 면(111)과 접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플레이트(110)의 가이드 면(111)과 접하는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재(300)는 전술된 슬라이드장치에 연결되어 플럭스탱크(200)를 설정된 이동영역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상기 작동부재(300)는 하강시 플럭스탱크(200)의 걸림 축(230)과 연결되고, 상승시 걸림 축(230)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300)는 가이드부재(120)에 암수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몸체(310)와, 상기 연결몸체(310)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로드(320)와, 상기 승강로드(3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400)에 의해 지지가 되는 지지블록(350) 및, 상기 지지블록(350)과 연동하도록 상기 승강로드(3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록(350)이 승강할 때 상기 플럭스탱크(200)의 걸림 축(230)과 연결 및 분리되도록 일면에 걸림 홈(331)이 형성되는 체결블록(33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블록(330)의 걸림 홈(331)은 하부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개방된 하부를 통해 플럭스탱크(200)의 걸림 축(230)이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310)와 지지블록(350) 사이에는, 상기 플럭스탱크(200)와 플레이트(110) 간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3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40)는 승강로드(320)에 끼워져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승강부재(400)는 작동부재(300)가 이동영역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설 정된 연결해제위치로 더 이동시킬 때, 연동에 의해 작동부재(300)를 상승시켜 플럭스탱크(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승강부재(400)의 구성은, 프레임(100)의 양측 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1절곡부(410)와, 상기 제1절곡부(410)의 상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플럭스탱크(200)가 상기 작동 폭으로부터 설정된 위치로 더 이동시 후퇴되는 제2절곡부(420) 및, 상기 제2절곡부(420)와 연동하도록 상기 제1절곡부(410)의 하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플럭스탱크(200)의 하단에 접하여 승강시키는 제3절곡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410)와 제3절곡부(430)는 각각의 단부에 회전가능한 롤러(4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롤러(440)의 외주 면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고무,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럭스(P)를 플레이트(110)의 도포 홈(113)에 도포할 경우, 구동수단(미도시)을 동작시켜 연결부재(14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볼스크류(13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130)에 연결된 작동부재(30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300)의 체결블록(330)에 연결된 플럭스탱크(200)가 플레이트(110)의 도포 홈(113)에 플럭스(P)를 도포하면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작동부재(300)는 플럭스탱크(200)를 이동영역 즉, 제어부에 설정된 작동 폭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플럭스(P)가 묻은 플럭스탱크(200)와 플레이트(110)를 클리닝 할 경우, 플럭스탱크(200)가 일측에 대기하는 상태에서 플럭스탱크(200)를 기설정된 연결해제 위치로 더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부재(300)의 연결몸체(310)가 승강부재(400)의 제2절곡부(420)의 단부를 후방으로 밀어 후퇴시키기 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동하는 제3절곡부(430)의 단부가 상부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3절곡부(430)의 단부는 지지블록(350)의 저면을 상부로 밀어 상승시키게 되고, 승강로드(320)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부재(340)가 연결몸체(310)와 지지블록(350) 사이에서 가압 되면서 승강로드(320)의 상단에 연결된 체결블록(33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플럭스탱크(200)의 걸림 축(230)으로부터 체결블록(330)의 걸림 홈(331)이 분리되어 플럭스탱크(200)와 작동부재(300)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100)으로부터 플레이트(110)와 플럭스탱크(200)를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플럭스탱크(200)와 플레이트(110)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플럭스를 클리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110)와 플럭스탱크(200)를 수동으로 분리하지 않고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럭스가 묻은 플레이트(110)와 플럭스탱크(200)를 쉽고 빠르게 클리닝 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3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재(400)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승강부재(400)의 설치공간 확보가 용 이하며, 체결블록(330)이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 있어, 플럭스탱크(200)와 작동부재(300)의 연결 및 분리를 정확하게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부품에 플럭스가 묻지 않는 상태와, 부품에 플럭스가 묻은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플럭스 디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디핑장치의 플럭스탱크, 작동부재 및 승강부재 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1작동상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플레이트
111: 가이드 면 113: 도포 홈
120: 가이드부재 130: 볼스크류
140: 연결부재 200: 플럭스탱크
210: 수용부 220: 연장부
230: 걸림 축 300: 작동부재
310: 연결몸체 320: 승강로드
330: 체결블록 331: 걸림 홈
340: 탄성부재 350: 지지블록
400: 승강부재 410: 제1절곡부
420: 제2절곡부 430: 제3절곡부
440: 롤러

Claims (8)

  1. 상부에 플럭스를 도포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럭스를 상기 플레이트에 도포하기 위한 수용부를 수직으로 관통 형성하는 플럭스탱크;
    상기 플럭스탱크와 하강시 연결되고 상승시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송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작동영역 내에서 왕복이동 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이동영역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연결해제위치로 더 이동시킬 때, 연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플럭스탱크로부터 분리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탱크의 양측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벽면에 접하도록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는 걸림 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축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상부 면에 접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 는 베어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이 황복이동 가능하게 스크류 체결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볼스크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암수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과 연동하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록이 승강할 때 상기 플럭스탱크의 걸림 축과 연결 및 분리되도록 일면에 걸림 홈이 형성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는 플러스 디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지지블록의 사이에는, 상기 플럭스탱크와 상기 플레이트 간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스 디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연결몸체의 이동에 의해 밀려 후퇴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블록의 하단을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제3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는, 각각의 단부에 회전가능한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디핑장치.
KR1020090099392A 2009-10-19 2009-10-19 플럭스 디핑장치 KR20110042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92A KR20110042633A (ko) 2009-10-19 2009-10-19 플럭스 디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92A KR20110042633A (ko) 2009-10-19 2009-10-19 플럭스 디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33A true KR20110042633A (ko) 2011-04-27

Family

ID=4404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392A KR20110042633A (ko) 2009-10-19 2009-10-19 플럭스 디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6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001A (ko) 2020-03-02 2021-09-10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본딩 장치
CN114535737A (zh) * 2022-02-09 2022-05-27 田讯电子(烟台)有限公司 一种数据线自动焊接产线
CN114904428A (zh) * 2022-05-09 2022-08-16 潘成武 一种基于环保的涂层加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001A (ko) 2020-03-02 2021-09-10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본딩 장치
CN114535737A (zh) * 2022-02-09 2022-05-27 田讯电子(烟台)有限公司 一种数据线自动焊接产线
CN114535737B (zh) * 2022-02-09 2023-11-03 田讯电子(烟台)有限公司 一种数据线自动焊接产线
CN114904428A (zh) * 2022-05-09 2022-08-16 潘成武 一种基于环保的涂层加工装置
CN114904428B (zh) * 2022-05-09 2023-11-07 潘成武 一种基于环保的涂层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67294B (zh) 一种用于点胶、穿排线及保压的自动生产线
CN105797919B (zh) 配件贴合设备
CN105500903A (zh) 全自动锡膏印刷机
KR20110042633A (ko) 플럭스 디핑장치
KR101574486B1 (ko) 테스트 소켓
JP530550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CN111372438A (zh) 一种电子零件安装装置
KR200463702Y1 (ko) 스크린 프린터의 스퀴지장치
KR101375651B1 (ko) 패널 이송 장치 및 패널 이송 방법
KR101464588B1 (ko) 솔더 자동 주입기
CN220191123U (zh) 全自动折弯机
CN211222463U (zh) 网印机的升降结构
KR100976505B1 (ko) 픽업지그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디스플레이용 게터의픽업장치
CN210252873U (zh) 一种固晶机
KR101312495B1 (ko) 인쇄회로기판 자동 클램프 바스켓 로더 및 언로더용 회전장치
JPS6284871A (ja) プリント基板スクリ−ン印刷機
KR20110100443A (ko) 플럭스 디핑장치
KR100998768B1 (ko)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CN210675767U (zh) 一种双工位点胶贴合机
CN213462523U (zh) 电路板清洁机
KR100807699B1 (ko)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CN112407807A (zh) 一种输送和自定位一体的输送设备
JP5967753B2 (ja) 部品実装機及び転写装置
CN214515712U (zh) 一种用于Micro-USB插口包胶的防渗胶点胶机
KR100801582B1 (ko)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