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087A -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087A
KR20110022087A KR1020117001980A KR20117001980A KR20110022087A KR 20110022087 A KR20110022087 A KR 20110022087A KR 1020117001980 A KR1020117001980 A KR 1020117001980A KR 20117001980 A KR20117001980 A KR 20117001980A KR 20110022087 A KR20110022087 A KR 2011002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veform pattern
detected value
counting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다나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95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9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8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9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491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50156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수값에 오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 보수 계수능을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 전화기는, 박스체와, 박스체에 탑재되는 가속도 검출부와, 가속도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상기 계수부에 의하여 계수된 보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자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에는, 휴대전화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나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전화기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각 상태에 따라,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거나, 제어 내용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기는, GPS 기능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기능이나 메일 기능을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센서를 이용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로서,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수(步數)를 카운트하는 보수계의 기능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는 휴대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5-16775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휴대전화기에서, 착신을 알리는 바이브레이션 기능에 의해 휴대전화기에 진동이 가해진 경우, 가속도 센서는 당해 진동도 검지하기 때문에, 보수계 기능에 의해 측정된 보수에 큰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휴대전화기에서는, 예를 들면, 책상 등의 단단한 물체 위에 휴대전화기를 둔 경우나, 폴더형의 휴대전화기를 개폐하는 동작을 행한 경우나, 휴대전화기에 인위적인 가속도를 가함으로써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우 등이어도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휴대전화기에서는, 보행 동작 이외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가속도에 의거하여 보수계 기능에 의해 보수가 계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보수계 기능에 의해 계수되는 보수에 실제의 보수와의 사이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계수값에 오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 보수 계수능(計數能)을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가속도 검출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하는 계수부, 상기 계수부에 의해 계수된 보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가지는 보수 계수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計時部)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파형 패턴이 제 1A 파형 패턴 또는 제 2A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제 1A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에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시간당 검출수를 곱하여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추정하는 추정부와,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검출수를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수 계수부는,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파형 패턴이 인간의 보행 또는 주행의 파형 패턴인 제 1A 파형 패턴인지, 또는 인간의 보행 또는 주행에 다른 진동이 가해진 것에 의한 제 2A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 1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제 2 파형 패턴으로부터 가상 파형 패턴을 작성하고, 당해 가상 파형 패턴 중의 상기 제 1A 파형 패턴과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상기 카운트에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A 문턱값 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A 문턱값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A 문턱값 이상이고, 또한, 진폭이 상기 제 2A 문턱값 이상인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제 1A 판정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A 문턱값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상기 제 2A 문턱값 이상임과 함께,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으로부터 산출된 가상 파형 패턴이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제 2A 판정부와, 상기 제 1A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1A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 2A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2A 카운트부와, 상기 제 1A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제 2A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를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어 당해 박스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B 문턱값 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B 문턱값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1B 판정부와, 상기 제 1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박스체가 이동하고 있는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제 2B 판정부와, 상기 제 2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이동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3B 판정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미만이라고 판정된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에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시간당 검출수를 곱하여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추측하는 추정부와,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검출수를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어 당해 박스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B 문턱값 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B 문턱값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에 있어서,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1B 판정부와, 상기 제 1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박스체가 이동하고 있는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제 2B 판정부와, 상기 제 2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이동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3B 판정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1B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미만이라고 판정된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2B 카운트부와, 상기 제 1B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제 2B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를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가속도 검출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상기 계수부에 의해 계수 개시 또는 재개로부터 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계수 판정부와, 상기 계수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당해 일정한 보수가 계수된 후, 소정기간 내에 상기 계수부에 의해 새롭게 보수가 계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소정기간 내에 새롭게 보수가 계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계수부에 의해 계수된 합계 보수로부터 상기 일정한 보수를 취소하도록 상기 계수부를 제어하는 계수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수값에 오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 보수 계수능을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전화기(1A)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조작부측 박스체(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표시부측 박스체(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 A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A)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5는 제 1A 상태(보행 상태)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제 2A 상태[보행 상태 +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제 3A 상태[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만]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보수계 기능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제 A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10은 제 B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11은 제 1B 상태(보행 상태)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제 2B 상태[보행 상태 +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은 제 3B 상태[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만]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보수계 기능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제 B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16은 제 B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17은 제 C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C)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18은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0은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1은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2는 제어부(CPU)(45C)에 의한 보수의 계수처리에 대하여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제 A 실시형태 내지 제 C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A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의하여, 전자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A)에서의 기본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휴대전화기(1A)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A)는, 박스체로서의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연결부(4)를 거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측 박스체(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하단부는, 연결부(4)를 거쳐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A)는, 힌지 기구를 거쳐 연결된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휴대전화기(1A)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가 개방된 상태(개방상태)와,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가 접힌 상태(폐쇄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폐쇄상태란, 양 박스체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상태이고, 개방상태란, 양 박스체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조작부측 박스체(2)는, 외면이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에 의하여 구성된다. 조작부측 박스체(2)는, 프론트 케이스(2a) 측에, 입력 수단으로서의 조작키군(11)과, 휴대전화기(1A)의 사용자가 통화 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서의 음성 입력부(12)가 각각 노출하도록 구성된다.
조작키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키(14)와, 각종 조작에서의 결정이나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행하는 조작부재로서의 결정 조작키(15)로 구성된다. 조작키군(11)을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와의 개폐 상태나 각종 모드, 또는 기동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키·어사인). 그리고, 사용자가 각 키를 가압함으로써,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음성 입력부(12)는, 조작부측 박스체(2)의 길이 방향에서의 연결부(4)측과 반대인 외단부(外端部)측에 배치된다. 즉, 음성 입력부(12)는, 휴대전화기(1A)가 개방상태에서 한쪽의 외단부측에 배치된다.
조작부측 박스체(2)에서의 한쪽 측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조작부측 박스체(2)의 다른쪽 측의 측면에는,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키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추출이 행하여지는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인터페이스는, 캡에 의해 덮여져 있다. 각 인터페이스는, 불사용 시에는 캡에 의해 덮여진다.
표시부측 박스체(3)는, 외면이 프론트 패널(3a)과, 프론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도 3 참조)와, 리어 패널(3d)(도 3 참조)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측 박스체(3)에서의 프론트 케이스(3b)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와, 통화의 상대 측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로서의 음성 출력부(22)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표시부(21)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이 액정 패널의 배면 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부로 구성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 의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 및 표시부측 박스체(3)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조작부측 박스체(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표시부측 박스체(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박스체(2)는 프론트 케이스(2a)와, 키 구조부(40)와 키 기판(50)과, 케이스체(60)와, 기준 전위 패턴층(75) 및 휴대전화기용 RF(Radio Frequency)모듈 등의 각종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회로기판(70)과, 안테나부(90)와, 배터리 리드(2c)을 구비한 리어 케이스(2b)와, 배터리(80)를 구비한다.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는, 서로의 오목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연(外周緣)이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의 사이에는, 키 구조부(40)와, 키 기판(50)과, 케이스체(60)와, 회로기판(70)과, 안테나부(90)가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a)에는, 휴대전화기(1A)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박스체(3)의 표시부(21)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키 구멍(13a, 14a, 15a)이 형성된다.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는, 기능 설정 조작키(13)를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의 가압면, 입력 조작키(14)를 구성하는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가압면 및 결정 조작키(15)를 구성하는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가압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 입력 조작 키 부재(14b) 및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가압면을 누르도록 가압함으로써, 대응하는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에 설치되는 후술의 메탈돔(그릇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어,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키 구조부(40)는, 조작부재(40A)와, 보강부재로서의 키 프레임(40B)과, 시트부재로서의 키 시트(40C)에 의하여 구성된다.
조작부재(40A)는, 복수의 키 조작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와, 입력 조작 키 부재(14b)와, 결정 조작 키 부재(15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재(40A)를 구성하는 각 조작 키 부재 각각은, 후술하는 키 프레임(40B)을 사이에 두고 키 시트(40C)에 접착된다. 키 시트(40C)에 접착된 각 조작 키 부재 각각에서의 가압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여 배치된다.
키 프레임(40B)은, 구멍부(14c)가 복수 형성된 금속성의 판 형상 부재이다.키 프레임(40B)은,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가압에 의한 회로기판(70) 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이다. 또, 키 프레임(40B)은 도전성의 부재이고, 입력 조작 키 부재(14b)에서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키 프레임(40B)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부(14c)에는, 후술하는 키 시트(40C)에 형성되는 볼록부(14d)가 감합(嵌合)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볼록부(14d)에 입력 조작 키 부재(14b)가 접착된다.
키 시트(40C)는, 가요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제의 시트 형상 부재이다. 키 시트(40C)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4d)가 형성된다. 복수의 볼록부(14d)는, 키 시트(40C)에서의 키 프레임(40B)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된다. 이 복수의 볼록부(14d) 각각은, 후술하는 키 스위치(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키 기판(50)은, 키 시트(40C)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를 가진다.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은, 각 조작부재(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키 기판(50)에 배치되는 키 스위치(51, 52, 53)는, 그릇 모양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 돔은, 그 그릇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면, 키 기판(50)의 표면에 인쇄된 전기회로(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키 기판(50)은, 복수의 절연층(절연 필름)의 사이에 배선을 끼워 넣은 것이다.
키 기판(50)이 케이스체(60)에서의 평판부(61)에 탑재되기 때문에, 조작부재(40A) 각각이 가압됨에 의한 압력이나 휨은, 케이스체(60)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로기판(70)에 전달되기 어렵다.
케이스체(60)는, 박형(薄型)의 직육면체에서의 하나의 넓은 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케이스체(60)는, 평판부(61)에서의 개구 측의 면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는 리브(62)를 가진다. 리브(62)는, 회로기판(70)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부품 중 가장 높이가 있는 전자부품의 높이와 동등 또는 그것보다 충분히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리브(62)는, 평판부(61)의 주연(周緣) 및 내측에 기준 전위부를 구성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체(60)가 회로기판(70)에 탑재된 상태에서, 기준 전위 패턴층(75) 상에 배치되도록 리브(62)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체(60)는, 금속에 의해 형성하는 외에, 골격을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그 표면에 도체막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케이스체(60)는, 리브의 저면(底面)이 기준 전위 패턴층(75)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스체(60)는,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당해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동일한 크기의 전위를 가지게 된다. 즉, 케이스체(60)는, 시일드 케이스로서 기능한다. 케이스체(60)는, 시일드 케이스로서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등의 노이즈가 회로기판(70)에 배치되는 각종 전자부품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RF(Radio Frequency) 회로, CPU 회로, 전원회로 등으로 방출되는 노이즈를 차폐하여, 다른 전자부품이나 안테나에 접속되는 수신 회로 등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체(60)에서의 리브(62)의 저면이 기준 전위 패턴층(75) 상에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각 회로는 리브(62)에 의하여 둘러싸임과 함께 평판부(61)의 일부에 의해 덮인다. 리브(62)는, 각 회로에서의 격벽으로서 기능하고, 평판부(61)의 일부와 함께 각 회로를 시일드한다.
회로기판(70)에는, 안테나부(90)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도시 생략한 CPU(45A), 메모리(44A)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부품이나 회로가 배치된다. 각종 전자부품은, 소정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회로 블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RF(Radio Frequency) 회로, 전원회로 등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 블럭이 형성된다.
회로기판(70)에서의 케이스체(60) 측의 제 1면(70a)에는, 상기한 각종 전자부품 외에, 기준 전위부를 구성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이 형성된다.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상기한 각 회로 블럭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회로기판(70)의 제 1면(70a)의 표면에 도전성의 부재를 소정 패턴으로 인쇄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회로기판(70)에는, 후술하는 보수계 기능부를 구성하는 가속도 검출부로서의 3축 가속도 센서(100)가 실장된다. 3축 가속도 센서(100)는,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의 이동에서의 X축, Y축, Z축의 3축 방향 각각에서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3축 가속도 센서(10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A)를 소지한 사용자의 보행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변화)나, 후술하는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발생하는 가속도(변화)를 검출한다. 3축 가속도 센서(100)는, 검출한 가속도값의 정보를 CPU(45A)에 출력한다. 3축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의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테나부(90)는, 기초대 상에 소정 형상의 안테나 엘리먼트가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안테나부(90)는, 휴대전화기(1A)에서의 연결부(4) 측과 반대인 단부(端部)측에 배치된다. 이 안테나부990)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띠 형상의 판금에 의해 형성된다. 또, 안테나부(90)는, 도시 생략한 급전 단자를 거쳐 회로기판(70)으로부터 급전된다. 이에 의하여, 안테나 엘리먼트는, 급전 단자를 거쳐 회로기판(70)으로부터 급전됨과 함께, 회로기판(70)의 RF 모듈 등과 접속된다.
리어 케이스(2b)의 일단측(一端側)(도 2에서)에는, 분리 가능한 배터리 리드(2c)가 설치되어 있고, 배터리(80)를 리어 케이스(2b)의 외측으로부터 수납한 후, 리어 케이스(2b)에 장착된다. 또, 리어 케이스(2b)에서의 일단 측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도시 생략한 음성 입력부(12)가 수용된다.
리어 케이스(2b)에서의 연결부(4) 측에는, 진동 발생부(99)가 배치된다. 진동 발생부(99)는, 도시 생략한 모터와, 모터의 출력부에 설치된 편심추를 가지고 구성된다. 진동 발생부(99)는, 도시 생략한 배선에 의해 회로기판(70)에 접속된다. 진동 발생부(99)는, 회로기판(70)에 실장되는 CPU(45A)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대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부(99)는, 착신 시에서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기 위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진동 발생부(99)는, 상기한 보행 상태에서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진동을 가하여(제 2A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또, 정지 상태에서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진동을 가한다(제 3A 패턴, 제 3A 파형 패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박스체(3)는, 프론트 패널(3a)과, 음성 출력부(22)와, 프론트 케이스(3b)와, 음성 출력부(22)와, 표시부(21)와, 표시부(21)가 접속된 프린트 기판(85)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을 구비한다.
표시부측 박스체(3)는, 프론트 패널(3a)과, 프론트 케이스(3b)와, 표시부(21)와, 프린트 기판(85)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 각각이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는, 서로의 오목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연이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의 사이에는, 표시부(21)가 접속된 프린트 기판(85)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프린트 기판(85)에는, 도시 생략한 앰프와 접속되는 스피커가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A)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휴대전화기(1A)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제 1A 상태(보행 상태)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제 2A 상태[보행 상태 +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제 3A 상태[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만]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부(200)와, 진동 발생부(99)와, 3축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CPU(45A)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진동 제어부(110A)와, 판정부(111A)와, 카운트부(112A)와, 산출부(113A)와, 계측부(114A)와, 추정부(115A)와, 가산부(116A)와, 메모리(44A)를 구비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1A)는, 보수계 기능을 가져오기 위한 보수계 기능부를 가진다. 보수계 기능부는, 3축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CPU(45A)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판정부(111A)와, 카운트부(112A)와, 산출부(113A)와, 계측부(114A)와, 추정부(115A)와, 가산부(116A)와, 메모리(44A)에 의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0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안테나부(90)와, 변조 처리 또는 복조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 (201)를 구비한다.
안테나부(9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MHz)로 외부 장치(기지국)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라고 하였으나, 다른 주파수대이어도 된다. 또, 안테나부(9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제 1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 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2GHz)에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제 3 사용 주파수대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201)는, 안테나부(9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 처리하여 도시 생략한 처리부에 공급함과 함께,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안테나부(90)를 거쳐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진동 발생부(99)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한 모터와, 모터의 출력부에 설치된 편심추를 가지고 구성된다. 진동 발생부(99)는, 도시 생략한 배선에 의하여 회로기판(70)에 접속된다. 진동 발생부(99)는, 회로기판(70)에 실장되는 CPU(45A)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진동 제어부(110A)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부(99)는, 착신 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기 위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진동 발생부(99)는, 상기한 보행 상태에서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진동을 가하고(제 2A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또, 정지 상태에서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 진동을 가한다(제 3A 패턴, 제 3A 파형 패턴).
3축 가속도 센서(100)는,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서의 3축 방향(X, Y, Z)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100)는,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3축(3차원)타입이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F)과 질량(m)에 의거하여, 가속도(a)를 측정한다(가속도(a)=힘(F)/질량(m)).
또, 가속도 센서(100)는, 예를 들면, 압전소자에 의해 소정의 질량에 가해지는 힘을 계측하여 축마다의 가속도를 구하고, 수치 데이터화하여 버퍼링한다. 그리고, CPU(제어부)(45)는, 주기적으로 버퍼링된 가속도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100)는, 압전소자(압전식)에 한정하지 않고, 피에조 저항형, 정전용량형, 열검지형 등에 의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atems)식이나, 가동 코일을 움직여 피드백 전류에 의해 원래로 되돌리는 서보식이나,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변형 게이지에 의해 측정하는 변형 게이지식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3축 가속도 센서(100)로부터의 가속도 정보는, 판정부(111A)에 출력된다.
계시부(101)는, 계시 기능을 가진다. 계시부(101)는, 현재의 시각을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시부(101)로부터 출력된 시각 정보는, 후술하는 산출부(113A)나 계측부(114A)에 출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메모리(44A)는, 보수계 기능을 동작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또, 메모리(44A)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가 사용자의 보행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경우의 제 1A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와, 보행에 의한 이동에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진동이 가해진 경우의 제 2A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와,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진동만이 가해진 경우의 제 3A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메모리(44A)는, 본 실시형태에서, 3축 방향에서의 가속도값을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를 기억한다. 메모리(44A)는, 파형 패턴에서의 진폭 정보 및 진동 주기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메모리(44A)는, 파형 패턴을 1 주기마다 기억한다. 또한, 가속도값이 (X, Y, Z)일 때에, 합성 가속도값(G)은, 하기의 식(수학식 1)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진동 제어부(110A)는, 진동 발생부(99)에 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부(2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착신을 받은 경우, 진동 제어부(110A)는,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 발생부(99)에 대하여 당해 진동 발생부(99)를 구동시키는(진동을 발생시키는) 지시를 한다. 여기서, 진동 제어부(110A)는, 착신 시 외에, 알람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에 대응하여, 진동 발생부(99)에 대하여 지시를 한다.
판정부(111A)는, 3축 가속도 센서(100)로부터의 가속도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전화기(1A)의 상태를 판정한다. 판정부(111A)는, 3축 가속도 센서(100)로부터의 3축 방향에서의 가속도값을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에 의거하여, 휴대전화기(1A)에서의 상태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111A)는, 3축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합성 가속도값에서의 경시적인 변화의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과, 메모리(44A)에 기억되는 파형 패턴을 비교한다. 그리고, 판정부(111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보행 상태의 이동인 제 1A 상태의 제 1A 파형 패턴인지, 보행 상태에서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이 가해진 상태의 이동인 제 2A 상태의 제 2A 파형 패턴인지,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만이 가해진 상태의 이동인 제 3A 상태의 제 3A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11A)는, 제 1A 파형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또는 제 3A 파형 패턴과 측정값 파형 패턴을 각각의 파형으로 비교하여도 되고, 진폭 및 진동 주기로 비교하여도 되고, 또, 이들 조합으로 비교하여도 된다. 또, 판정부(111A)는, 제 1A 파형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또는 제 3A 파형 패턴과 측정값 파형 패턴을, 제 1A 파형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또는 제 3A 파형 패턴에 의거하여 설정되는 소정의 문턱값 등을 통해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판정부(111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제 1A 문턱값(AX) 이상이고, 또한, 진폭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인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제 1A 문턱값(AX) 및 제 2A 문턱값(BX)은, 제 1A 파형 패턴에 의거하여 설정된 값이다. 제 1A 문턱값(AX) 및 제 2A 문턱값(BX)은, 예를 들면, 메모리(44A)에 미리 기억하여 둘 수 있다. 여기서, 제 2A 문턱값(BX)은, 예를 들면, 0.4 G(정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0.2G)로 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부(111A)는, 합성 가속도값(G)의 파형 패턴(K)이, 진동 주기(A1)가 제 1A 문턱값(AX) 이상이고, 또한, 진폭(B1)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인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K1)인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11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보행 상태에서의 이동인 제 1A 상태의 파형 패턴인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또, 예를 들면, 판정부(111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제 1A 문턱값(AX)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임과 함께, 서로 인접하는 파형 패턴의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부(111A)는, 합성 가속도값(G)의 파형 패턴(K)이, 진동 주기(A2)가 제 1A 문턱값(AX) 미만이고, 또한, 진폭(B2)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임과 함께, 서로 인접하는 파형 패턴의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KA)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K1)에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K2)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판정부(111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제 1A 문턱값(AX)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임과 함께, 가상 파형 패턴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과는 다른 형태인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부(111A)는, 합성 가속도값(G)의 파형 패턴(K)이, 진동 주기(A3)가 제 1A 문턱값(AX) 미만이고, 또한, 진폭(B3)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임과 함께, 가상 파형 패턴(KA)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K)과는 다른 형태인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카운트부(112A)는, 검출값 파형 패턴 중, 판정부(111A)에 의해 제 1A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검출값 파형 패턴으로서의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부(112A)는, 예를 들면, 연속되는 파형 패턴에서의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경우에는, 극대점(극소점)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는, 사용자의 보수로서 카운트된다.
산출부(113A)는,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를 산출한다. 산출부(113A)에 의하여 산출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는, 후술하는 추정부(115A)에 출력된다.
계측부(114A)는, 검출값 파형 패턴 중, 판정부(111A)에 의해 제 2A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검출값 파형 패턴으로서의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한다. 계측부(114A)는, 계시부(101)로부터의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속 시간으로서, 도 6에서의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K2)의 계속 시간(T2a)을 계측하고 있으나, 간헐적으로 진동이 가해진 기간에서의 계속 시간(T2b) (T2a + T1a + T2a)을 계속 시간으로 하여도 된다.
추정부(115A)는, 계측부(114A)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에 산출부(113A)에 의해 산출된 시간당 검출수를 곱하여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추정 검출수를 산출한다. 추정부(115A)에서 이용되는 시간당 검출수는, 사용자가 보행을 개시하고 나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모든 시간에서의 평균 검출수이어도 되고,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 발생하기 직전에서의 평균 검출수이어도 된다.
가산부(116A)는, 추정부(115A)에 의해 산출(추정)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카운트부(112A)에서의 카운트수에 가산한다. 여기서,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발생부(99)로부터의 진동만으로 이동되는 제 3A 상태의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인 경우, 가산부(116A)는, 카운트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가산하지 않는다).
가산부(116A)에 의해 소정의 검출수가 가산된 수는, 제 2A 상태에서의 검출수가 보완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이다. 바꿔 말하면, 소정의 검출값이 가산된 수는, 제 2A 상태에서의 보수가 추정되어 보완(보정)된 사용자의 보수이다.
계속해서, 도 8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수계 기능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보수계 기능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소정의 조작에 의하여, 보수 카운트가 개시된다(ST1). 이에 의하여, 3축 가속도 센서(100)는,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A)]에서의 3축 방향 각각에서의 가속도값을 측정한다(ST2).
이어서, 판정부(111A)는, 메모리(44A)에 미리 기억된 제 1 파형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및 제 3A 파형 패턴과, 검출값 파형 패턴을 비교한다. 그리고, 판정부(111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제 1A 파형 패턴과 동일한 파형 패턴의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A), 제 2A 파형 패턴과 동일한 파형 패턴의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B), 제 3A 파형 패턴과 동일한 파형 패턴의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C)를 판정한다(ST3). 여기서, 판정부(111A)가 동일한 파형이라고 판정하기 위해서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제 1A 파형 패턴, 제 2A 파형 패턴 또는 제 3A 파형 패턴과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고, 형상, 진폭, 진동 주기나 형상으로부터 동일한 유형이라고 간주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판정부(111A)는, 가상 진동 주기 및 가상 진폭과,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의 파형의 산, 골의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유형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계속해서, 판정부(111A)에 의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경우(A), 카운트부(112A)는,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카운트한다(ST4).
그리고, 가산부(116A)는, 카운트부(112A)에 의해 카운트된 검출수를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수에 가산한다(ST5).
계속해서, 판정부(111A)에 의해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경우(B), 계측부(114A)는,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한다 (ST6).
또, 추정부(115A)는, 산출부(113A)에 의해 산출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에 계측부(114A)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을 곱하여, 계속 시간에서의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산출(추정)한다(ST7).
그리고, 가산부(116A)는, 추정부(115A)에 의해 추정된 추정 검출수를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수에 가산한다(ST8).
계속해서, 판정부(111A)에 의해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경우(C), 가산부(116A)는,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수인 보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ST9).
상기한 바와 같이, 가산부(116A)에 의해, 그 때까지의 카운트수에 검출수 또는 추정 검출수가 가산되어, 보수 데이터가 취득(축적)된다(ST10).
그리고, 소정의 조작에 의해 보수 카운트가 종료된 경우, 보수 카운트가 종료가 되고(ST11, YES), 보수 카운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수 카운트가 계속된다(ST11, NO).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측정값에 큰 오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 보수계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1A)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 상태에서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진동이 가해진 제 2A 상태에서, 보행 상태인 제 1A 상태에서의 보수의 평균 검출수에 근거한 추정 보수로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은 보수계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1A)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A 실시형태에서, 휴대전화기(1A)는, 추정부(115A)에 의해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계속 시간에서의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추정함으로써,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보정)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한 가상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검출함과 함께, 당해 검출수에 의해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보정)하여도 된다. 이하에, 도 9에 의하여, 이 경우에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제 A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A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휴대전화기(1A')는, 통신부(200)와, 진동 발생부(99)와, 3축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CPU(45A')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진동 제어부(110A')와, 제 1A 판정부(111aA')와, 제 2A 판정부(111bA')와, 제 3A 판정부(111cA')와, 제 1A 카운트부(112aA')와, 제 2A 카운트부(112bA')와, 제 1A 가산부(116A')와, 메모리(44A')를 구비한다.
제 1A 판정부(111aA')는, 3축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제 1A 문턱값(AX)이상이고, 또한, 진폭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인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제 1A 판정부(111aA')는, 가상 진동 주기 및 가상 진폭과,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의 파형의 산, 골의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유형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 2A 판정부(111b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제 1A 문턱값(AX)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임과 함께, 서로 인접하는 파형 패턴의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제 2A 판정부(111bA')는, 가상 진동 주기 및 가상 진폭과,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의 파형의 산, 골의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유형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파형 패턴의 최대값(정점)과 이것에 인접(연속)하는 최소값과의 합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합 평균값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을 상기 가상 파형 패턴 대신 사용하여도 된다.
제 3A 판정부(111cA')는,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제 1A 문턱값(AX)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제 2A 문턱값(BX) 이상임과 함께,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파형 패턴이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과는 다른 형태인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한다.
제 1A 카운트부(112aA')는, 제 1A 판정부(111aA')에 의해 판정된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한다.
제 2A 카운트부(112bA')는, 제 2A 판정부(111bA')에 의해 판정된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가산부(116A')는, 제 1A 카운트부(112aA')에서의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카운트수에 제 2A 카운트부(112b)에서의 가상 파형 패턴의 카운트수를 가산한다. 또, 가산부(116A')는, 제 3A 판정부(111c)에 의해, 검출값 파형 패턴이 제3A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경우, 카운트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상기한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보정)하여, 정확성이 높은 보수 측정을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다른 실시형태 의하면, 상기한 제 A 실시형태에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제 B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B)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전화기(1B)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제 1B 상태(보행 상태)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 2B 상태[보행 상태 + 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제 3B 상태[진동 발생부(99)에 의한 진동만]에서의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B)는, 통신부(200)와, 진동 발생부(99)와, 3축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위치 정보 취득부(102)와, CPU(45B)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진동 제어부(105B)과, 이동 속도 산출부(107B)와, 제 1B 판정부(111aB)와, 제 2B 판정부(111bB)와, 제 3B 판정부(111cB)와, 카운트부(112B)와, 산출부(113B)와, 계측부(114B)와, 추정부(115B)와, 가산부(116B)와, 메모리(44B)를 구비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1B)는, 보수계 기능을 가져오기 위한 보수계 기능부를 가진다. 보수계 기능부는, 3축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위치 정보 취득부(102)와 CPU(45B)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진동제어부(105B)와, 이동 속도 산출부(107B)와, 제 1B 판정부(111aB)와, 제 2B 판정부(111bB)와, 제 3B 판정부(111cB)와, 카운트부(112B)와, 산출부(113B)와, 계측부(114B)와, 추정부(115B)와, 가산부(116B)와, 메모리(44B)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하, 제 A 실시형태에서의 구성과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A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위치 정보 취득부(102)는,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B)]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 취득부(102)는, GPS를 이용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B)]에서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 취득부(102)는, 상시 기동하고 있어도 되고, 소정시간마다 간헐적으로 기동하도록 하여도 되나, 예를 들면, 3축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값이 소정의 값을 초과한 경우에 기동하여 위치 정보 취득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값으로서, 정지 상태의 평균값에, 제 2B 문턱값(BX)에 0.5를 곱한 값을 가산한 값을 설정하여도 된다. 위치 정보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는, 제 2B 판정부(111bB)를 포함하는 CPU(45B)에 출력된다.
메모리(44B)는, 보수계 기능을 동작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메모리(44B)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B 문턱값(AX)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B 문턱값(BX)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제 2B 문턱값(BX)은, 예를 들면, 0.4 G(정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0.2G)로 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메모리(44B)는, 본 실시형태에서, 3축 방향에서의 가속도값을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메모리(44B)는, 파형 패턴을 1 주기마다 기억한다.
또, 메모리(44B)는, 기준 보행 속도나 소정의 제 1B 이동 속도를 기억한다.기준 보행 속도는, 일반적 또는 사용자에서의 평균적인 보행 속도이다. 제 1B 이동 속도는, 보행이나 주행으로는 불가능(단기간은 가능하나 장기간은 불가능 등의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것도 포함한다)한 속도가 설정된다.
이동 속도 산출부(107B)는, 위치 정보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B)]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이동 속도산출부(107B)에 의해 산출된 이동 속도의 정보는, 제 2B 판정부(111bB)에 출력된다.
판정부(111aB, 111bB, 111cB)는, 3축 가속도 센서(100)로부터의 가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부(102)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전화기(1B)의 상태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판정부(111aB, 111bB, 111cB)는, 3축 가속도 센서(100)로부터의 3축 방향에서의 가속도값을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의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부(102)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의하여 산출된 이동 속도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전화기(1B)에서의 상태를 판정한다.
제 1B 판정부(111aB)는, 3축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합성 가속도값에서의 경시적인 변화의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 진폭이 제 2B 문턱값(B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제 1B 판정부(111aB)는, 휴대전화기(1B)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것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B 판정부(111aB)는, 휴대전화기(1B)의 움직임이, 보행 상태인 제 1B 상태에서의 움직임인지, 보행 상태에서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진동이 가해진 상태인 제 2B 상태에서의 움직임인지,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진동이 가해진 상태인 제 3B 상태에서의 움직임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B 판정부(111aB)는, 도 11에서의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진폭(B1)이 제 2B 문턱값(B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또, 제 1B 판정부(111aB)는, 도 12에서의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진폭(B2)이 제 2B 문턱값(B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또, 제 1B 판정부(111aB)는, 도 13에서의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진폭(B3)이 제 2B 문턱값(B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제 2B 문턱값(BX)을 0.4G 라 한 경우,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진폭(B1, B2, B3)은 모두 제 2B 문턱값(BX) 이상이라고 판정되고,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상태는 정지 상태는 아니라고 판정된다.
제 2B 판정부(111bB)는, 제 1B 판정부(111a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제 2B 문턱값(BX)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B)]가 이동하고 있는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B 판정부(111bB)는, 이동 속도 산출부(107B)에 의해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된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제 2B 판정부(111bB)는,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기준 보행 속도와 산출된 이동 속도를 비교하여, 휴대전화기(1B)에서의 상태가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제 2B 판정부(111bB)는, 휴대전화기(1B)가 제 1B 상태 또는 제 2B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B 판정부(111bB)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의 상태에서,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기준 보행 속도와 이동 속도를 비교하여,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K)의 각 상태가 이동 상태라고 판정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상태가 정지 상태라고 판정된다.
또, 제 2B 판정부(111bB)는, 이동 속도가 소정의 제 1B 속도 이상인 경우, 휴대전화기(1B)에서의 상태가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B 판정부(111bB)는,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제 1B 속도와, 산출된 이동 속도를 비교하여, 이동 속도가 제 1B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휴대전화기(1B)에서의 상태가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제 1B 속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행이나 주행으로는 불가능한 속도가 설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 2B 판정부(111bB)는, 전차(電車)나 차로의 이동은 보행에 의한 이동이 아니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전차나 차에 승차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보수로서 카운트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3B 판정부(111cB)는, 제 2B 판정부(111bB)에 의해 이동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B 판정부(111cB)는, 메모리(44)에 기억되는 제 1B 문턱값(AX)과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를 비교하여,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즉, 제 3 판정부(111cB)는, 휴대전화기(1B)가 보행 상태인 제 1B 상태인지, 보행 상태에서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진동이 가해진 제 2B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B 판정부(111cB)는, 도 11에서의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진동 주기(A1)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또, 제 3B 판정부(111cB)는, 도 12에서의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진동 주기(A2)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제 1B 문턱값(AX)을 보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주기와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주기 사이에서의 소정값을 제 1B 문턱값(AX)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상태가 제 1B 상태라고 판정되고, 도 12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K)의 상태가 제 2B 상태라고 판정된다.
상기에서, 제 1B 판정부(111aB), 제 2B 판정부(111bB) 및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K1)]의 상태가 제 1B 상태라고 판정되고, 도 12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K2)]의 상태가 제 2B 상태라고 판정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검출값 파형 패턴[제 3B 검출값 파형 패턴(K3)]의 상태가 제 3B 상태라고 판정된다.
카운트부(112B)는,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부(112B)는, 예를 들면, 연속되는 파형 패턴에서의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경우에는, 극대점(극소점)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는, 사용자의 보수로서 카운트된다.
산출부(113B)는,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를 산출한다. 산출부(113B)에 의해 산출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는, 후술하는 추정부(115B)에 출력된다.
계측부(114B)는,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AX) 미만이라고 판정된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한다. 계측부(114B)는, 계시부(101)로부터의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속 시간으로서, 도 12에서의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K2)의 계속 시간(T2a)을 계측하고 있으나, 간헐적으로 진동이 가해진 기간에서의 계속 시간(T2b) (T2a + T1a + T2a)을 계속 시간으로 하여도 된다.
추정부(115B)는, 계측부(114B)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에 산출부(113B)에 의해 산출된 시간당 검출수를 곱하여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추정 검출수를 산출한다. 추정부(115B)에서 이용되는 시간당 검출수는, 사용자가 보행을 개시하고나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모든 시간에서의 평균 검출수이어도 되고,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이 발생하기 직전에서의 평균 검출수이어도 된다.
가산부(116B)는, 추정부(115B)에 의해 산출(추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카운트부(112B)에서의 카운트수에 가산한다. 가산부(116B)는, 제 2 판정부(111bB)에 의해 검출값 파형 패턴이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카운트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가산하지 않는다).
가산부(116B)에 의해 소정의 검출수가 가산된 수는, 제 2B 상태에서의 검출수가 보완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이다. 바꿔 말하면, 소정의 검출값이 가산된 수는, 제 2B 상태에서의 보수가 추정되어 보완(보정)된 사용자의 보수이다.
계속해서, 도 14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수계 기능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보수계 기능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소정의 조작에 의해, 보수 카운트가 개시된다(ST101). 이에 의하여, 3축 가속도 센서(100)는, 조작부측 박스체(2)[휴대전화기(1B)]에서의 3축 방향 각각에서의 가속도값을 측정한다(ST102).
이어서, 제 1B 판정부(111aB)는,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제 2B 문턱값(BX)과, 검출값 파형 패턴(K)에서의 진폭을 비교함과 함께, 진폭이 제 2B 문턱값(B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T103).
계속해서, 제 1B 판정부(111aB)에 의해 진폭이 제 2B 문턱값(BX)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T103, YES), 제 2B 판정부(111bB)는,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기준 보행 속도와 이동 속도 산출부(107B)에 의해 산출된 이동 속도를 비교하여, 휴대전화기(1B)가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한다(ST104).
계속해서, 제 2B 판정부(111bB)에 의해 휴대전화기(1B)가 이동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ST104, YES), 제 3B 판정부(111cB)는,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제 1B 문턱값(AX)과 검출값 파형 패턴(K)에서의 진동 주기를 비교함과 함께,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T105).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T105, YES), 카운트부(112B)는, 검출값 패턴(제 1B 검출 값 패턴)의 검출수를 카운트한다(ST106).
그리고, 가산부(116B)는, 카운트부(112B)에 의해 카운트된 검출수를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수에 가산한다(ST107).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ST105, NO), 계측부(114B)는, 검출값 파형 패턴(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한다(ST108).
또, 추정부(115B)는, 산출부(113B)에 의해 산출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에 계측부(114B)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을 곱하여, 계속 시간에서의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산출(추정)한다(ST109).
그리고, 가산부(116B)는, 추정부(115B)에 의해 추정된 추정 검출수를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수에 가산한다(ST110).
또, 제 1B 판정부(111aB)에 의해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폭이 제 2B 문턱값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ST103, NO) 및 제 2B 판정부(111bB)에 의해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ST104, NO), 가산부(116B)는,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수인 보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ST111).
상기한 바와 같이, 가산부(116B)에 의해, 그 때까지의 카운트수에 검출수 또는 추정 검출수가 가산되어, 보수 데이터가 취득(축적)된다(ST112).
그리고, 소정의 조작에 의해 보수 카운트가 종료된 경우, 보수 카운트가 종료가 되고(ST113, YES), 보수 카운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수 카운트가 계속된다(ST113, NO).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측정값에 큰 오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 보수계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1B)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보행 상태인지를 판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보수의 카운트 대상이 되는 기간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 상태에서 진동 발생부(99)에 의해 진동이 가해진 제 2B 상태에서, 보행 상태인 제 1B 상태에서의 보수의 평균 검출수에 의거한 추정 보수로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은 보수계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1B)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B 실시형태에서, 휴대전화기(1B)는, 이동 속도 산출부(107B)에 의해 산출된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소정시간에서의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여도 된다. 이하, 도 15에 의하여, 제 B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B 실시형태에서의 휴대전화기(1B')는, 도 10에서의 이동 속도 산출부(107B) 대신, 이동 거리 산출부(108B')를 구비한다. 이동 거리 산출부(108B')는, 위치 정보 취득부(102)로부터의 위치 정보 에 의거하여, 소정시간에서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 2B 판정부(111bB')는, 이동 거리 산출부(108B')에 의해 산출된 소정시간에서 이동한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인지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B 판정부(111bB')는, 메모리(44B')에 기억되는 기준 보행 거리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준 보행 거리는, 소정시간에서의 일반적인 보행 거리나, 사용자에 있어서의 평균적인 보행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당해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한 제 B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동 상태인지의 판정을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B 실시형태에서, 휴대전화기(1B)는, 추정부(115B)에 의해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의 계속 시간에서의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추정함으로써,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검출함과 함께, 당해 검출수에 의해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하여도 된다. 이하에, 도 16에 의하여, 이 경우에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제 B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휴대전화기(1B")는, 통신부(200)와, 진동 발생부(99)와, 3축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위치 정보 취득부(102)와, CPU(45B")에 포함되는 기능부로서의 진동 제어부(105B")와, 이동 속도 산출부(107B")와, 제 1B 판정부(111aB")와, 제 2B 판정부(111bB")와, 제 3B 판정부(111cB")와, 제 1B 카운트부(112aB")와, 제 2B 카운트부(112bB")와, 가산부(11B"6)와, 메모리(44B")를 구비한다.
제 1B 카운트부(112aB")는,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이상이라고 판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한다.
제 2B 카운트부(112bB")는,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제 3B 판정부(111cB")에 의해 진동 주기가 제 1B 문턱값(AX) 미만이라고 판정된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도 12 참조, 가상 파형 패턴(KA) 참조]의 수를 카운트한다. 또한, 가상 파형 패턴은, 상기 대신, 파형의 최대값(정점)과 이것에 인접하는 최소값과의 합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합 평균값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패턴을 가상 파형 패턴으로서 채용하여도 된다.
가산부(116B")는, 제 1B 카운트부(112ab")에서의 카운트수에 제 2B 카운트부 (112bB")에서의 카운트수를 가산한다. 또, 가산부(116B")는, 제 1B 판정부(111aB")에 의해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폭이 제 2B 문턱값(BX)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및, 제 2B 판정부(111bB")에 의해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그 때까지 카운트된 카운트 수인 보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
당해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수의 측정값을 보완하여, 정확성이 높은 보수 측정을 할 수 있다. 또, 당해 다른 실시형태 따르면, 상기한 제 B 실시형태에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제 C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1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C)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휴대전화기(1C)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C)는, 통신부(200)와, 진동 발생부(99)와, 가속도 센서(100)와, 계시부(101)와, 메모리(44C)와, 제어부(CPU)(45C)와, 개폐 센서(46C)를 구비한다.
이하, 제 A 실시형태, 제 B 실시형태에서의 구성과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A 실시형태 및 제 B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어부(45C)는,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휴대전화기(1C)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45C)는, 기능부로서의 계수부(211C)와, 계수 판정부 (212C)와, 판정부(213C)와, 계수 제어부(214C)를 구비한다.
개폐 센서(개폐 검출부)(46C)는, 조작부측 박스체(2)에 배치되는 자석(47C) (도 1 참조)과, 표시부측 박스체(3)에 배치되는 홀 소자(48C)(도 1 참조)에 의해 구성되고, 휴대전화기(1C)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센서(46C)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위치 관계의 차이에 따르는 자기의 강약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의거하여, 휴대전화기(1C)가 개방상태인지 폐쇄상태인지를 판별한다.
계수부(211C)는, 보행 동작에서의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수부(211C)는,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이 문턱값(S) 이상인 경우, 보행 동작으로서 보수를 계수한다. 또, 검출되는 가속도가 문턱값(S) 이상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기간은, 이 기간에 검출되는 가속도 전체를 1보의 보수로서 계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기(1)는, 이 휴대전화기(1)를 소지하는 사용자의 보수를 차례로 계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수부(211C)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이용하여 보수의 계수를 행하였으나, 보수의 계수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보수의 계수처리를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에 의거하는 보수의 계수를 행하여도 된다.
계수 판정부(212C)는, 예를 들면, 보수의 계수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계수부(211C)에 의해 1보째의 보수(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계수 판정부(212C)는, 계수가 개시되고 나서(또는 재개되고 나서) 계수부 (211C)에 의해 1보째의 보수(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213C)는, 계수 판정부(212C)에 의해 1보째의 보수(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되고 나서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소정기간(T[s])은, 계시부(101)에 의해 계시된다. 또, 소정기간은, 적어도 1보분의 보수를 계수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수 제어부(214C)는, 계수부(211C)에 의한 보수의 계수(카운트)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계수 제어부(214C)는, 판정부(213C)에 의해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1보째의 보수의 계수 (일정한 보수)를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즉,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를 보수로서 처리하지 않도록 계수부(211C)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2보째의 보행 동작이 없는 경우의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되고 나서 소정기간(T[s]) 내에,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이 문턱값(S) 미만이기 때문에, 2보째의 보수는 계수되지 않는다. 그리고,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된 후,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지 않는다고 판정부(213C)에 의해 판정되기 때문에, 1보째의 보수의 계수를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되고 나서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지 않는 경우, 1보째의 보수는 보행 동작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1보째 보수의 계수를 취소한다[1보째를 보수로서 처리하지 않도록 계수부(111C)에 지시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보행 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에 의해 보수의 계수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계수 제어부(214C)는, 판정부(213C)에 의해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하고, 보수의 계측을 계속하여 행하도록 계수부(211C)를 제어한다.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를 보수로서 처리하도록 계수부(211C)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2보째의 보행 동작이 있는 경우의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되고 나서 소정기간(T[s]) 내에,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이 문턱값(S) 이상이기 때문에, 2보째의 보수는, 계수부(211C)에 의해 계수된다. 그리고, 계수 제어부 (214C)는,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된 후,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었다고 판정부(213C)에 의해 판정되기 때문에,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되고 나서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된 경우, 어느 쪽의 보수도 보행 동작에 의한 것으로 하여,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하도록 제어한다[1보째를 보수로서 처리하도록 계수부(211C)에 지시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C)는, 보행 동작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보수의 계수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하도록 계수부(211C)를 제어한 후에는, 보수의 계수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계수부(211C)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계수 제어부(214C)는, 1보째 및 2보째의 보수를 계수한 경우에는, 보행 동작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보수계 기능에 의한 보수의 계수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C)는, 보행 동작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보수계 기능에 의한 보수의 계수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서,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폐한 경우에서의 계수 제어부(214C)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폐한 경우, 즉,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 또는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한 경우,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를 합성한 합성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폐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가속도는 문턱값(S) 이상이 되기 때문에, 계수부(211C)는,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하고 나서 소정기간(T[s]) 내에 보행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가 문턱값(S) 이상이 되기 때문에, 계수부(211C)는, 2보째의 보수를 계수한다. 이와 같이 계수부(211C)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폐하였을 때의 동작을 1보째의 보수로서 잘못 계수한다.
이와 같은 보수의 오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계수 제어부(214C)는, 계수부 (211C)에 의해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된 후, 일정 기간 U[s] 내에, 개폐 센서(46C)에 의해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개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 즉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 1보째의 보수의 계수를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C)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개폐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가속도에 의해 보수의 계수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C)의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제어부(45C)에 의한 보수의 계수처리에 대하여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T201에서, 제어부(CPU)(45C)는, 보수를 리세트하여 보수의 계수를 개시한다.
단계 ST202에서, 계수부(211C)는,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가 문턱값(S)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가속도가 문턱값(S) 이상인 경우(Yes)에는, 단계 ST203으로 이행한다. 한편, 가속도가 문턱값(S) 미만인 경우(No)에는, 단계 ST2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T203에서, 계수 판정부(212C)는, 단계 ST202에서 검출된 가속도값에 의거하여, 1보째의 보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1보째의 보수라고 판정된 경우(Yes)에는, 단계 ST4로 이행한다. 한편, 1보째의 보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No)에는, 단계 ST2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T204에서, 계수부(211C)는, 1보째의 보수를 계수하고, 단계 ST205로 이행한다.
단계 ST205에서, 계수 제어부(214C)는, 개폐 센서(46C)에 의해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개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개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Yes)에는, 단계 ST206으로 이행한다. 한편, 개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No)에는, 단계 ST207로 이행한다.
단계 ST206에서, 계수 제어부(214C)는, 단계 ST205에서 개폐 센서(46C)에 의해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개폐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였기 때문에, 단계 ST204에서 계수한 1보째의 보수를 취소하도록 계수부(211C)를 제어한다.
단계 ST207에서, 계수부(211C)는, 가속도 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가 문턱값(S)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가속도가 문턱값(S) 이상인 경우(Yes)에는, 단계 ST208로 이행한다. 한편, 가속도가 문턱값(S) 미만인 경우(No)에는, 단계 ST205로 되돌아간다.
단계 ST208에서, 계수부(211C)는, 2보째의 보수를 계수하고, 단계 ST209로 이행한다.
단계 ST209에서, 판정부(213C)는, 1보째의 보수가 계수된 후,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된 경우(Yes)에는, 단계 ST210으로 이행한다. 한편, 소정기간(T[s]) 내에 2보째의 보수가 계수되지 않은 경우(No)에는, 단계 ST211로 이행한다.
단계 ST210에서, 계수부(211C)는, 1보째 및 2보째의 보수를 계수하고, 단계 ST212로 이행한다.
단계 ST211에서, 계수 제어부(214C)는, 단계 ST204에서 계수된 1보째의 보수의 계수를 취소하고, 단계 ST208에서 계수된 2보째의 보수를 1보째의 보수로서 계수한다.
단계 ST212에서, 계수 제어부(214C)는, 보수의 계수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계수부(111C)를 제어한다.
단계 ST213에서, 계수부(211C)는, 보수의 계수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수의 계수를 종료하는 경우(Yes)에는, 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보수의 계수를 종료하지 않는 경우(No)에는, 단계 ST20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C)에 의하면, 인위적인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나, 휴대전화기(1C)를 개폐한 경우 등의 보행 동작 이외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에 의해 보수의 계수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계수 판정부(212C), 판정부(213C) 및 계수 제어부 (214C)에서는, 일정한 보수로서, 1보째의 보수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보수(예를 들면, 1보째부터 5보째까지)를 일정한 보수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휴대전화기(1C)는, 일정한 보수로서, 하나의 보수를 설정하여도 되고, 복수의 보수를 각각 일정한 보수를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일정한 보수를 1부터 5보 각각에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보수마다 소정시간 내에 새로운 보수가 계수되는지가 판정됨과 함께, 어느 하나의 보수에서 소정시간 내에 새로운 보수가 계수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때까지 계측된 보수(일정한 보수)는 취소된다.
이상,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휴대 전자기기로서 휴대전화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HS(등록상표 ; 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 퍼스널 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부(4)에 의해 접기 가능한 휴대전화기의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겹친 상태로부터 한쪽의 박스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겹침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박스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턴)식이나,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가 하나의 박스체에 배치되어 연결부를 가지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이어도 된다. 또, 휴대전화기는, 개폐 및 회전 가능한 이른바 2축 힌지 타입이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발명은, 박스체와, 박스체에 탑재되는 가속도 검출부와,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계수부에 의해 계수된 보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가지는 보수 계수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휴대전화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A 실시형태에서, 계수부는, 판정부(111A)와, 카운트부(112A)이고, 보정부는, 산출부(113A)와, 계측부(114A)와, 추정부(115A)와, 가산부(116A)이다.
또, 제 A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계수부는, 계시부(101)와, 메모리(44A')와, 제 1A 판정부(111aA')와, 제 2A 판정부(111bA')와, 제 1A 카운트부(112aA')이고, 보정부는, 제 2A 카운트부(112bA')와, 가산부(116A')이다.
또, 제 B 실시형태에서, 계수부는, 계시부(101)와, 위치 정보 취득부(102)와, 메모리(44B)와, 제 1B 판정부(111aB)와, 제 2B 판정부(111bB)와, 제 3B 판정부(111cB)와, 카운트부(112B)이고, 보정부는, 산출부(113B)와, 추정부(115B)와, 가산부(116B)이다.
또, 제 B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전단)에서, 계수부는, 계시부 (101)와, 위치 정보 취득부(102)와, 메모리(44B')와, 제 1B 판정부(111aB')와, 제 2B 판정부(111bB')와, 제 3B 판정부(111cB')와, 카운트부(112B')이고, 보정부는, 산출부(113B')와, 추정부(115B')와, 가산부(116B')이다.
또, 제 B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후단)에서, 계수부는, 계시부 (101)와, 위치 정보 취득부(102)와, 메모리(44B")와, 제 1B 판정부(111aB")와, 제 2B 판정부(111bB")와, 제 3B 판정부(111cB")와, 제 1B 카운트부(112aB")이고, 보정부는, 제 2B 카운트부(112bB")와, 가산부(1116B")이다.
또, 제 C 실시형태에서, 계수부는 계수부(211C)이고, 보정부는 계수 제어부 (214C)이다.
1A : 휴대전화기 2 : 조작부측 박스체
3 : 표시부측 박스체 44A : 메모리
45A : CPU 99 : 진동 발생부
100 : 3축 가속도 센서 101 : 계시부
111A : 판정부 112A : 카운트부
113A : 산출부 114A : 계측부
115A : 추정부 116A : 가산부

Claims (19)

  1.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가속도 검출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상기 계수부에 의해 계수된 보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가지는 보수 계수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파형 패턴이 제 1A 파형 패턴 또는 제 2A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제 1A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에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시간당 검출수를 곱하여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추정하는 추정부와,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검출수를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어 상기 박스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파형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A 파형 패턴은, 상기 소정의 이동에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한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검출되는 파형 패턴이며,
    상기 기억부는, 제 2A 파형 패턴을 기억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파형 패턴을 비교함과 함께,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상기 제 1A 파형 패턴 또는 상기 제 2A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한 진동만으로 생기는 상기 박스체의 이동에서의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제 3A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상기 제 3A 파형 패턴인 것을 판정가능하며,
    상기 가산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상기 제 3A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카운트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휴대 전자기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파형 패턴에서의 진폭 정보 및 진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휴대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계수부는,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파형 패턴이 인간의 보행 또는 주행의 파형 패턴인 제 1A 파형 패턴인지, 또는 인간의 보행 또는 주행에 다른 진동이 가해진 것에 의한 제 2A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 1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제 2 파형 패턴으로부터 가상 파형 패턴을 작성하고, 당해 가상 파형 패턴 중의 상기 제 1A 파형 패턴과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상기 카운트에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A 문턱값 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A 문턱값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A 문턱값 이상이고, 또한, 진폭이 상기 제 2A 문턱값 이상인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제 1A 판정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A 문턱값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상기 제 2A 문턱값 이상임과 함께,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으로부터 산출된 가상 파형 패턴이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제 2A 판정부와,
    상기 제 1A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1A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 2A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2A 카운트부와,
    상기 제 1A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제 2A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를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A 문턱값 미만이고, 또한, 진폭이 상기 제 2A 문턱값 이상임과 함께,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이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과는 다른 형태인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를 판정하는 제 3A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산부는, 상기 제 3A 판정부에 의해,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이 상기 제 3A 검출값 파형 패턴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카운트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휴대 전자기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제 1A 판정부 및 상기 제 2A 판정부의 양쪽 또는 한쪽은,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이, 상기 제 1A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태인 제 2A 검출값 파형 패턴인지의 여부를, 상기 제 2A 검출값 패턴의 가상 진동 주기 및 가상 진폭과, 상기 가상 파형 패턴의 파형의 산, 골의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판정하는 휴대 전자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어 당해 박스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B 문턱값 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B 문턱값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1B 판정부와,
    상기 제 1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박스체가 이동하고 있는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제 2B 판정부와,
    상기 제 2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이동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3B 판정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시간당 검출수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미만이라고 판정된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이 계속되는 계속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속 시간에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시간당 검출수를 곱하여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검출수를 추측하는 추정부와,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검출수를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부는, 상기 제 2B 판정부에 의해 상기 박스체가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카운트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휴대 전자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시간에서 이동한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동 거리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B 판정부는, 상기 이동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소정시간에서 이동한 상기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휴대 전자기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B 판정부는, 상기 이동 속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이동 속도 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휴대 전자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B 판정부는,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의 제 1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이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휴대 전자기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계시부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어 당해 박스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에 대한 정보로서,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에 관한 제 1B 문턱값 정보와, 파형 패턴의 진폭에 관한 제 2B 문턱값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값의 경시적인 변화의 파형 패턴인 검출값 파형 패턴에 있어서,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1B 판정부와,
    상기 제 1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진폭이 상기 제 2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박스체가 이동하고 있는 이동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제 2B 판정부와,
    상기 제 2B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이동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검출값 파형 패턴의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제 3B 판정부와,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제 1B 검출값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1B 카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검출값 파형 패턴 중, 상기 제 3B 판정부에 의해 진동 주기가 상기 제 1B 문턱값 미만이라고 판정된 제 2B 검출값 파형 패턴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정점끼리를 연결하여 생긴 가상 파형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 2B 카운트부와,
    상기 제 1B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에 제 2B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수를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17.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에 탑재되는 가속도 검출부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의 경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보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상기 계수부에 의해 계수 개시 또는 재개로부터 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계수 판정부와,
    상기 계수 판정부에 의해 상기 일정한 보수가 계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당해 일정한 보수가 계수된 후 소정기간 내에 상기 계수부에 의해 새롭게 보수가 계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소정기간 내에 새롭게 보수가 계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계수부에 의해 계수된 합계 보수로부터 상기 일정한 보수를 취소하도록 상기 계수부를 제어하는 계수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소정기간 내에 새롭게 보수가 계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일정한 보수를 취소하지 않고, 보수의 계수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계수부를 제어하는 휴대 전자기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를 구성하는 제 1 박스체 및 제 2 박스체와,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수 제어부는,
    상기 계수부에 의해 상기 일정한 보수가 계수된 전후의 일정 기간 내에 상기 개폐 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박스체와 상기 제 2 박스체의 개폐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일정한 보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117001980A 2008-07-29 2009-07-29 휴대 전자기기 KR20110022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5405A JP4885918B2 (ja) 2008-07-29 2008-07-29 携帯電子機器
JPJP-P-2008-195405 2008-07-29
JP2008218497A JP4885922B2 (ja) 2008-08-27 2008-08-27 携帯電子機器
JPJP-P-2008-218497 2008-08-27
JPJP-P-2008-249135 2008-09-26
JP2008249135A JP4950156B2 (ja) 2008-09-26 2008-09-26 携帯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087A true KR20110022087A (ko) 2011-03-04

Family

ID=4161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980A KR20110022087A (ko) 2008-07-29 2009-07-29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2976B2 (ko)
EP (1) EP2309704A4 (ko)
KR (1) KR20110022087A (ko)
CN (1) CN102106138A (ko)
WO (1) WO2010013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0679A1 (en) * 2010-04-29 2011-1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ssages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movement of the device
JP2012008637A (ja) * 2010-06-22 2012-01-12 Yamaha Corp 歩数計、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04406B2 (en) 2010-09-30 2018-06-26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and processing analysis of physiological conditions of a user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monitoring device
JP5618818B2 (ja) * 2010-12-28 2014-11-0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4032997A (ja) * 2012-08-01 2014-02-20 Sharp Corp 携帯端末
JP5590511B2 (ja) * 2012-09-19 2014-09-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機能駆動装置、機能駆動方法および機能駆動プログラム
US9728059B2 (en) 2013-01-15 2017-08-08 Fitbit, Inc. Sedentary period detection utiliz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6268945B2 (ja) * 2013-02-04 2018-01-31 株式会社リコー 慣性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23004B2 (en) * 2013-03-22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sition uncertainty in a mobile device
US9285388B2 (en) 2013-04-12 2016-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alysis of pedestrian congestion
JP6070419B2 (ja) * 2013-05-31 2017-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766302B2 (en) * 2014-11-26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sensors under disruptive conditions
CN106153071A (zh) * 2015-04-15 2016-11-23 昆山研达电脑科技有限公司 基于波形匹配的计步器的校正方法及其系统
US9736383B2 (en) 2015-10-30 2017-08-15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US9723114B2 (en) * 2015-10-30 2017-08-01 Essential Products, Inc. Unibody contact features on a chassis shell of a mobile device
US9762781B2 (en) 2015-10-30 2017-09-12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without necessari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phone
US9525764B1 (en) 2015-10-30 2016-12-20 Essential Products, Inc. Co-mold features on a chassis shell of a mobile device
US10080530B2 (en) * 2016-02-19 2018-09-25 Fitbit, Inc. Periodic inactivity alerts and achievement messages
JP6171046B1 (ja) * 2016-04-26 2017-07-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6197470B (zh) * 2016-06-29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8047855A1 (ja) 2016-09-09 2018-03-15 旭化成株式会社 歩数計数装置、歩数計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55589B2 (ja) * 2017-11-29 2020-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計測システム、加工システム、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7Y2 (ja) 1988-06-15 1994-0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歩数計
US4962469A (en) 1988-04-18 1990-10-09 Casio Computer Co., Ltd. Exercise measuring instrument
JP2581764B2 (ja) 1988-06-27 1997-02-12 松下電工株式会社 歩数計
JP2000227342A (ja) * 1999-02-08 2000-08-15 Ee D K:Kk 歩数計の誤差自動補正方法及び距離計測方法並びに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3360062B2 (ja) 2000-02-14 2002-12-24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歩数計付き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3030775A (ja) 2001-07-10 2003-01-31 Sharp Corp データロガー
JP2005063288A (ja) 2003-08-19 2005-03-10 Konami Co Ltd 歩数計測装置、歩数計測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179607B2 (ja) 2003-12-04 2008-11-1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
JP2005204916A (ja) 2004-01-22 2005-08-04 Suzuken Co Ltd 身体活動測定装置
JP3720346B2 (ja) 2004-03-30 200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処理装置
JP4570128B2 (ja) 2004-03-31 2010-10-27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歩数計
JP4785349B2 (ja) * 2004-04-20 2011-10-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歩数計
JP4622331B2 (ja) 2004-06-18 2011-0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30995B2 (ja) 2004-12-01 2008-01-0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携帯型経路案内装置
CN1815145A (zh) * 2005-01-31 2006-08-09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手机中智能计步器的实现方法及实现该方法的手机
US7652609B2 (en) * 2005-08-01 2010-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in inertia sensor
DE602005014641D1 (de) * 2005-10-03 2009-07-09 St Microelectronics Srl Schrittmesservorrichtung und Schrittdetektionsverfahren mittels Algorithmus für selbstadaptive Berechnung von Beschleunigungsgrenzwerten
EP1770369B1 (en) * 2005-10-03 2012-06-06 STMicroelectronics Srl A method for controlling a pedometer.
JP4739054B2 (ja) 2006-02-18 2011-08-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
JP4785640B2 (ja) * 2006-06-20 2011-10-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歩数計
JP4995513B2 (ja) * 2006-08-29 2012-08-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歩数計
JP4885665B2 (ja) * 2006-09-21 2012-02-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歩数計
JP4885664B2 (ja) * 2006-09-21 2012-02-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歩数計
JP4885676B2 (ja) * 2006-09-29 2012-02-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歩数計
JP4957258B2 (ja) * 2007-01-15 2012-06-20 富士通株式会社 歩数計数装置および歩数計数方法
JP4922004B2 (ja) 2007-02-15 2012-04-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式歩数計
JP5561897B2 (ja) * 2007-07-13 2014-07-30 富士通株式会社 計測方法、計測装置及び計測プログラム
JP5049749B2 (ja) 2007-11-15 2012-10-17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体動検出装置
JP5131908B2 (ja) * 2007-11-30 2013-01-30 任天堂株式会社 歩数算出プログラム、歩数算出装置、歩数算出システム、および歩数算出方法
JP5049810B2 (ja) 2008-02-01 2012-10-17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体動検出装置
US7877226B2 (en) * 2008-03-03 2011-01-25 Idt Technolog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ing exercise repetitions
JP5038240B2 (ja) 2008-06-30 2012-10-03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モーションセンサ
JP5169574B2 (ja) 2008-07-23 2013-03-27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6138A (zh) 2011-06-22
US20110177848A1 (en) 2011-07-21
EP2309704A4 (en) 2011-12-14
WO2010013745A1 (ja) 2010-02-04
EP2309704A1 (en) 2011-04-13
US9062976B2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2087A (ko) 휴대 전자기기
US9700260B2 (en) Portable device and heartbeat reaching time measurement control method
US7938009B2 (en) Haptic device testing
CN109425333A (zh) 物理量传感器、复合传感器、惯性计测单元及电子设备
CN109643155A (zh) 具有振动器组件的设备壳体
CN109742998A (zh) 振动组件、马达控制方法及终端
US10614679B2 (en) Haptic presentation apparatus, recogni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haptic presentation method
CN104079257A (zh) 振动元件、振子、振荡器、电子设备以及移动体
JP4885922B2 (ja) 携帯電子機器
CN104422789A (zh) 物理量传感器、振动装置、电子设备以及移动体
US7426878B2 (e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ovement along linear/arc path
JP2017227591A (ja) 信号処理回路、物理量検出装置、姿勢演算装置、電子機器及び移動体
JP5543077B2 (ja) 携帯電子機器
JP4885918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731019B1 (ko) 터치스크린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이에 키입력을 하는 방법
JP5689405B2 (ja) 携帯電子機器
JP4932186B2 (ja) 腕時計式電子機器
CN101287962A (zh) 振动型惯性力检测传感器及使用该传感器的电子设备
US11105631B2 (en) Physical quantity sensor, inertia measurement device, vehicle positioning devic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vehicle
JP5358656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6349652A5 (ko)
CN113490576A (zh) 用于提供与针对壳体的输入相应的反馈的电子装置
JP4950156B2 (ja) 携帯電子機器
CN115665401B (zh) 固有频率的测试装置和测试方法
JP201702647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