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440A -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440A
KR20110034440A KR1020090091970A KR20090091970A KR20110034440A KR 20110034440 A KR20110034440 A KR 20110034440A KR 1020090091970 A KR1020090091970 A KR 1020090091970A KR 20090091970 A KR20090091970 A KR 20090091970A KR 20110034440 A KR20110034440 A KR 20110034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intermediate layer
functional
outer layer
functional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형
Original Assignee
비엔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케이(주) filed Critical 비엔케이(주)
Priority to KR102009009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440A/ko
Publication of KR2011003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00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 D01G1/02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 D01G1/04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by cut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용 부직포·건축용 보온단열재·집진기 백필터·자동차 내장재 및 각종 필터류·침대매트·각종 공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각각 다른 슈퍼크리너에 부직포인 중간층 원료와 외곽층 원료를 각각 투입하는 단계; 카드기에서 부직포(섬유)가 여러 개의 각각 다른 침포의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서로 약간씩 결속되어 웹(web)을 형성하도록 소면하는 단계; 카드기에서 형성된 웹을 크로스레퍼에서 여러 겹으로 적재하여 성형하는 단계; 각각 다른 크로스레퍼에서 나오는 여러 겹의 웹을 니들펀칭이 결속시켜 주도록 펀칭하는 단계; 상기 펀칭단계 이후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중간층(1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중간층에 포가 형성되도록 외곽층(20)과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하는 단계; 상기 열융착 후 커팅기에 의해 제품규격에 준하여 절단하는 단계와 이후 건조기에서 나오는 완제품을 와인더에서 규격에 맞게 권취하는 단계;를 거쳐 기능성 부직포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직포를 열에 의해 가열함에 따라 압축 및 변화시키게 되면 섬유층 포가 형성되어 인장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제품의 용도와 중량에 따라 각층의 섬유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고객에 맞는 각종 제품을 생산한 포를 형성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원가절감 및 단가인하로 경쟁력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중간층, 외곽층, 기능성 부직포.

Description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A Functional non-wove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토목용 부직포·건축용 보온단열재·집진기 백필터·자동차 내장재 및 각종 필터류·침대매트·각종 공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열에 의해 가열함에 따라 압축 및 변화시키게 되면 섬유층 포가 형성되어 인장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제품의 용도와 중량에 따라 각층의 섬유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고객에 맞는 각종 제품을 생산한 포를 형성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원가절감 및 단가인하로 경쟁력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는 피복재료의 하나로,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로는, 처음에는 솜 ·비스 코스레이온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부터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도 사용되었다.
가공법에는 침지식(浸漬式)과 건식(乾式)이 있다. 침지식은 초지식(抄紙式)이라고도 하며,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 통에 넣어 적셨다가 건조·열처리한 것으로, 종이와 비슷하다. 건식은 섬유를 얇은 솜 모양으로 만든 것에 합성수지를 내뿜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1950년경부터 미국에서 급속도로 발전하였는데,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에 쓰이는데, 근년에는 공업용으로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부직포는 종래에도 다수의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의 부직포는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100)을 중심으로 상층과 하층에 각각 PET 또는 PP 재질의 외곽층(200)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부직포가 이루어지는데, 고강도 및 고밀도를 높이기 위해 중간층(100)에는 매쉬 직물직포 도는 보강대를 삽입시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부직포 제품의 인장강도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약품 Bimder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중량을 무리하게 높인 다던가 아니면 생산공정상 리들펀칭기를 여러 대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리들펀칭을 무리하게 하여 강도 및 효율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즉, 직물직포 및 보강대는 섬유재가 아니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특히 배수율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특히 원자재값 상승으로 결과적으로 효율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리들펀칭에 의해 외곽층(200)이 중간층(100)에 상호 긴밀히 결합되지 못함은 물론 외곽층(200)이 중간층(100)에 열에 의해 결합되지 못함으로 인해 인장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부직포는 약물 및 직포 또는 강도를 높이려는 물질을 중간층(100)에 사용하게 되어 무리하게 리들펀칭을 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적정량의 섬유구조로 작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무리한 작업성으로 인해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경제적으로도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토목용 부직포·건축용 보온단열재·집진기 백필터·자동차 내장재 및 각종 필터류·침대매트·각종 공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부직포를 중간층과 외곽층으로 구성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특히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부직포에 열을 가열함에 따라 압축 및 변화시켜 인장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약물 및 직포 또는 강도를 높이려는 물질을 중간층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제4목적은 무리하게 펀칭하지 않고 적정량의 섬유구조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경량이면서 잘 찢어지지 않고 배수가 용이한 부직포를 제공하게 되고, 제6목적은 중간층에 직포를 사용하지 않아 휠씬 경제적인 면을 제공하게 되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부직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되는 중간층과 이의 상하단에는 상기 중간층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되어 중간층을 보호함과 아울 러 포집율 및 부직포의 형태를 보여주는 외곽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른 슈퍼크리너에 부직포인 중간층 원료와 외곽층 원료를 각각 투입하는 단계; 카드기에서 부직포(섬유)가 여러 개의 각각 다른 침포의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서로 약간씩 결속되어 웹(web)을 형성하도록 소면하는 단계; 카드기에서 형성된 웹을 크로스레퍼에서 여러 겹으로 적재하여 성형하는 단계; 각각 다른 크로스레퍼에서 나오는 여러 겹의 웹을 니들펀칭이 결속시켜 주도록 펀칭하는 단계; 상기 펀칭단계 이후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중간층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중간층에 포가 형성되도록 외곽층과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하는 단계; 상기 열융착 후 커팅기에 의해 제품규격에 준하여 절단하는 단계와 이후 건조기에서 나오는 완제품을 와인더에서 규격에 맞게 권취하는 단계;를 거쳐 기능성 부직포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목용 부직포·건축용 보온단열재·집진기 백필터·자동차 내장재 및 각종 필터류·침대매트·각종 공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부직포를 중간층과 외곽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부직포에 열을 가열함에 따라 압축 및 변화시켜 인장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약물 및 직포 또는 강도를 높이려는 물질을 중간층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리하게 펀칭하지 않고 적정량의 섬유구조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해 경량이면서 잘 찢어지지 않고 배수가 용이한 부직포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중간층에 직포를 사용하지 않아 휠씬 경제적인 면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토목용 부직포·건축용 보온단열재·집진기 백필터·자동차 내장재 및 각종 필터류·침대매트·각종 공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능성 부직포에 있어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부직포는 도 3,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되는 중간층(10)과 이의 상하단에는 상기 중간층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되어 중간층을 보호함과 아울러 포집율 및 부직포의 형태를 보여주는 외곽층(2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중간층(10)의 원료는 저융점 성분의 접착용 폴리에스터인 LM(Low Melting Fiber)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곽층(20)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LM(Low Melting Fiber)은 일반 PET와 개질한 저융점 PET를 복합 방사하여 저융점 성분이 열처리에 의해 용융 접착되는 폴리에스터이며, 다양한 온도(110∼200℃)에서 용융 접착되므로 LM 100% 또는 타소재와 결합 후 일정한 형태 유지 능력이 뛰어난 것이다.
따라서 상기 LM(Low Melting Fiber)은 우선한 Bonding성(저융점 PET에 의해 성형이 간편하고, 접착 후 내구성 또한 뛰어나다)과, 우수한 Mxing성(일반 Fiber과의 높은 친화력으로 인해 믹싱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다)과, 우수한 성형성 및 탄성회복력(성형 작업성이 우수하며, 높은 탄성 회복력을 갖는다)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중간층(10)과 외곽층(20)의 데니어(denier)는 1.5d∼20d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데니어(denier)가 1.5d 이하일 경우에는 섬유 굵기가 너무 얇아 작업하기가 어려운 효율성의 문제점이 있고, 상기 데니어(denier)가 20d 이상을 경우에는 섬유 굵기가 너무 굵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효율성의 문제점이 있어 상기 데니어(denier)는 1.5d∼20d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부직포는 단위면적(1평방미터)인 총550g중에서 중간층(10)은 150g이고, 외곽층(20)은 각각 200g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간층(10)이 외곽층(20)보다 낮은 150g인 이유는 저융점 성분의 접착용 폴리에스터인 LM(Low Melting Fiber)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의 융점 조직이 열로 인해 용이하게 납작하게 중간층 포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외곽층(20)이 중간층(10)보다 높은 200g인 이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 중간층 보다 중량을 높이므로 인해 강도를 높여 중간층(10)을 보호함과 아울러 분진 및 이물질 포집량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직포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를 3층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된 부직포를 도 4 의 5층, 도 5 의 7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이상의 9층, 12층....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토목용 부직포·건축용 보온단열재·집진기 백필터·자동차 내장재 및 각종 필터류·침대매트·각종 공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으로, 부직포를 열에 의해 가열함에 따라 압축 및 변화시켜 인장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상의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먼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슈퍼크리너에 부직포인 중간층 원료와 외곽층 원료를 각각 투입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 카드기에서 부직포(섬유)가 여러 개의 각각 다른 침포의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서로 약간씩 결속되어 웹(web)을 형성하도록 소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어서 카드기에서 형성된 웹을 크로스레퍼에서 여러 겹으로 적재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레퍼에서 나오는 여러 겹의 웹을 니들펀칭이 결속시켜 주도록 펀칭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펀칭단계 이후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중간층(1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중간층에 포가 형성되도록 외곽층(20)과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되면 중간층(10)이 융점되어 파이버(섬유)조직이 조밀도가 납작하게 포가 형성되어 인장강도 및 효율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열융착 후 커팅기에 의해 제품규격에 준하여 절단하는 단계 와 이후 건조기에서 나오는 완제품을 와인더에서 규격에 맞게 권취하는 단계;를 거쳐 기능성 부직포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 중에서 본 발명의 상기 융착단계는 부직포를 다수의 열로울러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열풍건조로 1회 이상 선택적으로 융착시킴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융착단계는 110∼20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이유는 상기 융착단계의 온도가 110℃ 이하일 경우에는 LM(Low Melting Fiber)가 잘 녹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상기 융착단계의 온도가 200℃ 이상일 경우에는 LM(Low Melting Fiber)가 녹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육착단계의 온도는 110∼20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완성된 본 발명 기능성 부직포는 도 3,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며, 이는 종래의 부직포에 비해 인장강도와 인장신도가 훨씬 우수한 시험결과치를 얻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시험결과치는 아래 표와 같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각각의 부직포를 10cm×15cm의 크기로 절개하여 직사각형 시험편으로 준비하고, 이를 하기한 중량시험방법, 인장강도 시험방법 및 인장신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이때 중량 시험방법은 상기의 각 시편을 KS K 0514의 작은 시험편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중량을 그램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한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시험방법은 KS K 0520에서 정한 그래브법에서 정 한 바와 같이 정속 인장식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시험편의 길이방향 양 끝단을 2.54cm×3.8cm의 접촉면을 가진 고정 조오와 2.54cm×2.54cm의 접촉면을 가진 가동 조오를 7.6cm의 간격을 두고 물린 후, 시험편이 20±3초 이내에 절단될 수 있도록 정속으로 잡아 당겨 절단시의 하중 및 신도를 다이얼 차아트로 측정하였다.
[표]
시험항목 중량(g/m2) 인장강도(kg) 인장신도(%)
본발명 부직포 570.5 218.7 15
종래 부직포 322.8 69.8 79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부직포의 경우 종래 부직포와 대비할 때 인장강도의 경우 최대 3배 이상의 개선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장신도에 있어서도 종래 제조된 기존의 부직포는 79%로서 매우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본 발명 부직포의 경우 15%로서 신율특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표와 같이 본 발명 부직포는 종래 부직포에 비해 잘 찢어지지 않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배수역할도 우수한 결과치를 얻게 되었다.
본 발명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 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의 (a)는 종래 부직포의 요부 구성도이고,
(b)는 종래 부직포의 요부 사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 부직포의 3층 구조 요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 부직포의 5층 구조 요부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 부직포의 7층 구조 요부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 부직포의 3층 구조 요부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간층
20: 외곽층

Claims (8)

  1.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른 슈퍼크리너에 부직포인 중간층 원료와 외곽층 원료를 각각 투입하는 단계;
    카드기에서 부직포(섬유)가 여러 개의 각각 다른 침포의 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서로 약간씩 결속되어 웹(web)을 형성하도록 소면하는 단계;
    카드기에서 형성된 웹을 크로스레퍼에서 여러 겹으로 적재하여 성형하는 단계;
    각각 다른 크로스레퍼에서 나오는 여러 겹의 웹을 니들펀칭이 결속시켜 주도록 펀칭하는 단계;
    상기 펀칭단계 이후 부직포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중간층(10)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중간층에 포가 형성되도록 외곽층(20)과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하는 단계;
    상기 열융착 후 커팅기에 의해 제품규격에 준하여 절단하는 단계와 이후 건조기에서 나오는 완제품을 와인더에서 규격에 맞게 권취하는 단계;를 거쳐 기능성 부직포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융착단계는 부직포를 다수의 열로울러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열풍건조로 1회 이상 융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융착단계는 110∼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
  4. 기능성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저융점인 폴리에스터가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하여 고밀도 및 인장강도가 증가되는 중간층(10)과 이의 상하단에는 상기 중간층이 가열됨에 따라 압축 및 변화되면서 상호 긴밀히 고밀도로 융착되어 중간층을 보호함과 아울러 포집율 및 부직포의 형태를 보여주는 외곽층(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10)의 원료는 저융점 성분의 접착용 폴리에스터인 LM(Low Melting Fiber)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며,
    상기 외곽층(20)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 렌(PP)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6. 청구항 4, 5 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10)과 외곽층(20)의 데니어(denier)는 1.5d∼20d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7. 청구항 4, 5 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단위면적(1평방미터)인 총550g중에서 중간층(10)은 150g이고, 외곽층(20)은 각각 200g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8.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3층 이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KR1020090091970A 2009-09-28 2009-09-28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4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70A KR20110034440A (ko) 2009-09-28 2009-09-28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70A KR20110034440A (ko) 2009-09-28 2009-09-28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40A true KR20110034440A (ko) 2011-04-05

Family

ID=4404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970A KR20110034440A (ko) 2009-09-28 2009-09-28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4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02B1 (ko) * 2012-09-18 2014-08-05 원풍물산주식회사 단열, 흡음, 차음, 방수 기능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747B1 (ko) * 2015-12-22 2016-12-22 김종명 부직포 매트의 제조방법
KR20180025731A (ko) * 2016-09-01 2018-03-09 두올산업(주) 리사이클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복합기재 및 그를 이용한 제품
KR102634875B1 (ko) * 2022-11-09 2024-02-08 지테크 주식회사 저융점 pet 부직포를 이용한 집진 필터용 극세사 부직포
KR102634873B1 (ko) * 2022-11-09 2024-02-08 지테크 주식회사 저융점 pet 부직포를 이용한 주름성형이 가능한 부직포 여과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02B1 (ko) * 2012-09-18 2014-08-05 원풍물산주식회사 단열, 흡음, 차음, 방수 기능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747B1 (ko) * 2015-12-22 2016-12-22 김종명 부직포 매트의 제조방법
KR20180025731A (ko) * 2016-09-01 2018-03-09 두올산업(주) 리사이클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복합기재 및 그를 이용한 제품
KR102634875B1 (ko) * 2022-11-09 2024-02-08 지테크 주식회사 저융점 pet 부직포를 이용한 집진 필터용 극세사 부직포
KR102634873B1 (ko) * 2022-11-09 2024-02-08 지테크 주식회사 저융점 pet 부직포를 이용한 주름성형이 가능한 부직포 여과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9809B2 (ja) 三次元構造化された繊維平面形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48536B1 (ko) 고 용적 복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18638B1 (ko)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
US20050215157A1 (en) Multi-component fibers, fiber-containing materials made from multi-component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fiber-containing materials
CN102758311B (zh) 凹凸伸缩无纺布及其制造方法
CN101302659B (zh) 一种双组分聚酯粗纤维、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10057346A1 (en) Art of using regenerated fibers in multi process non-wovens
CN101313099A (zh) 用于非织造产品的切片成形带
PT96091A (pt) Material filtrante com a forma de tosao com duas ou mais camadas, especialmente com propriedades filtrantes de longa duracao, assim como processo para a a sua preparacao
JP2009539660A (ja) 一体化複合体における平坦面に結合した波様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3954B1 (ko) 다운 충전된 섬유 제품의 다운 빠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속 필라멘트 부직포의 사용
CN106573452B (zh) 用于软体家具的内衬
JP3934916B2 (ja) 伸縮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4440A (ko) 기능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05965A1 (en) Nonwoven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RU2692812C1 (ru) Чистящий текстиль
CN108018652B (zh) 一种机油滤芯端盖无纺布材料及其制作工艺
KR100954314B1 (ko) 필터 캐리어
KR101050831B1 (ko) 세척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I85033C (fi) Vaddmatta samt foerfarande foer tillverkning av densamma.
US6539596B1 (en) Nonwovens from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based staple fibers
JP5665210B2 (ja) 一方向伸縮性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WO2011011021A1 (en) Bi-component/binder fiber insole
KR20110133179A (ko)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유흡착제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14737320A (zh) 一种功能性水刺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