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106A -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및 키트 - Google Patents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106A
KR20110036106A KR1020117002933A KR20117002933A KR20110036106A KR 20110036106 A KR20110036106 A KR 20110036106A KR 1020117002933 A KR1020117002933 A KR 1020117002933A KR 20117002933 A KR20117002933 A KR 20117002933A KR 20110036106 A KR20110036106 A KR 2011003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ionic
anionic
polyquaternium
compound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잔 데일리
야누시 야호비치
로버트 비앙키니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6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5Involves in-situ formation or cross-linking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으로 하전된 화합물 및 음으로 하전된 화합물을 이용한 순차적 처리에 의해 케라틴 함유 기재에 미용 효과 또는 기타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조성물과 그를 함유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및 키트{METHODS AND KITS IMPARTING BENEFITS TO KERATIN-CONTAINING SUBSTRATES}
본 발명은 케라틴 함유 기재에 컨디셔닝(conditioning)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이온 하전 화합물 및 음이온 하전 화합물의 순차적 적용에 의해 모발에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광택성(shine), 관리성(manageability) 및 빗질 용이성과 같은 특성을 갖는 컨디셔닝된 모발을 원한다. 이들 특성을 제공하는 많은 방법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모발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코팅하거나, 또는 달리 변경하기 위하여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필름 형성성 컨디셔닝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샴푸 및 컨디셔너와 같은 전형적인 비-반응성 모발 케어 제품의 작용 범위인 1-4 초과의 pH를 갖는 조성물의 존재 하에 있을 때 음으로 하전된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1-4 미만의 pH 값에서 양으로 하전된다. 따라서, 모발의 등전점, 즉, 케라틴 표면이 순전하를 갖지 않는 pH는 일반적으로 대략 1 내지 4의 pH 범위 내에 있다. 그 결과, 양이온성 화합물이 모발의 습식 및 건식 빗질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컨디셔닝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음으로 하전된 모발 상에의 양이온성 4차 암모늄 화합물의 도포는 습윤 모발 빗질 동안 엉킴 방지(detangling)를 돕고 건조 모발 빗질 동안 정전기에 의한 모발 날림(static flyaway)의 감소를 돕는다. 일반적으로 양이온성 4차 암모늄 화합물은 모발에 부드러움 및 유연성(suppleness)을 또한 부여한다. 그러나, 기타 양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양이온성 펩티드 및 단백질은 모발 빗질 용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용 모발 케어 제품이 모발에 추가의 효과를 제공하도록 조작될 때, 이들 효과를 제공하는 제제들 중 일부, 예를 들어 단백질 또는 펩티드 또는 착색제는 모발의 빗질 용이성, 느낌 및 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모발 컨디셔닝에 사용되었던 다른 방법은 용액 중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 하전 물질을 혼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용액은 모발에 도포되며, 이 복합체는 상기 용액에서 나와서 모발 상에 "충돌하게" 된다. 이 접근법은 모발 표면 상에 침적되는 상기 복합체의 큰 응집체로 인하여, 허용될 수 없는 모발 특성, 예를 들어 저하된 외관, 느낌, 및 빗질 용이성을 생성할 수 있다.
공지된 컨디셔닝 방법들에 대한 제한된 선택을 고려하면, 모발 및 기타 케라틴 함유 표면을 컨디셔닝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하기의 순차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성 펩티드,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이 케라틴 함유 기재 상에 침적되어 제1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상기 제1 미용 조성물을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c) 음이온성 단백질, 음이온성 펩티드, 음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상기 제1 층 상에 침적되어 제2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상기 제2 미용 조성물을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의 순차적인 단계들에 관련된다:
a)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선 펩티드,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1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이 케라틴 함유 기재 상에 침적되어 제1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제1 미용 조성물을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c) 이어서 제1 미용 조성물을 물 또는 기타 수성 용액, 예를 들어 완충 용액, 염 용액, 및 알코올 함량이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저급 알코올(C2-C6)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기재로부터 헹구어 낼 수 있거나, 또는 리브온(leave-on) 생성물로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재 상에 남겨 둘 수 있는 단계;
d) 음이온성 단백질, 음이온성 펩티드, 음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컨디셔닝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2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e)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상기 제1 층 상에 침적되어 제2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제2 미용 조성물을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및
f) 제2 미용 조성물을 물 또는 기타 수성 용액, 예를 들어 완충 용액, 염 용액 및 알코올 함량이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저급 알코올(c2-C6) 용액으로 선택적으로 헹구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키트는
a)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선 펩티드,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이 케라틴 함유 기재 상에 침적되어 제1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되고, 이어서 물로 선택적으로 헹구어질 수 있는 제1 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용기; 및
b) 음이온성 단백질, 음이온성 펩티드, 음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제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제1 층 상에 침적되어 제2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되고, 이어서 물로 선택적으로 헹구어질 수 있는 제2 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는, 유동 전위(streaming potential) 분석의 차트.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모발을 먼저 양이온성 화합물로 처리하고 이어서 후속적으로 음이온성 화합물로 처리한 후 빗질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흔히 양이온성 화합물이 음으로 하전된 모발 표면에 대한 그의 친화성 때문에 모발 컨디셔너로서 선택된다. 그러나, 양이온성 화합물을 이용한 모발의 처리는 모발 상에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빗질 용이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소정의 양이온성 단백질 및 펩티드는, 강화, 개량 및 굵어지는 효과를 모발에 제공하는 반면, 또한 모발이 보다 뻣뻣해지도록 하고, 더 용이하게 엉키게 하고, 빗질이 더 어려워지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소비자에게는 허용될 수 없는 특성이다. 기타 양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양이온성 4차 암모늄 화합물은 모발의 광택성, 부드러움 및 빗질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단계 처리를 제공하며, 이는 놀랍게도 그리고 예기치 않게도 모발이 먼저 양이온성 화합물로 처리되고, 양이온성 제1 화합물이 단독으로 빗질 용이성을 증가시키는지 또는 감소시키는지에 상관없이 후속적으로 음이온성 화합물로 처리될 때 빗질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놀랍게도, 심지어 후속적으로 처리되는 음이온성 화합물이 샴푸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LES)일 때에도 증가된 빗질 용이성이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샴푸는 단독으로는 빗질 용이성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실제, 본 발명의 제2 미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화합물인 SLES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 즉,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단계 처리 없이는 어떠한 효과도 모발에 제공하지 못한다.
컨디셔닝 효과에 더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키트는 활성 음이온성 제제의 형태로 이용가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효과를 케라틴 함유 기재에 부여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효과는 컨디셔닝 효과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효과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어떤 방식으로도 본 내용의 나머지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특허, 및 기타 참고 문헌이 참고로 포함된다.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백분율은 중량 기준 백분율(즉, %(W/W))을 말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케라틴 함유 기재"는 모발, 피부, 손발톱, 치아, 조직, 울(wool), 털(fur), 및 케라틴 단백질을 함유하는 임의의 기타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라틴 함유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모발, 피부 또는 손발톱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 화합물"은 양전하를 갖는 화합물에 관련된다. 그러한 화합물은 전기분해에서 일반적으로 음극을 향하여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음이온성 화합물"은 음전하를 갖는 화합물에 관련된다. 그러한 화합물은 전기분해에서 일반적으로 양극을 향하여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천연"은 사람의 개입 없이 자연에서 나타나는 화합물에 관련된다. 이것은 자연에서 나타나는 화합물과 동일하도록 사람이 합성한 화합물에 또한 관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펩티드"는 펩티드 결합 또는 변형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둘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분자이다.
용어 "아미노산"은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의 기본적인 화학 구조 단위를 말한다. 하기 약어가 특정 아미노산을 식별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표 1]
Figure pct00001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백질"은 펩티드 결합에 의해 함께 연결된 아미노산 장쇄에 관련된다.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10,000 초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중합체"는 다수의 보다 작은 분자들(단량체들)을 규칙적인 패턴으로 조합하여 형성된 큰 유기 분자에 관련된다.
양이온성 화합물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유용한 양이온성 화합물에는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성 펩티드,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양이온성 단백질은 천연 양이온성 단백질 및 합성 양이온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천연 양이온성 단백질의 예에는 라이소자임; 아비딘; 메틸화된 콜라겐; 사이토크롬(Cytochrome) C; 혈소판 인자 4; 프로타민 설페이트; 텔로머라아제; 트립신, 키모트립신, 파파인, 카스파아제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프로테아제; 히스톤, 리보뉴클레아제 A,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를 포함하는, RNA 또는 DNA 결합 단백질; 및 마가이닌(magainin), 디펜신(defensin) 및 카텔릭딘(cathelicdin)을 포함하는, 항미생물 단백질이 포함된다. 양이온성 합성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예에는 폴리라이신, 폴리아르기닌, 폴리히스티딘, 및 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보다 더 많은 총 개수의 염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라이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펩티드 및 단백질이 포함된다. 이들 공중합체, 펩티드 및 단백질은 중성 pH (pH=6.0-7.5)에서 1+ 이상의 순전하를 가질 것이다. 예에는 모두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 (Lys, Tyr) 브롬화수소산염, 및 폴리 (Arg, Trp) 브롬화수소산염이 포함된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천연 중합체의 예에는 제한 없이 키토산, 양이온성 구아 검, 양이온성 전분 및 양이온성 셀룰로오스가 포함된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예에는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24 및 이들의 개질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의 예에는, 제한 없이, 하나 이상의 1차 아민을 갖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2차 아민을 갖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3차 아민을 갖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4차 아민을 갖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의 특정 예에는 제한 없이,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로부터 유도된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1,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8,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7,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 31,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55, PVP/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VP/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VP/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VP/비닐 카프로락탐/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PVP/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등전점이 6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2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은 제1 미용 조성물 중 농도가 약 0.0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이다.
음이온성 화합물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유용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단백질, 음이온성 펩티드, 음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단백질은 천연 음이온성 단백질 및 합성 음이온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천연 음이온성 단백질의 예에는, 제한 없이, 밀 산성 에스테라아제(wheat acidic esterase);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베타-갈락토시다아제; 락타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상피 성장 인자; 글리코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니트레이트 리덕타아제; 카탈라아제; 락토글로불린; 카르보안하이드라아제(carboanhydrase); 우유로부터의 카세인 단백질; 트립신 억제제; 알부민; 음이온성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카텝신; 오브알부민, 감마-글로불린, 및 오보뮤신을 포함한, 난백으로부터의 단백질이 포함된다.
합성 음이온성 단백질은 예를 들어 폴리글루탐산,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염기성 아미노산보다 더 많은 개수의 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단백질을 포함한다. 환언하면, 그러한 공중합체 및 단백질은 순전하가 음전하가 되게 하기에 충분한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음이온성 펩티드의 예에는 제한 없이 폴리글루탐산,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염기성 아미노산보다 더 많은 개수의 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펩티드가 포함된다. 환언하면, 그러한 공중합체 및 단백질은 순전하가 음전하가 되게 하기에 충분한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예에는 시그마 알드리치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 (Glu, Ala, Tyr) 나트륨염 및 폴리 (Glu, Tyr) 나트륨염이 포함된다.
음이온성 중합체는 천연 음이온성 중합체 및 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천연 음이온성 중합체의 예에는 제한 없이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검, 검 아카시아, 카라야 검, 잔탄 검, 트래거캔스 검, 하이알루론산, 셸락, 음이온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구아 검,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합성 음이온성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소듐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 소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소듐 폴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VA 교차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로니트로젠 공중합체, 카보머PVM/MA 데카다이엔 교차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PVM/MA 공중합체, VA/크로토네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크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노일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N-알킬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 특히 이들의 나트륨, 마그네슘, 암모늄, 및 모노-, 다이- 및 트라이에탄올아민 염을 포함한다. 알킬 및 아실 기는 일반적으로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불포화될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는 분자 당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LES),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ALES)(n)EO (여기서 n은 1 내지 3의 범위임),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N-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라우레스-1 포스페이트, 선형 알코올 에톡시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유용한 음이온성 화합물은 등전점이 약 7 내지 약 2이다.
본 발명에서 음이온성 화합물은 제2 미용 조성물 중 농도가 약 0.0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이다.
유동 전위
유동 전위는 전해질 용액을 투과성 몸체(permeable body), 예를 들어 모세관, 다공성 고체, 또는 모발과 같은 섬유의 플러그(plug)에 통과시켜 측정되는 동전기적 측정치이다. 투과성 몸체를 통한 액체의 유동은 측정할 수 있는 동전기적 전위를 생성한다. 전위계를 사용하여 액체의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 플러그를 가로지르는 전기적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유동 전위의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5,452,233호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동 전위 분석은 소정 화합물로 처리하기 전 및 후에 모발의 표면 전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처리 후 유동 전위의 임의의 변화는 모발의 표면 전하의 변화를 나타내며, 따라서 유동 전위 측정을 사용하여 모발 상의 처리 화합물의 침적 및 보유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측정치는 그래프로 나타내어지며, x-축은 본 발명에서 초 단위로 측정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본 발명에서 밀리볼트(mV) 단위로 측정되는 유동 전위를 나타낸다.
제타 전위
제타 전위는 전기화학적 이중 층의 확산 층들과 벌크 액체 상을 분리하는 수력학적 전단면의 평균 전위이며, 유동 전위 또는 유동 전류 측정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빗질 분석
모발 컨디셔닝의 지시자는 모발의 관리성, 보호 및 손상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빗질 용이성이다. 빗질 용이성은 모발 샘플을 통과하여 빗을 드래그할(drag) 때 필요한 힘("빗질하는 힘(combing force)"으로도 지칭됨)을 결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 일은 영국 햄프셔 소재의 다이아-스트론 코포레이션(Dia-Stron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다이아-스트론 빗질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일은 건강하고 컨디셔닝된 모발의 경우 약 0.2 J 미만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사람 모발은 금발이었다. 그러한 모발은, 예를 들어, 인터내셔널 헤어 임포터스 앤드 프로덕츠(International Hair Importers and Products)(미국 뉴욕주 벨레로즈 소재)로부터 구매가능하며, 또한 갈색, 흑색, 적색, 및 금발과 같은 다양한 색상으로, 그리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코카서스인, 및 아시아인과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입수가능하다.
기타 미용 성분 및 첨가제
상기에 기재된 성분들에 더하여, 모발 케어 또는 개인 케어 제품에서의 사용용으로 공지된 또는 달리 상기 사용에 효과적인 다른 일반적인 미용 성분 및 첨가제가, 조성물의 기본적인 특성 및 기재를 컨디셔닝하는 능력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그러한 선택 성분은 비듬 방지제, 모발 성장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현탁제, 습윤제, 연화제, 보습제, 방향제, 염료 및 착색제, 거품 안정제, 정전기 방지제, 방부제, 리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수성 유연제, 킬레이트제,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 폴리알킬렌 글리콜, 산, 염기, 완충제, 비드, 진주 광택 보조제, 지방 알코올, 단백질, 피부 활성제, 썬스크린, 비타민, 증점제 및 이 박멸제(pediculocid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성분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약 1 중량% 미만, 및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미용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미용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담체는 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제조를 돕거나 또는 점도 조절과 같이 심미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저급 알코올, 또는 C2-C6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 글리콜 에테르, 예를 들어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및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또는 모노메틸 에테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유기 용매는 에탄올이다.
비수성 용매는 조성물 중의 담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그리고 특히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의 시간 동안 약 25℃의 온도에서, 또는 약 26주 이상 동안 4℃ 내지 40℃의 온도에서 상분리 또는 성분 분리에 대하여 안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업적 제품 보관 및 선적시 보통 나타나는 온도에서의 상분리 및 성분 분리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나타내어 적어도 6개월의 기간 동안 영향을 받지 않은 채로 유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을 비롯한 케라틴 함유 기재를 컨디셔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는 컨디셔닝될 기재로서 모발을 기술하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양으로 하전된 그리고 음으로 하전된 화합물로 컨디셔닝될 수 있는 기타 케라틴 함유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처리는 (1) 충분한 양의 본 발명에 따른 컨디셔닝 조성물을 습윤 모발 또는 건조 모발에 도포하고;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모발 전체에 다소 고르게 분배하여 본 조성물이 컨디셔닝하고자 하는 모든 모발 또는 기타 기재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으로 하전된 그리고 음으로 하전된 화합물이 모발 또는 기타 케라틴 함유 기재의 표면 상에 침적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분배 단계는 조성물을 최대 약 30초 내지 약 30분 동안 모발 전체에 손으로 문지르거나 또는 빗 또는 브러시(brush)와 같은 모발용 기구를 사용하여 문질러서; 그리고 (3) 모발 상에 흡착되지 않은 여분의 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모발 또는 기타 기재를 헹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모발은 물, 완충 용액, 염 용액, 및 알코올 함량이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저급 알코올(C2-C4 알코올) 용액으로 헹굴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처리는 리브온형의 본 발명의 조성물, 예를 들어 스프레이, 크림, 폼, 또는 용액을 모발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고 모발을 헹구지 않음으로써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1
유동 전위 분석을 금발에서 행하여 양이온성 폴리쿼터늄-6의 용액 (미국 일리노이주 네이퍼빌 소재의 날코 컴퍼니(Nalco Company)로부터 메르쿼트(Merquat) 100으로 입수가능함)을 이용한 제1 처리 및 음이온성 단백질인 닭 알부민의 용액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 알드리치로부터 입수가능함)을 이용한 제2 처리의 유동 전위에 대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0.0125%의 양이온성 폴리쿼터늄-6의 용액 및 0.0125%의 음이온성 단백질 닭 알부민의 용액을 제조하고, 탈이온수 중 1 mM KCl 중에서 상기에 나타낸 농도로 이용하였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처음 5개의 데이터 점은 미처리 모발에 상응하며, 다음 4개의 데이터 점은 양이온성 폴리쿼터늄-6으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상응하며, 다음 3개의 데이터 점은 음이온성 닭 알부민으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상응한다. 처리 사이클을 2회 더 계속하였다. 양이온성 폴리쿼터늄-6의 처리 후의 표면 전하 증가는 폴리쿼터늄-6이 모발 상에 침적 및 보유되어 제1 층을 형성함을 나타낸다. 음이온성 펩티드인 닭 알부민을 이용한 후속적인 처리 후의 표면 전하 감소는 알부민이 제1 층 상에 침적되어 제2 층을 형성함을 나타낸다. 상기 후속적인 처리에 상응하는 표면 전하 변화는 추가의 층들이 이전에 침적된 층들 상에 침적 및 보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연속적인 다층 침적물에 의해 처리된 금발의 빗질 분석을 행하였다. 이 처리에 사용한 모든 용액은 탈이온수 중 1%의 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졌다.
미처리 모발, 1% 폴리라이신을 이용한 제1 처리 후의 모발, 1% 알부민을 이용한 제2 처리 후의 모발, 및 마지막으로 1% SLES를 이용한 제3 처리 후의 모발에서 빗질 분석을 행하였다. 표 2는 빗질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이제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발을 빗질하는 데 필요한 일은 폴리라이신을 이용한 처리 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놀랍게도, 빗질하는 힘은 알부민을 이용한 처리 후 및 SLES에의 노출 후 - 이는 하부 층들과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음 - 더욱 더 감소하였다. SLES를 이용한 처리는 빗질 용이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이는 폴리라이신 트리트먼트(treatment) 및 알부민 트리트먼트가 각각 제1 층 및 제2 층을 생성하도록 모발 상에 침적되어 있고 심지어 SLES에 노출시켜도 상기 트리트먼트들이 남아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
1% 폴리쿼터늄-6, 1% 알부민, 및 1% SLES를 트리트먼트 조성물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빗질 분석을 금발에서 행하였다.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Figure pct00003
이제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모발을 빗질하는 데 필요한 일은 1% 폴리쿼터늄-6을 이용한 제1 처리 후 감소하였으며, 그 후 음이온성 알부민을 이용한 제2 처리 후 추가로 감소하였고, 마지막으로 SLES를 이용한 처리 후 더욱 더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놀랍게도, 빗질하는 힘은 알부민을 이용한 처리 후 및 SLES에의 노출 후 - 이는 하부 층들과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음 - 더욱 더 감소하였다. SLES를 이용한 처리는 빗질 용이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이는 폴리쿼터늄-6 트리트먼트 및 알부민 트리트먼트가 각각 제1 층 및 제2 층을 생성하도록 모발 상에 침적되어 있고 심지어 SLES에 노출시켜도 상기 트리트먼트들이 남아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4
1% 라이소자임, 1% 알부민, 및 1% SLES를 트리트먼트 조성물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빗질 분석을 금발에서 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
Figure pct00004
이제 표 4를 참조하면, 양이온성 단백질인 라이소자임을 이용한 제1 처리가 모발을 빗질하는 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켰지만 음이온성 알부민 및 SLES를 이용한 후속적인 처리들이 빗질하는 힘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금발을 염색한 후 1% 라이소자임, 1% 알부민, 및 1% SLES로 후속적으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빗질 분석을 금발에서 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5]
Figure pct00005
이제 표 5를 참조하면, 모발 염색이 빗질하는 힘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양이온성 단백질인 라이소자임을 이용한 제1 처리 및 음이온성 알부민을 이용한 후속적인 처리가 그러했던 바와 같음을 알 수 있다. SLES는 빗질하는 힘을 감소시켰다. 이는 실시예 4에 설명된 미처리 모발에 대해 관찰된 것과 유사한 거동 패턴이다.
실시예 6
0.5% 아비딘, 1% 알부민, 및 1% SLES를 트리트먼트 조성물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빗질 분석을 금발에서 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6에 나타나 있다.
[표 6]
Figure pct00006
이제 표 6을 참조하면, 양이온성 단백질인 아비딘을 이용한 제1 처리가 모발을 빗질하는 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켰지만 음이온성 알부민 및 SLES를 이용한 후속적인 처리들이 빗질하는 힘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및 데이터는 모발 상에 다층을 형성하도록 양이온성 제1 화합물 및 음이온성 제2 화합물을 이용한 모발의 후속적인 처리들에 의해 다양한 마찰 효과가 성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이들 효과는 헹굼 후에 보유되며, 몇몇 경우 SLES를 이용한 처리에 의해 향상된다.
실시예 7 (피부 탄력 증대(tightening) 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피부 탄력 증대 젤을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표 7A]
Figure pct00007
표 7A를 참조하여, A 상의 성분들을 균질해질 때까지 함께 혼합한다. B 상, C 상, 및 D 상을 A 상에 첨가하고, 균질하고 투명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피부 탄력 증대 젤의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7B]
Figure pct00008
표 7B를 참조하여, E 상의 성분들을 균질해질 때까지 함께 혼합한다. F 상, G 상, 및 H 상을 E 상에 첨가하고, 균질하고 투명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피부 탄력 증대 젤의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
피부 탄력 증대 젤의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피부에 연속적으로 도포하고, 이때 각각의 도포에 이어 물로 헹군다.
실시예 8 (컨디셔닝 크림 린스 제형)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컨디셔닝 크림 린스 제형을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표 8A]
Figure pct00009
표 8A를 참조하여, A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B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A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C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컨디셔닝 크림 린스의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8B]
Figure pct00010
표 8B를 참조하여, D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E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D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F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컨디셔닝 크림 린스의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
모발 처리의 경우, 컨디셔닝 크림 린스의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모발에 연속적으로 도포하고, 이때 각각의 도포에 이어 물로 헹군다.
실시예 9 (컨디셔닝 샴푸 제형)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컨디셔닝 샴푸 제형을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표 9A]
Figure pct00011
표 9A를 참조하여, 대략 30분 동안 또는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A 상의 성분들을 60℃로 가열한다. 이와 동시에, B 상의 성분들을 55℃로 가열한다. 이어서 계속 교반하면서 B 상을 A 상에 첨가한다. 가열원을 제거하고, 생성된 용액을 45℃로 냉각시킨다. 일단 이 용액이 45℃에 도달하면, C 상을 첨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주위 온도로 냉각시켜 컨디셔닝 샴푸의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9B]
Figure pct00012
표 9B를 참조하여, 대략 30분 동안 또는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D 상의 성분들을 60℃로 가열한다. 이와 동시에, E 상의 성분들을 55℃로 가열한다. 이어서 계속 교반하면서 E 상을 D 상에 첨가한다. 가열원을 제거하고, 생성된 용액을 45℃로 냉각시킨다. 일단 이 용액이 45℃에 도달하면, F 상을 첨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주위 온도로 냉각시켜 컨디셔닝 샴푸의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
모발 처리의 경우, 컨디셔닝 샴푸의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도포하고, 이때 각각의 도포에 이어 물로 헹군다.
실시예 10 (리브인(Leave-in) 모발 컨디셔너 제형)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리브인 모발 컨디셔너를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표 10A]
Figure pct00013
표 10A를 참조하여, A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B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A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C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리브인 모발 컨디셔너의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10B]
Figure pct00014
표 10B를 참조하여, D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E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D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F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리브인 모발 컨디셔너의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
모발 처리의 경우, 리브인 모발 컨디셔너의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연속적으로 도포한다.
실시예 11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크림 린스 및 사후 스프레이(Post Spray))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크림 린스 및 사후 스프레이를 설명한다.
[표 11A]
Figure pct00015
표 11A를 참조하여, A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B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A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C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크림 린스의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11B]
Figure pct00016
표 11B를 참조하여, D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E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D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F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컨디셔닝 크림 린스 사후 스프레이의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크림 린스의 제1 조성물 및 컨디셔닝 크림 린스 사후 스프레이의 제2 조성물을 모발에 연속적으로 적용한다. 제1 조성물의 도포에 이어 물로 헹군다.
실시예 12 (색바램 방지용의 염색제 후 모발 컨디셔너(Anti-fade Post-dye Hair Conditioner) 및 사후 스프레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색바램 방지용의 염색제 후 모발 컨디셔너 및 사후 스프레이를 설명한다.
[표 12A]
Figure pct00017
표 12A를 참조하여, A 상의 성분들을 합하고, 혼합하면서 80-85℃로 가열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계속 교반하면서 80-85℃에서 10분 동안 유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55℃로 냉각시키고, 상 B의 성분을 첨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필요할 경우 pH를 5.5로 조정하여 색바램 방지용의 염색제 후 모발 컨디셔너의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12B]
Figure pct00018
표 12B를 참조하여, C 상 성분들을 합하고, 60℃로 가열하며, 이때 중간 정도로 서서히 교반한다. D 상의 성분들을 용융시키고, 혼합물이 잘 혼합된 것으로 보이고 균질하게 보일 때까지 교반하면서 C 상에 서서히 첨가한다. 계속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E 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색바램 방지용의 염색제 후 컨디셔너 사후 스프레이의 제2 조성물을 제조한다.
색바램 방지용의 염색제 후 모발 컨디셔너의 제1 조성물 및 색바램 방지용의 염색제 후 컨디셔너 사후 스프레이의 제2 조성물을 모발에 연속적으로 적용한다. 제1 조성물의 도포에 이어 물로 헹군다.
상기 상세한 설명 및 실시 형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완전하고 비제한적인 이해를 돕고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실시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36)

  1. d)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성 펩티드,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e) 적어도 하나의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이 케라틴 함유 기재 상에 침적되어 제1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상기 제1 미용 조성물을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f) 음이온성 단백질, 음이온성 펩티드, 음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상기 제1 층 상에 침적되어 제2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상기 제2 미용 조성물을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은 양이온성 단백질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양이온성 단백질은 라이소자임, 아비딘, 항미생물 단백질, RNA 또는 DNA 결합 단백질, 프로테아제, 메틸화된 콜라겐, 사이토크롬(Cytochrome) C, 노화 과정에 연루된 단백질, 혈소판 인자 4, 프로타민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미생물 단백질은 마가이닌(magainin), 디펜신(defensin), 카텔릭딘(cathelicd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NA 또는 DNA 결합 단백질은 히스톤, 리보뉴클레아제 A,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는 트립신, 키모트립신, 파파인, 카스파아제(Caspas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은 양이온성 펩티드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펩티드는 폴리라이신, 폴리아르기닌, 폴리히스티딘, 폴리아스파라긴, 폴리글루타민, 산성 아미노산보다 더 많은 개수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펩티드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은 양이온성 중합체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는 키토산,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양이온성 전분, 양이온성 구아 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천연 중합체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1차 아민을 포함하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2차 아민을 포함하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3차 아민을 포함하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4차 아민을 포함하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양이온성 중합체는 폴리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1,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8,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7,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 31,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55, PVP/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VP/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VP/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VP/비닐 카프로락탐/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PVP/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단백질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단백질은 밀 산성 에스테라아제(wheat acidic esterase),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베타-갈락토시다아제, 락타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상피 성장 인자, 글리코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니트레이트 리덕타아제, 카탈라아제, 락토글로불린, 카르보안하이드라아제(carbo anhydrase), 우유 중 카세인 단백질, 트립신 억제제, 오브알부민(ovalbumin), 감마-글로불린 및 오보뮤신(ovomucin)을 포함한, 난백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카텝신, 알부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음이온성 단백질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펩티드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펩티드는 폴리글루탐산,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염기성 아미노산보다 더 많은 총 개수의 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티드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중합체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중합체는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검, 셀룰로오스 검, 검 아카시아, 카라야 검, 잔탄 검, 트래거캔스 검, 하이알루론산, 셸락, 음이온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구아 검 및 전분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음이온성 중합체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중합체는, 소듐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 소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 폴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VA 교차중합체, 비닐 아이소데카노에이트 교차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로니트로젠 공중합체, 카보머PVM/MA 데카다이엔 교차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PVM/MA 공중합체, VA/크로토네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음이온성 중합체인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크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노일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N-알킬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및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 특히 이들의 나트륨, 마그네슘, 암모늄, 및 모노-, 다이- 및 트라이에탄올아민 염 (여기서, 알킬 및 아실 기는 일반적으로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불포화될 수 있고,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는 분자 당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포함할 수 있음)인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함유 기재는 모발, 피부, 손발톱, 치아, 조직, 울(wool) 및 털(fu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선된 빗질성(combability), 광택성(shine), 부드러움, 보습성, 엉킴 방지(detanglin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컨디셔닝 효과를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등전점은 6 이상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등전점은 약 8 내지 약 12인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의 등전점은 약 7 내지 약 2인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약 0.0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인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인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약 0.0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인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인 방법.
  33. a)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성 펩티드,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이 케라틴 함유 기재 상에 침적되어 제1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되고, 이어서 물로 헹구어지는 제1 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용기; 및
    b) 음이온성 단백질, 음이온성 펩티드, 음이온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상기 제1 층 상에 침적되어 제2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케라틴 함유 기재에 도포되고, 이어서 물로 헹구어지는 제2 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미용 키트.
  34.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준비된 컨디셔닝된 케라틴 함유 기재.
  35. 양이온성 층 및 음이온성 층을 포함하는,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준비된 케라틴 함유 기재 상의 2층형 코팅(bi-layered coating).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용 조성물을 물로 헹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02933A 2008-07-09 2009-07-06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및 키트 KR201100361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9,984 2008-07-09
US12/169,984 US20100008885A1 (en) 2008-07-09 2008-07-09 Methods and kits imparting benefits to keratin-containing substr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106A true KR20110036106A (ko) 2011-04-06

Family

ID=4150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933A KR20110036106A (ko) 2008-07-09 2009-07-06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및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08885A1 (ko)
EP (1) EP2313158A2 (ko)
KR (1) KR20110036106A (ko)
CN (1) CN102202739A (ko)
CA (1) CA2729902A1 (ko)
WO (1) WO201000590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25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26019A2 (pt) * 2010-04-12 2017-10-17 Elc Man Llc estimulação bioquímica de síntese de colágeno em células de pele e redução da aparência de linhas finas e rugas na pele
EP2872109B1 (en) * 2012-05-22 2017-06-14 Unilever N.V.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cooling active and a copolymer comprising acrylamidopropyltrimonium chloride
KR101948398B1 (ko) 2013-10-08 2019-02-14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다가 불포화 지방산 함유 유지 조성물
EP3015135B1 (en) 2014-10-29 2020-09-09 Noxell Corporation Hair colouration with a cationic or anionic coloured polymer, method and kit thereof
EP3015134B1 (en) 2014-10-29 2020-08-26 Noxell Corporation Hair colouration with a cationic coloured polymer, method and kit thereof
US11712407B2 (en) 2014-12-30 2023-08-01 Celltrion, Inc. Hybrid-type multi-lamellar nanostructure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liposo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357668B2 (en) * 2016-03-31 2019-07-23 L'oreal Inhibiting color fading with layer-by-layer films
WO2017172516A1 (en) * 2016-03-31 2017-10-05 L'oreal Inhibiting color fading with layer-by-layer films
US10383810B2 (en) * 2016-03-31 2019-08-20 L'oreal Inhibiting color fading with layer-by-layer films
US10159638B2 (en) * 2016-06-21 2018-12-25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plexing polyelectrolytes
DE102016219843A1 (de) * 2016-10-12 2018-04-12 Henkel Ag & Co. Kgaa Wirkstoffmischungen für Stylingmittel
FR3068242B1 (fr) * 2017-06-30 2019-07-19 L'oreal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lavante comprenant des tensioactifs et des polymeres cationiques et/ou amphoteres en association avec une composition comprenant des agents benefiques anioniques
EP3768388B1 (en) * 2018-03-21 2024-04-17 Kao Germany GmbH Process for conditioning of keratin fibers
US11642301B2 (en) * 2018-12-31 2023-05-09 L'oreal Systems, kit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ionic polymers
US11389390B2 (en) 2019-05-31 2022-07-19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s, wax, and cationic surfactant for conditioning and styling hair
US20210236398A1 (en) * 2020-01-31 2021-08-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0091A (en) * 1975-01-06 1976-09-14 Alberto Culver Company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in pretreatment of hair before shampooing with an anionic shampoo
US4529586A (en) * 1980-07-11 1985-07-16 Clairol Incorporate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process
JPS5791910A (en) * 1980-11-28 1982-06-08 Kao Corp Preshampoo-type hair treatment composition
US4501834A (en) * 1983-12-22 1985-02-26 Colgate-Palmolive Company Gels formed from anionic and cationic polymers
NL8601762A (nl) * 1986-07-07 1988-02-01 Bouke Jan Lange Werkwijze voor de reiniging en conditionering en eventuele medicinale behandeling van het haar en de hoofdhuid, een voor dit doel bruikbare tweefasen shampoo, alsmede een verpakking daarvoor.
US5060680A (en) * 1987-09-10 1991-10-29 Johnson Products Co., Inc. Hair straightening method and texturing strengthener compositions therefor
DE3732424A1 (de) * 1987-09-25 1989-04-06 Steag Ag Reaktoranlage zur behandlung von gasen und schuettfaehigem feststoff im gegenstrom
LU87449A1 (fr) * 1989-02-09 1990-09-19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de mousses utilisables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et pharmaceutique et mousses obtenues par ce procede
US5612024A (en) * 1991-03-27 1997-03-18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Cosmetic preparations for the hair
US5288484A (en) * 1992-05-15 1994-02-22 Anne Tashjian Cationic cellulose derivative containing fatty quaternum groups in a pre-shampoo conditioning composition
US5747017A (en) * 1995-05-15 1998-05-05 Lip-Ink International Lip cosmetic
US6013250A (en) * 1995-06-28 2000-01-11 L'oreal S. A.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gainst chemical and photo damage
FR2738835B1 (fr) * 1995-09-18 1997-10-17 Oreal Composition epaissie en milieu aqueux, procede d'epaississement d'un milieu aqueux et utilisations en cosmetique
DE10026998A1 (de) * 2000-05-31 2001-12-13 Fresenius Kabi D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smetischen Zusammensetzung, die humanes Serum Albumin umfasst, welches aus transgenen nicht-menschlichen Säugern erhalten wurde
US7829072B2 (en) * 2000-07-14 2010-11-09 Carter Daniel C Serum albumin compositions for use in cleansing or dermatological products for skin or hair
US6566313B1 (en) * 2000-09-15 2003-05-20 Henkel Corporation Shampoo and body wash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DE10315421A1 (de) * 2003-04-03 2004-10-14 Henkel Kgaa Leistungsfähige oxidative Haarbehandlungsmittel mit Faserstrukturstabilisierung durch Radikalfänger
US7585495B2 (en) * 2003-09-08 2009-09-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identifying shampoo-resistant hair-binding peptides and hair benefit agents therefrom
FR2882929B1 (fr) * 2005-03-14 2008-02-22 Oreal Procede de coloration des cheveux a partir d'un polymere colore anionique
FR2889448B1 (fr) * 2005-08-05 2010-06-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polylysines a chaine grasse, destinee a ameliorer l'etat de surface des fibres keratiniques
US7736633B2 (en) * 2005-09-28 2010-06-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effects of colorants and conditioners
ZA200900033B (en) * 2006-07-14 2010-03-31 Unilever Plc Hair car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25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5906A2 (en) 2010-01-14
WO2010005906A3 (en) 2013-04-18
EP2313158A2 (en) 2011-04-27
CN102202739A (zh) 2011-09-28
CA2729902A1 (en) 2010-01-14
US20100008885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106A (ko) 케라틴 함유 기재에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및 키트
KR101787310B1 (ko) 케라틴 처리 제형 및 방법
US20110142892A1 (en) Method for selectively treating hair
WO2010117657A2 (en) Method of depositing particulate benefit agents on keratin-containing substrates
US20230355496A1 (en) Concentrate for keratin fiber treatment compositions
JP2022168056A (ja) 毛髪強化剤
JP5517430B2 (ja) 毛髪変形用第2剤、毛髪変形剤および毛髪変形処理方法
KR101017461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 아미노산 결합성 물질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손상 모발 회복 조성물
US20100008897A1 (en) Composition for providing a benefit to a keratin-containing substrate
KR20140020184A (ko) 모발 변형용 처리제 및 모발 변형 처리 방법
JP5950697B2 (ja) 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FR3040299B1 (fr) Agent de traitement capillaire puissant comportant un proteolipide et un sel de magnesium
JPH0469319A (ja) 毛髪処理剤
JP3958896B2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第2剤組成物及びその施術方法
GB2546844A (en) High performance hair treatment agent comprising an oligopeptide and a magnesium salt
JP7169622B2 (ja) 毛髪処理方法
JP4115632B2 (ja) 毛髪改質剤およびこれを含有した毛髪化粧料
KR101683131B1 (ko) 비듬 개선 및 헤어 스타일링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6190796B2 (ja) 毛髪処理用第二剤、及び当該毛髪処理用第二剤を使用した毛髪処理方法
JPS5839612A (ja) パ−マネントウエ−ブ前処理剤
JP2003040743A (ja) 第1剤組成物、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及び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施術方法
JP2008050291A (ja) 毛髪処理剤
KR20170074507A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JP2002080330A (ja) 毛髪処理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