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768B1 -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 Google Patents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768B1
KR100998768B1 KR1020100032281A KR20100032281A KR100998768B1 KR 100998768 B1 KR100998768 B1 KR 100998768B1 KR 1020100032281 A KR1020100032281 A KR 1020100032281A KR 20100032281 A KR20100032281 A KR 20100032281A KR 100998768 B1 KR100998768 B1 KR 10099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base block
upper mold
shif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용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우리마이크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마이크론(주) filed Critical 우리마이크론(주)
Priority to KR102010003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3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 B29C45/54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and plasticising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3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 B29C45/54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and plasticising screw
    • B29C2045/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and plasticising screw continuously rotating plasticising screw cooperating with a single injection plunger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신뢰성이 우수한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결합되었을 때 기판이 수지에 의해 몰딩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이 상호 결합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캐비티 내부의 기판과 수지를 가압하거나 캐비티 내부로 수지가 유입되도록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져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져 유닛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스크류 컬럼, 일단측과 타단측이 상기 각 스크류 컬럼에 각각 치합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를 따라 승강하는 쉬프트 플레이트,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상기 각 스크류 컬럼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쉬프트 컬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Molding Device having Plunger Unit}
본 발명은 몰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보다 신뢰성이 우수한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전자제품의 활용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반도체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반도체는 내부에 회로 등이 위치되며, 상기 회로 및 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주위에 수지 등으로 몰딩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도체를 몰딩하기 위한 몰딩장치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몰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몰딩장치는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10) 또는 하부금형(20)이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 사이에는 기판(30)이 몰딩되는 공간인 캐비티(40)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40)에 몰딩을 위한 수지(32)가 공급되는 통로인 게이트(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42)의 수지(32)를 캐비티(40)로 밀어 이송하는 플런져 유닛(60)이 구비된다.
따라서, 기판(30)이 상기 캐비티(40)로 공급된 후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이 결합되어 캐비티(40)가 폐쇄되며, 상기 플런져 유닛(60)이 상기 수지(32)를 가압하여 수지(32)가 게이트(42)를 통해 캐비티(40)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기판(30)을 몰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플런져 유닛(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20)의 하측에 구비되고, 벨트(62)에 의해 모터(6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63)와, 상기 풀리(63)에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64) 및 중앙부가 상기 스크류(64)에 치합되어 스크류(64)의 회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64)과 상기 승강 프레임(64)의 좌측과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금형(20)을 향하여 연장된 시프트 컬럼(65) 및 상기 시프트 컬럼(65)에 결합되어 시프트 컬럼(65)의 상승에 따라 수지(32)를 가압하는 플런져(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풀리(63) 및 스크류(64)가 회전되고, 상기 스크류(6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프레임(64) 및 시프트 컬럼(65)이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시프트 컬럼(65)의 상승에 의해 상기 플런져(66)가 수지(32)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런져 유닛(6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플런져 유닛(60)의 승강 프레임(64)은 그 중앙부가 스크류(64)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 프레임(64)의 양측에 시프트 컬럼(65)이 구비되어 상기 플런져(66)를 상승시키면서 수지(32)를 가압하는 방식이다.
상기 플런져(66)가 수지(32)를 가압할 때의 반력에 의해 상기 양 시프트 컬럼(65)에 힘이 가해지고 이러한 힘은 상기 승강 프레임(64)에도 전해지는데, 상기 수지(32)의 분포가 고르지 않다던가 하는 이유로 상기 양 시프트 컬럼(65)에 가해지는 힘이 동일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 프레임(64)의 양 측에 전해지는 힘도 동일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승강 프레임(64)은 그 중앙부에 하나의 스크류(64)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프트 컬럼(65)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동일하지 않게 될 경우 승강 프레임(64)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스크류(64)와의 치합이 어긋나게 되어 고장발생의 소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해지는 압력이 불균형해도 치합이 어긋나는 현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결합되었을 때 기판이 수지에 의해 몰딩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이 상호 결합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캐비티 내부의 기판과 수지를 가압하거나 캐비티 내부로 수지가 유입되도록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져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져 유닛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스크류 컬럼, 일단측과 타단측이 상기 각 스크류 컬럼에 각각 치합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를 따라 승강하는 쉬프트 플레이트,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상기 각 스크류 컬럼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쉬프트 컬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금형을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 블록,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의 하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가 고정되는 하부 베이스 블록,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과 하부 베이스 블록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블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 및 하부 베이스 블록을 관통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금형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금형을 승강시키는 탑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져 유닛은, 상기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컬럼은 서포트 블록간의 사이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에 따르면 캐비티 내부의 수지와 몰딩을 가압하거나 또는 캐비티 내부에 수지를 밀어 넣는 압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컬럼이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상기 각 스크류 컬럼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시프트 컬럼에 의해 전달되는 반력의 크기가 다르다고 하여도 상기 각 스크류 컬럼과 쉬프트 플레이트가 치합된 지점에 전해지는 힘의 크기는 동일하게 되어 쉬프트 플레이트가 기울어진다던지 또는 스크류 컬럼과의 치합이 어긋나게 되는 현상이 없어지게 되어 플런져 유닛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몰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몰딩장치에 적용된 플런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의 플런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플런져 유닛의 쉬프트 플레이트가 하강되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플런져 유닛의 쉬프트 플레이트가 상승되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3의 몰딩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몰딩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도 3의 몰딩장치가 플런져 유닛에 의해 캐비티 내부의 기판과 수지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전술한 배경설명에서는 플런져 유닛이 수지를 캐비티 쪽으로 유동시키는 구성요소로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설명에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플런져 유닛이 컴프레션 방식의 몰딩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이하, '몰딩장치'라 칭하기로 함)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160)과 하부 금형(170) 및 상부 베이스 블록(110)과 하부 베이스 블록(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과 하부 베이스 블록(120)은 서포트 블록(122)에 의해 상호 소정간격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외부의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 블록(120)의 하부에는 제1구동부(138)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138)의 하측에는 바텀 플레이트(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부(138)는 크랭크와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 플레이트(134)를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과 하부 베이스 블록(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키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고,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 및 하부 베이스 블록(120)을 관통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 바(13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바(132)는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 및 하부 베이스 블록(120)의 각 모서리를 관통하도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132)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바텀 플레이트(134)와 탑 플레이트(136)가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금형(170)은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금형(160)은 상기 탑 플레이트(136)의 저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구동부(138)에 의해 바텀 플레이트(134)와 탑 플레이트(136)가 가이드 바(13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고, 상기 상부 금형(160)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136)의 승강에 따라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금형(160)은 상기 탑 플레이트(136)의 하강에 따라 하강되었을 때 상기 하부 금형(170)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금형(170)은 상기 상부 금형(160)과 맞닿는 면에 기판을 몰딩하기 위한 액상의 수지가 담기며, 상기 상부 금형(160)이 하강되었을 때 기판과 액상의 수지를 가열 압착하는 공간인 캐비티의 저면을 형성하는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과 상기 캐비티의 측벽을 형성하는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은 후술하는 플런져 유닛(140)에 의해 소정구간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172)은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의 테두리에 걸쳐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과는 다르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형성된다. 즉, 상기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172)은 상기 하강된 상부 금형(160)과 접촉되어 상기 캐비티(C)를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은 상기 제1구동부(138)와는 별도로 구동되는 플런져 유닛(1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금형(160)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172)과 접촉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며 기판을 흡착 고정하기 위한 흡착홀(166)이 형성된 캐비티 탑 블록(162)과 상기 캐비티 탑 블록(16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캐비티 탑 블록(162) 둘레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금형(160)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하부 금형(170)의 상면에 위치된 중간 부재(179)와 밀착되어 챔버를 형성하는 챔버 블록(1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런져 유닛(1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41)와 아이들 풀리(142) 및 종동 풀리(143), 벨트(144), 스크류 컬럼(145), 쉬프트 플레이트(146), 쉬프트 컬럼(147), 쉬프트 블록 마운트(148) 및 쉬프트 블록(1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41)는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 풀리(142)와 종동 풀리(143)는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144)는 상기 구동모터(141)와 아이들 풀리(142) 및 종동 풀리(143)에 감겨 상기 구동모터(141)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 풀리(143)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컬럼(145)은 상기 종동 풀리(143)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류 컬럼(145)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스크류 컬럼(145)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는 상기 각 스크류 컬럼(145)에 치합되어 상기 스크류 컬럼(145)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프트 컬럼(147)은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쉬프트 컬럼(147)은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쉬프트 컬럼(147)은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의 상기 각 스크류 컬럼(145)과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쉬프트 컬럼(147)이 상기 두 개의 스크류 컬럼(145)의 중간지점인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의 중앙부 선상을 따라 두 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쉬프트 컬럼(147)의 상단에는 쉬프트 블록 마운트(148)가 결합되고, 상기 쉬프트 블록 마운트(148)에는 쉬프트 블록(14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상기 쉬프트 블록 마운트(148) 및 쉬프트 블록(149)은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쉬프트 블록(149)은 전술한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을 상승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또 한편, 상기 종동 풀리(143) 및 스크류 컬럼(145)은 정비시 접근성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블록(122)의 사이가 아닌 그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41)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벨트(144)가 상기 아이들 풀리(142) 및 종동 풀리(143)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 컬럼(145)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크류 컬럼(145)에 치합된 쉬프트 플레이트(146)가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쉬프트 블록 마운트(148) 및 쉬프트 블록(149)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구동모터(141)는 필요한 압력만큼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을 필요한 정도로 밀어올리도록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금형(170)의 케비티 베이스 블록(171)의 하측에는 상기 쉬프트 블록(149)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푸쉬업 플레이트(173: 도 11참조)와 상기 푸쉬업 플레이트(173)로부터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까지 연장된 푸쉬로드(174: 도 11 참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쉬프트 블록(149)이 상승하면서 상기 푸쉬업 플레이트(173)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174)가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을 상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174)에는 리턴 스프링(175: 도 11참조)이 구비되어 상기 쉬프트 블록(149)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을 원위치로 회귀 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몰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금형(160)의 캐비티 탑 블록(162)에 몰딩되어야 할 기판(3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과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17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몰딩을 위한 액상 수지(32)가 충진된다. 이 때, 상기 액상 수지(32)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의 상면에 이형필름(182)이 먼저 씌여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138)가 구동되어 상기 바텀 플레이트(134) 및 탑 플레이트(136)와 상부 금형(160)이 하강되어 상기 상부 금형(160)이 하부 금형(170)과 결합되어 캐비티(C)가 폐쇄된다. 상기 캐비티(40)가 폐쇄되면서 상기 캐비티 탑 블록(162)에 흡착 고정된 기판(30)은 캐비티(C) 내부에 충진된 액상 수지(32)에 담기게 된다.
그리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져 유닛(140)에 의해 상기 쉬프트 블록(149)이 상승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4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 및 쉬프트 블록 마운트(148)도 상승하며 그에 따라 상기 쉬프트 블록(149) 또한 상승되어 상기 푸쉬업 플레이트(173) 및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캐비티(C) 내부의 액상의 수지와 기판이 가압되어 몰딩이 이루어진다.
상기 쉬프트 블록(149)이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을 가압할 때, 가압에 따른 반력이 상기 두 개의 쉬프트 컬럼(147)을 통해 쉬프트 플레이트(146)로 전해지게 되는데, 상기 쉬프트 컬럼(147)이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의 상기 각 스크류 컬럼(145)과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 설치되므로 상기 각 쉬프트 컬럼(147)에 전해지는 힘이 동일하지 않더라도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를 통해 상기 각 스크류 컬럼(145)에 전해지는 힘은 동일하게 되어 균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146)가 기울어지거나 스크류 컬럼(145)과의 치합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0)의 몰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구동모터(14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쉬프트 블록(149)이 하강하며, 그에 따라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171)이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상부 금형(16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캐비티(C)가 개방되며, 몰딩이 완료된 기판(30)을 반출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플런져 유닛(140)이 컴프레션 방식의 몰딩장치에 적용되어 캐비티(C) 내부의 수지와 기판(30)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플런져 유닛은 전술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몰딩장치 등 다른 방식의 몰딩장치에 적용되어 수지를 캐비티로 압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30: 기판 32: 액상 수지
100: 컴프레션 방식 몰딩장치 110: 상부 베이스 블록
112: 거터부 120: 하부 베이스 블록
122: 서포트 블록 132: 가이드 바
134: 바텀 플레이트 136: 탑 플레이트
138: 제1구동부 140: 플런져 유닛
141: 구동모터 142: 아이들 풀리
143: 종동 풀리 144: 벨트
145: 스크류 컬럼 146: 쉬프트 플레이트
147: 쉬프트 컬럼 148: 쉬프트 블록 마운트
149: 쉬프트 블록 160: 상부 금형
162: 캐비티 탑 블록 164: 챔버 블록
166: 흡착홀 170: 하부 금형
171: 캐비티 베이스 블록 172: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
173: 푸쉬업 플레이트 174: 푸쉬로드

Claims (3)

  1. 제1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금형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상부 금형과 결합되어 기판이 수지에 의해 몰딩되는 공간이 캐비티의 저면을 형성하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캐비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의 테두리 둘레에 걸쳐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측벽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상부 금형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상부 금형과 결합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캐비티 바운더리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금형과 결합되었을 때 기판이 수지에 의해 몰딩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상호 결합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금형을 승강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되어 캐비티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캐비티 베이스 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의 기판과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져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져 유닛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스크류 컬럼;
    상기 각 스크류 컬럼에 각각 치합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를 따라 승강하는 쉬프트 플레이트;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상기 각 스크류 컬럼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쉬프트 컬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 블록;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의 하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가 고정되는 하부 베이스 블록;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과 하부 베이스 블록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블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상부 베이스 블록 및 하부 베이스 블록을 관통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금형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금형을 승강시키는 탑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는,
    상기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컬럼은 서포트 블록간의 사이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 장치.
KR1020100032281A 2010-04-08 2010-04-08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KR100998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281A KR100998768B1 (ko) 2010-04-08 2010-04-08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281A KR100998768B1 (ko) 2010-04-08 2010-04-08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768B1 true KR100998768B1 (ko) 2010-12-07

Family

ID=4351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281A KR100998768B1 (ko) 2010-04-08 2010-04-08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7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77B1 (ko) * 2012-08-13 2014-10-01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압축 성형장치
KR101863238B1 (ko) 2017-11-17 2018-05-31 주식회사 대영디자인 복합판재 제조방법
KR102191598B1 (ko) * 2020-02-20 2020-12-15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102A (ja) 2006-05-31 2007-12-13 Toyota Motor Corp モールド装置およびモールド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102A (ja) 2006-05-31 2007-12-13 Toyota Motor Corp モールド装置およびモールド品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77B1 (ko) * 2012-08-13 2014-10-01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압축 성형장치
KR101863238B1 (ko) 2017-11-17 2018-05-31 주식회사 대영디자인 복합판재 제조방법
KR102191598B1 (ko) * 2020-02-20 2020-12-15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218B1 (ko) 수지봉지 성형장치
TWI440104B (zh) 樹脂封裝裝置及樹脂封裝方法
KR100998768B1 (ko)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KR101409244B1 (ko) 다층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프레스 장치
JP6491464B2 (ja) 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製造方法
CN113411968B (zh) 一种金属基印刷电路板层压设备
JP2017209845A (ja) 圧縮成形装置、樹脂封止品製造装置、圧縮成形方法、及び樹脂封止品の製造方法
CN203157116U (zh) 一种吹瓶机
KR100718847B1 (ko) 반도체 패키지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68719B1 (ko) 가압유닛이 구비된 웨이퍼 비아 솔더 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비아 솔더 필링방법
JP5958505B2 (ja) 樹脂封止装置およびその封止方法
JP4783862B1 (ja) ベニヤ板用の生単板脱水絞り装置
CN106185691A (zh) 拉线式多级滑轨升降装置
JP4410192B2 (ja) 射出成形機
JP6118198B2 (ja) 樹脂成形装置
KR101148850B1 (ko) 전자 부품 몰딩 장치
KR101622984B1 (ko) 유압식 로킹캠이 구비된 압공성형장치
KR20150089205A (ko) 반도체 소자 몰딩 장치
KR102329566B1 (ko) 수직식 프레스 성형기
KR101087625B1 (ko) 전자 부품 몰딩 장치
KR101174814B1 (ko) 다색 화장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915885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프레스장치
KR101446177B1 (ko) 압축 성형장치
KR101038031B1 (ko) 기판 타발장치
KR102073743B1 (ko) 필름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