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237A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237A
KR20110038237A KR1020090095444A KR20090095444A KR20110038237A KR 20110038237 A KR20110038237 A KR 20110038237A KR 1020090095444 A KR1020090095444 A KR 1020090095444A KR 20090095444 A KR20090095444 A KR 20090095444A KR 20110038237 A KR20110038237 A KR 2011003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blocking film
housing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일
박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237A/ko
Priority to CN2010205420196U priority patent/CN201820082U/zh
Priority to US12/923,652 priority patent/US8355649B2/en
Publication of KR2011003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37A/ko
Priority to US13/723,328 priority patent/US2013012173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Abstract

개시된 현상기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토너공급창을 구비하며 하우징에 결합되어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를 구획하는 격벽부재와, 격벽부재에 부착되어 토너공급창을 막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하우징의 측벽에 마련된 취출구를 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차단필름과, 차단필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트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를 구비한다.
감광체와 토너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를 '현상기'라 한다. 현상기는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현상기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부가 차단필름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다.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차단필름을 제거하여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를 서로 연 결시킨다.
제품의 성능 검증을 위한 화상 테스트를 하거나 사용자가 구매를 위해 테스트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현상부 측에도 일반적으로 소량의 토너가 충진이 된다. 이러한 현상부 측의 소량의 토너는 차단필름의 취출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부 측의 초기 충진 토너에 의한 차단 필름의 취출 곤란을 해소하도록 개선된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롤러와 감광드럼이 배치되는 현상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토너공급창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를 구획하는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토너공급창을 막고,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마련된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차단필름; 및 상기 차단필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차단필름의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시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취출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차단필름의 상부의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의 길이는 상기 차단필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차단필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격벽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벽부재와 결합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단필름의 상기 제1연장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름은 상기 격벽부재의 상기 현상부와 대면된 부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는 상기 현상부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부에는 상기 현상롤러로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는 상기 공급롤러의 중심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구의 하단부는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구의 하단부는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보다 3mm 이하의 범위내에서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는 상기 취출구를 덮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의 길이는 상기 취출구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씰링부재를 상기 측벽을 향하여 누르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너수용부와 상기 현상부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선단부는 상기 격벽부재의 상부에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특징들을 가지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드럼에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와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기;와 상기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현상기 외부로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필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여 잔여 차단필름 부재에 의한 토너 공급 불량에 인한 인쇄 화상의 흐림이나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차단필름을 취출할 때에 토너가 현상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현상기(100)는 토너수용부(10)와, 현상부(20)가 마련된 하우징(101)을 구비한다. 하우징(101)에는 폐토너수용부(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토너수용부(10)에는 현상에 사용될 토너가 수용된다. 토너수용부(10)와 현상부(20)는 격벽부재(40)에 의하여 구분된다. 격벽부재(40)에는 차단필름(50)이 부착된다. 현상기(100)를 사용하기 전에 현상기(100)의 측부로 노출된 차단필름(50)의 단부를 당기면, 차단필름(50)이 격벽부재(40)로부터 떨어진다. 차단필름(50)을 제거하면 토너수용부(10)와 현상부(20)가 연결되어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된 토너가 현상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부(20)에는 감광드럼(1), 대전롤러(2), 현상롤러(3)가 배치된다. 감광드럼(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3)는 토너수용부(1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는 현상롤러(3)와 감광드럼(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D)을 형성하는 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한다. 이 경우 현상롤러(3)는 도전성 금속 코어(미도시)의 외주에 탄성층(미도시)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현상롤러(3)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이 현상닙(D)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비접촉방식이 채용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3)의 표면과 감광드럼(1)의 표면은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현상부(20)에는 토너수용부(10)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현상롤러(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5는 대전롤러(2) 에 부착되는 이물질 및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6은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닙(D)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7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토너 및 이물질은 폐토너수용부(30)에 수용된다.
토너수용부(10)에는 토너를 현상부(20)로 공급하기 위한 교반기(8)가 마련될 수 있다. 교반기(8)는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된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는 두 개의 교반기(8)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수용부(1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부(20)로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수용부(10)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교반기(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현상기(100)의 하우징(101)은 하부프레임(60), 수용프레임(70), 상부프레임(80), 커버(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은 토너수용부(10) 및 현상부(20)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한다. 수용프레임(70)은 폐토너수용부(30)를 형성한다. 상부프레임(80)은 토너수용부(10)의 상부를 덮는다. 커버(90)은 현상부(20)의 상부를 덮는다. 커버(90)에는 후술하는 광주사기(도 14의 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감광드럼(1)에 입사될 수 있도록 광창(9a)이 마련된다. 감광드럼(1)의 일부는 현상부(20)의 하부에 마련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하부프레임(60)과 수용프레임(70)은 측부프레임(9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하부프레임(60), 격벽부재(40), 및 상부프레임(8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격벽부재(4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격벽부재(4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격벽부재(40)의 부착면(421)에는 차단필름(50)이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격벽부재(40)가 하부프레임(60)에는 결합된다. 격벽부재(40)는 초음파 융착공정에 의하여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의 하면(441)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하부융착산(401)이 마련되며, 양측면(442)(443)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측부융착산(402)(403)이 각각 마련된다. 하부융착산(401)은 하면(4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측부융착산(402)(403)은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하부프레임(60)에는 하부융착산(401)이 삽입되는 하부융착골(601)이 마련된다. 하부프레임(60)의 양측벽(61)(62)에는 측부융착산(402)(403)이 삽입되는 측부융착골(602)(603)이 마련된다.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를 측부융착산(402)(403)이 측부융착골(602)(603)에 삽입되도록 하부프레임(60)에 올려놓은 후에, 격벽부재(40)의 상부(431)를 융착지그(901)로 누르면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그러면, 측부융착산(402)(403)이 측부융착골(602)(603) 내에서 일시적으로 용융되고, 격벽부재(40)는 측부융착골(602)(603)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하부융착산(401)이 하부융착골(601)에 삽입되면 하부융착산(401)이 하부융착골(601) 내에서 용융된다. 초음파 진동의 공급이 중지되면, 용융되었던 하부 및 측부융착산(401)(402)(403)이 다시 굳으면서 하부 및 측부융착골(601)(602)(603)에 부착된다. 이에 의하여, 격벽부재(40)는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된다. 이 때, 하부 및 측부융착산(401)(402)(403)과 하부 및 측부융착골(601)(602)(603)의 중첩량(f)는 약 0.3mm 내지 약 0.5mm 정도로 할 수 있다. 중첩량(f)이 약 0.3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격벽부재(40)가 하부프레임(60)에 견고하게 융착되지 않는 융착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중첩량(f)이 약 0.5mm 보다 크면 융착산(401)(402)(403)이 융착골(601)(602)(603)이 제대로 안착되지 않을 수 있다. 융착지그(901)는 격벽부재(40)의 상부(431)를 누르는데, 이 경우에,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이 수평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이라면 융착지그(901)의 누름압력이 측부융착산(402)(403)과 측부융착골(602)(603) 사이에서는 작용되지 않아서, 융착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은 경사각도(E)를 가지며, 하부프레임(60)의 양측벽(61)(62) 역시 경사각도(E)를 가진다. 즉,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 사이의 거리와 하부프레임(60)의 양측벽(61)(62)의 거리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멀어진다. 경사각도(E)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지나치게 크면, 즉 수평면에 대하여 90도에 가까우면 측부융착산(402)(403)과 측부융착골(602)(603) 사이에 작용되는 융착지그(901)의 누름압력이 작아져서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실험에 따르면, 만족할 만한 융착이 수행되는 경사각도(E)의 상한은 약 81도 정도이다. 경사각도(E)가 작아지면, 토너가 현상부(20) 전체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유효공급폭(W)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상기(100) 전체의 폭이 넓어져야 한다. 실험에 따르면, 현상기(100) 전체 폭의 증가를 가급적 줄이면서 만족할 만한 융착이 수행 되는 경사각도(E)의 하한은 약 75도 정도이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경사각도(E)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 75도 내지 약 81도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과 하부프레임(60)의 양측벽(61)(62)이 경사각도(E)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과 하부프레임(60)의 양측벽(61)(62)과의 융착불량을 해소할 수 있으며,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과 하부프레임(60)의 양측벽(61)(62) 사이를 통하여 토너수용부(10)의 토너가 현상부(20)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부재(40)를 하부프레임(60)에 융착하는 과정에서, 융착지그(901)가 격벽부재(40)의 상부(431) 전체를 가압하는 경우에 격벽부재(40)의 변형이 우려된다. 또, 이 변형에 의하여 차단필름(50)의 일부가 격벽부재(40)의 부착면(421)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및 그에 따르는 차단필름(50)의 이탈 우려를 감안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공정에서는 격벽부재(40)의 상부(431) 전체를 누르기 보다는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에 가까운 부분을 누른다. 이 때, 격벽부재(4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부(431)에는 상부보강리브(4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보강리브(4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중리브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부보강리브(432)는 2중 리브 구조이다. 또, 상부보강리브(432)의 양측면(433)(434)가 격벽부재(40)의 양측면(442)(443)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면, 격벽부재(40)가 융착지그(901)의 누름압력에 더 잘 견딜 수 있다.
도 4를 보면, 격벽부재(40)에는 토너수용부(10)의 토너를 현상부(20)로 공급 하기 위한 토너공급창(411)이 마련된다. 토너공급창(411)은 격벽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된 형태이다. 융착 시에 융착지그(901)에 의하여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하여 토너공급창(411)이 일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너공급창(411)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의 창보강리브(41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단필름(50)을 격벽부재(40)의 부착면(421)에 올려높고 열을 가하여 격벽부재(40)에 부착한다. 이 때, 차단필름(50)이 창보강리브(412)에까지 부착되면, 차단필름(50)과 격벽부재(40)와의 부착력이 과도하여 차단필름(50)을 제거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보강리브(412)를 부착면(421)보다 낮게 단차지게 형성하여, 차단필름(50)이 창보강리브(412)에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하부프레임(60)의 측벽(61)에는 취출구(610)가 마련된다. 차단필름(50)의 단부는 취출구(61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토너수용부(10)에 토너를 채운 후에 상부프레임(80)을 하부프레임(60) 및 격벽부재(40)에 결합한다. 상부프레임(80)은 초음파 융착법에 의하여 하부프레임(60) 및 격벽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프레임(80)의 하면에는 융착산이 마련되고, 하부프레임(60) 및 격벽부재(40)에는 융착골이 마련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95)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60)과 수용프레임(70)을 결합할 때에 차단필름(50)의 단부는 측부프레임(95)에 마련된 슬릿(도 13의 9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 9는 차단필름을 취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B]E부의 상세도이다. 도 9를 보면, 차단필름(50)이 부착되는 부착면(421)은 격벽부재(40)의 현상부(20)와 대면된 면이다. 차단필름(50)이 격벽부재(40)의 토너수용부(10)와 대면되는 면에 부착되면, 차단필름(50)이 제거될 때에 절곡부(51)에 의하여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된 토너가 취출구(610) 쪽으로 끌려가게 되어 차단필름(50)의 취출이 어렵다.
현상부(20)에는 현상기(100)의 제조가 완료된 후에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약간의 토너가 수용되는데, 이 초기토너가 차단필름(50)을 취출할 때에 차단필름(50)의 절곡부(51)에 의하여 취출구(610)쪽으로 끌려오게 되면, 차단필름(50)이 취출구(610)에 끼어서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9의 참조부호 5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두 겹의 차단필름(50) 사이에 끼이기 때문에 차단필름(50)이 잘 취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공급창(411)의 하단부(413)는 현상부(20)의 바닥면(21)보다 더 높게 위치된다. 초기토너와 차단필름(50)과의 접촉량을 줄이기 위하여, 토너공급창(411)의 하단부(413)가 공급롤러(4)의 중심(C)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차단필름(50)을 취출할 때에 절곡부(51)에 의하여 취출구(610) 쪽으로 끌려오는 초기토너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초기토너에 의한 차단필름(50)의 취출 불량 문제를 어느 정도는 해결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 시트부재가 설치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시트부재 설치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c는 시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 한 도면이고, 도 11d는 도 11c에 도시된 시트부재를 현상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는 차단필름(50)의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시트부재(615)를 구비한다. 시트부재(615)는 하우징의 취출구(6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시트부재(615)를 취출구 근처에 배치하여 시트부재(615)가 차단 필름(50)이 융착되는 부분에 최대한 붙어 있는 채로 취출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므로 차단필름(50)의 취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시트부재(615)는 통상적으로 PET, PC-cheet등을 사용할 있으며, 두께는 제한은 없으나 0.05mm ~ 0.5mm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부재(615)의 길이는 차단 필름(50)의 길이 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필름(50)이 취출구에서 쉽게 취출이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므로 차단 필름(50)의 길이만큼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라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도 11a와 도 11b와 같이, 시트부재(615)는 차단필름(5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6151)와, 가이드부(6151)로부터 절곡되는 결합부(615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6151)는 그 하단부가 차단필름(5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6151)의 하단부는 격벽부재(40)의 토너공급창(411)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결합부(6152)는 가이드부(6151)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고, 격벽부재(40)와 상부프레임(80)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6152)의 일부분이 격벽부재(40)에 부착되고, 결합부(6152)의 다른 일부분이 상부프레임(80)에 부착되는 예 를 도시하였으나, 격벽부재(40)의 구조 및 상부프레임(80)의 구조에 따라 결합부(6152)는 격벽부재(40)와 상부프레임(80) 중 어느 하나에만 부착될 수 있다.
시트부재(615)의 결합부(6152)는 양면테이프(1000)를 통해 격벽부재(40)와 상부프레임(80)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보조테이프부재(1100)를 한번 더 시트부재(615) 위에 붙여 시트부재(615)의 고정 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615a)는 차단필름(5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6153)와, 시트부재(615a)를 현상기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6154)를 포함한다. 결합부(6154)는 가이드부(6153)로부터 제1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연장부(6155)와, 가이드부로(6153)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6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80)은 시트부재(615a)와 마주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81)를 가진다. 돌출부(81)에는 결합공(82)이 마련된다.
시트부재의 제1연장부(6155)는 상부프레임(80)의 돌출부(81)를 향해 연장되고, 제1연장부(6155)의 단부는 결합공(82)을 관통하여 상부프레임(80)에 결합된다. 제1연장부(6155)의 단부에는 걸림부(6157)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6157)는 제1연장부(6155)가 결합공(8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시트부재의 제2연장부(6156)는 가이드부(6153)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연장부(6156)는 격벽부재(40)를 향해 제1연장부(6155)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격벽부재(40)는 결합홈(41)을 가지며, 시트부재의 제2연장부(6156) 의 단부는 격벽부재(40)의 결합홈(41)에 삽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구(610)의 하단부(611)가 격벽부재(40)의 토너공급창(411)의 하단부(413)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차단필름(50)이 경사지게 취출되므로, 초기토너가 절곡부(51)에 의하여 취출구(610)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름부재가 공급롤러(4)에 말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령 다소간의 초기토너가 취출구(610) 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취출구(610)의 하단부(611)의 아래쪽 공간에 수용되므로, 초기토너에 의하여 차단필름(50)의 취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취출구(610)의 하단부(611)가 격벽부재(40)의 토너공급창(411)의 하단부(413)보다 지나치게 높게 위치된다면, 필름이 취출되는 마지막 과정에서 많은 양의 토너를 끌고 나오게 되어 차단필름(50)의 겹쳐진 부분에 토너가 상당량 끼어 들어 차단필름(50)의 취출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의 부착부와 필름 취출구(610)가 3mm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설계 위치상 3mm가 벗어나게 되는 불가피한 경우에는 도 12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구 쪽의 토너 격벽부재(40)의 토너 공급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차단필름(50)을 부착한 후 사선방향으로 칼집(S1)(S2)(S3)을 낸 다음 시트부재(615)를 부착하는 것으로 차단필름(50)의 취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3를 보면, 하부프레임(60)의 측벽(61)에는 씰링부재(640)가 결합된다.씰링부재(640)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하여 하부프레임(60)이 측벽(61)에 부착될 수 있다. 양면테이프는 취출구(610)를 가리지 않도록 위치된다. 씰링부재(640)는 차단필 름(50)이 취출될 때에 차단필름(50)의 표면에 묻은 토너를 닦는다. 차단필름(50)이 취출될 때에 토너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씰링부재(640)는 그 길이(W2)가 취출구(610)의 길이(W3)보다 길다. 씰링부재(640)의 길이(W2)는 취출구(610)의 하단부(611) 및 상단부(612)의 외측을 덮을 수 있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어, 씰링부재(640)의 길이(W2)는 취출구(610)의 하단부(611) 및 상단부(612)로부터 적어도 0.7mm 이상을 덮을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안내리브(620)는 측벽(61)으로부터 돌출되며, 씰링부재(640)가 취출구(610)의 하단부(611) 및 상단부(612)의 외측을 덮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씰링부재(640)의 결합위치를 안내한다. 씰링부재(640)는 예를 들면, 발포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발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차단필름(5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씰링부재(640)가 떨어지지 않도록 미는 가압부재(6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650)는 예를 들면 하부프레임(60)과 수용프레임(70)을 연결하는 측부프레임(95)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측부프레임(95)가 하부프레임(60)과 수용프레임(70)에 결합되면, 가압부재(650)가 씰링부재(640)를 눌러 하부프레임(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가압부재(650)는 가급적 씰링부재(640)의 취출구(610)에 가까운 위치를 누른다. 너무 취출구(610)와 가까운 위치를 누르면 차단필름(50)이 씰링부재(640)에 의하여 과도하게 눌러져서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예를 들어 가압부재(650)는 취출구(610)로부터 0.5mm 내지 1mm 정도 떨어진 위치를 누를 수 있다.
도 14에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현상기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보면, 현상기(100)는 도어(701)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된다. 현상기(100)를 본체(700)에 장착하기 전에 차단필름(50)을 제거한다. 이에 의하여 토너수용부(10)가 현상부(20)와 연결되어, 토너가 현상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광주사기(201)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주사한다. 광주사기(201)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기(201)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현상기(100)에 마련된 광창(9a)을 통하여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된 토너는 교반기(8)에 의하여 현상부(20)로 공급되며, 공급롤러(4) 에 의하여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된다. 규제부재(6)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D)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며,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502)에 의하여 적재수단(501)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3)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04)에 의하여 배출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수용부(30)에 수용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의 사시도.
도 3은 하부프레임, 격벽부재, 및 상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격벽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격벽부재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7은 격벽부재를 하부프레임에 융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9는 초기토너에 의하여 차단필름의 제거가 방해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1의 "E"부의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에 시트부재가 설치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은 토너공급창과 취출구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는 취출구를 막는 씰링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드럼2.....대전롤러
3......현상롤러4......공급롤러
5......클리닝롤러6......규제부재
7......클리닝 블레이드8......교반기
9a......광창10......토너수용부
20......현상부30......폐토너수용부
40......격벽부재50......차단필름
60......하부프레임70......수용프레임
80......상부프레임90......커버
95......측부프레임100......현상기
101....하우징200......광주사기
300......전사기400......정착기
411......토너공급창 412......창보강리브
421......부착면 432......상부보강리브
501......적재수단 502......픽업롤러
503......피드롤러 504......배출롤러
610.....취출구 615......시트부재
640......씰링부재
650......가압부재 700......본체
701......도어

Claims (19)

  1.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롤러와 감광드럼이 배치되는 현상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토너공급창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를 구획하는 격벽부재;
    상기 격벽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토너공급창을 막고,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마련된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차단필름; 및
    상기 차단필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차단필름의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시트부재;를
    구비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취출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차단필름의 상부의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길이는 상기 차단필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되는 현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차단필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격벽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벽부재와 결합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단필름의 상기 제1연장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필름은 상기 격벽부재의 상기 현상부와 대면된 부착면에 부착되는 현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는 상기 현상부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현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에는 상기 현상롤러로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는 상기 공급롤러의 중심보다 높게 위치되는 현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하단부는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현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하단부는 상기 토너공급창의 하단부보다 3mm 이하의 범위내에서 높게 위치하는 현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는 상기 취출구를 덮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재가 결합되는 현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길이는 상기 취출구의 길이보다 긴 현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를 상기 측벽을 향하여 누르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너수용부와 상기 현상부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선단부는 상기 격벽부재의 상부에 융착되는 현상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기;
    상기 감광드럼에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기;
    상기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95444A 2009-10-08 2009-10-08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110038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44A KR20110038237A (ko) 2009-10-08 2009-10-08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N2010205420196U CN201820082U (zh) 2009-10-08 2010-09-26 显影器件和使用显影器件的图像形成装置
US12/923,652 US8355649B2 (en) 2009-10-08 2010-09-30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3/723,328 US20130121733A1 (en) 2009-10-08 2012-12-21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44A KR20110038237A (ko) 2009-10-08 2009-10-08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37A true KR20110038237A (ko) 2011-04-14

Family

ID=4385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444A KR20110038237A (ko) 2009-10-08 2009-10-08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355649B2 (ko)
KR (1) KR20110038237A (ko)
CN (1) CN20182008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7513B2 (ja) * 2016-08-04 2019-10-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着脱式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664139B2 (ja) * 2018-02-26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729B2 (ja) * 1992-03-23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7140874A (ja) * 1993-06-25 1995-06-02 Canon Inc 像担持体の取付部材及び像担持体の取付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634707B1 (en) * 1993-07-14 2007-02-28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process cartridge recondition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95916B2 (ja) * 1997-08-01 2004-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トナー容器
JP3486555B2 (ja) * 1998-06-05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
JP2001117336A (ja) * 1999-10-15 2001-04-27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1733A1 (en) 2013-05-16
US8355649B2 (en) 2013-01-15
US20110085820A1 (en) 2011-04-14
CN201820082U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752B1 (ko) 토너 용기의 개구 재밀봉 방법 및 밀봉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100585905B1 (ko)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US7239824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16618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EP2469344B1 (en)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8391768B2 (en) Configuration for cleaning a photosensitive unit and a tandem photosensitive unit
KR101151399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360427B2 (en) Cartridge and remanufacturing method of cartridge
KR101385967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8437680B2 (en)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38237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20140133882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772807A2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079823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090245852A1 (en) Toner supply device, developing unit and toner supply device remanufacturing method
US11500305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toner receiving portion
EP2993530A1 (en) Clean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650957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US20140286673A1 (en) Development device,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38847B1 (ko)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190121746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1402708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25853A (ja) 作像カートリッジ
KR20060084479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H03289685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