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846A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6846A KR20110036846A KR1020117004265A KR20117004265A KR20110036846A KR 20110036846 A KR20110036846 A KR 20110036846A KR 1020117004265 A KR1020117004265 A KR 1020117004265A KR 20117004265 A KR20117004265 A KR 20117004265A KR 20110036846 A KR20110036846 A KR 201100368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word
- sentence
- display
- input
- wo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입력부(410)와 기억부(420)와 처리부(440)와 출력부(460)를 구비한다. 기억부(422)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는, 복수의 템플릿(500)으로 이루어진다. 각 템플릿(500)은, 복수의 언어의 카테고리문과, 키워드를 대응시키고 있다. 키워드는, 1개의 키워드의 표기와, 1개 또는 복수의 문자 입력(키워드의 읽기)으로 지정된다. 입력부(410)가 복수의 문자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접수하면, 예문 선택부(440)는, 입력된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갖는 템플릿(500)을 추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의 키워드의 입력을 접수하면,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사전, 혹은 예문과 그 번역문을 표시하는 번역 장치 등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당해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키워드와 콘텐츠를 대응시킨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키워드의 입력을 접수하면,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전자 사전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예로서, 각각 다른 언어로 기술되고, 또한, 서로 내용이 대응하는 복수의 예문을 대응시킨 예문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유저가 임의의 언어의 예문을 선택하면, 예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예문에 대응하는 다른 언어의 예문(번역문이라고 칭함)을 표시하는 번역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25146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예문으로 교체 가능한 단어(가변부)를 마련하여, 예문의 가변부를 변경하면, 변경한 가변부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가변부를 예문의 변경에 따라서 변경하는 번역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번역 장치는, 유저가 수기 입력 보드에 전용 펜에 의해 입력한 입력문으로부터 의미 소성을 검출하고, 그 의미 소성으로부터 정형문을 검출하고, 그 정형문 중의 가변 의미 소성을 치환하여 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번역 장치는, 가변부의 치환 후보로서 단어를 표시할 때에, 그 단어를 분류하여 계층 구조를 갖게 하여 표시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정형문 등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장치에는, 유저는 원하는 예문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와 조금 상이한 문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이들 장치는 적절한 예문을 검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번역 장치가, 의미 소성(키워드)으로서 「エディンバラ」를 갖지만 「エジンバラ」를 갖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장치는, 키워드로서 등록되어 있는 「エジンバラ」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입력문이 입력된 경우에는, 「エディンバラ」를 포함하는 정형문을 출력할 수 없다. 즉, 유저는, 「エジンバラ」를 입력해도, 「エディンバラ」를 포함하는 정형문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전자 사전 등 문자 입력에 따라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도 적합하다.
또한, 종래의 번역 장치에 있어서는, 다의어의 번역어를 검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다의어의 색인을 어의(語義)에 의해 나누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단어를 좁힐 수 없어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번역 장치 등에는, 포함 관계에 있는 키워드("긴" 것과 "짧은" 것)가 존재한다. 유저가 짧은 키워드를 선택한 경우, 그 짧은 키워드를 포함하는 긴 키워드를 포함하는 색인이나 문장에 도달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1개의 국면에 관한 본원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이며, 문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데이터는, 복수의 키워드와, 각각이 복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1개에 대응시켜져 있는 복수의 콘텐츠와, 각 키워드와 복수의 문자 입력을 대응시킨 키워드 데이터를 포함하고, 키워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부가 접수한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콘텐츠는, 각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 및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고, 처리부는, 추출된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 및 설명 데이터를 출력부에 출력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시용 데이터는 키워드의 표기를 포함하고, 공통의 표기를 갖는 복수의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는, 각각 키워드에 고유한 구별용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기는, 제1 언어로 기술된 제1 언어 표기이며, 설명 데이터는, 제1 언어와 서로 다른 제2 언어로 키워드를 표기한 제2 언어 표기이며, 제1 언어 표기가 공통되고, 또한, 제2 언어 표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는, 제1 언어 표기 및 구별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콘텐츠는, 제1 언어로 기술된 제1 예문과, 제1 예문을 제1 언어와는 서로 다른 제2 언어로 기술한 제2 예문을 포함하고, 처리부는,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1 예문 및 제2 예문을 출력부에 출력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키워드는, 제1 예문 및 제2 예문의 문말 표현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키워드 데이터는, 키워드와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대응시키고 있고, 처리부는, 입력부가,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모두 접수하면,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부에 출력시킨다.
다른 국면에 관한 본원 발명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정보 처리 방법은, 문자 입력을 접수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데이터는, 복수의 키워드와, 각각이 복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1개에 대응시켜져 있는 복수의 콘텐츠와, 각 키워드와 복수의 문자 입력을 대응시킨 키워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방법은, 키워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접수한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스텝과,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콘텐츠는, 각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 및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방법은, 추출된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 및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콘텐츠는, 제1 언어로 기술된 제1 예문과, 제1 예문을 제1 언어와는 서로 다른 제2 언어로 기술한 제2 예문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방법은,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1 예문 및 제2 예문을 출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키워드 데이터는, 키워드와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대응시키고 있다. 키워드를 추출하는 스텝에서는,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모두 접수하면,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워드에 복수의 문자 입력을 대응시킨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한다. 그 결과, 유저는,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혹은, 다의어의 표시에 보충 설명을 부여함으로써, 유저가,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기 쉬워진다.
혹은, 긴 키워드에 분할 지정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짧은 키워드의 조합으로 긴 키워드를 포함하는 색인이나 문장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사시도.
도 3은 제2 하우징(220)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템플릿(500)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카테고리 리스트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사전(423)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1 도면.
도 10은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2 도면.
도 11은 등록 예문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메뉴 화면(101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초기 화면(10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키워드 입력 화면(103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긴 키워드 및 예문을 표시하는 키워드 입력 화면(103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긴 예문을 표시하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19는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
도 20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
도 21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4 도면.
도 22는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23은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
도 24는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
도 25는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4 도면.
도 26은 영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음성 재생 중 화면(1530)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중국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4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5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는 단어 교체 화면(16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단어 교체 화면(162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는 단어 교체 화면(163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가변부를 교체시키는 단어를 「クジラ」로 변경한 단어 교체 화면(164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문자 「こ」를 입력한 후의 단어 교체 화면(165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가변부를 교체시키는 단어를 「コアラ」로 변경한 단어 교체 화면(166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숫자의 가변부가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단어 교체 화면(17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숫자의 가변부가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단어 교체 화면(18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선택된 가변부에 대응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제1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에 의한 단어의 배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1은 제2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에 의한 단어의 배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2a는 제3 변형예에 관한 선두 3 문자가 공통되는 단어가 그루핑되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b는 제3 변형예에 관한 대표 표시의 우측에 대표 표시에 대응하는 단어수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제4 변형예에 관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제5 변형예에 관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단어장의 기능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및 화면의 천이, 및 수기 패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6은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이력 예문의 기능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및 화면의 천이, 및 수기 패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7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8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선택 키워드 결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9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키워드 후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0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예문 후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1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이력 예문 관리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등록 예문 관리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사시도.
도 3은 제2 하우징(220)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템플릿(500)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카테고리 리스트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사전(423)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1 도면.
도 10은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2 도면.
도 11은 등록 예문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메뉴 화면(101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초기 화면(10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키워드 입력 화면(103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긴 키워드 및 예문을 표시하는 키워드 입력 화면(103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긴 예문을 표시하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19는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
도 20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
도 21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4 도면.
도 22는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23은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
도 24는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
도 25는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제4 도면.
도 26은 영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음성 재생 중 화면(1530)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중국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4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5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는 단어 교체 화면(16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단어 교체 화면(162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는 단어 교체 화면(163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가변부를 교체시키는 단어를 「クジラ」로 변경한 단어 교체 화면(164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문자 「こ」를 입력한 후의 단어 교체 화면(165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가변부를 교체시키는 단어를 「コアラ」로 변경한 단어 교체 화면(166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숫자의 가변부가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단어 교체 화면(17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숫자의 가변부가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단어 교체 화면(1810)을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선택된 가변부에 대응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제1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에 의한 단어의 배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1은 제2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에 의한 단어의 배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2a는 제3 변형예에 관한 선두 3 문자가 공통되는 단어가 그루핑되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b는 제3 변형예에 관한 대표 표시의 우측에 대표 표시에 대응하는 단어수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제4 변형예에 관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제5 변형예에 관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단어장의 기능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및 화면의 천이, 및 수기 패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6은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이력 예문의 기능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및 화면의 천이, 및 수기 패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7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8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선택 키워드 결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9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키워드 후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0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예문 후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1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이력 예문 관리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등록 예문 관리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1. 하드웨어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회화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전자 사전인 것으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단,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다른 종류의 기기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회화 어시스트를 위한 전용기이어도 되고, 회화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혹은 회화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이어도 된다. 또한, 원격지로부터의 키워드 입력에 대해 예문/번역 결과를 제시하는 네트워크 서버이어도 된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입력 키(110)와, 수기 패드(120)와, 디스플레이(130)와, 표시 컨트롤러(132)와, 스피커(140)와, 음성 컨트롤러(14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150)와, RAM(Random Acess Memory)(160)과, ROM(Read Only Memory)(170)과, 하드 디스크(180)를 구비한다.
입력 키(110)는, 외부로부터 눌러지면, 입력 키(110)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수기 패드(120)는, 수기 패드(120)의 표면에의 물체(스타일러스 펜 등)의 접촉을 검출하여, 수기 패드(120)와 물체와의 접촉 개소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수기 패드(120)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수기 패드(120)는, 도시하지 않은 수기 문자 인식 프로그램 등을 통해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입력 스트로크로부터 문자 인식을 행하여 키워드 입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음성 입력부(마이크 등) 및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인식을 행하여 키워드 입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디스플레이(130)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 컨트롤러(132)는, 디스플레이(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130)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LED(Light-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 컨트롤러(142)는, 스피커(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50)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실행한다. RAM(160)은, CPU(150)가 처리를 행할 때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정보를 저장한다. ROM(170)은, CPU(150)가 실행하는 회화 어시스트 프로그램(172)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ROM(170)이 저장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단, 도 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외관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여,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과, 스타일러스 펜(230)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210)에는 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220)에는 수기 패드(120), 스피커(140) 및 입력 키(11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 하우징(220)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를 설명한다. 도 3은, 제2 하우징(220)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도 3에 도시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각 키 및 수기 패드(120)의 배치는 일례이며,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각 키 및 수기 패드(120)의 배치는, 도 3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우징(220)에는 수기 패드(120), 스피커(140) 및 각종 키가 배치된다. 제2 하우징(220)에 배치되는 키에는 문자 키(302), 상측 키(304a), 하측 키(304b), 우측 키(304c), 좌측 키(304d)(이하, 상측 키(304a), 하측 키(304b), 우측 키(304c), 좌측 키(304d)를 총칭하여 방향 키(304)라고 칭하는 일이 있음), 방향 키(304), 검색/결정 키(306), 복귀 키(308), 클리어 키(310), 후퇴 키(312), 회화 어시스트 키(314), 전환 키(316), 음성 키(318), 메뉴 키(320), 이전 페이지 키(322), 다음 페이지 키(324)가 있다.
이하, 몇 개의 키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 둔다. 문자 키(302)는, 문자의 입력에 사용된다. 방향 키(304)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 내에서의 커서의 이동에 사용된다. 회화 어시스트 키(314)는, 눌러지면,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메뉴 키(320)는, 눌러지면, 디스플레이(130)에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2. 기능적 구성)
도 4를 참조하여,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입력부(410)와, 기억부(420)와, 처리부(440)와, 출력부(460)를 구비한다.
입력부(410)는 외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도 1에 도시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있어서는, 입력 키(110) 및 수기 패드(120)가, 입력부(410)로서 기능한다. 단,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서는, 마우스 등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입력부(410)에 사용해도 된다.
출력부(460)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 내부의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460)는, 화상을 출력하는 표시부(462)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46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130)가 표시부(462)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있어서는, 스피커(140)가 음성 출력부(464)로서 기능한다. 또한, 스피커(140) 이외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이어폰을 음성 출력부(464)로서 사용해도 된다.
기억부(42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도 1에 도시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있어서는, RAM(160), ROM(170), 하드 디스크(180)가 기억부(420)로서 기능한다. 단, 기억부(420)로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다른 기억 매체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억부(420)는, 회화 어시스트 프로그램(172)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와, 사전(423)과, 인덱스 데이터(424)와,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와, 등록 예문 정보(430)와, 이력 예문 정보(432)를 저장한다.
이하, 기억부(420)가 저장하는 각종 데이터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는, 서로 다른 복수의 언어로 각각 기술되는 복수의 예문을 대응시키기 위한 템플릿(500)을 복수 포함한다.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유저가 선택한 예문의 번역문을 작성할 때에 사용된다.
템플릿(50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템플릿(500)의 구체예 템플릿(500a)을 나타낸다. 이하, 템플릿(500a)에 기초하여 템플릿(500)의 구체적인 설명을 행한다.
카테고리문(일본어)(530)에서는, {}로 둘러싸이는 문자 이외에는 일본어이다. 카테고리문(영어)(550)에서는, {}로 둘러싸이는 문자 이외에는 영어이다. 카테고리문(중국어)(570)에서는, {}로 둘러싸이는 문자 이외에는 중국어이다. 대표 단어문(일본어)(520)에서는, {} 기호, {} 내의 : 기호 및 {} 내의 숫자 이외의 문자는 일본어이다. 대표 단어문(영어)(540)에서는, {} 기호, {} 내의 : 기호 및 {} 내의 숫자 이외의 문자는 영어이다. 대표 단어문(중국어)(560)에서는, {} 기호, {} 내의 : 기호 및 {} 내의 숫자 이외의 문자는 중국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일본어로부터 영어, 일본어로부터 중국어의 번역을 행하기 위한 3 언어용 템플릿을 나타내지만, 언어의 조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내용이 2 언어 템플릿에도 4 언어 이상의 템플릿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템플릿(500)은, 템플릿(500)을 특정하기 위한 템플릿 번호(510)와, 대표 단어문(일본어)(520)과, 카테고리문(일본어)(530)과, 대표 단어문(영어)(540)과, 카테고리문(영어)(550)과, 대표 단어문(중국어)(560)과, 카테고리문(중국어)(570)과, 키워드(580)를 포함한다.
카테고리문(일본어)(530), 카테고리문(영어)(550), 카테고리문(중국어)(570)은, 언어는 서로 다르지만 동등한 의미를 갖는다. 일부의 단어에 카테고리가 설정되어 있다. 카테고리문(영어)(55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카테고리문(영어)(550)은, 문장에 들어가야 할 단어의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4개의 부분({1:QPRON1}, {2:GOODS1+pl}, {3:VB_BUY1+inf}, {4:PLACE1})과, 고정의 단어로 나타내어진 부분("can't I", "in")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부분을 「가변부」, 가변부 이외의 부분을 「고정부」라고 칭한다. 각 가변부는, {} 내의 첫머리의 숫자에 의해 특정된다. 이하에서는, 가변부를 구별하는 경우, {} 내의 숫자가 n인 가변부를 제n 가변부라고 칭한다.
가변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 내의 대문자 알파벳(QPRON1 등)은, 가변부에 들어가야 할 단어의 카테고리명을 나타낸다. 또한, 문장 구조에 의해, 가변부에 들어가는 단어의 형태를 지정하는 정보가 가변부에 포함되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3:VB_BUY1+inf}의 +inf는, 이 가변부에는, 동사의 원형 부정사가 들어가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로서, 카테고리문(영어)(550)의 {1:GOODS1+pl}의 +pl은, 이 가변부에, 명사의 복수형이 들어가는 것을 나타낸다.
대표 단어문(일본어)(520), 대표 단어문(영어)(540), 대표 단어문(중국어)(560)은, 각각 카테고리문(일본어)(530), 카테고리문(영어)(550), 카테고리문(중국어)(570)의 각 가변부에, 각각 우선되는 단어를 넣은 것이다. 대표 단어문(영어)(55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대표 단어문(영어)(550)은, 카테고리문(영어)(550)의 제1 가변부를 Which로, 제2 가변부를 bags로, 제3 가변부를 buy로, 제4 가변부를 Japan으로 교체시킨 것이다.
또한, 대표 단어문(일본어)(520), 대표 단어문(영어)(540), 대표 단어문(중국어)(560) 및 카테고리문(일본어)(530), 카테고리문(영어)(550), 카테고리문(중국어)(570)은 고정부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대표 단어문과 카테고리문은 동일한 데이터를 유지해도 되고, 한쪽을 널(NULL) 데이터로 해도 된다.
<사전>
도 4로 복귀하여, 사전(423)은, 복수의 언어의 단어를 서로 관계시키는 데이터이다. 사전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덱스 데이터>
인덱스 데이터(424)는, 유저 입력과 예문을 대응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며, 유저 입력에 의한 예문 검색을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덱스 데이터(424)는, 유저 입력과 유저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의 카테고리를 대응시키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와, 카테고리와 템플릿을 대응시키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를 포함한다.
인덱스 데이터(424)에 대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인덱스 데이터(424)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서는, 일본어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와 일본어 표기에 대응하는 문자는 일본어이다.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
도 6a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는 3개의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a),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b),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c))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여, 각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는, 키워드의 일본어 입력(612)과, 단어 번호(613)와, 키워드의 일본어 표기(614)와, 키워드의 카테고리 번호(616)를 대응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a)의 일본어 입력(612)은 「にっぽん」, 단어 번호(613)는 「2312」, 일본어 표기(614)는 「日本」, 카테고리 번호(616)는 「C3001」이다.
일본어 입력(612)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일본어이다. 일본어 표기(614)는, 일본어 입력(612)에 대응하는 키워드의 디스플레이(130) 상에서의 표시이다. 즉, 입력 키(110), 수기 패드(120), 혹은 도시하지 않은 음성 입력 마이크가 일본어 입력(612)에 기재된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면, CPU(150) 및 표시 컨트롤러(132)는, 표시부(462)에, 일본어 표기(614)의 문자열을 키워드로서 표시한다.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a)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にっぽん」이라는 일본어 입력이 이루어지면,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일본어 표기 「日本」의 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인식한다. 또한, 수기 패드(120) 등에 직접 일본어 표기(614)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어 번호(613)는, 사전에 있어서의 해당 단어의 ID이다.
카테고리 번호(616)는, 키워드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각 카테고리에 고유한 데이터이다. 또한, 복수의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키워드(도 6a에 나타낸 예에서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c))는, 복수의 카테고리 번호(616)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유저가 일본어 키워드로부터 예문을 검색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일본어 키워드에 관한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에 대해 설명했다. 단, 다른 언어에 관한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가 있어도 된다. 이러한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가 있으면, 유저는, 다른 언어로부터 예문을 검색할 수 있다.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
도 6b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에는, 2개의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a),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b))를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여,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는, 카테고리 번호(616)와, 템플릿 번호(510)를 대응시키고 있다. 즉, 각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에 따르면, 임의의 카테고리 번호(616)와 관련이 있는 템플릿(500)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a)에 따르면, 카테고리 번호 C0010에는, 템플릿 번호가 10100, 10151, 10200의 템플릿(500)이 관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덱스 데이터에 의한 검색에 대해)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인덱스 데이터(424)에 의해, 유저가 입력한 문자열에 대응하는 예문을 검색한다. 즉,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에 기초하여, 유저가 입력한 문자열에 대응하는 키워드의 카테고리 번호(616)를 취득한다. 다음에,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에 기초하여, 취득한 카테고리 번호(616)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510)를 취득한다. 마지막으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에 기초하여, 취득한 템플릿 번호(510)에 대응하는 예문을 검색 및 취득한다. 키워드에 대응하는 예문의 검색 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입력된 문자열을 키워드로 갖는 템플릿(500)뿐만 아니라, 입력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가변부를 갖는 템플릿(500)도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문자열에 관한 수많은 예문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령, 예문수가 1000, 예문에 포함되는 가변부의 평균이 3, 가변부 1개당 평균 후보수가 100인 것으로 하면, 1000×100×100×100=1,000,000,000의 예문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인덱스 데이터(424)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덱스 데이터(424)를 준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예문 검색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즉, 인덱스 데이터(424)를 준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된 키워드로부터 예문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전체 예문에 대해 문자열 검색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 문자열 검색에서는, 문자열끼리의 패턴 매칭을 행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예문의 양에 비례하여 처리 시간이 비대화되어 버리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인덱스 데이터(424)에 포함되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에 기초하여 키워드의 카테고리를 신속히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에 기초하여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인덱스 데이터의 작성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덱스 데이터(424)는, 템플릿(500)에, 사전(423), 및 카테고리명과 카테고리 번호를 대응시키는 카테고리 리스트(700)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것으로 한다.
카테고리 리스트(700)의 구체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카테고리 리스트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카테고리 리스트(700)의 제1 엔트리(700a)는, 카테고리명이 「PLACE1」인 카테고리의 카테고리 번호는 「C3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카테고리 리스트(700)의 제2 엔트리(700b)는, 카테고리명이 「GOODS1」인 카테고리의 카테고리 번호는 「C001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전(423)의 구체예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사전(423)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일본어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와 일본어 표기에 대응하는 문자는 일본어이다. 중국어 표기에 대응하는 문자는 중국어이다.
사전의 제1 엔트리(800a)는, 일본어 표기 「バッグ」와, 일본어 입력 「ばっぐ」와, 영어 표기 「bag」과, 중국어 표기 「包」가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 엔트리(800a)는, 「バッグ」 「ばっぐ」 「bag」 「包」의 단어 번호가 「5432」이고, 카테고리 번호가 「C0010」 및 「C001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전(423)에 포함되는 1개의 단어에 대해, 사전(423)의 엔트리의 일본어 표기 및 일본어 입력으로부터,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의 일본어 입력(612) 및 일본어 표기(614)가 작성된다. 또한, 사전(423)의 엔트리의 단어 번호, 카테고리 번호로부터, 각각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의 단어 번호(613), 카테고리 번호(616)가 작성된다.
또한, 가변부 후보 이외를 키워드로서 등록하기 위해, 템플릿(500)의 키워드(580)의 일본어 입력과 일본어 표기로부터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의 일본어 입력과 일본어 표기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일본어 표기에 대해 1개의 또는 복수의 일본어 입력을 관련시켜 등록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일본어 표기 「日本」에, 일본어 입력 「にっぽん」 「にほん」이 관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저는, 「にっぽん」 「にほん」 중 어느 것을 입력해도, 카테고리 번호 「C3001」을 경유하여 템플릿 번호 「10100」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500)에 포함되는 가변부의 카테고리명 및 카테고리 리스트(700)로부터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가 작성된다.
이와 같이 템플릿(500)과, 카테고리 리스트(700)와, 사전(423)에 기초하여 작성된 인덱스 데이터(424)는, 입력 어구와 템플릿(500)의 대응을 적절하게 반영한다.
<예측 키워드 리스트>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는, 복수의 소정의 키워드가, 각 키워드의 처음 1개 또는 복수의 문자에 의해 분류되어 등록되어 있다.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는, 유저에 의한 키워드 입력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의 구체예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읽기(입력 문자(910))의 하방에 열거되어 있는 문자는 일본어의 히라가나이다. 즉, 좌측부에 열거되어 있는 문자는 일본어의 히라가나이다. 후보(922)의 하방에 열거되어 있는 문자는 일본어의 한자 혹은 카타카나 혹은 히라가나, 혹은 그들의 연어(連語)이다. 즉, 우측부에 열거되어 있는 문자는 일본어의 한자 혹은 카타카나 혹은 히라가나, 혹은 그들의 연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는, 각각 입력 문자(910)에 대해 전방 일치 및 완전 일치하는 예측 단어의 검색 결과(920)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전방 일치」라 함은, 예측 단어 문자열의 선두로부터 참조했을 때, 입력 문자(910)의 모든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 일치」라 함은, 예측 단어 문자열과 입력 문자(910)가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검색 결과(920)에 포함되는 예측 단어는, 입력 문자(910)에 전방 일치 및 완전 일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측 단어 문자열의 도중에 있어서, 입력 문자(91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부분 일치」라고 칭한다.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는, 이들 전방 일치, 부분 일치, 완전 일치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의 예측 단어의 검색 결과(920)가 저장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9는 전방 일치의 경우를, 도 10은 완전 일치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검색 결과(920)는, 예측 단어의 후보(922)와 후보 번호(923), 단어 번호(924)를 포함한다. 단어 번호(924)는, 후보(922)를 특정하는 번호이며, 도 8에서 나타낸 단어 번호와 일치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예로 설명하면, 읽기 「あ」에 전방 일치하는 후보의 총수는 964개이며, 「ア―ト」를 특정하는 단어 번호(924)의 값은 2415이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낸 예로 설명하면, 읽기 「あ―てぃちょ―く」에 완전 일치하는 후보의 총수는 1개이며, 「ア―ティチョ―ク」를 특정하는 단어 번호(924)의 값은 711이다.
<이력 예문 정보ㆍ등록 예문 정보>
등록 예문 정보(430)는, 출력 대상으로서 결정된 예문 중 유저가 등록한 예문에 대한 정보이다. 이력 예문 정보(432)는, 출력 대상으로서 결정된 예문의 이력에 대한 정보이다.
등록 예문 정보(430)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각각 등록 예문 정보(430)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등록 예문 정보(430)에는, 입력 문자로부터 특정된 키워드와, 예문 검색 결과와, 번역 결과와, 번역 사전 데이터가 대응시켜 포함된다. 번역 사전 데이터(템플릿(500)에 대응)로서는, 문장 번호(템플릿 번호(510)에 대응)와, 가변부의 개수와, 가변부마다의 단어수와, 가변부마다의 단어를 나타내는 단어 번호 및 문자열이 대응시켜 포함된다.
입력 키워드는, 예문을 검색하기 위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단어,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문자로부터 예측된 단어이다.
예문 검색 결과는, 입력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된 적어도 1개의 예문 중 유저에 의해 결정된 결과로서의 예문이다. 예문 검색 결과에는, 전각의 흑색 사각과 반각의 언더 바에 끼워진 부분, 및 전각의 사각과 반각의 언더 바에 끼워진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부분은, 전술한 가변부이다. 전각의 흑색 사각과 반각의 언더 바에 끼워진 부분은 포커스가 대처한 가변부이고, 전각의 사각과 반각의 언더 바에 끼워진 부분은 포커스가 대처하고 있지 않은 가변부를 나타내고 있다. 당해 예문 검색 결과의 표기에 대해서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부의 단어의 서체(언더라인을 부가하거나, 문자의 색을 바꾸거나, 굵은 글씨로 하는 것 등)를 바꾸는 방식으로 해도 된다.
번역 결과는, 예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번역된 번역문이다. 문장 번호는, 각 예문에 대해 미리 할당되어 있는 번호이다. 가변부 개수는, 당해 예문에 포함되어 있는 가변부의 개수이다. 가변부마다의 단어는, 당해 가변부로 교체 가능한 적어도 1개의 단어이다. 가변부마다의 단어의 수는, 당해 가변부로 교체 가능한 단어로서 등록되어 있는 단어의 수이다.
예를 들어, 입력 키워드 「アジアの」에 대응하는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예문 검색 결과 「」, 「This tour is very popular with our Asian customers.」 및 문장 번호 「5826」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문장 번호 「5826」의 데이터로서, 가변부 개수 「3」, 가변부 1의 단어의 수 「2」, 가변부 1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 「(11: こちらの/this/12: あちらの/that/)」, 가변부 2의 단어의 수 「2」, 가변부 2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 「(2331: ツア―/tour/2345: クル―ズ/cruise/)」, 가변부 3의 단어의 수 「19」, 가변부 3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 「(301: アジアの/Asian/302: アフリカの/African/303: 中東の/Middle Eastern/304: 東アジアの/East Asian/305: 西アジアの/West Asian/306: 南米の/South American/307: 北米の/North American/308: オセアニアの/Oceanian/309: ヨ―ロッパの/European/310: ペルシャの/Persian/311: 西洋の/Western/312: 日本の/Japanese/313: アメリカの/American/314: ドイツの/German/315: イギリスの/British/316: フランスの/French/317: イタリアの/Italian/318: /South Korean/319: /Chinese/)」이 포함된다. 가변부 1 내지 3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에 있어서는, 단어 번호와 문자열(일본어+영어)을 포함하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문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가변부가 3개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 가변부가 1개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가변부가 1개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를 고정부만의 예문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고정부만의 예문이어도, 입력 문자로부터 예측 키워드, 예문의 검색 및 번역 결과의 취득이 가능하다.
또한, 이력 예문 정보(432)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도 11에서 설명한 등록 예문 정보(430)에 포함되는 데이터와 마찬가지이다.
등록 예문 정보(430) 및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번역 사전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구조의 일부 혹은 전부가 기억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출력 대상으로서 결정된 예문 중 유저가 등록한 예문, 및 출력 대상으로서 결정된 예문의 이력을 그대로 재이용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예문을 다시 검색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들 예문의 가변부를 변경하여, 다양한 변형의 예문이나 번역문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억부(420)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처리부(440)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4로 복귀하여, 처리부(440)는, 키워드 선택부(442)와, 예문 선택부(444)와, 번역문 출력부(446)와, 등록 예문 관리부(448)와, 이력 예문 관리부(449)를 구비한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선택한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기초하여, 입력부(410)가 접수한 문자로부터 예측되는 단어를 키워드 후보로서 추출하는 예측 변환부(443)를 포함한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예측 변환부(443)가 추출한 키워드 후보를, 키워드 후보로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워드 선택부(442)는, 인덱스 데이터(424)를 참조하여, 입력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일본어 입력(612)을 갖는 키워드를 검색한다. 그리고, 예측 변환부(443)는, 검색한 키워드의 표기(614)를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부(462)에 표시된 키워드 후보 중에서 1개의 키워드 후보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키워드 선택부(44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워드 후보를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도 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문자열에 대해 완전 일치하는 예측 키워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문 선택부(444)는, 키워드 선택부(442)가 선택한 키워드와, 인덱스 데이터(424)와,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예문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문 선택부(444)는, 인덱스 데이터(424)를 검색하고,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되는 템플릿(500)을 추출한다. 검색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미 인덱스 데이터(424)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예문 선택부(444)는, 검색된 템플릿(500)에 기초하여, 예문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또한, 예문 선택부(444)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부(462)에 표시된 예문 중에서 1개의 예문을 선택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예문 선택부(444)가 선택한 예문 및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특히, 번역문 출력부(446)는, 예문의 가변부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가변부의 어구를 교체시킨다. 이 교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번역문을 음성 출력부(464)에 음성 출력시킨다.
등록 예문 관리부(448)는, 예문 선택부(444)에 의해 선택된 예문 중 유저가 등록하는 조작을 행한 예문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 예문 관리부(448)는, 예문 선택부(444)에 의해 선택되어 유저가 등록하는 조작을 행한 예문에 관한 입력 키워드, 예문 검색 결과, 번역 결과, 번역 사전 데이터(문장 번호, 가변부 개수, 가변부마다의 단어수, 가변부의 단어를 나타내는 단어 번호 및 문자열)를 대응시켜, 도 11에서 설명한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기억부(420)에 기억시킨다. 가변부가 없는 예문의 경우(고정부만인 경우)는, 번역 사전 데이터는 가변부 개수 및 가변부마다의 단어수는 「0」, 가변부의 단어를 나타내는 단어 번호 및 문자열은 널(NULL)로서 기억부(420)에 기억된다.
또한, 등록 예문 관리부(448)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기억부(420)에 기억된 등록 예문을 판독하고, 판독한 등록 예문의 리스트를, 등록 예문을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또한, 등록 예문 관리부(448)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부(462)에 표시된 등록 예문 중에서 1개의 등록 예문을 선택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등록 예문 관리부(448)가 선택한 등록 예문 및 그 등록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등록 예문의 표시에 대해서는, 상술한 예문 선택부(444)가 선택한 예문의 표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문 선택부(444)가 선택한 예문의 표시는, 템플릿(500)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하지만, 등록 예문의 표시는,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기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력 예문 관리부(449)는, 예문 선택부(444)에 의해 선택된 예문의 이력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력 예문 관리부(449)는, 예문 선택부(444)에 의해 선택된 예문에 관한 입력 키워드, 예문 검색 결과, 번역 결과, 번역 사전 데이터(문장 번호, 가변부 개수, 가변부마다의 단어수, 가변부의 단어를 나타내는 단어 번호 및 문자열)를 대응시켜, 도 11에서 설명한 등록 예문 정보(430)와 마찬가지의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기억부(420)에 기억시킨다.
또한, 이력 예문 관리부(449)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기억부(420)에 기억된 이력 예문을 판독하고, 판독한 이력 예문의 리스트를, 이력 예문을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또한, 이력 예문 관리부(449)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부(462)에 표시된 이력 예문 중에서 1개의 이력 예문을 선택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이력 예문 관리부(449)가 선택한 이력 예문 및 그 이력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이력 예문의 표시에 대해서는, 상술한 예문 선택부(444)가 선택한 예문의 표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력 예문의 표시는,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기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3. 회화 어시스트 장치의 동작)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행하는 동작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2) 키워드의 접수
(3) 예문 결정
(4) 키워드의 추가
(5) 1건의 회화문을 출력
(6) 단어 교체
(7) 등록 예문의 선택
(8) 이력 예문의 선택
이하, (1) 내지 (8)의 각각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1)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도 12에 도시한 메뉴 화면(1010)에 있어서 "회화 어시스트"가 선택되었을 때, 혹은 회화 어시스트 키(314)가 눌러졌을 때에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단, 도 12에 도시한 메뉴 화면은, 일례이며,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메뉴 화면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를 참조하여, 메뉴 화면(1010)에는, 콘텐츠명(사전명 등) 혹은 어플리케이션명(회화 어시스트 등, 음표 마크가 선두에 부여되어 있는 것)이 표시된다. 또한, 메뉴 화면(1010)의 하부에는, 유저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문장이 표시된다.
메뉴 화면(1010)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명 및 어플리케이션명은 모두 선택 가능하다. 처리부(440)는, 상측 키(304a)(혹은 하측 키(304b))가 눌러진 것에 따라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명의 1개 위(혹은 1개 아래)에 있는 콘텐츠를 새롭게 선택한다.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명 혹은 어플리케이션명은, 색을 바꾸거나, 프레임으로 둘러싸는 것 등 선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메뉴 화면(1010)에서는, 회화 어시스트가 선택되어 있고, 회화 어시스트가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있다.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명 혹은 어플리케이션명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래서, 처리부(440)는,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에 기초하여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도 13에 도시된 초기 화면(10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즉, 처리부(440)는, 메뉴 화면(1010)에 있어서 "회화 어시스트"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진 것, 혹은 회화 어시스트 키(314)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초기 화면(10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또한, 초기 화면(102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메뉴 화면(10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초기 화면(1020)은, 타이틀(1022)과, 전지 마크(1023)와, 힌트(1024)와, 문자 입력란(1026)과, 언어 모드 설정(1028)을 포함한다.
타이틀(1022)은, 현재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명, 즉 「회화 어시스트」 및 언어 모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언어 모드」라 함은, 회화 어시스트에 있어서, 어느 언어로부터 어느 언어로의 번역을 행할지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언어 모드(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모드 및 일본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모드)가 선택 가능하며, 선택되어 있는 언어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가 타이틀(1022)에 표시된다.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타이틀(1022)에 「일본어→영어」라고 표시된다. 한편, 일본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타이틀(1022)에 「일본어→중국어」라고 표시된다.
전지 마크(1023)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를 구동하는 전지의 잔량을 나타낸다. 전지의 잔량에 따라서 전지 마크(1023)의 표시 형태는 변화된다.
힌트(1024)는, 유저가 행해야 하거나, 혹은 행할 수 있는 동작을 설명하는 문장을 표시한다.
문자 입력란(1026)은, 문자 키(302)의 누름, 혹은 수기 패드(120)에의 입력에 따른 문자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에 관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수기 문자 인식 프로그램 등을 통해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입력 스트로크로부터 문자 인식을 행하여 키워드 입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음성 입력부(마이크 등) 및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인식을 행하여 키워드 입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언어 모드 설정(1028)은, 선택되어 있는 언어 모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각 언어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의 좌측에 마련한 사각의 색이, 어느 언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한 초기 화면(1020)은,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인 것으로, 「일본어→영어」 옆의 사각이 흑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초기 화면(1020)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 전환 키(316)를 누름으로써 언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처리부(440)는, 초기 화면(1020)의 표시시에 전환 키(316)의 누름을 검출하면 언어 모드를 전환한다.
또한, 디폴트의 언어 모드, 즉, 처음에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전환 키(316)가 눌러질 때까지의 언어 모드는,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모드인 것으로 한다. 또한, 처리부(440)는, 회화 어시스트의 종료시의 언어 모드를 기억부(420)에 저장해 두고,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의 2회째 이후의 기동시에는, 전회의 회화 어시스트의 종료시의 언어 모드를 선택한다.
언어 모드의 종류는, 상술한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본어 이외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모드가 있어도 된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를 취급할 수 있는 언어 모드는 제조시에 설정된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제조자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취급하는 언어 모드를 적절하게(예를 들어,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판매 지역에 맞추어) 설정하면 된다.
또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를 취급할 수 있는 언어 모드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3개 이상의 언어 모드를 취급해도 된다. 반대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단 1개의 언어 모드를 취급해도 된다. 이 경우, 초기 화면(1020)에 언어 모드 설정(1028)을 표시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2) 키워드의 접수
초기 화면(1020)의 표시시에 문자가 입력되면, 처리부(440)는, 유저에 의한 키워드 입력을 보조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또한,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초기 화면(10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14는 일본어(제1 언어)를 영어(제2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란(1026)에 입력된 키워드,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 내에 표시되는 문장, 예문 프리뷰(1034) 내에 표시되는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은, 초기 화면(1020)과 마찬가지로 타이틀(1022), 전지 마크(1023), 힌트(1024) 및 문자 입력란(1026)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한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은 문자열 「ぺん」이 입력되었을 때의 것이다. 따라서, 문자 입력란(1026)에는, 「ぺん」이 표시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화면도, 타이틀(1022), 전지 마크(1023), 힌트(1024) 및 문자 입력란(1026)을 포함한다. 단, 이들 표시의 역할은 초기 화면(1020)의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의 화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들 표시에 대해 기본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은, 상술한 표시에 부가하여,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와, 예문 프리뷰(1034)를 더 포함한다.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는, 문자 입력란(1026)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후보 키워드 문자열 「ぺん」에 대응하는 키워드인 「ペン」, 「ペンギン」, 「ペングロ―スサドルド―ム」, 「ペンシルバニア」, 「ペンス」가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표시되어 있다.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키워드 선택부(442)에 포함되는 예측 변환부(443)가,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에 기초하여 검색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예측 변환부(443)는, 입력된 문자열과, 선두의 문자열이 일치하는 키워드를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기초하여 검색하고 있다.
유저는,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포함되는 각 키워드를 상측 키(304a), 하측 키(304b), 이전 페이지 키(322), 다음 페이지 키(324) 등을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선택부(442)는, 예측 단어를 디스플레이(130)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는,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포함되는 예측 단어를 각종 키의 누름에 따라서 스크롤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가 포함하는 예측 단어의 수에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그러나,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성능 등에 따라서는,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가 포함하는 예측 단어의 수를 제한해도 된다.
선택 중인 키워드는, 선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다.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은, 키워드 「ペンギン」이 선택되어 있을 때인 것이며, 「ペンギン」을 포함하는 행이 해칭으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선택 중인 (포커싱된) 키워드의 표시에 대해서는, 서체의 변경(언더라인을 부가, 굵은 글씨로 하거나, 문자의 색을 바꿈) 혹은 기호(마크)를 부여하는 것 등으로 해도 된다. 후술하는 예문 리스트(1044)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측 변환부(443)가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검색할 수 없었던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워드 선택부(442)는, 디스플레이(130)에,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없는 취지의 메시지(예를 들어, 「해당 후보가 없습니다」)를 표시한다. 이 메시지의 표시 중에는, 입력부(410)는, 키워드의 선택 및 결정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이 메시지 중에는, 유저가, 상측 키(304a), 하측 키(304b), 검색/결정 키(306)를 눌러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은 변화되지 않는다. 다른 형태로서, 후보 키워드 리스트가 공백이 됨으로써, 키워드를 검색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측 변환부(443)는, 입력된 문자열에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표기를 갖는 단어를 검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예측 변환부(443)는, 카다카나와 히라가나를 구별하지 않고 예측 단어를 검색한다. 즉, 예측 변환부(443)는, 히라가나로 「ぺん」이라고 입력된 경우에도, 카타카나로 「ペン」이라고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어 「ペンギン」(카다카나 표기)을 예측 단어로서 추출한다. 이러한, 입력된 문자열과 키워드와의 대응시킴의 고안의 다른 예 및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예문 프리뷰(1034)는, 선택되어 있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예문을 표시하는 것이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선택되어 있는 키워드에 관한 예문을, 인덱스 데이터(424)에 기초하여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 중에서 검색한다. 키워드 선택부(442)가, 예문 프리뷰(1034)에 표시하는 예문을 결정할 때에 행하는 구체적인 처리는, 후술하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을 작성할 때의 예문 선택부(44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그로 인해, 여기에서는, 이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문 프리뷰(1034)는, 유저가 원하는 예문을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유저는, 관련되는 예문을 보고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원하지 않는 키워드를 선택하는 일이 적어진다. 즉, 유저 선택한 키워드에 관한 예문에 유저가 기대한 예문이 없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키워드의 문자수가 화면의 일렬로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는 경우, 키워드 선택부(442)는, 키워드의 처음 쪽의 문자를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예문의 문자수가 화면의 일렬로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는 경우, 키워드 선택부(442)는, 예문의 처음 쪽의 문자를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화면예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는, 예측 변환부(443) 「ケリ-ㆍタ-ルトンズㆍアンタ-クティックㆍエンカウンタ-&アンダ-ワ-ルド」라는 단어를 예측 단어로서 추출했을 때에, 키워드 선택부(442)가 표시부(462)에 나타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도 일본어(제1 언어)를 영어(제2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란(1026)에 입력된 키워드,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 내에 표시되는 문장, 예문 프리뷰(1034) 내에 표시되는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는, 예측 단어의 선두로부터 (표시부(462)에 표시 가능한 문자수-1)개까지의 문자, 즉 「ケリ-ㆍタ-ルトンズㆍアンタ-クティックㆍエンカウンタ-&」가 표시되고, 그 뒤에 「…」기 표시되어 있다. 또한, 키워드 선택부(442)는, 「…」를 표시하지 않고, 예측 단어의 선두로부터 (표시부(462)에 표시 가능한 문자수)개까지의 문자를 표시해도 된다. 예문 프리뷰(1034)에 표시되는 예문에 대해서도 예측 단어와 마찬가지의 생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예는, 표시 패널에 표시 가능한 문자수에 제약이 있는 경우의 대응이지만, 문자 폰트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단어 줄바꿈 표시를 하는 것 등을 행해도 된다.
(3) 예문 결정
키워드 입력 화면(1030)의 표시시에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에 표시되어 있는 키워드 중 1개가 선택되면, 처리부(440)는, 유저에 의한 예문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한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을 표시한다. 도 16은 일본어(제1 언어)를 영어(제2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에 있어서는, 키워드 표시란(1042) 내에 표시되는 키워드, 예문 리스트(1044) 내에 표시되는 문장, 번역문 프리뷰(1046)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번역문 프리뷰(1046)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은, 키워드 표시란(1042)과, 예문 리스트(1044)와, 번역문 프리뷰(1046)를 포함한다.
키워드 표시란(1042)은, 키워드 입력 화면(1030)에 있어서 선택된 키워드를 표시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워드 선택부(442)는 추가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란(1042)은, 키워드 입력 화면(1030)에 있어서 선택된 키워드에 부가하여, 설정된 추가 키워드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예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최대 3개까지의 키워드를 접수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단, 키워드의 최대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문 리스트(1044)는, 예문 선택부(444)가 검색한 예문을 표시한다. 예문 리스트(1044)가 표시하는 예문은, 키워드 표시란(1042)에 표시되어 있는 키워드에 관련되는 것이며, 예문 선택부(444)가 추출한 것이다. 여기에서, 키워드에 관련되는 예문이라 함은, 키워드를 교체 가능한 가변부를 갖는 예문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문 선택부(444)는, 최대 20개까지의 검색한 예문을 예문 리스트(1044)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하는 예문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예문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단, 예문 리스트(1044)에 표시되는 예문의 상한수는 20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문 선택부(444)는, 표시하는 예문수를 한정하지 않아도 된다.
도 4로 복귀하여, 예문 선택부(444)에 의한 예문 추출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문 선택부(444)는, 인덱스 데이터(424)에 기초하여 키워드에 관련되는 예문을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문 선택부(444)는, 다음과 같이 하여 키워드에 관련되는 예문을 추출한다.
우선, 예문 선택부(444)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를 참조하여, 선택된 키워드의 카테고리 번호(616)를 취득한다. 즉, 예문 선택부(444)는, 선택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표기(614)를 포함하는 엔트리를 추출하고, 추출한 엔트리의 카테고리 번호(616)를, 선택된 키워드의 카테고리 번호(616)로서 취득한다.
다음에, 예문 선택부(444)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에 기초하여, 취득한 카테고리 번호(616)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510)를 취득한다. 예문 선택부(444)는, 카테고리 번호(616)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510)가 복수 있는 경우, 카테고리 번호에 대응하는 모든 템플릿 번호(510)를 취득한다.
마지막으로, 예문 선택부(444)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취득한 템플릿 번호(510)를 갖는 템플릿을 검색 및 추출한다. 복수의 템플릿 번호(510)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 예문 선택부(444)는, 취득한 각 템플릿 번호(510)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검색한다. 그리고, 예문 선택부(444)는, 검색한 템플릿의 카테고리문에, 그 가변부 중 키워드와 관련되는 키워드로 교체 가능한 가변부는 키워드로, 그 밖의 가변부는 대표 단어문의 단어로 교체시킨 것을, 키워드에 관련되는 예문으로서 추출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입력된 문자열로부터 템플릿 번호를 추출할 때의 예문 선택부(444)의 처리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둔다.
예를 들어, 「バッグ」라는 표기(614)의 키워드가 선택된 경우, 예문 선택부(444)는, 「バッグ」라는 표기(614)를 갖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c)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c)의 카테고리 번호 「C0010」 및 「C0011」을 취득한다.
그리고, 예문 선택부(444)는,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에 기초하여, 취득한 카테고리 번호 「C0010」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510)(10100, 10151, 10200) 및 「C0011」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510)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템플릿 번호(510)를 갖는 템플릿(500)을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검색 및 취득한다.
또한, 예를 들어, 「日本」이라는 표기(614)의 키워드가 선택된 경우, 예문 선택부(444)는, 「日本」이라는 표기(614)를 갖는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a 및 425b)를 추출한다. 그리고, 예문 선택부(444)는, 추출한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a 및 425b)로부터, 「日本」이라는 표기(614)의 카테고리 번호 「C3001」을 취득한다.
그리고, 예문 선택부(444)는, 취득한 카테고리 번호 「C3001」에 관한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b)를 검색하고, 취득한 카테고리 번호 「C3001」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10100, 17151, 18000, 18500)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템플릿 번호(510)를 갖는 템플릿(500)을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검색 및 취득한다.
예문 선택부(444)는, 취득한 템플릿(500)의 카테고리문(일본어)(530)의 가변부를 단어로 교체시켜 예문을 작성한다. 예문 선택부(444)는, 키워드 선택부(442)가 선택한 키워드를 후보 단어로 갖는 가변부는, 선택된 키워드로 교체시킨다. 그 밖의 가변부는, 대표 단어문(520)에 기재된 단어로 교체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부가 없는 경우(고정부만인 경우)의 예문도 마찬가지로 작성이 가능하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여, 예문 리스트(1044)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예문 중 1개의 예문은, 선택 대상으로 되어 있어 해칭으로 표시된다. 도 16은, 「ペンギンかイルカを見るツア-はありますか?」라는 예문이 선택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문 선택부(444)는, 상측 키(304a), 하측 키(304b), 이전 페이지 키(322), 다음 페이지 키(324)의 누름 등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 대상의 예문을 변경한다.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예문 선택부(444)는, 예문 리스트(1044)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예문의 번역문을 포함하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 및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의 표시 후의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예문 리스트(1044)에 표시되는 예문의 문자수가 화면의 일렬로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는 경우, 예문 선택부(444)는, 예문의 처음 쪽의 문자를 예문 리스트(1044)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화면예를 도 17에 나타낸다. 예문의 문자의 생략 방법은,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 키워드 선택부(442)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7도 일본어(제1 언어)를 영어(제2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7에 있어서는, 키워드 표시란(1042) 내에 표시되는 키워드, 예문 리스트(1044) 내에 표시되는 문장, 번역문 프리뷰(1046)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번역문 프리뷰(1046)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번역문 프리뷰(1046)는, 예문 리스트(1044)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예문, 및 선택되어 있는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번역문은, 예문 선택부(444)가, 선택되어 있는 예문 및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에 기초하여 작성한 것이다. 번역문 프리뷰(1046)는, 유저가 원하는 예문을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유저는, 번역문을 보고 예문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부적절한 예문을 선택하는 일이 적어진다.
(4) 키워드의 추가ㆍ소거
예문 선택부(444)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의 표시시에는, 수기 패드(120)를 제어하고,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추가 및 키워드 소거의 지시를 접수하도록 한다. 수기 패드(120)가 지시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가, 키워드의 추가 혹은 소거를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예문 선택부(444)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의 표시시에 우측 키(304c)가 눌러진 경우에도 키워드의 추가 처리를 개시한다.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소거 지시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경고창(105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경고창(1050)의 표시시에 Y키가 눌러진 취지의 신호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입력되어 있는 키워드를 소거함과 함께, 초기 화면(10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한편, 경고창(1050)의 표시시에 N키가 눌러진 취지의 신호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경고창(1050)의 표시를 중지하고, 디스플레이(130)에 다시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을 표시한다.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추가 지시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 처리를 개시한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각각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란(1026)에 입력된 키워드,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 내에 표시되는 문장, 예문 프리뷰(1034) 내에 표시되는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도 21에 있어서는, 키워드 표시란(1042) 내에 표시되는 키워드, 예문 리스트(1044) 내에 표시되는 문장, 번역문 프리뷰(1046)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번역문 프리뷰(1046)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추가 지시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우선, 도 18에 도시된 키워드 추가 화면(1310)을 표시한다. 키워드 추가 화면은, 문자 입력란과, 후보 키워드 리스트와, 예문 프리뷰를 포함한다. 키워드의 추가 지시 후, 문자는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문자 입력란에는, 문자는 표시되어 있지 않고, 또한 후보 리스트 키워드 리스트에는, 키워드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예문 프리뷰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 키워드인 「ペンギン」에 관한 예문이 표시된다.
키워드 추가 화면(131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즉, 처리부(440)는, 키워드의 추가 처리를 종료하고 예문의 선택 처리를 재개한다.
키워드 추가 화면(1310)의 표시시에 문자 「つ」가 입력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디스플레이(130)에 도 19에 도시한 키워드 추가 화면(1320)을 표시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키워드 추가 화면(1320)의 후보 키워드 리스트는, 「つ」에 관련되는 키워드를 표시한다.
키워드 추가 화면(132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즉, 처리부(440)는, 키워드의 추가 처리를 종료하고 예문의 선택 처리를 재개한다.
키워드 추가 화면(1320)의 표시시에 문자 「あ」가 입력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디스플레이(130)에 도 20에 도시한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을 표시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의 후보 키워드 리스트는, 「つあ」에 관련되는 키워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키워드 「ツア―」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의 예문 프리뷰는, 「ペンギン」 및 「ツア―」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예문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키워드 선택부(442)는, 「ペンギン」 및 「ツア―」 중 한쪽만을 포함하는 예문과, 양쪽을 포함하는 예문을 구별하여 예문 프리뷰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키워드 선택부(442)는, 키워드의 한쪽만을 포함하는 예문을, 그 첫머리에 "유추" 마크를 부여하여 표시한다. 또한, 양쪽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예문을, 한쪽의 키워드만을 포함하는 예문보다도 예문 프리뷰에 있어서 상방으로 갖고 온다. 이러한 표시에 의해, 유저는, 예문 프리뷰에 표시되는 예문이, 입력한 키워드와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키워드 선택부(442)는, 예문을, 예문에 포함되는 선택된 키워드의 개수에 기초하는 순서대로 배열하고, 선택된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예문과 그 밖의 예문을 구별해도 된다. 또한, 키워드와 예문과의 관계도를 미리 정해 두고, 관계도에 기초하는 순서로 예문을 배열해도 된다.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즉, 처리부(440)는, 키워드의 추가 처리를 종료하고 예문의 선택 처리를 재개한다.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도 21에 도시한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을 표시한다.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은, 키워드 표시란과, 예문 리스트와, 번역문 프리뷰를 포함한다.
키워드 표시란에는, 처음에 설정된 키워드 「ペンギン」과, 키워드 추가 화면(1330)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었던 키워드 「ツア―」가 표시된다. 또한, 키워드 표시란에 있어서는, 처음에 설정된 키워드와 추가 키워드 사이에 "≫"가 표시된다. 추가 키워드의 구분에 대해서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고, ","/"&"/"+" 등이어도 되고, 키워드마다 서체를 바꾸거나, 혹은 문자색을 바꾸는 것 등을 행해도 된다.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예문 선택부(444)는,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의 예문 리스트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예문의 번역문을 포함하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 및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의 표시 후의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진 경우, 예문 선택부(444)는, 키워드 추가 화면(1330)을 다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예문 선택부(444)는,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의 표시시에는, 수기 패드(120)를 제어하고, 수기 패드(120)가, 한층 더 키워드(제2 추가 키워드)의 추가 및 키워드 소거의 지시를 접수하도록 한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각각 제2 추가 키워드의 설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란(1026)에 입력된 키워드, 후보 키워드 리스트(1032) 내에 표시되는 문장, 예문 프리뷰(1034) 내에 표시되는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도 25에 있어서는, 키워드 표시란(1042) 내에 표시되는 키워드, 예문 리스트(1044) 내에 표시되는 문장, 번역문 프리뷰(1046)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번역문 프리뷰(1046)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의 표시시에 키워드 추가 지시를 접수하면, 도 22에 도시한 키워드 추가 화면(14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키워드 추가 화면(141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을 표시한다.
도 23에 도시한 키워드 추가 화면(1420)은,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의 표시시에 「り」가 입력되었을 때에, 키워드 선택부(442)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화면이다. 키워드 추가 화면(1420)은, 제1 추가 키워드의 설정시에 표시되는 화면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키워드 추가 화면(1420)의 키워드 표시란은, 「り」에 관한 키워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키워드 「リㆍシャン」이 선택되어 있다. 또한, 예문 프리뷰는, 지금까지 설정된 키워드인 「ペンギン」 및 「ツア―」, 및 「リㆍシャン」에 관련되는 예문을 표시한다. 키워드 선택부(442)에 의한 예문의 표시 방법은, 도 20 등을 표시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도 24에 도시한 키워드 추가 화면(1430)은, 키워드 추가 화면(1420)의 표시시에 하측 키(304b)가 눌러졌을 때에, 키워드 선택부(442)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화면이다. 키워드 추가 화면(1430)에서는, 키워드 추가 화면(1420)에서 선택되어 있었던 키워드의 1개 아래의 키워드가 선택되어 있다.
키워드 추가 화면(143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도 25에 도시한 제3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44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제3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440)의 표시시의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동작은,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 혹은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의 표시시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소거의 지시를 접수하면, 키워드 선택부(442)는, 경고창(145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단, 수기 패드(120)는, 키워드의 추가를 접수하지 않는다. 설정할 수 있는 최대수의 키워드가 이미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5) 1건의 회화문의 출력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 혹은 제3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44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일본어로부터 영어로의 언어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번역문 출력부(446)는, 영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을 표시한다. 도 26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은,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040), 제2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340), 혹은 제3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1440)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예문, 및 선택되어 있는 예문에 대응하는 설정된 언어(여기에서는 영어)의 번역문을 포함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은, 「ペンギンかイルカを見るツア―はありますか?」라는 예문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번역문은, 번역문 출력부(446)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에 기초하여 작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카테고리문(일본어)(530)의 가변부로 교체시키는 일본어 단어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로, 카테고리문(영어)(550)의 가변부를 교체시킨 것을 번역문으로서 작성한다.
일본어 단어와 영어 단어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4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후보 단어에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고, 번역문 출력부(446)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일본어 단어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를 검색한다. 단, 번역문 출력부(446)가 예문의 번역문을 작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처리부(440)는, 예문이 선택되면, 선택된 예문에 관한 입력 키워드, 예문 검색 결과, 번역 결과, 회화 어시스트의 번역 사전의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문장 번호, 가변부 개수, 가변부마다의 가변부의 단어의 수, 및 가변부마다의 가변부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를 대응시켜, 도 11에서 설명한 등록 예문 정보(430)와 마찬가지의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기억부(420)에 기억시킨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의 표시시에 음성 키(318)가 눌러지면, 도 27에 도시한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27에 있어서도,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에서는, 타이틀에, 출력 음량의 설정이 표시된다. 또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에서는, 번역문이 해칭으로 표시된다.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의 표시시에 클리어 키(310) 또는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다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의 표시시에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수기 패드(120)를 제어하고, 수기 패드(120)가, 번역문의 음성 출력의 속도의 설정 지시를 접수하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5종류의 속도 설정이 설정 가능한 것으로 한다. 도 27은, 「표준」의 출력 속도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인 것으로, 수기 패드(120)에서는 「표준」이 반전 표시되어 있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2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28에 도시한 음성 재생 중 화면(153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함과 함께, 음량 및 속도의 설정에 따라서 번역문을 TTS(음성 합성 기술, Text to Speech의 약칭)를 사용하여 출력한다. 도 28에 있어서도,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음성 재생 중 화면(1530)은, 음성 재생 중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1532)를 포함한다. TTS에 한정되지 않고, 예문/번역문에 대응시켜 미리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여,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의 표시시에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수기 패드(120)를 제어하고,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추가, 단어 교체, 언어 모드 전환, 예문의 단어장 등록의 지시를 접수하도록 한다.
수기 패드(120)가 키워드 추가의 지시를 접수하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키워드 추가 화면을 표시하고 추가 키워드의 설정 처리를 개시한다. 추가 키워드의 설정 처리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최대수의 키워드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수기 패드(120)는, 키워드 추가의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다.
수기 패드(120)가 단어 교체의 지시를 접수하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의 교체 처리를 개시한다. 단어 교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처리부(440)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의 표시시에 수기 패드(120)에 표시된 「단어장에 등록」이 선택되면, 표시되어 있는 예문에 관한 입력 키워드, 예문 검색 결과, 번역 결과, 회화 어시스트의 번역 사전의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문장 번호, 가변부 개수, 가변부마다의 가변부의 단어의 수, 및 가변부마다의 가변부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열)를 대응시켜, 도 11에서 설명한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기억부(420)에 기억시킨다.
수기 패드(120)가 언어 모드의 전환 지시를 접수하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언어 모드를 전환하고, 도 29에 도시한 전환 후의 언어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4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29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중국어(제3 언어)이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전환 키(316)가 눌러졌을 때에도 언어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 후의 언어 모드의(중국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4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29를 참조하여, 중국어 설정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40)은, 예문의 중국어의 번역문을 표시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40)의 표시시에 음성 키(318)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0에 도시한 음성 재생 모드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5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0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중국어(제3 언어)이다.
(6) 단어 교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예문의 가변부의 단어를 교체시킬 수 있다. 이하, 가변 문장의 단어의 교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의 표시시에 소정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가변부의 단어를 교체시킬 수 있다. 단어를 교체시키기 위한 조작에는, 크게 나누어, 가변부를 지정하는 키 입력과, 수기 패드(120)에의 단어 교체 지시 입력이 있다.
우선, 가변부를 지정하는 키 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여, 번역문 출력부(446)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에 있어서, 예문의 가변부와 관련시켜, 가변부를 특정하는 기호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가변부의 단어 앞에 부여된 [1][2][3]이 가변부를 특정하는 기호이다. 단, 가변부를 특정하는 기호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문자나 숫자 등이어도 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폰트나 밑줄 종류 등 서식의 차이로 나타내어도 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특정하는 기호에 대응하는 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가변부의 단어의 교체 처리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유저는, 간단한 조작으로 가변부의 단어의 교체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의 표시시에 [1]키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1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1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610)에 있어서는,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가변부가 해칭으로 표시된다. 또한,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후보 단어가 화면의 하방에 표시된다. 또한, 후보 단어도 일본어(제1 언어)이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가변부를 해칭 이외의 수단, 예를 들어 언더라인, 색 변경, 서체 변경 등으로 강조해도 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되어 있지 않은 가변부에 대해서도, 유저가 시인하기 쉽도록 해칭, 언더라인, 색 변경, 서체 변경 등을 행해도 된다.
한편, 번역문 출력부(446)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1510)의 표시시에 수기 패드(120)가 단어 교체 지시를 접수했을 때에도 단어 교체 처리를 개시한다. 이때에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2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2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620)은, 가변부의 선택 전의 단어 교체 화면이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화면(161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졌을 때에도 단어 교체 화면(16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2를 참조하여, 단어 교체 화면(1620)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가변부가 해칭으로 표시된다. 도 32에는, 첫 번째 가변부가 선택되어 있을 때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어 교체 화면(1620)의 표시시에 우측 키(304c) 혹은 좌측 키(304d)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 대상의 가변부를 변경한다.
단어 교체 화면(162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화면(16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특정하는 기호에 대응하는 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가변부의 단어의 교체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1]키가 눌러진 경우,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화면(161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다시 도 31을 참조하여, 선택된 가변부의 단어의 교체에 대해 설명한다. 단어를 교체시키는 방법에는, 크게 나누어, 단어 교체 화면에 표시되는 키워드를 직접 선택ㆍ결정하는 방법과, 문자를 입력하여 키워드를 좁힌 후 키워드를 선택ㆍ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우선, 전자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단어 교체 화면(1610)의 표시시에 하측 키(304b)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3에 도시한 선택되어 있는 키워드를 변경한 단어 교체 화면(163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3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630)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키워드는 「クジラ」이다.
단어 교체 화면(163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4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4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4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640)은, 선택되어 있는 가변부를, 단어 교체 화면(1630)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단어(クジラ)로 교체시킨 예문 및 그 예문의 번역문을 포함한다. 단어 교체 화면(164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후의 예문에 대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또한, 도 33으로 복귀하여, 단어 교체 화면(161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의 선택 전의 단어 교체 화면(16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측 키(304a)가 눌러진 경우에 표시되는 것은, 당연히 단어 교체 화면(1610)이다.
다음에, 후자의 방법, 즉, 문자 입력에 의해 키워드를 좁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가 선택된 단어 교체 화면(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10), 도 33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30))의 표시시에 문자가 입력되면, 선택된 가변부의 후보 단어 중 입력된 문자에 관련되는 것을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표시하는 단어 교체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7 및 도 38에서 후술하지만, 가변부에는 키워드를 선택ㆍ결정할 뿐만 아니라, 유저가 임의의 문자열(날짜나 개수 등의 숫자 등)을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키워드 입력을 자유 입력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입력된 문자에 관련되는 단어를 예측 변환부(443)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추출한다. 즉, 번역문 출력부(446)는, 입력된 문자열에 부분 일치하는 단어를, 입력된 문자열에 관련되는 단어로서 추출한다. 이하에서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입력된 문자열과 전방 일치하는 후보 단어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단, 번역문 출력부(446)는, 완전 일치나 부분 일치 등 다른 기준에 의해 후보 단어를 추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어 교체 화면(1610) 혹은 단어 교체 화면(1630)의 표시시에 문자 「こ」가 입력되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5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5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5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650)은, 선택된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후보 단어 중, 문자 「こ」를 선두에 갖는 단어를 표시하고 있다.
단어 교체 화면(1650)의 표시시에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도 36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66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도 36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640)은, 선택되어 있는 가변부를, 단어 교체 화면(1650)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단어(コアラ)로 교체시킨 예문 및 그 예문의 번역문을 포함한다. 단어 교체 화면(166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후의 예문에 대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유저가 가변부를 교체시키는 후보를 선택하여, 검색/결정 키(306)를 누를 때까지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화면의 예문 및 번역문을 변경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도 33의 화면에 있어서는, 후보 단어 「クジラ」가 선택되어 있기는 하지만, 표시되어 있는 예문 및 번역문은 가변부가 ペンギン일 때의 상태이다.
그러나,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되어 있는 후보 단어의 변경에 따라서 표시하는 예문 및 번역문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33과 같이, 선택되어 있는 후보 단어가 「クジラ」로 변경된 경우에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가 クジラ일 때의 예문 및 번역문(도 34에 도시한 것)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예문 및 번역문을, 후보 단어가 결정된 시점에서 변경하도록 하면, 화면의 깜박거림이 줄어들어 화면이 보기 쉬워진다. 한편, 표시되는 예문 및 번역문을, 선택되어 있는 후보 단어의 변경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하면, 유저는, 변경 후의 번역문을 안 후에 후보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단어로 교체시킬 때에, 가변부의 전후의 단어에 맞추어, 필요가 있으면 교체시키는 단어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日本で{VB_BUY1+v.kanou}ないバッグはどれですか?」라는 카테고리문의 가변부를 「買う」라는 단어로 교체시키는 경우에는, 카테고리문의 "+v.kanou"(가능 표현 지정)의 부분에 기초하여, 「買う」를 「買え」로 변형하여 교체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예문은 올바른 체제가 된다.
한편,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의 표시일 때에는 변형 후의 단어가 아니라 변형 전의 단어를 표시한다. 즉, 번역문 출력부(446)는, 예를 들어 「買え」 「行け」가 아니라 「買う」 「行く」를 후보 단어로서 표시한다. 이에 의해, 후보 단어의 표시를 위한 처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후보 단어의 표시가 사전적이며 자연스러운 것으로 된다.
물론, 후보 단어를 기본형으로 표시하고 있어도, 가변부의 교체 결과의 문장에 있어서는 교체되는 단어는 적절한 형태로 변형된다. 예로서, 「 」의 가변부 「行く」(가능, 연용형의 지정 있음)의 교체를 든다. 교체 후보 「する」가 선택된 경우, 교체 결과는 「 」으로 된다. 교체 결과는 「するません」 혹은 「しません」으로 되지는 않는다.
그런데, 가변부 중에는, 교체 가능한 단어의 문자종이 한정되고, 또한, 교체 후보로부터 선택하는 것보다도 유저가 입력하는 쪽이 현실적인 것이 있다. 예를 들어, 금액, 우편 번호 등 숫자의 가변부나, 라벨, 에리어 표시 등 영문자의 가변부이다. 이러한 가변부가 변경 대상으로서 선택된 경우, 번역문 출력부(446)는, 문자의 입력 모드가 복수 있는 경우, 문자의 입력 모드를 가변부에 입력 가능한 문자종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여기에서, 문자의 입력 모드라 함은, 임의의 키를 눌렀을 때에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를 정하는 설정이다. 복수의 문자의 입력 모드가 있는 경우, 유저는, 입력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1개의 키에 의해 복수 종류의 문자(히라가나, 알파벳,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이 동작에 대해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7은, 숫자의 가변부가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단어 교체 화면(17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710)을 표시할 때에 번역문 출력부(446)는, 입력 모드를 숫자 입력으로 전환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수기 패드(120)에 10키를 표시시켜 숫자 입력을 접수하도록 한다. 숫자 입력의 접수 후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된 가변부를 입력된 숫자로 교체시킨 예문과, 그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한다.
도 38은, 숫자의 가변부가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단어 교체 화면(18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 교체 화면(1810)을 표시할 때에 번역문 출력부(446)는, 입력 모드를 숫자 입력으로 전환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수기 패드(120)에 10키를 표시시켜, 숫자 입력을 접수하도록 한다. 숫자 입력의 접수 후,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된 가변부를 입력된 숫자로 교체시킨 예문과, 그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한다.
또한, 날짜나 월명 등 교체시킬 수 있는 문자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는 가변부가 선택된 경우,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된 가변부에 대응한 단어 교체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이 단어 교체 화면의 표시시에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된 가변부를 교체 가능하지 않은 문자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다.
도 39에, 선택된 가변부에 대응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9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도 39에 도시한 단어 교체 화면(1910)에서는, 가변부 「MM月」이 선택되어 있다. 가변부 「MM月」은, 월명으로 교체 가능한 가변부이다. 단어 교체 화면(1910)에는, 가변부 「MM月」을 교체 가능한 단어(1월, 2월, …)가 표시되고, 유저는 표시되어 있는 단어 중에서 1개의 단어를 선택한다.
혹은, 유저는, 숫자를 입력하여 가변부 「MM月」을 교체시키는 월명을 지정할 수도 있다. 단, 「13」 등의 숫자를 입력해도 월명을 지정할 수는 없다. 월명에 대응하지 않는 숫자가 입력된 경우, 번역문 출력부(446)는, 그러한 숫자의 입력은 부적절한 취지를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여, 입력된 숫자를 무효로 한다.
(단어 교체 화면의 변형예)
단어 교체 화면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용이하게 가변부의 단어를 교체시킬 수 있도록, 번역문 출력부(446)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단어 교체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해도 된다.
제1 변형예로서,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를 표기순으로 배열한 단어 교체 화면을 작성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위치의 문자의 표기가 공통되는 단어를 통합하여 표시한 단어 교체 화면을 작성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에 의한 단어의 배열 방법에 대해,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에 나타내어진 각 단어는, 일본어의 한자로 구성된다. 도 40의 가장 좌측열의 단어는, 표기순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읽기순으로 배열되어 있음). 도 40의 중앙열의 단어는, 단어의 선두 문자의 표기 「素」 「酢」 「姿」 등의 특징에 의해 조리 방법이 분류 표시되어 있고, 한편, 도 40의 가장 우측열의 단어는, 단어의 마지막 문자의 표기 「揚」 「煮」 「」 등의 특징에 의해 조리 방법이 분류 표시되어 있다. 중앙열이나 가장 우측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어가 표기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유저는 유사 단어의 파악을 하기 쉽다. 또한, 특히, 최후 문자의 표기에 의해 분류하면, XYZ 호텔, ABC 회사와 같이, 동일한 카테고리의 단어가 통합되어 표시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유저는 카테고리의 파악을 하기 쉬워진다.
제2 변형예로서, 번역문 출력부(446)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를 구분순으로 배열한 단어 교체 화면을 작성할 수 있다. 즉, 구분이 공통되는 단어를 통합하여 표시한 단어 교체 화면을 작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어의 구분은, 미리 기억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전(423)에, 각 단어와 대응시켜 각 단어의 구분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구분은, 카테고리를 더 자세하게 분류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분을 설정해 둠으로써, 카테고리로 지정되어 있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를 더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구분 데이터로서 단어의 빈도나 중요도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에 의한 단어의 배열 방법에 대해,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1에 나타내어진 각 단어는, 일본어의 한자 혹은 카다카나로 구성된다. 좌측열에 나타낸 단어는, 읽기에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우측열에 나타낸 단어는, 전반이 「직업명으로 나타내는 사람」, 후반이 「가족 관계로 나타내는 사람」으로 구분에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우측열과 같이 단어가 나타내어져 있으면, 유저는 카테고리의 파악을 하기 쉽다. 읽기순의 표시에서는, 원하는 단어가 완전히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찾기 쉽지만, 제2 변형예에 관한 표시에서는, 유저는, 단어의 구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단어의 의미나 개념으로부터 목적의 단어를 확정하기 쉽다.
여기에서, 기본적인 표시와 제1 변형예, 제2 변형예를 유저의 지정으로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면 자유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제3 변형예로서,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를 그루핑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3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선택된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선두의 소정의 수의 문자가 공통되는 단어를 1개의 대표 표시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제3 변형예에 관한 단어의 표시예를 도 42a 및 도 42b에 나타낸다. 도 42a는, 선두 3 문자가 공통되는 단어가 그루핑되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2a의 좌측에 표시된 "+"가 선두에 부여되고, 최후에 "..."가 부여된 문자열(ニ―ス, ニ―ダ 등)은 그루핑된 복수의 단어의 대표 표시이다. 대표 표시가 선택되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대표 표시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어를 표시한다. 또한, 소정의 수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면, 번역문 출력부(446)는, 그루핑을 전개하여,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단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형태는, 단어를 화면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유효하다. 예를 들어,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수가 화면에 표시 가능한 수를 초과한 경우에, 이러한 그루핑 표시를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그루핑 표시에 따르면, 유저가, 원하는 단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단어수가 많을 때에는, 이 표시는 유리하다.
도 42b는, 도 42a의 표시에 부가하여, 대표 표시의 우측에 대표 표시에 대응하는 단어수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표시에 따르면, 대표 표시를 선택했지만 대응하는 단어가 거의 없거나, 혹은 지나치게 많은 등의 일이 없게 되어, 유저는 원하는 단어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제4 변형예로서, 단어 교체 화면에 있어서, 각 가변부에 대응시켜, 각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의 수를 표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단어 교체 화면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표시하는 예문에 포함되는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의 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 및 사전(423)에 기초하여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에 기초하여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의 카테고리를 취득한다. 그리고, 번역문 출력부(446)는, 취득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어를 사전(423)으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단어의 총수를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의 수로서 구한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사전(423) 대신에 인덱스 데이터(424)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각 카테고리와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어를 대응시킨 데이터가 기억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번역문 출력부(446)는, 사전(423) 대신에 그 데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제4 변형예에 관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도 43에 나타낸다. 도 43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도 43을 참조하여, 단어 교체 화면에 표시되는 각 가변부의 단어의 좌측에는, 각 가변부를 교체 가능한 단어의 수가 표시된다. 교체 전에 후보수를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예문의 변형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
제5 변형예로서, 교체 단어의 참고 정보로서, 교체 단어의 번역어를 동시 표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 변형예에 관한 번역문 출력부(446)는, 교체 단어의 후보의 표시시에, 후보 단어의 번역어를 사전(423)으로부터 검색하여 후보 단어와 함께 표시한다.
제5 변형예에 관한 단어 교체 화면의 일례를 도 44에 나타낸다. 도 44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첫 번째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 중 두 번째 문장은 영어(제2 언어)이다.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2)의 하방에 표시되는 후보 단어 에리어(1513)에 있어서는, 좌측부에 열거되는 단어는 일본어(제1 언어)이고, 중앙부에 열거되는 단어는 영어(제2 언어)이고, 우측부에 열거되는 단어는 중국어(제3 언어)이다.
도 44를 참조하여, 후보 단어(제1 언어인 일본어) 옆에, 후보 단어에 대응하는 영어(제2 언어) 및 중국어(제3 언어)가 표시된다. 교체 전에 번역어를 미리 앎으로써, 유저는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가변부의 단어를 교체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번역어가 동일하다는 사태(이러한 사태는, 예를 들어, 도 44에 나타낸 예에서, 영어로의 번역시에 「」를 「もろい」로 교체시켰을 때에 일어남)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능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를 단어 메모 첨부 학습 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각 변형예는, 단독으로 실시해도 되고,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이들 변형예에 따르면, 유저는, 가변부의 단어를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단어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7) 등록 예문의 선택
등록 예문의 선택에 대해, 도 4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5는,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단어장의 기능에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 및 화면의 천이, 및 수기 패드(12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에 있어서는, 등록 예문 리스트 표시란(5214) 중의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단어장을 보기 위한 조작이 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단어장의 리스트 화면에 있어서, 리스트 중 「회화 어시스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검색/결정 키(306)가 조작됨으로써 「회화 어시스트」가 선택되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단어장 화면(5210)을 표시한다.
도 45를 참조하여, 단어장 화면(5210)은, 타이틀(5212)과, 등록 예문 리스트 표시란(521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어장」이라 함은, 유저가 취득한 예문ㆍ번역문 및 번역 사전 데이터를 보존해 두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26의 수기 패드에서 「단어장에 기록」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에 의해 유저가 의도적으로, 취득한 예문ㆍ번역문을 유지해 두고, 나중에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타이틀(5212)은, 현재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명, 즉 「회화 어시스트」를 나타낸다. 등록 예문 리스트 표시란(5214)에는,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기억부(42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예문 검색 결과가 판독되고, 판독된 예문 검색 결과의 등록 예문 각각의 문두에 리스트 번호가 부여되어, 등록 예문의 리스트로서 표시된다.
도 45에 도시한 단어장 화면(5210)의 등록 예문 리스트 표시란(5214)에는, 「1」부터 「3」까지의 리스트 번호가 각각 부여된 등록 예문이 리스트 표시되어 있다.
단어장 화면(5210)의 표시시에 리스트 번호를 나타내는 문자 키(302)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그 리스트 번호의 등록 예문의 1건 표시 화면(52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이 1건 표시 화면(5220)은, 도 26에서 설명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과 마찬가지이다. 도 45에 있어서는,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첫 번째 문장(5224)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그리고, 회화문 표시 에리어(1511) 중 두 번째 문장(5225)은 영어(제2 언어)이다.
단어장 화면(521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도 20에서 설명한 초기 화면(10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1건 표시 화면(522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단어장 화면(5210)을 디스플레이(130)에 재표시한다.
(8) 이력 예문의 선택
이력 예문의 선택에 대해, 도 4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6은,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이력 예문의 기능에서,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 및 화면의 천이, 및 수기 패드(12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에 있어서는, 이력 예문 리스트 표시란(5314) 중의 문장은 일본어(제1 언어)이다. 여기에서 「이력 예문」이라 함은, 유저가 취득한 예문ㆍ번역문 및 번역 사전 데이터를 보존해 두는 기능을 의미한다. 전술한 「단어장」과의 차이는, 유저가 취득한 예문ㆍ번역문을 회화 어시스트 장치가 자동적으로 유지해 두는 점이다. 자동적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유저가 의도적으로 보존을 해 두지 않아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취득한 예문ㆍ번역문의 기록을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이력 예문을 보기 위한 조작이 되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이력 예문 화면(5310)을 표시한다.
도 46을 참조하여, 이력 예문 화면(5310)은, 타이틀(5312)과, 이력 예문 리스트 표시란(5314)을 포함한다.
타이틀(5312)은, 현재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명, 즉 「회화 어시스트」와,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명칭, 즉 「이력 예문」을 나타낸다. 이력 예문 리스트 표시란(5314)에는,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기억부(42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예문 검색 결과가 판독되고, 판독된 예문 검색 결과의 이력 예문 각각의 문두에 리스트 번호가 부여되어, 이력 예문의 리스트로서 표시된다.
도 46에 도시한 이력 예문 화면(5310)의 이력 예문 리스트 표시란(5314)에는, 「1」부터 「3」까지의 리스트 번호가 각각 부여된 이력 예문이 리스트 표시되어 있다.
이력 예문 화면(5310)의 표시시에 리스트 번호를 나타내는 문자 키(302), 또는 리스트 번호가 선택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그 리스트 번호의 이력 예문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이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은, 도 31에서 설명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과 마찬가지이다.
이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의 표시시, 및 이력 예문 화면(5310)의 표시시에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눌러지면, 처리부(440)는, 도 13에서 설명한 초기 화면(1020)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4. 키워드의 고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키워드 입력, 혹은 키워드 입력에 따른 결과 표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고안을 행하고 있다.
(i) 읽기의 변형의 추가
(ii) 다의어 엔트리에의 보충 설명
(iii) 문말 표현을 키워드화
(iv) 키워드의 분할
이하, 이들 고안에 대해 설명한다.
(i) 읽기의 변형의 추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1개의 키워드에 대해 복수의 읽기를 할당한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저가 입력하는 읽기의 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 데이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템플릿(500a)의 키워드(580)는, 이 템플릿(500a)에, 카테고리문의 4개의 가변부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키워드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n 가변부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n:(키워드의 표기)=(문자 입력(일본어 입력))」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키워드(580)에 포함되어 있는 또 1개의 키워드 「ですか」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키워드의 표기는, 각 키워드에 대해 1개 할당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각각 「日本」 「買う」 「バッグ」 「どれ」라는 표기를 갖는 4개의 키워드를 나타내고 있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키워드 선택 처리시에 문자 입력에 나타내어진 문자열이 입력되면, 그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의 변형을 복수 갖는 키워드에 대해서는 복수의 문자열이 문자 입력으로서 할당된다. 예를 들어, 표기가 「日本」인 키워드에는, 「日本」의 읽기인 「にっぽん」과 「にほん」이라는 2개의 문자열이 문자 입력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이 데이터 구조에 의해, 예문 선택부(444)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많은 예문을 표시부(462)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유저가 의도한 키워드에 관한 예문을 표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1개의 키워드에 1개의 문자열만을 대응시킨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입력한 문자열이 키워드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열과 조금이라도 상이하면, 유저가 의도한 예문을 검색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이러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문자열이 입력되었을 때의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템플릿(500)에 포함되는 키워드(580)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템플릿(500)에 기초하여 작성된 인덱스 데이터(424)를 사용하여 예문을 검색한다.
키워드 선택부(442)는, 입력부(410)가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면, 입력된 문자열에 일치하는 일본어 입력(612)을 갖는 키워드의 표기(614)를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에 기초하여 취득한다.
예문 선택부(444)는, 키워드 선택부(442)가 취득한 표기(614)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번호(616)를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425)에 기초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카테고리 번호(616)에 대응하는 템플릿 번호(510)를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426)에 기초하여 취득한다.
템플릿 번호(510)의 취득 후의 처리부(440)의 동작은, 다른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예문 선택부(444)는, 취득한 템플릿 번호(510)를 갖는 템플릿(500)을 검색하고, 검색한 템플릿(500)에 의해 지정되는 예문(일본어)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번역문 출력부(446)는, 표시된 예문 중에서 선택된 예문의 번역문(영어 또는 중국어)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템플릿(500)의 키워드(580)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덱스 데이터(424)를 사용하는 것은, 검색의 고속화를 위해서이다. 단,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키워드(580)를 직접 사용하여 예문을 검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예문 선택부(444)는, 입력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 입력을 갖는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템플릿(500)을 취득한다. 그리고, 예문 선택부(444)는, 취득한 템플릿(500)에 기초하여, 예문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또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본어의 문자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기가 일본어 키워드에 대해, 로마자 입력을 문자 입력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몇 개 나타낸다.
예 1은, 표기가 「ウィンドウ」인 키워드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문자열 「うぃんどう」 「ういんどう」 「wiNdo:」 「uiNdou」중 어느 것이 입력된 경우에도, 예문 선택부(444)는, 표기가 「ウィンドウ」의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템플릿(500)을 추출한다. 예 2, 예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히라가나 입력 혹은 카다카나 입력 중 어느 것을 행해도,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도록 「バス = ばす;バス = basu;basu」 등의 문자 입력을 설정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의 설정의 고안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에 따라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에 대응시켜진 콘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일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사전에도 응용 가능하다. 전자 사전의 경우, 어구의 색인어가 키워드에 상당하고, 어구의 의미 데이터가 콘텐츠에 상당한다.
(ii) 다의어 엔트리에의 보충 설명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키워드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유저가 적절한 키워드를 선택하기 쉬워지도록, 필요에 따라서 키워드의 표기에 보충 설명을 추가하여 키워드를 나타낸다.
보충 설명은, 표기가 공통되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복수의 키워드의 각각에 고유하게 설정되는 문자열이다. 표기가 공통되는 키워드에 설정되는 문자열은, 키워드의 구별 때문에 서로 상이하다.
보충 설명의 문자열로서는, 유저가 적절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것을 돕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여러 종류의 보충 설명 및 그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a) 의미의 차이에 의한 보충 설명
표기가 공통되기는 하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키워드에 대해서는, 각 키워드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보충 설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는, 일본어(제1 언어)의 카타카나 표기가 동일하며, 한자 표시가 서로 다른, 즉 의미가 서로 다른 단어가 열거되어 있다. 즉, 각각에 대응하는 영어(제2 언어)는 서로 다르다. 각각에 대응하는 중국어(제3 언어)도 서로 다르다.
상기 예에서 나타내고 있는 내용은,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색인):키워드의 표기=키워드의 문자 입력(읽기)=키워드의 문자 입력[키워드의 영어 표기(영역, 즉 제2 언어에 있어서의 번역어)/키워드의 중국어 표기(중국어역, 즉 제3 언어에 있어서의 번역어)]이다. 이 예에서는, (물고기)(탈것)(목욕)이라는 보충 설명에 의해 키워드를 구별하고 있다.
특히, 일본어에서는 구별되지 않지만, 외국어에서는 구별되는 단어의 일본어 표기에 있어서, 의미의 세분류를 보충 설명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
일본어에서는, 「いとこ」라는 단어로 통합되는 개념이, 각각 중국어에서는 서로 다른 단어로 구별된다. 따라서, 일본어 표기에 부가하여, 번역어에 대응하는 의미의 세분류를 나타내는 보충 설명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적절한 키워드를 선택하기 쉬워진다.
특히, 회화 어시스트에서는, 1개의 원어(일본어) 표기에 대해 각 외국어 표기는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가변부의 후보 단어가 선택되었을 때에, 번역문의 단어를 바로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1개의 단어에 대해 복수의 의미나 번역어를 표시하는 사전과는 달리, 회화 어시스트에서는, 이와 같이 원어 표기 표시의 단계에서, 단어를 자세하게 구별해 두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 용법의 차이로 보충 설명
용법의 차이에 의한 보충 설명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서는, 일본어(제1 언어)의 히라가나 표기가 동일하며, 대응하는 한자 표시가 없고, 사용되는 상황이 서로 다른 단어가 열거되어 있다. 즉, 각각에 대응하는 영어(제2 언어)는 서로 다르다. 각각에 대응하는 중국어(제3 언어)도 서로 다르다.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특히, 회화 어시스트에서는, 이와 같이 원어 표기 표시의 단계에서, 단어를 자세하게 구별해 두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c) 이용 신의 차이로 보충 설명
이용 신의 차이에 의한 보충 설명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표 3에서는, 일본어(제1 언어)의 카타카나 표기가 동일하며, 대응하는 한자 표시가 없고, 사용되는 상황이 서로 다른 단어가 열거되어 있다. 즉, 각각에 대응하는 영어(제2 언어)는 서로 다르다. 각각에 대응하는 중국어(제3 언어)도 서로 다르다.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특히, 회화 어시스트에서는, 이와 같이 원어 표기 표시의 단계에서, 단어를 자세하게 구별해 두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d) 표기로 보충 설명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표기 이외의 표기에 의해 구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설정되어 있는 표기 이외의 표기를 보충 설명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표 4에서는, 일본어(제1 언어)의 카타카나 표기가 동일하며, 대응하는 한자 표시가 서로 다른 단어가 열거되어 있다. 즉, 각각에 대응하는 영어(제2 언어)는 서로 다르다. 각각에 대응하는 중국어(제3 언어)도 서로 다르다.
일본어와 같이 1개의 단어가 복수의 표기를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이러한 보충 설명을 이용할 수 있다.
e) 읽기로 보충 설명
d)의 변형예로서, 키워드의 읽기를 보충 설명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통상의 사전에서는, 읽기가 상이한 복수의 키워드가 동시에 표시되는 것은 드물다. 그러나, 가변부의 후보 단어의 표시시에는 이러한 일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읽기에 의한 구별이 유효해지는 것이 있다. 읽기에 의한 보충 설명에 관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 1)
(예 2)
특히, 예 2와 같이, 일본인명 등에서 로마자 표기가 서로 다른 경우에, 이 구별은 유효하다.
(iii) 문말 표현을 키워드화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는, 템플릿(500)의 키워드(580)에, 템플릿(500)의 카테고리문의 문말 패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키워드의 설정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템플릿(500)의 카테고리문의 문말 패턴을 해석하여 행해도 되고, 미리 템플릿(500)에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문말 패턴이라 함은, 문장의 종류(소망, 의뢰, 부정, 의문, 등...)를 결정하는 표현이다. 일본어에서는, 문말의 표현이 문장의 종류에 대응하므로,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는 표현을 편의적으로 이와 같이 부른다. 단, 문말 표현 이외의 표현으로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는 언어도 있다. 이러한 언어의 문장에 대해서는, 문장의 종류를 소정의 기준으로 판단하여, 문장의 종류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부여하면 된다. 예를 들어, 영어이면, "Please", "Would you ...?"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의뢰문이라고 판단한다.
문말 패턴과 설정되는 키워드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이것은 일례이며, 키워드(580)에 설정되는 키워드는, 여기에 나타낸 것과는 서로 다른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정해진 것이어도 된다.
[문말 패턴]
이하의 예에 있어서는, |의 우측에 문말 표현을, |의 좌측에 문말 표현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각각 나타낸다.
이 키워드를 사용함으로써, 유저는, 검색 대상의 예문의 종류를 좁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行く" + "ください/頂けますか(의뢰)」나 「"行く" + "ない/ません(부정)」의 조합을 지정함으로써 검색 대상의 예문을 좁힐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특정한 문말 패턴의 각각을 포함하는 예문과 예문에 부여되는 키워드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 JD를 첫머리에 부여한 문장은 대표 단어문(일본어)(520)이다. JP를 첫머리에 부여한 문장은 카테고리문(일본어)(530)이다. ED를 첫머리에 부여한 문장은 대표 단어문(영어)(540)이다. EN을 첫머리에 부여한 문장은 카테고리문(영어)(550)이다. BK를 첫머리에 부여한 문자열은 키워드(580)의 기재이다.
이하에서는, JD, JP, BK에 대응하는 문자는 일본어(제1 언어)이다. ED, EN에 대응하는 문자는 영어(제2 언어)이다.
(예 1)
(예 2)
(예 3)
(예 4)
(예 5)
(예 6)
(예 7)
(예 8)
(예 9)
(예 10)
(예 11)
(예 12)
(iv) 키워드의 분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있어서는, 「분할 키워드 지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키워드가 있다. 분할 키워드 지정된 키워드에는,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이 대응시켜지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이 모두 입력되면, 처리부(440)는, 입력된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에 "분할 키워드" 지정을 해 둠으로써, 키워드의 일부가 검색의 키워드로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키워드가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문자 입력을 추가 입력하면, 본래의 키워드 혹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예문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키워드 설정되어 있는 키워드를 생각한다.
(예)
이 키워드 「」은, 「日本」과 「」이라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부분에 대응하여, 부분 문자 입력 「にほん」 「たいしかん」, 혹은 「nihoN」 「taishikaN」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키워드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도 상관없다.
유저는, 문자 입력 「にほん」 혹은 「nihoN」에 의해 키워드 「일본」을 지정한 후, 문자 입력 「たいしかん」 혹은 「taishikaN」에 의해 키워드 「」을 지정하면, 이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반대로, 유저는, 「」을 지정한 후 「日本」을 지정해도, 이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처음부터 「にほんたいしかん」 혹은 「nihoNtaishikaN」이라고 입력하지 않아도 키워드 「」을 검색할 수 있다.
특히, 긴 키워드, 혹은 검색에 있어서 유저가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어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것이 상정되는 키워드에 대해, 분할 키워드 지정을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런데, 부분 문자 입력은, 분할 전의 문자 입력을 단순히 분할한 것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시켜, 부분 문자 입력의 설정을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고안한 부분 문자 입력의 설정의 구체예를 든다.
a) 탁음|반탁음 ⇒ 청음
다른 단어와의 결합에 의해 탁음 혹은 반탁음이 되어 있는 단어가, 분할에 의해 청음으로 복귀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시켜, 부분 문자 입력에 변형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 1)
「予約」과 「係り」를 나누어 입력하는 경우, 유저는 「係り」의 부분을 「かかり」라고 입력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키워드 설정을 행한다.
단순히,
로 분할 키워드 지정한 것으로는 상기 상황에 대응할 수 없다.
(예 2)
(예 3)
b) 음독 ⇒ 훈독
조합되는 다른 단어의 종류에 의해, 읽기가 음독 혹은 훈독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어 있는 단어는, 분할 입력의 경우에는 음독 혹은 훈독 중 어느 것이어도 입력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시켜, 부분 문자 입력에 변형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 1)
단순히,
(예 2)
(예 3)
c) 접미사 ⇒ 명사
유저는, 키워드의 일부분 대신에, 그 부분과 마찬가지의 의미를 갖는 다른 단어를 입력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시켜, 부분 문자 입력에 변형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 1)
단순히,
로는 하지 않는다.
(예 2)
(예 3)
d) 「~ない」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정의 「ない」를 키워드의 일부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あまり(단어) ない」라는 키워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키워드에 있어서, 「ない」 앞에 있는 단어는, 분할 전과 분할 후로 형태가 바뀐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시켜, 부분 문자 입력에 변형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 1)
단순히,
로는 하지 않는다.
(예 2)
문장 중에는, 「」 등 복수의 동사를 겹친 표현이 포함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문장을, 「行く//いる/みる」 등의 보조적인 동사도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行く//いる/みる」 등도 분할 키워드로 한다. 이하에, 예를 나타낸다.
(예 1)
이 예에서는, 「步いて」의 부분에 변형을 갖게 하고 있다. 「步いて行く:步いて/行く = あるいて/いく;ゆく = aruite/iku;yuku」로는 하고 있지 않다.
(예 2)
e)와는 달리, 「行く//いる/みる」 등을 키워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行く//いる/みる」 등을 분할 키워드로는 하지 않는다. 이하에, 예를 나타낸다.
(예 1)
이것은, 「閉店している:閉店している = へいてんしている = heiteNshiteiru」라는 키워드에, 분할 지정을 추가한 것이다.
이 키워드를,
와 같이 분할할 수도 있다. 이 분할에 따르면, 「閉店」과 「いる」라는 단어로부터, 이 키워드가 검색된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의 「いる」는 「…하고 있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 동사이다. 한편, 「いる」는, 「존재한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본동사로서 사용되는 일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いる」를 키워드의 일부로 하면, 본동사로서 「いる」를 사용하고 있는 예문을 검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예 2)
이 키워드를,
와 같이 분할할 수도 있다. 이 분할에 따르면, 「」와 「みる」라는 단어로부터, 이 키워드가 검색된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みる」를 키워드의 일부로 하면, 본동사로서(즉 「見る」의 의미에서) 「みる」를 사용하고 있는 예문을 검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5. 처리의 흐름)
이하,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7을 참조하여,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 후, 스텝 S10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언어 모드 중에서 1개의 언어 모드를 선택ㆍ결정한다.
단,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가 취급하는 언어 모드가 1개밖에 없는 경우(예를 들어,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모드 등), 처리부(440)는, 회화 어시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의 개시 후, 스텝 S101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103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정의 키워드 중에서 1개의 선택 키워드를 결정한다. 선택 키워드의 결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8에서 설명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103에 있어서 결정된 선택 키워드에 관련되는 템플릿(500)을 검색한다. 그리고, 처리부(440)는, 검색된 템플릿(500) 중의 제1 언어(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본어)의 예문을 예문 후보로서 표시한다. 예문 후보의 표시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0에서 설명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키워드의 추가 지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워드의 추가 지시에는, 수기 패드(120)에의 입력과, 문장 리스트 표시 화면 표시 중의 우측 키(304c)의 누름이 포함된다.
입력부(410)가 추가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6에 있어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스텝 S103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처리부(440)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추가 키워드를 확정한다. 또한, 처리부(440)는, 스텝 S105에 있어서, 키워드 추가 전에 결정되어 있었던 키워드 및 추가 키워드에 관련되는 예문 후보를 표시한다.
입력부(410)가 추가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6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스텝 S107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되어 있는 후보 문장 중에서 1개의 예문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440)는, 상측 키(304a), 하측 키(304b) 등의 입력 및 검색/결정 키(306)의 입력에 따라서 1개의 예문을 선택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107에 있어서 선택된 예문 및 선택된 예문의 번역문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440)는, 선택된 예문 및 선택된 예문의 번역문을 표시하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시킨다. 또한, 처리부(440)는,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의 표시 중에 음성 키(318)가 눌러지면, 번역문을 스피커(140)로 음성 출력시킨다.
스텝 S11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이력 예문 관리 처리를 실행한다. 이력 예문 관리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1에서 설명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가변부의 교체 지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가변부의 교체 지시에는, 문자 키(302)의 누름과, 터치 패널에의 단어 교체 지시가 포함된다.
입력부(410)가 가변부의 교체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단하면(스텝 S113에 있어서 "예"), 처리부(440)는, 스텝 S115에 있어서, 입력부(410)가 접수하는 지시에 기초하여, 가변부를 교체시킨 예문 및 번역문을 작성하여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440)는, 지시에 기초하여 단어를 교체시키는 가변부를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부(440)는, 지시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어로 예문의 선택된 가변부를 교체시켜, 교체 후의 예문을 작성한다. 또한, 처리부(440)는, 번역문에 있어서의 예문의 선택된 가변부에 대응하는 가변부를, 결정된 단어의 번역어로 교체시켜, 교체 후의 번역문을 작성한다.
스텝 S117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의 수기 패드(120)에 표시된 「단어장에 등록」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어장에 등록」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7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실행하는 처리를 스텝 S121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어장에 등록」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7에 있어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19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등록 예문 관리 처리를 실행한다. 등록 예문 관리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2에서 설명한다.
스텝 S12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지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지시에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키의 누름, 혹은 전원 키의 누름이 있다.
입력부(410)가 종료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에 있어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회화 어시스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력부(410)가 종료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스텝 S113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48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선택 키워드 결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8을 참조하여, 스텝 S20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문자 입력 지시를 입력부(410)로부터 수취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201에 있어서 취득한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예측 단어를 예측 키워드 리스트(428) 중에서 검색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203에 있어서 검색된 예측 단어를 키워드 후보로서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스텝 S205의 상세에 대해, 도 49를 참조하여 설명해 둔다. 도 49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키워드 후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9를 참조하여, 스텝 S30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키워드 후보의 선택 지시를 입력부(410)로부터 수취한다. 선택 지시라 함은, 구체적으로는, 상측 키(304a)나, 하측 키(304b) 등의 누름에 따른 지시이다.
스텝 S30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301에 있어서 접수한 선택 지시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예측 단어에 관련되는 예문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440)는, 인덱스 데이터(424)에 기초하여 선택된 예측 단어에 관련되어 있는 템플릿 번호(510)를 취득한다. 그리고, 처리부(440)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취득한 템플릿 번호(510)를 갖는 템플릿(500)을 검색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키워드 후보, 및 스텝 S301에서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되어 있는 예측 단어에 관련되는 예문을 배열한 예문 프리뷰를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부(440)는, 스텝 S303에 있어서 검색한 템플릿(500)의 대표 단어문(일본어)(520)을 예문 프리뷰에 표시한다. 또한, 처리부(440)는, 선택되어 있는 예측 단어에 가변부를 교체시킨 예문을 예문 프리뷰에 표시해도 된다.
스텝 S305의 처리 후,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이 키워드 후보 표시 처리의 호출원의 처리로 복귀시킨다.
다시 도 48을 참조하여, 처리부(440)는, 스텝 S207에 있어서, 입력부(410)가 키워드의 결정 지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440)는, 검색/결정 키(306)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410)가 키워드의 결정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7에 있어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결정 지시의 접수시에 선택되어 있는 키워드를 선택 키워드로 결정한다. 그리고,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이 선택 키워드 결정 처리의 호출원의 처리로 복귀시킨다.
한편, 입력부(410)가 키워드의 결정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7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스텝 S2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50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예문 후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0을 참조하여, 스텝 S40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103에 있어서 결정된 선택 키워드에 관련되는 예문을 검색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예문의 선택 지시를 입력부(41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선택 지시가 없는 경우는, 처리부(440)는, 디폴트의 예문(예를 들어, 검색 결과 중 선두의 예문)을 선택하는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간주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403에서 접수한 선택 지시에 의해 지정되는 예문의 번역문을 템플릿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검색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스텝 S401의 검색 결과를 예문 후보로서 표시한다. 또한, 처리부(440)는, 스텝 S405에 있어서 검색된 번역문을 번역문 프리뷰로서 표시한다.
도 51은,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이력 예문 관리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1을 참조하여, 스텝 S5812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표시 중의 예문의 입력 키워드, 예문, 번역문, 문장 번호, 가변부 개수, 가변부의 단어(가변부마다의 단어수, 가변부마다의 단어를 나타내는 단어 번호 및 문자열)를 이력 예문 정보(432)로서 기억부(420)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스텝 S582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이력 예문을 표시하는 것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력 예문을 표시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821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이 이력 예문 관리 처리의 호출원의 처리로 복귀시킨다.
한편, 이력 예문을 표시하는 것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821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5822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기억부(420)로부터, 이력 예문 정보(432)의 예문 검색 결과를 이력 예문으로서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582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판독된 이력 예문 정보(432)의 이력 예문의 리스트를, 이력 예문을 선택 가능하도록, 도 46의 이력 예문 화면(53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이력 예문의 표시에 관한 지시는, 도시하지 않은 전용 호출 버튼 등을 사용하여 실현해도 된다.
계속해서, 스텝 S583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리스트 번호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리스트 번호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831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5832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선택된 리스트 번호의 이력 예문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을, 도 26의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583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도 26에서 도시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처리인 회화문 1건 표시 화면 처리를 실행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 처리에 있어서,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눌러져, 실행하는 처리가 본 처리로 복귀되면,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스텝 S5836으로 진행한다.
한편, 리스트 번호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831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5835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선택되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복귀 키(308) 및 클리어 키(310)가 어느 것도 선택되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83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스텝 S5831의 처리로 복귀시킨다.
한편,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835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스텝 S5836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5836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도 20에서 도시한 회화 어시스트의 초기 화면(1020)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 S5837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초기 화면(1020)에 있어서의 처리인 회화 어시스트 초기 화면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이력 예문 정보(432)에 기초하여, 가변부의 교체를 행함으로써, 유사한 다양한 예문을 용이하게 취득ㆍ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예문 정보(432)에 기억된 예문 검색 결과의 예문의 수가 1000, 각 예문에 포함되는 가변부의 수의 평균이 3, 가변부마다의 평균 후보수가 100이면, 1000×100×100×100=1,000,000,000의 예문을 얻을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2는,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에 의해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루틴으로서 실행되는 등록 예문 관리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2를 참조하여, 스텝 S5912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표시 중의 예문의 입력 키워드, 예문, 번역문, 문장 번호, 가변부 개수, 가변부의 단어(가변부마다의 단어수, 가변부마다의 단어를 나타내는 단어 번호 및 문자열)를 등록 예문 정보(430)로서 기억부(420)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스텝 S592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회화 어시스트 장치(100)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단어장의 리스트 화면에 있어서,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회화 어시스트」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921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이 등록 예문 관리 처리의 호출원의 처리로 복귀시킨다.
한편, 「회화 어시스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921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5922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기억부(420)로부터, 등록 예문 정보(430)의 예문 검색 결과를 등록 예문으로서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592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판독된 등록 예문 정보(430)의 등록 예문의 리스트를, 등록 예문을 선택 가능하도록, 도 45의 단어장 화면(52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스텝 S5931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입력부(410)가 접수한 지시에 기초하여 리스트 번호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리스트 번호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931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5932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선택된 리스트 번호의 등록 예문의 1건 표시 화면을, 도 45의 1건 표시 화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5933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도 26에서 도시한 회화문 1건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처리인 회화문 1건 표시 화면 처리를 실행한다. 회화문 1건 표시 화면 처리에 있어서,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눌러지고, 실행하는 처리가 본 처리로 복귀되면, 스텝 S5934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원래의 등록 예문의 리스트를, 도 45의 단어장 화면(52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62)에 재표시한다.
한편, 리스트 번호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931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및 스텝 S5934 후, 스텝 S5935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가 선택되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복귀 키(308) 및 클리어 키(310)가 어느 것도 선택되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93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스텝 S5931의 처리로 복귀시킨다.
한편, 복귀 키(308) 혹은 클리어 키(31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935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 처리부(440)는, 실행하는 처리를 스텝 S5936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5936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도 20에서 나타낸 회화 어시스트의 초기 화면(1020)을 표시부(462)에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 S5937에 있어서, 처리부(440)는, 초기 화면(1020)에 있어서의 처리인 회화 어시스트 초기 화면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등록 예문 정보(430)에 기초하여 가변부의 교체를 행할 수 있으므로, 유사한 예문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변부를 교체시키므로, 다양한 예문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예문 정보(430)에 기억된 예문 검색 결과의 예문의 수가 1000, 각 예문에 포함되는 가변부의 수의 평균이 3, 가변부마다의 평균 후보수가 100이면, 1000×100×100×100=1,000,000,000의 예문을 얻을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0: 회화 어시스트 장치
110: 입력 키
120: 수기 패드
130: 디스플레이
132: 표시 컨트롤러
140: 스피커
142: 음성 컨트롤러
172: 회화 어시스트 프로그램
180: 하드 디스크
210: 제1 하우징
220: 제2 하우징
230: 스타일러스 펜
302: 문자 키
304: 방향 키
304a: 상측 키
304b: 하측 키
304c: 우측 키
304d: 좌측 키
306: 결정 키
308: 복귀 키
310: 클리어 키
312: 후퇴 키
314: 회화 어시스트 키
316: 전환 키
318: 음성 키
320: 메뉴 키
322: 이전 페이지 키
324: 다음 페이지 키
410: 입력부
420: 기억부
422: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423: 사전
424: 인덱스 데이터
425: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
426: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
428: 예측 키워드 리스트
430: 등록 예문 정보
432: 이력 예문 정보
440: 처리부
442: 키워드 선택부
443: 예측 변환부
444: 예문 선택부
446: 번역문 출력부
448: 등록 예문 관리부
449: 이력 예문 관리부
460: 출력부
462: 표시부
464: 음성 출력부
500: 템플릿
510: 템플릿 번호
520: 대표 단어문
580: 키워드
612: 일본어 입력
614: 일본어 표기
616: 카테고리 번호
700: 카테고리 리스트
110: 입력 키
120: 수기 패드
130: 디스플레이
132: 표시 컨트롤러
140: 스피커
142: 음성 컨트롤러
172: 회화 어시스트 프로그램
180: 하드 디스크
210: 제1 하우징
220: 제2 하우징
230: 스타일러스 펜
302: 문자 키
304: 방향 키
304a: 상측 키
304b: 하측 키
304c: 우측 키
304d: 좌측 키
306: 결정 키
308: 복귀 키
310: 클리어 키
312: 후퇴 키
314: 회화 어시스트 키
316: 전환 키
318: 음성 키
320: 메뉴 키
322: 이전 페이지 키
324: 다음 페이지 키
410: 입력부
420: 기억부
422: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423: 사전
424: 인덱스 데이터
425: 키워드ㆍ카테고리 데이터
426: 카테고리ㆍ템플릿 데이터
428: 예측 키워드 리스트
430: 등록 예문 정보
432: 이력 예문 정보
440: 처리부
442: 키워드 선택부
443: 예측 변환부
444: 예문 선택부
446: 번역문 출력부
448: 등록 예문 관리부
449: 이력 예문 관리부
460: 출력부
462: 표시부
464: 음성 출력부
500: 템플릿
510: 템플릿 번호
520: 대표 단어문
580: 키워드
612: 일본어 입력
614: 일본어 표기
616: 카테고리 번호
700: 카테고리 리스트
Claims (11)
- 정보 처리 장치(100)로서,
문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410)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46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420)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키워드와,
각각이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1개에 대응시켜져 있는 복수의 콘텐츠와,
각 상기 키워드와 복수의 상기 문자 입력을 대응시킨 키워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상기 키워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부(410)가 접수한 상기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출력부(460)에 출력시키는 처리부(440)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콘텐츠는, 각 상기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 및 각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440)는, 추출된 상기 키워드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및 상기 설명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460)에 출력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데이터는 상기 키워드의 표기를 포함하고,
공통의 상기 표기를 갖는 복수의 상기 키워드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는, 각각 상기 키워드에 고유한 구별용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는, 제1 언어로 기술된 제1 언어 표기이며,
상기 설명 데이터는, 상기 제1 언어와 서로 다른 제2 언어로 상기 키워드를 표기한 제2 언어 표기이며,
상기 제1 언어 표기가 공통되고, 또한, 상기 제2 언어 표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키워드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는, 상기 제1 언어 표기 및 상기 구별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콘텐츠는, 제1 언어로 기술된 제1 예문과, 상기 제1 예문을 상기 제1 언어와는 서로 다른 제2 언어로 기술한 제2 예문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440)는,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예문 및 상기 제2 예문을 상기 출력부(460)에 출력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100).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제1 예문 및 상기 제2 예문의 문말 표현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는, 상기 키워드와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대응시키고 있고,
상기 처리부(440)는, 상기 입력부(410)가, 상기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모두 접수하면, 상기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출력부(460)에 출력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100). -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420)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문자 입력을 접수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키워드와,
각각이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1개에 대응시켜져 있는 복수의 콘텐츠와,
각 상기 키워드와 복수의 상기 문자 입력을 대응시킨 키워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키워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한 상기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콘텐츠는, 각 상기 키워드의 표시용 데이터 및 각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상기 키워드의 상기 표시용 데이터 및 상기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콘텐츠는, 제1 언어로 기술된 제1 예문과, 상기 제1 예문을 상기 제1 언어와는 서로 다른 제2 언어로 기술한 제2 예문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예문 및 상기 제2 예문을 출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는, 상기 키워드와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대응시키고 있고,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을 모두 접수하면, 상기 복수의 부분 문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92333 | 2008-07-25 | ||
JP2008192333A JP5791861B2 (ja) | 2008-07-25 | 2008-07-25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6846A true KR20110036846A (ko) | 2011-04-11 |
Family
ID=4157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4265A KR20110036846A (ko) | 2008-07-25 | 2009-07-23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600930B2 (ko) |
EP (1) | EP2312460A1 (ko) |
JP (1) | JP5791861B2 (ko) |
KR (1) | KR20110036846A (ko) |
CN (1) | CN102165437B (ko) |
WO (1) | WO20100109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77377B2 (en) | 2005-09-08 | 2014-03-18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US9318108B2 (en) | 2010-01-18 | 2016-04-19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US8977255B2 (en) | 2007-04-03 | 2015-03-10 | Apple Inc.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
US10002189B2 (en) | 2007-12-20 | 2018-06-19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using an active ontology |
US9330720B2 (en) | 2008-01-03 | 2016-05-03 | Apple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
US8996376B2 (en) | 2008-04-05 | 2015-03-31 | Apple Inc. |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
US20100030549A1 (en) | 2008-07-31 | 2010-02-04 | Lee Michael M |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
US8676904B2 (en) | 2008-10-02 | 2014-03-18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
US10706373B2 (en) | 2011-06-03 | 2020-07-07 | Apple Inc. | Performing actions associated with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
US10241752B2 (en) | 2011-09-30 | 2019-03-26 | Apple Inc. |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
US10241644B2 (en) | 2011-06-03 | 2019-03-26 | Apple Inc. | Actionable reminder entries |
US9431006B2 (en) | 2009-07-02 | 2016-08-30 | Apple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US10276170B2 (en) | 2010-01-18 | 2019-04-30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US8682667B2 (en) | 2010-02-25 | 2014-03-25 | Apple Inc. |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
US9262612B2 (en) | 2011-03-21 | 2016-02-16 | Apple Inc. |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
US10057736B2 (en) | 2011-06-03 | 2018-08-21 | Apple Inc. |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
JP5768561B2 (ja) * | 2011-07-26 | 2015-08-26 | 富士通株式会社 | 入力支援プログラム、入力支援装置、及び入力支援方法 |
JP5881847B2 (ja) * | 2011-12-13 | 2016-03-09 |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 メタデータをベースとした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による複数のメディアタイプのリアルタイムマッピング及びナビゲーション |
US10134385B2 (en) | 2012-03-02 | 2018-11-20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
US9280610B2 (en) | 2012-05-14 | 2016-03-08 | Apple Inc. |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
US10417037B2 (en) | 2012-05-15 | 2019-09-17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
US9721563B2 (en) | 2012-06-08 | 2017-08-01 | Apple Inc. | Name recognition system |
JP5962256B2 (ja) * | 2012-06-29 | 2016-08-03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入力支援装置及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
US9547647B2 (en) | 2012-09-19 | 2017-01-17 | Apple Inc. | Voice-based media searching |
JP2014089637A (ja) | 2012-10-31 | 2014-05-15 | International Business Maschines Corporation | 画像データ中の訳し分けされるべき単語又はフレーズに対応する訳語を決定する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JP6096489B2 (ja) * | 2012-11-30 | 2017-03-15 | 株式会社東芝 | 外国語文章作成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13470641B (zh) | 2013-02-07 | 2023-12-15 | 苹果公司 | 数字助理的语音触发器 |
US10652394B2 (en) | 2013-03-14 | 2020-05-12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
US11151899B2 (en) * | 2013-03-15 | 2021-10-19 | Apple Inc. | User training by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
US10748529B1 (en) | 2013-03-15 | 2020-08-18 | Apple Inc. |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
WO2014197334A2 (en) | 2013-06-07 | 2014-12-11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
WO2014197335A1 (en) | 2013-06-08 | 2014-12-11 | Apple Inc. |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
US10176167B2 (en) | 2013-06-09 | 2019-01-08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
KR101772152B1 (ko) | 2013-06-09 | 2017-08-28 | 애플 인크. |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CN105453026A (zh) | 2013-08-06 | 2016-03-30 | 苹果公司 | 基于来自远程设备的活动自动激活智能响应 |
JP6549563B2 (ja) * | 2013-09-30 | 2019-07-24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内容ベースの医療マクロのソート及び検索システム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US10296160B2 (en) | 2013-12-06 | 2019-05-21 | Apple Inc. | Method for extracting salient dialog usage from live data |
KR101576935B1 (ko) * | 2014-03-07 | 2015-12-21 | 네이버 주식회사 | 정답 키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US9430463B2 (en) | 2014-05-30 | 2016-08-30 | Apple Inc. |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US10170123B2 (en) | 2014-05-30 | 2019-01-01 | Apple Inc. |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
US9715875B2 (en) | 2014-05-30 | 2017-07-25 | Apple Inc. |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
WO2015184186A1 (en) | 2014-05-30 | 2015-12-03 | Apple Inc. |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
US9633004B2 (en) | 2014-05-30 | 2017-04-25 | Apple Inc. |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
US9842101B2 (en) * | 2014-05-30 | 2017-12-12 | Apple Inc. |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
US9338493B2 (en) | 2014-06-30 | 2016-05-10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
US9818400B2 (en) | 2014-09-11 | 2017-11-14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
US9668121B2 (en) | 2014-09-30 | 2017-05-30 | Apple Inc. | Social reminders |
US10127911B2 (en) | 2014-09-30 | 2018-11-13 | Apple Inc. |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
US10074360B2 (en) | 2014-09-30 | 2018-09-11 | Apple Inc. |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
US10152299B2 (en) | 2015-03-06 | 2018-12-11 | Apple Inc. | Reducing response latency of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
US10567477B2 (en) | 2015-03-08 | 2020-02-18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
US9721566B2 (en) | 2015-03-08 | 2017-08-01 | Apple Inc. |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
US9886953B2 (en) | 2015-03-08 | 2018-02-06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
US10460227B2 (en) | 2015-05-15 | 2019-10-29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
US10083688B2 (en) | 2015-05-27 | 2018-09-25 | Apple Inc. |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
US10200824B2 (en) | 2015-05-27 | 2019-02-05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
US9578173B2 (en) | 2015-06-05 | 2017-02-21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
US11025565B2 (en) | 2015-06-07 | 2021-06-01 | Apple Inc. |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
US20160378747A1 (en) | 2015-06-29 | 2016-12-29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
US10831996B2 (en) * | 2015-07-13 | 2020-11-10 | Teijin Limited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US10331312B2 (en) | 2015-09-08 | 2019-06-25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
US10747498B2 (en) | 2015-09-08 | 2020-08-18 | Apple Inc. |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
US10671428B2 (en) | 2015-09-08 | 2020-06-02 | Apple Inc. |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
US10740384B2 (en) | 2015-09-08 | 2020-08-11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
US11010550B2 (en) | 2015-09-29 | 2021-05-18 | Apple Inc. |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
US10366158B2 (en) | 2015-09-29 | 2019-07-30 | Apple Inc. |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
US11587559B2 (en) | 2015-09-30 | 2023-02-21 | Apple Inc. |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
US10691473B2 (en) | 2015-11-06 | 2020-06-23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
US10956666B2 (en) | 2015-11-09 | 2021-03-23 | Apple Inc. |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
US10049668B2 (en) | 2015-12-02 | 2018-08-14 | Apple Inc. |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US10223066B2 (en) | 2015-12-23 | 2019-03-05 | Apple Inc. |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
US10446143B2 (en) | 2016-03-14 | 2019-10-15 | Apple Inc. |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
US9934775B2 (en) | 2016-05-26 | 2018-04-03 | Apple Inc. |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
US9972304B2 (en) | 2016-06-03 | 2018-05-15 | Apple Inc. |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
US11227589B2 (en) | 2016-06-06 | 2022-01-18 | Apple Inc. | Intelligent list reading |
US10249300B2 (en) | 2016-06-06 | 2019-04-02 | Apple Inc. | Intelligent list reading |
US10049663B2 (en) | 2016-06-08 | 2018-08-14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
DK179309B1 (en) | 2016-06-09 | 2018-04-23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
US10067938B2 (en) | 2016-06-10 | 2018-09-04 | Apple Inc. |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
US10586535B2 (en) | 2016-06-10 | 2020-03-10 | Apple Inc. |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
US10509862B2 (en) | 2016-06-10 | 2019-12-17 | Apple Inc. |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
US10192552B2 (en) | 2016-06-10 | 2019-01-29 | Apple Inc. |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
US10490187B2 (en) | 2016-06-10 | 2019-11-26 | Apple Inc. |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
DK179343B1 (en) | 2016-06-11 | 2018-05-14 | Apple Inc | Intelligent task discovery |
DK179415B1 (en) | 2016-06-11 | 2018-06-14 | Apple Inc |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
DK179049B1 (en) | 2016-06-11 | 2017-09-18 | Apple Inc |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
DK201670540A1 (en) | 2016-06-11 | 2018-01-08 | Apple Inc |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
US10474753B2 (en) | 2016-09-07 | 2019-11-12 | Apple Inc. | Language identifica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
US10043516B2 (en) | 2016-09-23 | 2018-08-07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US11281993B2 (en) | 2016-12-05 | 2022-03-22 | Apple Inc. | Model and ensemble compression for metric learning |
US10593346B2 (en) | 2016-12-22 | 2020-03-17 | Apple Inc. |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US11204787B2 (en) | 2017-01-09 | 2021-12-21 | Apple Inc. |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
DK201770383A1 (en) | 2017-05-09 | 2018-12-14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
US10417266B2 (en) | 2017-05-09 | 2019-09-17 | Apple Inc. | Context-aware ranking of intelligent response suggestions |
US10726832B2 (en) | 2017-05-11 | 2020-07-28 | Apple Inc. |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
DK201770439A1 (en) | 2017-05-11 | 2018-12-13 | Apple Inc. | Offline personal assistant |
US10395654B2 (en) | 2017-05-11 | 2019-08-27 | Apple Inc. | Text normalization based on a data-driven learning network |
DK180048B1 (en) | 2017-05-11 | 2020-02-04 | Apple Inc. |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
DK201770429A1 (en) | 2017-05-12 | 2018-12-14 | Apple Inc. |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
DK179496B1 (en) | 2017-05-12 | 2019-01-15 | Apple Inc. |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
US11301477B2 (en) | 2017-05-12 | 2022-04-12 | Apple Inc. | Feedback analysis of a digital assistant |
DK179745B1 (en) | 2017-05-12 | 2019-05-01 | Apple Inc. |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
DK201770411A1 (en) | 2017-05-15 | 2018-12-20 | Apple Inc. | MULTI-MODAL INTERFACES |
DK201770431A1 (en) | 2017-05-15 | 2018-12-20 | Apple Inc. |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
DK201770432A1 (en) | 2017-05-15 | 2018-12-21 | Apple Inc. |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
DK179560B1 (en) | 2017-05-16 | 2019-02-18 | Apple Inc. |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
US20180336892A1 (en) | 2017-05-16 | 2018-11-22 | Apple Inc. |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
US10303715B2 (en) | 2017-05-16 | 2019-05-28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
US10403278B2 (en) | 2017-05-16 | 2019-09-03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phonetic matching in digital assistant services |
US10311144B2 (en) | 2017-05-16 | 2019-06-04 | Apple Inc. | Emoji word sense disambiguation |
US10657328B2 (en) | 2017-06-02 | 2020-05-19 | Apple Inc. | Multi-task recurrent neural network architecture for efficient morphology handling in neural language modeling |
JP7175069B2 (ja) * | 2017-06-06 | 2022-11-18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異常時放送外国語化システム及び異常時放送外国語化プログラム |
US10445429B2 (en) | 2017-09-21 | 2019-10-15 | Apple Inc. |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ing vocabularies with compressed serialized tries |
US10755051B2 (en) | 2017-09-29 | 2020-08-25 | Apple Inc. | Rule-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CN109840062B (zh) * | 2017-11-28 | 2022-10-28 | 株式会社东芝 | 输入辅助装置以及记录介质 |
US10636424B2 (en) | 2017-11-30 | 2020-04-28 | Apple Inc. | Multi-turn canned dialog |
US10733982B2 (en) | 2018-01-08 | 2020-08-04 | Apple Inc. | Multi-directional dialog |
US10733375B2 (en) | 2018-01-31 | 2020-08-04 | Apple Inc. | Knowledge-based framework for improv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
CN110209774B (zh) * | 2018-02-11 | 2024-09-20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处理会话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
US10789959B2 (en) | 2018-03-02 | 2020-09-29 | Apple Inc. | Training speaker recognition models for digital assistants |
US10592604B2 (en) | 2018-03-12 | 2020-03-17 | Apple Inc. | Inverse text normaliz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US10818288B2 (en) | 2018-03-26 | 2020-10-27 | Apple Inc. |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
US10909331B2 (en) | 2018-03-30 | 2021-02-02 | Apple Inc. | Implicit identification of translation payload with neural machine translation |
US11145294B2 (en) | 2018-05-07 | 2021-10-12 | Apple Inc. |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
US10928918B2 (en) | 2018-05-07 | 2021-02-23 | Apple Inc. | Raise to speak |
US10984780B2 (en) | 2018-05-21 | 2021-04-20 | Apple Inc. | Global semantic word embeddings using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
US10892996B2 (en) | 2018-06-01 | 2021-01-12 | Apple Inc. |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
US11386266B2 (en) | 2018-06-01 | 2022-07-12 | Apple Inc. | Text correction |
DK180639B1 (en) | 2018-06-01 | 2021-11-04 | Apple Inc |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
DK201870355A1 (en) | 2018-06-01 | 2019-12-16 | Apple Inc. | VIRTUAL ASSISTANT OPERATION IN MULTI-DEVICE ENVIRONMENTS |
DK179822B1 (da) | 2018-06-01 | 2019-07-12 | Apple Inc. |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
US10496705B1 (en) | 2018-06-03 | 2019-12-03 | Apple Inc. | Accelerated task performance |
US11010561B2 (en) | 2018-09-27 | 2021-05-18 | Apple Inc. | Sentiment prediction from textual data |
US10839159B2 (en) | 2018-09-28 | 2020-11-17 | Apple Inc. | Named entity normalization in a spoken dialog system |
US11462215B2 (en) | 2018-09-28 | 2022-10-04 | Apple Inc. |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
US11170166B2 (en) | 2018-09-28 | 2021-11-09 | Apple Inc. | Neural typographical error modeling vi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US11475898B2 (en) | 2018-10-26 | 2022-10-18 | Apple Inc. |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
US11638059B2 (en) | 2019-01-04 | 2023-04-25 | Apple Inc. | Content playback on multiple devices |
US11348573B2 (en) | 2019-03-18 | 2022-05-31 | Apple Inc. |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
DK201970509A1 (en) | 2019-05-06 | 2021-01-15 | Apple Inc | Spoken notifications |
US11423908B2 (en) | 2019-05-06 | 2022-08-23 | Apple Inc. |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
US11475884B2 (en) | 2019-05-06 | 2022-10-18 | Apple Inc. |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
US11307752B2 (en) | 2019-05-06 | 2022-04-19 | Apple Inc. |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
US11140099B2 (en) | 2019-05-21 | 2021-10-05 | Apple Inc. |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
US11289073B2 (en) | 2019-05-31 | 2022-03-29 | Apple Inc. | Device text to speech |
US11496600B2 (en) | 2019-05-31 | 2022-11-08 | Apple Inc. |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
DK180129B1 (en) | 2019-05-31 | 2020-06-02 | Apple Inc. |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
DK201970510A1 (en) | 2019-05-31 | 2021-02-11 | Apple Inc |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
US11360641B2 (en) | 2019-06-01 | 2022-06-14 | Apple Inc. |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
US11468890B2 (en) | 2019-06-01 | 2022-10-11 | Apple Inc. |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
JP7091295B2 (ja) * | 2019-09-06 | 2022-06-27 | 株式会社東芝 | 解析装置、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WO2021056255A1 (en) | 2019-09-25 | 2021-04-01 | Apple Inc. |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
JP7475844B2 (ja) * | 2019-11-27 | 2024-04-30 | 株式会社東芝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1061543B1 (en) | 2020-05-11 | 2021-07-13 | Apple Inc. |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
US11183193B1 (en) | 2020-05-11 | 2021-11-23 | Apple Inc. |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
US11490204B2 (en) | 2020-07-20 | 2022-11-01 | Apple Inc. |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
US11438683B2 (en) | 2020-07-21 | 2022-09-06 | Apple Inc. |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
JP7298638B2 (ja) * | 2021-03-24 | 2023-06-27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サーバ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7287412B2 (ja) * | 2021-03-24 | 2023-06-06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13722480B (zh) * | 2021-08-11 | 2024-08-06 | 安徽帕觅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日文联系人混合检索方法 |
WO2023146416A1 (en) * | 2022-01-28 | 2023-08-03 | John Chu | Character retrieva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7367A (en) | 1980-07-23 | 1982-02-13 | Sharp Corp | Electronic translator |
US4525786A (en) * | 1982-07-12 | 1985-06-25 | Pitney Bowes Inc. | Electronic postage meter having a one time actuable operating program to enable setting of critical accounting registers to predetermined values |
JPH0530A (ja) | 1991-01-22 | 1993-01-08 | Sanden Corp | 農業用空調システム |
JP2622436B2 (ja) | 1991-06-25 | 1997-06-18 | 株式会社クボタ | 脱穀装置の異常検出装置 |
JPH09251462A (ja) | 1996-03-18 | 1997-09-22 | Sharp Corp | 機械翻訳装置 |
JP2002007390A (ja) * | 2000-06-23 | 2002-01-11 | Toshiba Corp | 文字列予測制御方法、および文字列入力装置 |
KR20030013814A (ko) | 2001-08-09 | 2003-02-15 | 권오석 | 비텍스트 형태 데이터 포함 컨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04213146A (ja) * | 2002-12-27 | 2004-07-29 | Casio Comput Co Ltd |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20040092829A (ko) | 2003-04-29 | 2004-11-04 | 인벤텍 베스타 컴파니 리미티드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휘 설명을 플레이하는시스템 및 방법 |
US7836044B2 (en) * | 2004-06-22 | 2010-11-16 | Google Inc. | Anticipated query generation and processing in a search engine |
JP4404211B2 (ja) * | 2005-03-14 | 2010-01-27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マルチリンガル翻訳メモリ、翻訳方法および翻訳プログラム |
JP4058057B2 (ja) | 2005-04-26 | 2008-03-05 | 株式会社東芝 | 日中機械翻訳装置、日中機械翻訳方法および日中機械翻訳プログラム |
JP2008065395A (ja) * | 2006-09-04 | 2008-03-21 | Fuji Xerox Co Ltd | 翻訳装置、翻訳方法および翻訳プログラム |
-
2008
- 2008-07-25 JP JP2008192333A patent/JP579186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7-23 WO PCT/JP2009/063176 patent/WO201001092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7-23 EP EP09800435A patent/EP231246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7-23 KR KR1020117004265A patent/KR20110036846A/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7-23 US US13/055,467 patent/US860093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7-23 CN CN200980137775.0A patent/CN1021654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165437A (zh) | 2011-08-24 |
US8600930B2 (en) | 2013-12-03 |
CN102165437B (zh) | 2016-08-17 |
US20110231432A1 (en) | 2011-09-22 |
EP2312460A1 (en) | 2011-04-20 |
WO2010010921A1 (ja) | 2010-01-28 |
JP2010033160A (ja) | 2010-02-12 |
JP5791861B2 (ja) | 2015-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36846A (ko)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
KR20110046491A (ko)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
US8165879B2 (en) | Voice output device and voice output program | |
JP5511161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WO2010010920A1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JP2005173999A (ja) | 電子ファイル検索装置、電子ファイル検索システム、電子ファイル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JP2012168696A (ja) | 辞書情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5487898B2 (ja) |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040139056A1 (en) |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 |
JP4467915B2 (ja) | 電子辞書、電子辞書の制御方法、電子辞書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JP5428622B2 (ja) |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 |
JP2020057213A (ja) | 電子辞書装置、電子辞書の検索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JP2008059169A (ja) | 中国語例文検索装置および中国語例文検索処理プログラム | |
JP2838984B2 (ja) | 汎用参照装置 | |
JPH07325826A (ja) | 日本語処理システム | |
JPS61248160A (ja) | 文書情報登録方式 | |
JP4225829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辞書装置 | |
JP2000285112A (ja) | 予測入力装置及び予測入力方法並びに記録媒体 | |
JP2000330984A (ja) |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 | |
JP2023114935A (ja) | 仮名漢字変換/kearm変換式日本語入力システム | |
JP2002183134A (ja) | 翻訳装置 | |
JPH1166090A (ja) | 情報処理装置、辞書情報活用方法、及び記録媒体 | |
JPH03129562A (ja) | インデックス作成支援装置 | |
JPH0628058B2 (ja) | 文書作成装置 | |
JP2007241683A (ja) | 電子辞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