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042A - 군관리 장치, 군관리 시스템, 군관리 방법 및 군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군관리 장치, 군관리 시스템, 군관리 방법 및 군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042A
KR20110036042A KR1020117001198A KR20117001198A KR20110036042A KR 20110036042 A KR20110036042 A KR 20110036042A KR 1020117001198 A KR1020117001198 A KR 1020117001198A KR 20117001198 A KR20117001198 A KR 20117001198A KR 20110036042 A KR20110036042 A KR 2011003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peration data
value
unit
equip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993B1 (ko
Inventor
토시유키 미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67Display of operating conditions of machines, workcells, selected progr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78Display all processes together or select only 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복수의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群, 15a, 15b, 15c)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장치(30)이고, 건물마다 배치되고 건물 내의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a, 20b, 20c)를 통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35a)와,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인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하는 총괄부(35c)와, 총괄부에 의하여 총괄된,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35e)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군관리 장치 및 군관리 시스템{GROUP MANAGEMENT DEVICE AND GROU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설비 기기를 군(群)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장치 및 군관리 장치를 이용한 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피스 빌딩 및 테넌트(tenant) 빌딩 등과 같이 다수의 설비 기기를 이용하는 건물에서는, 건물 내의 일 개소에 하나의 제어 장치가 배치되고, 당해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가 제어되고 있다(특허 문헌 1(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96444호) 참조). 또한, 이 제어 장치는,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로부터 운전 데이터를 취득하고, 당해 건물 내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평가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96444호
한편, 예를 들어, 병원 및 대학과 같이, 하나의 관리 영역에 복수의 건물이 입지하는 물건(物件, 물품 따위의 동산과 토지나 건물 따위의 부동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에서는, 각 건물에 제어 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관리 영역에 복수의 제어 장치가 배치된다. 각 건물에 배치된 제어 장치는, 동일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평가한다. 평가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제어하기 위한 대책이 강구된다. 그러나, 각 건물에 배치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건 내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평가한 것으로는, 관리 영역 전체로서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건물이 입지하는 관리 영역에 있어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일망(一望)할 수 있고, 나아가,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는 군관리 장치 또는 군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장치이고, 취득부와 총괄부와 화면 생성부를 구비한다. 취득부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어 장치는, 건물마다 배치되고 건물 내의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한다. 총괄부는,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한다. 운전 데이터값은,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이다. 화면 생성부는, 총괄부에 의하여 총괄된,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가, 건물마다 배치된 제어 장치를 통하여 취득된다. 나아가, 운전 데이터값이 군마다 총괄되고, 총괄된 결과를 병렬하는 화면이 생성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예를 들어, 소비 전력량값, 온도 괴리값, 및 쾌적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나타내는 값 등이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총괄부는,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을, 다른 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과 비교한다.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이란, 하나의 군에 속하는 개개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이다.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이란, 하나의 군에 속하는 전(全)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하나의 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및 다른 군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하나의 군의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 및 다른 군의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이 비교된다.
이것에 의하여, 각 군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총괄부는,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이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더 판단한다.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어, 에너지 절약 대책이 필요한 상태나 에너지 절약 대책이 충분히 취해져 있는 상태, 혹은, 온도 괴리의 대책이 필요한 상태나 온도 괴리의 대책이 충분히 취해져 있는 상태 등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이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가 더 판단된다.
이것에 의하여, 군에 포함되는 개개의 설비 기기 또는 군 전체에 어떠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총괄부는,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군마다 더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소정의 기준값과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이 군마다 더 비교되어,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정의 기준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2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은, 하나의 군에 속하는 설비 기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평균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으로서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평균값이 비교된다.
이것에 의하여, 다른 군과 비교하여 평균값이 높은 군 또는 낮은 군을 판정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2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은, 하나의 군에 속하는 설비 기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총량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으로서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총량이 비교된다.
이것에 의하여, 다른 군과 비교하여 총량이 높은 군 또는 낮은 군을 판정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3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화면 생성부는, 각 군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대소 관계를 비교 가능한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에 관하여, 하나의 군과 다른 군과의 대소 관계가 비교 가능하게 표시된다. 대소 관계를 비교 가능하게 표시하는 예로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합계 또는 집합의 운전 데이터값이 많은 순 혹은 적은 순으로 군을 나란히 놓는 경우,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합계값 또는 집합의 운전 데이터값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그림의 대소로 운전 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경우 등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군에 속하는 설비 기기 중,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정도를 다른 군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화면 생성부는, 특정값과 전체값을 더 비교 가능한 화면을 생성한다. 특정값이란,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이다. 전체값이란, 전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특정값과 전체값을 더 비교 가능한 화면이 생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군에 포함되는 전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전체값)에 차지하는, 소정의 상태인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특정값)의 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총괄부는, 각 군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대수를 파악한다. 또한, 화면 생성부는, 대수를 화면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대수가 파악되고, 그 대수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대책 효과의 대소의 짐작을 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2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분류 정보 기억 영역을 구비한다. 분류 정보 기억 영역은, 다수의 설비 기기를 상기 군으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총괄부는, 분류 정보에 의하여 분류된 군마다,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을 총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다수의 설비 기기를 군으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 정보가 기억된다.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군마다, 운전 데이터값이 총괄된다. 여기서, 분류 정보란, 예를 들어, 동의 종류 및 동의 방향을 포함하는 물리적 조건, 시간적 조건 등이다.
이것에 의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를, 다양한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평가 항목 기억 영역을 더 구비한다. 평가 항목 기억 영역은,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기억한다. 또한, 총괄부는, 복수의 항목 중 몇 개의 항목 또는 복수의 항목 중 모든 항목에 기초하여 운전 상태를 평가한다. 나아가, 화면 생성부는, 복수의 항목에 기초하는 평가 결과를 일괄하여 확인 가능한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이 더 기억된다. 복수의 항목 중 몇 개의 항목 또는 복수의 항목 중 모든 항목에 기초하여 운전 상태가 평가된다. 또한, 복수의 항목에 기초하는 평가 결과가 일괄하여 확인 가능한 화면이 생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4 발명 내지 제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기준값 설정부를 더 구비한다. 기준값 설정부는, 취득부에 의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된 운전 데이터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값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다수의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된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각 군의 설비 기기 중에서 가장 소비 전력량값이 많은 설비 기기를 각각 특정하고, 특정된 설비 기기 중에서 가장 적은 소비 전력량값을 기준값으로 하거나, 특정된 설비 기기 중에서 가장 적은 소비 전력량으로부터 소정값을 뺀 값을 기준값으로 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하여, 군 전체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효율 좋게 평가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이고, 복수의 건물은, 하나의 관리 영역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하나의 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가 복수의 군으로서 관리된다. 하나의 관리 영역이란, 하나의 닫혀진 영역이고, 예를 들어, 복수의 시설 또는 건물을 가지는 학교, 병원, 기업 등, 관리 대상으로 되는 시설 또는 건물이 동일 또는 관련하는 소유자에 의하여 소유되는 영역이다.
이것에 의하여, 점재하는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관리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시스템이고, 제어 장치와 군관리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건물마다 배치되고,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한다. 군관리 장치는, 제어 장치에 접속되고, 제어 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를 군으로서 관리한다. 또한, 군관리 장치는, 취득부와 총괄부와 화면 생성부를 가진다. 취득부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한다. 총괄부는,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이다. 화면 생성부는, 총괄부에 의하여 총괄된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가, 건물마다 배치된 제어 장치를 통하여 취득된다. 나아가, 운전 데이터값이 군마다 총괄되고, 총괄된 결과를 병렬하는 화면이 생성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예를 들어, 소비 전력량값, 온도 괴리값, 및 쾌적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나타내는 값 등이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방법은,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방법이고, 취득 스텝과 총괄 스텝과 화면 생성 스텝을 구비한다. 취득 스텝에서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어 장치는, 건물마다 배치되고 건물 내의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한다. 총괄 스텝에서는,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이다. 화면 생성 스텝에서는, 총괄 스텝에 있어서 총괄된,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방법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가, 건물마다 배치된 제어 장치를 통하여 취득된다. 나아가, 운전 데이터값이 군마다 총괄되고, 총괄된 결과를 병렬하는 화면이 생성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예를 들어, 소비 전력량값, 온도 괴리값, 및 쾌적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나타내는 값 등이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16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프로그램은,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으로서 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군관리 프로그램이고, 취득 스텝과 총괄 스텝과 화면 생성 스텝을 구비한다. 취득 스텝에서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어 장치는, 건물마다 배치되고 건물 내의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한다. 총괄 스텝에서는,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이다. 화면 생성 스텝에서는, 총괄 스텝에 있어서 총괄된,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프로그램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가, 건물마다 배치된 제어 장치를 통하여 취득된다. 나아가, 운전 데이터값이 군마다 총괄되고, 총괄된 결과를 병렬하는 화면이 생성된다. 운전 데이터값이란, 예를 들어, 소비 전력량값, 온도 괴리값, 및 쾌적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나타내는 값 등이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고, 나아가,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각 군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군에 포함되는 개개의 설비 기기 또는 군 전체에 어떠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소정의 기준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다른 군과 비교하여 평균값이 높은 군 또는 낮은 군을 판정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다른 군과 비교하여 총량이 높은 군 또는 낮은 군을 판정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군에 속하는 설비 기기 중,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정도를 다른 군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군에 포함되는 전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전체값)에 차지하는, 소정의 상태인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특정값)의 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대책 효과의 대소의 짐작을 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다수의 설비 기기를, 다양한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군 전체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효율 좋게 평가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에서는, 점재하는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관리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고, 나아가,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방법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고, 나아가,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제16 발명에 관련되는 군관리 프로그램에서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효율 좋게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고, 나아가,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하나의 건물에 설치되는 공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로컬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로컬 컨트롤러의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군의 소비 전력량값의 분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도 9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변형예 (2)에 관련되는 소정의 기준값으로서 이용하는 역치의 예시와 당해 역치와 함께 고려될 수 있는 부차적 요소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역치의 부차적 요소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의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시스템(100)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군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건물, 로컬 컨트롤러, 및 공조기의 수는 도면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전체 구성
도 1은, 물건(1)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의 군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군관리 시스템(100)은, 대학, 병원, 공장 등과 같이 하나의 관리 영역에 복수의 건물(50a, 50b, 50c)이 입지하는 물건에 이용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하나의 관리 영역이란, 하나의 닫혀진 영역이고, 관리 대상으로 되는 시설 또는 건물이 동일 또는 관련하는 소유자에 의하여 소유되는 영역이다. 또한, 군관리 시스템(100)은, 건물(50a, 50b, 50c) 내의 공조 설비(10a, 10b, 10c)에 포함되는 다수의 실내기(설비 기기에 상당, 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몇 개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50a) 내의 공조 설비(10a)에 포함되는 다수의 실내기를 실내기군(15a), 건물(50b) 내의 공조 설비(10b)에 포함되는 다수의 실내기를 실내기군(15b), 및 건물(50c) 내의 공조 설비(10c)에 포함되는 다수의 실내기를 실내기군(15c)으로서 각각의 실내기군(15a, 15b, 15c)이 관리된다.
군관리 시스템(100)에는, 주로, 공조 설비(10a, 10b, 10c)와, 공조 설비(10a, 10b, 10c)를 관리하는 로컬 컨트롤러(제어 장치에 상당, 20a, 20b, 20c)와, 복수의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에 접속되는 군관리 장치(30)가 포함된다.
도 2는, 로컬 컨트롤러(20a)와, 공조 설비(10a)를 포함하는 건물(50a) 내의 구성을 도시하지만, 다른 건물(50b, 50c)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건물(50a)에는, 로컬 컨트롤러(20a)와, 공조 설비(10a)로서의 복수의 공조기(13a, 13b, 13c)가 설치되어 있다. 공조기(13a, 13b, 13c)는, 멀티 타입의 공조기이며, 실외기(11a) 및 복수의 실내기(12aa, 12ab, 12ac, …)로 이루어지는 공조기(13a)와, 실외기(11b) 및 복수의 실내기(12ba, 12bb, 12bc, …)로 이루어지는 공조기(13b)와, 실외기(11c) 및 복수의 실내기(12ca, 12cb, 12cc, …)로 이루어지는 공조기(13c)가 포함된다. 실외기(11a, 11b, 11c, …)에는 전원(60)이 접속되어 있고, 전원(60)으로부터의 전력이 전력 공급선을 통하여 공조기(13a, 13b, 13c, …)로 공급된다. 또한, 공조기(13a, 13b, 13c, …)로 공급되는 전력(총 소비 전력량)은, 전원(60) 및 실외기(11a, 11b, 11c, …)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미터(70)에 의하여 계측된다.
군관리 장치(30)는, 관리 영역 내에 설치되고, 각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된 복수의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와 인트라넷 회선을 통하여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각 건물(50a, 50b, 50c)에 배치된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설치된 모든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집중 관리된다. 나아가, 관리 영역 내에 설치된 군관리 장치(30)를 이용하여, 관리 영역 내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몇 개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 관리된다.
〈각 부의 구성〉
(1) 공조기의 개략 구성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공조기(13a, 13b, 13c, …)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타입의 공조기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실외기(11a) 및 실내기(12aa)로 이루어지는 공조기(13a)를 설명하지만, 실외기(11a) 및 다른 실내기(12ab, 12ac, …)로 이루어지는 공조기(13a)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공조기(13b, 13c)도 마찬가지의 구성인 것으로 한다.
공조기(13a)는,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나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매 회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조기(13a)에는, 실온 센서(131aa), 외기온(外氣溫) 센서(131ab), 및 습도 센서(131ac) 등의 각종 센서가 취부되어 있다. 실온 센서(131aa)는, 공조기(13a)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온도를 검지한다. 상세하게는, 실내기(12aa)의 빨아들임 온도가 검지된다. 외기온 센서(131ab)는, 공조기(13a)가 설치되어 있는 설비 부근의 외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습도 센서(131ac)는, 공조기(13a)에 포함되는 압축기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인 토출 온도를 검출한다. 공조기(13a)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습도를 검지한다.
나아가, 공조기(13a)는, 기기 통신부(133a) 및 기기 제어부(132a)를 가지고 있다. 기기 통신부(133a)는, 로컬 컨트롤러(20a)와 전용 제어선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기기 제어부(132a)는,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공조기(13a)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132a)는, 상술의 각종 센서(131aa, 131ab, 131ac, …)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에 의하여 계측된 값을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분)으로 로컬 컨트롤러(20a)로 송신한다.
(2) 로컬 컨트롤러의 개략 구성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는, 상술과 같이, 건물(50a, 50b, 50c)에 1대 배치된다.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는, 각각에 접속되는 공조기(13a, 13b, 13c, …)를 집중 관리한다.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는, 건물(50a, 50b, 50c)에 각각 배치된 담당 관리자에게 이용된다. 담당 관리자는,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건물(50a, 50b, 50c)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정지 등의 제어 및 상태의 관리 등을 일 개소에서 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로컬 컨트롤러(20a)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로컬 컨트롤러(20b, 20c)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인 것으로 한다.
로컬 컨트롤러(20a)는, 주로, 로컬 통신부(21), 로컬 표시부(22), 로컬 입력부(23), 로컬 기억부(24), 및 로컬 제어부(25)로 구성되어 있다.
로컬 통신부(21)는, 군관리 장치(30)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한다. 또한, 로컬 통신부(21)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한다. 로컬 통신부(21)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로부터는 운전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운전 데이터란,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전원의 온·오프, 운전 모드, 설정 온도, 빨아들임 온도, 풍향 등에 관한 정보이다. 나아가, 운전 데이터에는, 후술하는 로컬 제어부(25)가 기기 제어부(132a)에 정기적으로 접속하여 취득한 각종 센서(131aa, 131ab, 131ac, …)의 값이 포함된다.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시간, 실내 팽창 밸브의 개도(開度), 온도 괴리값, 및 쾌적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되는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 시간이란, 구체적으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서모(thermo) 온 시간이다. 여기서, 서모 온 시간이란,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냉온열 공급을 행하고 있는 시간을 말한다.
로컬 표시부(22)는, 후술의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에 관리 화면(도 5 참조)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이다. 관리 화면은, 로컬 컨트롤러(20a)로 받아들인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또한, 관리 화면은, 복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 화면이기도 하다.
로컬 입력부(23)는, 주로 상술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터치 패널 및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컬 기억부(24)는, 주로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24a)과, 소비 전력량값 기억 영역(24b)을 가진다.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24a)에는, 후술의 정보 취득부(25a)가 취득한 운전 데이터가 기억된다. 소비 전력량값 기억 영역(24b)에는, 소비 전력량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 소비 전력량에 관한 정보란, 구체적으로, 전력 미터(70)로 계측된 공조기(13a, 13b, 13c, …)의 총 소비 전력량에 관한 값(총 소비 전력량값) 및 후술하는 안분부(25b)에 의하여 산출된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에 관한 값(소비 전력량값)이다. 덧붙여, 로컬 기억부(24)는, 상기 영역 외, 후술의 로컬 제어부(25)가 읽어내어 실행 가능한 관리 프로그램이 격납되는 영역을 가진다.
로컬 제어부(25)는, 로컬 기억부(24)에 기억된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집중 관리한다. 로컬 제어부(25)는, 주로, 정보 취득부(25a)와 안분부(25b)를 가진다. 정보 취득부(25a)는, 공조기(13a, 13b, 13c, …)에 포함되는 기기 제어부(132a)에 정기적으로 접속하고,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25a)는, 전력 미터(70)로 계측되는 총 소비 전력량값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안분부(25b)는, 소비 전력량값 기억 영역(24b)에 기억되어 있는 공조기(10a, 10b, 10c, …)의 총 소비 전력량값을,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24a)에 기억되어 있는 운전 데이터에 따라 안분하고,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157336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팽창 밸브의 개도 등의 정보에 따라 총 소비 전력량값이 안분되고,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값이 산출된다. 덧붙여, 안분부(25b)에 의하여 산출된 소비 전력량값은 상술의 소비 전력량값 기억 영역(24b)에 기억된다.
나아가, 로컬 제어부(25)는, 취득한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컬 표시부(22)에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예를 들어, 운전 또는 정지의 상태, 실온, 운전 모드, 풍향, 풍량, 이상의 유무 등)를 표시시킨다. 나아가, 로컬 제어부(25)는, 상술의 로컬 표시부(22)로 받아들인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제어(운전·정지의 상태의 변경, 냉방 모드·난방 모드·송풍 모드 등의 운전 모드 변경, 온도 변경, 풍향 변경, 풍량 변경 등)를 행한다.
(3) 군관리 장치(30)의 개략 구성
군관리 장치(30)는, 관리 영역 내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자가 대기하는 장소에 1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시스템 관리자란, 군관리 시스템(100) 전체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말한다. 군관리 장치(30)는, 관리 영역 내의 모든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에 접속되고, 관리 영역 내의 모든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몇 개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 집중 관리한다. 덧붙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는, 후술하는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하나의 군으로 분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군관리 장치(30)는, 주로, 군관리 통신부(31)와, 군관리 표시부(32)와, 군관리 입력부(33)와, 군관리 기억부(34)와, 군관리 제어부(35)로 구성되어 있다.
군관리 통신부(31)는, 인트라넷 회선을 통하여, 로컬 통신부(21)와 접속되고,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한다.
군관리 표시부(32)는, 후술하는 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이다(도 7 참조). 군관리 표시부(32)에는, 관리 영역 내의 모든 건물(50a, 50b, 50c)에 배치된 전(全)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관한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의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군관리 표시부(32)는, 실내기군(15a, 15b, 15c)에 대한 시스템 관리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 화면이기도 하다.
덧붙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군관리 장치(30)의 디스플레이에는, 설정 화면(70)과, 결과 표시 화면(71)이 포함된다. 설정 화면(70)에는, 실내기군(15a, 15b, 15c)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선택하는 평가 메뉴(70a)와, 평가의 기준값(Es)인 역치를 설정하는 역치 설정 영역(70ba, 70bb)이 포함된다. 평가 메뉴(70a)에는, 예를 들어, 소비 전력량값이 높은 실내기군(15a, 15b, 15c)을 평가하는 에너지 다소비의 항목, 빨아들임 온도값과 설정 온도값과의 괴리의 정도가 큰 실내기군(15a, 15b, 15c)을 평가하는 온도 괴리의 항목 등, 다수의 항목이 포함된다. 역치 설정 영역(70ba, 70bb)은, 전력량에 관한 역치를 설정하는 영역(70ba)과, 설정 온도에 관한 역치를 설정하는 영역(70bb)을 가진다. 결과 표시 화면(71)은, 각 건물(50a, 50b, 50c)에 있어서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을 나타낸다(도 8, 부호 801 참조) 여기서, 상태값이란,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선택된 평가 항목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에너지 다소비에 대한 평가를 행하는 경우는 소비 전력량값이며, 온도 괴리에 대한 평가를 행하는 경우는 설정 온도와 빨아들임 온도와의 차이다. 덧붙여, 도 7에서는, 에너지 다소비의 항목이 선택되어 있다. 또한, 결과 표시 화면(71)에는,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값의 합계값(Ens)이 큰 순으로 건물명과, 그것에 대응하는 다소비 전력량 합계값(Ens)이 각각 표로 들어져 있다.
나아가, 군관리 표시부(32)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분류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군설정 영역을 가진다. 여기서 설정된 내용은, 후술하는 분류 정보 기억 영역(34b)에 기억된다.
군관리 입력부(33)에는, 주로 상술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터치 패널 및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관리 기억부(34)는, 컨트롤러(20a, 20b, 20c)에 의하여 관리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몇 개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 집중 관리하기 위한 군관리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군관리 기억부(34)에는,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34a)과, 분류 정보 기억 영역(34b)과, 평가 항목 기억 영역(34c)이 포함된다.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34a)에는, 후술의 정보 취득부(35a)에 의하여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로부터 취득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관한 운전 데이터가 축적되어 간다. 여기서 운전 데이터에는, 상술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전원의 온·오프, 운전 모드, 설정 온도, 빨아들임 온도, 풍향 등에 관한 정보 및 각종 센서(131aa, 131ab, 131ac, …)의 값 외,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의 안분부(25b)에 의하여 안분된 소비 전력량값도 포함된다. 나아가,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34a)에는, 후술의 능력 판단부(35b)에 의하여 산출된 소비 전력량값의 보정값이 기억된다. 분류 정보 기억 영역(34b)에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몇 개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하기 위한 정보(분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분류 정보란,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설치되는 동의 종류 및 동의 방향을 포함하는 물리적 조건, 시간적 조건 등에 기초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하기 위한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각각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영역 내의 모든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설치된 건물(50a, 50b, 50c)에 따라, AA동의 실내기군(15a), BB동의 실내기군(15b) 및 CC동의 실내기군(15c)으로 각각 분류된다. 덧붙여, 분류 정보 기억 영역(34b)에 기억되는 정보는, 상술의 도시하지 않는 군설정 영역에서 설정 가능하다. 평가 항목 기억 영역(34c)은, 실내기군(15a, 15b, 15c)의 평가를 행할 때에 이용하는 항목을 기억한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하는 평가 메뉴(70a)에 들어진 항목에 상당한다.
군관리 제어부(35)는, 상술의 군관리 기억부(34)에 기억된 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내기군(15a, 15b, 15c)의 운전 상태를 파악한다. 군관리 제어부(35)는, 주로, 정보 취득부(35a)와, 능력 판단부(35b)와, 총괄부(35c)와, 기준값 설정부(35d)와, 화면 생성부(35e)와, 일괄 제어부(35f)와, 화면 전환부(35g)를 포함한다.
정보 취득부(35a)는,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24a)에 기억된 운전 데이터와, 소비 전력량값 기억 영역(24b)에 기억된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값을 각각 운전 데이터로서 각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로부터 취득한다. 취득된 운전 데이터는, 상술의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34a)에 기억된다.
능력 판단부(35b)는,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34a)에 기억된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값을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공조 능력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능력 판단부(35b)는,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값을 공조 능력으로 나눈 값(보정값, En)을 산출한다. 여기서, 공조 능력이란,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마력 혹은 용량 kW 등이다. 능력 판단부(35b)에 의하여 산출된 보정값(En)은 상술의 운전 데이터 기억 영역(34a)에 기억된다.
총괄부(35c)는, 제1 처리부터 제3 처리를 행한다. 제1 처리에 있어서, 총괄부(35c)는, 분류 정보 기억 영역(34b)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각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한다. 제2 처리에 있어서, 총괄부(35c)는, 각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과 소정의 기준값(Es)을 비교하여, 소정의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을 산출한다(도 8, 부호 801 참조). 즉,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산출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Es)이란, 상술의 설정 화면(70)의 역치 설정 영역(70ba, 70bb)에서 설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후술의 기준값 설정부(35d)가 설정한 역치이다. 나아가, 제3 처리에 있어서, 총괄부(35c)는,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의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을 각각 비교하여,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의 합계값(Ens)의 대소 관계를 결정한다. 덧붙여, 에너지 다소비에 대한 평가를 행하는 경우, 기준값(Es)과 비교되는 소비 전력량값은, 능력 판단부(35b)에 의하여 공조 능력이 고려된 보정값(En)이다.
기준값 설정부(35d)는, 상술의 설정 화면(70)의 역치 설정 영역(70ba, 70bb)에서 설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역치(기준값(Es))를 설정한다.
화면 생성부(35e)는, 총괄부(35c)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군관리 표시부(32)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생성한다.
일괄 제어부(35f)는, 군관리 장치(30)에 접속되는 모든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에 대하여, 접속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일괄 운전 또는 일괄 정지의 제어를 요구하는 명령을 생성한다.
화면 전환부(35g)는, 군관리 표시부(32)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한다. 다른 화면이란, 상술의 로컬 표시부(22)에서 표시되는 관리 화면(도 5 참조)이다. 군관리 표시부(32)에는, 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어진 결과(도 7 참조)가 표시되지만, 당해 결과로서 표시되는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이 디스플레이의 소정의 부분에서 선택되는 것에 의하여, 선택된 실내기군(15a, 15b, 15c)에 접속된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에서 표시되는 관리 화면이 군관리 표시부(32)에 표시된다. 덧붙여, 여기서,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표시되는 관리 프로그램의 관리 화면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군관리 장치(30)의 군관리 표시부(32)에 표시된다.
(4) 처리의 흐름
이하, 도 9a를 이용하여, 군관리 장치(30)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01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35a)가 각 컨트롤러(20a, 20b, 20c)로부터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운전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후, 스텝 S102에서, 총괄부(35c)에 의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각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된다. 나아가, 각 실내기군(15a, 15b, 15c)에 속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 중, 소정의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이 산출된다. 그 후, 스텝 S103에서,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의 합계값(Ens)의 대소 관계가 결정되고, 스텝 S104로 진행된다. 스텝 S104에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이 생성된다.
또한, 평가 메뉴(70a)에서 에너지 다소비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우선, 스텝 S201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35a)가 각 컨트롤러(20a, 20b, 20c)로부터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운전 데이터 및 소비 전력량값)를 취득한다. 그 후, 스텝 S202로 진행되고, 능력 판단부(35b)에 의하여 소비 전력량값의 보정값(En)이 산출된다. 즉,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공조 능력으로 소비 전력량값을 나눈 값이 산출된다. 그 후, 스텝 S203에서, 총괄부(35c)에 의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각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된다. 나아가, 각 실내기군(15a, 15b, 15c)에 속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소비 전력량값의 보정값(En) 중, 소정의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의 합계값(Ens, 도 8, 부호 801)이 산출된다. 그 후, 스텝 S204에서,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의 합계값(Ens)의 대소 관계가 결정되고, 스텝 S205로 진행된다. 스텝 S205에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이 생성된다.
<특징>
(1)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30)는, 복수의 건물(50a, 50b, 50c)을 가지는 대학, 병원, 공장 등의 관리 영역에 있어서, 각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몇 개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하고, 실내기군(15a, 15b, 15c)마다의 상태를 비교 가능하게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한 명의 시스템 관리자가 각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를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설비 기기 관리에 관하여 효율성이 향상한다. 나아가, 다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를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로컬 컨트롤러(20a)는, 하나의 건물(50a)에 설치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대해서만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건물(50a, 50b, 50c)이 입지하는 것과 같은 물건에서는, 하나의 관리 영역에 복수의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가 설치된다. 당해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는, 건물(50a, 50b, 50c)마다 배치되는 담당 관리자에 의하여 각각 조작되고, 에너지 절약이나 온도 괴리 등의 대책이 강구된다. 그러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에 강구되는 대책은 담당 관리자의 평가에 기초하여 강구되기 때문에, 복수의 담당 관리자에 의하여 평가하는 경우에는, 담당 관리자에 따라 대책의 정도에 치우침이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3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전체에 배치된 전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 책임자에 의한 공평한 평가에 기초하여 필요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2) 또한, 시스템 관리자 한 명이 다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를 한 번에 관리하는 경우, 각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운전 상태를 일일이 상세하게 확인하는 작업은 다대한 시간과 노력을 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30)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서 관리한다. 또한, 군관리 장치(30)는, 실내기군(15a, 15b, 15c)에 포함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을 기준값(Es)과 비교하여 실내기군(15a, 15b, 15c)의 운전 상태를 파악한다. 나아가, 군관리 장치(30)는, 하나의 실내기군의 상태를 다른 실내기군의 상태와 비교 가능하게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시스템 관리 책임자는, 어느 실내기군(15a, 15b, 15c)에 대하여 보다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의 상태에 일어나는 고르지 못함을 표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너지 절약이 필요한 실내기군 뿐만 아니라, 과도의 에너지 절약에 의한 쾌적성의 저하도 검토할 수 있다.
(3)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30)는, 평가 항목을 복수 항목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군(15a, 15b, 15c)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30)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소망의 실내기군(15a, 15b, 15c)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된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하나의 실내기군으로서 분류하였지만, 예를 들어,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가 설치되는 동의 종류 및 동의 방향 등을 포함하는 물리적 조건, 시간적 조건 등에 기초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분류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군의 특징을 고려하여 실내기(12aa, 12ab, 12ac, 12ad, …)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5) 또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군관리 장치(30)에서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로컬 컨트롤러(20a, 20b, 20c)에서 표시되는 관리 화면을 열람 및 조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군(15a, 15b, 15c)에 포함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구체적인 운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필요한 설정 변경 등을 강구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군관리 장치(30)가 기준값(Es) 이상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였지만, 기준값(Es) 이하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에너지 절약율이 좋은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많이 가지는 실내기군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나아가, 당해 실내기군(15a, 15b, 15c)에서 강구되고 있는 대책을 다른 실내기군에 채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7의 결과 표시 화면(71)에 있어서, 각 실내기군(15a, 15b, 15c)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을 대소 관계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합계값(Ens)의 높은 순부터 구체적인 합계값(Ens)과 건물명(AA동, BB동, CC동)을 표로 들었지만, 도 10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을 가지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대수를 병기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대책을 강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1대당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에 대신하여 도형 등을 이용하여 합계값(Ens)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어도 무방하다. 즉, 도형의 크기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의 대소 관계를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여, 물건(1) 내의 실내기군(15a, 15b, 15c)의 평가를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에 더하여 전 상태값(Ent, 도 8 참조)을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값(Es) 이상의 상태값의 합계값(Ens)과 함께 실내기군(15a, 15b, 15c)의 전 소비 전력량 합계값(Ent)을 표시한다. 즉,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값의 합계값(Ens)과, 합계값(Ens)을 포함하는 실내기군(15a, 15b, 15c) 전 소비 전력량 합계값(Ent)을 모두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전 소비 전력량 합계값(Ent)에 차지하는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값의 합계값(Ens)의 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 대상이 많이 포함되는 실내기군(15a, 15b, 15c)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A동은, 에너지 다소비/낭비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전 소비 전력 합계값(Ent)이 많고, 또한,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값의 합계값(Ens)도 많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 대책이 필요한 건물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또한, BB동은, 에너지 다소비/에너지 절약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전 소비 전력 합계량(Ent)는 많지만,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값의 합계값(Ens)은 적다. 따라서, 다른 건물과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 대책이 충분히 강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평가 항목으로서, 에너지 다소비 및 온도 괴리를 들었지만, 다른 항목을 평가 항목으로 들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쾌적성을 평가 항목에 더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기준값과 비교하는 상태값은, 예를 들어, 불쾌 지수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역치 설정 영역(70ba, 70bb)에 의하여 설정한 내용에 기초하여, 기준값 설정부(35d)가 소정의 기준값(Es)을 설정하였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부차적 요소를 고려하여 기준값(Es)을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하루의 소비 전력량이 12kWh 이상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이고, 또한, COP가 3.0 이상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비교 대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기준값 설정부(35d)가, 이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값(Es)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도 무방하다.
(4) 나아가, 평가축을 다축으로 하는 일괄 평가가 결과 평가 화면(71)에 표시되도록 설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값(Es) 이상의 소비 전력량값의 합계값(Ens), 현열의 쾌적성, 잠열의 쾌적성 등을 두고, 레이더-차트로 일괄하여 표시한다. 동시에, 전 소비 전력량 합계값(Ent)을 레이더-차트의 크기로 하는 것으로, 다축의 평가를 일괄하여 행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군관리 장치(30)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관리 영역(1)의 원격에 있는 서비스 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 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원격 관리 서버에는, 관리 영역 이외의 다수의 물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각종 컨트롤러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군관리 장치(30)는, 컨트롤러(20a, 20b, 20c)에 의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담당하도록 설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군관리 장치(30)는, 컨트롤러(20a, 20b, 20c)를 통하지 않고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를 관리할 수 있다.
(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군관리 장치(30)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설비 기기, 예를 들어, 조명 장치, 급배수 장치, 가습기, 승강기, 방범 장치 등을 관리하여도 무방하다.
(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군관리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관리 화면을 통하여,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와 마찬가지로, 실외기(11a, 11b, 11c)도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9)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을 기준값(Es)과 비교하였지만, 군에 속하는 전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집단의 상태값과 기준값(Es)을 비교하도록 설계되어도 무방하다. 집단의 상태값이란, 예를 들어, 군에 속하는 실내기(12aa-12ac, 12ba-12bc, 12ca-12cc, …)의 상태값의 평균값 또는 상태값의 합계값 등이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Y축에 위도, X축에 집단의 평균 소비 전력량으로 하면, 위도가 높을수록 냉방이 소극적으로 되는 등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10)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관리 영역에 복수의 건물이 입지하는 것과 같은 대학이나 병원 등의 물건에서 관리 영역 내에 군관리 장치(30)를 설치한 태양(態樣)을 예시하였지만, 하나의 관리 영역이 일본 전국 또는 전 세계의 각국 등 광역에 걸쳐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인터넷 등의 회선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군관리 장치(30)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의 복수의 시설이, 일본 전국의 복수의 도도부현(일본의 광역 자치 단체인 도(도쿄 도), 도(홋카이도), 부(오사카 부와 교토 부), 현(나머지 43개)을 묶어 이르는 말)에 점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기업의 지점이 전국 각지에 점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등, 전 시설에 있어서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일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건물이 입지하는 하나의 관리 영역에 있어서,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일망할 수 있고, 나아가,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는 군관리 장치 또는 군관리 시스템으로서 유용하다.
11a, 11b, 11c: 실외기
12aa-12ac, 12ba-12bc, 12ca-12cc, …: 실내기
13a, 13b, 13c: 공조기 15a, 15b, 15c: 실내기군
20a, 20b, 20c: 로컬 컨트롤러 30: 군관리 장치

Claims (16)

  1. 복수의 건물(50a, 50b, 50c)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群, 15a, 15b, 15c)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장치(30)이고,
    건물마다 배치되고 상기 건물 내의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a, 20b, 20c)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35a)와,
    상기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인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하는 총괄부(35c)와,
    상기 총괄부에 의하여 총괄된, 상기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35e)
    를 구비하는,
    군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괄부는, 하나의 군에 속하는 개개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인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하나의 군에 속하는 전(全)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값인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을, 다른 군의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과 비교하는,
    군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총괄부는, 상기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상기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이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군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총괄부는, 상기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상기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군마다 더 비교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군관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은, 하나의 군에 속하는 설비 기기의 상기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평균값인,
    군관리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은, 하나의 군에 속하는 설비 기기의 상기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의 총량인,
    군관리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각 군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대소 관계를 비교 가능한 화면을 생성하는,
    군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상기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인 특정값과, 전 설비 기기의 상기 운전 데이터값인 전체값을 더 비교 가능한 화면을 생성하는,
    군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총괄부는, 상기 각 군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설비 기기의 대수를 파악하고,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대수를 상기 화면에 포함하는,
    군관리 장치.
  10.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를 상기 군으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 정보를 기억하는 분류 정보 기억 영역(34b)을 구비하고,
    상기 총괄부는, 상기 분류 정보에 의하여 분류된 군마다, 상기 개개의 운전 데이터값 또는 상기 집단의 운전 데이터값을 총괄하는,
    군관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기억하는 평가 항목 기억 영역(34c)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총괄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 중 몇 개의 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항목 중 모든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에 기초하는 평가 결과를 일괄하여 확인 가능한 화면을 생성하는,
    군관리 장치.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된 상기 운전 데이터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35d)를 더 구비하는,
    군관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물은, 하나의 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군관리 장치.
  14.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15a, 15b, 15c)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시스템(1)이고,
    건물마다 배치되고,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a, 20b, 20c)와,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를 군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장치(30)
    를 구비하고,
    상기 군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35a)와,
    상기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인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하는 총괄부(35b)와,
    상기 총괄부에 의하여 총괄된, 상기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35e)
    를 가지는,
    군관리 시스템.
  15.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15a, 15b, 15c)으로서 관리하는 군관리 방법이고,
    건물마다 배치되고 상기 건물 내의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a, 20b, 20c)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인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하는 총괄 스텝과,
    상기 총괄 스텝에 의하여 총괄된, 상기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 스텝
    을 구비하는,
    군관리 방법.
  16.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설비 기기를 복수의 군(15a, 15b, 15c)으로서 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군관리 프로그램이고,
    건물마다 배치되고 상기 건물 내의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a, 20b, 20c)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설비 기기의 운전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운전 데이터가 나타내는 값인 운전 데이터값을 군마다 총괄하는 총괄 스텝과,
    상기 총괄 스텝에 의하여 총괄된, 상기 복수의 군에 대한 결과를 병렬시키는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 스텝
    을 구비하는,
    군관리 프로그램.
KR1020117001198A 2008-07-01 2009-06-26 군관리 장치, 군관리 시스템, 군관리 방법 및 군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66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2607 2008-07-01
JP2008172607A JP4561890B2 (ja) 2008-07-01 2008-07-01 群管理装置および群管理システム
PCT/JP2009/002936 WO2010001560A1 (ja) 2008-07-01 2009-06-26 群管理装置および群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042A true KR20110036042A (ko) 2011-04-06
KR101266993B1 KR101266993B1 (ko) 2013-05-22

Family

ID=4146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198A KR101266993B1 (ko) 2008-07-01 2009-06-26 군관리 장치, 군관리 시스템, 군관리 방법 및 군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79099B2 (ko)
EP (1) EP2309200A4 (ko)
JP (1) JP4561890B2 (ko)
KR (1) KR101266993B1 (ko)
CN (1) CN102077031B (ko)
AU (1) AU2009264822B2 (ko)
BR (1) BRPI0913874B1 (ko)
WO (1) WO2010001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0347B2 (en) 2010-09-30 2014-09-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ser interface list control system
US8819562B2 (en) 2010-09-30 2014-08-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base line configuration, and style configurator
US20100106543A1 (en) * 2008-10-28 2010-04-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configuration system
US20110093493A1 (en) 2008-10-28 2011-04-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site categories
US8719385B2 (en) * 2008-10-28 2014-05-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ite controller discovery and import system
JP5487994B2 (ja) * 2010-01-25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及び表示方法
US20110196539A1 (en) * 2010-02-10 2011-08-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site controller batch update system
TWI489067B (zh) * 2010-02-10 2015-06-21 Hitachi Appliances Inc Air 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JP2011179722A (ja) * 2010-02-26 2011-09-15 Toshiba Corp 空調制御システム
US8640098B2 (en) * 2010-03-11 2014-01-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Offline configuration and download approach
US9194601B2 (en) * 2010-09-13 201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687790B1 (en) * 2011-03-16 2018-09-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system management device
CN102411346B (zh) * 2011-07-31 2013-04-24 华南理工大学 教学或办公建筑用的采暖与分散式空调系统及控制方法
US9223839B2 (en) 2012-02-22 2015-12-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pervisor history view wizard
US20130297075A1 (en) * 2012-05-07 2013-11-07 Trane International, Inc. Control system
JP5959633B2 (ja) * 2012-05-17 2016-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29349B2 (en) 2012-10-22 2016-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pervisor user management system
US20140156088A1 (en) * 2012-12-05 2014-06-05 Ez Green Inc.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4838212B (zh) * 2013-01-25 2017-07-11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系统
JP2014190546A (ja) * 2013-03-26 2014-10-06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システム
EP2992276A1 (en) * 2013-05-02 2016-03-09 Danfoss A/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apour compression system connected to a smart grid
JP6279242B2 (ja) * 2013-07-31 2018-02-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50038980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vac 컨트롤러
KR20150038978A (ko) 2013-10-01 2015-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vac 컨트롤러
JP6366247B2 (ja) * 2013-10-08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971977B2 (en) 2013-10-21 2018-05-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Opus enterprise report system
JP5921775B2 (ja) * 2013-12-25 2016-05-2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プロセスシステムの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管理プログラム及び管理方法
US9933762B2 (en) 2014-07-09 2018-04-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site version and upgrade management system
KR20160041561A (ko) *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용 컨트롤러
KR20160043402A (ko) 2014-10-13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칠러용 컨트롤러 및 칠러의 제어방법
US10209689B2 (en) 2015-09-23 2019-02-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pervisor history service import manager
US10362104B2 (en) 2015-09-23 2019-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ata manager
CN108332366B (zh) * 2017-01-17 2021-08-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空气调节机控制装置及空气调节机控制方法
JP7042595B2 (ja) * 2017-11-29 2022-03-28 アズビル株式会社 建物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6932106B2 (ja) * 2018-05-24 2021-09-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設備保全支援システム及び設備保全支援方法
US10788798B2 (en) 2019-01-28 2020-09-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hybrid edge-cloud processing
US11768003B2 (en) 2019-06-14 2023-09-2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with zone grouping
US11137162B2 (en) * 2019-06-14 2021-10-0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with zone grouping
JP6841305B2 (ja) * 2019-07-04 2021-03-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組合せ解決定システム
EP3805882B1 (de) * 2019-10-10 2022-06-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ystem für eine technische anlage mit trendkurvendiagramm
CN112696787A (zh) * 2020-12-29 2021-04-23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药剂洁净车间全景三维可视化智能监控系统及方法
GB2608658B (en) * 2021-11-25 2023-07-12 Zapcarbon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mote monitoring of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a plurality of building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336A (ja) 1991-12-10 1993-06-2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料金算出システム
JP3439900B2 (ja) 1996-01-23 2003-08-2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調用集中管理装置
DE60038317T2 (de) * 2000-04-25 2009-03-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ugzeugfunkfrequenznominierung
JP2002002156A (ja) * 2000-06-26 2002-01-08 Sekisui House Ltd 住宅の省エネルギー効果を表示するための表示物
US6751630B1 (en) * 2000-07-20 2004-06-15 Ge Medical Technology Services, Inc. Integrated multiple biomedical information sources
US7384267B1 (en) * 2000-07-20 2008-06-10 Ge Medical Technology Services, Inc. Automatic identification of medical staff training needs
US7356478B1 (en) * 2000-07-20 2008-04-08 Ge Medical Systems, Inc. Secure medical facility report preparation and delivery
JP4334176B2 (ja) * 2002-01-22 2009-09-30 株式会社東芝 建物省エネルギー評価監視装置
KR100529907B1 (ko) 2003-06-19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550556B1 (ko) * 2003-11-11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649599B1 (ko) * 2004-03-22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지역 통합용 에어컨 시스템
EP1806543B1 (en) 2004-09-28 2018-10-24 Daikin Industries, Ltd.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environment management program
JP2008075990A (ja) * 2006-09-22 2008-04-03 Toshiba Kyaria Kk 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3874B1 (pt) 2021-06-15
CN102077031A (zh) 2011-05-25
WO2010001560A1 (ja) 2010-01-07
JP4561890B2 (ja) 2010-10-13
EP2309200A1 (en) 2011-04-13
US8479099B2 (en) 2013-07-02
EP2309200A4 (en) 2018-07-11
AU2009264822B2 (en) 2013-03-14
KR101266993B1 (ko) 2013-05-22
JP2010014291A (ja) 2010-01-21
BRPI0913874A2 (pt) 2015-10-27
AU2009264822A1 (en) 2010-01-07
CN102077031B (zh) 2013-05-08
US20110098863A1 (en)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993B1 (ko) 군관리 장치, 군관리 시스템, 군관리 방법 및 군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U2009275114B2 (en) Group Management Apparatus and Group Management System
CN112484230B (zh) 用于控制空调设备或空调系统的舒适温度的装置和方法
US1066318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1258B1 (ko)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KR20160042673A (ko)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KR20080085733A (ko) 리모트 성능 감시 장치 및 리모트 성능 감시 방법
CN101809514A (zh) 用于舒适控制的微系统的应用
CN103429965A (zh) 空气调和系统的管理装置
KR20100113128A (ko) 공조기 관리 장치
WO2020166447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
JP2011248568A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460925B1 (ko) 엔지니어링 장치 및 포인트 정보 작성 방법
JP2011106698A (ja) 設備機器制御装置
KR101032973B1 (ko) 군 관리 장치 및 군 관리 시스템
JP4540333B2 (ja) 冷暖房自動切換システム
KR100955210B1 (ko) 사무용 건물설비의 최적관리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능형 빌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4530095B2 (ja) 群管理装置
US11054800B1 (en) Intellig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BAS and FM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by same intellig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KR102431509B1 (ko) 중앙 제어 장치
KR20110116690A (ko) 사무용 건물설비의 최적관리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능형 빌딩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offin et al. Designing Direct Digital Control Systems
White Effects of ambient humidity on the energy use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