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640A - 오일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오일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640A
KR20110021640A KR1020100058771A KR20100058771A KR20110021640A KR 20110021640 A KR20110021640 A KR 20110021640A KR 1020100058771 A KR1020100058771 A KR 1020100058771A KR 20100058771 A KR20100058771 A KR 20100058771A KR 20110021640 A KR20110021640 A KR 2011002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oil
circumferential wall
end side
oil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868B1 (ko
Inventor
다케하루 스가
Original Assignee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6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여과 면적 및 높은 여과 기능이 확보된 오일 스트레이너를 저가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과부(5)를, 지름이 개구 단부측으로 향해 서서히 길어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며, 여과부(5)의 주벽부(6)의 내면에, 나선 홈(7)을 여과부(5)의 중심선(C)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함과 더불어, 주벽부(6)의 외면에, 다수의 종형 홈(9)을 여과부(5)의 주벽부(6)의 모선을 따라 이어지도록 전 둘레에 형성한다. 나선 홈(7)과 종형 홈(9)의 깊이 합계(d1+d2)를 주벽부(6)의 두께(t)보다 크게 설정하며, 나선 홈(7)과 종형 홈(9)이 중첩되는 다수 부위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을 형성하고, 여과부(5)의 주벽부(6) 전체에 이들 관통 구멍(11)을 메시형상으로 분포시킨다.

Description

오일 스트레이너{OIL STRAINER}
본 발명은 통형의 수지제 본체부와 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지제 여과부를 구비하며, 오일을,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통형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의 일단에 제 1 하우징을 일체로 팽출 형성하고, 판형상의 필터가 내부에 형성된 제 2 하우징을 상기 제 1 하우징에 힌지를 개재하여 장착하도록 한 수지제 오일 스트레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일단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의 필터에 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를 통형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의 내면에 걸어 맞춤으로써,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에 필터를 장착하도록 구성한 수지제 오일 스트레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53712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20920 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필터가 판형상이며,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의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 작기 때문에, 오일의 여과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양 하우징의 성형 오차나 장착 오차 등에 의해 힌지 부위에 틈새가 생기면, 이 틈새로부터 오일이 출입되어 여과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서도, 필터 및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의 성형 오차 등으로 인해 필터와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이 틈새로부터 오일이 출입되어 여과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와 필터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므로, 각각 전용의 성형 틀로 성형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서는, 오일 스트레이너 본체와 필터와의 장착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써도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넓은 여과 면적 및 높은 여과 기능이 확보된 오일 스트레이너를 저가로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일 스트레이너를, 통형 본체부와 주머니 형상 여과부를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형의 수지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수지제 여과부를 구비하며, 오일을,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를 대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제 1 발명은, 상기 본체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여과부는 바닥면이 개구된 쉘상의 원추 사다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분단하고, 중심선이 상기 본체부와 공통이 되도록 개구 단부 둘레에서 본체부에 일체로 연속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외면에는 나선 홈이 여과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됨과 더불어, 주벽부 내면에는 다수의 종형 홈이 여과부의 주벽부 모선을 따라 이어지도록 전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나선 홈과 종형 홈의 깊이 합계는, 상기 주벽부의 두께보다 크고, 나선 홈과 종형 홈이 중첩되는 다수 부위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전체에 이들 관통 구멍이 메시형상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통형인 수지제 본체부와, 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지제 여과부를 구비하며, 오일을,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이며, 상기 여과부는, 바닥면이 개구된 쉘상의 원추 사다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분단하도록 개구 단부 둘레에서 본체부에 일체로 연속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내면에는, 나선 홈이 여과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됨과 더불어, 주벽부 외면에는, 다수의 종형 홈이 여과부의 주벽부 모선을 따라 이어지도록 전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나선 홈과 종형 홈의 깊이 합계는 상기 주벽부의 두께보다 크고, 나선 홈과 종형 홈이 중첩되는 다수 부위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전체에 이들 관통 구멍이 메시형상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반대쪽 개구 단부에 저벽부를 가지며, 상기 저벽부에는, 상기 여과부의 중심선과 평행으로 관통하는 작은 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따르면, 여과부가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판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오일의 여과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여과부가 일체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별개 부재를 장착할 경우에 장착 오차가 생기지 않으며, 장착 부위에 틈새가 생길 우려도 없다. 따라서, 장착 부위로부터 오일이 출입되는 일이 없고, 여과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체부와 여과부를 공통의 성형 틀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별개의 성형 틀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제조 공정 수가 적어지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나선 홈과 종형 홈의 합계 두께가 주벽부의 두께보다 크므로, 나선 홈에 대응하는 성형 틀과 종형 홈에 대응하는 성형 틀에 의해 성형을 행함으로써, 나선 홈과 종형 홈이 중첩되는 부위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이 될 관통 구멍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틀이 필요 없으며, 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나선 홈에 대응하는 성형 틀을 회전시킴으로써 오일 스트레이너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탈형이 용이하다. 특히,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시키는 성형 틀이 여과부 내측에 있어 본체부 내면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작은 접촉 저항으로 성형 틀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탈형이 용이하다. 또한, 탈형 시, 본체부 내면에 접촉되는 성형 틀을 종형 홈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므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 미끄럼 접촉 거리가 짧아, 본체부 내면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 내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을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본체부를 원통형 이외의 통형으로 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따르면, 저벽부에 의해서도 오일이 여과되므로, 저벽부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여과 면적이 커지며, 이로써 흡입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중앙 단면과 본체부를 파단하여 여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 여과부의 주벽부 외면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 여과부의 주벽부 내면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도 2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도 5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도 6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나타낸다. 이 오일 스트레이너(1)는 원통형의 수지제 본체부(3)를 구비하며, 이 본체부(3)의 내부에는, 바닥면이 개구된 쉘상의 원추 사다리형, 즉 지름이 개구 단부 측으로 서서히 길어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수지제 여과부(5)가 설치된다. 이 여과부(5)는 상기 본체부(3)의 내부를 상단측(오일 유동방향 하류측)과 하단측(오일 유동방향 상류측)으로 분단하며, 중심선(C)이 상기 본체부(3)와 공통이며, 또한 개구 단부가 반대쪽 개구 단부보다 오일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개구 단부 둘레에서 본체부(3)에 일체로 연속된다.
상기 본체부(3)의 상단측 바깥 둘레에는, 한 쌍의 판형상 돌출편부(17)가 서로 180도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각 돌출편부(17)에는, 볼트 삽입 구멍(19)이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각 볼트 삽입 구멍(19)에는, 금속제 칼라(27)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3)의 상단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원형 환상홈(21)이 형성되며, 이 환상홈(21)에는 고무제 밀폐용 O링(23)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3)의 하단 테두리에는, 한 쌍의 반원상 절개부(25)가 상기 돌출편부(17)에 대해 90도 편위(偏位)된 위치에서 서로 180도 반대쪽에 형성되고, 오일 팬의 바닥면이 오일 스트레이너(1)의 본체부(3)의 하단측 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여과부(5)의 주벽부(6)의 내면에는, 나선 홈(7)이 개구 단부 측에서 반대쪽 개구 단부에 걸쳐 여과부(5)의 중심선(C)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됨과 더불어, 주벽부(6)의 외면에는 다수의 종형 홈(9)이 여과부(5)의 주벽부(6)의 모선을 따라 이어지도록 전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나선 홈(7)의 깊이(d1)와 종형 홈(9)의 깊이(d2)의 합계는 상기 주벽부(6)의 두께(t)보다 크며, 나선 홈(7)과 종형 홈(9)이 중첩되는 다수 부위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이 형성된다. 이들 관통 구멍(11)은 균일한 크기로 상기 여과부(5)의 주벽부(6) 전체에 메시형상으로 분포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서는, 편의상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도트를 부여하여 주벽부(6)를 나타낸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5)는 반대쪽 개구 단부에 저벽부(13)를 가지며, 이 저벽부(13)에는 상기 여과부(5)의 중심선(C)과 평행으로 관통하는 작은 구멍(15)이 관통 구멍(11)과 균일한 크기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스트레이너(1)는, 여과부(5)의 내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과 여과부(5)의 외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에 의해 성형되며, 여과부(5)의 내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을 회전시켜, 탈형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탈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스트레이너(1)는 오일 팬 내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편부(17)의 양쪽 볼트 삽입 구멍(19)으로 금속제 칼라(27)를 끼워맞춘 상태로 볼트를 조임으로써, 엔진의 오일 흡입구(도시 생략)의 둘레부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O링(23)이 환상홈(21)의 바닥면과 오일 흡입구의 둘레부에 압접되어 오일이나 공기의 출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엔진이 구동되면, 오일 팬 내 오일이 상기 본체부(3)의 하단측 개구로부터 흡입되어 여과부(5)의 관통 구멍(11) 또는 작은 구멍(15)을 통과하여 여과되며, 상단측으로부터 유출되어 오일 펌프를 지나 엔진의 습동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여과부(5)가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판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오일의 여과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여과부(5)에 의한 오일의 흡입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와 여과부(5)가 일체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별개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의 장착 오차가 생기지 않으며, 장착 부위에 틈새가 생길 우려도 없다. 따라서, 장착 부위로부터 오일이 출입되는 일이 없어 여과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체부(3)와 여과부(5)를 공통의 성형 틀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성형 틀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제조 공정수가 적어지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나선 홈(7)과 종형 홈(9)의 두께 합이 주벽부(6)의 두께보다 크므로, 나선 홈(7)에 대응하는 성형 틀과 종형 홈(9)에 대응하는 성형 틀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나선 홈(7)과 종형 홈(9)이 중첩되는 부위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이 될 관통 구멍(11)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틀이 필요 없으며, 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나선 홈(7)에 대응하는 성형 틀을 회전시킴으로써 오일 스트레이너(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탈형이 용이하다. 특히, 회전시키는 성형 틀이 여과부(5)의 내측에 있어 본체부(3)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작은 접촉 저항으로 성형 틀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탈형 시에 본체부(3)의 내면에 접촉하는 성형 틀을 종형 홈(9)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므로, 이 성형 틀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 미끄럼 접촉 거리가 짧으며, 탈형 시에 본체부(3)의 내면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여과부(5)의 지름이 개구 단부측으로 서서히 길어지므로, 나선 홈(7)에 대응하는 성형 틀과 여과부(5)와의 나사 결합을 성형 틀의 적은 회전수로 풀고, 그 후 이 성형 틀을 탈형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여과부(5)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탈형이 용이하다.
또한, 저벽부(13)에 의해서도 오일이 여과되므로, 저벽부(13)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여과 면적이 커지며, 이로써 흡입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7∼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도 3 및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을 생략하나, 도 3이 본 제 2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의 여과부(5)의 주벽부(6)의 내면을 나타내며, 도 4가 본 제 2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의 여과부(5)의 주벽부(6)의 외면을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나선 홈(7)이 여과부(5)의 주벽부(6)의 외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종형 홈(9)이 주벽부(6)의 내면에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제 2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의 성형에 이용되는 성형 틀 중, 여과부(5)의 외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이 나선 홈(7)에 대응하고, 여과부(5)의 내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이 종형 홈(9)에 대응하므로, 탈형 시 여과부(5)의 외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을 회전시켜 탈형방향으로 후퇴시킨다.
(제 3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나타낸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오일 스트레이너(1)가 제 1 도관(31)과 제 2 도관(33)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제 1 도관(31)은 본체부(3)와 여과부(5)를 구비하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오일 스트레이너(1)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관(31)의 본체부(3)의 하단에는, 이 하단 테두리를 따라 이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원호형 플랜지부(37)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팽출되어 일체 형성된다. 단, 제 1 도관(31)에는 상기 절개부(25)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2 도관(33)은 거의 "<" 형상으로 만곡된 관형상 본체부(39)를 구비하며, 이 관형상 본체부(39)의 상단 테두리에는 판형상 플랜지부(41)가 거의 전 둘레에 걸쳐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팽출되어 일체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41)의 상면에는, 외주 테두리를 따른 원호형인 한 쌍의 돌출부(43)가 상기 제 1 도관(31)의 플랜지부(37)의 틈새에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41)의 돌출부(43)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상기 제 1 도관(31)의 본체부(3)에 내측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 삽입부(4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 2 도관(33)의 본체부(39)의 하단 테두리에는, 한 쌍의 반원형 절개부(47)가 180도 반대쪽에 형성되고, 오일 팬의 바닥면이 제 2 도관(33)의 본체부(39)의 하단측 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도관(33)의 원통 삽입부(45)를 제 1 도관(31)의 본체부(3)의 하단측 개구로 삽입함과 더불어, 제 2 도관(33)의 돌출부(43)를 제 1 도관(31)의 플랜지부(37)의 틈새에 끼움 결합시켜, 이 상태에서 제 1 도관(31)과 제 2 도관(33)을 서로 용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3 실시예에서는 본체부(3)의 지름이 일정하나, 여과부(5)의 반대쪽 개구 단부보다 개구 단부측에서 반대쪽 개구 단부측보다 좁아지지 않으면,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실시예에서는, 여과부(5)를 지름이 개구 단부측으로 서서히 길어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나, 바닥면이 개구된 쉘상의 원추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본체부(3)의 내면과 여과부(5)의 외면에 대응하는 성형 틀을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본체부(3)와 여과부(5)의 중심선은 일치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본체부(3)에서 여과부(5)의 개구 단부보다 상측 부분이 원통형 이외의 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3 실시예에서는, 여과부(5)의 개구 단부가 반대쪽 개구 단부보다 오일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나, 오일 유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통형의 수지제 본체부와 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지제 여과부를 구비하며, 오일을,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로서 유용하다.
1 : 오일 스트레이너 3 : 본체부
5 : 여과부 6 : 주벽부
7 : 나선 홈 9 : 종형 홈
11 : 관통 구멍 13 : 저벽부
15 : 작은 구멍 C : 중심선

Claims (3)

  1. 원통형의 수지제 본체부와 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지제 여과부를 구비하며, 오일을,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바닥면이 개구된 쉘상의 원추 사다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분단하여, 중심선이 상기 본체부와 공통이 되도록 개구 단부 둘레에서 본체부에 일체로 연속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외면에는, 나선 홈이 여과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됨과 더불어, 주벽부 내면에는, 다수의 종형 홈이 여과부의 주벽부 모선을 따라 이어지도록 전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나선 홈과 종형 홈의 깊이 합계는, 상기 주벽부의 두께보다 크고, 나선 홈과 종형 홈이 중첩되는 다수 부위에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전체에 이들 관통 구멍이 메시형상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
  2. 통형의 수지제 본체부와 이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지제 여과부를 구비하며, 오일을,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여과부에 의해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바닥면이 개구된 쉘상의 원추 사다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부 내부를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분단하도록 개구 단부 둘레에서 본체부에 일체로 연속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내면에는, 나선 홈이 여과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됨과 더불어, 주벽부 외면에는, 다수의 종형 홈이 여과부의 주벽부 모선을 따라 이어지도록 전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나선 홈과 종형 홈의 깊이 합계는, 상기 주벽부의 두께보다 크고, 나선 홈과 종형 홈이 중첩되는 다수 부위에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의 주벽부 전체에 이들 관통 구멍이 메시형상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반대쪽 개구 단부에 저벽부를 가지며,
    상기 저벽부에는, 상기 여과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관통하는 작은 구멍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
KR1020100058771A 2009-08-26 2010-06-21 오일 스트레이너 KR101627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5232 2009-08-26
JP2009195232A JP5331616B2 (ja) 2009-08-26 2009-08-26 オイルストレ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640A true KR20110021640A (ko) 2011-03-04
KR101627868B1 KR101627868B1 (ko) 2016-06-07

Family

ID=4381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771A KR101627868B1 (ko) 2009-08-26 2010-06-21 오일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31616B2 (ko)
KR (1) KR101627868B1 (ko)
CN (1) CN102003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8914B2 (ja) * 2009-09-03 2013-12-18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オイルストレーナの製造方法
JP5624006B2 (ja) * 2011-10-05 2014-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フィルター
KR101145932B1 (ko) * 2011-11-17 2012-05-15 (주) 한창엔프라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메쉬 일체형 필터 제조방법
CN109139182A (zh) * 2018-10-30 2019-01-04 中船动力有限公司 柴油机油底壳滑油出口封闭式过滤格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720A (ko) * 1991-06-21 1993-01-16 이헌조 티브이의 좌,우 온스크린 표시방법
JP2001120920A (ja) 1999-10-21 2001-05-08 Gp Daikyo Corp オイルストレーナ
JP2002153712A (ja) 2000-11-20 2002-05-28 Aisin Seiki Co Ltd 樹脂製オイルストレーナ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3309A (en) * 1974-10-21 1978-06-20 Ernest H. Lindsay (Jr.) One-piece molded fil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S5821526Y2 (ja) * 1981-09-02 1983-05-07 ピユレツクス、コ−ポレ−シヨン ハウジングおよびストレイナ−組立体
JP2581502B2 (ja) * 1993-07-15 1997-02-12 リンナイ株式会社 メッシュ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61542A (ja) * 1998-11-25 2000-06-16 Kunihiko Tachikawa 合成樹脂多孔管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328841B2 (ja) * 1999-04-13 2009-09-09 邦彦 立川 フレキシブル合成樹脂多孔管及びその製造方法
CN2382458Y (zh) * 1999-06-24 2000-06-14 长沙化工设备厂 可快速更换滤袋的过滤器
WO2006026241A1 (en) * 2004-08-25 2006-03-09 Donaldson Company, Inc. Air cleaner; replaceable filter cartridges; and, methods
KR100617968B1 (ko) * 2005-01-21 2006-09-01 (주)삼창 유공관 제조장치
CN2855503Y (zh) * 2005-10-21 2007-01-10 陈庆华 机油滤清器滤芯
EP2221094A4 (en) * 2007-11-29 2011-05-04 Entegris Inc FILTRATION UNIT AND FILTER CARTRID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720A (ko) * 1991-06-21 1993-01-16 이헌조 티브이의 좌,우 온스크린 표시방법
JP2001120920A (ja) 1999-10-21 2001-05-08 Gp Daikyo Corp オイルストレーナ
JP2002153712A (ja) 2000-11-20 2002-05-28 Aisin Seiki Co Ltd 樹脂製オイルストレ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3245B (zh) 2014-10-29
KR101627868B1 (ko) 2016-06-07
JP2011045813A (ja) 2011-03-10
CN102003245A (zh) 2011-04-06
JP5331616B2 (ja)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1155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または内燃機関のための吸引式オイルフィルタユニット
CN107519686B (zh) 具有竖管和流动翅片的过滤器中心管
KR20110021640A (ko) 오일 스트레이너
US20150014239A1 (en) Filter Device, Especially Liquid Filter
US8950588B2 (en) Band type filter
WO2015159544A1 (ja) オイルストレーナ
CN101784761A (zh) 油盘
CN109070398A (zh) 筛网过滤器
JP5368914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の製造方法
JP5697908B2 (ja) 燃料噴射弁の燃料供給口用フィルタ
KR101622408B1 (ko)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US10710008B2 (en) Spin-on filter for suction-side and pressure-side applications in filtration systems
US11772024B2 (en) Filter assembly with a diffuser
US11448211B2 (en) Oil pump including gap between flange portion of tubular core and flange-opposing portion of resin housing
CN101716433A (zh) 过滤装置,尤其用于内燃机中的液体过滤
JP2008008273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5046805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4623468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5368958B2 (ja) エンジン用オイルストレーナ
EP2867534B1 (de) Abgasturbolader
JP6859124B2 (ja) 棒状成形体の射出成形金型、および棒状成形体の製造方法
JP4958675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WO2016140672A1 (en) Oil pan with integral lube suction and stiffening passage
JP4340604B2 (ja) エンジンのウォータポンプ構造
JP6900352B2 (ja) 燃料用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