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687A -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및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및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687A
KR20110030687A KR1020117003396A KR20117003396A KR20110030687A KR 20110030687 A KR20110030687 A KR 20110030687A KR 1020117003396 A KR1020117003396 A KR 1020117003396A KR 20117003396 A KR20117003396 A KR 20117003396A KR 20110030687 A KR20110030687 A KR 20110030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film
mol
optical
pent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가와모토
고우이치 기즈
수닐 크리스토프 무티
아키라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광학용 수지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며,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이다.

Description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및 필름{OPTICAL RESIN, OPTICAL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FILM}
본 발명은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표시 장치의 발달에 따라 위상차판, 편광판 등의 광학 부품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4-메틸펜텐-1을 주체로 한 중합체를 연신 배향한 위상차 보상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위상차 보상 시트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위상차 보상 시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콘트라스트비가 높은 양호한 액정 표시가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4-2844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6-7641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7/129464호 팜플렛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9, 933(1965)
최근, 광학 부품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안정하게 광학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4-메틸펜텐-1을 주체로 한 중합체를 연신 배향한 위상차 보상 시트에서는,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커,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안정한 광학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광학용 수지가 제공된다.
[1]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로서, 상기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고, 상기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상기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광학용 수지.
[2] 4-메틸-1-헥센과 3-메틸-1-뷰텐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로서, 상기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고, 상기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d)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광학용 수지.
[3] [1]에 기재된 광학용 수지에 있어서, 상기 3-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인 광학용 수지.
[4]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용 수지에 있어서, 상기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인 광학용 수지.
[5] [1] 내지 [4]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광학용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 조성물.
[6] [1] 내지 [4]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광학용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필름.
[7] [6]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에 있어서,
파장 59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하기 수학식 1 및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광학용 필름.
[수학식 1]
R(450)/R(590) ≤ 0.95
(상기 수학식 1 중, R(450) 및 R(590)은 각각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상기 광학용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dR(590)/dT/R(590)×100| ≤ 2.0(%/℃)
(상기 수학식 2 중, dR(590)/dT는 파장 590nm에서의 상기 광학용 필름 면내의 위상차의 1℃ 당 변화를 나타내며, R(590)은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8] 파장 59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하기 수학식 1 및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필름.
[수학식 1]
R(450)/R(590) ≤ 0.95
(상기 수학식 1 중, R(450) 및 R(590)은 각각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dR(590)/dT/R(590)×100| ≤ 2.0(%/℃)
(상기 수학식 2 중, dR(590)/dT는 파장 590nm에서의 상기 필름의 면내의 위상차의 1℃ 당 변화를 나타내며, R(590)은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안정한 광학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광학용 수지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용 수지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로서,
상기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이 광학용 수지 전체에 있어서 60몰% 이상 99몰% 이하이고,
상기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상기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이 합계로 광학용 수지 전체 중에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광학용 수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용 수지는, 4-메틸-1-헥센과 3-메틸-1-뷰텐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로서, 상기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고, 상기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d)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광학용 수지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광학용 수지를 이용하여, 광학용 필름을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용 수지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은, 파장 59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이하와 같은 수학식 1, 2의 특성을 갖는다.
[수학식 1]
R(450)/R(590) ≤ 0.95
(상기 수학식 1 중, R(450) 및 R(590)은 각각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필름의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dR(590)/dT/R(590)×100| ≤ 2.0(%/℃)
(상기 수학식 2 중, dR(590)/dT는 파장 590nm에서의 필름의 면내 위상차의 1℃ 당 변화를 나타내며, R(590)은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광학용 필름은, 광학용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고, 광학용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광학용 필름은, 광학용 수지를 일부에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광학용 수지 및 광학용 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용 수지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중합체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의 모노머만을 중합시킨 것일 수도 있고,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중합시킨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것일 수도 있지만, 상기 다른 모노머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전체에 대하여,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고,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일 수 있다.
구성단위 (a) 및 (b)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폴리4-메틸-1-펜텐의 장점인 상기 (1)의 특성을 유지한 채, 온도 변화에 따른 광학용 필름의 필름 면내 방향의 위상차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상기 (1)의 특성에 있어서 R(450)/R(590)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구성단위 (a)의 비율을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의 특성에 있어서 |dR(590)/dT/R(590)×100|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구성단위 (b)의 비율을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은 70몰% 이상 90몰% 이하, 특히는 70몰% 이상 85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구성단위 (b)의 비율에 대하여)
구성단위 (b)는 폴리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의 결정 중에 일정한 비율로 들어가는 것에 의해, 결정상의 복굴절이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폴리 4-메틸-1-펜텐의 결정 구조는, 7/2 나선 구조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7모노머로 2회전하는 나선 구조이지만, 폴리 4-메틸-1-펜텐의 특성을 남긴 채, 구성단위 (b)를 도입함에 있어서는, 이 7모노머 중, 많아도 3모노머 정도가 한계로 생각된다. 즉, 구성단위 (b)의 비율로서는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40몰%를 초과하면 폴리 4-메틸-1-펜텐의 결정 구조가 유지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그 장점인 복굴절의 역파장 분산성(상기 (1)의 특성)이 없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1몰%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과제인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상기 (2)의 특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을 확실하게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중합체 전체에 대하여, 구성단위 (b)의 비율은 5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은 10 내지 30몰%, 특히는 15 내지 3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억제, 및 역파장 분산성의 관점에서, 3-메틸-1-펜텐 또는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단위 (b)에는, 4-메틸-1-펜텐과 마찬가지 구조를 가지는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4-메틸-1-펜텐과 유사성을 갖게 함으로써 폴리 4-메틸-1-펜텐 유래의 결정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1)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에 의한다.
또한, 구성단위 (b)에는 분기 구조를 가지는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폴리 4-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필름에 있어서, 필름 면내의 위상차가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분기 구조를 갖는 모노머가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에 의한다. 분기 구조를 갖는 모노머는 직쇄 구조의 모노머에 비하여, 주쇄 부근의 밀도가 높으므로, 이들을 공중합함으로써, 폴리4-메틸-1-펜텐의, 특히 측쇄의 분자 운동이 구성단위 (b)와의 입체장애에 의해 억제되고, 또한 필름 면내의 위상차 변화가 억제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구성단위 (a)를 대신하여,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를 사용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 수지도, 필름 면내의 위상차 변화가 억제된다.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를 사용하는 경우, 공중합 성분으로서,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공중합체의 조성은, 상기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며, 상기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d)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5몰% 이상 4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성단위 (c) 및 (d)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폴리 4-메틸-1-헥센의 장점인 상기 (1)의 특성을 유지한 채, 온도 변화에 따른 광학용 필름의 필름 면내 방향의 위상차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상기 (1)의 특성에 있어서 R(450)/R(590)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구성단위 (c)의 비율을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의 특성에 있어서 |dR(590)/dT/R(590)×100|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구성단위 (d)의 비율을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의 비율은 70몰% 이상 90몰% 이하, 특히는 70몰% 이상 85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4-메틸-1-헥센은 4-메틸-1-펜텐과 대략 같은 광학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를 사용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 수지도,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것일 수도 있지만, 상기 다른 모노머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 4-메틸-1-펜텐 및 폴리 4-메틸-1-펜텐 공중합체의 조성 분석(구성단위 (a) 및 (b)의 조성 분석)은, Varian사제 「Mercury-400형」 핵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에서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4-메틸-1-헥센 공중합체의 조성 분석도 같은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수지의 용융 유량(MFR)(ASTM D 1238에 준하여, 하중 5kg, 온도 260℃의 조건에서 측정)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결정되지만, 보통 1g/10분 이상 5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2g/10분 이상 40g/10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g/10분 이상 30g/10분 이하이다. 광학용 수지의 용융 유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예컨대 용융 압출 성형이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고, 지나치게 크면, 예컨대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수지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캐스팅롤 상에서 균일한 막 두께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다. 광학용 수지의 용융 유량이 상기와 같은 범위 내에 있으면 필름 성형성 및 얻어지는 필름의 외관이 양호하다.
또한, 광학용 수지의 융점은,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컨대 100℃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 광학용 수지의 융점은,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의 성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예컨대 260℃ 이하, 바람직하게는 240℃ 이하이다.
다음으로, 광학용 수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광학용 수지는,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공지된 촉매를 이용하여, 적절히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에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합체를 광학용에 사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역파장 분산을 나타냄과 더불어,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하는, 즉 온도 변화에 따른 위상차의 변화가 작은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특허문헌 2의 출원시나, 비특허문헌 1의 작성시에는, LCD(액정 표시 장치) 등이 공업화되어 있지 않았었기 때문에,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공중합체에 의해, 후술하는 역파장 분산을 나타냄과 더불어,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하는 필름이 얻어지는 것은 전혀 상정되어 있지 않았다. 광학 필름과 전혀 다른 용도를 상정하고 있는 특허문헌 2나,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광학 용도에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4-메틸-1-펜텐의 공중합체에 관한 기재가 있지만, 특허문헌 3에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공중합체 실시예의 기재는 없고, 특허문헌 3에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비율에 의해, 후술하는 역파장 분산을 나타냄과 더불어,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한다는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점에 관한 인식은 없다.
이와 같이, 전술한 효과에 대한 인식이 없는 특허문헌 3으로부터는, 비교적 복잡한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은 상정할 수 없다.
또한, 4-메틸-1-펜텐 수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필름은 융점이 높지만 부서지고 깨지기 쉬운 성질이 있었다. 이 때문에, 공중합체로 하는 것으로 기계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이때는 기계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높은 C6 내지 C16의 α올레핀이 공중합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왔다. 특허문헌 3에서는, 4-메틸-1-펜텐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고,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의 공중합체는 상정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광학용 수지를 사용한 광학용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학용 필름은 전술한 어느 것의 광학용 수지와,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광학용 필름은 전술한 어느 것인가의 광학용 수지로 구성되며, 다른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각종 수지 또는 각종 고무일 수도 있다. 각종 수지로서는, 특히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환상 올레핀(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아세트산 셀룰로스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종 고무로서는, 올레핀계 고무, 스타이렌계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학용 필름에는,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박리제, 내후안정제, 방청제, 슬립제, 핵제, 안료, 염료, 무기충전제(실리카 등) 등의 보통 폴리올레핀에 첨가하여 사용되는 각종 배합제나, 그 이외의 특수한 배합제를 본건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광학용 필름은, 이하와 같은 파장 59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수학식 1, 2의 특성을 갖고, 역파장 분산과 온도 안정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광학 필름이다.
[수학식 1]
R(450)/R(590) ≤ 0.95
(상기 수학식 1 중, R(450) 및 R(590)은 각각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상기 필름의 필름 면내의 위상차(리타데이션 값)를 나타낸다.)
[수학식 2]
|dR(590)/dT/R(590)×100| ≤ 2.0(%/℃)
(상기 수학식 2 중, dR(590)/dT는 파장 590nm에서의 상기 필름의 필름 면내의 위상차의 1℃ 당 변화를 나타내며, R(590)은 590nm에서의 상기 필름의 필름 면내의 위상차(리타데이션 값)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킴으로써 역파장 분산을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450)/R(590)이 0.87 이하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복굴절이 보다 이상적인 역파장 분산을 나타내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넓은 파장 범위의 빛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하는 위상차판 등에 사용되는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한편, 위상차는 위상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23℃, 상대 습도 50%에서 측정된다.
또한, R(450)/R(590)의 하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복굴절에 의해 생기는 위상차를 더 한층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관점에서는, 예컨대 0.6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할 수 있다.
|dR(590)/dT/R(590)×100|은 2.0 이하일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한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이상일 수 있다.
dR(590)/dT/R(590)은 30℃에 있어서의 위상차 값(R(590, 30℃)) 및 120℃에 있어서의 위상차 값(R(590, 120℃))을 이용하여, dR(590)/dT = (R(590, 120℃)-R(590, 30℃))/(120-30)로서 구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광학용 필름은, 전술한 상기 광학용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예컨대, 전술한 광학용 수지와 다른 성분을, V-블렌더, 리본 블렌더, 헨셀 믹서, 텀블러 블렌더로 혼합하는 방법, 또는 상기 블렌더로 혼합한 후, 단축 압출기, 복축 압출기, 니더, 반버리 믹서 등으로 용융 혼련하여 과립화 또는 분쇄하고, 이어서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등의 방법, 또는 용액 유연법 등의 방법으로 필름 성형할 수 있다. 보다 효율 좋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용액 유연법, 인플레이션 성형법이나 압출 성형법 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광학적으로는 복굴절, 그 각도 의존성 등의 물성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한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연신의 배율은, 원하는 광학적 성질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균일 연신이나 원하는 복굴절을 더욱 확실히 얻는 관점에서는, 보통 1.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이다. 또한, 필름의 연신 배율은 제조 프로세스를 쉽게 하는 관점에서는 보통 10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배 이하이다.
또한, 용융 압출 성형법에 의해서 형성한 후, 연신 배향시키는 것에 의해, 필름을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용융 압출 성형을 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1축 압출기로써, 소정의 실린더 온도 및 소정의 캐스팅롤 온도로 성형을 한 후, 연신기로써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이고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인 온도로, 소정의 배율(바람직하게는 5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배 이하)만 소정의 연신 속도로 연신 성형을 행한다. 결정화도·결정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의미로부터는, 연신 배율은 작은 쪽이, 연신 속도는 큰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은 1축 연신, 2축 연신 등의 어느 것으로 행할 수도 있다. 결정화도, 결정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관점에서는 1축 연신보다도 2축 연신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이때, 용융 압출 성형시에 원반 시트 상의 필름을 일단 제조해 두고, 재차 연신 성형의 장치에 원반 시트를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용융 압출 성형 및 연신 성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필름을 얻는 경우에 있어서, 압출기의 롤 사이에서 가압 압축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의 투명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광학용 필름의 두께는, 사용의 목적, 특히 광학 부품의 복굴절 및 그 파장 의존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바람직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통1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광학용 필름이 지나치게 얇으면 취급의 용이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롤로 다루기 어려워지고, 롤 당의 길이가 짧게 되는 등의 염려가 있다. 광학용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이면, 필름의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필름 성형시에 핀홀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또한 더욱 충분한 강도도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보통은 광학적인 설계가 우선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광학용 필름의 두께에 특별히 상한은 없고, 본 기술 분야에서 종래 「시트」라고 불리고 있었던 것도 포함한다. 또한, 광학 용도에 사용 가능한 정도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광학용 필름을 편광판 보호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복굴절에 의해 생기는 위상차는 일반적으로 각도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각도로 표현한 위상차 R1과 nm를 단위로 한 위상차 R2의 환산식은,
R1(도) = (R2(nm)/λ(nm))×360(도)
로 표시된다. 한편, λ는 위상차 측정 파장이다.
편광판용의 보호필름이 가지고 있는 위상차 R1의 크기는 편광판의 편광도에 영향을 주며,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등의 화질에 영향을 준다. 즉, R2가 사용하는 위상차 측정 파장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값이었을 경우에서도, 단파장측으로 되면 되는 만큼 R1은 커져 버려, 단파장으로 되는 만큼 보호필름이 가지는 위상차가 직선 편광판의 편광도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이 R2로 표기되는 위상차는 단파장만큼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보호필름이 가지는 위상차의 편광판의 편광도에 주는 영향을, 가시광의 범위에서 전부 같게 하는 것이면, R2의 파장 λ에 대한 변화를 파장 λ의 변화에 가까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게 된다. 이것은, R2로 표기되는 위상차는 단파장만큼 작은 것이 바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보통 편광판 보호막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은 어느 것이나, R2가 단파장이 되면 커져 버리거나 또는 좋더라도 일정한 것이 보통이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광학용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역파장 분산을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학식 1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R2로 표기되는 위상차를 단파장만큼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호필름이 가지는 위상차가 직선 편광판의 편광도를 악화시키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용상 높은 가치를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광학용 필름은,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학식 2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위상차의 변화가 작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광학용 필름은,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광학 보상 필름의 R2로 표기되는 위상차가 단파장만큼 작은 것이 바람직한 것은 전술의 편광판 보호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또한, 전술한 광학용 필름을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한 광학 기능을 다할 수 있다.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는,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광학용 필름을, 편광판의 축보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편광판의 축보정의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A-C 보정, +A+C 보정, +A-A 보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은 1축 연신품이 -A 플레이트가 되므로, 이하에서 기술하는 -C 플레이트와 조합시키는 것으로 -A-C 보정 방법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 플레이트와 조합시키는 것으로 +A-A 보정 방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2축 연신품이 +C 플레이트가 되므로, +A 플레이트와 조합시키는 것으로 +A+C 보정 방법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A 플레이트란, nx>ny=nz 또는 nz=nx>ny인 광학용 필름을 말하고, C 플레이트란 nx=ny>nz 또는 nz>nx=ny인 광학용 필름을 말한다. 또한, nx, ny, nz로 이루어지는 굴절률 타원체에 있어서, 대칭축이 장축인 경우를 +(포지티브), 대칭축이 단축인 경우를 -(네거티브)라고 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nx>ny=nz인 광학 필름은 +A 플레이트가 된다.
이상과 같은 광학 필름 또는 적층판은 표시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소자로서는 액정 표시 소자 또는 EL 표시 소자를 들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전계 방출(field emission) 디스플레이, LED 등의 각종 표시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의 조제)
본 실시예의 광학용 수지의 중합에 사용한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은 다음과 같이 조제했다.
무수 염화마그네슘 750g, 데칸 2,800g 및 2-에틸헥실알콜 3,080g을 130℃에서 3시간 가열 반응을 행하여 균일 용액으로 한 후, 이 용액 중에 2-아이소뷰틸-2-아이소프로필-1,3-다이메톡시프로페인 220ml를 첨가하고, 또한 100℃에서 1시간 교반 혼합을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균일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이 균일 용액 3,000ml를 -20℃로 유지한 사염화타이타늄 800ml 중에, 교반 하 45분간에 걸쳐 전량 적하 삽입했다. 삽입 종료 후, 이 혼합액의 온도를 4.5시간에 걸쳐 110℃로 승온시키고, 110℃에 도달했을 즈음 2-아이소뷰틸-2-아이소프로필-1,3-다이메톡시프로페인 5.2ml를 첨가하고, 이것에 의해 2시간 같은 온도에서 교반 하에 유지했다. 2시간의 반응 종료 후, 열여과로써 고체부를 채취하고, 이 고체부를 1,000ml의 사염화타이타늄으로써 재현탁시킨 후, 다시 110℃에서 2시간, 가열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다시 열여과로써 고체부를 채취하여, 90℃ 데케인 및 헥세인으로 세액 중에 유리의 타이타늄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세정했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서 조제한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은 데케인 슬러리로서 저장했지만, 이 중의 일부를 촉매 조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건조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촉매 성분의 조성은 타이타늄 3.0질량%, 마그네슘 17.0질량%, 염소 57질량%, 2-아이소뷰틸-2-아이소프로필-1,3-다이메톡시프로페인 18.8질량% 및 2-에틸헥실알콜 1.3질량%였다.
(폴리4-메틸-1-펜텐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내용적 1.5리터의 중합기에, 실온 하에서, 400ml의 4-메틸-1-펜텐, 코모노머로서 180ml의 3-메틸-1-펜텐(3M1P), 트라이에틸알루미늄 1.8밀리몰, 및 3-메틸-1-펜텐을 예비 중합시킨 촉매를 타이타늄원자 환산으로 0.09밀리몰을 가하고, 중합기 내를 60℃로 승온시켜, 그 온도를 유지했다. 중합 시간 120분 경과 후, 중합기로부터 분말을 취출하고, 여과한 후, 헥세인으로 세정하고, 분말상의 폴리4-메틸-1-펜텐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수득된 중합체의 수량은 65g이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즉 3-메틸-1-펜텐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1.4mol%이며, 극한 점도[η]: 3.5dl/g, 융점: 236.8℃, 융해 열량: 43.8J/g이었다.
상기의 중합에 의해서 수득된 분말상의 폴리 4-메틸-1-펜텐 공중합체를 280℃의 열프레스법으로써 막 두께 약 100μm의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을 인장 시험기로써 자유단 1축 연신했다. 여기서 연신은, 연신 후의 막 두께가 50μm 내지 10μm의 사이가 되도록 실시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10.6mol%이며, 극한 점도[η]: 3.7dl/g, 융점: 235.3℃, 융해 열량: 42.6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17.2mol%이며, 극한 점도[η]: 3.4dl/g, 융점: 234.7℃, 융해 열량: 46.2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34.9mol%이며, 극한 점도[η]: 3.1dl/g, 융점: 233.5℃, 융해 열량: 46.5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코모노머를 3-메틸-1-뷰텐(3M1B)으로 하고,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10mol%이며, 극한 점도[η]: 2.5dl/g, 융점: 215.4℃, 융해 열량: 33.7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코모노머를 4,4-다이메틸-1-펜텐(4,4DM1P)으로 하고,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17mol%이며, 극한 점도[η]: 2.4dl/g, 융점: 222.1℃, 융해 열량: 28.0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50.9mol%이며, 극한 점도[η]: 2.9dl/g, 융점: 230.7℃, 융해 열량: 36.2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코모노머를 이용하지 않고서,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중합체는, 폴리 4-메틸-1-펜텐이며, 극한 점도[η]: 2.0dl/g, 융점: 240.0℃, 융해 열량: 45.1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코모노머를 1-헥센으로 하고,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6.6mol%이며, 극한 점도[η]: 2.3dl/g, 융점: 216.4℃, 융해 열량: 37.8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코모노머를 1-헥센으로 하고,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13.1mol%이며, 극한 점도[η]: 2.3dl/g, 융점: 200.2℃, 융해 열량: 32.1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코모노머를 1-헥센으로 하고,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21.7mol%이며, 극한 점도[η]: 2.2dl/g, 융점: 179.0℃, 융해 열량: 25.6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코모노머를 1-옥텐으로 하고, 코모노머 농도, 촉매 농도, 중합 시간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공중합체 및 1축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수득된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코모노머 함량이 7.9mol%이며, 극한 점도[η]: 2.2dl/g, 융점: 189.1℃, 융해 열량: 24.5J/g이었다. 수득된 1축 연신 필름의 광학 특성의 평가 결과를 공중합체 조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한편,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의 모노머의 비율, 극한 점도의 계측 방법, 융점, 융해열, 광선 투과율, 복굴절의 파장 분산, 복굴절의 변화율의 계측 방법은 이하와 같다.
4-메틸-1-펜텐 공중합 성분의 정량화는 Varian사제 「Mercury-400형」 핵자기 공명장치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시했다.
용매: 중벤젠(deuterated benzene)/오쏘다이클로로벤젠 혼합 용매
샘플 농도: 50 내지 100g/l-용매
펄스 반복 시간: 5.5초
적산 회수: 6,000 내지 16,000회
측정 온도: 120℃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측정한 13C-NMR 스펙트럼에 의해, 4-메틸-1-펜텐 및 공중합 성분의 조성을 정량했다.
극한 점도[η]: 이동 점도계(리고사제, 타입 VNR053U형)를 이용하고, 수지 0.25 내지 0.30g을 25ml의 데카린에 용해시킨 것을 시료로 하여, ASTM J1601에 준하여 135℃에서 비점도를 측정하고, 이것과 농도의 비를 농도 0에 외삽하여 극한 점도[η]를 구했다.
융점(Tm) 및 융해 열량: 세이코전자사제, DSC-220C를 이용하여 N2(질소) 분위기 하에서 측정했다. 상온으로부터 50℃/분의 승온 속도로 270℃까지 승온한 후에 5분간 유지하고, 이어서 10℃/분의 강온 속도로 -50℃까지 강온한 후에 5분간 유지했다. 그리고 10℃/분의 승온 속도로 270℃까지 승온시킬 때의 흡열 피크의 온도를 구했다. 흡열 피크 면적으로부터 단위 무게당 융해 열량을 구했다.
복굴절의 파장 분산: 오츠카전자(주)제 측정 장치 RETS-100을 이용하여, 23℃, 상대 습도 50%에서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위상차를 측정했다. 동 장치에서는, 편광 광학계를 이용하여, 샘플 통과 후의 편광 해석을 함으로써 샘플의 위상차(경사각 0°시의 위상차)를 구하고 있다.
복굴절의 변화율의 계측 방법: 복굴절의 파장 분산과 같은 방법으로, 위상차를 계측하여, 30℃에 있어서의 위상차 값(R(590, 30℃)) 및 120℃에 있어서의 위상차 값(R(590, 120℃)을 측정했다. 그리고, dR(590)/dT/R(590) = (R(590, 120℃)-R(590, 30℃))/(120-30)로서 구했다. 한편, 상대 습도는 50%이다.
광선 투과율: 필름으로부터 길이 50mm 모서리의 샘플을 잘라내어,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 590nm의 단색광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는, R(450)/R(590) ≤ 0.95이고, 복굴절의 역파장 분산을 나타냄과 더불어, |dR(590)/dT/R(590)×100| ≤ 2.0(%/℃)을 만족시켜, 온도 안정성이 뛰어난 광학용 필름이 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에서는, 복굴절의 역파장 분산을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온도 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광학용 필름이 되었다.
한편, 코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이 40몰% 이하 1몰% 이상,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복굴절의 역파장 분산을 나타냄과 더불어, 온도 안정성이 뛰어난 광학용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을 5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굴절의 역파장 분산을 나타냄과 더불어, 온도 안정성이 보다 뛰어난 광학용 필름이 된다.

Claims (8)

  1. 4-메틸-1-펜텐과,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로서,
    상기 4-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 (a)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 이고,
    상기 3-메틸-1-펜텐, 3-메틸-1-뷰텐 및 4,4-다이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상기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 (b)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광학용 수지.
  2. 4-메틸-1-헥센과 3-메틸-1-뷰텐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로서, 상기 4-메틸-1-헥센 유래의 구성단위 (c)의 비율이 60몰% 이상 99몰% 이하이고, 상기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d)의 비율이 합계로 40몰% 이하 1몰% 이상인 광학용 수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메틸-1-펜텐 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인 광학용 수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메틸-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인 광학용 수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용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용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파장 59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하기 수학식 1 및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광학용 필름.
    [수학식 1]
    R(450)/R(590) ≤ 0.95
    (상기 수학식 1 중, R(450) 및 R(590)은 각각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상기 광학용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dR(590)/dT/R(590)×100| ≤ 2.0(%/℃)
    (상기 수학식 2 중, dR(590)/dT는 파장 590nm에서의 상기 광학용 필름 면내의 위상차의 1℃ 당 변화를 나타내며, R(590)은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8. 파장 59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하기 수학식 1 및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필름.
    [수학식 1]
    R(450)/R(590) ≤ 0.95
    (상기 수학식 1 중, R(450) 및 R(590)은 각각 파장 450nm 및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2]
    |dR(590)/dT/R(590)×100| ≤ 2.0(%/℃)
    (상기 수학식 2 중, dR(590)/dT는 파장 590nm에서의 상기 필름의 면내 위상차의 1℃ 당 변화를 나타내며, R(590)은 590nm에서의 상기 필름 면내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KR1020117003396A 2008-07-15 2009-07-13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및 필름 KR20110030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3442 2008-07-15
JP2008183442 2008-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687A true KR20110030687A (ko) 2011-03-23

Family

ID=4155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396A KR20110030687A (ko) 2008-07-15 2009-07-13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및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33290B2 (ko)
JP (1) JP5559685B2 (ko)
KR (1) KR20110030687A (ko)
CN (1) CN102089337B (ko)
TW (1) TW201002742A (ko)
WO (1) WO2010007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1696B2 (ja) * 2010-11-02 2014-11-26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共)重合体および該重合体から得られるブロー成形体
JP2015183141A (ja) * 2014-03-26 2015-10-22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系重合体を含む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JP6594692B2 (ja) * 2014-09-02 2019-10-23 康博 小池 光学樹脂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1601A (en) * 1957-09-20 1963-05-28 Union Carbide Corp Olefinic copolymers
GB968935A (en) * 1962-06-20 1964-09-09 Ici Ltd Copolymers and articles
NL132631C (ko) 1964-05-27
DE1570634A1 (de) * 1965-12-10 1970-02-05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lefinmischpolymerisaten
GB1101987A (en) * 1965-12-16 1968-02-07 British Petroleum Co Crystalline copolymers
JPS5676416A (en) 1979-11-29 1981-06-24 Mitsui Petrochem Ind Ltd 4-methyl-1-pentene copolymer
JPH0832745B2 (ja) * 1986-04-14 1996-03-29 三菱化学株式会社 射出成形用の3―メチルブテン―1/4―メチルペンテン―1共重合体
JP2609139B2 (ja) * 1988-10-31 1997-05-1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位相差板
JPH04284402A (ja) 1991-03-14 1992-10-09 Asahi Chem Ind Co Ltd 新規なる位相差補償シート
JPH0971613A (ja) * 1995-09-05 1997-03-18 Ube Ind Ltd 3−メチルペンテン−1/4−メチルペンテン−1共重合体
JP2005350601A (ja) * 2004-06-11 2005-12-22 Mitsui Chemicals Inc 高結晶性ポリ4−メチルペンテン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WO2007129464A1 (ja) * 2006-05-01 2009-09-17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部品の複屈折の波長依存性を補正する方法、光学部品、およびそれらを用いて得られた表示装置
JP2008050512A (ja) * 2006-08-28 2008-03-06 Fujifilm Corp ポリスルホン樹脂、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液晶セ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7753A1 (ja) 2010-01-21
JPWO2010007753A1 (ja) 2012-01-05
JP5559685B2 (ja) 2014-07-23
TW201002742A (en) 2010-01-16
US20110105710A1 (en) 2011-05-05
CN102089337A (zh) 2011-06-08
CN102089337B (zh) 2013-11-13
US8633290B2 (en)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1039B2 (ja) 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349636B2 (ja) 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477472B2 (ja) 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221481B2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TWI431337B (zh) A laminated polarizing film, an optical film, a laminated phase difference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88185B (zh)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EP3333224B1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film comprising same
KR20110030687A (ko) 광학용 수지, 광학용 수지 조성물, 광학용 필름 및 필름
JP2011113004A (ja) 位相差フィルム
WO2014024970A1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TW201241074A (en) Resin composition, phase-contras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contrast film, and long circularly-polarizing plate
JP5821159B2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逆波長分散性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
JP6477471B2 (ja) 空洞含有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430788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2666A (ja) フィルム
JP4985175B2 (ja) 高靱性逐次2軸延伸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88447A1 (ja) 光学レンズ
JP2017100428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を含む多層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