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582B1 -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582B1
KR100801582B1 KR1020060120320A KR20060120320A KR100801582B1 KR 100801582 B1 KR100801582 B1 KR 100801582B1 KR 1020060120320 A KR1020060120320 A KR 1020060120320A KR 20060120320 A KR20060120320 A KR 20060120320A KR 100801582 B1 KR100801582 B1 KR 10080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rt
backlight module
pl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록
Original Assignee
천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은 바닥부에 프레임안착판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서트프레임을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백라이트모듈, 사출성형, 인서트프레임, 이송공, 수령공

Description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Insert Frame for Back Lighting Module and Supporting Frame including the Insert Frame and Device for Supplying the Insert Fram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트프레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의 전체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프레임탑재테이블과 회전판구동부의 상세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언로딩부의 상세도,
도6, 도7 및 도8은 각각은 도3에 도시된 프레임지지부와 안착판구동부의 상세도,
도9는 도3에 도시된 이송판과 이송부의 상세도,
도10a, 도10b, 도10c, 도10d, 도10e, 도10f, 도10g 및 10h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의 동작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트프레임의 성형사출초기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프레임 11 : 몰드프레임
20 : 인서트프레임 21a : 이송공
21b : 수령공 30 : 프레임탑재테이블
32 : 탑재탑 40 : 회전판구동부
41 : 스텝모터 42 : 구동판
50 : 프레임안착판 60 : 언로딩부
63 : 언로딩승강실린더 68 : 언로딩진공척
70 : 프레임지지부 71 : 양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
72 : 단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
80 : 안착판구동부 82 : 안착판구동실린더
90 : 이송판 90b : 이송핀
100 : 이송부 101 : 이송진공척
110 : 이송판구동부 114 : 베이스슬라이더
115 : 접근슬라이더 116 : 슬라이더연동부
117 : 이송판실린더
본 발명은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의 후면에 부착되는 백라이트모듈에 사용되는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다른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은 금속재질의 인서트프레임(20)과 합성수지재질의 몰드프레임(11)을 갖고 있다(도2 참조).
인서트프레임(20)은 판상의 바닥부(21)와 바닥부(2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되고, 몰드프레임(11)은 측면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인서트프레임은 인서트공급로봇에 설치된 진공척에 흡착된 상태로 가동측 금형의 캐비티에 탑재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서트프레임과 인서트프레임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공급하는 장치에 따르면, 진공척 이외 인서트프레임(20)을 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인서트프레임을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인서트프레임이 가동측 금형(201a)의 캐비티(인서트위치)에 정확하게 탑재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서트프레임을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 트사출성형장치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의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있어서, 바닥부에는 프레임안착판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의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있어서, 바닥부에는 프레임안착판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인서트프레임의 탑재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공과 상기 수령공은 각각 상기 바닥부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의 인서트사출성형 장치에 인서트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있어서, 바닥부에는 프레임탑재테이블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인서트프레임의 탑재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공과 상기 수령공은 각각 상기 바닥부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프레임을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물로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안착면을 갖는 프레임안착판과; 상기 이송공에 대응하도록 이송핀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면을 갖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에 설치된 이송진공척과 상기 이송핀이 상기 이송공에 삽입되는 인수위치와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의 가동측 금형에 형성된 수령핀이 상기 수령공에 삽입되는 인도위치사이를 상기 이송판을 이동시키는 이송판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안착면에 탑재된 인서트프레임을 상기 이송판으로 옮긴 후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의 가동측 금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이송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상기 프레임안착면은 바닥면에 평행하고, 상기 이송면은 바닥면에 수직이며; 상기 프레임안착면에 탑재된 인서트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안착면이 상기 이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안착판을 이동시키는 안착판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레임안착면에 인서트프레임을 자동으로 탑재시킬 수 있도록, 상단에 프레임탑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탑재개구를 통해 인서트프레임이 적층 수납되는 탑재탑을 갖는 프레임탑재테이블과, 상기 탑재탑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을 언로딩하여 상기 프레임안착면에 탑재하는 언로딩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안착면에 자동으로 탑재시킬 수 있는 인서트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탑재테이블은 상기 탑재판이 복수개 기립설치되는 회전판을 가지고; 상기 탑재탑이 상기 언로딩부의 언로딩위치에 순차적으로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판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판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1)에 한 쌍의 이송공(21a)과 한 쌍의 수령공(21b)이 형성되어 있 다.
한 쌍의 이송공(21a)과 한 쌍의 수령공(21b)은 각각 바닥부(21)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이송공(21a)은 후술하는 프레임안착판(50)로부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고, 한 쌍의 수령공(21b)은 후술하는 이송판(90)으로부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로 인도될 때(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된다. 여기서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는 상호 대향하는 가동측 금형(201a)과 고정측 금형(201b)을 갖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트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인서트프레임(20)과, 인서트프레임(20)의 둘레연부에 결합된 합성수지재질의 몰드프레임(11)을 갖고 있다.
인서트프레임(20)은 바닥부(21)에 한 쌍의 이송공(21a)과 한 쌍의 수령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이송공(21a)과 한 쌍의 수령공(21b)은 각각 바닥부(21)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프레임(10)은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프레임탑재테이블과 회전판구동부의 상세도이 며, 도5는 도3에 도시된 언로딩부의 상세도이며, 도6, 도7 및 도8은 각각은 도3에 도시된 프레임지지부와 안착판구동부의 상세도이며, 도9는 도3에 도시된 이송판과 이송부의 상세도이며, 도10a, 도10b, 도10c, 도10d, 도10e, 도10f, 도10g 및 10h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의 동작상태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트프레임의 성형사출초기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1)을 갖는 프레임탑재테이블(30)과, 회전판(31)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판구동부(40)와, 프레임안착면(51)을 가지고 회전판(31)의 부근에 설치된 프레임안착판(50)과, 프레임탑재테이블(30)과 프레임안착판(50)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탑재테이블(30)로부터 인서트프레임(20)을 언로딩하여 프레임안착판(50)에 탑재하는 언로딩부(60)와, 프레임안착면(51)에 탑재된 인서트프레임(20)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70)와, 프레임안착판(50)을 이동시키는 안착판구동부(80)와, 프레임안착판(50)의 부근에 설치된 이송판(90)과, 프레임안착판(50)과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사이에 배치된 이송부(110)를 갖고 있다.
프레임탑재테이블(30)은 회전판(31)에 더하여 회전판(3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복수의 탑재탑(32)을 갖고 있다.
탑재탑(32)은 한 쌍씩 조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탑재탑(32)은 상단에 프레임탑재개구(32a)가 형성되어 있고, 각 탑재 탑(32)엔느 프레임탑재개구(32a)를 통해 인서트프레임(20)이 적층 수납된다.
회전판구동부(40)는 스텝모터(41)와, 회전판(31)의 저면에 결합돌부(42a)를 통해 결합된 구동판(42)과, 구동판(42)에 스텝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판전동부(43)와, 스텝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회전판전동부(43)는 공지의 기어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회전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각 조의 탑재탑(32)이 언로딩부(60)의 언로딩위치에 순차적으로 정지하도록 회전판(31)을 회전 구동한다.
전술한 회전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는 후술하는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언로딩정보에 기초하여 언로딩작업과 충돌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프레임안착판(50)은 두 쌍의 위치결정공(52)이 대각선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안착지지기둥(54)을 통해 안착지지판(53)에 지지되어 있다.
안착지지판(53)은 후술하는 회동축(5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축(55)의 외측영역에는 작용축(56)이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안착면(51)은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안착면(51)은 한 쌍이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안착면(51)에는 한 쌍의 이송핀홈(51a)이 이송공(2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언로딩부(60)는 지면에 기립 설치된 디귿자 형상의 언로딩지지대(69)에 가로 바(69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언로딩슬라이딩블럭(61)과, 언로딩슬라이딩블럭(61)을 이동시키는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와, 언로딩슬라이딩블럭(61)에 결합된 하부결합판(61a)에 실린더하우징이 고정된 언로딩승강실린더(63)와, 언로딩승강실린더(63)의 실린더하우징 상단에 하부결합판(61a)에 나란하도록 결합된 언로딩지지판(64)과, 언로딩지지판(64)과 하부결합판(61a)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언로딩안내관(65)과, 언로딩승강실린더(63)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된 십자형태의 승강부재(66)와, 각 언로딩안내관(65)에 하나씩 삽입되도록 승강부재(66)에 결합된 한 쌍의 언로딩안내봉(67)과, 하부결합판(6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승강부재(66)에 설치된 한 쌍의 언로딩진공척(68)과, 언로딩승강실린더(63), 언로딩진공척(68) 및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을 제어하는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는 랙과 피니언 등과 같은 공지의 회전직선운동변환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회전판(31)이 정지되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언로딩승강실린더(63), 언로딩진공척(68) 및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언로딩진공척(68)이 언로딩위치에 있는 탑재탑(32)의 프레임탑재개구(32a)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
다음에 언로딩진공척(68)이 탑재탑(32)에 적층된 인서트프레임(20)에 접근하도록 언로딩승강실린더(63)를 제어한다. 여기서 언로딩진공척(68)이 인서트프레 임(20)에 접근하는 높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다.
즉, 언로딩진공척(68)의 하강이 진행되어 언로딩진공척(68)의 종단에 결합된 실리콘자바라가 인서트프레임(20)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로가 폐색된다.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실리콘자바라의 공기유로가 폐색되면, 언로딩승강실린더(63)에 공급되는 공압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다음에 탑재탑(32)에 적층된 인서트프레임(20)이 흡착되도록 언로딩진공척(68)을 제어한다.
한편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언로딩진공척(68)에 인서트프레임이 흡착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언로딩승강실린더(63), 언로딩진공척(68) 및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언로딩진공척(68)이 원위치로 상승 복귀하도록 언로딩승강실린더(63)를 제어한다.
다음에 언로딩진공척(68)이 프레임안착면(51)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언로딩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
다음에 언로딩진공척(68)이 프레임안착면(51)에 접근하도록 언로딩승강실린더(63)를 제어한다(도10a 참조).
다음에 흡착동작이 해제되도록 언로딩진공척(68)을 제어한다. 이 때 언로딩진공척(68)에 흡착된 인서트프레임은 프레임안착면(51)으로 전달된다(도10b 참조).
다음에 언로딩진공척(68)이 다시 프레임안착판(50)의 상측으로 복귀하도록 언로딩승강실린더(63)를 제어한다.
전술한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는 회전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회전판구동정보, 프레임지지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프레임지지정보 및 안착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안착판구동정보에 기초하여 회전판구동작업 , 프레임지지작업 및 안착구동작업과 충돌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프레임지지부(70)는 안착지지판(53)의 상면에 설치된 양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1)와, 프레임안착판(50)의 상면 각 프레임안착면(51)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된 단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2)와, 양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1)의 각 플런저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양방향가압판(73)과, 각 단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에 결합된 단방향가압판(74)과, 양방향직선운동솔레노이드(71)와 단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레임지지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양방향가압판(73)은 프레임안착판(50)을 두께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프레임안착면(51)의 외측에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지지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언로딩진공척(68)이 프레임안착판(50)의 상측으로 복귀할 때, 양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1)의 플런저와 단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가 전진하여 양방향가압판(73)과 단방향가압판(74)이 프레임안착면(51)에 탑재된 인서트프레임(20)을 가압지지할 수 있도록 양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1)와 단방향직선운동 솔레노이드(72)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레임지지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후술하는 이송진공척(111)으로부 터 흡착력이 인가될 때까지 인서트프레임(20)의 가압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프레임지지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는 언로딩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언로딩정보와 이송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이송진공척(111)의 흡착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안착판구동부(80)는 회동축(55)을 통해 결합된 한 쌍의 지지벽부(81)와, 지지벽부(81)의 사이영역에 설치된 안착판구동실린더(82)와, 안착판구동실린더(82)를 제어하는 안착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안착판구동실린더(82)는 피스톤로드에 결합된 축연결암(82a)을 통해 작용축(5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안착판구동실린더(82)의 피스톤로드가 실린더의 내부로 후퇴하면 프레임안착판(50)은 바닥면에 수평인 위치에서 바닥면에 수직인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안착판(50)의 수직위치회동은 지지벽부(81)와 안착지지판(53)이 상호 접촉하는 동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양방향가압판(73)과 단방향가압판(74)에 의해 인서트프레임(20)이 가압지지된 상태에서 프레임안착판(50)이 바닥면에 수직인 위치로 회동하고(도10c 참조), 인서트프레임(20)의 가압지지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프레임안착판(50)이 바닥면에 수평인 위치로 복귀하도록 안착판구동실린더(82)를 제어한다.
전술한 안착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는 프레임지지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지지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이송판(90)은 후술하는 이송판실린더(117)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송판(90)은 중앙영역에 한 쌍의 이송면(90a)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이송면(90a)에는 이송핀(90b)이 이송공(2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판(90)은 네모서리영역에 위치결정공(52)에 대응하는 위치결정핀(90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위치결정핀(90c)의 내측에는 이송접근센서(90d)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결정핀(90c)은 이송판(90)이 프레임안착판(50)에 접근할 때 위치결정공(52)에 삽입되어 접근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이송접근센서(90d)의 출력은 후술하는 이송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이송진공척(111)을 제어할 때 제어입력으로 이용된다.
이송부(110)는 각 이송판(90)에 하나씩 설치된 이송진공척(111)과, 이송판(90)을 프레임안착판(50)과 가동측 금형(201a)사이를 이동시키는 이송판구동부(110)와, 이송진공척(111)과 이송판구동부(110)를 제어하는 이송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이송진공척(111)은 각 이송판(90)의 이송면(90a)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송판구동부(110)는 이송판(90)으로부터 프레임안착판(50)을 향해 배치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이송레일(111)과, 이송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송레일(111)에 설치된 이송슬라이딩블럭(112)과, 이송슬라이딩블럭(112)을 이송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와, 이송슬라이딩블럭(112)의 상단에 결합된 베이스슬라이더(114)와, 베이스슬라이더(114)의 상단에 결합된 접근슬라이더(115)와, 베이스슬라이더(114)를 이송슬라이 딩블럭(112)에 대하여 이송레일(11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는 베이스슬라이더구동부(120)와, 베이스슬라이더(114)의 이동에 연동하여 접근슬라이더(115)를 베이스슬라이더(114)에 대하여 이송레일(11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연동부(116)와, 이송판(90)과 슬라이더지지판(115a)사이에 설치된 이송판실린더(117)를 갖고 있다.
이송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는 랙과 피니언 등과 같은 공지의 회전직선운동변환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이송슬라이딩블럭(112)의 이동은 각 이송레일(11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스토퍼(113)에 의해 제한된다.
베이스슬라이더구동부(120)는 이송슬라이딩블럭(112)의 상면에 설치된 베이스슬라이더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베이스슬라이더(114)의 내부에 장착된 베이스슬라이더구동벨트(122)와, 베이스슬라이더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축에 결합된 베이스슬라이더구동피니언(123)을 갖고 있다.
베이스슬라이더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를 사용한다.
베이스슬라이더구동벨트(122)는 내표면에 톱니가 베이스슬라이더구동피니언(123)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슬라이더구동벨트(122)는 베이스슬라이더구동피니언(123)의 인접영역에 설치된 한 쌍의 벨트안내롤러(124)와 도시되지 않는 한 쌍의 풀리를 통해 베이스슬라이더구동피니언(123)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슬라이더구동벨트(122)가 이동할 때 베이스슬라이더(114)는 이송슬라이딩블럭(112)에 대하여 이송레일(11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연동부(116)는 베이스슬라이더(114)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접근슬라이더(115)에 고정된 연동판(116a)과,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동판(116a)의 배면에 결합된 연동랙(116b)을 갖고 있다.
연동랙(116b)은 베이스슬라이더구동벨트(122)와 치합할 수 있도록 연동판(116a)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슬라이더구동벨트(122)가 이동할 때 즉, 베이스슬라이더(114)가 이동할 때 접근슬라이더(115)는 베이스슬라이더(114)에 대하여 이송레일(11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송판실린더(117)는 실린더하우징이 슬라이더지지판(115a)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판실린더(117)의 피스톤로드에는 결합되기 때문에 이송판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이송판(90)은 슬라이더지지판(115a)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송판(90)의 슬라이더지지판(115a)에 대한 이동은 이송판(90)의 배면에 설치된 이송안내관(118)과 슬라이더지지판(115a)의 전면에 설치된 이송안내봉(119)에 의해 안내된다.
이송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송진공척(111), 이송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 및 베이스슬라이더구동부(120)를 제어한다.
먼저 인서트프레임(20)이 프레임지지부(70)에 의해 가압지지된 상태에서 프레임안착판(50)이 바닥면에 수직인 위치로 회동할 때, 이송판(90)이 프레임안착 판(50)에 접근하여 이송핀(90b)이 이송공(21a)에 삽입되는 인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송슬라이딩블럭(112)이 이동하도록 이송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도10d 참조).
다음에 이송진공척(111)으로부터 프레임안착면(51)에 탑재된 인서트프레임(20)에 흡착력이 인가되도록 이송진공척(111)을 제어한다. 이송진공척(111)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20)에 흡착력이 인가되면 인서트프레임은 이송면(90a)에 탑재된다.
다음에 이송슬라이딩블럭(112)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이송블럭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도10e 참조).
다음에 이송면(90a)이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의 가동측 금형(201a)에 형성된 수령핀(201c)의 전방에 도달할 때까지 베이스슬라이더(114)가 이동하도록 베이스슬라이더구동부(120)를 제어한다(도10f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슬라이더(114)가 이동하는 동안접근슬라이더(115)는 슬라이더연동부(116)에 의해 베이스슬라이더(11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다음에 수령공(21b)에 수령핀(201c)이 삽입되는 인도위치에 이송판(90)이 도달하도록 이송판실린더(117)를 제어한다(도10g 참조). 이송판(90)이 인도위치에 도달하면 가동측 금형(201a)에 설치된 진공척(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에 흡착력이 인가된다. 가동금형측 진공척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20)에 흡착력이 인가되면 인서트프레임은 가동측 금형(201a)의 캐비티에 탑재된다. 가동측 금형(201a)에는 이송판(9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를 설치하고 가동금형측 진공 척의 제어입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이송판(90)이 가동측 금형(20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송판실린더(117)를 제어한다(도10h 참조).
다음에 이송판(90)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베이스슬라이더(114)가 이동하도록 베이스슬라이더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슬라이더(114)가 이동하는 동안접근슬라이더(115)는 슬라이더연동부(116)에 의해 베이스슬라이더(11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한편 이송면(90a)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은 인서트사출성형방식에 따라 지지프레임(10)이 제작된다(도11 참조).
전술한 이송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는 안착판구동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안착판구동정보와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가동금형측 진공척의 흡착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의 바닥부(21)에 한 쌍의 이송공(21a)과 한 쌍의 수령공(21b)을 형성하여 인서트프레임(20)을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에 공급할 때 이용함으로써, 인서트프레임을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201)로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송면(90a)을 바닥면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프레임안착면(51)이 이송면(90a)에 대향하도록 프레임안착판(50)을 이동시키는 안착판구동부(80)를 마련함 으로써, 이송부(11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프레임안착판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을 넘겨 받는 구성이 단단해 짐).
그리고 탑재탑(32)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20)을 언로딩하여 프레임안착면(51)으로 이송하는 언로딩부(60)를 마련함으로써, 프레임안착면(51)에 인서트프레임(20)을 자동으로 탑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재탑(32)이 언로딩부(60)의 언로딩위치에 순차적으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안착면(51)에 자동으로 탑재시킬 수 있는 인서트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의 바닥부에 한 쌍의 이송공과 한 쌍의 수령공을 형성하여 인서트프레임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공급할 때 이용함으로써, 인서트프레임을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Claims (6)

  1.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의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에 있어서,
    바닥부에는 프레임안착판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2. 금속재질의 인서트프레임과 상기 인서트프레임의 둘레연부에 결합된 합성수지재질의 몰드프레임을 갖도록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어 백라이트모듈의 다른 구성품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프레임의 바닥부에는 프레임안착판으로부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3.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로 이송시킬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이송공과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서 수령할 때 이용되는 한 쌍의 수령공이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프레임을 상기 백라이트 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물로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안착면을 갖는 프레임안착판과;
    상기 이송공에 대응하도록 이송핀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면을 갖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에 설치된 이송진공척과 상기 이송핀이 상기 이송공에 삽입되는 인수위치와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의 가동측 금형에 형성된 수령핀이 상기 수령공에 삽입되는 인도위치사이를 상기 이송판을 이동시키는 이송판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안착면에 탑재된 인서트프레임을 상기 이송판으로 옮긴 후 상기 백라이트모듈용 지지프레임 인서트사출성형장치의 가동측 금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안착면은 바닥면에 평행하고, 상기 이송면은 바닥면에 수직이며;
    상기 프레임안착면에 배치된 인서트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안착면이 상기 이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안착판을 이동시키는 안착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단에 프레임탑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탑재개구를 통해 인서트프레 임이 적층 수납되는 탑재탑을 갖는 프레임탑재테이블과, 상기 탑재탑으로부터 인서트프레임을 언로딩하여 상기 프레임안착면에 탑재하는 언로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탑재테이블은 상기 탑재판이 복수개 기립설치되는 회전판을 가지고;
    상기 탑재탑이 상기 언로딩부의 언로딩위치에 순차적으로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판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KR1020060120320A 2006-12-01 2006-12-01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KR10080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320A KR100801582B1 (ko) 2006-12-01 2006-12-01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320A KR100801582B1 (ko) 2006-12-01 2006-12-01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582B1 true KR100801582B1 (ko) 2008-02-11

Family

ID=3934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320A KR100801582B1 (ko) 2006-12-01 2006-12-01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187B1 (ko) * 2009-12-15 2010-06-0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장착프레임
CN105855848A (zh) * 2016-06-15 2016-08-17 昆山鑫泰利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sim卡座组装治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038A (ko) * 2003-05-30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37752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68912A (ko)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포장 트레이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038A (ko) * 2003-05-30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37752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68912A (ko)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포장 트레이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187B1 (ko) * 2009-12-15 2010-06-0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장착프레임
CN105855848A (zh) * 2016-06-15 2016-08-17 昆山鑫泰利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sim卡座组装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967B1 (ko)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
KR102054292B1 (ko) 토출 장치, 토출 방법,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CN109574477B (zh) 玻璃热弯上下料机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KR102078813B1 (ko) 3차원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터의 조형 박스 정렬 방법
CN115458458B (zh) 一种半导体芯片粘贴自动供料机
KR100801582B1 (ko)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그 인서트프레임을 포함하는지지프레임 및 백라이트모듈용 인서트프레임 공급장치
TW201015662A (en) Ejector pin
KR20010110984A (ko) 다이 및 소형 부품의 이송 장치
US47417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like
TW201015147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carrying method
JP5387646B2 (ja) 樹脂封止装置
KR101133132B1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JP2007152820A (ja) 射出成形機
JP2011235586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KR101034041B1 (ko) 기판 정렬장치
JP2002067094A (ja) 横型射出成形機の金型セッティング装置
CN215849275U (zh) 一种埋射注塑模的上下料设备
CN220924641U (en) Improved feeding equipment for scissor leg swinging plate of notebook keyboard
CN213356146U (zh) 一种电镀设备自动上料结构
CN220392514U (zh) 一种凸轮上料机构
CN217393199U (zh) 一种等离子清洗机
CN220617511U (zh) 一种具有缓震结构的半导体液晶搬送机
CN220306230U (zh) 铜框架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